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911B1 - 압력밥솥의증기배출부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압력밥솥의증기배출부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911B1
KR100301911B1 KR1019980058817A KR19980058817A KR100301911B1 KR 100301911 B1 KR100301911 B1 KR 100301911B1 KR 1019980058817 A KR1019980058817 A KR 1019980058817A KR 19980058817 A KR19980058817 A KR 19980058817A KR 100301911 B1 KR100301911 B1 KR 100301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aling
pressure valve
steam discharg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2595A (ko
Inventor
구자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8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9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4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밥솥에서 압력추에 의하여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 주변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방향의 중심부분에 증기배출통로(51)를 구비하는 압력밸브의 외주면에는 나사부(54)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54)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66)가, 히터플레이트(60)에 일체로 성형된 밀폐원통체(61)의 내주연에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원통체(61)의 나사부(66)의 상하부에는 각각, 압력밸브(50)과의 사이에서 실링 기능을 수행하는 밀폐링(62)과, 패킹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밸브(50)를 히터플레이트(60)에 성형된 밀폐원통체(61)에 직접 나사결합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되, 그 상하부에는 밀폐링(62)과 패킹부재(64)로 구성되는 실링부재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압력밥솥 내외부의 증기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한다.

Description

압력밥솥의 증기배출부 실링장치
본 발명은 압력밥솥의 증기배출부의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추를 통하여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의 구성부품 사이로 밥솥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서 압력밥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유도가열압력밥솥은, 커버(4)가 본체(2)에 닫힌 상태에서 내부에는 소정의 압력이 걸린 상태로 취반이 진행된다. 그리고 취반이 완료되면 증기배출통로를 통하여 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취반 도중에도 밥솥의 내부에서 걸리는 압력이 일정 이상 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증기배출통로를 통하여 초과하는 압력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즉, 압력밥솥은 두 개의 증기배출통로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증기배출통로는 취반완료시 압력을 일시에 배출하는 통로이고, 이는 도 1에서 도면부호 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내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한 증기배출은, 취반이 완료되었다는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밸브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그 통로를 열어서 증기를 일시에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통로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통로는, 도 1에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한 압력추에 의한 통로이다. 이러한 증기배출통로는, 취반 도중 밥솥의 내부에 걸리는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을 초과하게 되면, 이러한 압력이 상기 압력추(10)에 의한 하중을 초과하면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본 발명에서는, 압력추(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증기배출통로의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어서,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 증기배출통로라 함은 압력추(10)에 의하여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의 실링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2에는 상기 압력추(10)에 의하여 개폐되는 중기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종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추(10)에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는, 밥솥을 개폐하는 커버(12)를 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의 상부에는 외부커버(12a)가 설치되어 있고, 커버(12)의 내측에는 히터플레이트(1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추(10)에 의하여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가 도 2에서 도면부호 22로 도시되어 있다. 즉, 커버(12)에서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압력밸브(20)의 내부에 상술한 증기배출통로(22)가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밸브 (20)의 상부는 외부커버(12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증기배출통로(22)의 상부에는 압력추(10)가 결합되어, 상기 증기배출통로(22)를 그 하중에 의하여 막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밸브(20)의 하단부는 히터플레이트(12b)를 관통한 상태로 하부캡(26)과 결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압력밸브(20)의 하단 외주연부에는 나사가공된 나사부(2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24)는 히터플레이트(12b)의 하부를 관통한 상태로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상기 압력밸브(20)의 나사부(24)에는, 하부캡(26)의 내주연에 성형된 나사부(28)가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캡(26)에 의하여 압력밸브(20)의 하단부가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밸브(20)와 히터플레이트(12b)의 상면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증기의 누설방지를 위하여 밀폐링(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플레이트(12b)의 하면과 하부캡(26)의 상면 사이에는, 하부캡(26)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와셔(32)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압력추(10)에 의하여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22)를 구비하는 압력밸브(20)의 하단부는 하부캡(2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히터플레이트(12b)와 압력밸브(20) 사이에는 밀폐링(30)이 개재되어 있으며, 히터플레이트(12b)와 하부캡(26) 사이에는 플림방지를 위하여 스프링와셔(32)가 개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의 구조에서 압력밸브(20)와, 그것을 지지하는 주변 구성부품과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증기의 누설 방지를 위하여 하나의 밀폐링(30)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압력밥솥은, 상온에서부터 취반을 위한 고온까지 다양한 온도변화 상황하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밥솥의 내부에는 대기압에서부터 취반을 위한 상당한 고압까지 변화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고온, 고압의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부품간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와, 반복되는 팽창 및 수축에 의하여 각각의 부품이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압력밸브(20)의 하단부와 나사결합하여 압력밸브의 체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하부캡(26)이 풀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하부캡(26)이 풀리게 되면 히터플레이트(12b)와 압력밸브(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밀폐링(30) 주위가 느슨해져서 틈새가 생기게 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내부의 압력이 누설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압력이 누설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압력밥솥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상지 압력밸브(20)를 밀봉상태로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주변의 구성이 복잡하여, 부품수의 증가 및 조립공정의 복잡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히터플레이트(12b)의 하면은 통상 테프론 처리되어 있는데, 하부캡(26)과 압력밸브(20)의 체결과정에서, 히터플레이트(12b)의 하면이 손상되어 미관상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증기의 누설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적은 부품수와 간단한 조립공정을 가지는 간단한 구성의 증기배출통로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도는 일반적인 압력밥솥의 외부 사시도.
제 2도는 종래의 증기배출부 밀봉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증기배출부 밀봉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력추 50 : 압력밸브
51 : 증기배출통로 52 : 밀폐홈
54 : 나사부 55 : 단차부
60 : 히터플레이트 61 : 밀폐원통체
62 : 밀폐링 64 : 패킹부재
66 : 나사부 67 : 단차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압턱밥솥의 증기배출부 실링장치는, 상단부가 압력추에 의하여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가 길이방향으로 성형되어, 압력밥솥의 내부외를 연결하는 압력밸브, 상기 압력밸브가 삽입되는 밀폐원통체를 구비하고, 압력밥솥을 개폐차는 커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재, 상기 압력밸브를 밀폐원통체의 내부에서 체결하는 체결수단, 그리고 기 체결수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압력밸브와 밀폐원통체 사이를 실링하는 제 1 및 제2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압력밸브의 외주연과, 밀폐원통체의 내주연에 각각 성형되어 서로 나사결합하는 각각의 나사부로 구성된다.
제1실링수단은, 압력밸브의 외주연에 성형된 밀폐홈에 삽입되어, 밀폐원통체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실링하는 밀폐링이다.
상기 압력밸브의 하단부에는 단차부가 성형되고, 상기 밀폐원통체에는 상기단차부에 대응하는 단차부가 성형되며, 제2실링수단은 상기 각각의 단차부 사이에 삽입되는 패킹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원통체는 플레이트부재와 일체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단부가 압력추에 의하여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가 길이방향으로 성형되어, 압력밥솥의 내부외를 연결하는 압력밸브, 상기 압력밸브가 삽입되어 내부에서 서로 나사결합되는 밀폐원통체가 성형되고, 압력밥솥을 개폐하는 커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히터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밀폐원통체와 압력밸브 사이를 실링하기 위하여, 압력밸브와 밀폐원통체의 나사결합부의 상부 또는 하부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밸브(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증기배출통로(51)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배출통로(51)의 상단부는 압력추(10)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압력밸브(50)의 상단부는, 실질적으로 종래와 동일하게 외부커버(12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압력밸브(50)의 하부 외주연에는 나사부(54)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54)의 상부 외주연에는 밀폐홈(52)이 전체 외주연에 걸쳐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밸브(50)의 하단부에는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단차부(55)가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 압력밸브(50)가 결합되는 히터플레이트(6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글레이트(60)에서 상기 압력밸브(5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밀폐원통체(61)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밀폐원통체(61)는 히터플레이트(6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알미늄다이캐스팅으로 상기 밀폐원통체(61)가 일체로 성형된 히터플레이트(60)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밀폐원통체(61)의 내부에는, 압력밸브(50)의 나사부(54)와 결합되는 나사부(66)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원통체(61)의 하단부에는, 압력밸브(50)의 단차부(55)와 대응하는 단차부(67)가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압력밸브(50)와 히터플레이트(60)의 결합관계 및 압력누설방지를 위한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압력밸브(50)의 나사부(54)는, 밀폐원통체(61)의 나사부(66)와 서로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밸브(50)의 나사부(54)의 상방에 성형된 밀폐홈(52)에는, 증기의 누설방지를 위한 밀폐링(62)가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압력뱉브(50)의 외주연과 밀폐원통체(61)의 내주연 사이에서 실링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밀폐링(62)은, 실링용 오링 등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밸브(50)의 단차부(55)와, 밀폐원통체(60)의 단차부(67) 사이에는 증기의 누설방지를 위한 패킹부재(64)가 삽입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밸브(50)와 밀폐원통체(61) 사이에는 한쌍의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의 실링용 부재는 압력밸브(50)의 단차부(55)와 밀폐윈통체(61)의 단차부(67)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패킹부재(64)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압력밸브(50)의 밀폐홈(52)에 삽입되어, 밀폐원통체(61)의 내주연과의 사이에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폐링(62)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밑폐링(62)과 패킹부재(64)에 의하여 이중의 압력 누설방지장치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질적으로 패킹부재(64)는, 압력밸브(50)의 단차부(55)와 밀폐원통체(61)의 단차부(67) 사이에서 수평방향에 대한 실링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밀폐링(62)는 밀폐원통테(61)와 압력밸브(50) 사이에서 수직방향에 대한 실링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중의 밀폐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충분한 기밀 성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밀폐링(62)과 패킹부재(64) 이외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원통체(61)와 압력밸브(50)의 각각에 성형된 나사부(54,66)도 압력 누설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이 부분의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압력의 누설은, 히터플레이트(12b)와 압력밸브(50) 사이를 통하여 일어나도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플레이트(60) 하단의 배출공(69)를 통해서만 밥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압력의 누설이 발생한다면, 밀폐원통체(61)와 압력밸브(70) 사이를 통해서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밀폐원통체(61)와 압력밸브(50)는 각각 나사부(54,66)에 의하여 나사결합된 상태이다. 즉, 압력밸브(50)의 나사부(54)와, 밀폐원통체(61)의 나사부(66)가 서로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그 사이의 부분에는 실링층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나사부(54,66)에 의한 실링층은 비록 완벽한 밀링성능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압락밥솥에서의 압력추(10)의 회전시 상기 나사부(54,66)가 약간 풀어질 위험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압력밸브(50)의 나사부(54)와 밀폐원통체(61)의 나사부(66)가 서로 풀리지 않도록 하고, 나사결합이 완벽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54,66)를 정밀 가공한다면, 충분한 실링 기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54,66)가 실질적으로 완전한 실링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압력밸브(50)의 단차부(55)와 밀폐원통체(61)의 단차부 (67)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64)에서 압력이 새어가는 경우, 누설되는 압력을 어는 정도 낮출 수 있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나사부(54,66)는, 압력밸브(50)와 밀폐원통체(61)를 서로 체결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밸브(50)와 히터플레이트(60)에 일체로 성형된 밀폐원통체(61)를 직접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밸브(50)와 밀폐원통체(61)의 결합부분, 즉 나사부(54,66)의 상하에 이중의 실링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술적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다른 변형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배출통로(51)가 중심부에 성형된 압력밸브(50)가 히터플레이트(60)에 직접 고정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질적으로 히터플레이트(60)는 현재의 압력밥솥이 있어서, 밥솥본체를 개폐하는 커버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성부품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밸브(50)는, 커버의 저면에 다른 구성부품이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부품에 곁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커버의 저면을 형성하는 부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밀폐원통체가 구비되어야 항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실링장치는, 압력밸브와 밀폐원통체를 직접 나사결합시키고, 그 나사결합부의 상하부에 이중의 실링장치를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이중의 실링장치에 의하여 압력밥솥의 내부의 압력에 대한 충분한 실링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압력밥솥 자체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밸브와 히터플레이트를 직접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구성이 간단해짐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종래에 비하여 간단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부품수의 감소로 인한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상단부가 압력추에 의하여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가 길이방향으로 성형되어, 압력밥솥의 내부외를 연결하는 압력밸브;
    상기 압력밸브가 삽입되는 밀폐원통체를 구비하고, 압력밥솔을 개폐하는 커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재;
    상기 압력밸브를 밀폐원통체의 내부에서 체결하는 체결수단;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압력밸브와 밀폐원통체 사이를 실링하는 제 1 및 제2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력밥솥의 증기배출부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압력밸브의 외주연과, 밀폐원통체의 내주연에 각각 성형되어 서로 나사결합하는 각각의 나사부로 구성되는 압력밥솥의 증기배출부 실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실링수단은, 압력밸브의 외주연에 성형된 밀폐홈에 삽입 되어, 밀폐원통체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실링하는 밀폐링으로 구성되는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부 실링 장치.
  4.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밸브의 하단부에는 단차부가 성형되고, 상기 밀폐원통체에는 상기 단차부에 대응하는 단차부가 성형되며, 제2실링수단은 상기 각각의 단차부 사이에 삽입되는 패킹부재로 구성되는 압력밥솥의 증기배출부 실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원통체는 플레이트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는 압력밥솥의 증기배출부 실링장치.
  6. 상단부가 압력추에 의하여 개폐되는 증기배출통로가 길이방향으로 성형되어, 압력밥솥의 내부외를 연결하는 압력밸브;
    상기 압력밸브가 삽입되어 내부에서 서로 나사결합되는 밀폐원통체가 성형되고, 압력밥솥을 개폐하는 커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히터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밀폐원통체와 압력밸브 사이를 실링하기 위하여, 압력밸브와 밀폐원통체의 나사결합부의 상부 또는 하부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력밥솥의 증기배출부 실링장치.
KR1019980058817A 1998-12-26 1998-12-26 압력밥솥의증기배출부실링장치 KR10030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817A KR100301911B1 (ko) 1998-12-26 1998-12-26 압력밥솥의증기배출부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817A KR100301911B1 (ko) 1998-12-26 1998-12-26 압력밥솥의증기배출부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595A KR20000042595A (ko) 2000-07-15
KR100301911B1 true KR100301911B1 (ko) 2001-11-22

Family

ID=1956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817A KR100301911B1 (ko) 1998-12-26 1998-12-26 압력밥솥의증기배출부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40Y1 (ko) * 2008-08-27 2011-03-04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KR200469024Y1 (ko) * 2008-08-13 2013-09-12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컨트롤밸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095A (ko) * 2000-10-06 2002-04-13 밍 루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장치의 모터
KR200365613Y1 (ko) * 2004-07-30 2004-10-22 세광알미늄주식회사 압력밥솥 증기배출장치의 안전캡 결합구조
KR200448322Y1 (ko) * 2008-02-04 2010-04-01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조리기
CN102871538A (zh) * 2012-09-04 2013-01-16 广东格兰仕微波炉电器制造有限公司 半导体微波电压力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24Y1 (ko) * 2008-08-13 2013-09-12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컨트롤밸브장치
KR200452540Y1 (ko) * 2008-08-27 2011-03-04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595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911B1 (ko) 압력밥솥의증기배출부실링장치
US4777977A (en) Composite butterfly valve housing
US4830216A (en) Lid for pressure-heat cooking vessel
US4774750A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composite butterfly valve housing
US6672595B2 (en) Pressure controllable packing
JP2004132544A (ja) 組立部材に取り付けられるプラスチックナット
US5577708A (en) Ball valve
CA2062938C (en) Thermally-actuated steam trap
KR200157153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CN210748714U (zh) 烹饪器具
KR102142409B1 (ko)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US4795134A (en) Valve with improved sealing properties
CN215777424U (zh) 盖体组件及烹饪器具
CN214510808U (zh) 密封圈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2213166B1 (ko) 조리기기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S6038842Y2 (ja) 温水器
KR0131333Y1 (ko) 전기 보온 압력밥솥의 안전 뚜껑
JPS6321078B2 (ko)
JP7281879B2 (ja) グローブ弁又はベローズ弁
JP2594707Y2 (ja) バルブの軸封パッキン
JPH0449422Y2 (ko)
JPH08189563A (ja) 密封装置
KR960002820Y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오픈 패킹
KR200169709Y1 (ko) 반도체 에칭장치의 챔버리드어셈블리
KR200180688Y1 (ko)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