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661B1 - 콘크리트플레이싱붐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플레이싱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661B1
KR100302661B1 KR1019980055457A KR19980055457A KR100302661B1 KR 100302661 B1 KR100302661 B1 KR 100302661B1 KR 1019980055457 A KR1019980055457 A KR 1019980055457A KR 19980055457 A KR19980055457 A KR 19980055457A KR 100302661 B1 KR100302661 B1 KR 10030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assembly
concrete
rotating body
upp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953A (ko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최종환
동양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환, 동양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종환
Priority to KR101998005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6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프로부터 펌핑된 콘크리트를 원하는 장소로 운반 공급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의 기복작동과 절첩작동이 가능하게 조립된 플레이싱 붐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싱 붐이 상,하로의 기복작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부 회전본체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를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고정본체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와 하부 고정본체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내링은 상기 상부 회전본체에 결합되고 고정외링은 상기 하부 고정본체에 결합되는 선회베어링과, 상기 선회베어링의 고정외링에 형성된 기어에 치합되어 고정외링 주위를 선회하는 작동으로 상부 회전본체를 선회작동시키는 구동기어가 장착된 선회용 모터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의 일측에 부착된 수평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플레이싱 붐의 유압실린더들을 제어하는 콘트롤 장치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의 수평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싱 붐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부 회전본체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웨이트 밸런스와, 상기 고정본체의 사방에 형성되는 부착플랜지와, 건설되고 있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고정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삽입되는 연결원통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립부와로 구성되는 튜브라 장치 및 상기 튜브라 장치의 조립부 사방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고정본체의 부착플랜지를 조립핀으로 결합하여 하부 고정본체를 고정시키는 조립브라켓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플레이싱 붐 장치를 고층건물의 건설현장에 설치하여 단계적으로 상승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하거나 또는 지상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프로부터 펌핑된 콘크리트를 원하는 장소로 운반 공급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CONCRETE PLACING BOOM)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 등을 건설할 때 콘크리트를 높은 곳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콘크리트 펌프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 펌프카는 콘크리트 펌프와 다단상으로 절첩되는 플레이싱 붐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고층건물을 건설할 때 자체적으로 콘크리트를 펌핑하여 높은 곳까지 운반,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장소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과 운전비가 비싼 단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한 콘크리트 펌프카에 구비된 플레이싱 붐은 그 기립상태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싱 붐의 길이보다 높은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펌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운반, 공급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건축되는 건물을 층수에 따라 콘크리트 펌프 자체를 다음 층으로 옮기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펌프카 및 콘크리트 펌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운반, 공급하는데 따른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고층건물에 반드시 구축되는 엘리베이터 설치공간에 장착가능하게 함과 동시 단계적으로 구축되는 건물의 층수에 따라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자체를 한 층씩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상기 플레이싱 붐을 상,하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 좌,우로 360도 자유롭게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플레이싱 붐을 2단상으로 짧게 형성하더라도 구축하고자 하는 슬라브의 전체 면적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가능하게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고정본체에 받침다리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므로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자체를 바닥에 고정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의 기복작동과 절첩작동이 가능하게 조립된 플레이싱 붐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싱 붐이 상,하로의 기복작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부 회전본체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를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고정본체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와 하부 고정본체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내링은 상기 상부 회전본체에 결합되고 고정외링은 상기 하부 고정본체에 결합되는 선회베어링과;
상기 선회베어링의 고정외링에 형성된 기어에 치합되어 고정외링 주위를 선회하는 작동으로 상부 회전본체를 선회작동시키는 구동기어가 장착된 선회용 모터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의 일측에 부착된 수평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플레이싱 붐의 유압실린더들을 제어하는 콘트롤 장치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의 수평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싱 붐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부 회전본체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웨이트 밸런스와;
상기 고정본체의 사방에 형성되는 부착플랜지와;
건설되고 있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고정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삽입되는 연결원통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립부와로 구성되는 튜브라 장치와; 및
상기 튜브라 장치의 조립부 사방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고정본체의 부착플랜지를 조립핀으로 결합하여 하부 고정본체를 고정시키는 조립브라켓;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튜브라 장치의 연결원통부 사방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직 가이드바는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설치된 가이드 로울러를 타고 튜브라 장치의 상승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연결원통부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플랜지에는 사방에 수직 가이드바가 형성되고 상,하단에 조립플랜지가 형성된 조립연결통들을 다단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튜브라 장치를 슬라브 구축층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승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 고정본체 사방에 형성된 부착플랜지에 2단으로 절첩가능하게 제작된 받침다리를 조립하여 플레이싱 붐 장치 자체를 지상이나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상부 회전본체의 균형을 유지케 하는 웨이트 밸런스는 상기 수평지지대 위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유출구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하므로서 웨이트 밸런스 내부에 채워진 중량매체를 쏟아 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플레이싱 붐 장치와 튜브라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튜브라 장치와 엘리베이터 공간부의
지지구조물과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플레이싱 붐 장치를 선회작동시키는 선회베어링
과 선회용 모터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웨이트 밸런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웨이트 밸런스의 내부를 비울 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 실시예의 받침다리 절첩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레이싱 붐 장치 2 : 하부 고정본체
3 : 상부 회전본체 4 : 튜브라 장치
5 : 지지구조물 6 : 선회베어링
7 : 콘트롤 장치 8 : 웨이트 밸런스
9 : 받침다리 10 : 플레이싱 붐
11,12 : 유압실린더 13 : 연결이송관
21 : 부착플랜지 31 : 수평지지대
32 : 수직지지대 41 : 조립부
42 : 연결원통부 44 : 조립브라켓
45 : 조립핀 47,404 : 수직 가이드바
49 : 조립플랜지 401 : 조립연결통
51 : 가이드 로울러 52 : 지지용 핀
53 : 지지브라켓 61 : 고정외링
62 : 회전내링 63 : 기어
64 : 선회용 모터 65 : 구동기어
82 : 개폐판 83 : 유출구
91 : 연결부 92 : 받침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설치상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플레이싱 붐 장치와 튜브라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튜브라 장치와 엘리베이터 공간부의 지지구조물과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플레이싱 붐 장치를 선회작동시키는 선회베어링과 선회용 모터의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웨이트 밸런스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웨이트 밸런스의 내부를 비울 때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 실시예의 받침다리 절첩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플레이싱 붐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싱 붐 장치(1)는 하부 고정본체(2)와 상부 회전본체(3) 그리고 2단으로 구성된 플레이싱 붐(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 고정본체(2)는 사방에 부착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플랜지(21)들은 보울트로 결합되는 보울트구멍이 다수 뚫어져 있고 그 하부에는 핀결합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고정본체(2)는 건설되고 있는 건축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설치되는 튜브라(TUBULA) 장치(4)에 조립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튜브라 장치(4)는 엘리베이터 공간부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립부(41)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원통부(42)로 구성되며, 상기 조립부(41)의 상면 사방에는 핀조립구멍(43)이 형성된 조립브라켓(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부(41)에는 조립브라켓(45)의 핀조립구멍(43)에 조립되는 다수의 조립핀(45)이 연결줄(46)로 연결된 채 매달려 있도록 구성하여 조립핀(45)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신속한 조립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튜브라 장치(4)의 연결원통부(42)에는 수직상으로 돌출되는 수직 가이드바(47)가 사방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원통부(42)에는 수개의 지지공(48)이 양쪽으로 관통되어 있고, 하단에는 조립플랜지(4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원통부(42) 하단의 조립플랜지(49)에는 조립연결통(401)이 연결되는 것인데, 상기 조립연결통(401)은 상,하단에 플랜지(402)(40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립연결통(401)들은 다단으로 연속해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연결 조립되는 각 조립연결통(401)에는 사방으로 돌출되는 수직 가이드바(404)와 양쪽으로 관통하는 수개의 지지공(40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튜브라 장치(4)는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설치되는 지지구조물(5)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구조물(5)은 고층건물의 경우 층별로 구축되는 각층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사방에 가이드 로울러(51)가 설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용 핀(52)을 붙잡아 줄 수 있는 지지브라켓(53)이 대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라 장치(4)의 연결원통부(42)를 엘리베이터 공간부 속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지지용 핀(52)이 연결원통부(42)에 형성된 수개의 지지공(48)들 중 어느 선택된 하나의 지지공(48)을 관통하여 그 양단이 지지브라켓(53)에 걸리도록 설치하게 되면 튜브라 장치(4)는 지지구조물(5)에 지지된 채 조립부(41)가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이후 지지구조물(5) 위로 돌출된 조립부(41)를 받침구조물(도시 생략)로 받쳐주게 되면 튜브라 장치(4) 자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튜브라 장치(4)에 플레이싱 붐 장치(1)를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플레이싱 붐 장치(1)의 설치는, 먼저 튜브라 장치(4)의 조립부(41) 상방에 부착된 조립브라켓(44)에서 조립핀(45)을 빼낸 다음 상기 하부 고정본체(2)의 부착플랜지(21) 하단부를 상기 조립브라켓(44) 사이에 삽입시킨 다음 조립핀(45)을 핀조립구멍(43)과 핀결합구멍(22)을 관통시켜주면 하부 고정본체(2)는 조립브라켓(44)에 고정되는 것이며, 이렇게 되면 상기 플레이싱 붐 장치(1)는 튜브라 장치(4)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하부 고정본(2)의 상면에는 선회베어링(SLEWING BEARING : 6)에 의하여 상부 회전본체(3)가 좌우로 360도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선회베어링(6)의 고정외링(61)은 하부 고정본체(2) 상면에 보울트로서 고정 부착되어 있고, 회전내링(62)은 상부 회전본체(3)의 저면에 보울트로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회베어링(6)의 고정외링(61)의 외주면에는 기어(63)가 형성되어 선회용 모터(64)의 출력축에 장착된 구동기어(65)와 치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용 모터(64)는 상부 회전본체(3)의 일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31) 위에 고정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평지지대(31)에는 콘트롤 장치(7)와 웨이트 밸런스(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 장치(7)는 모터와 펌프 및 유압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플레이싱 붐(10)을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11)(1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또한 상기 웨이트 밸런스(8)는 상기 플레이싱 붐(1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플레이싱 붐 장치(1) 자체의 무게중심에 대한 균형을 잡아주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상면에는 중량매체인 모래를 저장할 수 있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81)이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개폐판(82)이 부착된 유출구(83)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출구(83)는 개폐판(82)이 보울트로 부착되었을 때에는 중량매체가 저장된 상태를 유지케 하므로서 웨이트 밸런스(8)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웨이트 밸런스(8)를 수평지지대(31)에서 해체하고자 할 때 또는 다른 장소로 옮기고자 할 때에는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출구(83)에서 개폐판(82)을 나사풀림으로 분리하여 중량매체인 모래를 전부 다 쏟아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플레이싱 붐(10)의 제1단 붐(10a)은 상부 회전본체(3)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대(32)의 상단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제2단 붐(10b)은 상기 제1단 붐(10a)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싱 붐(10)의 콘크리트 이송관들은 상기 상부 회전본체(3)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부 고정본체(2) 중심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수직이송관(13a)과 제1단 붐(10a) 및 제2단 붐(10b)에 부착되어 상기한 제1단 및 제2단 붐과 같이 회전작동하는 연결이송관(13) 그리고 연결이송관 끝단에 연결된 배출호스(13b)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튜브라 장치(4)의 연결원통관(42)과 상기 연결원통부(42)의 하단에 다단으로 연결 조립되는 조립연결통(401)들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콘크리트 펌프에 연결되는 이송호스(406)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이싱 붐(10)의 수직이송관(13a)에 연결되어 콘크리트 펌프로부터 펌핑되는 콘크리트가 이송호스를 통해 수직이송관(13a)과 이송관(13)으로 이송된 후 배출호스(13b)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레이싱 붐 장치(1)는 지상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실시예는 하부 고정본체(2) 사방에 형성된 부착플랜지(21) 각각에 받침다리(9)를 조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다리(9)는 부착플랜지(21)에 보울트로서 부착되는 연결부(91)와 바닥에 고정되는 지지부(92)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한 연결부(91)와 지지부(92)는 힌지(93)(94)에 의하여 결합되어 2단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원리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층건물을 구축할 때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부에 플레이싱 붐 장치(1)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지상으로 표출된 엘리베이터 공간부의 상단부에 기 설치된 지지구조물(5) 속으로 튜브라 장치(4)의 연결원통부(42)를 삽입한 다음 지지용 핀(52)의 일단을 지지브라켓(53)의 구멍으로 통해 선택된 지지공(48)을 관통시켜주는 수단으로 상기한 지지용 핀(52)의 양단을 양측 지지브라켓(53)에 걸어주게 되면 상기 튜브라 장치(4)는 그 조립부(41)가 지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플레이싱 붐 장치(1)의 하부 고정본체(2) 사방에 형성된 부착플랜지(21) 하단을 조립브라켓(44)에 끼워주고, 이어서 연결끈(46)에 매달려있는 조립핀(45)을 핀조립구멍(43)과 핀결합구멍(22)으로 끼워주면 하부 고정본체(2)는 튜브라 장치(4)에 고정 설치되며, 이후 플레이싱 붐 장치(1)의 중량을 감안하여 받침구조물(도시 생략)로 튜브라 장치(4)를 받쳐주게 되면 상기 플레이싱 붐 장치(1)는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플레이싱 붐 장치(1)의 설치가 완료되면 콘크리트 펌프로부터 연장되는 콘크리트 이송호스(406)를 상기 연결원통부(42)의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집어넣은 다음 그 끝단을 수직이송관(13a)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싱 붐 장치(1)의 설치작업과 이송호스(406)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개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싱 붐(10)은 유압실린더(11)(12)를 작동시켜주는 수단으로 배출호스(13b)을 플레이싱 붐 장치(1)에 가까운 곳에서부터 먼 곳까지 콘크리트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회용 모터(64)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기어(65)가 상기 하부 고정본체(2)에 고정 부착된 선회베어링(6)의 고정외링(61)에 형성된 기어(63)를 타고 회전이동하게 되므로 상부 회전본체(3)는 선회베어링(6)의 회전내링(62)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싱 붐(10)도 회전하게 되므로서 구축하고자 하는 슬라브 전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싱 붐(10)을 상,하로 회전작동시킴과 동시 360도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배출시키면서 슬라브 전체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완료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하게 되면 다음 층을 구축하기 전에 튜브라 장치(4)와 그에 설치된 플레이싱 붐 장치(1)를 다음 층 높이까지 상승시키는데, 이때에는 종래 기술에서 타워크레인을 상승시키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유압 잭(도시 없음)을 이용하여 튜브라 장치(4)를 붙잡아 고정시킨 후 앞서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설치된 지지구조물(5)에 연결원통부(42)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브라켓(53)과 지지공(48)에 끼워 놓았던 지지용 핀(52)을 빼내고, 이어서 유압 잭을 상승작동시키게 되면 튜브라 장치(4)와 그에 설치된 플레이싱 붐 장치(1)는 다음 층 높이로 상승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튜브라 장치(4)를 상승시킨 다음에는 연결원통부(42) 하단의 조립플랜지(49)에 조립연결통(401)의 상단 플랜지(402)를 보울트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연결시킨 후 상기 조립연결통(401)에 형성된 지지공(405)을 관통하는 지지용 핀(52)의 양단을 지지브라켓(53)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조립연결통(401)은 튜브라 장치(4)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음 층 높이까지 상승된 튜브라 장치(4)와 플레이싱 붐 장치(1)를 별도의 받침구조물로 지지한 상태에서 기둥을 세워주고 또 엘리베이터 벽면을 구축한 다음 다시 콘크리트 펌프를 가동시켜 콘크리트를 플레이싱 붐 장치(1)로 공급하게 되면 다음 층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튜브라 장치(4)를 한 층씩 상승시킬 때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튜브라 장치(4)의 하부측에서 조립연결통(401)을 단계적으로 연속해서 조립하므로서 튜브라 장치(4)와 플레이싱 붐 장치(1)를 한 층씩 상승이동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며, 또한 다단으로 연결 조립되는 조립연결통(401) 사방에 부착된 수직 가이드바(404)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공간부의 지지구조물(5)에 설치된 가이드 로울러(51)의 안내를 받아 상승이동하는 상태가 되므로 튜브라 장치(4)의 상승이동시 다단으로 조립된 조립연결통(401)은 물론이고 튜브라 장치(4) 자체가 요동하는 현상없이 안정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공간부에서 조립연결통(401)을 다단으로 조립 연결하면서 튜브라 장치(4)를 상승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튜브라 장치(4)에서 플레이싱 붐 장치(1)를 해체하지 않고도 고층높이까지 상기 플레이싱 붐 장치(1)를 상승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건축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실시예와 같이 플레이싱 붐 장치(1)를 고층건물의 건설장비로 이용하지 않고 하천 등의 바닥을 콘크리트로 구축할 때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하부 고정본체(2)의 사방에 형성된 부착플랜지(21) 각각에 받침다리(9)를 부착시키게 되면 플레이싱 붐 장치(1)를 지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서 지상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9)는 연결부(91)와 지지부(92)가 힌지(93)(94)에 의하여 절첩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받침다리(9)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절첩하여 부피를 줄이므로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싱 붐 장치(1)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완료하여 철거하고자 할 때 또는 다른 장소로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수평지지대(31)에 얹어 놓은 웨이트 밸런스(8)에 내부에 채워진 중량매체인 모래를 제거하므로서 상기 웨이트 밸런스(8) 자체의 운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웨이트 밸런스(8)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83)에 부착되어 있는 개폐판(82)에서 보울트를 나사풀림하여 해체하게 되면 개폐판(82)이 분리된과 동시 유출구(83)가 개방되므로 그 내부에 채워진 모래는 외부로 전량 쏟아지게 되어 상기 웨이트 밸런스(8) 자체는 내부가 빈 상태로서 중량이 가벼워지게 되어 운반이 용이해지게 되며, 상기 웨이트 밸런스(8)에서 쏟아진 모래는 건설현장에서 마감작업에 필요한 시멘트 몰탈을 만들 때 사용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을 건설할 때 지하층에서부터 최고층에 이르기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각 층의 슬라브에 플레이싱 붐 장치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하고, 한 층의 슬라브 구축이 완료되면 다음 층 높이까지 플레이싱 붐 장치를 단계적으로 상승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고층건물 건설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플레이싱 붐 장치의 하부 고정본체에 받침다리를 부착하는 수단으로 지상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작업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또 상기한 받침다리는 2단으로 절첩할 수 있어 받침다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피를 줄여서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플레이싱 붐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무게중심을 균형을 유지시키는 웨이트 밸런스의 내부에 채워진 모래는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는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중량을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플레이싱 붐 장치를 다른 장소로 옮기고자 할 때에는 웨이트 밸런스 내부에 채워진 모래를 제거하여 무게를 가볍게 하므로서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등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선회베어링 구조에 의하여 좌, 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회전본체의 상단에 부착된 채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의 기복작동과 절첩작동이 가능하게 조립된 플레이싱 붐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본체의 일측에 부착된 수평지지대에 고정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플레이싱 붐의 유압실린더들을 제어하는 콘트롤 장치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의 수평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싱 붐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부 회전본체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웨이트 밸런스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고정본체의 사방에 형성되는 다수의 부착플랜지와;
    건설되고 있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고정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삽입되는 연결원통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립부와로 구성되는 튜브라 장치와;
    상기 튜브라 장치의 조립부 상면 사방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고정본체의 부착플랜지를 조립핀으로 결합하여 하부 고정본체를 고정시키는 조립브라켓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라 장치의 연결원통부 사방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직 가이드바는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설치된 지지구조물의 각 가이드 로울러에 수직상으로 접촉한 채 슬라이딩하면서 튜브라 장치의 상승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연결원통부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플랜지에는 사방에 수직 가이드바가 형성되고 상,하단에 조립플랜지가 형성된 조립연결통들을 다단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튜브라 장치를 슬라브 구축층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승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본체의 부착플랜지에 각각에 고정 부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2단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로 구성된 받침다리를 하부고정본체에 조립하여 플레이싱 붐 장치 자체를 지상이나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4.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본체 수평지지대 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 밸런스는 그 하부의 유출구에 개폐판을 개폐가능하게 부착하여 상기 웨이트 밸런스 내부에 채워진 중량매체를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KR1019980055457A 1998-12-16 1998-12-16 콘크리트플레이싱붐장치 KR10030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457A KR100302661B1 (ko) 1998-12-16 1998-12-16 콘크리트플레이싱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457A KR100302661B1 (ko) 1998-12-16 1998-12-16 콘크리트플레이싱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953A KR20000039953A (ko) 2000-07-05
KR100302661B1 true KR100302661B1 (ko) 2001-11-22

Family

ID=1956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457A KR100302661B1 (ko) 1998-12-16 1998-12-16 콘크리트플레이싱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166B1 (ko) 2005-03-11 2006-11-14 강봉조 건축공사용 플레이싱 붐의 크라이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606B1 (ko) * 2015-03-19 2016-01-18 홍광의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KR101586605B1 (ko) * 2015-03-19 2016-01-18 홍광의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CN110454199B (zh) * 2019-08-30 2024-05-28 徐州徐工施维英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伸缩臂油管拖链装置的混凝土喷浆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59A (ko) * 1993-06-30 1995-01-03 김연수 지게차용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59A (ko) * 1993-06-30 1995-01-03 김연수 지게차용 크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166B1 (ko) 2005-03-11 2006-11-14 강봉조 건축공사용 플레이싱 붐의 크라이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953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37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mping concrete to form structure at elevated heights
US3299588A (en) Multilevel building structure with plural suspended revolving compartment unit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02661B1 (ko) 콘크리트플레이싱붐장치
FR2780742A1 (fr) Plate-forme horizontale et mobile pour la prefabrication sur le chantier et la pose successive en position de parties d'ouvrages de maconnerie
CN112281681A (zh) 架桥用打桩机及其使用方法
US20150314989A1 (en) Material Lift Hoist Assembly
CN220502456U (zh) 一种泥浆泵悬挂装置
JP4914130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RU2018622C1 (ru) Вышечный блок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JP2007261795A (ja) 建築物用のリフト機構
JPH0423119B2 (ko)
CN116575682A (zh) 一种楼梯洞口防护操作平台
JPH0684618B2 (ja) 杭孔底部のスライム除去装置
CN215212215U (zh) 一种带排水系统的临时施工操作平台
CN213772989U (zh) 架桥用打桩机
CN220847570U (zh) 一种螺旋钻孔灌注桩施工用钢筋笼定位器
TWI775481B (zh) 活動式廁所
KR20100099079A (ko) 테이블폼용 회전 동바리
JP4571760B2 (ja) 建物の構築方法
CN114991502A (zh) 一种叠合楼板预制板与梁钢筋连接装置
SU1254132A1 (ru) Опалубка дл возведени наружных монолит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стен
JPS6323515Y2 (ko)
JPH108727A (ja) 吊り具
JP3008054B2 (ja) 横架材仮留め装置
CN114735584A (zh) 一种用于筒状构筑物施工的垂直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