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433B1 - 냉장고의팬불량감지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팬불량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433B1
KR100303433B1 KR1019980041215A KR19980041215A KR100303433B1 KR 100303433 B1 KR100303433 B1 KR 100303433B1 KR 1019980041215 A KR1019980041215 A KR 1019980041215A KR 19980041215 A KR19980041215 A KR 19980041215A KR 100303433 B1 KR100303433 B1 KR 100303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fans
refrigerator
cooling
refrig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929A (ko
Inventor
박형남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1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433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팬모우터에서 불량이 발생되어도 이를 신속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못함으로써 냉장고에서 약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냉장고에 설치되는 냉각팬, 냉동팬, 냉장팬중 동작중인 팬의 수에 따라 그 팬들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 감지하고, 상기 감지 전압을 동작 팬의 수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어 있던 정상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팬중 어느하나 이상의 팬에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의 제어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팬, 냉동팬, 냉장팬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팬이 구속상태인지 단락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려 주도록 한 발명임.

Description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에 설치된 팬의 동작불량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장기구로써 냉동싸이클, 즉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의 과정을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면서 증발부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 냉기가 생성되는데, 이 냉기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냉동실팬 및 냉장실팬의 급속회전에 의해 냉장실과 냉동실로 공급되어 각 고내에서 열교환된후 다시 냉각기실로 귀환되어 재차 냉각되고, 다시 각 고내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냉동실팬 및 냉장실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6-5441호(명칭 : 냉장고 팬모우터 구동장치)에 제안된 바, 도 1을 참조하면, 직류전원부(10)의 출력을 계수기(20)와 플립플롭(30)에 연결하고, 상기 계수기(20)의 리세트 입력단자(RK)는 플립플롭(30)의 출력단자(RP)에 연결하되 계수기(20)의 출력단자(RP)는 플립플롭(30)의 리세트 입력단자(RS)에 연결하며, 상기 플립플롭(30)의 출력단자(Q)는 계수기(20)의 세트 입력단자(RE)에 연결함과 동시에 트라이악(T)의 게이트 제어용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트라이악(T)에는 팬모우터(M)를 직결하며, 플립플롭(30)의 선택입력단자(S)에는 기능선택스위치(SW1)가 베이스측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를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팬 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전원이 인가되면 직류전원부(10)에서 직류전압이 발생되어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되면, 트랜지스터(Q2)는 전원에 의하여 항상 온되어 플립플롭(30)의 선택입력단자(S)에 항상 로우신호를 인가하고, 기능선택스위치(SW1)를 온 시킬때에만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어 플립플롭(30)의 선택입력단자(S)에 하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기능선택스위치(SW1)를 온시켜 플립플롭(30)의 선택입력단자(S)에 하이신호를 인가시키면 플립플롭(30)의 출력(Q)은 하이 신호가 발생되어 계수기(20)의 세트입력단자(RE)에 인가되어 계수기(20)는 세트되어 계수가 시작된다.
이와 동시에 플립플롭(30)의 출력(Q)이 하이상태가 되면,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가 도통상태가 되므로 트라이악(T)의 게이트에 트리거 전압이 인가되어 냉장고내에 장착된 팬모우터(M)가 가동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팬모우터 구동회로에서는 팬이 불량이 발생되어 정상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적절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바, 장기 사용, 주변공기의 오염이나 이물질의 흡입, 부품자체의 불량등에 의해 상기 팬에 불량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게 되면 냉장고에서 약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인해, 냉장고의 냉동/냉장 효율이 저하되어 냉동/냉장실에 보관된 음식물의 부패 및 변질등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의 증식으로 음식물의 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장고에는 다수개의 팬모우터가 사용되는데, 이중 불량으로 감지되는 팬모우터를 신속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못하여 사용자의 불만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에 설치된 팬의 동작불량시 이상이 있는 팬과 그 이상 상태를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불량팬을 보수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의 특징은, 냉장고가 통상운전을 실시하는 동안 제어부는 동작 팬의 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팬의 수에 따라 상기 팬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전압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팬의 구동이 정상적인 구동으로 판단되면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팬의 구동이 제어부에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제어조건에 따라 냉각팬, 냉동팬, 냉장팬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정상적으로 구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각팬, 냉동팬, 냉장팬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팬이 구속상태인지 단락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불량팬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 팬모우터의 구동회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팬의 구동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동작 팬의 수에 따른 정상 구동전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0 : 냉동팬,
120 : 냉장팬, 130 : 냉각팬,
140 : 표시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팬의 구동회로도로서, 냉동/냉장실온도 감지부(미도시) 및 도어 개폐 감지부(미도시) 등의 출력신호에 따라 냉동실팬구동신호와 냉장실팬구동신호 및 냉각팬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냉동팬(110)과 냉장팬(120) 및 냉각팬(130), 상기 냉동팬(110)과 냉장팬(120) 및 냉각팬(130)의 구동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1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통하여 전원이 제어부(100)와 회로 각부에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어조건에 따라 냉동팬(110)과 냉장팬(120) 및 냉각팬(130)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만약, 상기 냉동팬(110)과 냉장팬(120) 및 냉각팬(130)이 구동되는 도중에 상기 각 팬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범위에 벗어나거나 상기 각 팬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단선 일 경우 a점, b 점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표시부(140)로 상기 각 팬에 대한 불량 신호를 보낸다.
이때, 상기 표시부(140)는 각 팬에 대한 에러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또한, 상기 냉동팬(110)과 냉장팬(120) 및 냉각팬(130)이 정상적으로 구동될때는 저항에 따라 a점, b 점에 소정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a점, b 점에 인가되는 소정 전압에 따라 상기 상기 냉동팬(110)과 냉장팬(120) 및 냉각팬(130)이 정상적으로 구동됨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장고가 통상운전을 실시하는 동안 제어부(100)는 동작 팬의 수를 판단하여(S101) 동작 팬의 수가 1개 이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이면 상기 팬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제어부(100)가 인식하여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 동작시킨다(S103).
상기 동작 팬의 수가 2개 이면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의 합을 계산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압의 합이 0.45V ∼ 0.55V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의 합이 0.45V ∼ 0.55V이면 상기 2개의 팬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제어부(100)가 인식하여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 동작시킨다(S103).
상기 동작 팬의 수가 3개 이면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의 합을 계산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7V ∼ 0.8V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의 합이 0.7V ∼ 0.8V이면 상기 3개의 팬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제어부(100)가 인식하여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 동작시킨다(S103).
만약, 1개의 팬이 구동될 때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 2개 팬이 구동될 때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의 합이 0.45V ∼ 0.55V 및 3개 팬이 구동될 때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의 합이 0.7V ∼ 0.8V가 아니면 제어부(100)는 냉각팬을 온시키고 냉동/냉장팬을 오프 시킨후(S106) 상기 냉각팬의 구동시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7).
상기 냉각팬의 구동시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가 아니면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3V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3V 이상이면 상기 냉각팬에 과전압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각팬을 구속한다(S109).
만약,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3V 이하이면 상기 냉각팬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한다(S110).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이면 상기 냉각팬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제어부(100)가 인식하는 한편, 냉동팬을 온시키고 냉장/냉각팬을 오프 시킨후(S111)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2).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가 아니면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3V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3).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3V 이상이면 상기 냉동팬에 과전압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동팬을 구속한다(S114).
만약,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3V 이하이면 상기 냉동팬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한다(S115).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이면 상기 냉동팬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제어부(100)가 인식하는 한편, 냉장팬을 온시키고 냉각/냉동팬을 오프 시킨후(S116)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7).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가 아니면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3V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8).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3V 이상이면 상기 냉장팬에 과전압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장팬을 구속한다(S119).
만약,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3V 이하이면 상기 냉장팬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한다(S120).
상기 a점 및 b 점에 인가 되는 전압이 0.2V ∼ 0.3V이면 상기 냉각팬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제어부(100)가 인식하고, 불량이 있는 팬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불량을 정지시킨다(S121).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은 팬의 동작 불량시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보수할 수 있게함으로써 냉장고의 약냉을 사전에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 냉각팬, 냉동팬 및 냉장팬을 구비하고, 감지부에 의해 상기 팬들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감지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팬들을 제어하는 냉장고의 팬불량 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냉각팬, 냉동팬 및 냉장팬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냉각팬, 냉동팬, 냉장팬들의 구동에 따라 변화되는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팬들의 선택적 구동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구동전압 범위내에 있는가를 판별하는 제 3 단계; 상기 출력전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 있을 경우에는 통상의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출력전압이 설정범위내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냉각팬, 냉동팬 및 냉장팬들을 각각 구동시켜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과정을 모든 팬에 대해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출력전압이 선택된 하나의 팬 구동에 따른 설정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과전압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팬을 구속시키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단선되었음을 경보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팬 불량 감지방법.
KR1019980041215A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팬불량감지방법 KR10030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215A KR100303433B1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팬불량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215A KR100303433B1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팬불량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929A KR20000021929A (ko) 2000-04-25
KR100303433B1 true KR100303433B1 (ko) 2001-11-22

Family

ID=1955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215A KR100303433B1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팬불량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4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929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116A (en) Defrosting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US59242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itial operation of refrigerator
US5535597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970006056B1 (ko) 열펌프식 공기조화기의 성에부착 검지방식
JP4844147B2 (ja) 空気調和装置
US702487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303433B1 (ko) 냉장고의팬불량감지방법
KR20060108027A (ko) 멀티에어컨 및 그의 압축기 제어방법
JP4396301B2 (ja) 冷凍冷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KR20000028312A (ko) 냉장고의 팬모터 고장 진단방법
JPH0560444A (ja) 冷蔵庫の制御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の安全保護装置
JPH10197031A (ja) 空気調和装置の故障検出装置
KR100858542B1 (ko) 인버터 에어컨에서 압축기 주파수제어방법
KR100233015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미달 판단장치
KR970005015B1 (ko) 냉장고의 냉장실 온도제어방법
JPH11201528A (ja) 空気調和機
KR0123432B1 (ko) 냉장고의 온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835750A (ja) 冷却システムの負荷運転検出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0868345B1 (ko) 에어컨의 응급운전 제어방법
JP3505344B2 (ja) 冷蔵庫の異常検出装置
KR20000008061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냉장고의 자기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2005140415A (ja) 冷凍冷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H0560410A (ja) 輸送用冷凍装置
KR19980014435A (ko) 냉장고의 급속냉동 장치 및 방법
JP2010101518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