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579B1 - 이소시아네이트기재발포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소시아네이트기재발포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579B1
KR100302579B1 KR1019940002425A KR19940002425A KR100302579B1 KR 100302579 B1 KR100302579 B1 KR 100302579B1 KR 1019940002425 A KR1019940002425 A KR 1019940002425A KR 19940002425 A KR19940002425 A KR 19940002425A KR 100302579 B1 KR100302579 B1 KR 100302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nent
polyether
hydrogen atom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754A (ko
Inventor
빌헬름람베르츠
베르너디트리히
Original Assignee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프리더 하이더
Publication of KR94001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16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mixtures of two or more polyether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5Water, e.g. hydrated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 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1/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1/914Polyurethane cellular product formed from a polyol which has been derived from at least two 1,2 epoxides as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400 내지 10.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 원자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을, 발포제로서 발포 조건하에서 기화될 수 있는 탄화수소 존재하에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기재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활성 수소 성분은 a)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 원자를 적어도 2개 가지며 옥시에틸렌 잔기를 함유하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테르 1종 이상과 b)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 원자를 적어도 2개 갖고 옥시에틸렌기를 함유하지 않는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의 혼합물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이소시아네이트 기재 발포체의 제조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발포 조건하에 기화될 수 있는 탄화수소를 발포제로 사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 기재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760 mmHg에서 10 내지 80 ℃의 비점을 갖는 탄화수소와, 발포제로서 사용되는 이 탄화수소가 부분적으로 용해되고 부분적으로 분산되어 에멀젼이 형성되는 특정 폴리에테르-폴리올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기재 발포체는 탄화수소와 같은 발포제를 사용하여 졔조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예, 미합중국 특허 제3,072,582호 및 동 제4,585,807호, 유럽 특허 제394,769호 및 동 제421,269호 및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제2,544,650호 참조). 이와 같은 발포제는 독립 기포 발포 재료에 있어서, 단열 기포 가스로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예,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R11),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R12) 및 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탄(R13))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페놀-포름알데히드 등으로 제조된 발포 재료에 단열 및 발포 가스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발포제는 성층권으로 유입되며, 이로 인하여 함유되어 있는 염소에 의해 성층권 중의 오존이 파괴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가까운 장래에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의 생산을 중지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상기 단점을 갖지 않는 발포제 중 하나가 발포 조건 하에서 기화될 수 있는 탄화수소, 예를 들면 n-펜탄 및 이소-펜탄 및 시콜로펜탄이다. 그러나, 이들 탄화수소 발포제를 사용할 경우, 발포 기술의 모든 요건이 다 충족되는 것은 아닌 것이 분명하다. 특히, 고품질 경질 발포체에 대한 사용에 있어서 요구되는 단열 성능(저열전도도)에는 일반적으로 이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화수소 발포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열전도도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놀라웁게도, 상기 목적은 폴리올 성분으로서 특정 폴리에테르-폴리올 혼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성취되었다. 탄화수소 발포제는 폴리올 성분 중에 부분적으로 용해되어 폴리올/발포제의 에멀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폴리올/발포제 에멀젼의 사용으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열전도도는 (발포제가 폴리올 중에 완전히 용해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비교할 때) 10 내지 15 %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2) 400 내지 10,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원자를 적어도 2개 갖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3) 발포 조건하에서 기화될 수 있는 발포제인 탄화수소 존재하에,
4) 임의로 32 내지 399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수소 원자를 적어도 2개 갖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5) 임의로 폴리우레탄업계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다른 발포제 및 보조 물질 및 첨가제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성분 2)는 a)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 원자를 적어도 2개 가지며 옥시에틸렌 잔기를 함유하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테르 1종 이상과 b)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 원자를 적어도 2개 가지며 옥시에틸렌기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테르 1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재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성분 2)는 5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20중량%의 폴리에테르 a)와, 50 내지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80 내지 90 중량%의 폴리에테르 b)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발포제는 탄소수 3 내지 7의 탄화수소이다. 또한, 발포제는 n-펜탄, 이소펜탄, 시클로펜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발포제는 1종 이상의 시클로알칸과 1종이상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칸의 혼합물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0.5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2.5 중량%[성분 2)의 전체 중량을 기준의 물을 보조 발포제로서 첨가한다.
또한, 과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예비 반응에서는 폴리에테르 성분(2a)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예비 중합체로 전환시키고, 이어서 나머지 성분들과 반응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성분 2a)는 4 이하의 관능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테르성분 2b)는 4 이상의 관능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테르 성분 2a)는 출발물질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또는) 글리세롤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에테르이고, 폴리에테르 성분 2b)는 출발물질로서 슈크로스 및(또는) 소르비톨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에테르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적어도 2개의 수소 원자를 갖는 폴리에스데르를 5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20 중량%의 양으로 폴리에테르 혼합물 2)에 첨가시킨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100내지 500, 바람직하기로는 200 내지 400의 OH가를 갖는 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의 폴리에스데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a) 대부분의 탄화수소 발포제가 일반적으로 폴리올 중에 용해되어 폴리올 성분의 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기계적 가공성을 제공하고,
b) 특히 발포제로서 시클로펜탄을 사용할 경우, 저하된 열전도도가 얻어지며,
c)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 혼합물과 폴리에스테르의 바람직한 혼합이폴리에테르/발포제의 혼합물에 장기 가공성을 제공한다는 등의 잇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및(또는) 경질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가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발포체의 제조는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제1,694,142호, 동 제1,694,215호 및 동 제1,720,768호, 및 독일연방공화국 뮌헨 소재의 비베크 운트 회흐틀렌(Viewegand HO6chtlen, 칼 한저 베를라크(Carl Hanser Verlag))에 의해 출판된 문헌[Kunststoff-Handbuch Band VII, Polyurethane, 1966] 및 독일 연방공화국 뮌헨 및 비엔나 소재의 게. 외르텔(G.Oertel), 칼 한저 베를라크에 의해 출판된 이 책의 개정판(1983)에 기재되어 있다. 우레탄 및(또는) 이소시아누레이트 및(또는) 알로파네이트 및(또는) 우레트디온 및(또는) 우레아 및(또는)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발포체 제조에 유용한 이소시아네이트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베. 시프켄(W·Siefken(en)의 Justus Liebig's AnnaIen der Chemie, 제562권, 제75페이지 내지 136페이지에 기재된 지방족, 지환식, 아르지방족, 방향족 또는 복소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일반식 Q(NCO) (여기서, n은 2 내지 4, 바람직하기로는 2 및 3이고, Q는 탄소수 2 내지 18, 바람직하기로는 6 내지 10의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 탄소수 4 내지 15,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0의 지환식 탄화수소잔기, 탄소수 6 내지 15, 바람직하기로는 6 내지 13의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 또는탄소수 8 내지 15, 바람직하기로는 8 내지 13의 아르지방족 탄화수소 잔기임)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제2,832,253호의 제10페이지 및 l1페이지에 기재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있다.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2,4- 및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비 이성질체("TDI"), 아닐린-포름알데히드 축합을 통해 제조되고 포스겐으로 마무리 처리한 폴리페닐 폴리메틸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조 MDI"), 및 카르보디이미드기, 우레탄기, 알로파네이트기, 이소시아누레이트기, 우레아기 및 (또는)뷰렛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구체적으로 2,4- 및(또는)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 및(또는)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된 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의 혼합물이 필요하다. 개별 폴리에테르는 400 내지 10,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수소 원자를 갖는다. 특히, 1,000 내지 6,000, 바람직하기로는 2,000 내지 6,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균질한 기포 형성 폴리우레탄 제조용으로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제2,832,253호 제11페이지-18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폴리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성분 2a)에 있어서 질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테르 내에 함유된 옥시에틸렌 잔기는 에틸렌 옥시드(EO)의 첨가, 임의로 산화프로필렌과 같은 다른 알킬렌 산화물의 보조 첨가에 의해 형성되며 폴리에테르 분자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적어도 2개의 수소 원자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기로는 100 내지 500, 바람직하기로는 200 내지 400의 OH가를 갖는 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의 폴리에스테르를 5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20 중량% 폴리에테르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에스테르가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발포제는 발포 조건 하에 기화될 수 있는 탄화수소이다. 유용한 발포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프로판, 부탄, n-펜탄, 이소펜탄, 헥산, 헵탄, 이소옥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펜텐 등이 있다. 바람직한 발포제는 탄소수 3 내지 7의 탄화수소이다. 이는 n-펜탄, 이소펜탄, 시클로펜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2O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2 내지 15 중량%[성분 2)의 전체 중량을 기준의 양으로 사용한다.
다른 임의의 재료로는 32 내지 399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수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이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는 히드록실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티올기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갖는화합물 및 바람직하기로는 사슬 연장제 또는 교차 결합제로서 역할을 하는 히드록실기 및(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 있다. 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수소 원자를 2 내지 8개,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4개 함유한다. 유용한 화합물의 예는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재2,832,253호 제19페이지 내지 20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임의의 재료로는 폴리우레탄업계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사용되는 발포제, 보조 재료 및 첨가제가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는
a) 보조 발포제로서 물 및(또는)용이하게 휘발되는 유기 물질,
b) 성분 2)의 최대 10 중량%의 양의 촉매,
c) 유화제 및 발포체 안정화제와 같은 계면 활성제,
d) 반응 억제제, 예를 들면 염산 또는 유기 산 할로겐화물과 같은 산 반응
물질, 파라핀 또는 지방 알코올 또는 디메틸폴리실록산과 같은 기포 조절제, 노화풍화 작용에 대한 안정화제, 가소제 및 정진균성 및 정균성 물질, 및 황산바륨, 규조토, 카본 블랙 또는 호분(whitening)과 같은 충전제가 있다. 사용되는 이들 임의의 재료 및 첨가제는 예를 들면,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제2,732,292호 제21페이지 내지 24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임의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 및 발포체 안정화제, 및 기포조절제, 반응 억제제, 안정화제, 난연제, 가소제, 염료, 충진제, 및 정진균성 및 정균성 물질의 다른 예와 이들 첨가제의 사용법 및 작용 방식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독일연방공화국 뮌헨 소재의 비베크 운트 회흐틀렌, 칼 한저 베를라크에 의해 출판된 문헌[Kunststoff-Handbuch Band VII, Polyurethane, 1966, 제103페이지-113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기재 발포체는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이는 공지된 1 단계 방법, 공지된 예비중합체법 또는 공지된 반예비중합체법을 사용하고, 종종 미합중국 특허 제2,764,565호에 기재된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가공 장치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독일연방공화국 뮌헨 소재의 비베크 운트 회흐틀렌, 칼 한저 베를라크에 의해 출판된 문헌[Kunststoff-Handbuch Band VII, PoIyurethane, 1966, 제121페이지-205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시, 일반적으로 약 90 내지 130의 이소시아네이트지수가 사용된다.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를 원할 경우, 일반적으로 130 내지 500, 바람직하기로는 150 내지 400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사용된다.
냉각-경화 발포 재료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예를 들면 영국 특허 제1,162,517호 및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제2,153,086호 참조).
경질 발포 재료는 블록 발포법 또는 공지된 트윈 콘베이어 벨트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예를 들면 지붕 단열용 단열판 멎 가정용 기구의 단열층으로서의 용도가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며, 실시예에서 모든 부 및 퍼센트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한 중량부 및 중량%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경질 PUR(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히드록실가 450의 슈크로스/산화 프로필렌 폴리에테르폴리을 70 중량부, 히드록실가 450의 글리세롤/산화 에틸렌 폴리에테르폴리올 30 중량부, 물 2 중량부, 실리콘 발포체 안정화제(TegostabB 8411) 2 중량부, 및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2 중량부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는 NCO(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31.5 중량%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이었다.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및 시클로펜탄 15 중량부를 20 ℃에서 고속 믹서(4,000회/분)를 사용하여 철저히 혼합시켰다. 폴리올 중의 미세하게 분배된 시클로펜탄의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이 혼합물 115 중량부를 이소시아네이트 131 중량부와 함께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반응 흔합물을 열린 상자에 붓고 발포시켰다.
얻은 경질 PUR 발포체는 24 kg/㎥의 자유 발포 용적 밀도에서 120 ㎛의 평균 기포 직경을 가졌다. 24 ℃에서 아나콘(Anacon)에 의해 열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0.020 W/km이었다.
[실시예 2]
(대조용):경질 PUR 발포체의 제조:
히드록실가 450의 슈크로스/산화 프로필렌 폴리에테르폴리올 70 중량부, 히드록실가 450의 글리세롤/산화 프로필렌 폴리에테르폴리올 30 중량부, 물 2 중량부, 실리콘 발포체 안정화제(TegostabB 8411) 2 중량부, 및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2.8 중량부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NCO(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31.5 중량%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이었다.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및 시클로펜탄 15 중량부를 20 ℃에서 고속 혼합기(4,000회/분)를 사용하여 철저히 혼합시켰다. 폴리올 중의 시클로펜탄의 균질한 투명 용액이 형성되었다.
이 혼합물 115 중량부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131 중량부와 함께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열린 상자에 붓고 발포시켰다.
얻은 경질 PUR 발포체는 24 kg/㎥의 자유 발포 용적 밀도에서 250 ㎛의 평균 기포 직경을 가졌다. 24 ℃에서 아나콘(Anacon)에 의해 측정된 열전도도는 0.023 W/km이었다.
[실시예 3]
경질 PUR(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히드록실가 450의 슈크로스/산화 프로필렌 폴리에테르폴리올 60 중량부, 히드록실가 300의 프탈산-디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10 중량부, 히드록실가 500의 펜타에리트리톨/산화 에틸렌 폴리에테르폴리올 30 중량부, 물 2 중량부, 실리콘 발포체 안정화제(TegostabB 8426) 2 중량부, 및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1.8 중량부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및 시클로펜탄 12 중량부를 20 ℃에서 고속 믹서(4,000회/분)를 사용하여 철저히 혼합시켰다. 폴리올 중의 미세하게 분배된 시클로펜탄의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이 혼합물 112 중량부를 이소시아네이트 132 중량부와 함께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열린 상자에 붓고 발포시켰다.
얻은 경질 PUR 발포체는 25 kg/㎥의 자유 발포 용적 밀도에서 120 ㎛의 평균 기포 직경을 가졌다. 24 ℃에서 아나콘(Anacon)에 의해 열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0.020 W/km이었다.
[실시예 4]
경질 PUR(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히드록실가 450의 소르비톨/산화 프로필렌 폴리에테르폴리올 60 중량부, 히드록실가 300의 프탈산-디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10 중량부, 히드록실가 500의 펜타에리트리톨/산화 에틸렌 폴리에테르폴리올 30 중량부, 물 2 중량부, 실리콘 발포체 안정화제(TegostabB 8426) 2 중량부, 및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1.8 중량부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및 n-펜탄 12 중량부를 20 ℃에서 고속 혼합기(4,000회/분)를 사용하여 철저히 혼합시켰다. 폴리올 중의 미세하게 분배된 n-펜탄의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이 혼합물 112 중량부를 이소시아네이트 132 중량부와 함께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열린 상자에 붓고 발포시켰다.
얻은 경질 PUR 발포체는 25 kg/㎥의 자유 발포 용적 밀도에서 120 ㎛의 평균 기포 직경을 가졌다. 24 ℃에서 아나콘(Anacon)에 의해 측정된 열전도도는 0.022 W/kg이었다.
[실시예 5]
경질 PUR(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히드록실가 450의 소르비톨/산화 프로필렌 폴리에테르폴리올 60 중량부, 히드록실가 300의 프탈산-디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10 중량부, 히드록실가 500의 펜타에리트리톨/산화 에틸렌 폴리에테르폴리올 30 중량부, 물 2 중량부, 실리콘 발포체 안정화제(TegostabB 8426) 2 중량부, 및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1.8 중량부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및 시클로펜탄 12 중량부를 20 ℃에서 고속 혼합기(4,000회/분)를 사용하여 철저히 혼합시켰다. 폴리올 중의 미세하게 분배된 시클로펜탄의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이 혼합물 112 중량부를 이소시아네이트 132 중량부와 함께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열린 상자에 붓고발포시켰다.
얻은 경질 PUR 발포체는 25 kg/㎥의 자유 발포 용적 밀도에서 22O ㎛의 평균 기포 직경을 가졌다. 24 ℃에서 아나콘(Anacon)에 의해 측정된 열전도도는 0.020 W/km이었다.
본 발명은 설명을 목적으로 전기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1종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2) 400 내지 10,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원자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3) 발포조건하에서 기화될 수 있는 발포제인 탄화수소 존재하에,
4) 임의로 32 내지 399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수소 원자를 2개 이상 갖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성분 2)는 a)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 원자를 2개 이상 가지며 옥시에틸렌 잔기를 함유하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테르 1종 이상과 b)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 원자를 2개 이상 가지며 옥시에틸렌기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테르 1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재 발포체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성분 3)으로서 탄소수 3 내지 7의 탄화수소가 사용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3)이 n-펜탄, 이소펜탄, 시클로펜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성분 3)이 시클로알칸 및 직쇄 또는 분지쇄 알칸의 혼합물인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성분 2)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의 물이 보조 발포제로서 포함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성분 2a)가 과량의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예비중합체를 생성하고, 이어서 이 예비중합체가 잔여 성분들과 반응하여 상기 발포체를 형성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성분 2a)는 4 이하의 관능가를 갖는 것이고, 상기 폴리에테르 성분 2b)는 4 이상의 관능가를 갖는 것인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성분 2a)는 트리메틸올프로판 및(또는) 글리세롤을 출발물질로하여 제조된 폴리에테르이고, 싱기 폴리에테르 성분 2b)는 슈크로스 및(또는) 소리비톨을 출발물질로하여 제조된 폴리에테르인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활성인 수소 원자를 2개 이상 갖는 폴리에스테르가 성분 2)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폴리에테르 혼합물 2)에 첨가되는 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100 내지 500의 OH가를 갖는 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의 폴리에스테르인 방법.
KR1019940002425A 1993-02-10 1994-02-08 이소시아네이트기재발포체의제조방법 KR100302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303886.7 1993-02-10
DE4303886 1993-02-10
DE4328383A DE4328383A1 (de) 1993-02-10 1993-08-2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en auf Isocyanatbasis
DEP4328383.7 1993-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754A KR940019754A (ko) 1994-09-14
KR100302579B1 true KR100302579B1 (ko) 2001-11-22

Family

ID=648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425A KR100302579B1 (ko) 1993-02-10 1994-02-08 이소시아네이트기재발포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28077A (ko)
KR (1) KR100302579B1 (ko)
DE (2) DE4328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8419A1 (de) * 1994-11-11 1996-05-15 Cheil Ind Inc Mehrschicht-Flächengebilde für ein Innengehäuse einer Kältemaschine
DE19500466A1 (de) * 1995-01-10 1996-07-18 Elastogra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CKW-freien Polyurethan-Hartschaumstoffen mit einer verminderten Wärmeleitfähigkeit und ihre Verwendung
DE19701074A1 (de) * 1997-01-15 1998-07-1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eichen bis halbharten Polyurethanintegralschaumstoffen
DE19709868A1 (de) * 1997-03-11 1998-09-1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Hartschaumstoffen mit verringerter Rohdichte
DE19742011A1 (de) * 1997-09-24 1999-03-25 Basf Ag Lagerstabile, treibmittelhaltige Emulsionen zur Herstellung von Hartschaumstoffen auf Isocyanatbasis
DE19742012A1 (de) 1997-09-24 1999-03-25 Basf Ag Temperaturstabile Hartschaumstoffe auf Isocyanatbasis mit geringer Sprödigkeit und niedriger Wärmeleitfähigkeit
KR100284981B1 (ko) * 1998-12-28 2001-03-15 한갑수 초저온 보냉용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방법
DE19961417C1 (de) * 1999-12-17 2001-07-1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materialien
DE10105557A1 (de) * 2001-02-06 2002-08-08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ruchsarmen Polyurethanweichschaumstoffen
DE10145458B4 (de) * 2001-09-14 2014-03-2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rethan- und überwiegend Isocyanuratgruppen aufweisenden Polyurethanhartschaumstoffen
DE10145439A1 (de) * 2001-09-14 2003-04-0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aktionsverzögerten Polyurethanhartschaumstoff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2582A (en) * 1955-10-20 1963-01-08 Gen Tire & Rubber Co Polyether-urethane foams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544560A1 (de) * 1975-10-04 1977-04-07 Bay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formten schaumstoffartikeln
US4585807A (en) * 1985-01-14 1986-04-29 Basf Corporation Rigid polyurethane foams employing oxyalkylated ethylenediamine
AU638243B2 (en) * 1989-04-24 1993-06-24 Hans Wilhelm Hutzen Polyurethane foam material free of halogenated hydrocarb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3933335C2 (de) * 1989-10-06 1998-08-0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Hartschaumstoffen mit geringer Wärmeleitfähigkeit und ihre Verwendung
DE4109076A1 (de) * 1991-03-20 1992-09-2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rethan- und ueberwiegend isocyanuratgruppen aufweisenden hartschaumstoffen und ihre verwendung als daemmaterial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28077A (en) 1995-06-27
DE59406525D1 (de) 1998-09-03
DE4328383A1 (de) 1994-08-11
KR940019754A (ko) 1994-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0823A (en) Production of rigid polyurethane foams, and a blowing agent mixture for this purpose
US5137932A (en) Process for producing foams
AU722500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igid polyurethane foams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JPH02261818A (ja) 弾性の連続気泡軟質成形ポリウレタンフオームの製造方法
KR100344599B1 (ko) 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의제조방법
KR20070085327A (ko)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US5602190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ard polyurethane foams
US5786400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rigid polyurethane foam and a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a rigid polyurethane foam
KR100302579B1 (ko) 이소시아네이트기재발포체의제조방법
AU663724B2 (en) Making foamed plastic containing perfluorinated heterocyclic blowing agent
NZ235092A (en) Preparation of polymeric foams using a fluorine-containing ether as the blowing agent
IE904465A1 (en) Process for producing foams with the aid of fluoroalkanes
JP2015523431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のポリエステルオール
JPH0641272A (ja) 改質芳香族ポリイソシアネートおよび硬質発泡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その使用
JPH04226117A (ja) ウレタン基および主としてイソシアヌレート基を有する硬質フォームの製造方法、並びに絶縁材料としてのその使用
US6013690A (en) Low density rigid polyurethane foams having improved substrate adhension characteristics
JP3057609B2 (ja) ウレタン基および主としてイソシアヌレート基を有する硬質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3316295B2 (ja) イソシアネートに基づくフォームの製造方法
CA2114252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igid foams containing urethane and isocyanurate groups
JP2001106764A (ja) 変性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又はイソシアヌレート変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3587563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H04218522A (ja) 連続気泡の可撓性ポリウレタン発泡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604953B2 (ja) 変性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発泡体の製造法
JPH09165427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65428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