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788B1 - 온도보상기능을갖는단일코일형아이들회전속도컨트롤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온도보상기능을갖는단일코일형아이들회전속도컨트롤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788B1
KR100299788B1 KR1019960073200A KR19960073200A KR100299788B1 KR 100299788 B1 KR100299788 B1 KR 100299788B1 KR 1019960073200 A KR1019960073200 A KR 1019960073200A KR 19960073200 A KR19960073200 A KR 19960073200A KR 100299788 B1 KR100299788 B1 KR 10029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deviation
speed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070A (ko
Inventor
김한일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73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7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2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 F02D31/003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for idle speed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의한 캐패시터 용량의 변화가 보상됨과 더불어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피드백 전압에 의해 보상되도록 된 온도보상 기능을 갖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 코일(L1)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감지용 저항소자(R7)로부터 피드백되어 전자 제어 유니트(ECU; 10)의 피드백 단자(B)로 입력되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에 있어서, 온도 변화에 따른 캐패시터의 용량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편차를 보상하는 보상회로(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도보상 기능을 갖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
본 발명은 온도보상 기능을 갖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 변화에 의한 캐패시터 용량의 변화가 보상됨과 더불어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피드백 전압에 의해 보상되도록 된 온도보상 기능을 갖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 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어 유니트(ECU)로부터의 전기신호를 기계 계통의 움직임으로 변환시켜 일을 수행하는 장치가 액추에이터인 바, 이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수족(手足)과 같은 것이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ECU)로부터 소정의 이상적인 제어연산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출력되게 되면, 소정 액츄에이터는 이를 충실하게 기계적 에너지 형태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종적인 출력 형태는 전기신호를 힘과 변위 등의 물리량으로 변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센서와 같은 하이테크 기술은 없지만, 대상이 되는 상대 기계의 부품과 구조ㆍ조직적으로 일체화되어 작동할 것이 요구되게 된다.
한편, 가솔린 엔진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아 스로틀 밸브를 조작하여 엔진에 흡입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idle speed control)에 의해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정차 중과 같은 경우의 엔진 저속 회전시에는 스로틀 밸브가 모두 닫힌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밸브 보디와 틈 또는 스로틀 밸브를 바이패스하는 아이들 어저스트 통로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엔진의 아이들 회전수는 가능한 낮은 값으로 하는 편이 연비나 소음면에서 유리하지만, 이때는 저속 회전이기 때문에 출력이 작은데다가 엔진 자체의 마찰 저항, 에어컨디셔너, 자동 변속기, 파워 스티어링, 올터네이터 등에 의해 부하가 변동되어 엔진의 회전수가 변동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액추에이터에서의 공기유량 제어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는 전자 제어 유니트(ECU; 10)와, 제 1 및 제 2 인버터소자(15, 16), 신호증폭부(20), 제 1 트랜지스터(Q1),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 코일(L1) 및, 저항(R3, R7)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에서의 공기 유량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단자(B)로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코일(L1)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신호증폭부(20)를 통해 입력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가 상기 코일(L1)로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한 후 이 전류량에 따른 소정 제어전압을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단자(A)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에서는 상기 피드백 전압과 기준 전압의 차에 따른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이 제어전압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코일(L1)로 흐르는 전류가 제어되게 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흡입유량이 제어되게 된다.
이후, 상기 단자(A)로부터의 제어전압이 제 1 및 제 2 인버터소자(15,16)와 저항(R3)을 통해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되게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상기 제어전압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의 코일(L1)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증폭부(20)는 제 1 및 제 2 OP 앰프(11, 12)와, 제 2 트랜지스터(Q2), 캐패시터(C1) 및, 저항(R1, R2, R4, R5 R6)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증폭부(20)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코일(L1)로부터의 전류가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전류 검출용 저항(R7) 및 접지로 이루어진 회로로 흐르게 되게 되면, 상기 전류를 검출한 후 증폭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단자(B)로 입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제어회로에서는 대기온도의 변환시 캐패시터의 용량이 변화되게 되면, 펄스 듀티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응답성이 저하되게 되어 전자 제어 유니트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부담이 가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 변화에 의한 캐패시터 용량의 변화가 보상됨과 더불어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피드백 전압에 의해 보상되도록 된 온도보상 기능을 갖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감지용 저항소자로부터 피드백되어 전자 제어 유니트의 피드백 단자로 입력되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제어회로에 있어서, 온도 변화에 따른 캐패시터의 용량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편차를 보상하는 보상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의한 캐패시터 용량의 변화가 보상됨과 더불어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피드백 전압에 의해 보상되게 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보상 기능을 갖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각 회로소자에서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 제어 유니트(ECU) 11,12 : 제 1 및 제 2 OP 앰프.
15,16 : 제 1 및 제 2 인버터소자 25 : 전압 소거부
26 : 전압파형 형성부 27 : 편차전압 상쇄부
28 : 전류 검출부 29 : 전압 증폭부
40 : 보상회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어 유니트(ECU; electronic control unit)는 각종 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엔진상태에 대응하는 연료분사량을 제어하고, 이 분사량에 대응하여 분사기(injector)의 분사시간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점화시기도 제어하고 있다.
먼저, 엔진내의 흡입공기량과 엔진 회전속도로부터 기본 분사시간을 계산 한 후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보정시간을 더하여 총 분사시간(연료분사량)을 결정하고 있다. 종래의 전자 제어 유니트(ECU)는 연료 분사제어 뿐이지만, 최근에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디지탈 제어가 종래의 아날로그 제어에 비해 짧은 시간에 다량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다기능을 갖는 고정밀도의 집중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ECU)로 입력되는 센서신호의 형태로는 스로틀 위치신호(throttle position signal)나 수온센서 등의 아날로그 신호와, 아이들 스위치의 접점신호나 차속 센서신호 등의 디지탈 신호의 2 종류가 있다. 상기 신호의 형태의 차이에 따라 전자 제어 유니트(ECU)의 입력 처리방법도 달라지게 된다.
한편, 센서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전자 제어 유니트(ECU)로 입력되게 되면, 먼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ECU)의 입력회로를 통하게 되는데, 이때 디지탈 신호는 직접, 아날로그 신호는 A-D 컨버터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후 연산처리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ECU)는 상기 신호에 의해 엔진 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연료 분사시간을 결정한 후 그 결과를 출력회로를 통해 분사기를 구동하게 된다.
한편, 가솔린 엔진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엑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아 스로틀 밸브를 조작하여 엔진에 흡입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idle speed control)에 의해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정차 중과 같은 경우의 엔진 저속 회전시에는 스로틀 밸브는 모두 닫힌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밸브 보디와 틈 또는 스로틀 밸브를 바이패스하는 아이들 어저스트 통로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엔진의 아이들 회전수를 가능한 낮은 값으로 하는 편이 연비나 소음면에서 유리하지만, 저속 회전이기 때문에 출력이 작은데다가 엔진 자체의 마찰 저항, 에어컨디셔너, 자동 변속기, 파워 스티어링, 올터네이터 등 부하 변동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어 엔진의 회전수가 변동되게 된다.
한편,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의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아이들 회전시에는 스로틀 밸브가 닫혀지게 되지만, 이 밸브의 틈새 및 바이패스시키는 아이들 회전 조절통로를 통해 공기가 엔진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엔진은 유입된 공기에 의해 연소된 출력과 엔진 자체의 마찰의 조화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그러나, 엔진의 마찰이 시효(aging)될 경우 또는 스로틀의 틈새에 공기중 부유하고 있는 작은 이물질이 부착하여 공기량이 변화될 경우 아이들 회전속도가 변화되게 된다. 이때, 아이들 회전속도가 저하되게 되면 공회전이 불안정하게 되고, 발진시에는 엔진 스톨(stall)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아이들 회전속도가 커지게 되면 아이들 회전 연비가 악화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의 액추에이터는 엔진의 실제 회전속도와 냉각수 온도, 냉방장치 스위치, 인히비터(inhibitor) 스위치의 부하상태에 의해 결정된 목표 회전수와 비교한 후 이 비교된 차에 대응된 목표 회전속도가 되도록 제어량을 결정하여 액추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공기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량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는 크게 스로틀 밸브의 위치를 제어하는 스로틀 밸브 직동(直動)방식과 스로틀 밸브를 바이패스시켜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공기(by-pass air)방식이 있다.
한편, 상기 스로틀 밸브 직동방식은 전자 제어 유니트(ECU)의 신호에 의해 모터가 좌우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플런저(plunger)가 웜기어 (worm gear) 및 웜휠(worm wheel)에 의해 왕복운동함으로써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조정하여 공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공기방식은 스로틀 밸브를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통로 면적을 스텝모터(step motor), 선형 솔레노이드(solenoid), 로터리 솔레노이드 (rotary solenoid) 등을 사용하여 전자 제어 유니트(ECU)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아이들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보상 기능을 갖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여기서, 종래의 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 코일(L1)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감지용 저항소자(R7)로부터 피드백되어 전자 제어 유니트(ECU; 10)의 피드백 단자(B)로 입력되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는 온도변화에 따른 캐패시터의 용량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편차를 보상하는 보상회로(4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보상회로(40)는 상기 전류 감지용 저항소자(R7)로부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8)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출력단자(A)로부터의 출력전압을 기초로 기준 전압 파형을 형성하는 전압파형 형성부(26), 이 전압파형 형성부(26)로부터의 전압파형과 상기 전류 검출부(28)로부터의 전압파형을 기초로 외부 영향에 의한 편차전압을 상쇄하는 편차전압 상쇄부(27), 이 편차전압 상쇄수단(27)의 전압을 소거 및 제어하는 전압 소거수단(25) 및, 상기 편차전압 상쇄부(27)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피드백단자(B)로 입력하는 전압 증폭부(2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편차전압 상쇄부(27)는 물리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일체화된 2 개의 캐패시터(C11, C21)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캐패시터(C11, C21)는 온도에 의한 용량 변화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물리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거의 동일 환경에서 제작되어 동일한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캐패시터 (C11, C21)는 1 개의 패키지로 형성되어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해 동일 크기로 용량의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유사한 신호가 입력될 경우 외부 영향에 대한 편차가 상쇄되게 된다.
상기 전압파형 형성부(26)는 트랜지스터(Q2)와 제너 다이오드(D1) 및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고, 상기 전압파형 형성부(26)와 편차전압 상쇄부(27)의 캐패시터(C11)에 의한 회로에 의해 삼각파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출력단자(A)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신호인 동안에는 램프(ramp) 전압이 발생하고, "로우" 레벨신호인 동안에는 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류 검출부(28)는 OP 앰프(20)와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되고, 상기 전류 검출부(28)와 편차전압 상쇄부(27)의 캐패시터(21)에 의한 회로에 의해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출력단자(A)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신호인 동안에는 전류 감지용 저항(R7) 양단에 흐르는 전류에 상당하는 전압이 상기 캐패시터(C21)에 공급되고, "로우" 레벨신호인 동안에는 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압증폭부(29)의 OP 앰프(22)와 OP 앰프(23)가 상기 편차전압 상쇄부(27)의 캐패시터(C11, C21) 전압을 버퍼링한 후 OP 앰프(22, 23)의 차전압을 OP 앰프(21)로 입력하게 된다. 이후, 상기 OP 앰프(21)에 의해 상기 차전압이 증폭된 후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피드백 단자(B)로 입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는 출력단자(A)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신호 이후의 상기 OP 앰프(21)의 출력을 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Q7) 및, NOT 게이트(17)로 구성된 회로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하이" 레벨신호를 이용하게 된다. 이후, 상기 회로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5, Q6)로 공급됨으로써 이전에 상기 캐패시터(C11, C21)에 충전된 전압을 소거하게 된다.
도 3a는 전자 제어 유니트(ECU)의 출력단자(A)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OP1 앰프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파선은 캐패시터(C11, C21)의 전압파형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3c는 NOT 게이트(17)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d는 OP4앰프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본원 청구범위의 각 구성요건에 병기된 도면참조부호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할 의도에서 병기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확한 속도제어를 위해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용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피드백하여 차기 신호공급시 보상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바, 이러한 방법으로는 온도에 따른 캐패시터의 용량 변화를 보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캐패시터의 용량의 변화가 보상됨으로써 펄스 듀티의 급격한 변화에도 응답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니트로 피드백되는 값, 예컨대 지시치와 측정치의 편차값이 보상됨으로써 전자 제어 유니트의 부담이 감소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도 변화에 의한 캐패시터 용량의 변화가 보상되고,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용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피드백 전압에 의해 보상되게 된다.

Claims (1)

  1.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 코일(L1)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감지용 저항소자(R7)로부터 피드백되어 전자 제어 유니트(ECU: 10)의 피드백 단자로 입력되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용 저항소자(R7)로부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수단(28)과;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출력단자(A)로부터의 출력전압을 기초로 기준 전압 파형을 형성하는 전압파형 형성수단(26); 이 전압파형 형성수단(26)으로부터의 전압파형과 상기 전류 검출수단(28)으로부터의 전압파형을 기초로 외부 영향에 의한 편차전압을 상쇄하도록 물리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일체화된 2개의 커패시터(C11, C21)로 이루어진 편차전압 상쇄수단(27); 이 편차전압 상쇄수단(27)의 전압을 소거 및 제어하는 전압 소거수단(25) 및; 상기 편차전압 상쇄수단(27)으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피드백 단자(B)로 입력하는 전압 증폭수단 (2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보상 기능을 갖는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제어회로.
KR1019960073200A 1996-12-27 1996-12-27 온도보상기능을갖는단일코일형아이들회전속도컨트롤제어회로 KR10029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200A KR100299788B1 (ko) 1996-12-27 1996-12-27 온도보상기능을갖는단일코일형아이들회전속도컨트롤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200A KR100299788B1 (ko) 1996-12-27 1996-12-27 온도보상기능을갖는단일코일형아이들회전속도컨트롤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70A KR19980054070A (ko) 1998-09-25
KR100299788B1 true KR100299788B1 (ko) 2001-11-22

Family

ID=3752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200A KR100299788B1 (ko) 1996-12-27 1996-12-27 온도보상기능을갖는단일코일형아이들회전속도컨트롤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7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3395A (en) * 1977-09-16 1980-05-20 The Bendix Corporation Closed-loop idle speed control system for fuel-injected engines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3395A (en) * 1977-09-16 1980-05-20 The Bendix Corporation Closed-loop idle speed control system for fuel-injected engines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70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2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or-driven throttle valve, automobile, method of measuring temperature of motor for driving automotive throttle valve, and method of measuring motor temperature
US6499461B2 (en) Adjustment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various temperature characteristics
US5544000A (en) Electric control apparatus
US200100042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utput of position measurement sensor
JP2003533632A (ja) 信号のフィルタリ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0953755A3 (de) Steuereinrichtung für Verbrennungsmotoren
US5809966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positioning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551666A1 (en) Oxygen content sensor input device
KR100299788B1 (ko) 온도보상기능을갖는단일코일형아이들회전속도컨트롤제어회로
JPH08303285A (ja) 自動車用バルブ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198544B2 (ja) 電子スロットル制御装置
KR100442895B1 (ko) 유통매체장입량검출용측정저항온도제어장치및온도제어방법
KR200154465Y1 (ko) 자동차의 아이들 스피드 조절 엑추에이터
KR19980054073A (ko) 역서지전압 보호회로를 갖춘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isc) 제어회로
KR100273144B1 (ko) 단일 코일형 아이들 회전속도 컨트롤 액추에이터에서의 공기유량제어방법
EP0366620A1 (en) A circuit for controlling a direct-current motor
JP4439314B2 (ja) スロットル開度制御装置及びスロットル開度制御方法
KR100349856B1 (ko) 차량의 매니폴드 절대 압력 센서 출력 보정 장치
GB2318656A (en) Controlling a current regulating loop
KR200196347Y1 (ko) 브레이크 디스크의 수분제거회로
JP3543744B2 (ja) 定電圧電源回路
KR200158172Y1 (ko) 공회전 속도 제어 밸브의 안정화 장치
KR100267325B1 (ko) 단일 코일형 공전속도 제어밸브의 온도 보상장치
JPH05215268A (ja) 油圧ソレノイドバルブ補正装置
JPS5898638A (ja) 燃料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