KR100303601B1 - 점도측정검액의분말품용액자동조제장치 - Google Patents

점도측정검액의분말품용액자동조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601B1
KR100303601B1 KR1019940000011A KR19940000011A KR100303601B1 KR 100303601 B1 KR100303601 B1 KR 100303601B1 KR 1019940000011 A KR1019940000011 A KR 1019940000011A KR 19940000011 A KR19940000011 A KR 19940000011A KR 100303601 B1 KR100303601 B1 KR 100303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ample
hopper
solvent
powder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661A (ko
Inventor
지노다카시
노가미유우지
야시로하지메
카토케이스케
키타무라하지메
다케우치마사루
요시코시히데오
키타이미키오
Original Assignee
카나가와 치히로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나가와 치히로,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카나가와 치히로
Publication of KR94001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1Pow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comprising robots or similar manip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18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the analyte being in the solid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207Handling bulk quantities of analyte
    • G01N2035/00217Handling bulk quantities of analyte involving measurement of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277Special precautions to avoid contamination (e.g. enclosures, glove- boxes, sealed sample carriers, disposal of contaminated material)
    • G01N2035/00287Special precautions to avoid contamination (e.g. enclosures, glove- boxes, sealed sample carriers, disposal of contaminated material) movable lid/cover for sample or reaction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346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 G01N2035/00356Holding samples at elevated temperature (incubation)
    • G01N2035/00415Other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 G01N2035/00524Mixing by agitating sample carri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 G01N2035/00534Mixing by a special element, e.g. stirr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01N33/442Resins;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0Composition for standardization, calibration, simulation, stabilization, preparation or preservation; processes of use in preparation for chemical t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0Composition for standardization, calibration, simulation, stabilization, preparation or preservation; processes of use in preparation for chemical testing
    • Y10T436/109163Inorganic standards or contr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품의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액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자동적으로 분말품을 용매에 용해하여, 소정의 농도로 조제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시료 용기(2)로부터 호퍼(6) 내로 부어져 호퍼(6)내로부터 진동 구동원(5)의 동작에 의해 배출하는 분말 시료의 배출량을 검출하는 전자식 배출 칭량계(4)와, 호퍼(6)로부터 배출된 분말 시료를 받아들이는 용해 용기(12)와, 용해 용기(12) 내의 분말 시료를 칭량하는 전자 천칭(13)과, 분말 시료가 들어있는 용해 용기(12)에 용매를 주입하는 용매 공급원(14)과, 용해 용기(12) 내의 분말시료와 용매를 가열하고 교반하는 장치(36)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식 배출 칭량계(4), 진동구동원(5), 전자 천칭(13), 용매 공급원(14) 및 가열 교반 장치(36)가 제어 회로에 연결되고, 전자식 배출 칭량계(4)가 검출하는 분말 시료의 배출량에 따라, 제어 회로로 진동 구동원(5)을 동작시켜, 전자 천칭(13)의 칭량치로부터 제어 회로에 의해 산출된 필요 용매량에 따라 제어 회로로 용매 공급원(14)을 동작시킨다.

Description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에 부가된 터널로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의 제어 블록도.
제4도는 연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 차트도.
제5도는 시퀀스 제어 프로그램 차트도.
제6도는 시퀀스 제어 프로그램 차트도.
제7도는 시퀀스 제어 프로그램 차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시료 용기 3 : 로봇트
4 : 전자식 배출 칭량계 5 : 진동 구동원
6 : 호퍼 (hopper) 7 : 배출 경로
8 : 쇼크 업소버 10 : 흡입 구동 장치
11 : 흡인구 12 : 용해 용기
12a : 용기 덮개 13 : 전자 천칭
14 : 용매 공급원 15 : 진퇴 구동원
16 : 흡인 상자 17 : 호스
18 : 베벨 기어 19 : 용액 주입 노즐
20 : 메네지 박스(female box) 21 : 나사봉
22 : 가이드봉 24 : 터널로
24a : 가열 건조 대역 24b : 완충 대역
24c : 상온 대역 25 : 적외선 히터
26 : 콘베이어 27 : 팬
28 : 셔터 31 : 롤러 콘베이어
32 : 고정 스토퍼 33 : 교반구
35 : 점도 측정 장치 36 : 가열 교반 장치
41 : 용기 센서 46 : 칭량대
47 : 덮개 48 : 덮개 구동원
50 : 가이드 레일 52 : 테이블
61 : 연산 제어 장치(cpu) 62 : 시퀀서
63 : 공급 제어 회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염화비닐계 수지, ABC계 수지, MBS계 수지 등의 수지 분말품의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분말품을 용매에 용해하여 소정의 농도로 조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지 분말을 생산할 때나 공장에서 출하할 때에는 규정의 품질이 확보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분석하여 품질 검사가 행하여진다. 검사 결과는 공장으로 되돌려져 제조 공정의 개선에 이용되기도 하고, 출하에 앞서 품질 표시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염화비닐계 수지 분말의 경우, 검사 항목의 하나로 평균 중합도가 있다. 평균 중합도의 검사는 JIS-K-6721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농도의 수지 분말 시료의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여 그 극한 점도를 구하고, 극한 점도로부터 평균 중합도를 산출한다. 이 점도 측정을 하는 장치에는, 예를 들면 가부시끼가이샤 리고우샤(株式會社 離合社)제의 자동 점도 측정 장치 VSM-052PC · F01가 있다.
그러나, 자동 점도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정 농도의 수지 분말 시료의 용액을 조제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이런 종류의 용액을 자동적으로 용해하여 조제하는 장치는 존재하지 않았다. 용액의 조제 작업은 수지 분말 시료를 정밀히 칭량하고, 용매의 양도 정밀히 칭량하지 않으면 아니 되었다. 이와 같은 조제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들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 조제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어 그것이 점도의 측정 결과에 나타나는 좋지 않은 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말품의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액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으며, 자동적으로 분말품을 용매로 용해하고, 소정의 농도로 조제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채용한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를 본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도 및 제3도에 의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점도 측정용의 검액인 분말품의 용액을 소정의 농도로 용해 조제하는 장치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 용기(2)로부터 호퍼(6) 내에 부어져, 호퍼(6)내로부터 진동 구동원(5)의 동작에 의해 배출되는 분말 시료의 배출량을 검출하는 전자식 배출 칭량계(4)와, 호퍼(6)로부터 배출된 분말 시료를 받아들이는 용해 용기(12)와, 용해 용기(12) 내와 분말 시료를 칭량하는 전자 천칭(13)과, 분말 시료가 들어 있는 용해 용기(12)에 용매를 주입하는 용매 공급원(14)과, 용해 용기(12) 내의 분말 시료와 용매를 가열하고 교반하는 장치(36)를 구비하고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식 배출 칭량계(4), 진동 구동원(5), 전자 천칭(13), 용매 공급원(14) 및 가열 교반 장치(36)가 제어 회로(61, 62, 63)에 연결되어, 전자식배출 칭량계(4)가 검출하는 분말 시료의 배출량에 따라, 제어 회로(63)로 진동 구동원(5)을 동작시켜, 전자 천칭(13)의 칭량 값으로부터 제어 회로(61, 62)에 의해 산출된 필요 용매량에 따라 제어 회로(61, 62)로 용매 공급원(14)을 동작시킨다.
이 장치에서는, 시료 용기(2) 및 용해 용기(12)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로봇트(3)가 설치되어 있고, 로봇트(3)가 제어 회로(61, 6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봇트(3)의 동작 범위 내에 점도 측정 장치(35)가 설치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말 시료의 공급측에, 적외선 히터(25)의 열풍이 순환하는 가열 건조 대역(24a), 가열 건조 대역(24a)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완충 대역(24b) 및 외기가 순환하는 상온 대역(24c)을 갖는 콘베이어가 부착된 터널로(24)가 설치되어 있고, 분말 시료가 들어 있는 시료 용기(2)가 콘베이어(26)에 의하여 터널로(24)를 통과하여, 분말 시료가 가열 건조된 후 호퍼(6)로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에 도시한 호퍼(6)의 하부 개구에 연결 접속되는 배출 경로(7)은 정지 상태에서는 분말 시료가 흐르지 않고 진동 구동원(5)으로부터의 진동에 의해 흐르도록 경사져 있고, 전자식 배출 칭량계(4)의 칭량 값에 의한 제어 회로(63)로부터의 제어 신호로 진동 구동원(5)이 동작하여, 호퍼(6)으로부터 배출하는 분말 시료의 양을, 제어 회로(63)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분말 시료의 필요량으로 조정한다.
진동 구동원(5)에 접속하는 호퍼(6)가 쇼크 업소버(8)를 개재하여 전자식 배출 칭량계(4)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인 구동 장치(10)와 통해 있는 흡인구(11)를 갖고, 흡인구(11)가 호퍼(6) 및 배출 경로(7)의 저부 부분 가까이까지 진퇴 구동원(15)의 구동에 의해 진퇴한다. 흡인구(11)가 호퍼(6) 및 배출 경로(7)의 형상과 거의 유사한 상자체(16)로 형성되어 있고, 흡인구(11)로부터 호퍼(6)의 측벽 및 저부, 그리고 배출 경로(7)의 저부까지의 간극이 일정한 미소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일정한 미소 간격은, 구체적으로는 0.5∼5 mm이다. 진퇴 구동원(15)이 흡인구(11)의 진퇴 속도를 40 cm/초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의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는, 분말 시료가 예를 들면 염화비닐계 수지 분말에 사용될 수 있다.
시료 용기(2)로부터 호퍼(6) 내로 부어진 분말 시료는 진동 구동원(5)으로부터의 진동으로 배출된다. 이 때 전자식 배출 칭량계(4)에 의해 감량된 중량, 즉 배출된 분말 시료의 양이 계량되어 지고, 제어 회로(63)에 입력되어 간다. 제어 회로(61)에는, 용액을 소정의 농도로 용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분말 시료의 양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 설정치는 제어 회로(63)에 전송된다. 전자식 배출 칭량계(4)에 의해 계량된 분말 시료의 양이 설정되어 있는 필요량에 도달하면, 제어 회로(63)가 제어하여 진동 구동원(5)을 정지시키면, 분말 시료의 배출이 정지한다. 배출된 분말시료의 필요량은, 용해 용기(12)로 받아들여지고, 전자 천칭(13)으로 칭량된다. 그 칭량 값으로부터 제어 회로(61)에 의해 소정의 농도로 하기 위한 필요 용매량이 산출된다. 제어 회로(61)로 제어되는 용매 공급원(14)이 동작하고, 용해 용기(12)에 용매가 주입된다. 필요량의 분말 시료와 용매가 들어있는 용해 용기(12)는 가열 교반장치(36)로 운반되고, 그곳에서 용해되어 용액으로 되며, 점도 측정 장치(35)의 점도측정에 기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식 배출 칭량계(4)의 위에는 호퍼(6)와 호퍼에 접속하는 진동 구동원(5)이 쇼크 업소버(8)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진동 구동원(5)은 전자식 진동기이다. 호퍼(6)의 하부 개구에는 V자형의 배출 경로(7)가 연결 접속되어 있다. 배출 경로(7)은 아래로 기울도록 경사져 있으며, 진동기(5)가 진동하면 호퍼(6) 내의 분말 시료가 흘러 배출되지만, 진동기(5)가 정지 상태에서는 분말 시료가 흐르지 않는다. 배출 경로(7)의 선단 바로 아래에 용해 용기(12)를 설치하면, 호퍼(6)로부터 배출하는 분말 시료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용해 용기(12)는 스테인레스제의 삼각 플라스크이다. 쇼크 업소버(8)는 고무제의 쿠숀이며, 진동기(5)의 진동이 전자식 배출 칭량계(4)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식 배출 칭량계(4)의 위쪽 방향에는 흡인구(11)가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흡인구(11)는 흡인 상자(16)를 개재하고 호스(17)를 통하여 흡인 구동 장치(10)에 연결되어 있고, 그 하측선단의 개구 부분은 호퍼(6)의 저부 및 V자형의 배출 경로(7)의 저부에 일치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 흡인 상자(16)의 측면에도 호퍼(6)의 측벽에 부착된 분말을 흡인하기 위한 개구가 다수 열려 있다. 개구 부분과 호퍼(6)의 측벽이나 저부 및 배출 경로(7)의 저부와의 극간은 0.5~5mm 정도가 바람직하다. 흡인 상자(16)은 메네지 박스 [female box, 20]에 설치되어 있고, 메네지 박스(20)은 진퇴 구동원인 모터(15)에 베벨 기어(18)로 연결되어 있는 나사봉(21)과 나사 결합하고, 가이드봉(22)에 따라 상하 운동하여 흡인구(11)가 호퍼(6)의 저부 및 배출 경로(7)의 저부의 아주 가까운 곳까지 진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진퇴 운동은 에어 실린더, 유압 실린더를 구동원으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15)의 회전에 의한 흡인구(11)의 진출 속도를 5~40cm/초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출 속도를 제어 억제함으로써, 호퍼(5)의 측벽에 부착된 분말이 있는 경우에도, 흡인하면서 흡인구(11)가 진출하기 때문에, 측벽에 부착된 분말을 통하여 호퍼(6)에 흡인구(11)가 닿는 일 없어, 호퍼(6)가 실려 있는 전자식 배출 칭량계를 파괴할 위험이 없게 된다.
전자식 배출 칭량계(4)에 인접하여, 분말 시료를 넣은 시료 용기(2)를 반송하는 롤러 콘베이어(31) 및 고정 스토퍼(32)가 배치되어 있다. 시료 용기(2)에는 전자식 배출 칭량계(4)로부터 배출해야 할 거의 전량의 수지 분말이 수용되어 있다. 롤러 콘베이어(31)의 측면에는, 용기 센서(41)가 배치된다. 고정 스토퍼(32)의 근처에는 시료 용기(2)의 깊이보다 약간 긴 침상부(針狀部)를 갖는 교반구(33)가 놓여져 있다.
롤러 콘베이어(3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건조 대역(24a), 완충대역(24b) 및 상온 대역(24c)를 갖는 터널로(24)에 연결되어 있다. 가열 건조 대역(24a)은 피드백식의 PID 제어의 적외선 히터(25)로 가열되어 주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있다. 완충 대역(24b)은 가열 건조 대역(24a)과의 사이에 셔터(28)가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가열 건조 대역(24a)에 상온 대역(24c)로부터의 바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온 대역(24c)은 팬(27)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므로, 터널로(24)를 콘베이어(26)가 관통하고, 콘베이어(26)에 롤러 콘베이어(31)가 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콘베이어(26)에 분말 시료가 들어 있는 시료 용기(2)를 얹으면, 터널로(24)를 통과하는 사이에 분말 시료가 축차 가열 건조되고 외기 온도로 냉각된 후 롤러 콘베이어(31)로도 이송된다.
전자식 배출 칭량계(4)를 개재하여 콘베이어(31)의 반대측에는 전자 천칭(13)이 배치되어 있다. 전자 천칭(13)의 칭량대(46)는 구동원(48)에 의해 개폐 가능한바람 방지 덮개(47)로 칭량시에는 덮혀지도록 되어 있다. 전자 천칭(13)의 칭량대(46)의 중심을 향하여 용매 주입 노즐(19)이 덮개(47)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용매 주입 노즐(19)은 용매 공급원(14)(제1도에는 도시 생략, 제3도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용매 공급원(14)은 용매 탱크로부터 펌프에 의해 용매(본 실시예에서는 니트로벤젠)를 공급하는 것으로 도중에 배치된 전자 밸브로 공급, 정지를 행한다. 이 용매를 공급하는 장치는 전자 뷰레트(buret)이어도 좋다.
또한, 전자 천칭(13)의 옆에는 가열 교반 장치(35)가 배치되어 있다. 가열 교반 장치(36)는 용해 용기(12)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가 5개(하나의 시료의 점도 측정에 사용하는 검액의 수) 있다. 저부에는 가열 플레이트가 있고, 그 온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 장치가 부가되어 있다. 더욱이, 저부에는 자석 교반자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매립되어 있다.
콘베이어(31), 전자식 배출 칭량계(4), 전자 천칭(13), 및 가열 교반 장치(36)의 배열에 연해서 가이드 레일(50)이 설치되어 있고, 그것에 연해서 스스로 움직이는 로봇트(3)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50)의 반대측에는 로봇트(3)의 동작 범위 내에서 점토 측정 장치(35)가 설치된다. 점도 측정 장치(35)로서 가부시끼가이샤 리고우샤의 자동 점도 측정 장치 SM-052PC · F01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장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교반 장치(36), 용기 센서(41), 로봇트(3), 진동기(5), 흡인구동장치(10), 흡인구 진퇴구동원 모터(15) 및 전자천칭(13)의 덮개 구동원(48)이 시퀀서(62)에 접속하고, 시퀀서(62)가 연산 제어 장치(CPU, 61)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연산제어 장치(61)에는 전자 천칭(13) 및 용매공급원(14)이 접속되어 있다. 전자식 배출 칭량계(4)는 공급 제어 회로(63)를 개재하여 연산 제어 장치(61) 및 시퀀서(62)에 접속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전체적인 제어는 연산 제어 장치(CPU, 61)의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되고, 장치의 개별적인 동작은 시퀀서(62)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된다. 이하, 제4도에 도시된 연산 제어 장치(61)의 프로그램 차트, 그 서부루틴 A(제5도 및 제6도), 서부루틴 B(제7도)에 도시하는 시퀀서(62)의 제어 프로그램 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점도 측정 장치(35)에 필요로 하는 검액의 필요량의 농도를 얻기 위한 분말시료의 합계량을 대체로 시료 용기(2)에서 측정하고, 콘베이어(31)에 싣는다. 그러면, 시료 용기(2)가 터널로(24)를 통과하는 사이에, 분말 시료가 가열 건조되고, 외기온(外氣溫)으로 냉각되어 반송되어 온다.
제4도의 스텝 101에서 연산 제어 장치(6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시퀀서(62)에서 서브루틴 A를 실행한다.
제5도(서브루틴 A의 1)의 스텝 201에서 시료 용기(2)가 고정 스토퍼(3)에 이르러 정지하고 있는 것을 용기 센서(41)가 검지하면, 스텝 202에서 로봇트(3)에 의해 다음의 동작을 시킨다. 로봇트(3)은 교반구(33)를 파지하여 상하 반전하고, 침상부를 아래로 향해 시료 용기(2) 내에 넣어 교반하고, 상기의 가열 건조로 크러스트(crust)화 되어 있는 분말 시료를 세분한다. 그 후, 교반구(33)의 침상부를 위로 향한 후 흡인구(11)에 집어 넣어 흡인 구동 장치(10)로 침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 분말을 흡인한 후, 교반구(33)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더욱이, 로봇트(3)은 시료용기(2)를 파지하여 위로 향하게 유지하고, 호퍼(16)의 위쪽으로 반송하여, 로보트(3)의 선단이 회전하여 시료 용기(2)가 상하 반전하면, 분말 시료는 호퍼(6) 내에 낙하하고 거기에 모인다. 이것에 의해 전자식 배출 칭량계(4)에 분말 시료의 초기 중량이 출력되고, 이 초기 중량은 공급 제어 회로(63)에 기억된다(스텝 203).
스텝 204에서 로봇트(3)가 테이블(52)의 위로부터 용해 용기(12)를 덮개(47)가 열려 있는 전자 천칭(13)의 칭량대(46)에 놓는다. 용해 용기(12)에는 미리 교반기용의 자석 교반자가 투입되어 있다. 구동원(48)을 동작시켜, 덮개(47)를 닫은 후(스텝 205), 전자 천칭(13)은 칭량을 행하고 그 칭량 값, 즉 용해 용기(12)와 자석 교반자의 비어있는 중량을 기억해 둔다(스텝 206). 구동원(48)을 역으로 동작시켜 덮개(47)를 열고 나서(스텝 207), 로봇트(3)로 용해 용기(12)를 칭량대(46)으로부터 빼내어 배출 칭량계(4)의 배출 경로(7)의 선단 바로 아래에 둔다(스텝 208).
이어서, 제6도(서브루틴 A의 2)의 스텝 209에서 진동기(5)를 동작시키면, 호 퍼(6)에서 분말 시료가 흘러 배출된다. 배출 칭량계(4)로부터 출력되는 분말 시료의 배출량이 분말 시료의 필요량에 달하면(스텝 210), 진동기(5)를 정지시킨다(스텝 211). 로봇트(3)를 다시 동작시켜(스텝 212), 필요량의 분말 시료가 들어 있는 용해 용기(12)를 칭량대(46)에 놓는다. 다음으로, 구동원(48)을 동작시켜 덮개(47)를 닫은 후(스텝 213), 스텝 214에서 전자 천칭(13)은 용해 용기(12)의 중량을 넣은 분말 시료의 중량을 칭량하고, 상기 스텝 206에서 기억되어 있는 빈 중량과의 차, 즉 분말시료의 정미량을 공급 제어 회로(63)을 경유해 연산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루틴 A에서 분말 시료의 정미량이 연산 제어 장치(61)에 입력되어 있고, 제4도에 도시한 스텝 102에서 분말 시료의 정미량으로부터 소기의 농도를 얻기 위해 필요한 용매의 중량을 산출한다. 또한, JIS-K-6721의 규정에 의하면, 용액의 용량을 기초로 농도 조제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용매를 비중 환산 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용매의 중량을 산출하고, 중량 계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텝 103에서 연산 제어 장치(61)의 제어에 의해 용매 공급원(14)을 동작시켜, 칭량대(46)에 놓고 필요량의 분말 시료가 들어 있는 용해 용기(12)에 용매 주입 노즐(19)을 통하여 산출된 필요량라지 용매를 주입한다. 주입한 용매의 중량은 전자 천칭(13)으로 칭량되고, 필요량까지 용매를 주입 완료하면(스텝 104), 용매 공급원(14)의 동작을 정지한다(스텝 105).
다음으로, 스텝(106)에서 시퀀서(62)로부터 서브루틴 B를 실행한다. 제7도에도시한 서브 루틴 B의 스텝 301에 있어서 덮개 구동원(48)을 동작시켜서 덮개(47)를 연 후, 스텝 302에 의해 로봇트(3)가 필요량의 분말 시료 및 필요량까지 용매가 들어있는 용해용기(12)를 칭량대(46)로부터 반출하고, 가열 교반 장치(36)로 운반하여 지정된 개구에 넣은 후, 덮개(12a)를 용해 용기(12)에 씌운다. 여기서, 호퍼(6) 및 배출 경로(7)에 잔류하는 분말 시료를 청소한다. 스텝 303에서, 진퇴 구동 모터(15)를 회전시키면, 흡인구(11)가 호퍼(6)의 저부 및 배출 경로(7)의 저부의 아주 가까운 곳까지 하강 진출한다. 흡인 구동 장치(10)를 구동하면(스텝 304), 흡인구(11), 흡인상자(16), 호스(17)를 통하여 잔류 분말 시료가 흡인된다. 흡인이 종료되면, 진퇴 구동 모터(15)를 역회전시켜 흡인구(11)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킨다(스텝 305).
한편, 상기 스텝 302에 의해 용해 용기(12)가 가열 교반 장치(36)로 운반되어진 수를 확인한다(스텝 306). 소정의 수만큼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서브루틴 A의 스텝 204까지 되돌려져 다시 그곳으로부터 실행된다. 이것을 반복하여 필요한 수만큼 정렬되고 나면, 가열 교반 장치(36)를 구성하는 교반기의 모터를 동작시키면(스텝 307), 용해 용기(12)의 자석 교반자가 회전하여 분말 시료 및 용매를 교반하고, 분말시료 및 용매에 용해한다. 용해에는 일정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가열 교반장치(36)를 구성하는 가열 플레이트는 먼저 105℃까지 올려 놓는다. 이렇게 하여, 소기의 농도의 검액이 조제된다. 다음에, 로봇트(3)에 의해 가열 교반 장치(36)로부터 검액이 들어 있는 용해 용기(12)를 순서대로 덮개(12a)를 벗긴 후 취출하여 점도 측정 장치(35)로 반송한다(스텝 308). 또한, 상기 스텝 306에서 용해 용기(12)가 필요한 수 만큼 정렬되었는가를 확인하고는 있지만, 다음의 시료가 일정 시간 이상 검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한 수만큼 준비되어 있지 않아도 용해를 종료시켜, 검액이 들어있는 용해 용기(12)를 점도 측정 장치(35)로 반송하여, 시료가 늦게 도착함으로 인한 장치 가동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에 의하면, 사람이 손으로 함으로써 생기는 시간이 절약되고, 작업자에 의해 조제 농도가 다르게 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점도 측정 결과도 재현성이 있는 것으로 되고, 이것으로부터 산출되는 분말 수지의 평균 중합도도 정확한 것으로 된다.

Claims (11)

  1. 점도 측정용의 검액인 분말품의 용액을 소정의 농도로 용해 조제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료 용기로부터 호퍼 내에 부어져, 상기 호퍼 내로부터 진동 구동원의 동작에 의해 배출하는 분말 시료의 배출량을 검출하는 전자식 배출 칭량계와,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된 상기 분말 시료를 받는 용해 용기와, 상기 용해 용기내의 상기 분말 시료를 칭량하는 전자 천칭과, 상기 분말 시료가 들어있는 상기 용해 용기에 용매를 주입하는 용매 공급원과, 상기 용해 용기내의 상기 분말 시료와 상기 용매를 가열하고 교반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식 배출 칭량계, 상기 진동 구동원, 상기 전자 천칭, 상기 용매 공급원, 및 상기 가열 교반 장치는 제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식 배출 칭량계가 검출하는 상기 분말 시료의 배출량에 따라 상기 제어 회로로 상기 진동 구동원을 동작시키며, 상기 전자 천칭의 칭량치로부터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산출된 필요 용매량에 따라 상기 제어 회로로 상기 용매 공급원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용기 및 상기 용해 용기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로봇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봇트가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트의 동작 범위 내에 점도 측정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시료의 공급 측에 적외선 히터의 열풍이 순환하는 가열 건조 대역, 상기 가열 건조 대역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완충 대역, 및 외기가 순환하는 상온 대역을 구비하는 콘베이어 부착의 터널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말 시료가 들어 있는 상기 시료 용기가 상기 콘베이어에 의해 상기 터널로를 통과 하여 상기 분말 시료가 가열 건조된 후, 상기 호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하부 개구에 연결 접속하는 배출 경로는 정지 상태에서는 분말시료가 흐르지 않고 상기 진동 구동원으로부터의 진동에 의해 흐르는 정도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전자식 배출 칭량계의 칭량 값에 의한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어신호로 상기 진동 구동원이 동작하여,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하는 상기 분말 시료의 양을 상기 제머 회로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분말 시료의 필요량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구동원에 접속하는 상기 호퍼가 쇼크 업소버를 개재하여 상기 전자식 배출 칭량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흡인 구동 장치에 연통하는 흡인구를 갖고, 상기 흡인구가 상기 호퍼 및 상기 배출 경로의 저부의 아주 가까운 곳까지 진퇴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검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가 상기 호퍼 및 상기 배출 경로의 형상과 거의 닮은 상자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인구로부터 상기 호퍼의 측벽 및 저부, 그리고 상기 배출 경로의 저부까지의 간극이 일정한 미소 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 구동원이 상기 흡인구의 진출 속도를 40 cm/초 이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용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미소 간극이 0.5∼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용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품이 염화비닐계 수지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측정 용액의 분말품 용액 자동 조제 장치.
KR1019940000011A 1993-01-04 1994-01-03 점도측정검액의분말품용액자동조제장치 KR100303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00095 1993-01-04
JP00009593A JP3187583B2 (ja) 1993-01-04 1993-01-04 粘度測定検液の粉末品溶液自動調製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661A KR940018661A (ko) 1994-08-18
KR100303601B1 true KR100303601B1 (ko) 2001-11-30

Family

ID=1146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011A KR100303601B1 (ko) 1993-01-04 1994-01-03 점도측정검액의분말품용액자동조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35171A (ko)
JP (1) JP3187583B2 (ko)
KR (1) KR100303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9297A (en) * 1995-02-17 1996-04-23 Tannas Co. Viscometer calibration
DE19714504C2 (de) * 1997-04-08 1999-09-30 Krupp Polysiu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orbereiten von Feingutproben
US6674022B2 (en) * 2001-03-23 2004-01-06 Ortho-Mcneil Pharmaceutic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nd weighing powder materials using pipette transfer devices
US7267987B2 (en) * 2003-01-06 2007-09-11 Uop Llc Process and assembly for simultaneously evaluating a plurality of catalysts
WO2006075201A1 (en) * 2004-09-08 2006-07-20 Pfizer Products Inc. Automated system for handling and weighing analytic quantities of particulate substances
JP2010509591A (ja) * 2006-11-10 2010-03-25 プロヴェリス・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自動鼻スプレーポンプ試験
EP2072974A1 (de) * 2007-12-19 2009-06-24 Mettler-Toledo AG Laborgerät mit einer dosiergut-führungsvorrichtung
US9360400B2 (en) 2014-06-30 2016-06-07 Proveris Scientific Corporation Sampl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amount and uniformity of a delivered dose of drug and related methods
EP3426329A4 (en) 2016-03-09 2019-11-13 Proveris Scientific Corporation METHOD FOR MEASURING THE UNITABILITY OF THE DOSE CONTENT OF INHALATION AND NOSING DEVICES
CN113276135B (zh) * 2021-07-23 2021-10-15 深圳市赫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组网远程操控的实验室用精准称量机械手
CN114646769B (zh) * 2022-03-18 2023-05-12 广东凯金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石墨振实检测的自动化检测系统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4806A (en) * 1987-02-13 1989-01-03 Nicoli David F Automatic dilution system
JPH0214731A (ja) * 1988-06-30 1990-01-18 Fuji Photo Film Co Ltd 添加機における添加量保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01565A (ja) 1994-07-19
US5435171A (en) 1995-07-25
JP3187583B2 (ja) 2001-07-11
KR940018661A (ko) 199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601B1 (ko) 점도측정검액의분말품용액자동조제장치
US5423216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bulk specific gravity of powdery product
US5231029A (en) Apparatus for the in situ hybridization of slide-mounted cell samples
EP1174535B1 (en) Apparatus for the automated preparation of solutions
US2004026189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ixing powdered samples
DK0406164T3 (da) Apparat til dosering af tørt og/eller pulverformet bulkmateriale, især farvestofpulver
EP0500506A1 (en) Immunoassay apparatus
TW200419031A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dyeing operations on textile materials
JPH06194276A (ja) 粉末品分析用試料の精秤分取装置
EP0606121A1 (en) Automatic apparatus for inspecting powdery product
JP2007163189A (ja) 秤量方法、秤量装置及び試料分析前処理装置
JP3007394B2 (ja) 試験容器への試験液注入装置
CN109153049A (zh) 重金属固定化剂的添加量决定装置
JP2855804B2 (ja) 金箔入り酒の充填方法
JPH0432979B2 (ko)
EP1211925B1 (en) Measurement of moisture of potting soil
CZ292959B6 (cs) Zařízení a způsob k várkovému volumetrickému dávkování
JP3137482B2 (ja) 粉末品の嵩比重自動測定装置
JPH03194442A (ja) 自動粘度測定装置
CN216051660U (zh) 一种多功能全自动食品安全检测仪
CN218709954U (zh) 用于玻璃加硬工艺的钢化炉自动加粉装置
US39087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 liquid in the form of a multiplicity of doses
JP3227399B2 (ja) 標準砂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194292A (ja) 粉末品の除電装置付嵩比重自動測定装置
JP2002214108A (ja) 液状物質のレオロジー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