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699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699B1
KR100300699B1 KR1019980001872A KR19980001872A KR100300699B1 KR 100300699 B1 KR100300699 B1 KR 100300699B1 KR 1019980001872 A KR1019980001872 A KR 1019980001872A KR 19980001872 A KR19980001872 A KR 19980001872A KR 100300699 B1 KR100300699 B1 KR 10030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vacuum cleaner
cleaner body
electric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703A (ko
Inventor
류지 스즈끼
고이찌 사가와
세이이찌 가와우찌
마사오 스나가와
마사끼 가지
스스무 사또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모리 도시로
히다찌 다가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96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016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996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016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996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0167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모리 도시로, 히다찌 다가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7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를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흡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폐색하도록 하여 대기 중에 있어서의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를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한 만곡부를 갖도록 하여 흡입구 본체로부터 흡입구 커버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에 전원 코드를 삽입하는 전원 코드 삽입부를 배치하고, 상기 전원 코드를 L자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고 청소기 본체의 소형화를 도모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집진부 및 전송 송풍기를 수납한 청소기 본체를 갖는 세로형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에어 터빈을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흡입구 부재를 들어올린 때 회전 브러시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61-1885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가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외기와 연통하는 통기 구멍이 개방하고, 에어 터빈의 회전수를 저감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 61-188549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연통 구멍에 먼지 등이 걸지거나 하면 외기가 유입하기 어려워지며, 에어 터빈의 회전수가 저하하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 공개 평7-11609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를 들어올린 때 흡입구 본체의 베어링부를 따라서 회전 브러시가 자중에 의해 흡입구 본체의 하방으로 하강하고, 회전 브러시의 일부가 흡입구 본체의 개구 모서리에 접촉하여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7-11609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흡입구 부재를 들어올린 때만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것이며, 수직형 청소기로 행해지도록 청소기 본체를 세운 때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점에 대해서는 일절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일본 특허 공개 평7-11609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되고 있는 흡입구 부재의 상부 케이스와 흡입구 커버의 맞춤부는 흡입구 부재를 상방으로부터 보면 거의 직선이었으므로, 흡입구 커버의 형상이 장방형의 바닥이 얕은 하우징형으로 이루어져 강도적으로 약하고, 또한 성형품에 있어서는 휨이 발생하기 쉬우며, 상부 케이스와 흡입구 커버의 맞춤부는 조합시 단차가 커서 외관 의장상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상부 케이스와 흡입구 커버의 맞춤부에 간극이 발생하면 청소기 본체의 흡입하는 기류가 간극으로부터 인입하고, 본래 하부 케이스의 흡입구로부터 들어오는 풍량이 감소하고, 흡입 성능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 전기 청소기는 신축하는 내부 파이프를 청소기 본체측에서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내부 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용 구멍을 구비하고, 본체측에는 고정용 구멍에 삽입하고 내부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 핀과 고정 핀을 회전하는 클램프를 구비한 것이 있으며, 내부 파이프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고, 또 클램프를 동작함으로써 내부 파이프를 신축 가능하게 하는 구조였다.
이로 인해, 고정 핀이 클램프와 동일 방향으로 원동작하기 위해 내부 파이프의 고정용 구멍을 긴 원형으로 하거나, 혹은 고정 핀보다도 큰 구멍을 개방해 덜걱거림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핸들 상하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큰 힘을 가하면 고정 핀이 빠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수직형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세운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데에 유효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조작성, 수납성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동 송풍기 및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된 회전 청소 부재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상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터빈과,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과,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를 갖고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흡기구의 걱어도 일부를 폐쇄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동 송풍기 및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를 씌워서 형성한 흡입구 부재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된 회전 청소 부재와, 상기 흡입구의 상부를 덮는 흡입구 커버와, 상기 회전 청소 부재의 회전축과 동일축 상에서 상기 회전 청소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터빈과,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된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을 갖고 상기 흡입구 커버의 상기 청소기 본체측의 일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한 만곡부를 갖는 데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 하부에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상기 전동 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를 삽입가는 전원 코드 삽입부를 배치하고, 상기 전원 코드를 L자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데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방에 상기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배치된 외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내부 파이프를 갖고 상기 외부 파이프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는 동시에 소직경부를 갖는 고정 핀과, 상기 고정 핀을 가동하기 위한 클램프를 갖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 핀을 수직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한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를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흡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대기 중에 있어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를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한 만곡부를 갖도록 하였으므초, 흡입구 본체로부터 흡입구 커버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회전 청소 부재의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에 전원 코드를 삽입하는 전원 코드 삽입부를 배치하고, 상기 전원 코드를 L자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였으므로, 청소기 손체를 소형화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입구 부재의 상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입구 부재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입구 부재의 상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입구 부재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청소기 본체로부터 흡입구 부재를 제거한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
제10도는 청소기 본체와 전원 코드의 접속 관계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측면도.
제12도는 청소기 본체를 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제13도는 코드 걸이부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14도는 코드 걸이부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15도는 고정 핀과 클램프의 동작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6도는 고정 핀과 클램프의 동작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
제18도는 제15도에 있어서의 B-B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형 전선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0도는 제19b도에 있어서의 내부 파이프의 선단부를 확대한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내부 파이프와 핸들 고정 부분의 단면도.
제22도는 핸들을 축소한 때와 신장한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청소기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흡입구 본체 101 : 하부 케이스
102 : 상부 케이스 104 : 회전 청소 부재
105 : 흡입구 커버 106 : 개폐 레버
117 : 케이싱 118, 119 : 차륜
120 : 흡입구 125 : 터빈
904 : 제어 장치 수납부 906 : 내부 파이프
910 : 클램프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를 첨부할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세로형 전기 청소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이다.
도7에 있어서, 701은 제어 회로나 전동 송풍기 등을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 702는 청소기 본체(701)의 상방에 일체식으로 배치된 손잡이이다. 청소기 본체(701)의 배면측 및 측면측에는 전기 청소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703)를 청소기 본체(701)에 유지하기 위한 코드 걸이부(704, 705)가 배치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701)의 상방에는 전동 송풍기측 회전수를 조정하는 제어 스위치(706)를 갖는 핸들부(707)가 청소기 본체(701)에 대해 신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 청소기 본체(701)의 하방에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 부재(708)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1 내지 도6에 의해 흡입구 부재(708)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흡입구 부재(708)의 상면도, 도2는 흡입구 부재(708)의 종단면도, 도3은 흡입구 부재(708)의 상부 단면도, 도4는 흡입구 부재(708)의 분해 사시도, 도5는 흡입구 부재(708)와 청소기 본체(701)의 착탈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6은 도1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흡입구 부재(708)의 골격이 되는 흡입구 본체(100)는 그 대략 중앙의 높이에서 상하로 2분할되어 있으며, 외곽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1)와, 그 상부 후방에 배치하는 상부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01)와 상부 케이스(102)가 접촉하는 위치의 외주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가구 등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 흡수 범퍼(103)가 끼워 넣음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흡입구 본체(100)의 전방에는 회전 청소 부재(104) 흡입구 커버(105)가 배치되어 있다.
흡입구 커버(105)의 내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한 쌍의 개폐 레버(106)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를 조작함으로써, 흡입구 본체(100)로부터 흡입구 커버(105)를 착탈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2)는 흡입구 커버(105)측에 일부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홈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또, 흡입구 커버(105)에는 상기 홈부(108)에 끼워넣도록 동일 만곡 형상으로 리브(109)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2)와 흡입구 커버(105)의 맞춤부(110)는 흡입구 부재(708)를 상방으로부터 보면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만곡 형상으로 리브(109)가 설치되어 있는 흡입구 커버(105)는 직선형으로 형성한 흡입구 커버보다도 강도적으로 강하고, 또 흡입구 커버(105)의 성형시 휨도적다. 이로 인해, 상부 케이스(102)와 흡입구 커버(105)와 상부 케이스(102)의 맞춤부(110)의 간극이 미소해지므로, 청소기 본체(601)로부터의 흡입 기류의 누설이 감소하고, 흡입 성능, 회전 청소 부재(104)의 긁어 올림 성능이 향상된다. 게다가, 외관 의장면에서도 우수한 것이 된다.
상부 케이스(102)와 흡입구 커버(105)의 맞춤부(116)의 라인은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아 같이 청소기 본체(601) 하부 형상(501)과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청소기 본체(701)를 흡입구 부재(708) 상에 세운 경우에도, 흡입구 본체(100)로부터 흡입구 커버(105)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흡입구 본체(100)의 후방에는 상하회전 가능한 케이싱(117)이 배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01)에는 흡입구 부재(708)의 하면과 청소면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흡입구 부재(708) 전체를 전후 및 전후의 경사 방향으로도 이동하기 쉽도록 한 쌍의 전방 차륜(118)과, 그 전방 차륜(118)보다도 직경이 큰 후방 차륜(119)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후방 차륜(119)은 차륜축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01)에는 흡입구(120) 내의 흡입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는 압력 제어판(121, 122)이 그 흡입구(120) 전후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하부 케이스(101)에는 전체 주위가 등근 형상을 취하고 있는 물 빠짐 구멍(123)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 청소 부재(104)는 먼지의 긁어 올림, 청소 바닥면의 훔치기 등을 목적으로 행하기 위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홈에 부드러운 브러시와 딱딱한 브러시를 교대로 배치하여 그 양단부에는 터빈(125)이 견고하게 접착 삽입되어 있다.
터빈(125)은 터빈(A126)과 터빈(B127)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3개의 접합면은 초음파 용착에 의해 견고하게 고착되어 있다.
한 쌍의 터빈(125) 양단부에는 회전축(128)이 압입되어 있으며, 미끄럼 베어링(12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129)은 베어링 커버(130)에 압입되어 있으며, 하부 케이스(101)에 구비한 홈부(131)에 의해 유지하고 있다.
도6에 있어서, 흡입구 부재(708) 내에는 터빈(125)의 외부 주위를 거의 덮도록 터빈(125)을 향해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다익 노즐(132, 13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다익 노즐(132, 133)은 상하로 2분할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측 다익 노즐(132)은 나사에 의해 흡입구 커버(105)의 이면을 고정하고, 또 하측 다익 노즐(133)은 하부 케이스(101)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다익 노즐(132)을 흡입구 커버(105)와 함께 흡입구 본체(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므로, 터빈(125)과 동축 상에 있는 회전 청소 부재(104)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나사 및 전방 차륜(118)에 사용하고 있는 차축의 재질은 철에 아연 도금을 실시한 것으로 물에 닿아도 녹슬기 어려운 것이다. 또, 회전 청소 부재(104)에 사용하고 있는 회전축(128)의 재질은 스테인레스강 봉이며 방청성이 우수하다. 게다가 미끄럼 베어링(129)에는 폴리아세탈 수지를 사웅하고 있으므로 세척이 가능해지며, 기타 흡입구 부재(708)를 구성하는 전체 부재의 재질도 합성 수지제이므로 전체 부재 세척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흡입구 부재(708)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터빈(125)을 구동하기 위한 공기는 상부 케이스(102)의 상부에 구비한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갖는 흡기구(136)에 의해 흡기하고 다익 노즐(132, 133)로 유도된 후, 터빈(125)을 향해 유입된다. 이로써, 터빈(125)이 회전하고 일체로 되어 있는 회전 청소 부재(104)도 회전한다. 그 후, 터빈(125)을 향해 불어 댄 공기는 벨마우스 부분(134), 케이싱(117)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다.
한편, 먼지를 함유한 공기는 흡입구(121)로부터 직접 벨마우스 부분(134), 케이싱(117)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다.
상부 케이스(102)의 상부에 구비한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갖는 흡기구의 일부(137, 138, 139)는 청소기 본체(701)를 흡입구 부재(708) 상에 세운 상태로 하면, 청소기 본체(701)의 하부 형상(501)에 의해 폐쇄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터빈(125)을 구동하기 위한 공기의 양이 감소하므로, 회전 청소 부재(104)의 회전수가 정지 혹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청소기 본체(701)를 흡입구 부재(708)상에 세운 상태에서는 터빈이 고속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8 내지 도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8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701) 측면에는 전원 코드 삽입부(801)가 구비되어 있고, 전원 코드(703) 일단측의 L자형 플러그(802)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 코드(703)는 청소기 본체(701)의 전원 코드 삽입부(801)보다 상방에 구비한 코드 걸이부(704)와 전원 코드 삽입부(801)보다 하방에 구비한 코드 걸이부(705)에 귄취함으로써 보관할 수 있다.
도9는 청소기 본체(701)의 구조 단면도이다.
청소기 본체(701) 내부에는 전동 송풍기(901), 집진실(902)이 내장되어 있으며, 전동 송풍기(901)로부터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흡입한 먼지를 흡입구 부재(708), 케이싱(117)을 거쳐서 집진실(902)에 집진하도록 하고 있다.
전동 송풍기(901)의 상부에는 흡입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장치(903)를 수납하는 제어 장치 수납부(90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 수납부(904)는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701) 내부의 무효 공간을 없애고 청소기 본체(701)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 수납부(904)의 상부에는 청소기 본체(701)와 일체로 형성된 핸들(905)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 수납부(904)의 상방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져도 핸들(905)에 의해 제어 장치 수납부(904)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전원 코드 삽입부(801)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701)와는 별개 부재의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도10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701)에는 이 청소기 본체(701)보다도 오목한 오목부(1002)를 구비하고, 오목부(1002)의 내측에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코드 삽입부(801)의 형상은 청소기 본체(701)의 외형을 따라서 형성되고, 삽입부(상부)(1003)보다도 삽입부(하부)(1004)의 형상을 돌출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코드(703)의 청소기측 플러그(802)를 대략 L자형으로 하고 있으므로, 플러그(802)와 삽입부(하부)(1004)가 접촉하여 전원 코드(703)를 반대 방향으로 삽입할 수 없다. 또,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에는 플랜지부(1005)가 누비되고, 플랜지부(1005)를 2분할한 청소기 본체(701a)와 청소기 본체(701b)로 끼워 넣음으로써,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를 고정한다.
그리고, 코드(1006)는 청소기 본체(701)의 소비 전력이 최대 1000W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체의 유효 단면적이 2 ×1.25 ㎟로 절연 부재를 2중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코드(53)의 단면이 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비닐캡타이어 긴 원형코드(HVCTFK)를 사용하고 있다.
도11은 전원 코드(703)를 핸들(707)에 구비한 코드 유지부(1101)에 고정한 외관 측면도이다.
도11에 있어서, 전원 코드 삽입부(801)는 청소기 본체(701)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전원 코드(703)의 청소기측 플러그(801)의 형상을 대략 L자형으로 함으로써, 청소기 본체(701)가 직립한 상태일 때 전원 코드(703)는 청소기 본체(701)의 상방으로밖에 인출발 수 없으므로 전원 코드(703)가 흡입구 부재(708)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원 코드(703)는 청소기 본체(701)의 상방으로밖에 인출할 수 없으므로 핸들(707)이 상하로 신축해도 전원 코드(703)는 항상 핸들(707)을 따른 형상이 되며, 청소를 행하는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2에 청소기 본체(701)를 후방으로 회전한 때의 외관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12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기 본체(701)가 후방으로 회전한 때,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의 삽입 방향이 정면으로부터 보아 측방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에 먼지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3a, 도13b는 청소기 본체(701)에 구비한 코드 걸이부(704)의 단면도이다.
도13에 있어서, 코드 걸이부(704)는 회전식으로 되어 있으며, 도13b와 같이 코드 걸이부(704)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함으로써 이 부분에 전원 코드(703)를 권취하여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소기를 사용할 때는 코드 걸이부(704)를 축(130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코드(703)를 청소기 본체(70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14a, 도14b는 청로기 본체(701)에 구비한 코드 걸이부(705)의 단면도이다.
코드 걸이부(705)는 회전식으로 되어 있으며, 청소기를 사용할 때는 도1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외형상을 따른 상태에서 본체 표면에 수납된다. 청소가 종료한 경우에는 도1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걸이부(705)를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코드 걸이부(705)에 전원 코드(703)를 권취하여 추납할 수 있다.
그리고,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걸이부(704)를 청소기 본체(701)의 후방에 코드 걸이부(705)를 청소기 본체(701)의 측방으로 늦추어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전원 코드(703)를 권취한 때에 경사지게 권취하게 되며, 전원 코드(703)를 코드 걸이부(704)와 코드 걸이부(705)에 권취한 때의 한번 감은 거리가 길어지며, 전원 코드(703)의 권취 수가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9 및 도15 내지 도2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기 본체(701) 배면부에는 상하로 신축하는 힌들(703)에 접속한 내부 파이프(906)와 그를 유지하는 외부 파이프(907)를 구비하고, 외부 파이프(907)는 2분할한 청소기 본체(701)와 일체로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내부 파이프(906)의 원주 방향으로는 고정 구멍(906)이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 핀(909)을 고정 구멍(908)에 삽입함으로써 내부 파이프(906)를 신축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고 있다.
도15 및 도16은 고정 핀(909), 클램프(910)의 움직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18은 고정 핀 부분의 단면 B-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 및 도16에 있어서, 고정 핀(909)은 클램프(910)에 의해 미끄럼 이동하고 있으며, 클램프(910)가 축(1501)을 중심으로 원동작하는 데에 반해 고정 핀(909)은 내부 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만 가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핀(909)의 소직경부(909a)를 끼워넣도록 2갈래로 나누어진 클램프(910a, 910b)가 배치되고, 이 부분을 소직경부(909a)가 미끄러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핀(909)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고정 구멍(908)을 긴 원형 등으로 할 필요가 없고, 또 긴 원형으로 함에 따른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파이프(906)에는 고정 핀(909)과 끼워 맞추는 고정 구멍(908)이 복수개 구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청소기를 조작하는 사람이 알맞은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또,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파이프(90%)의 내측에는 시트(1801)가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 구멍(908)으로부터 내부 파이프(906) 내부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 파이프(906)의 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9에 있어서, 핸들(707) 내부에는 전돌 송풍기(901)의 제어 장치(903)로 신호를 발신하는 제어 스위치(706)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파이프(906)와 외부 파이프(907)의 신축 동작에 한정되지 않고, 항상 흡입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스위치(706)로부터 본체 내부의 제어 장치(903)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테이프형의 전선(911)을 이용하고 있다. 또, 테이프형 전선(911)은 내부 파이프(906)의 내부를 통하여 내부 파이프(906)의 선단부에서 신축에 필요한 길이를 느슨해지게 한 후 청소기 본체(701)와 외부 파이프(907) 사이에서 고정하고 있다.
도19a, 도19b, 도19c는 내부 파이프(906)와 외부 파이프(907)의 미끄럼 이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3는 핸들이 최대 신장시, 도19b는 핸들이 약 1/2 신장시, 도19c는 핸들이 최소 축소시의 각 테이프형 전선(911)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스위치(706)로부터 제어 장치(903)까지 단일한 테이프형의 전선(911)을 이용하고 있지만, 내부 파이프(906)의 선단부로부터 외부 파이프(907)의 선단부까지의 테이프형 전선(911)이 굴곡하는 부분이 중요하며, 기타 부분은 테이프형의 전선(911) 이외의 통신 수단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도20은 내부 파이프(906)의 선단부를 착대한 단면도이며, 내부 파이프(906)의 선단부에는 대략 원통형의 덮개 부재(912)가 구비되어 있으며, 테이프형의 전선(911)은 내부 파이프(906)의 내부를 통하여 덮개 부재(38)에 고정하고, 덮개 부재(912)는 내부 파이프(906) 선단부를 덮는 내부 파이프(906)에 고정하고 있다. 또 내부 파이프(906)에는 회전 방지 핀(913)을 구비하고 내부 파이프(906)에 직접 고정하고 있으며, 회전 방지 핀(913)에 의해 핸들(707)과 내부 파이프(906)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 파이프(906)가 외부 파이프(907)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21b는 핸들(707)과 내부 파이프(906)를 고정하는 부분의 단면도 C-C이다.
핸들(707)은 핸들L(2101)과 핸들R(2102)로 2분할하고 내부 파이프(906)에 구비한 핸들 고정용 관통 구멍(2103)에 의해 내부 파이프(906)와 일체로 나사(2104)로 고정되어 있다.
도2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분할한 핸들L(2101)과 핸들R(2102)체 구비한 둥근 보스(2105a, 2105b)의 길이가 거의 동일하면, 핸들L(2101), 핸들R(2102)과 내부 파이프(906)를 조립할 때 테이프형의 전선(911)을 끼워 넣는 위험성이 있었지만, 도21b와 같이 둥근 보스(2105a보다도 2105b)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테이프형 전선(911)을 끼워 넣는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21c와 같이 2분할한 핸들(707)의 한쪽에만 둥근 보스(2105a)를 구비하고 핸들L(2101), 핸들R(2102)과 내부 파이프(906)의 고정을 행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901)의 흡입력을 조정 가능한 제어 스위치(706)를 구비한 상하로 신축하는 핸들(707)의 높이를 최소 축소시에는 700mm 이하로, 최대 신장시에는 1000mm 이상으로 신축 가능하며, 벽장을 수납 장소로 한 경우, 대부분의 가정에 있는 벽장 하단의 높이는 약 700mm 이상이므로 핸들의 로크를 클램프에 의해 제거하고 핸들을 최하부까지 낮추는 것만으로 대부분의 가정에 있는 벽장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청소기를 사용하는 경우, 청소기의 최상부인 핸들의 높이는 청소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약 800mm 필요하며 청소기 본체를 전후 조작을 행할 때 흡입구로 부터 핸들까지의 높이는 청소기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약 1000mm 필요해지지만 본 발명의 청소기는 핸들을 최상부까지 신장한 것만으로 통상의 청소가 가능하므로 수납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의 조작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핸들 높이가 복수 단층에서 확실히 고정 가능한 조작성과 수납성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전동 송풍기 및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된 회전 청소 부채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상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터빈과,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과,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흡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전동 송풍기 및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를 씌워서 형성한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된 회전 청소 부재와, 상기 흡입구의 상부를 덮는 흡입구 커버와, 상기 회전 청소 부재의 회전축과 동일축 상에서 상기 회전 청소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터빈과,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된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흡입구 커버의 상기 청소기 본체측의 일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한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 하부에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상기 전동 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를 삽입하는 전원 코드 삽입부를 배치하고, 상기 전원 코드를 L자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코드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코드 삽입부의 하방을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6.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방에 상기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배치된 외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내부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부 파이프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는 동시에 소직경부를 갖는 고정 핀, 및 상기 고정 핀을 가동하기 위를 클램프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 핀을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7.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방에 상기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배치된 외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내부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부 파이프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는 동시에 소직경부를 갖는 고정 핀, 및 상기 고정 핀을 가동하기 위한 클럼프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 핀의 소직경부를 끼워넣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파이프 내에 테이프형 전선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19980001872A 1997-01-23 1998-01-22 전기청소기 KR100300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964 1997-01-23
JP97-9965 1997-01-23
JP996597A JPH10201682A (ja) 1997-01-23 1997-01-23 電気掃除機
JP996397A JPH10201674A (ja) 1997-01-23 1997-01-23 電気掃除機
JP97-9963 1997-01-23
JP996497A JPH10201675A (ja) 1997-01-23 1997-01-23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703A KR19980070703A (ko) 1998-10-26
KR100300699B1 true KR100300699B1 (ko) 2001-10-27

Family

ID=2727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872A KR100300699B1 (ko) 1997-01-23 1998-01-22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00699B1 (ko)
CN (1) CN1107480C (ko)
TW (1) TW3392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2191B2 (ja) * 2003-06-13 2007-02-14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2822495Y (zh) * 2005-10-14 2006-10-04 苏志平 吸尘器地刷
JP6435204B2 (ja) * 2015-01-28 2018-12-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5476543A (zh) * 2015-12-27 2016-04-13 天津达瑞福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型的智能扫地机
JP6604881B2 (ja) * 2016-03-24 2019-11-13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8493662B (zh) * 2018-04-27 2024-03-19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一种稳固充电端子座及其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093A (ja) * 1994-06-27 1996-01-19 Sony Corp 体感シュミレータシステム
US6212732B1 (en) * 1995-03-15 2001-04-10 Hitachi, Ltd. Vacuum cleaner and suction nozzle body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480C (zh) 2003-05-07
CN1194128A (zh) 1998-09-30
TW339273B (en) 1998-09-01
KR19980070703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06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5802666A (en) Power brush for a vacuum cleaner
US5544385A (en) Filter bag mounting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H10201682A (ja) 電気掃除機
EP0289987A2 (en) Vacuum cleaner
JPH11206629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JPH0675560B2 (ja) 電気掃除機
KR100300699B1 (ko) 전기청소기
KR10020813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CN2354491Y (zh) 多功能吸尘器
CN208566867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3300607B2 (ja) 電気掃除機
JPH01268526A (ja) 電気掃除機の回転ブラシ吸口
JP3819556B2 (ja) 床用吸込具
CN2548539Y (zh) 手携式吸尘器
CN217057648U (zh) 吸油烟机
JP2000300483A (ja) 電気掃除機
JP385821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CN2441052Y (zh) 一种清洗方便的排油烟机
JPS631964Y2 (ko)
KR101065685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970001030B1 (ko) 전기소제기 및 그 전기소제기에 사용되는 재치대
JPS6012503Y2 (ja) 掃除機
JP200129294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床用吸込具
JPH1119010A (ja) 床用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