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307B1 - 배전 계통 운용장치 - Google Patents

배전 계통 운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307B1
KR100299307B1 KR1019970037534A KR19970037534A KR100299307B1 KR 100299307 B1 KR100299307 B1 KR 100299307B1 KR 1019970037534 A KR1019970037534 A KR 1019970037534A KR 19970037534 A KR19970037534 A KR 19970037534A KR 100299307 B1 KR100299307 B1 KR 10029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node
information
group
cal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432A (ko
Inventor
이즈미 오까니와
마사히로 사토
까즈꼬 고토우다
히로시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8001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잡한 배전 계통 전체의 파악을 고속으로 행하고, 송전 손실량을 최소한으로 하는 최적 계통 구성을 구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억 장치의 입력 정보 영역에서 취입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를 기억장치에 보존하는 데이타 취입 수단과, 그들 정보를 기초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에서 배전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기도 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를 폐조작함으로써 어드미턴스 행렬의 일부를 보정하고, 노드 주입량을 설정하여 전류열 벡터를 작성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보정한 어드미턴스 행렬과 설정한 전류열 벡터에 의해 노드 전압을 구하는 전압 산출 수단과,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전압차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구하는 전류 산출 수단과,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추출 수단과, 동일 루프를 구성하는 노드를 구하는 루프 구성 노드 검출 수단과, 브랜치와 노드를 각각 개폐기와 구간으로 치환하는 루프 구성 개폐기 및 구간 추출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전 계통 운용 장치
본 발명은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비 운용, 설비 계획에 있어서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서, 루프를 구성하는, 개폐기와 구간을 검출하는 것에 대해서, 배전 계통의 상태 파악을,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상태 및 개폐기의 개폐 상태를 기초로 순차 탐색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와 구간을, 검출하거나, 분리계 발생의 유무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이 채택되고 있었다.
또, 배전 계통의 송전 손실량이 작아지는 계통 구성을 얻기 위해서는, 운용자의 경험을 기초로 각 배전선마다 개방하는 개폐기의 개폐위치를 이동시켜, 송전 손실량이 작다고 생각되는 계통을 결정하고, 계통 전체에서 전압 강하가 큰 구간을 송신 손실이 적은 다른 배전선에 할당하고 재차 송전 손실량을 계산하여 계통을 결정함으로서 해를 구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 종래 방법에서는 배전 계통 운용장치를 이용하여 상술한 계산을 행하고, 최종적인 계통의 판단은 인간계에서 행한다. 또는 모든 인간계의 판단에 맡기어 계통 구성을 결정하고 있다.
상기 종래 방식에 의하면,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상태 및 개폐기의 개폐 상태를 기초로 순차 검색하여 배전 계통을 파악하고 있으므로, 루프를 구성하는, 개폐기와 구간을, 검출하거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와 구간을, 검출하거나, 분리계 발생의 유무에는, 순차 검색에 의한 해의 취득이 행해지고 있지만, 탐색 알고리즘이 복잡하게 되어 있다.
또, 전력 사업에 있어서 배전 운용상, 공급하는 전력의 일부가 배전선 자신의 저항에 의한 송전 손실로서 무용지물이 되므로 송전 손실의 저감에 주목하고 있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현재 운용하고 있는 배전 계통을 기초로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개폐기의 개폐 위치를 이동시켜, 송전 손실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어,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배전 계통은 복잡한 계통이므로 최적의 계통을 대부분 인간계에서 검토하므로, 배전 계통에 의한 복잡한 계통을 다루는 데에는 매우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이 되는 배전 계통 전체의 파악을 정확하게 또한 고속으로 행하여, 보다 정확도가 높게 송전 손실량을 최소한으르 하는 최적 계통 구성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배전 계통운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청구항 1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2도는 배전 계통과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3도는 청구항 1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4도는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청구항 1의 배전 계통에 대한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 정보 및 노드/브랜치 정보 예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청구항 1의 어드미턴스 행렬 예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청구항 1의 노드/브랜치의 모델화 방법과 도 4의 계통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청구항 1의 계산식을 나타낸 도면.
제9도는 청구항 1의 노드 전압 계산 결과 예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청구항 1의 브랜치 전류 계산 결과 예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청구항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12도는 청구항 2의 플로우 챠트.
제13도는 청구항 1, 청구항 2의 배전 계통에 대한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 정보 및 노드/브랜치 정보 예를 나타낸 도면.
제14도는 청구항 2, 청구항 3의 어드미턴스 행렬 예를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청구항 2, 청구항 3의 보정 후 어드미턴스 행렬 예를 나타낸 도면.
제16조는 청구항 2, 청구항 3의 개산식을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청구항 2, 청구항 3의 노드 전압 계산 결과 예를 나타낸 도면.
제18도는 청구항 3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19도는 청구항 3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20도는 청구항 4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21도는 청구항 4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22도는 청구항 4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23도는 청구항 4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24도는 청구항 4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25도는 청구항 4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26도는 청구항 4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27도는 청구항 4의 계산 결과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28도는 청구항 4의 계산식.
제29도는 청구항 4의 계산 결과 예를 나타낸 도면.
제30도는 청구항 4의 계산 결과 예를 나타낸 도면.
제31도는 청구항 5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32도는 청구항 5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33도는 청구항 5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34도는 청구항 5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35도는 청구항 5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36도는 청구항 5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37도는 청구항 5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38도는 청구항 5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39도는 청구항 5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40도는 청구항 5의 모델화 계통을 나타낸 도면.
제41도는 청구항 5의 계산 결과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42도는 청구항 5의 계산 결과 예를 나타낸 도면.
제43도는 청구항 5의 계산 결과 예를 나타낸 도면.
제44도는 청구항 5의 계산 결과 예를 나타낸 도면.
제45도는 청구항 5의 축퇴전/축퇴후 대응 테이블 예를 나타낸 도면.
제46도는 청구항 6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47도는 청구항 6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48도는 청구항 6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49도는 청구항 6의 모델화 계통(1)을 나타낸 도면.
제50도는 청구항 6의 모델화 계통(2)을 나타낸 도면.
제51도는 청구항 6의 모델화 계통(3)을 나타낸 도면.
제52도는 청구항 6의 모델화 계통(4)을 나타낸 도면.
제53도는 청구항 6의 모델화 계통(5)을 나타낸 도면.
제54도는 청구항 6의 모델화 계통(6)을 나타낸 도면.
제55도는 청구항 6의 모델화 계통(7)을 나타낸 도면.
제56도는 청구항 6의 모델화 계통(8)을 나타낸 도면.
제57도는 청구항 6의 브랜치 전류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1)를 나타낸 도면.
제58도는 청구항 6의 브랜치 전류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2)를 나타낸 도면.
제59도는 청구항 6의 결과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60도는 청구항 6의 그룹 1의 분할전/분할후 대응 테이블.
제61도는 청구항 7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도.
제62도는 청구항 7의 수단의 플로우 챠트.
제63도는 청구항 7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64도는 청구항 7의 모델화 계통(1)을 나타낸 도면.
제65도는 청구항 7의 모델화 계통(2)을 나타낸 도면.
제66도는 청구항 7의 모델화 계통(3)을 나타낸 도면.
제67도는 청구항 7의 모델화 계통(4)을 나타낸 도면.
제68도는 청구항 7의 모델화 계통(5)을 나타낸 도면.
제69도는 청구항 7의 모델화 계통(6)을 나타낸 도면.
제70도는 청구항 7의 결과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71도는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9의 계산식을 나타낸 도면.
제72도는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9의 계산식을 나타낸 도면.
제73도는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9의 계산식을 나타낸 도면.
제74도는 청구항 7의 브랜치 전류 산출과 계통 체크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75도는 청구항 7의 브랜치 전류 산출과 계통 체크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76도는 청구항 7의 송전 손실량 산출과 계통 체크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77도는 청구항 7의 송전 손실량 산출과 계통 체크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78도는 청구항 8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제79도는 청구항 8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80도는 청구항 8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81도는 청구항 8의 모델화 계통(1)을 나타낸 도면.
제82도는 청구항 8의 모델화 계통(2)을 나타낸 도면.
제83도는 청구항 8의 모델화 계통(3)을 나타낸 도면.
제84도는 청구항 8의 모델화 계통(4)을 나타낸 도면.
제85도는 청구항 8의 모델화 계통(5)을 나타낸 도면.
제86도는 청구항 8의 모델화 계통(6)을 나타낸 도면.
제87도는 청구항 8의 모델화 계통(7)을 나타낸 도면.
제88도는 청구항 8의 모델화 계통(8)을 나타낸 도면.
제89도는 청구항 8의 모델화 계통(9)을 나타낸 도면.
제90도는 청구항 8의 브랜치 전류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1)를 나타낸 도면.
제91도는 청구항 8의 브랜치 전류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2)를 나타낸 도면.
제92도는 청구항 8의 브랜치 전류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3)를 나타낸 도면.
제93도는 청구항 8의 송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1)를 나타낸 도면.
제94도는 청구항 8의 송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2)를 나다낸 도면.
제95도는 청구항 8의 결과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 도면.
제96도는 청구항 8의 축퇴전/축퇴후 대응 테이블.
제97도는 청구항 9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98도는 청구항 9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99도는 청구항 9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100도는 청구항 9의 모델화 계통(1)을 나타낸 도면.
제101도는 청구항 9의 모델화 계통(2)을 나타낸 도면.
제102도는 청구항 9의 모델화 계통(3)을 나타낸 도면.
제103도는 청구항 9의 모델화 계통(4)을 나타낸 도면.
제104도는 청구항 9의 모델화 계통(5)을 나타낸 도면.
제105도는 청구항 9의 모델화 계통(6)을 나타낸 도면.
제106도는 청구항 9의 모델화 계통(7)을 나타낸 도면.
제107도는 청구항 9의 모델화 계통(8)을 나타낸 도면.
제108도는 청구항 9의 모델화 계통(9)을 나타낸 도면.
제109도는 청구항 9의 브랜치 전류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1)를 나타낸 도면.
제110도는 청구항 9의 브랜치 전류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2)를 나타낸 도면.
제111도는 청구항 9의 송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1)를 나타낸 도면.
제112도는 청구항 9의 송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2)를 나타낸 도면.
제113도는 청구항 9의 결과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114도는 청구항 9의 축퇴전/축퇴후 대응 테이블.
제115도는 청구항 10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116도는 청구항 10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117도는 청구항 10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118도는 청구항 10의 모델화 계통(1)을 나타낸 도면.
제119도는 청구항 10의 모델화 계통(2)을 나타낸 도면.
제120도는 청구항 10의 모델화 계통(3)을 나타낸 도면.
제121도는 청구항 10의 결과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122도는 청구항 10의 계산식을 나타낸 도면.
제123도는 청구항 10의 계산식을 나타낸 도면.
제124도는 청구항 10의 송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1)를 나타낸 도면.
제125도는 청구항 10의 송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2)를 나타낸 도면.
제126도는 청구항 11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127도는 청구항 11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128도는 청구항 11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129도는 청구항 11의 모델화 계통(1)을 나다낸 도면.
제130도는 청구항 11의 모델화 계통(2)을 나타낸 도면.
제131도는 청구항 11의 모델화 계통(3)을 나다낸 도면.
제132도는 청구항 11의 모델화 계통(4)을 나타낸 도면.
제133도는 청구항 11의 송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1)를 나타낸 도면.
제134도는 청구항 11의 송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2)를 나타낸 도면.
제135도는 청구항 11의 결과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136도는 청구항 11의 축퇴전/축퇴후 대응 테이블.
제137도는 청구항 1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138도는 청구항 12의 처리 플로우 챠트.
제139도는 청구항 12의 배전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140도는 청구항 12의 모델화 계통(1)을 나타낸 도면.
제141도는 청구항 12의 모델화 계통(2)을 나타낸 도면.
제142도는 청구항 12의 모델화 계통(3)을 나타낸 도면.
제143도는 청구항 12의 모델화 계통(4)을 나타낸 도면.
제144도는 청구항 12의 모델화 계통(5)을 나타낸 도면.
제145도는 청구항 12의 모델화 계통(6)을 나타낸 도면.
제146도는 청구항 12의 결과 계통 예를 나타낸 도면.
제147도는 청구항 12의 그룹 1의 분할전/분할후 대응 테이블.
제148도는 청구항 12의 송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1)를 나타낸 도면.
제149도는 청구항 12의 송전 손실 변화량 산출 및 계통 체크 결과(2)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전용 변전소 11 : 배전용 변압기
12 :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 13 : 개폐기
14 : 구간 17 : 배전 계통 운용 장치
19 : 중앙 처리 장치 20 : 기억 장치
21 : 입력 장치 22 : 출력 장치
23, 201, 301, 401, 501, 601, 701, 901, 1001, 1101, 1201 : 데이타 입력수단
24, 202, 302, 402, 502, 602, 702, 902, 1002, 1102, 1202 ; 데이터 변환수단
25, 203, 303, 404, 612 : 데이타 보정 수단
26, 204, 304 : 전압 산출 수단 27 : 전류 산출 수단
28, 908 :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
29 : 루프 구성 노드 검출 수단
30 : 루프 구성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
31, 209, 308, 413, 517, 617, 722, 954, 1015, 1118, 1218 ; 배전 계통 설비 정보
32, 208, 309, 415, 519, 619, 720, 952, 1016, 1017, 1120, 1220 : 개폐기 정보
33, 410, 515, 615, 719, 951, 1012, 1116, 1216 : 입력 정보 영역
34, 211, 311 :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
35, 212, 312 : 전류열 벡터 정보
36 : 전류 정보 37, 1230 :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
38 : 루프 구성 노드 정보 39, 213, 313 : 전압 정보
40, 210, 310, 416, 422, 525, 625, 725, 957, 1018 : 계산 필요 정보
41, 215, 315, 523, 624, 737, 969, 1026, 1136, 1225 : 출력 영역
205 : 말단 계통 노드 검출 수단 206 : 말단 계통 브랜치 검출 수단
207, 307 : 입력 정보 영역 214 : 말단 계통 노드 정보
216 : 말단 계통 브랜치 정보
217 : 말단 계통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
305 : 분리계 노드 검출 수단 306 : 분리계 브랜치 검출 수단
314 : 분리계 노드 정보 316 : 분리계 브랜치 정보
317 : 분리계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
318 : 분리계 발생 판정 수단
403, 509, 609, 703, 903 :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
404, 512, 704, 904 : 데이타 보정 수단
405, 508, 608, 705, 905 :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
406, 510, 610, 706, 906 :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抽出) 수단
407, 513, 613, 707, 907 :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
408, 511, 611, 709, 909 : 계통 체크 수단
409, 514, 614, 716 :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
411, 516, 616, 723, 955, 1013, 1117, 1217 : 운전원 실정 정보
412, 526, 626, 956, 1014, 1127 : 계통 조건 정보
414, 518, 618, 721, 953, 1119, 1219 : 구간 정보
417, 527, 627, 728, 960, 1128, 1228 : 브랜치 개폐 상태
418, 529, 629, 726, 958 : 브랜치 전류 정보
419, 530, 630, 738 : 계통 체크 결과
420, 531, 631, 729, 961 : 전류 최소 브랜치
421, 532, 623, 730, 962, 1019, 1129, 1229 : 방사상 계통 정보
423, 528, 628, 727, 959 :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503, 1103 :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
504, 1105 : 키 설비 추출 수단
505, 1106 : 노드 축퇴(縮退) 집약 수단
506, 1104 : 노드 축퇴 수단
507, 1107 : 계산용 노드 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
520, 1121 :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
521, 1122 :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
522, 1123 :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
523, 1124 : 계산 대상 조건 정보
524, 1125 : 키 설비 정보 603, 919, 1203 : 루프 검출 수단
604, 920, 1204 : 그룹 판정 수단 605, 918, 1205 : 그룹 분할 수단
606, 921, 1206 :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
607, 1236 :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
620, 1221 :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
621, 1222 :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
622, 1223 :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
632, 970, 1224 : 브랜치 그룹 정보
708, 1003, 1108, 1130, 1208 :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
710, 910, 1005, 1110, 1210 : 계통 정보 작성 수단
711, 911, 1006, 1111, 1211 :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模擬) 계산 수단
712, 9127 1008, 1137, 1207 : 노드 절환 결정 수단
713, 913, 1009, 1113, 1213 : 절환후 보정 수단
714, 914, 1004, 1109, 1209 : 절환 노드 검출 수단
715, 915, 1007, 1112, 1212 :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
716, 916, 1011, 1115, 1215 :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
717, 917, 1010, 1114, 1214 :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
724, 1227 : 계통 조건 정보
731, 963, 1020 :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
732, 964, .1021, 1131, 1231 : 절환 노드 정보
733, 965 : 계통 정보
734, 966, 1022, 1133, 1233 : 송전 손실 변화량
735, 967, 1025, 1135, 1235 : 조작 브랜치
736, 968, 1024, 1134 : 절환후 계통 체크 결과
1023, 1132, 1232 : 계통 정보 1126, 1226 : 계산 필요 정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배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의 입력 정보영역에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개폐기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입력 정보를 기초로 배전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를 폐조작(閉操作)한 경우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보정하고,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편방의 노드만으로 전류를 주입하도록 전류 벡터를 작성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상기 어드미턴스 행렬과 상기 전류 벡터의 행렬 연산을 행하여 그 결과 노드 전압을 구하는 전압 산출 수단과,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전압차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전류를 구하는 전류 산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서 얻어진 결과를 사용하여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抽出)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동일 루프를 구성하는 노드를 추출하는 루프 구성 노드 검출 수단과,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치환하는 루프 구성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 정보 영역에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나 구간 임피던스 등이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개폐기 정보,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를 입력하여 기억 장치에 보존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기초로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한다.
다음으로, 데이타 보정 수단에 의해 어드미턴스 행렬로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의 정보를 가미하여 보정하고, 또한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편방의 노드만으로 전류를 주입하도록 하는 전류열 벡터를 작성한다.
다음에, 전압 산출 수단에 의해 상기 어드미턴스 행렬과 전류열 벡터를 사용하여 행렬 연산을 행하여 노드 전압을 구하고, 전류 산출 수단에 의해 노드 전압,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전류치를 구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추출 수단에 의해 전류 연산 수단에서 얻어진 브랜치 전류치가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고, 마찬가지로 루프 구성 노드 추출 수단에 의해 전술한 루프 구성 브랜치 추출 수단의 결과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 의해 동일 루프를 구성하는 노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루프 구성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에 의해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및 노드에서, 상당하는 개폐기와 구간으로 치환하여 구하는 결과로 되는 루프를 구성하는 개폐기 및 구간을 추출하여 출력 영역에 보존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의 입력 정보 영역에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개폐기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를 기초로 배전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주이진 임의의 브랜치를 개조작(開操作)한 경우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보정하여,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편방의 노드만으로 전류를 주입하도록 한 전류 벡터를 작성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상기 어드미턴스 행렬의 역행렬과 상기 전류 벡터를 곱하여 행렬 연산을 행하여 그 결과 노드 전압을 구하는 전압 산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서 얻은 노드 전압을 사용하여 개조작한 브랜치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노드를 추출하는 말단 계통 노드 검출 수단과, 동일하게 개조작한 브랜치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상기 말단 계통 노드 검출 처리의 결과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 의해 검출하는 말단 계통 브랜치 검출 수단과, 얻어진 결과의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각각 치환하여, 개조작한 브랜치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와 구간을 검출하는 말단 계통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 정보 영역에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개폐기 정보,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를 입력하여 기억 장치에 보존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기초로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 한다.
다음에, 데이타 보정 수단에 의해 어드미턴스 행렬로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의 정보를 가미하여 보정하고, 또한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편방의 노드만으로 전류를 주입하도록 한 전류열 벡터를 작성한다.
다음에, 전압 산출 수단에 의해 상기 어드미턴스 행렬과 전류열 벡터를 사용하여 행렬 연산을 행하여 노드 진압을 구한다. 말단 계통 노드 검출 수단에 의해 전압 산출 수단에서 얻어진 전압치에서 개조작한 브랜치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노드를 추출한다.
또, 마찬가지로 말단 계통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개조작의 브랜치의 말단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상기의 말단 계통 노드 검출 수단의 결과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서 검출한다. 말단 계통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에 의해 말단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 및 노드를 각각 개폐기와 구간으로 치환하여, 구해진 결과로 되는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 및 구간을 추출하여 출력 영역에 보존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의 입력 정보영역에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개폐기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를 기초로 배전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를 개조작 한 경우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보정하고,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편방의 노드만으로 전류를 주입하도록 한 전류 벡터를 작성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상기 어드미턴스 행렬과 상기 전류 벡터를 곱하여 행렬 연산을 행하여 그 결과 노드 전압을 구하는 전압 산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서 얻어진 노드전압을 사용하여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노드를 추출하는 분리계 노드 검출 수단과, 상기 분리계 노드 검출 수단의 결과를 기초로,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사용하여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는 분리계 브랜지 검출 수단과,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치환하는 분리계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과, 분리 계통이 존재하는가 어떤가를 분리계 노드 검출 수단의 결과로 판단하는 분리계 발생 판정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 정보 영역에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나 구간 임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개폐기 정보,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를 입력하여 기억 장치에 보존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기초로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 한다.
다음에, 데이타 보정 수단에 의해 어드미턴스 행렬로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의 정보를 가미하여 보정하고, 또한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편방의 노드만으로 전류를 주입하도록 한 전류열 벡터를 작성한다. 전압 산출수단에 의해 상기 어드미턴스 행렬과 전류열 벡터를 사용하여 행렬 연산을 행하여 노드 전압을 구한다.
분리계 노드 검출 수단에 의해 전압 산출 수단에서 얻어진 전압치에서 분리계통을 구성하는 노드를 추출하고, 또, 분리계 브랜치 수단에 의해, 분리계 노드검출 수단의 결과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사용하여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한다.
분리계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에 의해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 및 노드를 각각 개폐기와 구간으로 치환하여, 요구되는 결과로 되는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 및 구간을 추출하고, 분리계 발생 판정 수단에서는, 분리 계통이 존재하는가 어떤가를 분리게 노드 검출 수단의 결과로 판단하여 분리계 유무 판정 결과를 작성하여 출력 영역에 보존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에 보존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주입 전류, 구간 부하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운용 계산상 필요한 정보로 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을 작성하고,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있어서,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등의 계산 필요 정보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의 개조작 후의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통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되지 않은가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 중에서 조작 가능하고 브랜치 통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이고 또한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가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함으로써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한 운용 계산상 필요한 정보와, 전체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작성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변경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루프 계통이 없어지고,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구성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판정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에 보존된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구간 주입량, 구간 부하의 정보나 운전원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기초로 계통의 접속 상태,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어드미턴스 행렬 등의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 개폐 상태,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브랜치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전체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 보존한다.
또,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에 의해,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를 사용하여 브랜치 통과 전류를 구하고,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상기 브랜치 통과 전류치와 브랜치의 조작 가부에 의해 최소 전류 브랜치를 추출한다.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상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가 통과 허용 전류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가 흑은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하지 않았는가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 한다.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데이타 보정 수단에 의해, 계산 필요 정보의 어드미턴스 행렬과 브랜치 개폐 상태를 브랜치 조작 후의 계통 접속이 되도록 보정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브랜치 조작에 의해 루프를 구성하지 않게 된 브랜치를 제외한다. 또, 계통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에 최소 전류로되는 브랜치를 체크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 의해, 루프 계통이 없는 방사상 계통이 작성되었는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이 아니면, 브랜치전류 산출 수단,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 계통 체크 수단, 데이타 보정 수단을 루프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한다.
또,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에 의해, 결과로서 얻어진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고,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에 보존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주입 전류, 구간 부하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계통 축퇴(縮退)하기 위하여 계산상 필요한 정보로서, 노드/브랜치로 치환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검출하여 계산 대상 계통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를 축퇴 대상 계통으로 분류하는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계통의 브랜치 중에서, 브랜치의 한쪽 노드가 계산 대상 계통이고, 다른 한쪽이 축퇴 대상 계통인 브랜치를 추출하여, 그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키 브랜치의 계산 대상 계통측의 노드를 키 노드로 하는 키 설비 추출 수단과;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의 노드를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로서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노드 전체의 노드 부하의 합을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집약 수단과, 키 설비 추출 수단에서 키 브랜치와 키 노드를 추출하고,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에 의해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으로 축퇴 대상 노드를 구하고,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전체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의 합을 계산하여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수단과, 계산 대상 계통에 대해서,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계산 대상 계통의 계산 필요 정보, 계통 조건 정보 및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하는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계통에 있어서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등의 계산 필요 정보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통과 허용 전류 초과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하지 않은가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 중에서 통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이고 또한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가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함으로써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한 운용 계산상 필요한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작성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변경하는 데이타보정 수단과, 루프 계통이 없어지고,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결과로서 얻어진 집약 계통의 방사상 계통 구성을 축퇴전의 전체 계통의 계통 구성으로 변환하고, 또한 브랜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에 보존된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구간 주입량, 구간 부하의 정보나 운전원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계통 축퇴하기 위하여,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어드미턴스 행렬등의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강하 한도치 등의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한다.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검출하여 계산 대상 계통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를 축퇴 대상 계통으로 하여 분류하고, 계산 대상 정보에 보존한다.
키 설비 추출 수단에 의해, 축퇴 대상 계통의 브랜치 중에서, 브랜치의 한쪽의 노드가 계산 대상 계통이고, 다른 한쪽이 축퇴 대상 계통인 브랜치를 추출하여, 그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키 브랜치의 계산 대상 계통측의 노드를 키 노드로서 추출하여, 키 설비 정보로서 보존한다.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의 노드를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로서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노드 모두의 노드 부하의 합을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여, 축퇴 노드 정보로 보존한다.
노드 축퇴 수단에서는, 상기 키 설비 추출 수단에서 키 브랜치와 키 노드를 추출하고, 상기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에 의해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으로 축퇴 대상 노드를 구하고, 상기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전체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의 합을 계산하여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여, 노드 정보의 집약을 행한다.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에 의해, 계산 대상 계통에 대해서,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계산 대상 계통의 계산 필요 정보, 계통 조건 정보 및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 보존한다. 또,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에 의해,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화를 사용하여 브랜치 통과 전류를 구하고,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상기 브랜치 통과 전류치에 의해 최소 전류 브랜치를 추출한다.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상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가 통과 허용 전류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가 혹은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하지 않았는가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 한다.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데이타 보정 수단에 의해, 계산 필요 정보의 어드미턴스 행렬, 브랜치 개폐 상태를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 접속이 되도록 보정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브랜치 조작에 의해 루프를 구성하지 않게된 브랜치를 제외한다. 또, 적절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최소 전류가 되는 브랜치를 체크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 의해, 루프 계통이 없는 방사상 계통이 작성되었는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이 아니면,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 계통 체크 수단, 데이타 보정 수단을 루프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여 집약 계통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한다.
또,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에 의해, 결과로서 얻어진 방사상 계통 정보를 축퇴전의 전체 계통을 대상으로 한 방사상 계통 정보로서 변환하고, 또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 구성을 얻는다.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에 보존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게, 구간 임피던스, 주입 전류, 구간 부하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그룹 분할의 계산에 필요로 하는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와,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보존하는 그룹 분할용 그룹 개폐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를 기초로 조작 가능인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브랜치 중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 이외를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로 보존하고, 또, 다른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검출한 브랜치가 이미 브랜치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루프 구성 브랜치도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여, 모든 브랜치가 1개의 그룹에 소속하도록 브랜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그룹 판정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그룹 판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가 소속하는 그룹을 판정하고, 또, 그것 이외의 브랜치에 대해서 그룹용 계산 필요 정보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관계가 있는 브랜치와 노드에 통합하여 이전에 구한 그룹에 소속하는 브랜치에 접속하는 노드보다도 하위의 계통을 그 브랜치와 동일한 그룹으로 하여 그룹 브랜치 정보에 보존하는 그룹 분할 수단과, 브랜치 그룹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마다, 동일 그룹 내의 브랜치와 노드의 번호를 미리 채워서 털어 고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함과 함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도로,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부하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작성하여 필요 계산 정보로,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조작 가부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로, 브랜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정보로 보존하는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과, 그룹 분할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상기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브랜치 전류산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보정 수단과,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로 되는 계통을 각각 검출하는 그룹별 결과계통 검출 수단과, 그룹별로 구해진 결과 계통인 브랜치 개폐 상태와 계산 필요 정보의 분할전과 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로,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에 저장된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구간 주입량, 구간 부하의 정보나 운전원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기초로 그룹 분할에 필요한 정보로 하고, 계통의 접속 상태를 노드와 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 접속 상태나 노드의 부하 정보나 브랜치 임피던스나 브랜치의 개폐 상태, 어드미턴스 행렬 등의 그룹 분할용 계산상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와 브랜치 개폐 상태를 보존하는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를 작성 한다.
다음에, 루프 검출 수단에 의해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를 기초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조작함으로써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고, 그룹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루프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에 대해서 동일 그룹으로서 브랜치 그룹정보에 보존한다.
또, 다른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가 이미 브랜치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에 그 루프 구성 브랜치의 모든 브랜치도 동일 그룹으로서 브랜치 그룹 정보를 갱신하고, 그룹 분할 수단에 의해,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 의해, 전체 계통에 대해서 루프 검출 수단을 행한 결과 어느 루프도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에 대해서, 접속 관계가 있는 노드와 브랜치를 일괄하여 말단 계통으로 하여, 각 말단 계통이 접속하는 루프 상의 노드가 접속하는 루프상의 브랜치와 동일 그룹으로 분할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에 추가 보존한다.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에 의해, 브랜치 그룹 정보와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로, 동일 그룹의 브랜치와 노드를 종합해서,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고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한다.
또한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에 의해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부하와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계산 필요 정보로 작성하여 고치고,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나 브랜치의 조작 가부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고,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정보로 작성한다.
또,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에 보존한다. 또,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에 의해,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를 사용하여 브랜치 통과 전류를 구하고,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상기 브랜치 통과 전류치에 의해 최소 전류 브랜치를 추출한다.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상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가 통과 허용 전류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가 흑은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하지 않았는가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 한다.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데이타 보정 수단에 의해, 계산 필요 정보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 접속이 되도록 보정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브랜치 조작함으로써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를 제외한다. 또, 적절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최소 전류로 되는 브랜치를 체크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 의해, 루프 계통이 아닌 방사상 계통이 작성되었는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이 아니면,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 계통 체크 수단, 데이타 보정 수단을 루프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한다.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에 의해, 그룹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송진 손실이 최소가 되는 계통의 브랜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로서 작성하고,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에 의해, 결과로서 얻어진 그룹별 송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을 전체 계통에 합하고, 또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 구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장치에 보존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주입 전류, 구간 부하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운용계산상 필요한 정보로 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을 작성하고,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있어서,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등의 계산 필요 정보를 사용하여 브랜치 통과 전류를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를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 초과가 발생하지 않았는가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하지 않은가를 판정하는 계통 체크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 중에서 조작 가능하고 또한 통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이고 또한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가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함으로써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한, 운용 계산상 필요한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작성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변경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루프 계통이 없어지고,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구성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관정 수단과, 브랜치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중 다른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정보 작성 수단과,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의 결과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모의 계산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模擬)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가 초과하지 않았는가 혹은 노드 전압이 전압 강하 한도치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가를 판정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개폐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 변화량의 감소가 커지는 브랜치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실시에 따라,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절환 노드 정보,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수단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에 저장된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구간 주입량, 구간 부하의 정보나 운전원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기초로 계통의 접속 상태,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브랜치 개폐 상태, 어드미턴스 행렬 등을 계산 필요 정보로 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브랜치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계통 조건 정보로서 작성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에 보존한다. 또,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에 의해,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를 사용하여 브랜치 통과 전류를 구하고,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상기 브랜치 통과 전류치와 브랜치의 조작 가부에 의해서 최소 전류 브랜치를 추출한다.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상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가 동과 전류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았는가 혹은 전압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하지 않았는가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데이타 보정 수단에 의해, 계산 필요 정보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 접속이 되도록 보정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브랜치 조작함으로써 루프를 구성하지 않게 된 브랜치를 제외한다. 또, 계통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최소 전류가 되는 브랜치 체크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 의해, 루프 계통이 없는 방사상 계통이 작성되었는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이 아니면,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 계통 체크 수단, 데이타 보정 수단을 루프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한다. 또,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여 절환 노드 정보에 보존한다.
또, 상기 수단에서 취득한 계통 구성에서 다시 송전 손실량이 적은 계통을 찾기 위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상기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서 최종적으로 작성한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여 계산 정보로서 보존한다.
송신 손실 변화량 모의(模擬) 계산 수단에서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의 결과와 절환 노드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의 절환에 따른 송전 손실 변화량을 모의 계산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브랜치 통과전류 허용치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 판정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가장 송전 손실량의 경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조를 조작 브랜치로 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이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계통 정보의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절환 노드 정보,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한다.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에 의해,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는, 그 브랜치의 조를 대상으로 절환후 보정 수단과 다시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한다. 또,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에 의해, 결과로서 얻어진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고,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 구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에 보존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주입 전류, 구간 부하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계통 축퇴하기 위해서 계산상 필요한 정보로 하여, 노드/브랜치로 치환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검출하여 계산 대상 계통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를 축퇴 대상 계통으로 분류하는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계통의 브랜치 중에서, 브랜치의 한쪽 노드가 계산 대상 계통이고, 다른 한쪽이 축퇴 대상계통인 브랜치를 추출하여, 그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키 브랜치의 계산 대상 계통측의 노드를 키 노드로 하는 키 설비 추출 수단과,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의 노드를 축퇴 대상 노드로서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노드 전체의 노드 부하의 합을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집약 수단과, 키 설비 추출 수단에서 키 브랜치와 키 노드를 추출하고,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에 의해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으로시 축퇴 대상 노드를 구하고,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전체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의 합을 계산하여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수단과, 계산 대상 계통에 대해시,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계산 대상 계통의 계산 필요 정보, 계통 조건 정보 및 브랜치개폐 상태를 작성하는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있어서,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등의 계산 필요 정보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조작후의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가 발생하지 않는가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하지 않는가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 중에서 브랜치 통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이고 또한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가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함으로써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한 운용 계산상 필요한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작성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변경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루프 계통이 없어지고,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브랜치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그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작성 수단과,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의 결과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모의 계산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가 초과하지 않는가 혹은 노드 전압이 전압 강하 한도치를 초과하지 않는가를 판정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개폐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량의 감소가 커지는 브랜치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실시에 따라,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 절환 노드 정보,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수단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결과로서 얻어진 집약 계통의 방사상 계통 구성을 축퇴전의 전체 계통의 계통 구성으로 변환하고, 또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에 저장된 구간과 개폐기의 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구간 주입량, 구간 부하의 정보나 운전원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의 정보를 사용하여 계통 축퇴하기 위해서 계산상 필요한 정보로서,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어드미턴스 행렬 등의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한다.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검출하여 계산 대상 계통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를 축퇴 대상 계통으로서 분류하여, 계산 대상 정보로 보존한다.
키 설비 추출 수단에 의해, 축퇴 대상 계통의 브랜치 중에서, 브랜치의 한쪽노드가 계산 대상 계통이고, 다른 한쪽이 축퇴 대상 계통인 브랜치를 추출하여, 그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키 브랜치의 계산 대상 계통측의 노드를 키 노드로 하여 추출하여, 키 설비 정보로서 보존한다.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의 노드를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로서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노드 전체의 노드 부하의 합을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여, 축퇴 노드 정보에 보존한다.
노드 축퇴 수단에서는, 상기 키 실비 추출 수단에서 키 브랜치와 키 노드를 추출하고, 상기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에 의해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으로서 축퇴 대상 노드를 구하고, 상기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전체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의 합을 합산하여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여, 노드 정보의 집약을 행한다.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에 의해, 계산 대상 계통에 대해서,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계산 대상 계통의 계산 필요 정보, 계통 조건 정보 및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 보존한다.
또,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에 의해,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를 사용하여 브랜치 통과 전류를 구하고,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상기 브랜치 통과 전류치에 의해서 최소 전류 브랜치를 추출한다.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상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가 통과 허용 전류를 초과하고 있지 않는가 혹은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생기지 않는가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데이타 보정 수단에 의해, 계산 필요 정보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 접속이 되도록 보정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브랜치 조작함으로써 루프를 구성하지 앉게 된 브랜치를 제외한다. 또, 적절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최소 전류가 되는 브랜치를 체크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 의해, 루프 계통이 없는 방사상 계통이 작성되었는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이 아니면, 브랜치전류 산출 수단,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 계통 체크 수단, 데이타 보정 수단을 루프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한다.
또,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여 절환 노드 정보로 보존한다.
또, 상기 수단에서 취득한 계통 구성에서 다시 송전 손실량이 적은 계통을 탐구하기 위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상기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서 최종적으로 작성한 집약 계통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로서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에서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의 결과와 절환노드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을 모의 계산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브랜치 통과 허용 전류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를 판정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 대해서, 송전 손실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조건을 만족하고 가장 송전 손실량의 경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조를 추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이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절환 노드 정보를 보정한다. 노드 절환종료 판정 수단에 의해,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는, 그 브랜치의 조를 대상으로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한다.
또,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에 의해, 결과로서 얻어진 방사상 계통 정보를 축퇴전의 전체 계통을 대상으로 한 방사상 계통 정보로서 변환하고, 다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 구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에 보존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주입 전류, 구간 부하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그룹 분할의 계산에 필요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와,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보존하는 그룹 분할용 그룹 개폐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를 기초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브랜치 중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 이외를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로 보존하고, 또, 다른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검출한 브랜치가 이미 브랜치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루프 구성 브랜치도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여, 모든 브랜치가 1개의 그룹에 속하도록 브랜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그룹 판정 수단과, 상기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그룹 판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가 소속하는 그룹을 판정하고, 또, 그것 이외의 브랜치에 대해서 그룹용 계산 필요 정보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관계가 있는 브랜치와 노드에 통합하여 이전에 구한 그룹에 소속하는 브랜치에 접속하는 노드보다도 하위의 계통을 그 브랜치와 동일한 그룹으로 하여 그룹 브랜치 정보에 보존하는 그룹분할 수단과, 브랜치 그룹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마다, 동일 그룹 내의 브랜치와 노드의 번호를 미리 채워 고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함과 함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로,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부하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작성하여 필요 계산 정보로,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조작 가부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로, 브랜치 개폐상태를 브랜치 개폐 정보로 보존하는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있어서,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등의 계산 필요 정보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조작후의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통과 허용 전류 초과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하지 않는가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 중에서 통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이고 또한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가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함으로써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한 운용 계산상 필요한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작성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변경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루프 계통이 없어지고,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여, 방사상 계통 구성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브랜치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그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추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입 및 위상각 절환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의 결과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모의 계산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하지 않는가 혹은 노드 전압이 전압 강하 한도치를 초과하고 있지 않는가를 판정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개폐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 변화량의 감소가 커지는 브랜치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실시에 따라,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 절환 노드 정보,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 그룹에 대해서 계산 그룹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그룹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상기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브랜치 전류산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보정 수단과,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로 되는 계통을 각각 검출하는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과, 그룹별로 구해진 결과 계통인 브랜치 개폐 상태화 계산 필요 정보의 분할전과 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로,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에 저장된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구간 주입량, 구간 부하의 정보나 운전원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기초로 그룹 분할에 필요한 정보로서, 계통의 접속 상태를 노드와 브랜치로 치환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나 노드의 부하 정보나 브랜치 임피던스나 브랜치의 개폐 상태, 어드미턴스 행렬 등의 그룹 분할용 계산상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와 브랜치 개폐 상태를 보존하는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를 작성 한다.
루프 검출 수단에 의해 그룹 분할 요 계통 조건 정보를 기초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조작함으로써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고, 그룹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루프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에 대해서 동일 그룹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로 보존한다.
또, 다른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가 이미 브랜치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에 그 루프 구성 브랜치의 모든 브랜치도 동일 그룹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를 갱신한다.
그룹 분할 수단에 의해,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 의해, 전체 계통에 대해서 루프 검출 수단을 행한 결과 어느 루프도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에 대해서, 접속 관계가 있는 노드와 브랜치를 일괄하여 말단 계통으로 하고, 각 말단 계통이 접속하는 루프 상의 노드가 접속하는 루프 상의 브랜치의 동일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에 추가 보존한다.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에 의해, 브랜치 그룹 정보와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서, 동일 그룹의 브랜치와 노드를 종합해서,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고치어,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한다.
또한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에 의해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부하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계산 필요 정보로 작성하여 고치고,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나 브랜치의 조작 가부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고,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정보로 작성한다.
또,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 보존한다.
또,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에 의해, 계통의 접속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를 사용하여 브랜치 통과 전류를 구하고,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상기 브랜치 통과 전류치에 의해서 최소 전류 브랜치를 추출한다.
계동 체크 수단에 의해, 상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가 통과 허용 전류를 초과하고 있지 않는가 혹은 전압 강하 한도 초과가 발생하지 않는가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데이타 보정 수단에 의해, 계산 필요 정보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 접속이 되도록 보정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브랜치 조작함으로써 루프를 구성하지 않게 된 브랜치를 제외한다. 또, 적절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최소 전류가 되는 브랜치를 체크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 의해, 루프 계통이 없는 방사상 계통이 작성되었는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이 아니면,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 계통 체크 수단, 데이타 보정 수단을 루프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해서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한다.
또,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여 절환 노드 정보로 보존한다.
또, 상기 수단에서 취득한 계통 구성에서 다시 송전 손실량이 적은 계통을 탐구하기 위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상기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서 최종적으로 작성한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로서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에서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의 결과와 절환노드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을 모의 계산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브랜치 통과 허용전류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를 판정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 대해서, 송전 손실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가장 송전 손실량의 경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조를 추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이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절환 노드 정보를 보정한다.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에 의해, 그룹별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송전 손실이 최소가 되는 계통의 브랜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로서 작성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에 의해, 결과로서 얻어진 그룹마다의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을 전체 계통에 합치고, 다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 구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에 보존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주입 전류, 구간 부하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운용 계산상 필요한 정보로 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을 작성하고,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계통 조건 정보,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구성 정보로서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브랜치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중 다른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량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수단의 결과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모의 계산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가 초과하지 않는가 혹은 노드 전압이 전압 강하 한도치를 초과하지 않는가를 판정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개폐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량의 감소가 커지는 브랜치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을 실시에 따라,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 절환 노드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절환 노드 정보,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수단과, 노드 절환 수단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에 저장된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구간 주입량, 구간 부하의 정보나 운전원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기초로 계통의 접속 상태,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브랜치 개폐 상태를 계산 필요 정보로 하고,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브랜치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계통 조건 정보로 하고, 또, 브랜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로서 작성한다.
또,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고, 절환 노드 정보로 보존한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상기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서 최종적으로 작성한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로서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에서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의 결과와 절환노드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을 모의 계산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브랜치 통과 전류 허용치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를 판정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가장 송전 손실량의 경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조를 추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이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은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계통 정보의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절환 노드 정보,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한다.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에 의해,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는, 그 브랜치의 조를 대상으로 절환후 보정 수단과 다시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한다.
또,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에 의해, 결과로서 얻어진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 구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기억 장치에 보존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주입 전류, 구간 부하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계통 축퇴하기 위해 계산상 필요한 정보로 하고,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이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검출하여 계산 대상 계통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를 축퇴 대상 계통으로 하여 분류하는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계통의 브랜치 중에서, 브랜치의 한쪽 노드가 계산 대상 계통이고, 다른 한쪽이 축퇴 대상 계통인 브랜치를 추출하여, 그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키 브랜치의 계산 대상 계통측의 노드를 키 노드로 하는 키 설비 추출 수단과,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의 노드를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로서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노드 전체의 노드 부하의 합을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집약 수단과, 키 설비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키 브랜치와 키 노드를 추출하고,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에 의해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으로서 축퇴 대상 노드를 구하고,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전체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의 합을 계산하여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수단과, 계산 대상 계통에 대해서,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계산 대상 계통의 계산 필요 정보, 계통 조건 정보 및 브랜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로서 작성하는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과, 브랜치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개상태 브랜치의 폐조작과 그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량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 절환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의 결과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모의 계산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가 초과하지 않는가 혹은 노드 전압이 전압 강하 한도치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가를 판정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개폐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가장 송진 손실량의 감소가 커지는 브랜치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조작을 실시에 따라,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 절환 노드 정보, 집약 계통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절환 수단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은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결과로서 구해진 집약 계통의 방사상 계통 구성을 축퇴전의 전체 계통의 계통 구성으로 변환하고, 또한 브랜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에 저장된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구간 주입량, 구간 부하의 정보나 운전원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계통 축퇴하기 위해 계산상 필요한 정보로 하고,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한다.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검출하여 계산 대상 계통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를 축퇴 대상 계통으로서 분류하여, 계산 대상 정보로 보존한다.
키 설비 추출 수단에 의해, 축퇴 대상 계통의 브랜치 중에서, 브랜치의 한쪽 노드가 계산 대상 계통이고, 다른 한쪽이 축퇴 대상 계통인 브랜치를 추출하여, 그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키 브랜치의 계산 대상 계통측의 노드를 키 노드로 하여 추출하여, 키 설비 정보로서 보존한다.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의 노드를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로서 추출하는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노드 전체의 노드 부하의 합을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여, 축퇴 노드 정보로 보존한다.
노드 축퇴 수단에서는; 상기 키 설비 추출 수단에서 키 브랜치와 키 노드를 추출하고, 상기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에 의해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으로서 축퇴 대상 노드를 구하고, 상기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전체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의 합을 합산하여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여, 노드 정보의 집약을 행한다.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에 의해, 계산 대상 계통에 대해서,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계산 대상 계통의 계산 필요 정보, 계통 조건 정보 및 브랜치 개폐 상태로서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한다. 또,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직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여, 절환 노드 정보로 보존한다.
또, 상기 수단에서 취득한 계통 구성에서 다시 송전 손실량이 적은 계통을 탐구하기 위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상기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서 최종적으로 작성한 집약 계통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로서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에서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의 결과와 절환 노드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을 모의 계산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브랜치 통과 허용 전류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를 판정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가장 송전 손실량의 경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조를 추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이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절환 노드 정보를 보정한다. 노드 절환종료 판정 수단에 의해,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 그 브랜치의 조를 대상으로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한다.
또,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에 의해, 결과로서 얻어진 방사상 계통 정보를 축퇴전의 전체 계통을 대상으로 한 방사상 계통 정보로서 변환하고, 또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 구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기억 장치에 보존된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주입 전류, 구간 부하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그룹 분할의 계산에 필요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와,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보존하는 그룹 분할용 그룹 개폐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를 기초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브랜치 중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 이외를 모두 동일 그룹으로서 브랜치 그룹 정보에 보존하고, 또, 다른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검출한 브랜치가 이미 브랜치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루프 구성 브랜치도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여, 모든 브랜치가 1개의 그룹에 소속하도록 브랜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그룹 판정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그룹 판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가 소속하는 그룹을 판정하고, 또, 그것 이외의 브랜치에 대해서 그룹용 계산 필요 정보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관계가 있는 브랜치와 노드에 통합하여 이전에 구한 그룹에 소속하는 브랜치에 접속하는 노드보다도 하위의 계통을 그 브랜치와 동일한 그룹으로 하여 그룹 브랜치 정보에 보존하는 그룹분할 수단과, 브랜치 그룹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마다, 동일 그룹 내의 브랜치와 노드의 번호를 미리 채워 고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함과 함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로,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부하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작성하여 필요 계산 정보로,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조작 가부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로, 브랜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로 보존하는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과, 브랜치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개상태 브랜치의 폐조작과 그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량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의 결과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에 대해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모의 계산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가 초과하지 않는가 혹은 노드 전압이 전압 강하 한도치를 초과하고 있지 않는가를 판정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개폐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량의 감소가 커지는 브랜치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실시에 따라,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 절환 노드 정보,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에서,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의 그룹에 대해서 계산 그룹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그룹 분할 수단에서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상기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보정 수단과,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로 되는 계통을 각각 검출하는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과, 그룹별로 구한 결과 계통인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계산 필요 정보의 분할전과 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에서,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는,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에 저장된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구간 주입량, 구간 부하의 정보나 운전원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그들 정보를 기초로 그룹 분할에 필요한 정보로 하고, 계통의 접속 상태를 노드와 브랜치로 치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나 노드의 부하 정보나 브랜치 임피던스나 브랜치의 개폐 상태 등의 그룹 분할용 계산상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와 브랜치 개폐 상태를 보존하는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를 작성한다.
루프 검출 수단에 의해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를 기초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조작함으로써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고, 그룹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루프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에 대해서 동일 그룹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로 보존한다.
또, 다른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가 이미 브랜치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 그 루프 구성 브랜치의 모든 브랜치도 동일 그룹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를 갱신한다.
그룹 분할 수단에 의해, 그룹 분할용 계신 필요 정보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 의해, 전체 계통에 대해서 루프 검출 수단을 행한 결과 어느 루프도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에 대해서, 접속 관계가 있는 노드와 브랜치를 일괄하여 말단 계통으로 하고, 각 말단 계통이 접속하는 루프 상의 노드가 접속하는 루프 상의 브랜치의 동일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에 추가 보존한다.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에 의해, 브랜치 그룹 정보와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서, 동일 그룹의 브랜치와 노드를 종합해서,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고치어,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한다.
또한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에 의해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부하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계산 필요 정보로 작성하여 고치고,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나 브랜치의 조작 가부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고,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로 작성한다.
또,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의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검출하여 절환 노드 정보에 보존한다.
또, 상기 수단에서 취득한 계통 구성에서 다시 송전 손실량이 적은 계통을 탐구하기 위해서, 계통 정보 직성 수단에 의해 상기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에서 최종적으로 작성한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로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로서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에서는 계통 정보 직성 수단의 결과와 절환 노드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의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을 모의 계산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브랜치 통과 허용 전류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를 판정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에 의해, 조작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가장 송전 손실량의 경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조를 추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의 결과와 계통 체크 수단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이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 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절환 노드 정보를 보정한다.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에 의해, 그룹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송전 손실이 최소가 되는 계통의 브랜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로서 작성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에 의해, 결과로서 얻어진 그룹별의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을 전체 계통에 종합하여, 또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 구성을 얻는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청구항 1에서는, 어떤 개상태의 개폐기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개폐기 및 구간의 검출 수단을 구비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이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구성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배전 계통은 배전용 변전소(10)에 있는 배전용 변압기(11)와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12), 개폐기(13), 선로(14)에 의해 구성되고, 개폐기(13)에 의해 선로(14)를 분할한 것을 구간이라 한다.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는, 운전원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닌 입력 장치(21)와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20),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22), 연산 기능을 갖는 중앙 처리 장치(19)에 의해 구성된다.
도 1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23)은,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개폐기 정보를 입력 정보 영역(33)으로부터 입력하고, 기억 장치(20) 상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31), 개폐기 정보(32)에 저장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24)에서는 기억 장치(20)에 저장되어 있는 배전 계통 설비정보(31)나 개폐기 정보(32)를 입력하고, 그들 정보로부터 노드/브랜치로 치환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표현하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40)에 보존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25)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40)에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일방의 노드의 관계하는 어드미턴스 행렬 요소의 일부를 변경한 것을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34)에 보존하고,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다른 일방의 노드에만 전류를 주입하는 전류열 벡터 정보(35)를 작성한다.
전압 산출 수단(26)에서는, 보정한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34)와 전류열 벡터 정보(35)를 사용하여 행렬 계산을 행하고, 각각의 노드 전압을 구하여 전압 정보(39)에 저장한다. 전류 산출 수단(27)에서는, 전압 정보(39)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양단의 전압차를 나타나게 하는 브랜치 전류를 구하여 전류 정보(36)에 저장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28)에서는, 전류 정보(36) 중에서 전류치가 영이 아닌 브랜치를 추출(抽出)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37)에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보존한다. 또, 루프 구성 노드 검출 수단(29)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계산 필요 정보(40)에서 추출하고, 동일한 루프를 구성하는 노드를 추출하여 루프 구성 노드 정보(38)로서 기억 장치(20)에 보존한다.
루프 구성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30)에 의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37), 루프 구성 노드 정보(38) 및 계산 필요 정보(40)를 사용하여,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치환하여 구하는 루프 구성 개폐기 및 구간을 검출하고, 출력 영역(41)에 보존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4의 배전 계통의 예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4의 계통은 배전용 변입기(Tr1)나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나 개폐기(SW1, SW2, SW3, SW4)와 구간(Sec1, Sec2, Sec6)으로 구성하여 2개의 배전선은 동일한 배전용 변압기(Trl)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빈틈없이 칠해진 것은 폐상태를 나타내며, X표인 것은 개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우선, 스텝(S21) 데이타 입력 수단(23)에 의해 각 개폐기의 접속 구간 No.와 개폐기에 대한 임피던스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31)와, 개폐기 정보(32)로서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를 보존한다.
스텝(S22)에서는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타 변환 수단(24)에 의해 배전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변환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40)로 보존한다. 도 5의 표 31은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상태와 개폐 상태를 나타내고, 표 32는 구간 임피던스를, 표 33은 노드/브랜치 정보로 변환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한 결과를 도 6의 어드미턴스 행렬(60)에 나타낸다.
이것은 계통을 도 7의 모델화 방법(70)과 같이 모델화하고,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를 브랜치(Br1, Br5)로, 개폐기(SW1, SW2, SW3, SW4)를 브랜치(Br2, Br3, Br4, Br6)로, 구간(Sec1, Sec2, ..., Sec6)을 노드(Nd1, Nd2, ..., Nd6)로 치환하여 도 4의 계통을 도 7의 모델화 계통(71)으로 모델화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 브랜치의 임피던스는, 구간 임피던스가 균질하게 분포하고 있다고 하고 당해 개폐기에 접속된 일방의 구간의 임피던스와 타방의 구간의 임피던스의 합을 접속 개폐기 수로 나눈 값으로 하고 있다. 어드미턴스 행렬의 작성에서는, 임피던스로서 저항분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리액턴스 분+캐패시턴스를 사용하는 경우와, 저항분+리액턴스분+캐패시턴스를 사용하는 경우의 3가지가 가능하지만 본 예에서는 저항분만으로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식 (1), (3)과 데이타의 보정 방법(2)을 나타낸다. 데이타 보정 수단(25)에서는, 도 8의 (2)와 같이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일방의 노드의 어드미턴스 행렬 요소의 비대각 부분을 0 한다. 도 7의 모델화 계통(71)에서는 브랜치(Br3)를 임의의 브랜치로 하고, 당해 개폐기에 맞는 Br3의 접속하는 일방의 노드를 Nd4로 하여, 도 6에 나다낸 보정 후 어드미턴스 행렬(61)과 같이, Nd4의 어드미턴스 행렬 요소 중 Y44 이외의 4열, 4행의 요소 Y45와 Y54를 변경한다.
이와 같은 보정을 행한 것을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34)에 반영한다. 또,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의 접속하는 일방의 노드만으로 전류를 주입하는 전류열 벡터 정보(35)를 작성한다. 도 4에서는 Br3의 다른 일방의 접속 노드인 Nd3에만 1을, 그외의 노드에 0을 주입하도록 도 9의 열 벡터(93)를 설정한다.
다음에 전압 산출 수단(26)에서는, 상기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34)와 전류열 벡터 정보(35)를 곱하여 도 8의 식(1)과 같이 노드 전압열 벡터를 계산하고, 전압 정보(39)에 보존한다. 또, 이 노드 전압을 기초로 전류 산출 수단(27)에서는, 도 8의 수식(3)에 의해 브랜치 전류를 산출하고, 전류치 정보(36)에 보존한다. 도 4의 예에서는 도 9의 식을 계산하고, 노드 전압얼 벡터(91)의 요소는 노드 전압 계산결과(94)로 된다. 그것을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접속 노드의 전압차와 당해 브랜치의 임피던스에 의해서 구하면 도 10의 계산 결과(100)로 된다.
바라는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28)에 의해, 전류 정보(36) 중에서 브랜치 전류가 0이 아닌 브랜치를 루프 구성 브랜치로 하여 추출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37)에 저장한다. 또, 루프 구성 노드 검출 수단(29)에서는,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37)의 브랜치와, 계산 필요 정보(40)에 저장되어 있는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서, 루프 구성 노드를 추출하여 루프 구성 노드 정보(38)로 저장한다.
또한, 루프 구성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30)에 의해서, 계산 필요 정보(40)를 기초로 하여,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치환한 결과가 루프 구성 개폐기 및 구간으로서 추출되어, 출력 정보 영역(41)에 저장된다. 도 9의 결과에서, 루프 구성 개폐기는 FCB1, FCB2, SW1, SW2, SW3이고, 루프 구성 구간은 Sec1, Sec2, Sec3, Sec4, Sec5로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도 2, 도 4,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구성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중앙 저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타입력 수단(201)은,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선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개폐기 정보를 입력 영역(207)으로부터 입력하여 기억 장치(20) 상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208), 개폐기 정보(209)에 저장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202)에서는 기억 장치(20)에 저장되어 있는 배전계통 설비 정보(208)나 개폐기 정보(209)를 입력하여, 그들 정보로부터 노드/브랜치로 치환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표현하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210)에 보존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203)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210)에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일방의 노드의 관계하는 어드미턴스 요소의 일부를 번경한 것을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211)에 보존하고,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전원단 노드에만 전류를 주입하도록 전류열 벡터 정보(212)를 작성한다.
전압 산출 수단(204)에서는, 보정한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211)와 전류열 벡터 정보(212)를 사용하여 행렬 계산을 행하고, 각각의 노드 전압을 구하여 전압 정보(213)에 저장한다. 말단 계통 노드 검출 수단(205)에서는, 전압 정보(213) 중에서 전압치가 0 인 노드를 추출하여, 말단 계통 노드 정보(214)에 말단 계통 구성 노드로서 보존한다.
또, 마찬가지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말단 계통 브랜치 검출 수단(206)에 의해, 말단 계통 노드 정보(214)와 계산 필요 정보(210)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사용하여 말단 계통 브랜치 정보(216)를 작성한다. 말단 계통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217)에 의해서, 말단 계통 노드 정보(214), 말단 계통 브랜치 정보(216), 계산 필요 정보(210)를 사용하여,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치환하여 바라는 말단 계통 개폐기 및 구간을 검출하여, 출력 영역(215)에 보존한다.
도 12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4의 배전 계통의 예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4의 계통은 배전용 변압기(Tr1)나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나 개폐기(SW1, SW2, SW3, SW4)와 구간(Sec1, Sec2, ..., Sec6)으로 구성하고, 2개의 배전선은 동일한 배전용 변압기(Tr1)에 접속되어 있다. 우선, 데이타 입력 수단(201)에 의해 각 개폐기의 접속 구간 No.와 개폐기에 대한 임피던스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208)와, 개폐기 정보(209)로서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를 보존한다.
스텝(S22)에서는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타 변환 수단(202)에 의해 배전계통을 노드/브랜치로 변환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210)로 보존한다. 도 13의 표 220의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상태와 개폐 상태, 표 221의 구간 임피던스의 리액턴스분과 캐패시턴스를, 표 222와 같이 노드/브랜치 정보로 변환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한 결과를 도 14의 어드미턴스 행렬(230)에 나타낸다.
이것은 계통을 도 7의 모델화 방법(70)과 같이 모델화하고,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를 브랜치(Br1, Br5)로, 개폐기(SW1, SW2, SW3, SW4)를 브랜치(Br2, Br3, Br4, Br6)로, 구간(Sec1, Sec2, Sec6)을 노드(Nd1, Nd2, Nd6)로 치환하여 도 4의 계통을 도 7의 모델화 계통(71)으로 모델화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한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는, 각 브랜치의 임피던스는, 구간 임피던스가 균질하게 분포하고 있다고 하고 당해 개폐기에 접속되는 일방의 구간의 임피던스와 타방의 구간의 임피던스의 합을 접속 개폐기 수로 나눈 값으로 하고 있다.
어드미턴스 행렬의 작성에서는, 임피던스로서, 리액턴스분+캐패시턴스를 사용하는 경우와, 저항분+리액턴스분+캐패시턴스를 사용하는 경우의 2가지가 가능하지만 본 예에서는 리액턴스분+캐패시턴스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에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노드 전압 계산식 (1)과 어드미턴스 행렬 보정 방법 (2)을 나타낸다. 스텝(S23)의 데이타 보정 수단(203)에서는, 도 16의 (2)와 같이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양방의 노드의 어드미턴스 행렬 요소중, 대각 요소 부분에 있는 어드미턴스에 임의의 브랜치의 리액턴스를 가하여, 비대각 요소 부분을 0 으로 한다. 도 7의 모델화 계통(71)에서는 브랜치(Br2)를 임의의 브랜치로 하고, 당해 개폐기에 적합한 Br2의 접속하는 일방의 노드를 Nd3으로 하여 도 15의 보정 후 어드미턴스 행렬(231)과 같이, Nd3의 어드미턴스 요소 Y33 및 3열, 3행의 요소 Y23과 Y32를 변경한다.
이와 같은 보정을 행한 것을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211)에 반영한다. 또,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의 접속하는 전원단 노드만으로 전류를 주입하도록 전류열 벡터 정보(212)를 작성한다. 도 4에서는 Nd1에만 1을, 그 외의 노드에 0을 주입하도록 도 17의 열 벡터(242)를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S24)에서는 전압 산출 수단(204)에 있어서, 상기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211)의 역행렬과 전류열 벡터 정보(212)를 곱하여 도 16의 식(1)과 같이 노드 전압 벡티를 계산하고, 전압 정보(213)에 보존한다. 또, 말단 계통 노드 검출수단(205)에서는, 전압 정보(213)에 저장되어 있는 노드 전압치에서, 말단계 구성 노드를 취출한다. 도 17의 계산 결과(243)와 같이 Nd3, Nd6이 0이 되므로, 그들 노드를 개조작(開操作)한 브랜치(Br2)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노드로서 말단 계통 노드 정보(214)에 저장한다.
또, 말단 계통 브랜치 검출 수단(206)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210)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기초로, 상기 말단 계통 노드 정보(214)의 Nd3, Nd6에 끼워진 브랜치(Br6)를 검출하고, 개조작(開操作)한 브랜치(Br2)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로서 말단 계통 브랜치 정보(216)에 보존한다. 또한, 말단 계통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217)에 의해서, 계산 필요 정보(210)와 말단 계통 노드 정보(214)를 기초로 하여,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치환한 결과가 말단 계통 구간으로서 추출되어, 출력 영역(215)에 저장된다. 도 17의 결과로부터, Br2의 말단계 개폐기는 SW4이고, 말단 계통 구간은 Sec3, Sec6으로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도 2, 도 4, 도 7,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도 1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개략도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청구항 3을 구성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301)은,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와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개폐기 정보를, 입력 영역(307)에서 입력하여 기억 장치(20) 상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308), 개폐기 정보(309)로 저장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302)에서는 기억 장치(20)에 저장되어 있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308)나 개폐기 정보(309)를 입력하고, 그들 정보로부터 노드/브랜치로 치환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표현하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310)에 보존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303)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310)에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일방의 노드의 관계하는 어드미턴스 요소의 일부를 변경한 것을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311)에 보존하고,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다른 일방의 노드에만 전류를 주입하도록 전류열 벡터 정보(312)를 작성한다.
전압 산출 수단(304)에서는, 보정한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311)와 전류열 벡터 정보(312)를 사용하여 행렬 계산을 행하고, 각각의 노드 전압을 구하여 전압 정보(313)에 저장한다. 분리계 노드 검출 수단(305)에서는, 전압 정보(313) 중에서 전압치가 0인 노드를 추출하여, 분리계 노드 정보(314)에 분리계 구성 노드로서 보존한다.
분리계 브랜치 검출 수단(306)에서는, 분리계 노드 정보(314)의 노드와, 계산 필요 정보(310)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사용하여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여 분리계 브랜치 정보(316)에 분리계 구성 브랜치로서 보존한다. 분리계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317)에 의해서, 분리계 노드 정보(314), 분리계 브랜치 정보(316) 및 계산 필요 정보(310)를 사용하여,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치환하여 바라는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와 구간을 검출하여, 출력 영역(315)에 보존한다. 또한 분리계 발생 판정 수단(318)에 의해서, 상기 분리계 노드 정보(314)를 사용하여, 분리계 노드가 존재하는가 아닌가의 분리계 유무 판정 결과로서, 출력 영역(315)에 보존한다.
도 19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4의 배전 계통의 예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4의 계통은 배전용 변압기(Tr1)나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나 개폐기(SW3)와 폐상태의 개폐기(SW1, SW2, SW3)와 구간(Sec1, Sec2, ..., Sec6)으로 구성하고, 2개의 배전선은 동일한 배전용 변압기(Tr1)에 접속되어 있다.
우선, 스텝(S21)에 있어서, 데이타 입력 수단(301)에 의해 각 개폐기의 접속구간 No.와 개폐기에 대한 임피던스의 배전 계통 설비 정보(308)와, 개폐기 정보(309)로서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를 보존한다. 그들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타 변환 수단(302)에 의해 배전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변환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310)로 보존한다. 도 13의 표 220의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상태와 개폐상태, 표 221의 구간 임피던스의 리액턴스분과 캐패시턴스를, 표 222와 같이 노드/브랜치 정보로 변환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한 결과를 도 14의 어드미턴스 행렬(230)에 나타낸다.
이것은 계통을 도 7의 모델화 방법(70)과 같이 모델화하고,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를 브랜지(Br1, Br5)를, 개폐기(SW1, SW2, SW3, SW4)를 각각 브랜치(Br2, Br3, Br4, Br6)로, 구간(Sec1, Sec2, ..., Sec6)을 노드(Nd1, Nd2, ..., Nd6)로 치환하여 도 4의 계통을 도 7의 모델화 계통(71)으로 모델화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한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는, 각 브랜치의 임피던스는, 구간 임피던스가 균질하게 분포하고 있다고 하고 당해 개폐기에 접속되는 일방의 구간의 임피던스와 타방의 구간의 임피던스의 합을 접속 개폐기 수로 나눈 값으로 하고 있다. 또, 어드미턴스 행렬의 작성에서는, 임피던스로서, 리액턴스분+캐패시턴스를 사용하는 경우와, 저항분+리액턴스분+캐패시턴스를 사용하는 경우의 2가지가 가능하지만 본 예에서는 리액턴스분+캐패시턴스로 설명하고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노드 전압 계산식 (1)과 어드미턴스 행렬 보정 방법 (2)를 나타낸다. 스텝(S23)의 데이타 보정 수단(303)에서는, 도 16의 (2)와 같이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가 접속하는 양방의 노드의 어드미턴스 행렬 요소중, 대각 요소 부분에 있는 어드미턴스에 임의의 브랜치의 리액턴스를 더하여, 비대각 요소 부분을 0 으로 한다. 도 7의 모델화 계통(71)에서는 브랜치(Br2)를 임의의 브랜치로 하고, 당해 개폐기에 적합한 Br2의 접속하는 일방의 노드를 Nd3으로 하여 도 15의 보정 후 어드미턴스 행렬(231)과 같이, Nd3의 어드미턴스 요소 중 Z33이외의 3열, 3행의 요소 Z23과 Z32를 변경한다.
이와 같은 보정을 행한 것이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311)에 반영된다. 또,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의 접속하는 전원단 노드만으로 전류를 주입하도록 전류열 벡터정보(312)를 작성한다. 도 4에서는 Nd1에만 1을, 그 외의 노드에 0을 주입하도록 한 도 17의 노드 전류열 벡터(242)를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S24)에서는 전압 산출 수단(304)에 있어서, 상기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311)와 전류열 벡터 정보(312)를 곱하여 도 16의 식(1)과 같이 노드 전압열 벡터를 계산하여, 전압 정보(313)에 보존한다. 또, 스텝(S31)의 분리계 노드 검출 수단(305)에서는, 전압 정보(313)에 저장되어 있는 노드 전압치에서, 0 으로 되는 노드를 취출한다. 도 17의 계산 결과(243)와 같이 Nd3, Nd6이 0이 되므로,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노드로서 분리계 노드 정보(314)에 저장한다. 또한, 스텝(S32)의 분리계 브랜치 검출 수단(306)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310)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기초로 하여, 분리계 노드 정보(314)의 Nd3과 Nd6에 끼인 브랜치(Br6)를 검출하여,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로서 분리계 브랜치 정보(316)에 보존한다.
또, 스텝(S33)의 분리계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317)에 의해서, 계산 필요 정보(310)와 분리계 노드 정보(314)와 분리계 브랜치 정보(316)를 기초로 하여,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치환한 결과가 분리계 구간으로서 추출되어, 출력 영역(315)에 저장된다. 도 17의 결과로부터, 분리계 개폐기는 SW4이고, 분리계 구간은 Sec3, Sec6으로 된다. 또한, 분리계 노드 정보(314)에서 분리계 노드 수가 0이 아니면, 스텝(S34)의 분리계 발생 판정 수단(318)에 의해, 분리계 유무 판정 결과를 출력 영역(315)에 저장한다. 분리계 노드 정보(314)의 노드 수가 0이 아니므로, 분리계 유무 판정 결과는 분리계 있음으로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도 2,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 도 25, 도 26, 도 28, 도 29, 도 3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개략도이고, 도 20은 도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상세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처리 플로우 챠트이다. 도 22는 배전 계통의 예, 도 23은 도 22의 배전 계통을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변환한 결과인 모델 계통을 나타내고, 도 24, 도 25, 도 26은 도 22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델 계통의 상태 천이를, 도 27은 본 발명의 처리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모델 계통에 있어서의 결과를, 도 27, 도 30은 도 22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산식이다. 또한,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 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0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401)에서는,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의 정보나 개폐기의 개폐 상태,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의 조작의 가부 등의 운전원에 의한 설정 정보, 계통 상태가 운용상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치로서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입력하여, 기억 장치(20)에 배전 계통 설비 정보(413), 개폐기 정보(415), 구간 정보(414), 운전원 설정 정보(411)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402)에서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413)나 개폐기 정보(415), 구간 정보(414), 운전원 설비 정보(411)를 사용하여, 배전 계통을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변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를 계산 필요 정보(416)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계통 조건 정보(412)에 보존함과 동시에,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하여 브랜치 개폐 상태(417)에 저장한다. 또, 조작이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416)에 추가 보존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405)에서는, 조작 가능한 전체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모든 개상태인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폐조작(閉操作)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구성 브랜치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하고, 합집합을 취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423)로서 작성한다. 이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채용할 수 있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403)에서는 브랜치 개폐 상태(417)와 계산 필요 정보(416)를 사용하여 도 28의 식 46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으로, 폐상태의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도 28의 식 462에 의해 산출하고, 브랜치 전류 정보(418)에 보존한다. 식 461에 있어서, E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403)에서 브랜치 정보의 산출에 사용하는 노드 전압의 행렬, Y와 I는 각각 계산 필요 정보(416)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과 노드 부하 전류이다. 식 462에 있어서 I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403)에서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V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의 전압차이고, 각 노드의 전압은, 식 461에서 산출된 노드 전압을 사용한다. R은, 계산 필요 정보(416)에 보존된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저항분만을 취출하여 사용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406)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423)와 계통 조건 정보(412)와 브랜지 전류 정보(418)와 계통 체크 수단(408)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 등의 계통 운용상의 이상 발생 유무의 체크 결과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이고 또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조작 실시 후에 계통 운용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여, 전류 최소 브랜치(420)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404)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420)에 보존된 브랜치의 개조작의 실시 후의 계통의 상태로 되도록, 계산 필요 정보(16)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전류 최소 브랜치(420)에 보존된 브랜치의 어드미턴스분의 감산과, 브랜치 개폐 상태(417)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 개폐 상태에 있어서의 전류 최소 브랜치(420)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423)에 보존되어 있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전류 최소 브랜치(420)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를 개방함으로써 루프를 구성하지 않게되는 브랜치를 삭제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407)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423)를 사용하여 루프 계통의 유무를 판정한다. 루프가 있는 경우에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403)에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406), 데이타 보정 수단(404)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루프 계통이 없어졌다고 판정하면, 방사상 계통 정보(421)를 작성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409)에서는, 방사상 계통 정보(421)와 계산 필요 정보(416)를 기초로, 브랜치를 개폐기로, 노드를 구간으로 각각 치환하여, 송전 손실 최소 계통 구성을 작성하여 출력 영역(422)에 보존한다.
도 21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도 22의 배전 계통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2는 배전 계통의 예이다. 배전 계통(450)은, 배전용 변압기(Trl)와 배전용 변압기(Tr1)의 양단의 모선의 Bus1, Bus2와,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와 폐상태에 있는 개폐기(SW1, SW2, SW3, SW5, SW6, SW7, SW8, SW9, SW10, SW14)와 개상태에 있는 개폐기(SW4, SW11, SW12, SW13), 그들의 개폐기에 의해 구분된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운전원에 의해 SW12, SW13이 개상태에서 조작 금지, SW6, SW10이 폐상태에서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401)에서는, 배전 계통(450) 배전용 변압기(Tr1)의 임피던스나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의 임피던스 및 부하량, 전압 강하 한도치나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1, SW12, SW13, SW14)의 개폐 상태 및 운전원에 의한 조작 금지 설정 상태, 통과 전류 허용치나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등을 입력하여, 배전선 계통 설비 정보(413), 구간 정보(414), 개폐기 정보(415), 운전원 설정 정보(411)에 보존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모델 계통(451)은 데이타 변환 수단(402)에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모델화된 결과의 계통이다. 데이타 변환 수단(402)에 의해 배전 계통(450)의 배전용 변압기(Tr1)는 모델 계통(451)의 브랜치(Br18)로, 배전 계통(450)의 배전용 전압기의 양단의 모선(Bus1, Bus2)은 각각 모델 계통(451)의 노드(Nd1, Nd2)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는 각각 Br1, Br5, Br9로, 개폐기(SW1)는 Br2로, SW2는 Br3으로, SW3은 Br4로, SW4는 Br14로, SW5는 Br8로, SW6은 Br7로, SW7은 Br6으로, SW8은 Br17로, SW9는 Br10으로, SW10은 Br11로, SW11은 Br16으로, SW12는 Br15로, SW13은 Br13으로, SW14는 Br12로 각각 치환한다.
이들의 노드와 브랜치로 변환한 결과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와 노드 부하와 브랜치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개폐기의 대응을 계산 필요 정보(416)에 보존한다. 또한, 배전용 변압기(Trl).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는 개상태로 되면 계통 전체에 전력의 공급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브랜치(Br18, Brl, Br5, Br9)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또, 개폐기(SW6, SW10, SW12, SW13)는 운전원에 의해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브랜치(Br7, Br11, Br15, Br133)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그것 이외의 브랜치(Br2, Br3, Br4, Br6, Br8, Brl0, Br12, Br14, Br16, Br17)는 조작 가능 브랜치로서 계통 조건 정보(412)에 추가 보존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405)에서는, 계통 조건 정보(412)에서 조작 가능으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모델 계통(451)에 있어서 브랜치(Br2, Br3, Br4, Br6, Br8, Br10, Br12, Br14, Br16, Br17))를, 이 때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상태(417)에 저장한다. 도 24의 모델 계통(452)은, 모델 계통(451)에 있어서 조작 가능 브랜치의 폐조작(閉操作)을 실시한 경우의 계통이다. 또, 이 때에 가능한 조작 가능하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로서 Br2, Br3, Br4, Br6, Br8, Br10, Br12, Br14, Br16을 전체 루프 계통 브랜치 정보(423)에 보존한다. 또, 이 계통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417)에서 개상태로 되어 있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416)에 추가 보존한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403)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416)와 브랜치 개폐 상태(417)를 사용하여 도 28의 식 46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으로, 폐상태에 있는 브랜치(Br1, Br2, Br3, Br4, Br5, 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3, Br14, Br15, Br16)의 통과 전류를 도 28의 식 462를 사용하여 산출해서, 브랜치 전류 정보(418)에 보존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406)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423)와 계통 조건 정보(412)와 브랜치 전류 정보(418)와 계통 체크 수단(408)에 의한 계통 체크 결과(419)가 도 29의 결과(471)였던 경우, 조작 가능 브랜치이고 또한 폐상태의 브랜치 중에서 전류치가 최소이고 또한 개조작 실시 후에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는 브랜치(Br4)를 전류 최소 브랜치(420)로 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404)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420)에 보존된 브랜치(Br4)의 개조작을 실시 후의 계통이 도 25의 모델 계통(453)의 상태로 되도록 브랜치의 개폐 상태(417)의 브랜치(Br4)의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405)을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423)를 산출하여 고치고, 계산 필요 정보(416)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4)의 임피던스를 간산하는 보정을 행한다.
방사상 계통 관성 수단(407)에서는 도 25의 모델 계통(453)의 경우에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423)에 조작 가능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Br6, Br8, Br10, Br12, Br16이 존재하므로, 루프 계통 있음으로 판단하고,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403)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406)과 데이타 보정 수단(404)을 모델 계통(453)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 대해서 실시한다.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403)을 행한 결과의 브랜치 전류 정보(418)가 도 30의 결과(472)로 된 경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406)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를 브랜치(Br16)로 판단하고, 데이타 보정 수단(404)에서 브랜치 개폐 상태(417)에서 브랜치(Br16)의 상태를 개상태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423)에서 브랜치(Br6, Br8, Br10, Br12, Br16)를 삭제하여, 계산 필요 정보(416)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16)의 임피던스를 감산한다.
이 2회째의 브랜치의 개조작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423)에 보존되는 브랜치는 없어지므로, 루프 계통은 없음으로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407)에서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 정보(421)는 도 26의 모델 계통(454)으로 되고, 폐상태의 브랜치로서 Brl, Br2, Br3, Br5, 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4, Br17과 개상태의 브랜치로서, Br4, Br13, Br15, Br16을 보존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409)에서, 도 26의 모델 계통(454)의 계통을 도 27과 같은 배전 계통의 정보 계통(455)으로 변환하여, 출력 영역(422)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실시예를 도 2, 도 71, 도 72, 도 73,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도 44, 도 4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개략도이고, 도 31은 도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상세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처리 플로우 챠트이다. 도 33은 배전 계통의 예, 도 34는 도 33의 배전 계통을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변환한 결과인 모델 계통을 나타내고, 도 35, 도 36, 도 37, 도 38, 도 39, 도 40은 도 33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델 계통의 상태 천이를, 도 41은 도 33의 배전 계통의 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에서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배전 계통 결과를, 도 42, 도 43, 도 44, 도 45는 도 33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71, 도 72, 도 7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산식이다. 또한,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 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1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501)은,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의 정보나 개폐기의 개폐 상태,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의 조작의 가부 등의 운전원에 의한 설정 정보, 계통 상태가 운용상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치로서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입력하여, 기억 장치(20)에 배전 계통 설비 정보(517), 개폐기 정보(519), 구간 정보(518), 운전원 설정 정보(516)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502)에서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517)나 개폐기 정보(519), 구간 정보(518), 운전원 설정 정보(516)를 사용하여, 배전 계통을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변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 부하 정보, 브랜지 임피던스를 축퇴(縮退)용 계산 필요 정보(520)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521)에 보존함과 동시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522)에 저장한다. 또, 조작이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에 추가 보존한다.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503)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522)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한 전체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모든 개상태에 있는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구성 브랜치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하고, 합집합을 취함으로써 추출하여 계산 대상 브랜치, 계산 대상 노드로서, 또는 계산 대상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 및 계산 대상 노드 이외의 노드는 축퇴 대상 브랜치 및 축퇴 대상 노드로서, 계산 대상 계통 정보(523)에 보존한다. 이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503)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채용할 수 있다.
키 설비 추출 수단(504)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를 사용해서 계산 대상 계통 정보(523)에서 축퇴 대상으로 되어 있는 브랜치 중 일방의 노드가 계산 대상 노드이고, 타방의 노드가 축퇴 대상 노드로 되어 있는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기브랜치의 노드 중, 계산 대상 노드인 노드를 키 노드로서 모두 추출하여, 키 설비 정보(524)에 보존한다.
노드 축퇴(縮退) 집약 수단(505)에서는, 키 설비 정보(524)에서 키 브랜치로 되어 있는 브랜치보다 하위의 계통에 속하는 노드를 추출하고, 축퇴 대상 노드로 한다. 또,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에서 취출하여 합계하고, 키 브랜치에 대응하는 키 노드의 부하에 가산하여, 키 설비 정보(524)에 추가·보존한다. 이 노드 축퇴 집약 수단(505)에서 키 브랜치의 하위 계통에 소속하는 노드를 추출하는 처리에,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적용할 수 있다.
노드 축퇴 수단(506)에서는, 키 설비 추출 수단(504)을 실행하고, 키 설비 정보(524)에서 키 브랜치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에 대해서, 노드 축퇴 집약 수단(505)을 사용하여 노드의 축퇴 처리를 실시한다.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507)에 있어서는, 계산 대상 계통 정보(523)에 있어서 계산 대상 브랜치와 계산 대상 노드만을 취출하고, 축퇴후의 계통에 있어서의 브랜치 번호 및 노드 번호를 매기고, 축퇴전 계산 필요 정보에 있어서의 브랜치 번호 및 노드 번호와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여, 축퇴 대응 테이블로서 계산 필요 정보(525)에 보존한다.
또, 축퇴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에 의한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를 기초로 작성하여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로서,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에서 계산 대상 브랜치의 임피던스를 추출하여 브랜치 임피던스로서, 키 노드인 노드의 부하 정보에 대해서는 키 설비 정보(524)에서 취출하고, 키 노드 이외의 노드의 부하 정보에 대해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의 부하 정보로부터 취출하여 축퇴후의 노드 부하 정보로서,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522)에서 계산 대상 브랜치의 개폐 상태만을 취출하여 조작 전 브랜치 개폐 상태로 하여, 브랜치의 개폐 상태(527)에 보존한다. 계산 필요 정보(525)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 허용 전류 및 전압 강하 한도치를 계통 조건 정보(526)에 보존한다. 또, 축퇴후의 조작 가능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상태(527)에 보존한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509)에서는 브랜치 개폐 상태(527)와 계산 필요 정보(525)를 사용하여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으로, 폐상태의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도 72의 식 7002에 의해 산출하고, 브랜치 전류 정보(529)에 보존한다. 식 7001에 있어서, E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509)에서 브랜치 정보의 산출에 사용하는 노드 전압의 행렬, Y와 I는 각각 계산 필요 정보(525)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과 노드 부하 전류이다. 식 7002에 있어서 I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509)에서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V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의 전압차이고, 각 노드의 전압은, 식 7001에서 산출된 노드 전압을 사용한다. R은, 계산 필요 정보(525)에 보존된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저항분만을 취출하여 사용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510)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와 계통 조건 정보(526)와 브랜치 전류 정보(529)와 계통 체크 수단(511)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 등의 계통 운용상의 이상 발생 유무의 체크 결과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이고 또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조작 실시 후에 계통 운용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여, 전류 최소 브랜치(531)로서 보존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508)에서는, 조작 가능한 전체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계산 필요 정보(525)의 조작전 브랜치 상태를 기초로, 전류 최소 브랜치로 되고 폐조작을 실시한 브랜치 이외의 모든 개상태에 있는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구성 브랜치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하고, 합집합을 취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로서 작성한다. 이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채용할 수 있다.
데이타 보정 수단(512)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531)에 보존된 브랜치의 개조작의 실시 후의 계통의 상태로 되도록, 계산 필요 정보(525)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전류 최소 브랜치(531)에 보존된 브랜치의 어드미턴스분의 감산과, 브랜치 개폐 상태(527)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 개폐 상태에 있어서의 전류 최소 브랜치(531)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전체 루프 브랜치 추출 수단(508)을 실행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를 갱신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513)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를 사용하여 루프 계통의 유무를 판정한다. 루프가 있는 경우에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509)에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510), 데이타 보정 수단(512)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루프 계통이 없어졌다고 판정하면, 그 시점에서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532)에 보존하고,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514)을 실시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514)에서는, 방사상 계통 관정 수딘(513)에서 루프 계통이 없어졌다고 판단된 시점에서의 방사상 계통 정보(532)와 계산 필요 정보(525)를 기초로, 송전 손실 최소 계통 구성을 작성하여 출력 영역(533)에 보존한다.
도 32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도 33의 배전 계통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3은 배전 계통의 예이다. 도 33에 있어서의 배전 계통(5101)은, 배전용 변압기(Tr1, Tr2)와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의 Bus1, Bus2, Bus3과,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와 폐상태에 있는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11, SW12, SW13, SW16, SW17, SW18, SW20, SW21, SW22, SW23, SW24)와 개상태에 있는 개폐기(SW9, SW10, SW14, SW15, SW19)와, 그들의 개폐기에 의해 구분된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운전원에 의해 SW9, SW14가 개상태에서 조작 금지, SW12, SW24가 폐상태에서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501)에서는, 도 33에 나타낸 배전 계통(5101)의 배전용 변압기(Tr1, Tr2)의 임피던스나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의 임피던스 및 부하량, 전압 강하 한도치나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1, SW12, SW13, SW14, SW15, SW16, SW17, SW18, SW19, SW20, SW21, SW22, SW23, SW24)의 개폐 상태 및 운전원에 의한 조작 금지 설정 상태, 통과 전류 허용치나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등을 입력하여, 배전선 계통 설비 정보(517), 구간 정보(518), 개폐기 정보(519), 운전원 설정 정보(516)에 보존한다.
도 34에 나타낸 모델 계통(5102)은 데이타 변환 수단(502)에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모델화된 결과의 계통이다. 데이타 변환 수단(502)에 의해 배전 계통(5101)의 배전용 변압기(Tr1, Tr2)는 모델 계통(5102)의 브랜치(B1, B2)로, 배전 계통(5101)의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Bus1, Bus2, Bus3)은 각각 모델 계통(5102)의 노드(N1, N2, N3)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각각 B3, B4, B5, B6, B7, B8로, 개폐기(SW1)는 B9로, SW2는 B10으로, SW3은 B11로, SW4는 B12로, SW5는 B13으로, SW6은 B14로, SW7은 B15로, SW8은 B16으로, SW9는 B17로, SW10은 B18로, SW11은 B19로, SW12는 B20으로, SW13은 B21로, SW14는 B22로, SW15는 B23으로, SW16은 B24로, SW17은 B25로, SW18은 B26으로, SW19는 B27로, SW20은 B28로, SW21은 B29로, SW22는 B30으로, SW23은 B31로, SW24는 B32로 각각 치환한다.
이들의 노드와 브랜치로 변환한 결과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와 노드 부하와 브랜치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개폐기의 대응을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에, 노드의 전압 저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한도치를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521)에 보존한다. 또한, 배전용 변압기(Tr1, Tr2),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개상태로 되면 계통 전체에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브랜치(B1, B2, B3, B4, B5, B6, B7, B8)를 조작불가능 브랜치로서, 또, 개폐기(SW9, SW12, SW14, SW24)는 운전원에 의해 조작 금지와 설정되어 있으므로, 브랜지(B17, B20, B22, B32)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그것 이외의 브랜치(B9, B10, B11, B12, B13, B14, B15, B16, B18, B19. B21. B23, B24, B25, B26, B27, B28, B29, B30, B31)는 조작 가능 브랜치로서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521)에 추가· 보존한다.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503)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522)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한 모든 개상태 브랜치인 B18, B23, B27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B1, B2, B4, B5, B6, B7, B13, B15, B16, B17, B18, B19, B20, B21, B22, B23, B24, B25, B26, B27, B28)를 계산 대상 브랜치로서, 노드(N1, N2, N3, N5, N6, N7, N8, N14, N16, N17, N18, N19, N20, N21, N22, N23, N24)를 계산 대상 노드로서, 또, 계산 대상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B3, B8, B9, B10, B11, B12, B14, B29, B30, B31, B32)는 축퇴 대상 브랜치로서, 계산 대상 노드 이외의 노드(N4, N9, N10, N11, N12, N13, N15, N25, N26, N27, N28)는 축퇴 대상 노드로서 계산 대상 계통 정보(523)에 보존한다. 도 35의 모델 계통(5103)에, 계산 대상 브랜치와 계산 대상 노드, 축퇴 대상 브랜치, 축퇴 대상 노드를 나타낸다.
키 설비 추출 수단(504)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를 사용하여 계산 대상 계통 정보(523)에서 축퇴 대상으로 되어 있던 브랜치 중, 일방의 노드가 계산 대상 노드이고, 타방의 노드가 축퇴 대상 노드로 되어 있던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서, 또, 키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에서 계산 대상으로 되어 있던 노드를 키 노드로 한다. 도 35의 모델 계통(5103)에서는, 브랜치(B3)와 노드(N2), 브랜치(B14)와 노드(N14), 브랜치(B29)와 노드(N24), 브랜치(B8)와 노드(N3)를 키 브랜치와 키 노드로서, 키 설비 정보(524)에 보존한다.
노드 축퇴 수단(506)에서는, 키 설비 정보(524)에 보존되어 있는 키 브랜치의 각각에 대해서,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의 어드미턴스 행렬과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를 사용하여 키 브랜치의 하위의 노드를 추출한다. 또,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 정보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에서 취출하여 합계하고, 키 노드의 부하에 가산한다. 예를 들어, 도 35의 모델 계통(4103)에 있어서의 키 브랜치(B3)의 경우에는, 노드(N4, N10, N11, N12, N13)를 축퇴 대상 노드로서, 키 노드(N2)의 노드 부하로서 N2, N4, N10, N11, N12, N13의 노드 부하의 합계를 키 설비 정보(524)에 추가 보존한다.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507)에서는,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503)에서 계산 대상으로 판단된 노드(N1, N2, N3, N5, N6, N7, N8, N14, N16, N17, N18, N19, N20, N21, N22, N23, N24)와, 브랜치 (B1, B2, B4, B5, B6, B7, B13, B15, B16, B17, B18, B19, B20, B21, B22, B23, B24, B25, B26, B27, B28)를 계산 대상 계통 정보(523)에서 취출하고, 축퇴 노드와 축퇴 브랜치의 번호를 일괄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어,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축퇴전 노드 번호와 축퇴후 노드 번호의 대응 테이블 및 축퇴전 브랜치 번호와 축퇴후 브랜치 번호, 대응 개폐기 테이블을 계산 필요 정보(525)에 보존한다.
또,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에서 축퇴전의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취출하여 축퇴후 노드 번호와 축퇴후 브랜치 번호를 사용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로 변환하고, 축퇴전의 노드 정보에 대해서는, 키 노드에 대해서는 노드 축퇴 수단(506)의 노드 축퇴 집약 수단(505)에서 작성된 노드 부하 합계치를 키 설비 정보(524)에서 취출하고, 키 노드 이외의 노드의 부하에 대해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의 노드 정보를 취출하여 축퇴후의 노드 번호로 변환하고, 축퇴전의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는 계산 대상 브랜치의 정보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520)에서 취출하여 축퇴후의 브랜치 번호로 변환하고, 축퇴전의 어드미턴스 행렬에 대해서는 축퇴후의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다시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525)에 추가·보존한다.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521)에 대해서는, 축퇴전의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및 축퇴전의 브랜치 통과 한도 허용치와 조작 가부를 축퇴후의 노드 번호 및 축퇴후의 브랜치 번호로 변환하여 계통 조건 정보(526)에 보존하고, 브랜치의 개폐 상태에 대해서는 축퇴후의 브랜치의 번호로 변환하여 브랜치 개폐 상태(527)와 계산 필요 정보(525)에 초기 계통 상태로서 보존한다. 축퇴후 브랜치 중, 계통 조건 정보(526)에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던 모든 브랜치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에 보존한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509)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525)와 브랜치 개폐 상태(527)을 사용해서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에서, 폐상태인 브랜치(Br1, Br2, Br3, Br4, Br5, Br6, Br7, Br8, Br9, Br11, Br12, Br13, Br14, Br16, Br17, Br18, Br19, Br20, Br21)의 동과 전류를 도 71의 식 7002를 사용해서 산출하여, 브랜치 전류 정보(529)에 보존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츨 수단(510)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성보(528)와 계통 조건 정보(526)와 브랜치 전류 정보(529)와 계통 체크 수단(511)에 의한 계통 체크 결과(530)가 도 42의 결과(5110)였던 경우, 조작 가능 브랜치이고, 또한 폐상태의 브랜치 중에서 전류치가 최소이고, 또한 개조작 실시 후에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은 브랜치(Br9)를 전류 최소 브랜치(531)로 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512)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531)에 보존된 브랜치(Br9)의 개조작의 실시 후의 계통이, 도 38의 모델 계통(5106)의 상태가 되도록 브랜치 개폐 상태(527)의 브랜치(Br9)의 상태를 개상태하고, 계산 필요 정보(525)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9)의 임피던스를 감산하도록 하는 보정을 행한다. 또,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508)을 사용하여, 도 36의 모델 계통(5104)에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전류 최소 브랜치로 되지 않은 브랜치(Br11, Br16)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 중, 조작 가능인 Br12, Br14, Br16, Br17, Br18, Br19, Br20, Br21을 전체 루프 계통 브랜치 정보(528)에 보존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513)에서는, 도 38의 모델 계통(5106)의 경우에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에 조작 가능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Br12, Br14, Br16, Br17, Br18, Br19, Br20, Br21이 존재하므로, 루프 계통임으로 판단하고,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509)과 전류 최소 브랜치 추출 수단(510)과 데이타 보정 수단(512)을 모델 계통(5106)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 대해서 실시한다.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509)을 행한 결과의 브랜치 전류 정보(529)가 도 43의 결과(5111)로 된 경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510)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를 브랜치(Br19)로 판단하고, 데이타 보정 수단(512)에서 브랜치 개폐상태(527)에서 브랜치(Br19)의 상태를 개상태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에서 브랜치(Br12, Br14, Br16, Br17, Br18, Br19)를 삭제하여, 계산 필요 정보(525)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19)의 임피던스를 감산한다. 계통은, 도 39의 모델 계통(5107)과 같게 된다.
도 39의 모델 계통(5107)의 경우에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에 조작 가능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Br17, Br20, Br21이 존재하므로, 루프 계통임으로 판단하고, 3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509)과 전류 최소 브랜치 추출 수단(510)과 데이타 보정 수단(512)을 모델 계통(5107)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 대해서 실시 한다.
3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509)을 행한 결과의 브랜치 전류 정보(529)가 도 44의 결과(5112)로 된 경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510)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를 브랜치(Br20)로 판단하고, 데이타 보정 수단(512)에서 브랜치 개폐 상태(527)에서 브랜치(Br20)의 상태를 개상태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에서 브랜치(Br17, Br20, Br21)를 삭제하여, 계산 필요 정보(525)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20)의 임피던스를 감산한다.
이 3회째의 브랜치의 개조작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528)에 보존되는 브랜치는 없어지므로, 루프 계통은 없음으로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513)에서 판단하고, 방시상 계통 정보(532)는 도 40의 모델 계통(5108)으로 되고, 폐상태의 브랜치로서 Br1, Br2, Br3, Br4, Br5, Br6, Br7, Br8, Br11, Br12, Br13, Br14, Br16, Br17, Br18, Br21과 개상태의 브랜치로서, Br9, Br10, Br15, Br19, Br20을 보존한다. 방사상 계통 정보(532)에 보존된 계통이 모델 계통(5108)과 동일한 계통인 경우,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514)에서, 모델 계통(5108)의 계통을 배전 계통의 도 41의 결과 계통(5301)으로 변환하여, 출력 영역(533)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실시의 헝태를 도 2, 도 46, 도 47,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 도 57, 도 58, 도 59, 도 6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개략도이고, 도 46은 도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상세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처리 플로우 챠트이다. 도 48은 배전 계통의 예, 도 49는 도 48의 배전 계통을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변환한 결과인 모델 계통을 나타내고,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은 도 48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델 계통의 상태 천이를, 도 59는 도 48의 배전 계통의 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배전 계통 결과를, 도 57, 도 58, 도 60은 도 48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71, 도 72, 도 7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산식이다. 또한,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개략도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6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601)은,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의 정보나 개폐기의 개폐 상태,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의 조작의 가부 등의 운전원에 의한 설정 정보, 계통 상태가 운용상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치로서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입력하여, 기억 장치(20)에 있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617), 개폐기 정보(619), 구간 정보(618), 운전원 설정 정보(616)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602)에서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617)나 개폐기 정보(619), 구간 정보(618), 운전원 설정 정보(616)를 사용하여, 배전 계통을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변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0)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621)에 보존함과 동시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622)에 저장한다. 또, 모든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0)에 추가·보존한다.
루프 검출 수단(603)에서는,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0)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행렬,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621)의 브랜치 조작 가부,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622)의 브랜치 개폐 상태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본 수단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사용할 수 있다.
그룹 판정 수단(604)에서는, 루프 검출 수단(603)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를 제거하여 모든 브랜지가 동일 그룹임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632)의 브랜치별 그룹 성보에 보존한다. 이미, 다른 그룹이라고 판단되어 있는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금회의 루프 검출 수단(603)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를 제거하여 모든 브랜치를 그 이미 다른 그룹에 할당되어 있는 브랜치와 동일 그룹으로 할당한다.
다른 그룹에 할당되어 있는 브랜치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그룹의 번호가 최소인 그룹 이외의 그룹이라고 판단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 및 금회의 루프 검출수단(603)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옹하는 브랜치를 제거한 모든 브랜치를 그룹의 번호가 최소인 그룹이라고 판단하고, 브랜치 그룹 정보에 632의 브랜치 그룹 번호로 보존한다.
그룹 분할 수단(605)에서는,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622)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서 개상태이고, 또한,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621)에서 조작 가능으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에 대해서, 루프 검출 수단(603)과 그룹 판정 수단(604)을 실시함으로써, 브랜치가 소속하는 그룹을 판정한다.
또,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에 대해서는,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0)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어느 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노드에 접속하는 브랜치를 찾아, 그 브랜치보다 하위 계통의 브랜치에 대해서는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와 동일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한다. 본 수단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1을 사용할 수 있다.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는 루프 구성 브랜치로 된 모든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본 수단에서 검출된 브랜치의 그룹은, 브랜치 그룹 정보(632)에 보존된다.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607)에서는, 그룹 분할 수단(605)에서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606)에서 추출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608)과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09),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610), 데이타 보정 수단(612),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613), 도 97의 노드 절환 결정 수단(912), 절환후 보정 수단(913),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917)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가 되는 계통을 각각 검출한다.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606)에서는, 브랜치 그룹 정보(632)를 사용하여 동일 그룹이라고 판단된 브랜치와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를 취출하고, 동일 그룹이라고 판단된 브랜치 및 노드의 번호를 이전과 같은 상태로 함으로써, 계산용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의 고침을 실시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의 대응 테이블, 그룹 분할전의 노드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노드 번호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625)에 보존한다.
또,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0)의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노드 정보에 대해서는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정보만을 취출하여 그룹 분할후의 노드 번호에 의해 작성하고,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는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정보만을 취출하여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에서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625)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621)로부터는, 브랜치의 조작 가능 및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 노드의 정보에 대해서 취출하여,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에 의해 작성하고, 계통 조건 정보(626)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에서 조작 가능인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상태(627)로, 어드미턴스 행렬을 계산 필요 정보(625)에 보존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608)에서는, 조작 가능한 전체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모든 개상태에 있는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구성 브랜치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하고, 합집합을 취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28)로서 작성한다. 이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채용할 수 있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09)에서는 브랜치 개폐 상태(627)와 계산 필요 정보(625)를 사용하여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으로, 폐상태의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도 71의 식 7002에 의해 산출하고, 브랜치 전류 정보(629)에 보존한다. 식 7001에 있어서, E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09)에서 브랜치 정보의 산출에 사용하는 노드 전압의 행렬, Y와 I는 각각 계산 필요 정보(625)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과 노드 부하 전류이다. 식 7002에 있어서 I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09)에서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V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의 전압자이고, 각 노드의 전압은, 식 7001에서 산출된 노드 전압을 사용한다. R은, 계산 필요 정보(625)에 보존된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저항분만을 취출하여 사용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610)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608)와 계통 조건 정보(626)와 브랜치 전류 정보(629)와 계통 체크 수단(611)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 등의 계통 운용상의 이상 발생 유무의 체크 결과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이고 또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조작 실시 후에 계통 운용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여, 전류 최소 브랜치(631)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612)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631)에 보존된 브랜치의 개조작 실시 후의 계통의 상태가 되도록, 계산 필요 정보(625)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전류 최소 브랜치(631)에 보존된 브랜치의 어드미턴스분의 감산과, 브랜치 개폐 상태(627)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 개폐 상태에 있어서의 전류 최소 브랜치(631)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전체 루프 브랜치 추출 수단(608)을 실행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628)를 갱신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613)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628)를 사용하여 루프 계통의 유무를 판정한다. 루프가 있는 경우에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09)에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610), 데이타 보정 수단(612)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루프 계통이 없어졌다고 판정하면, 방사상 계통 정보(623)를 작성하고, 결과 계통 구성 수단(614)을 실시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614)에서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613)에서 루프 계통이 없다고 판단된 시점에서의 방사상 계통정보(623)와 계산 필요 정보(625)를 기초로, 송전 손실 최소 계통 구성을 작성하여 출력 영역(624)에 보존한다.
도 47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도 48의 배전 계통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8은 배전 계통의 예이다. 도 48에 있어서 배전 계통(6101)은, 배전용 변압기(Tr1, Tr2)와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의 Bus1, Bus2, Bus3과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와 폐상태에 있는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11, SW12, SW13, SW16, SW17, SW18, SW20, SW21, SW22, SW23, SW24)와 개상태에 있는 개폐기(SW9, SW10, SW14, SW15, SW19, SW25)와, 개폐기에 의해 구분된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운전원에 의해 SW9, SW10, SW14가 개상태에서 조작 금지, SW12, SW24가 폐상태에서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601)에서는, 배전 계통(6101)의 배전용 변압기(Trl, Tr2)의 임피던스나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의 임피던스, 및 부하량, 전압 강하 한도치나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1, SW12, SW13, SW14, SW15, SW16, SW17, SW18, SW19, SW20, SW21, SW22, SW23, SW24, SW25, SW26)의 개폐 상태, 및 운전원에 의한 조작 금지 설정 상태, 통과 전류 허용치나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등을 입력하여, 배전선 계통 설비 정보(617), 구간 정보(618), 개폐기 정보(619), 운전원 설정 정보(616)에 보존한다.
도 49에 나타낸 모델 계통(6102)은 데이타 변환 수단(602)에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모델화된 결과의 계통이다. 데이타 변환 수단(602)에 의해 배전 계통(6101)의 배전용 변압기(Tr1, Tr2)는 모델 계통(6102)의 브랜치(B1, B2)로, 배전계통(6101)의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Bus1, Bus2, Bus3)은 각각 모델 계통(6102)의 노드(N1, N2, N3)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각각 B3, B4, B5, B6, B7, B8로, 개폐기(SW1)는 B9로, SW2는 B10으로, SW3은 B11로, SW4는 B13으로, SW5는 B15로, SW6은 B16으로, SW7은 B17로, SW8은 B18로, SW9는 B20으로, SW10은 B19로, SW11은 B21로, SW2는 B22로, SW13은 B23으로, SW14는 B24로, SW15는 B25로, SW16은 B26으로, SW17은 B27로, SW18은 B28로, SW19는 B29로, SW20은 B30으로, SW21은 B31로, SW22는 B32로, SW23은 B33으로, SW24는 B34로, SW25는 B12로, SW26은 B14로 각각 치환한다.
이들의 노드와 브랜치로 변환한 결과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와 노드 부하와 브랜치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개폐기의 대응을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0)에, 노드의 전압 저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한도치를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621)에 보존한다. 또한, 배전용 변압기(Tr1, Tr2),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개상태로 되면, 계통 전체에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브랜치(B1, B2, B3, B4, B5, B6, B7, B8)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 하고, 또, 개폐기(SW9, SW10, SW12, SW14, SW24)는 운전원에 의해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브랜치(B19, B20, B22, B24, B34)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 하고, 그것 이외의 브랜치(B9, B10, B11,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21, B23, B25, B26, B27, B28, B29, B30, B31, B32, B33)는 조작 가능 브랜치로서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621)에 추가·보존한다.
그룹 분할 수단(605)에서는,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621)의 브랜치 조작 가부와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622)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사용하여, 브랜치가 개상태의 브랜치 도 49의 모델 계통(6102)의 브랜치(B12, B14, B25, B29)에 대해서, 루프 검출 수단(603)과 그룹 판정 수단(604)을 사용하여, 전체 브랜치와 노드 그룹의 판정을 행한다. 우선, 루프 판정 수단(603)에서는,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0)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행렬,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622)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하고 또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도 49의 모델 계통(6102)에서 조작 가능하고, 또한 개상태의 브랜치(B12)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로 하고, 브랜치(B1, B3, B9, B10, B11, B12, B34, B33, B8, B2)를 검출한다.
다음에 그룹 판정 수단(604)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를 제외한 모든 브랜치가 동일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한다. 도 49의 모델 계통(6102)에서는, 브랜치(B12)의 폐조작을 행함으로서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에서, 브랜치(B3, B9, B10, B11, B12, B34, B33, B8)를 동일 그룹 1이라고 판단한다. 도 49의 모델 계통(6102)에서, 2회째의 그룹 분할용 수단(605)에서는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B14)의 폐조작을 대상으로 하면, 루프 검출 수단(603)에서 루프 구성 브랜치로 판단된 브랜치는, 브랜치(B3, B9, B13, B14, B16, B15, B4)이다. 그룹 판정 수단(604)에서는, 이미 133, B9가 그룹 1이라고 판단되므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한 B13, B14, B16, N15, B4도 그룹 1이라고 판단한다.
도 49의 모델 계통(6102)에 대해서 그룹 분할 수단(605)을 실시한 결과,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로서 브랜치(B12, B14)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의 브랜치(B3, B4, B8, B9, B10, B12, B13, B14, B15, B16, B33, B34)와,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그룹 1의 브랜치의 편단인 브랜치(B17)와 그의 하위 계통의 브랜치(B18)를 그룹 1로, 브랜치(B25, B29)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B5, B6, B7, B21, B22, B23, B25, B26, B27, B28, B29, B30)와,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그룹 2의 브랜치의 편단인 브랜치(B31)와, 그의 하위 계통의 브랜치(B32)를 그룹 2의 2 그룹으로 분할하고, 브랜치 그룹 정보(632)로 보존한다. 도 49의 모델 계통(6102)을 그룹 분할한 결과를 도 50의 모델 계통(6103)에 나타낸다.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607)에서는, 그룹 분할 수단(605)에서 분할된 그룹마다 도 50의 모델 계통(6103)에 있어서의 브랜치(B3, B4, B8, B9, B10,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33, B34)로 된 그룹 1과, 브랜치(B5, B6, B7, B21, B22, B23, B25, B26, B27, B28, B29, B30, B31, B32)로 된 그룹 2의 각각에 대해서,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606)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608),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09),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610), 데이타 보정 수단(612),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613)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인 계통 구성을 구한다.
도 50의 모델 계통(6103)의 그룹 1에 대해서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607)을 실시한 경우의 처리를 이하에 기재한다.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606)에서는,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B3, B4, B8, B9, B10,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33, B34)와,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B1, B2의 양단의 노드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의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N1, N2, N3, N4, N5, N9, N10, N11, N12, N13, N14, N15, N16, N17, N27, N28)를 추출한다. 이들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 및 노드에 대해서, 미리 채워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매기고, 도 6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개폐기, 그룹 분할전의 노드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노드 번호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고, 계산 필요 정보(625)에 보존한다.
또,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5)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5)의 노드 정보로부터 그룹 1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정보를 추출하고,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625)의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에 의한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작성하고, 그룹 1에 속하는 조작 가능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625)로 보존한다.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621)에서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통과 전류 허용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626)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622)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서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추출하고, 브랜치 개폐 상태(627)에 보존한다. 도 50의 모델 계통(6103)에서, 그룹 1을 추출한 결과의 계통을 도 51의 모델 계통(6201)에 나타낸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608)에서는, 계통 조건 정보(626)에서 조작 가능으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도 51의 모델 계통(6201)에 있어서 브랜치(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3, Br14, Br15, Br16))를, 이 때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상태(627)에 저장한다. 도 52의 모델 계통(6202)은, 모델 계통(6201)에 있어서 조작 가능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계통이다. 또, 이 때에 가능한 조작 가능하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로서 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3, Br16을 전체 루프 계통 브랜치 정보에 보존한다. 또, 이 계통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627)에서 폐상태로 되어 있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625)에 추가·보존한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09)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625)와 브랜치 개폐 상태(627)를 사용하여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으로, 폐상태인 브랜치 (Br1, Br2, Br3, Br4, Br5, Br6, Br7, Br8, Br9, Br10, Br12, Br13, Br14, Br15, Br16, Br17)의 통과 전류를 도 71의 식 7002를 사용하여 산출하여, 브랜치 전류 정보(629)에 보존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610)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628)와 계통 조건 정보(626)와 브랜치 전류 정보(629)와 계통 체크 수단(611)에 의한 계통 체크 결과(630)가 도 57의 결과(6110)이였던 경우, 조작 가능 브랜치이고 또한 폐상태의 브랜치중에서 전류치가 최소이고 또한 개조작 실시 후에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흑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는 브랜치(Br8)를 전류 최소 브랜치(631)로 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612)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631)에 보존된 브랜치(Br8)의 개조작을 실시 후의 계통이 도 53의 모델 계통(6203)의 상태로 되도록 브랜치의 개폐 상태(627)의 브랜치(Br8)의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계산 필요 정보(625)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8)의 임피던스를 감산하는 보정을 행한다. 또,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608)을 사용하여, 도 51의 모델 계통(6201)에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전류 최소 브랜치로 되어 있지 않은 브랜치(Br11)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중, 조작 가능인 Br6, Br10, Br11, Br12, Br13, Br16을 전체 루프 계통 브랜치 정보(628)에 보존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613)에서는, 도 53의 모델 계통(6203)의 경우에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628)에 조작 가능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Br6, Br10, Br11, Br12, Br13, Br16이 존재하므로, 루프 계통임으로 판단하고,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09)과 전류 최소 브랜치 추출 수단(610)과 데이타 보정 수단(612)을 모델 계통(6203)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 대해서 실시한다.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09)을 행한 결과의 브랜치 전류 정보(629)가 도 58의 결과(6111)로 된 경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610)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를 브랜치(Br13)로 판단하고, 데이타 보정 수단(612)에서 브랜치 개폐 상태(627)에서 브랜치(Br13)의 상태를 개상태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628)에서 브랜치(Br6, Br10, Br11, Br12, Br13, Br16)를 삭제하여, 계산 필요 정보(625)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13)의 임피던스를 감산한다. 계통은, 도 54의 모델 계통(6204)과 같게 된다.
이 2회째의 브랜치의 개조작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628)에 보존되는 브랜치는 없어지므로, 루프 계통은 없음으로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613)에서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 정보(623)는 도 54의 모델 계통(6204)으로 되고, 폐상태의 브랜치로서 Br1, Br2, Br3, Br4, Br5, Br6, Br7, Br9, Br10, Br11, Br12, Br14, Br15, Br16, Br17과 개상태의 브랜치로서, Br8, Br13을 보존한다.
도 50의 그룹 2의 브랜치 B1, B2, B5, B6, B7, B21, B22, B23, B25, B26, B27, B28, B29, B30, B31, B32와, 노드 N1, N2, N3, N6, N7, N8, N18, N19, N20, N21, N22, N23, N24, N25, N26에 대해서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607)에서는, 다음에 실시하는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606)에서 얻어진 모델 계통을 도 107의 모델 계통(9301)에 나타낸다. 이 계통에 대해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608)과,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611),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610), 데이타 보정 수단(612),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613)을 실시하여 얻어진 계통을 도 108의 모델 계통(9302)에 나터낸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614)에서, 계산 필요 정보(625)의 분할 전 브랜치와 분할 후 브랜치의 대응 테이블을 사용하여, 그룹 1의 결과에 대해서는 도 54의 모델 계통(6204)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배전 계통의 개폐기 상태로 변환하고, 그룹 2의 결과에 대해서는 도 55의 모델 계통(6301)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배전 계통의 개폐기 상태로 변환하여, 출력 영역(624)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그 결과, 얻어진 계통이 도 59의 배전 계통 예(6401)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2, 도 7, 도 61, 도 62, 도 63, 도 64, 도 65, 도 66, 도 67, 도 68, 도 69, 도 70, 도 71, 도 72, 도 73, 도 74, 도 75, 도 76, 도 7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개략도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1은 도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상세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처리 플로우 챠트이다. 도 63은 배전 계통의 예, 도 64는 도 63의 배전 계통을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변환한 결과인 모델 계통을 나타내고, 도 65, 도 66, 도 67, 도 68은 도 63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델 계통의 상태 천이를, 도 69는 본 발명의 처리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모델 계통에 있어서의 결과를, 도 70은 도 63의 배전 계통의 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배전 계통 결과를, 도 74, 도 75, 도 76, 도 77은 도 63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71, 도 72, 도 7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산식이다.
도 61에 있어서, 중앙 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701)에서는,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의 정보나 개폐기의 개폐 상태,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의 조작의 가부 등의 운전원에 의한 설정 정보, 계통 상태가 운용상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치로서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입력하여, 기억 장치(20)에 있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722), 개폐기 정보(720), 구간 정보(721), 운전원 설정 정보(723)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702)에서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722)나 개폐기 정보(720), 구간 정보(721), 운전원 설정 정보(723)를 사용하여, 배전 계통을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변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를 계산 필요 정보(725)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계통 조건 정보(724)에 보존함과 동시에, 조작 가능인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하고 브랜치 개폐 상태(728)에 저장한다. 또, 조작이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고, 계산 필요 정보(725)에 추가·보존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5)에서는, 조작 가능한 전체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모든 개상태에 있는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구성 브랜치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하고, 합집합을 취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27)로서 작성한다. 이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채용할 수 있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703)에서는 브랜치 개폐 상태(728)와 계산 필요 정보(725)를 사용하여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으로, 폐상태의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도 71의 식 7002에 의해 산출하고, 브랜치 전류 정보(726)에 보존한다. 식 7001에 있어서, E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703)에서 브랜치 정보의 산출에 사용하는 노드 전압의 행렬, Y와 I는 각각 계산 필요 정보(725)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과 노드 부하 전류이다. 식 7002에 있어서 I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703)에서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V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의 전압차이고, 각 노드의 전압은, 식 7001에서 산출된 노드 전압을 사용한다. R은, 계산 필요 정보(725)에 보존된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저항분만을 취출하여 사용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706)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27)와 계통 조건 정보(724)와 브랜치 전류 정보(726)와 계통 체크 수단(709)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 등의 계통 운용상의 이상 발생 유무의 체크 결과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이고 또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조작 실시 후에 계통 운용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여, 전류 최소 브랜치(729)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704)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729)에 보존된 브랜치의 개조작의 실시 후의 계통의 상태가 되도록, 계산 필요 정보(705)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전류 최소 브랜치(729)에 보존된 브랜치의 어드미턴스분의 감산과, 브랜치 개폐 상태(728)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 개폐 상태에 있어서의 전류 최소 브랜치(729)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27)에 보존되어 있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로부터, 전류 최소 브랜치(729)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를 개방함으로써, 루프를 구성하지 않게 되는 브랜치를 삭제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707)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27)를 사용하여 루프 계통의 유무를 판정한다. 루프가 있는 경우에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703)에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706), 데이타 보정 수단(704)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루프 계통이 없어졌다고 판정하면, 방사상 계통 정보(730)를 작성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8)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725)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730)에서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로 되어 있던 1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31)로서 보존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8)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적용할 수 있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714)에서는,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31)에서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8)에서 폐조작을 실시한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절환되는 노드의 집합을 절환 노드 정보(732)로서 추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714)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적용할 수 있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710)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725)와 방사상 계통 정보(730), 구간 정보(721)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및 노드 전압을 도 73의 식 7004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계통 정보(733)에 저장한다. 식 7004에 있어서는, E는 노드 전압 행렬(유효분/무효분)은 어드미턴스 행렬의 역행렬 Y-1과 노드 부하(유효분/무효분) I와의 적(積)에서 산출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模擬) 계산 수단(711)에서는, 계통 정보(733)의 노드 전압과 절환 노드 정보(732),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31), 계산 필요 정보(725)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정보와 계통 조건 정보(724)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은 브랜치의 개폐 조작에 의한 노드 절환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734)을 도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식 7003에서, Ii는 계산 필요 정보(725)에 보존된 노드 부하를 사용하고, D는 절환 노드 정보(732)에 보존되어 있는 절환 노드의 집합을 사용하고, Em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절환 노드 검출 수단(714)에서 추출된 절환 노드의 접속하는 측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733)에서 취출하고, En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m과는 다른 단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733)에서 취출하고, Rloop는 계산 필요 정보(725)에서 취출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31)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의 합을 구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P)을 산출한다. △P의 값이 부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P가 정의 값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이 증가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712)에서는,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모든 조에 대해서, 방사상 계통 정보(730)와 계산 필요 정보(725),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8)에서 검출한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31), 계통 조건 정보(724), 절환 노드 검출 수단(714)에서 추출한 절환 노드 정보(732),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711)에서 산출한 송전 손실 변화량(734), 브랜치의 조작 실시 후의 계통에 대해서 과부하 및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계통 조건 정보(724)를 사용하여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715)의 절환후 계통 체크 결과(736)를 사용하여,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고, 또한,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가 있는 경우는, 그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의 중에서 저감량이 최대인 브랜치 개폐 조작의 조에 대해서 노드 절환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브랜치의 조를 조작 브랜치(735)에 보존하고,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브랜치 조작의 조가 1조도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735)에 조작 브랜치 없음을 보존한다.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717)에서는, 조작 브랜치(735)에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713)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735)에 조작 브랜치 없음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716)을 실행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713)에서는, 조작 브랜치(735)에 보존되어 있는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730)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개상태로,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통 정보(733)의 브랜치 통과 전류와 노드 전압의 값에 대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710)을 실행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725)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삭제하고.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추가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31)와 절환 노드 정보(732)에 대해서는, 보정된 방사상 계통 정보(730)와 계산 필요 정보(725)를 사용하여 보정을 행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716)에서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717)에서 노드 절환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시점에서의 방사상 계통 정보(730)와 계산 필요 정보(725)를 기초로, 송전 손실 최소 계통 구성을 작성하여 출력 영역(737)에 보존한다.
도 62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도 63의 배전 계통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3은 배전 계통의 예이다. 도 63에 있어서 배전 계통(750)은, 배전용 변압기(Tr1)와 배전용 변압기(Tr1)의 양단의 모선의 Bus1, Bus2와,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l, FCB2, FCB3)와 폐상태에 있는 개폐기(SW1, SW2, SW3, SW5, SW6, SW7, SW8, SW9, SW10, SW4)와 개상태에 있는 개폐기(SW4, SW11, SW12, SW13), 그들의 개폐기에 의해 구분된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운전원에 의해 SW12, SW13이 개상태에서 조작 금지, SW6, SW10이 폐상태에서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701)에서는, 배전 계통(750) 배전용 변압기(Trl)의 임피던스나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의 임피던스 및 부하량, 전압 강하 한도치나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1, SW12, SW13, SW14)의 개폐 상태 및 운전원에 의한 조작 금지 설정 상태, 통과 전류 허용치나,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등을 입력하여, 배전선 계통 설비 정보(722), 구간 정보(712), 개폐기 정보(720), 운전원 설정 정보(723)에 보존한다.
도 64에 나타내는 모델 계통(751)은 데이타 변환 수단(702)에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모델화된 결과의 계통이다. 데이타 변환 수단(702)에 의해 배전 계통(750)의 배전용 변압기(Trl)는 모델 계통(751)의 브랜치(Br18)로, 배전 계통(750)의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Bus1, Bus2)은 각각 모델 계통(751)의 노드(Nd1, Nd2)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는 각각 Br1, Br5, Br9로, 개폐기 SW은 Br2로, SW2는 Br3으로, SW3은 Br4로, SW4는 Br14로, SW5는 Br8로, SW6은 Br7로, SW7은 Br6으로, SW8은 Br17로, SW9는 Br10으로, SW10은 Br11로, SW11은 Br16으로, SW12는 Br15로, SW13은 Br13으로, SW14는 Br12로 각각 치환한다.
이들의 노드와 브랜치로 변환한 결과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와 노드 부하와 브랜치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개폐기의 대응을 계산 필요 정보(725)에, 노드의 전압 저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한도치를 계통 조건 정보(724)에 보존한다. 또한, 배전용 변압기(Trl),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l, FCB2, FCB3)는 개상태로 되면, 계통 전체에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브랜치(Br18, Br1, Br5, Br9)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 하고, 또, 개폐기(SW6, SW10, SW12, SW13)는 운전원에 의해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브랜치(Br7, Br11, Br15, Br13)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 하고, 그것 이외의 브랜치(Br2, Br3, Br4, Br6, Br8, Br10, Br12, Br14, Br16, Br17)는 조작 가능 브랜치로서 계통 조건 정보(724)에 추가·보존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5)에서는, 계통 조건 정보(724)에서 조작 가능으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모델 계통(751)에 있어서 브랜치(Br2, Br3, Br4, Br6, Br8, Br10, Br12, Br14, Br16, Br17))를, 이 때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상태(728)에 저장한다. 도 65의 모델 계통(752)은, 모델 계통(751)에 있어서 조작 가능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계통이다. 또, 이 때에 가능한 조작 가능하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로서 Br2, Br3, Br4, Br6, Br8, Br10, Br12, Br14, Br16을 전체 루프 계통 브랜치 정보(727)에 보존한다. 또, 이 계통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728)에서 개상태로 되어 있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725)에 추가·보존한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703)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725)와 브랜치 개폐 상태(728)를 사용하여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으로, 폐상태인 브랜치(Br1, Br2, Br3, Br4, Br5, 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3, Br14, Br15, Br16)의 통과 전류를 도 71의 식 7002를 사용하여 산출하여, 브랜치 전류 정보(726)에 보존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706)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27)와 계통 조건 정보(724)와 브랜치 전류 정보(726)와 계통 체크 수단(709)에 의한 계통 체크 결과(708)가 도 74의 결과(7101)이였던 경우, 조직 가능 브랜치이고 또한 폐상태의 브랜치중에서 전류치가 최소이고 또한 개조작 실시 후에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는 브랜치(Br4)를 전류 최소 브랜치(729)로 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704)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729)에 보존된 브랜치(Br4)의 개조작을 실시 후의 계통이 도 66의 모델 계통(753)의 상태로 되도록 브랜치의 개폐 상태(728)의 브랜치(Br4)의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5)을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27)를 산출하여 고치고, 계산 필요 정보(725)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4)의 임피던스를 감산하는 보정을 행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707)에서는, 도 66의 모델 계통(750)의 경우에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27)에 조작 가능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Br6, Br8, Br10, Br12, Br16이 존재하므로, 루프 계통 있음으로 판단하고,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703)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706)과 데이타 보정 수단(704)을 모델 계통(753)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 대해서 실시한다.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703)을 행한 결과의 브랜치 전류 정보(726)가 도 75의 결과(7102)로 된 경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706)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를 브랜치(Br16)로 판단하고, 데이타 보정 수단(704)에서 브랜치 개폐 상태(728)에서 브랜치(Br16)의 상태를 개상태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27)에서 브랜치(Br6, Br8, Br10, Br12, Br16)를 삭제하여, 계산 필요 정보(725)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16)의 임피던스를 감산한다.
이 2회째의 브랜치의 개조작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27)에 보존되는 브랜치는 없어지므로, 루프 계통은 없음으로 방시상 계통 판정 수단(707)에서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 정보(730)는 도 67의 모델 계통(754)으로 되고, 폐상태의 브랜치로서 Br1, Br2, Br3, Br5, 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4, Br17과 개상태의 브랜치로서, Br4, Br13, Br15, Br16을 보존한다.
방사상 계통 정보(730)에 보존된 계통이 모델 계통(754)과 같은 계통인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712)에서는,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Br4)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하고 폐상태의 브랜치(Br2, Br3, Br14, Br8, Br6)의 개조작에 대해서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인 브랜치(Br16)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하고 폐상태인 브랜치(Br6, Br8, Br12, Br10)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에 대해서의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7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715)을 각각 실시한다.
예를 들어, 개상태의 브랜치(Br4)의 폐조작과 폐상태의 브랜치(Br8)의 개조작을 실시하는 경우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708)에서는 브랜치(Br1, Br2, Br3, Br4, Br14, Br8, Br7, Br6, Br5)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31)에, 절환 노드 검출 처리에서는 노드(Nd6과 Nd10)가 절환 노드 정보(732)에 보존된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710)에서는, 방사상 계통 정보(730)의 계통 상태에서의 노드 전압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733)에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711)에서는, 노드(Nd6과 Nd10)를 브랜치(Br5)의 계통에서 브랜치(Br1)의 계통으로 절환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도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도 72의 식 7003에 있어서 절환 노드의 집합에 포함되는 노드는, 절환 노드 정보(732)에 보존된 노드(Nd6과 Nd10)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노드 부하(I6, I10)는 노드(Nd6과 Nd10)의 노드 부하를 계통 정보(733)에서 취출한다.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8)의 양단의 노드를 계산 필요 정보(725)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에서 취출하고, 절환 노드(Nd6과 Nd10)가 접속하고 있는 측의 노드(Nd10)를 m으로 하고, 브랜치(Br8)의 다른 일단의 노드(Nd9)를 n으로 한다.
따라서, 노드 전압(Em, En)은 각각 노드(Nd10, Nd9)의 전압을 계통 정보(733)에서 취출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731)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Br1, Br2, Br3, Br4, Br14, Br8, Br7, Br6, Br5)의 임피던스를 계산 필요 정보(725)에서 취출하고, 그들 브랜치의 저항분의 합을 Rloop로 한다. 이들 값을 사용하여 도 72의 식 7003에 의해 송전 손실 변화량을 산출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734)에 보존한다.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인 브랜치(Br4)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하고 폐상태인 브랜치(Br2, Br3, Br14, Br8, Br6)의 개조작에 대해서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인 브랜치(Br16)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하고 폐상태인 브랜치(Br6, Br8, Br12, Br10)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각각 계산한다.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715)에서는, 브랜치(Br4)의 폐조작과 브랜치(Br8)의 개조작을 행한 후의 계통, 도 69의 모델 계통(756)에 대해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체크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 전압 깅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는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개폐 조직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의 전체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7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715)을 실시한 결과가 도 76의 결과(7201)와 마찬가지로 된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712)에서는, 노드(Nd6과 Nd10)를 브랜치(Br5)의 계통의 접속에서 브랜치(Br1)의 계통의 접속으로 조작한 후의 계통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가장 송전 손실 경감의 효과가 있는 경우라고 판단하고, 개조작 브랜치로서 브랜치(Br8), 폐조작 브랜치(Br16)를 조작 브랜치(735)에 보존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서는, 도 69의 모델 계통(755)의 계통 상태가 되도록 방사상 계통 정보(730)의 브랜치(Br8)를 개상태로, 브랜치(Br16)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725)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8)의 어드미턴스를 감산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16)의 임피던스를 가산하고, 계통 정보(733)의 노드 전압을 방사상 계통 정보(730) 및 계산 필요 정보(725)를 사용하여 계통 정보 작성 수단(710)에 의해 산출한다.
2회째의 노드 절환 결정 수단(712)에서,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인 브랜치(Br4)의 폐조직과 조작 가능하고 폐상태인 브랜치(Br2, Br3, Br14, Br16, Br12, Br10)의 개조작에 대해서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직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Br8)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Br6, Br16, Br12, Br10)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7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715)을 각각 실시한 결과가 결과(7202)와 마찬가지로 된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노드 절환은 종료라고 판단하고,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716)에서, 모델 계통(755)의 계통을 배전 계통의 정보 계통(757)으로 변환하여, 출력 영역(737)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2, 도 71, 도 72, 도 73, 도 78, 도 79, 도 80, 도 81, 도 82, 도 83, 도 84, 도 85, 도 86, 도 87, 도 88, 도 89, 도 90, 도 91, 도 92, 도 9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개략도이고, 도 78은 도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상세도이다. 도 79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처리 플로우 챠트이다. 도 80은 배전 계통의 예, 도 81은 도 80의 배전 계통을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변환한 결과인 모델 계통을 나타내고, 도 82, 도 83, 도 84, 도 85, 도 86, 도 87, 도 88은 도 80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델 계통의 상태 천이를, 도 89는 본 발명의 처리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모델 계통에 있어서의 결과를, 도 95는 도 80의 배전 계통의 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배전 계통 결과를, 도 90, 도 91, 도 92, 도 93, 도 94는 도 80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71, 도 72, 도 7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산식이다. 또한,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개략도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8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801)에서는,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의 정보나 개폐기의 개폐 상태,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의 조작의 가부 등의 운전원에 의한 설정 정보, 계통 상태가 운용상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치로서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입력하여, 기억 장치(20)에 배전 계통 설비 정보(854), 개폐기 정보(852), 구간 정보(853), 운전원 설정 정보(855)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802)에서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854)나 개폐기 정보(852), 구간 정보(853), 운전원 설정 정보(855)를 사용하여, 배전 계통을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변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872)에 보존함과 동시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873)에 저장한다. 또, 조작이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에 추가·보존한다.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818)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873)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모든 개상태에 있는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구성 브랜치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하고, 합집합을 취함으로써 추출하여 계산 대상 브랜치, 계산 대상 노드로서, 또, 계산 대상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 및 계산 대상 노드 이외의 노드는 축퇴 대상 브랜치 및 축퇴 대상 노드로서, 계산 대상 계통 정보(874)에 보존한다. 이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818)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채용할 수 있다.
키 설비 추출 수단(820)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를 사용하여 계산 대상 계통 정보(874)에서 축퇴 대상으로 되어 있던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계산 대상 노드이고, 타방의 노드가 축퇴 대상 노드로 되어 있던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서, 또, 키 브랜치의 노드 중, 계산 대상 노드인 노드를 키 노드로서 모두 추출하고, 키 설비 정보(875)에 보존한다. 노드 축퇴 집약 수단(821)에서는, 키 설비 정보(875)에서 키 브랜치로 되어 있던 브랜치보다 하위의 계통에 속하는 노드를 추출하여, 축퇴 대상 노드로 한다.
또,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에서 취출하여 합계하고, 키 브랜치에 대응하는 키 노드의 부하에 가산하고, 키 설비 정보(875)에 추가·보존한다. 이 노드 축퇴 집약 수단(821)에서 키 브랜치의 하위 계통에 소속하는 노드를 추출하는 처리에,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적용할 수 있다. 노드 축퇴 수단(819)에서는, 키 설비 추출 수단(820)을 실행하고, 키 설비 정보(875)에서 키 브랜치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에 대해서, 노드 축퇴 집약 수단(821)을 사용하여 노드의 축퇴 처리를 실시한다.
계산용 노드 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822)에 있어서는, 계산 대상 계통 정보(874) 있어서 계산 대상 브랜치와 계산 대상 노드만을 취출하여, 축퇴후의 계통에 있어서의 브랜치 번호 및 노드 번호를 매기고,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에 있어서의 브랜치 번호 및 노드 번호와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고, 축퇴 대응 테이블로서 계산 필요 정보(857)에 보존한다. 또, 축퇴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에 의한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를 기초로 작성하여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로 한다. 그리고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에서 계산 대상 브랜치의 임피던스를 추출하여 브랜치 임피던스로 하고, 키 노드인 노드의 부하 정보에 대해서는 키 설비 정보(875)에서 취출하고, 키 노드 이외의 노드의 부하 정보에 대해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의 부하 정보로부터 취출하여 축퇴후의 노드 부하 정보로 한다. 그리고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873)에서 계산 대상 브랜치의 개폐 상태만을 취출하여 조작전 브랜치 개폐 상태로 하여, 브랜치의 개폐 상태(860)에 보존한다. 계산 필요 정보(857)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 허용 전류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를 계통 조건 정보(856)에 보존한다. 또, 축퇴후의 조작 가능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상태(860)에 보존한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803)에서는 브랜치 개폐 상태(860)와 계산 필요 정보(857)를 사용하여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에서, 폐상태의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도 71의 식 7002에 의해 산출하여, 브랜치 전류 정보(858)에 보존한다. 식 7001에 있어서, E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803)에서 브랜치 정보의 산출에 사용하는 노드 전압의 행렬, Y와 I는 각각 계산 필요 정보(857)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과 노드 부하 전류이다. 식 7002에 있어서 I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803)에서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V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의 전압차이고, 각 노드의 전압은, 식 7001에서 산출된 노드 전압을 사용한다. R은, 계산 필요 정보(857)에 보존된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저항분만을 취출하여 사용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806)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와 계통 조건 정보(856)와 브랜치 전류 정보(858)와 계통 체크 수단(809)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 등의 계통 운용상의 이상 발생 유무의 체크 결과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이고 또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조작 실시 후에 계통 운용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여, 전류 최소 브랜치(861)로서 보존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805)에서는, 조작 가능한 전체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계산 필요 정보(857)의 조작전 브랜치 상태를 기초로, 전류 최소 브랜치로 되고 폐조작을 실시한 브랜치 이외의 모든 개상태에 있는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구성 브랜치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하고, 합집합을 취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로서 작성한다. 이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채용할 수 있다.
데이타 보정 수단(804)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861)에 보존된 브랜치의 개조작 실시 후의 계통의 상태가 되도록, 계산 필요 정보(857)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전류 최소 브랜치(861)에 보존된 브랜치의 어드미턴스분의 감산과, 브랜치 개폐 상태(860)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 개폐 상태에 있어서의 전류 최소 브랜치(861)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전체 루프 브랜치 추출 수단(805)을 실행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를 갱신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807)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를 사용하여 루프 계통의 유무를 판정한다. 루프가 있는 경우에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803)에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806), 데이타 보정 수단(804)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루프 계통이 없어졌다고 판정하면, 방사상 계통 정보(862)를 작성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808)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857)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862)에서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로 되어 있는 1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63)로서 보존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808)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적용할 수 있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814)에서는,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63)에서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808)에서 폐조작을 실시한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절환되는 노드의 집합을 절환 노드 정보(864)로서 추출한다. 절환노드 검출 수단(814)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적용할 수 있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810)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857)와 방사상 계통 정보(862), 구간 정보(853)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및 노드 전압을 도 73의 식 7001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계통 정보(865)에 저장한다. 식 7004에 있어서는, E는 노드 전압 행렬(유효분/무효분)은 어드미턴스 행렬의 역행렬 Y-1과 노드 부하(유효분/무효분) I와의 적(積)에서 산출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811)에서는, 계통 정보(865)의 노드 전압과 절환 노드 정보(864),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63), 계산 필요 정보(857)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정보와 계통 조건 정보(856)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은 브랜치의 개폐 조작에 의한 노드 절환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866)을 도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식 7003에서, Ii는 계산 필요 정보(857)에 보존된 노드 부하를 사용하고, D는 절환 노드 정보(864)에 보존되어 있는 절환 노드의 집합을 사용하고, Em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8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절환 노드 검출 수단(814)에서 추출된 절환 노드의 접속하는 측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865)에서 취출하고, En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8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m과는 다른 단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865)에서 취출하고, Rloop는 계산 필요 정보(857)에서 취출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63)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의 합을 구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P)을 산출한다. △P의 값이 부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P가 징의 값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이 증가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812)에서는,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모든 조에 대해서, 방사상 계통 정보(862)와 계산 필요 정보(857),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808)에서 검출한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63), 계통 조건 정보(856), 절환 노드 검출 수단(814)에서 추출한 절환 노드 정보(864),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811)에서 산출한 송전 손실 변화량(866), 브랜치의 조작 실시 후의 계통에 대해서 과부하 및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 유무를 계통 조건 정보(856)를 사용하여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815)의 절환후 계통 체크 결과(868)를 사용하여,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고, 또한,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가 있는 경우는, 그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 중에서 저감량이 최대인 브랜치 개폐 조작의 조에 대해서 노드 절환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브랜치의 조를 조작 브랜치(867)에 보존하고,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브랜치 조작의 조가 1조도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867)에 조작 브랜치 없음을 보존한다.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817)에서는, 조작 브랜치(867)에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813)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867)에 조작 브랜치 없음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816)을 실행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813)에서는, 조작 브랜치(867)에 보존되어 있는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862)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개상태로,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통 정보(865)의 브랜치 통과 전류와 노드 전압의 값에 대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810)을 실행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857)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삭제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추가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63)와 절환 노드 검출 정보(864)에 대해서는, 보정된 방사상 계통 정보(862)와 계산 필요 정보(857)를 사용하여 보정을 행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816)에서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817)에서 노드 절환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시점에서의 방사상 계통 정보(862)와 계산 필요 정보(857)를 기초로, 송전 손실 최소 계통 구성을 작성하여 출력 영역(869)에 보존한다.
도 79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도 80의 배전 계통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0은 배전 계통의 예이다. 도 80에 있어서 배전 계통(8101)은, 배전용 변압기(Tr1, Tr2)와 배전용 변압기 양단의 모선의 Bus1, Bus2, Bus3과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와, 폐상태에 있는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11, SW12, SW13, SW16, SW17, SW18, SW20, SW21, SW22, SW23, SW24)와 개상태에 있는 개폐기(SW9, SW10, SW14, SW15, SW19)와, 그들의 개폐기에 의해 구분된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cc22, Sec23, Sec24, Sec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운전원에 의해 SW9, SW14가 개상태에서 조작 금지, SW12, SW24가 폐상태에서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801)에서는, 배전 계통(8101) 배전용 변압기(Tr1, Tr2)의 임피던스나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의 임피던스 및 부하량, 전압 강하 한도치나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1, SW12, SW13, SW14, SW15, SW16, SW17, SW18, SW19, SW20, SW21, SW22, SW23, SW24)의 개폐 상태 및 운전원에 의한 조작 금지 설정 상태, 통과 전류 허용치나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등을 입력하여, 배전선 계통 설비 정보(854), 구간 정보(853), 개폐기 정보(852), 운전원 설정 정보(855)에 보존한다.
도 81에 나타낸 모델 계통(8102)은 데이타 변환 수단(802)에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모델화된 결과의 계통이다. 데이타 변환 수단(802)에 의해 배전 계통(8101)의 배전용 변압기(Tr1, Tr2)는 모델 계통(8102)의 브랜치(B1, B2)로, 배전 계통(8101)의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Bus1, Bus2, Bus3)은 각각 모델 계통(8102)의 노드(N1, N2, N3)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각각 B3, B4, B5, B6, B7, B8로, 개폐기SW1은 B9로, SW2는 B10으로, SW3은 B11로, SW4는 B12로, SW5는 B13으로, SW6은 B14로, SW7은 B15로, SW8은 B16으로, SW9는 B17로, SW10은 B18로, SW11은 B19로, SW12는 B20으로, SW13은 B21로, SW14는 B22로, SW15는 B23으로, SW16은 B24로, SW17은 B25로, SW18은 B26으로, SW19는 B27로, SW20은 B28로, SW21은 B29로, SW22는 B30으로, SW23은 B31로, SW24는 B32로 각각 치환한다.
이들의 노드와 브랜치로 변환한 결과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와 노드 부하와 브랜치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개폐기의 대응을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에, 노드의 전압 저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한도치를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872)에 보존한다. 또한, 배전용 변압기(Tr1, Tr2),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개상태로 되면, 계통 전체에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브랜치(B1, B2, B3, B4, B5, B6, B7, B8)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 하고, 또, 개폐기(SW9, SW12, SW14, SW24)는 운전원에 의해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브랜치(B17, B20, B22, B32)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그것 이외의 브랜치(B9, B10, B11, B12, B13, B14, B15, B16, B18, B19, B21, B23, B24, B25, B26, B27, B28, B29, B30, B31)는 조작 가능 브랜치로서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872)에 추가·보존한다.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818)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873)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한 모든 개상태 브랜치인 B18, B23, B27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B1, B2, B4, B5, B6, B7, B13, B15, B16, B17, B18, B19, B20, B21, B22, B23, B24, B25, B26, B27, B28)를 계산 대상 브랜치로서, 노드(N1, N2, N3, N5, N6, N7, N8, N14, N16, N17, N18, N19, N20, N21, N22, N23, N24)를 계산 대상 노드로서, 또, 계산 대상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B3, B8, B9, B10, B11, B12, B14, B29, B30, B31, B32)는 축퇴 대상 브랜치로서, 계산 대상 노드 이외의 노드(N4, N9, N10, N11, N12, N13, N15, N25, N26, N27, N28)는 축퇴 대상 노드로서 계산 대상 계통 정보(874)에 보존한다. 도 82의 모델 계통(8103)에, 계산 대상 브랜치와 계산 대상 노드, 축퇴 대상 브랜치, 축퇴 대상 노드를 나타낸다.
키 설비 추출 수단(820)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를 사용하여 계산 대상 계통 정보(874)에서 축퇴 대상으로 되어 있던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계산 대상 노드이고, 타방의 노드가 축퇴 대상 노드로 되어 있던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서, 또, 키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에서 계산 대상으로 되어 있던 노드를 키 노드로 한다. 도 82의 모델 계통(8103)에서는, 브랜치(B3)와 노드(N2), 브랜치(B14)와 노드(N14), 브랜치(B29)와 노드(N24), 브랜치(B8)와 노드(N3)를 키 브랜치와 키 노드로서, 키 설비 정보(875)에 보존한다.
노드 축퇴 수단(819)에서는, 키 설비 정보(875)에 보존되어 있는 키 브랜치의 각각에 대해서,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의 어드미턴스 행렬과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를 사용하여 키 브랜치의 하위의 노드를 추출한다. 또,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 정보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에서 취출하여 합계하고, 키 노드의 부하에 가산한다. 예를 들어, 도 82의 모델 계통(8103)에 있어서의 키 브랜치(B3)의 경우에는, 노드(N4, N10, N11, N12, N13)를 축퇴 대상 노드로서, 키 노드(N2)의 노드 부하로서 N2, N4, N10, N11, N12, N13의 노드 부하의 합계를 키 설비 정보(875)에 추가 보존한다.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822)에서는,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818)에서 계산 대상으로 판단된 노드(N1, N2, N3, N5, N6, N7, N8, N14, N16, N17, N18, N19, N20, N21, N22, N23, N24)와, 브랜치(B1, B2, B4, B5, B6, B7, B13, B15, B16, B17, B18, B19, B20, B21, B22, B23, B24, B25, B26, B27, B28)를 계산 대상 계통 정보(874)에서 취출하고, 축퇴 노드와 축퇴 브랜치의 번호를 미리 채워서,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도 9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축퇴전 노드 번호와 축퇴후 노드 번호의 대응 테이블 및 축퇴전 브랜치 번호와 축퇴후 브랜치 번호, 대응 개폐기 테이블을 계산 필요 정보(857)에 보존한다.
또,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에서 축퇴전의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취출하여 축퇴후 노드 번호와 축퇴후 브랜치 번호를 사용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로 변환하고, 축퇴전의 노드 정보에 대해서는 키 노드에 대해서는 노드 축퇴 수단(809)의 노드 축퇴 집약 수단(821)에서 작성된 노드 부하 합계치를 키 설비 정보(875)에서 취출하고, 키 노드 이외의 노드의 부하에 대해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의 노드 정보를 취출하여 축퇴후의 노드 번호로 변환하고, 축퇴전의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는 계산 대상 브랜치의 정보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871)에서 취출하여 축퇴후의 브랜치 번호로 변환하고, 축퇴전의 어드미턴스 행렬에 대해서는 축퇴후의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다시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857)에 추가·보존한다.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872)에 대해서는, 축퇴전의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및 축퇴전의 브랜치 통과 한도 허용치와 조작 가부를 축퇴후의 노드 번호 및 축퇴후의 브랜치 번호로 변환하여 계통 조건 정보(856)에 보존하고, 브랜치의 개폐 상태에 대해서는 축퇴후의 브랜치의 번호를 변환하여 브랜치 개폐 상태(860)와 계산 필요 정보(857)에 초기 계통 상태로서 보존한다. 축퇴후 브랜치중, 계통 조건 정보(856)에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던 모든 브랜치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에 보존한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803)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857)와 브랜치 개폐 상태(860)를 사용하여,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으로, 폐상태인 브랜치(Br1, Br2, Br3, Br4, Br5, 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3, Br14, Br16, Br17, Br18, Br19, Br20, Br21)의 통과 전류를 도 71의 식 7002를 사용하여 산출하여, 브랜치 전류 정보(858)에 보존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806)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와 계통 조건 정보(856)와 브랜치 전류 정보(858)와 계통 체크 수단(809)에 의한 계통 체크 결과(870)가 도 90의 결과(8110)이였던 경우, 조작 가능 브랜치이고 또한 폐상태의 브랜치 중에서 전류치가 최소이고 또한 개조작 실시 후에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은 브랜치(Br9)를 전류 최소 브랜치(861)로 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804)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861)에 보존된 브랜치(Br9)의 개조작을 실시 후의 계통이 도 85의 모델 계통(8106)의 상태로 되도록, 브랜치의 개폐 상태(860)의 브랜치(Br9)의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계산 필요 정보(857)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9)의 임피던스를 감산하는 보정을 행한다. 또,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805)을 사용하여, 도 83의 모델 계통(8104)에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전류 최소 브랜치로 되어 있지 않은 브랜치(Br11과 Br16)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중, 조작 가능한 Br12, Br14, Br16, Br17, Br18, Br19, Br20, Br21을 전체 루프 계통 브랜치 정보(859)에 보존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807)에서는, 도 85의 모델 계통(8106)의 경우에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에 조작 가능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Br12, Br14, Br16, Br17, Br18, Br19, Br20, Br21이 존재하므로, 루프 계통 있음으로 판단하고,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803)과 전류 최소 브랜치 추출 수단(806)과 데이타 보정 수단(804)을 모델 계통(8106)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 대해서 실시한다.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803)을 행한 결과의 브랜치 전류 정보(858)가 도 91의 결과(8111)로 된 경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806)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를 브랜치(Br19)로 판단하고, 데이타 보정 수단(804)에서 브랜치 개폐 상태(860)에서 브랜치(Br19)의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에서 브랜치(Br12, Br14, Br16, Br17, Br18, Br19)를 삭제하여, 계산 필요 정보(857)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19)의 임피던스를 감산한다. 그 결과 계통은, 도 86의 모델 계통(8107)과 같게 된다.
도 86의 모델 계통(8107)의 경우에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에 조작 가능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Br17, Br20, Br21이 존재하므로, 루프 계통 있음으로 판단하고, 3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803)과 전류 최소 브랜치 추출 수단(806)과 데이타 보정 수단(8(]4)을 모델 계통(사07)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 대해서 실시한다. 3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803)을 행한 결과의 브랜치 전류 정보(858)가 도 92의 결과(8112)로 된 경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806)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를 브랜치(Br20)로 판단하고, 데이타 보정 수단(804)에서 브랜치 개폐 상태(860)에서 브랜치(Br20)의 상태를 개상태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에서 브랜치(Br17, Br20, Br21)를 삭제하여, 계산 필요 정보(857)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20)의 임피던스를 감산한다.
이 3회째의 브랜치의 개조작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59)에 보존되는 브랜치는 없어지므로, 루프 계통은 없음으로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807)에서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 정보(862)는 도 87의 모델 계통(8108)으로 되고, 폐상태의 브랜치로서 Br1, Br2.Br3, Br4, Br5, Br6, Br7, Br8, Br11, Br12, Br13, Br14, Br16, Br17, Br18, Br21과 개상태의 브랜치로서, Br9, Br10, Br15, Br19, Br20을 보존한다.
방사상 계통 정보(862)에 보존된 계통이 모델 계통(8108)과 동일한 계통인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812)에서는,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7, Br8, Br11, Br12, Br14)의 개조작에 대해서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6, Br14, Br12, Br18, Br17)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20)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7, Br21)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에 대해서의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8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815)을 각각 실시한다.
예를 들어, 개상태의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폐상태의 브랜치(Brl4)의 개조작을 실시하는 경우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808)에서는 브랜치(Br3, Br7, Br8, Br9, Br11, Br14, Br13, Br15, Br4)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63)에, 또, 절환 노드 검출 처리에서는 노드(Nd10과 Nd13)가 절환 노드 정보(864)에 보존된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810)에서는, 방사상 계통 정보(862)의 계통 상태에서의 노드 전압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865)에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811)에서는, 노드(Nd10과 Nd13)를 브랜치(Br4)의 계통에서 브랜치(Br3)의 계통으로 절환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도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도 72의 식 7003에 있어서 절환 노드의 집합에 포함되는 노드는, 절환 노드 정보(864)에 보존된 노드(Nd10과 Nd13)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노드 부하(I10, I13)는 노드(Nd10과 Nd13)의 노드 부하 계통 정보(865)에서 취출한다.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14)의 양단의 노드를 계산 필요 정보(857)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에서 취출하고, 절환 노드(Nd10과 Nd13)가 접속하고 있는 측의 노드(Nd13)를 m으로 하고, 브랜치(Br14)의 다른 일단의 노드(Nd12)를 n으로 한다. 따라서, 노드 전압(Em, En)은 각각 노드(Nd13, Nd12)의 전압을 계통 정보(865)에서 취출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863)에 보존되어있는 브랜치(Br3, Br7, Br8, Br9, Br11, Br14, Br13, Br12, Br11)의 임피던스를 계산 필요 정보(857)에서 취출하고, 그들 브랜치의 저항분의 합을 Rloop로 한다.
이들 값을 사용하여 도 72의 식 7003에 의해 송전 손실 변화량를 산출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866)에 보존한다.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7, Br8, Br11, Br12, Br14)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16, Br14, Br12, Br18, Br17)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20)의 폐조작과 폐상태의 브랜치(Br17, Br21)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각각 계산한다.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815)에서는,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브랜치(Br14)의 개조작을 행한 후의 계통(도 88의 모델 계통(8109))에 대해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 유무를 체크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은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의 전체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8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815)을 실시한 결과가 도 93의 결과(8201)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812)에서는, 노드(Nd16)를 브랜치(Br4)의 계통의 접속에서 브랜치(Br5)의 계통의 접속으로 조작한 후의 계통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가장 송전 손실 경감의 효과가 있는 경우라고 판단하고, 개조작 브랜치로서 브랜치(Br16), 폐조작 브랜치(Br19)를 조작 브랜치(867)에 보존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서는, 도 89의 모델 계통(8113)의 계통 상태가 되도록 방사상 계통 정보(862)의 브랜치(Brl6)를 개상태로서, 브랜치(Br19)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857)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16)의 어드미턴스를 감산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19)의 임피던스를 가산하고, 계통 정보(865)의 노드 전압을 방사상 계통 정보(862) 및 계산 필요 정보(857)를 사용하여 계통 정보 작성 수단(810)에 의해 산출한다.
2회째의 노드 절환 결정 수단(812)에서,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인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하고 폐상태인 브랜치(Br7, Br8, Br11, Br12, Br14)의 개조작에 대해서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6)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2, Br14, Br19, Br19, Br18, Br17)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20)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17, Br21)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811)에서 구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815)을 각각 실시한 결과가 도 94의 결과(8202)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노드 절환은 종료이다라고 판단하고,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816)에서, 모델 계통(8113)의 계통을 배전 계통의 정보 계통(757)으로 변환하여, 출력 영역(869)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배전 계통 운용 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도 2, 도 97, 도 98, 도 99, 도 100, 도 101, 도 102, 도 103, 도 104, 도 105, 도 106, 도 107, 도 108, 도 109, 도 110, 도 111, 도 112, 도 113, 도 1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개략도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7은 도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상세도이다. 도 98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처리 플로우 챠트이다. 도 99는 배전 계통의 예, 도 100은 도 99의 배전 계통을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변환한 결과인 모델 계통을 나타내고, 도 101, 도 102, 도 103, 도 104, 도 105, 도 106, 도 107, 도 108은 도 99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델 계통의 상태 천이를, 도 113은 도 99의 배전 계통의 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배전 계통 결과를, 도 113은 도 99의 배전 계통의 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배전 계통 결과를, 도 109, 도 110, 도 111, 도 112, 도 114는 도 99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71, 도 72, 도 7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산식이다.
도 97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901)에서는,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의 정보나 개폐기의 개폐 상태,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의 조작의 가부 등의 운전원에 의한 설정 정보, 계통 상태가 운용상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치로서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입력하여, 기억 장치(20)에 배전 계통 설비 정보(854), 개폐기 정보(952), 구간 정보(953), 운전원 설정 정보(955)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902)에서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954)나 개폐기 정보(952), 구간 정보(953), 운전원 설정 정보(955)를 사용하여, 배전 계통을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변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71)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972)에 보존함과 동시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973)에 저장한다. 또, 모든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71)에 추가·보존한다.
루프 검출 수단(919)에서는,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71)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행렬,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972)의 브랜치 조작 가부,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973)의 브랜치 개폐 상태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본 수단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사용할 수 있다. 그룹 판정 수단(920)에서는, 루프 검출 수단(919)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를 제외한 모든 브랜치가 동일 그룹임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970)의 브랜치별 그룹 정보에 보존한다. 이미, 다른 그룹이라고 판단되어 있는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금회의 루프 검출 수단(919)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를 제외한 모든 브랜치를, 그 이미 다른 그룹에 할당되어 있는 브랜치와 동일 그룹으로 할당한다.
다른 그룹에 할당되이 있는 브랜치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그룹의 번호가 최소인 그룹 이외의 그룹이라고 판단되는 모든 브랜치 및, 금회의 루프 검출 수단(919)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를 제외한 모든 브랜치를 그룹의 번호가 최소인 그룹이라고 판단하고, 브랜치 그룹정보(970)의 브랜치 그룹 번호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 수단(918)에서는,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973)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서 개상태이고, 또한,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972)에서 조작 가능으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에 대해서, 루프 검출 수단(919)과 그룹 판정 수단(920)을 실시함으로써, 브랜치가 소속하는 그룹을 판정한다.
또,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에 대해서는,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71)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어느 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노드에 접속하는 브랜치를 찾아, 그 브랜치보다 하위의 계통의 브랜치에 대해서는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와 동일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한다. 본 수단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사용할 수 있다.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는 루프 구성 브랜치로 된 모든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본 수단에서 검출된 브랜치의 그룹은, 브랜치 그룹 정보(970)에 보존된다.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921)에서는, 브랜치 그룹 정보(970)를 사용하여 동일 그룹이라고 판단된 브랜치와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를 취출하고, 동일 그룹이라고 판단된 브랜치 및 노드의 번호를 이전과 같은 상태로 함으로써, 계산용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고침을 행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의 대응 테이블, 그룹 분할전의 노드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노드 번호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한다. 또,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71)의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노드 정보에 대해서는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정보만을 취출하여 그룹 분할후의 노드 번호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는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정보만을 취출하여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에서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972)로부터는, 브랜치의 조작 가능 및 통과 전류 허용치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 노드의 정보에 대해서 취출하여,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에서 작성하여, 계통 조건 정보(956)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에서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상태(960)에, 또, 어드미턴스 행렬을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한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5)에서는, 조작 가능한 전체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모든 개상태에 있는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구성 브랜치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하고, 합집합을 춰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59)로서 작성한다. 이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채용할 수 있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에서는 브랜치 개폐 상태(960)와 계산 필요 정보(957)를 사용하여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으로, 폐상태의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도 71의 식 7002에 의해 산출하고, 브랜치 진류 정보(958)에 보존한다. 식 7001에 있어서, E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에서 브랜치 정보의 산출에 사용하는 노드 전압의 행렬, Y와 I는 각각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과 노드 부하 전류이다. 식 7002에 있어서 I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에서 산출하는 브랜치 전류, V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의 전압차이고, 각 노드의 전압은, 식 7001에서 산출된 노드 전압을 사용한다. R은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된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저항분만을 취출하여 사용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906)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59)와 계통 조건 정보(956)와 브랜치 전류 정보(958)와 계통 체크 수단(909)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 등의 계통 운용상의 이상 발생 유무의 체크 결과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이고 또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조작 실시 후에 계통 운용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여, 전류 최소 브랜치(961)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904)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961)에 보존된 브랜치의 개조작의 실시 후의 계통의 상태가 되도록,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전류 최소 브랜치(961)에 보존된 브랜치의 어드미턴스분의 감산과, 브랜치 개폐 상태(960)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 개폐 상태에 있어서의 전류 최소 브랜치(961)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전체 루프 브랜치 추출 수단(905)을 실행함으로써,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59)를 갱신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907)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59)를 사용하여 루프 계통의 유무를 판정한다. 루프가 있는 경우에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에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906), 데이타 보정 수단(904)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루프 계통이 없어졌다고 판정하면, 방사상 계통 정보(962)를 작성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8)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957)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962)에서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로 되어 있는 1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63)로서 보존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8)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적용할 수 있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914)에서는,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63)에서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8)에서 폐조작을 실시한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절환되는 노드의 집합을 절환 노드 정보(964)로서 추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914)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적용할 수 있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910)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957)와 방사상 계통 정보(962)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및 노드 전압을 도 73의 식 7004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계통 정보(965)에 저장한다. 식 7004에 있어서는, E는 노드 전압 행렬(유효분/무효분)은 어드미턴스 행렬의 역행렬 Y-1과 노드 부하(유효분/무효분) I와의 적(積)에서 산출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911)에서는, 계통 정보(965)의 노드 전압과 절환 노드 정보(964),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63), 계산 필요 정보(957)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정보와 계통 조건 정보(956)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모치의 초과가 생기지 않은 브랜치의 개폐 조작에 의한 노드 절환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966)을 도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식 7003에서, Ii는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된 노드 부하를 사용하고, D는 절환 노드 정보(954)에 보존되어 있는 절환 노드의 집합을 사용하고, Em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절환 노드 검출 수단(914)에서 추출된 절환 노드의 접속하는 측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965)에서 취출한다. 또, En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m과는 다른 단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965)에서 취출하고, Rloop는, 계산 필요 정보(957)에서 취출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63)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의 합을 구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P)을 산출한다. △P의 값이 부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P가 정의 값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이 증가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912)에서는,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모든 조에 대해서, 방사상 계통 정보(962)와 계산 필요 정보(957),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8)에서 검출한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63), 계통 조건 정보(956), 절환 노드 검출 수단(914)에서 추출한 절환 노드 정보(964),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911)에서 산출한 송전 손실 변화량(966), 브랜치의 조작 실시 후의 계통에 대해서 과부하 및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계통 조건 정보(956)를 사용하여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915)의 절환후 계통 체크 결과(968)를 사용하여, 이하의 처리를 한다. 즉,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동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고, 또한,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가 있는 경우는, 그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 중에서 저감량이 최대인 브랜치 개폐 조작의 조에 대해서 노드 절환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브랜치의 조를 조작 브랜치(967)에 보존하고,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브랜치 조작의 조가 1조도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967)에 조작 브랜치 없음을 보존한다.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917)에서는, 조작 브랜치(967)에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913)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967)에 조작 브랜치 없음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수단(916)을 실행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913)에서는, 조작 브랜치(967)에 보존되어 있는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962)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개상태로, 또,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폐상태로 보정하고, 계통 정보(965)의 브랜치 통과 전류와 노드 전압의 값에 대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910)을 실행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삭제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추가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63)와 절환 노드 정보(964)에 대해서는, 보정된 방사상 계통 정보(962)와 계산 필요 정보(957)를 사용하여 보정을 행한다.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922)에서는, 그룹 분할 수단(918)에서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921)에서 추출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5)과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906), 데이타 보정 수단(904),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907), 노드 절환 결정 수단(912), 절환후 보정 수단(913),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917)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가 되는 계통을 각각 검출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916)에서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917)에서 노드 절환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시점에서의 방사상 계통 정보(962)와 계산 필요 정보(957)를 기초로, 송전 손실 최소 계통 구성을 작성하여 출력 영역(969)에 보존한다.
도 98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도 99의 배전 계통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9는 배전 계통의 예이다. 도 99에 있어서 배전 계통(9101)은, 배전용 변압기(Tr1, Tr2)와 배전용 변압기 양단의 모선의 Bus1, Bus2, Bus3과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와, 폐상태에 있는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11, SW12, SW13, SW16, SW17, SW18, SW20, SW21, SW22, SW23, SW24)와 개상태에 있는 개폐기(SW9, SW10, SW14, SW15, SW19, SW25)와, 개폐기에 의해 구분된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운전원에 의해 SW9, SW10, SW14가 개상태에서 조작 금지, SW12, SW24가 폐상태에서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901)에서는, 배전 계통(9101) 배전용 변압기(Trl, Tr2)의 임피던스나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의 임피던스 및 부하량, 전압 강하 한도치나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1, SW12, SW13, SW14, SW15, SW16, SW17, SW18, SW19, SW20, SW21, SW22, SW23, SW24, SW25, SW26)의 개폐 상태 및 운전원에 의한 조작 금지 설정 상태, 통과 전류 허용치나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등을 입력하여, 배전선 계통 설비 정보(954), 구간 정보(953), 개폐기 정보(952), 운전원 설정 정보(955)에 보존한다.
도 100에 나타낸 모델 계통(9102)은 데이타 변환 수단(902)에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모델화된 결과의 계통이다. 데이타 변환 수단(902)에 의해 배전 계통(9101)의 배전용 변압기(Tr1, Tr2)는 모델 계통(9102)의 브랜치(B1, B2)로, 배전 계통(9101)의 배전용 변압기 양단의 모선(Bus1, Bus2, Bus3)은 각각 모델 계통(9102)의 노드(N1, N2, N3)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각각 브랜치 B3, B4, B5, B6, B7, B8로, 개폐기SW1은 B9로, SW2는 B10으로, SW3은 B11로, SW4는 B13으로, SW5는 B15로, SW6은 B16으로, SW7은 B17로, SW8은 B18로, SW9는 B20으로, SW10은 B19로, SW11은 B21로, SW12는 B22로, SW13은 B23으로, SW14는 B24로, SW15는 B25로, SW16은 B26으로, SW17은 B27로, SW18은 B28로, SW19는 B29로, SW20은 B30으로, SW21은 B31로, SW22는 B32로, SW23은 B33으로, SW24는 B34로, SW25는 B12로, SW26은 B14로 각각 치환한다.
이들의 노드와 브랜치로 변환한 결과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와 노드 부하와 브랜치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개폐기의 대응을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71)에, 노드의 전압 저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한도치를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972)에 보존한다. 또한, 배전용 변압기(Tr1, Tr2),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개상태로 되면, 계통 전체에 전력의 공급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브랜치(Bl, B2, B3, B4, B5, B6, B7, B8)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또, 개폐기(SW9, SW10, SW12, SW14, SW24)는 운전원에 의해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브랜치(B19, B20, B22, B24, B34)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그것 이외의 브랜치(B9, B10, B11,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21, B23, B25, B26, B27, B28, B29, B30, B31, B32, B33)는 조작 가능 브랜치로서,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972)에 추가·보존한다.
그룹 분할 수단(918)에서는,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972)의 브랜치 조작 가부와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973)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사용하여, 브랜치가 개상태의 브랜치 도 100의 모델 계통(9102)의 브랜치(B12, B14, B25, B29)에 대해서, 루프 검출 수단(919)과 그룹 판정 수단(920)을 사용하여, 전체 브랜치와 노드의 그룹의 판정을 행한다. 우선, 루프 검출 수단(919)에서는,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71)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행렬,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973)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하고 또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도 100의 모델 계통(9102)에서 조작 가능하고, 또한 개상태의 브랜치(B12)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로서, 브랜치(B1, B3, B9, B10, B11, B12, B34, B33, B8, B2)를 검출한다.
다음에 그룹 판정 수단(920)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를 제외한 모든 브랜치가 동일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한다. 도 100의 모델 계통(9102)에서는, 브랜치(B12)의 폐조작을 행함으로써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에서, 브랜치(B3, B9, B10, B11, B12, B34, B33, B8)를 동일 그룹 1이라고 판단한다. 도 100의 모델 계통(9102)에서, 2회째의 그룹 분할용 수단(918)에서는,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B14)의 폐조작을 대상으로 하면, 루프 검출 수단(919)에서 루프 구성 브랜치로 판단된 브랜치는, 브랜치(B3, B9, B13, B14, B16, B15, B4)이다. 그룹 판정 수단(920)에서는, 이미 B3, B9가 그룹 1이라고 판단되어 있으므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한 B13, B14, B16, N15, B4도 그룹 1이라고 판단한다.
도 100의 모델 계통(9102)에 대해서 그룹 분할 수단(918)을 실시한 결과,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로서 브랜치(B12와 B14)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의 브랜치(B3, B4, B8, B9, B10, B12, B13, B14, B15, B16, B33, B34)와,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그룹 1의 브랜치의 편단인 브랜치(B17)와, 그의 하위 계통의 브랜치(B18)를 그룹 1로, 브랜치(B25와 B29)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B5, B6, B7, B21, B22, B23, B25, B26, B27, B28, B29, B30)와,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그룹 2의 브랜치의 편단인 브랜치(B31)와, 그의 하위 계통의 브랜치(B32)를 그룹 2의 2 그룹으로 분할하고, 브랜치 그룹 정보(970)에 보존한다. 도 100의 모델 계통(9102)을 그룹 분할한 결과를 도 101의 모델 계통(9103)에 나타낸다.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922)에서는, 그룹 분할 수단(918)에서 분할된 그룹마다 도 101의 모델 계통(9103)에 있어서의 브랜치(B3, B4, B8, B9, B10,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33, B34)로 된 그룹 1과, 브랜치(B5, B6, B7, B21, B22, B23, B25, B26, B27, B28, B29, B30, B31, B32)로 된 그룹 2의 각각에 대해서,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921)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5),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906), 데이타 보정 수단(904),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907), 노드 절환 결정 수단(912), 절환후 보정 수단(913),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917)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인 계통 구성을 구한다.
도 101의 모델 계통(9103)의 그룹 1에 대해서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922)을 실시한 경우의 처리를 이하에 기재한다.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921)에서는,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B3, B4, B8, B9, B10,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33, B34)와,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B1, B2의 양단의 노드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71)의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N1, N2, N3, N4, N5, N9, N10, N11, N12, N13, N14, N15, N16, N17, N27, N28)를 추출한다. 이들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 및 노드에 대해서, 이전과 같은 상태로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고치고, 도 1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개폐기, 그룹 분할전의 노드 빈호와 그룹 분할후의 노드 번호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고,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한다.
분할전/분할후의 대응 테이블을 도 114에 나타낸다. 또,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57)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57)의 노드 정보로부터 그룹 1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정보를 추출하고,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957)의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에 의한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작성하고, 그룹 1에 속하는 조작 가능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957)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972)에서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통과 전류 허용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956)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상태(973)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서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추출하고, 브랜치 개폐 상태(960)에 보존한다. 도 101의 모델 계통(9103)에서, 그룹 1을 추출한 결과의 계통을 도 102의 모델 계통(9201)에 나타낸다.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5)에서는, 계통 조건 정보(956)에서 조작 가능으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도 102의 모델 계통(9201))에 있어서 브랜치(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3, Br14, Br15, Br16))를, 이 때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상태(960)에 저장한다. 도 103의 모델 계통(9202)은, 모델 계통(9201)에 있어서 조작 가능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계통이다. 또, 이 때에 가능한 조작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로서 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3, Br16을 전체 루프 계통 브랜치 정보에 보존한다. 또, 이 계통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960)에서 폐상태로 되어 있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에서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957)에 추가.보존한다.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957)와 브랜치 개폐 상태(960)를 사용하여 도 71의 식 7001에 의해 산출한 노드 전압에서, 폐상태인 브랜치 (Br1, Br2, Br3, Br4, Br5, Br6, Br7, Br8, Br9, Br10, Br12, Br13, Br14, Br15, Br16, Br17)의 통과 전류를 도 71의 식 7002를 사용하여 산출하여, 브랜치 전류 정보(958)에 보존한다.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906)에서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59)와 계통 조건 정보(956)와 브랜치 전류 정보(958)와 계통 체크 수단(909)에 의한 계통 체크 결과(923)가 도 109의 결과(9110)이였던 경우, 조작 가능 브랜치이고, 또한 폐상태의 브랜치중에서 전류치가 최소이고, 또한 개조작 실시 후에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는 브랜치(Br8)를 전류 최소 브랜치(961)로 한다.
데이타 보정 수단(904)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961)에 보존된 브랜치(Br8)의 개조작을 실시 후의 계통이 도 104의 모델 계통(9203)의 상태로 되도록 브랜치의 개폐 상태(960)의 브랜치(Br8)의 상태를 개상태로 하고, 계산 필요 정보(957)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8)의 임피던스를 감산하는 보정을 행한다. 또,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5)을 사용하여, 도 102의 모델 계통(9201)에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전류 최소 브랜치로 되이 있지 않은 브랜치(Br11)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중, 조작 가능한 Br6, Br10, Br11, Br12, Br13, Br16을 전체 루프 계통 브랜치 정보(959)에 보존한다.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907)에서는, 도 104의 모델 계통(9203)의 경우에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59)에 조작 가능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Br6, Brl0, Br11, Br12, Br13, Br16이 존재하므로, 루프 계통 있음으로 판단하고,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과 전류 최소 브랜치 추출 수단(906)과 데이타 보정 수단(904)을 모델 계통(9203)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 대해서 실시한다. 2회째의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을 행한 결과의 브랜치 전류 정보(958)가 도 110의 결과(9111)로 된 경우,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906)에서는, 전류 최소 브랜치를 브랜치(Br13)로 판단하고, 데이타 보정 수단(904)에서 브랜치 개폐 상태(960)에서 브랜치(Br13)의 상태를 개상태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59)에서 브랜치(Br6, Br10, Br11, Br12, Br13, Br16)를 삭제하여, 계산 필요 정보(957)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브랜치(Br13)의 임피던스를 감산한다. 그 결과 계통은, 도 105의 모델 계통(9204)과 같게 된다.
이 2회째의 브랜치의 개조작에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59)에 보존되는 브랜치는 없어지므로, 루프 계통은 없음으로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907)에서 판단하고, 방사상 계통 정보(962)는 도 105의 모델 계통(9204)으로 되고, 폐상태의 브랜치로서 Br1, Br2, Br3, Br4, Br5, Br6, Br7, Br9, Br10, Br11, Br12, Br14, Br15, Br16, Br17과 개상태의 브랜치로서, Br8, Br13을 보존한다. 방사상 계통 정보(962)에 보존된 계통이 도 105의 모델 계통(9204)과 같은 계통인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912)에서는,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인 브랜치(Br8)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하고 폐상태인 브랜치(Br6, Br7, Br9, Br16)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Br13)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Br6, Br10, Br11, Br12)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9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915)을 각각 실시한다.
예를 들어, 개상태의 브랜치(Br8)의 폐조작과 폐상태의 브랜치(Br9)의 개조작을 실시하는 경우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8)에서는 브랜치(Br1, Br3, Br6, Br7, Br8, Br9, Br17, Br16, Br5, Br2)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63)에, 절환 노드 검출 처리(914)에서는 노드(Nd9)가 절환 노드 정보(964)에 보존된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910)에서는, 방사상 계통 정보(962)의 계통 상태에서의 노드 전압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965)에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911)에서는, 노드(Nd9)를 브랜치(Br5)의 계통에서 브랜치(Br3)의 계통으로 절환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도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도 72의 식 7003에 있어서 절환 노드의 집합에 포함되는 노드는, 절환 노드 정보(964)에 보존된 노드(Nd9)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노드 부하(I9)는 노드(Nd9)의 노드 부하 계통 정보(965)에서 취출한다.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9) 양단의 노드를 계산 필요 정보(957)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에서 취출하고, 절환 노드(Nd9)가 접속하고 있는 측의 노드(Nd9)를 m으로 하고, 브랜치(Br9)의 다른 일단의 노드(Nd16)를 n으로 한다. 따라서, 노드 전압(Em, En)은 각각 노드(Nd9, Nd16)의 전압을 계통 정보(965)에서 취출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963)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Br1, Br3, Br6, Br7, Br8, Br9, Br17, Br16, Br5, Br2)의 임피던스를 계산 필요 정보(957)에서 취출하고, 그들 브랜치의 저항분의 합을 Rloop로 한다. 이들 값을 사용하여 도 72의 식 7003에 의해 송전 손실 변화량를 산출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966)에 보존한다.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8)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6, Br7, Br9, Br16)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3)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6, Br10, Br11, Br12)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각각 계산한다.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915)에서는, 브랜치(Br13)의 폐조작과 브랜치(Br1)의 개조작을 행한 후의 계통, 도 105의 모델 계통(9204)에 대해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 유무를 체크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는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의 전체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9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915)을 실시한 결과가 도 111의 결과(9301)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912)에서는, 노드(Nd9)를 브랜치(Br5)의 계통의 접속에서 브랜치(Br3)의 계통의 접속으로 조작한 후의 계통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가장 송전 손실 경감의 효과가 있는 경우라고 판단하고, 개조작 브랜치로서 브랜치(Br9), 폐조작 브랜치(Br8)를 조작 브랜치(967)에 보존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913)에서는, 도 106의 모델 계통(9205)의 계통 상태가 되도록 방사상 계통 정보(962)의 브랜치(Br9)를 개상태로서, 브랜치(Br8)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957)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9)의 어드미턴스를 감산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8)의 임피던스를 가산하고, 계통 정보(965)의 노드 전압을 방사상 계통 정보(962) 및 계산 필요 정보(957)를 사용하여 계통 정보 작성 수단(910)에 의해 산출한다.
2회째의 노드 절환 결정 수단(912)에서,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인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하고 폐상태인 브랜치(Br6, Br7, Br8, Br16)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3)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6, Br10, Br11, Br12)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911)에서 구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915)을 각각 실시한 결과가 결과(9302)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노드 절환은 종료한다라고 판단한다.
도 101의 모델 계통(9103)의 그룹 2에 대해서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922)의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921)을 실시한 결과의 계통을 도 107의 모델 계통(9301)에 나타낸다. 이 모델 계통(9301)에 대해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905)과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903),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906), 데이타 보정 수단(904), 노드 절환 결정 수단(912), 절환후 보정 수단(913),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917)의 결과 얻어진 그룹 2에 대한 송전 손실 최소 계통이, 도 108의 모델 계통(9302)이 되도록 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916)에서, 계산 필요 정보(957)의 분할전 브랜치와 분할후 브랜치의 대응 테이블을 사용하여, 그룹 1의 결과에 대한 도 106의 모델 계통(9205)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배전 계통의 개폐기 상태로 변환하고, 그룹 2의 결과에 대한 도 108의 모델 계통(9302)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배전 계통의 개폐기 상태로 변환하여, 출력 영역(969)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그 결과, 얻어진 계통이 도 113의 배전 계통 예(9401)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2, 도 115, 도 116, 도 117, 도 118, 도 119, 도 120, 도 122, 도 123, 도 124, 도 12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개략도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5는 도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상세도이다. 도 116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처리 플로우 챠트이다. 도 117은 배전 계통의 예, 도 118은 도 117의 배전 계통을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변환한 결과인 모델 계통을 나타내고, 도 119는 도 117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델 계통의 상태 천이를, 도 120은 본 발명의 처리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모델 계통에 있어서의 결과를, 도 121은 도 l17의 배전 계통의 예에 대해서 븐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여 최종직으로 얻어진 배전 계통 결과를, 도 124, 도 125는 도 117의 배건 계통에 대해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2, 도 12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산식이다.
도 115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터 입력 수단(1001)에서는,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의 정보나 개폐기의 개폐 상태,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의 조작의 가부 등의 운전원에 의한 설정 정보, 계통 상태가 운용상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치로서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입력하여, 기억 장치(20)에 배전 계통 설비 정보(1015), 개폐기 정보(1016), 구간 정보(1017), 운전원 설정 정보(1013)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1002)에서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1015)나 개폐기 정보(1016), 구간 정보(1017), 운전원 설정 정보(1013)를 사용하여. 배전 계통을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변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를 계산 필요 정보(1018)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계통 조건 정보(1014)에 보존함과 동시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1019)에 저장한다. 또, 모든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1018)에 추가·보존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003)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1018)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1019)에서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로 되이 있는 1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020)로서 보존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003)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적용할 수 있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1004)에서는,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020)에서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003)에서 폐조작을 실시한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절환되는 노드의 집합을, 절환 노드 정보(1021)로서 추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1004)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적용할 수 있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1005)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1018)와 방사상 계통 정보(1019), 구간 정보(1017)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및 노드 전압을 도 123의 식 1062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계통 정보(1023)에 저장한다. 식 1062에 있어서는, E는 노드 전압 행렬(유효분/무효분)은 어드미턴스 행렬의 역행렬 Y-1과 노드 부하(유효분/무효분) I와의 적(積)으로 산출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006)에서는, 계통 정보(1023)의 노드 전압과 절환 노드 정보(1021),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020), 계산 필요 정보(1018)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정보와 계통 조건 정보(1014)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일어나지 않는 브랜치의 개폐 조작에 의한 노드 절환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1022)을 도 122의 식 1061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식 1061에서, Ii는 계산 필요 정보(1018)에 보존된 노드 부하를 사용하고, D는 절환 노드 정보(1021)에 보존되어 있는 절환 노드의 정보를 사용하고, Em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003)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 양단외 노드 중, 절환 노드 검출 수단(1004)에서 추출된 절환 노드의 접속하는 측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1021)에서 취출하고, En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003)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 양단의 노드 중 m과는 다른 단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1023)에서 취출하고, Rloop는 계산 필요 정보(1018)에서 취출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003)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의 합을 구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P)을 산출한다. △P의 값이 부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P가 정의 값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이 증가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1008)에서는,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모든 조에 대해서, 방사상 계통 정보(1019)와 계산 필요 정보(1018),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003)에서 검출한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020), 계통 조건 정보(1014), 절환 노드 검출 수단(1004)에서 추출한 절환 노드 정보(1021),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006)에서 산출한 송전 손실 변화량(1022), 브랜치의 조작 실시 후의 계통에 대해서 과부하 및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계통 조건 정보(1014)를 사용하여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007)의 절환후 계통 체크 결과(1024)를 사용하여, 이하의 처리를 한다.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고, 또한,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가 있는 경우는, 그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 중에서 저감량이 최대인 브랜치 개폐 조작의 조에 대해서 노드 절환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브랜치의 조를 조작 브랜치(1025)에 보존하고, 노드 절환에 의해 송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브랜치 조작의 조가 1조도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1025)에 조작 브랜치 없음을 보존한다.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1016)에서는, 조작 브랜치(1025)에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1009)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1025)에 조작 브랜치 없음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1011)을 실행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1009)에서는, 조작 브랜치(1025)에 보존되어 있는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1019)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개상태로, 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통 정보(1023)의 브랜치 통과 전류와 노드 전압의 값에 대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1005)을 실행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1018)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삭제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
스의 값을 추가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020)와 절환 노드 정보(1021)에 대해서는, 보정된 방사상 계통 정보(1019)와 계산 필요 정보(1010)를 사용하여 보정을 행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1011)에서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1008)에서 노드 절환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시점에서의 방사상 계통 정보(1019)와 계산 필요 정보(1018)를 기초로, 송전 손실 최소 계통 구성을 작성하여 출력 영역(1026)에 보존한다.
도 116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도 117의 배전 계통을 사용하여 구체적(積)으로 설명한다. 도 117은 배전 계통의 예이다. 도 117에 있어서 배전 계통(1050)은, 배전용 변압기(Trl)와 배전용 변압기(Trl) 양단의 모선의 Bus1, Bus2와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와 폐상태에 있는 개폐기(SW1, SW2,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4)와, 개상태에 있는 개폐기(SW3, SW11, SW12, SW13)와, 그들의 개폐기에 의해 구분된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운전원에 의해 SW12, SW13이 개상태에서 조작 금지, SW6, SW10이 폐상태에서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1001)에서는, 배전 계통(1050) 배전용 변압기(Trl)의 임피던스나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의 임피던스 및 부하량, 전압 강하 한도치나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1, SW12, SW13, SW14)의 개폐 상태 및 운전원에 의한 조작 금지 설정 상태, 통과 전류 허용치나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등을 입력하여, 배전선 계통 설비 정보(1015), 구간 정보(1017), 개폐기 정보(1016), 운전원 설정 정보(1013)에 보존한다.
도 118에 나타내는 모델 계통(1051)은 데이타 변환 수단(1002)에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모델화된 결과의 계통이다. 데이타 변환 수단(1002)에 의해 배전 계통(1050)의 배전용 변압기(Trl)는 모델 계통(1051)외 브랜치(Br18)로, 배전 계통(1050)의 배전용 변압기 양단의 모선(Bus1, Bus2)은 각각 모델 계통(1051)의 노드(Nd1, Nd2)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는 각각 Br1, Br5, Br9로, 개폐기 SW1은 Br2로, SW2는 Br3으로, SW3은 Br4로, SW4는 Br14로, SW5는 Br8로, SW6 은 Br7로, SW7은 Br6으로, SW8은 Br17로, SW9는 Br10으로, SW10은 Brl1로, SW11은 Br16으로, SW12는 Br15로, SW13은 Br13으로, SW14는 Br12로 각각 치환한다.
이들의 노드와 브랜치로 변환한 결과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와 노드 부하와 브랜치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개폐기의 대응을 계산 필요 정보(1018)에, 노드의 전압 저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한도치를 계통 조건 정보(1014)에 보존한다. 또한, 배전용 변압기(Tr1),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는 개상태로 되면, 계통 전체에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브랜치(Br18, Br1, Br5, Br9)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또, 개폐기(SW6, SW10, SW12, SW13)는 운전원에 의해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브랜치(Br7, Br11, Br15, Br13)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그것 이외의 브랜치(Br2, Br3, Br4, Br6, Br8, Br10, Br12, Br14, Br16, Br17)는 조작 가능 브랜치로서 계통 조건 정보(1014)에 추가·보존한다.
또, 개상태의 브랜치로서 Br4, Br13, Br15, Br16을, 폐상태의 브랜치로서, Br1, Br2, Br3, Br5, Br6, Br7, Br8, Br9, Br10, Br11, Br12, Br14, Br17을 방사상 계통 정보(1019)에 보존한다. 방사상 계통 정보(1019)에 보존된 계통이 모델 계통(1051)과 동일한 계통인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1008)에서는,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4)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2, Br3, Br14, Br8, Br6)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6)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6, Br8, Br12, Br10)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006)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007)을 각각 실시한다.
예를 들어, 개상태의 브랜치(Br4)의 폐조작과 폐상태의 브랜치(Br8)의 개조작을 실시하는 경우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003)에서는 브랜치(Br1, Br2, Br3, Br4, Br14, Br8, Br7, Br6, Br5)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020)에, 절환 노드 검출 처리에서는 노드(Nd6과 Nd10)가 절환 노드 정보(1021)에 보존된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1005)에서는, 방사상 계통 정보(1019)의 계통 상태에서의 노드 전압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1023)에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006)에서는, 노드(Nd6과 Nd10)를 브랜치(Br5)의 계통에서 브랜치(Brl)의 계통으로 절환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도 122의 식 1061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도 122의 식 1061에 있어서 절환 노드의 집합에 포함되는 노드는, 절환 노드 정보(1021)에 보존된 노드(Nd6과 Nd10)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노드 부하(I6, I10)는 노드(Nd6과 Nd10)의 노드 부하를 계통 정보(1023)에서 취출한다.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8)의 양단의 노드를 계산 필요 정보(1018)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에서 취출하고, 절환 노드(Nd6과 Nd10)가 접속하고 있는 측의 노드(Nd10)를 m으로 하고, 브랜치(Br8)의 다른 일단의 노드(Nd9)를 n으로 한다. 따라서, 노드 전압(Em, En)은 각각 노드(Nd10, Nd9)의 전압을 계통 정보(1023)에서 취출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020)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Br1, Br2, Br3, Br4, Br14, Br8, Br7, Br6, Br5)의 임피던스를 계산 필요 정보(1018)에서 취출하고, 그들 브랜치의 저항분의 합을 Rloop에로 한다. 이들 값을 사용하여 모 122의 식 106l에 의해 송전 손실 변화량를 산출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1022)에 보존한다.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4)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2, Br3, Br14, Br8, Br6)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6)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6, Br8, Br12, Br10)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각각 계산한다.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007)에서는, 브랜치(Br4)의 폐조작과 브랜치(Br8)의 개조작을 행한 후의 계통(도 120의 모델 계통(1053))에 대해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체크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은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의 전체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006)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007)을 실시한 결과가 도 124의 결과(1071)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1008)에서는, 노드(Nd6과 Nd10)를 브랜치(Br5)의 계통의 접속에서 브랜치(Br1)의 계통의 접속으로 조작한 후의 계통에 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가장 송전 손실 경감의 효과가 있는 경우라고 판단하고, 개조작 브랜치로서 브랜치(Br8), 폐조작 브랜치(Br16)를 조작 브랜치(1025)에 보존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서는, 도 119의 모델 계통(1052)의 계통 상태가 되도록 방사상 계통 정보(1019)의 브랜치(Br8)를 개상태로, 브랜치(Br16)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1018)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8)의 어드미턴스를 감산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16)의 임피던스를 가산하고, 계통 정보(1023)의 노드 전압을 방사상 계통 정보(1019) 및 계산 필요 정보(1018)를 사용하여 계통 정보 작성 수단(1005)에 의해 산출한다.
2회째의 노드 절환 결정 수단(1008)에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4)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2, Br3, Br14, Br16, Br12, Br10)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8)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6, Br16, Br12, Br10)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006)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007)을 각각 실시한 결과가 도 125의 결과(1072)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노드 절환은 종료한다라고 판단하고,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1011)에서, 모델 계통(1052)의 계통을 도 121의 배전 계통의 정보 계통(1054)으로 변환하여, 출력 영역(1026)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2, 도 71, 도 72, 도 73, 도 126, 도 127, 도 128, 도 129, 도 130, 도 131, 도 132, 도 133, 도 134, 도 135,
도 13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개략도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26은 도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상세도이다. 도 12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치리의 흐름을 나타낸 처리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8은 배전 계통의 예, 도 129는 도 128의 배전 계통을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변환한 결과인 모델 계통을 나타내고, 도 130, 도 131은 도 128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섕기는 모델 계통의 상태 천이를, 도 132는 본 발명의 처리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모델 계통에 있어서의 결과를, 도 135는 도 128의 배전 계통의 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배전 계통 결과를, 도 133, 도 134.도 136은 도 128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71, 도 72.도 7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산식이다.
도 126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터 입력 수단(1101)에서는,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의 정보나 개폐기의 개폐 상태,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의 조작의 가부 등의 운전원에 의한 설정 정보, 계통 상태가 운용상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치로서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입력하여, 기억 장치(20)에 배전 계통 설비 정보(1118), 개폐기 정보(1120), 구간 정보(1119), 운전원 설정 정보(1117)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1102)에서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1118)나 개폐기 정보(1120), 구간 정보(1119), 운전원 설정 정보(1117)를 사용하여, 배전 계통을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변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브랜치의 동과 전류 허용치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1122)에 보존함과 동시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1123)에 저장한다. 또, 조작이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에 추가·보존한다.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1103)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1123)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한 모든 개상태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모든 개상태에 있는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구성 브랜치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하고, 합집합을 취함으로써 추출하여 계산 대상 브랜치, 계산 대상 노드로서, 또, 계산 대상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 및 계산 대상 노드 이외의 노드는 축퇴 대상 브랜치 및 축퇴 대상 노드로서, 계산 대상 계통 정보(1124)에 보존한다. 이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1103)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채용할 수 있다.
키 설비 추출 수단(1105)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를 사용하여 계산 대상 계통 정보(1124)에서 축퇴 대상으로 되어 있던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계산 대상 노드이고, 타방의 노드가 축퇴 대상 노드로 되어 있던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서, 또, 키 브랜치의 노드 중, 계산 대상 노드인 노드를 키 노드로서 모두 추출하고, 키 설비 정보(l125)에 보존한다. 노드 축퇴 집약 수단(1106)에서는, 키 설비 정보(1125)에서 키 브랜치로 되어 있던 브랜치보다 하위의 계등에 속하는 노드를 추출하여, 축퇴 대상 노드로 한다. 또,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에서 취출하여 합계하고, 키 브랜치에 대응하는 키 노드의 부하에 가산하고, 키 설비 정보(1125)에 추가·보존한다. 이 노드 축퇴 집약 수단(1106)에서 키 브랜치의 하위 계통에 소속하는 노드를 추출하는 처리에,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적용할 수 있다.
노드 축퇴 수단(1104)에서는, 키 설비 추출 수단(1105)을 실행하고, 키 설비 정보(1125)에서 키 브랜치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에 대해서, 노드 축퇴 집약 수단(1106)을 사용하여 노드의 축퇴 처리를 실시한다. 계산용 노드 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1107)에 있어서는, 계산 대상 계통 정보(1124) 있어서 계산 대상 브랜치와 계산 대상 노드만을 취출하여, 축퇴후의 계통에 있어서의 브랜치 번호 및 노드 번호를 매기고,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에 있어서의 브랜치 번호 및 노드 번호와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고, 축퇴 대응 테이블로서 계산 필요 정보(1126)에 보존한다. 또, 축퇴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에 의한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를 기초로 작성하여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로 한다.
그리고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에서 계산 대상 브랜치의 임피던스를 추출하여 브랜치 임피던스로 하고, 키 노드인 노드의 부하 정보에 대해서는 키 설비 정보(1125)에서 취출하고, 키 노드 이외의 노드의 부하 정보에 대해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의 부하 정보로부터 취출하여 축퇴후의 노드 부하 정보로서,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1123)에서 계산 대상 브랜치의 개폐 상태만을 취출한다. 그리고, 조작전 브랜치 개폐 상태로서, 브랜치의 개폐 상태(1128)와 방사상 계통 정보(1129)에 보존한다. 개산 필요 정보(1126)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 허용 전류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를 계등 조건 정보(1127)에 보존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108)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1126)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1129)에서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로 되어 있는 1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130)로서 보존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108)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적용할 수 있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1109)에서는,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130)에서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108)에서 폐조작을 실시한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절환되는 노드의 정보를 절환 노드 검출 정보(1131)로서 추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1109)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적용할 수 있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1110)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1126)와 방사상 계통 정보(1129), 구간 정보(1119)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및 노드 전압을 도 73의 식 7004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계통 정보(1132)에 저장한다. 식 7004에 있어서는, E는 노드 전압 행렬(유효분/무효분)은 어드미턴스 행렬의 역행렬 Y-1과 노드 부하(유효분/무효분) I와의 적(積)으로 산출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111)에서는, 계통 정보(1132)의 노드 전압과 절환 노드 정보(1131),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130), 계산 필요 정보(1126)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정보와 계통 조건 정보(1127)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일어나지 않는 브랜치의 개폐 조작에 의한 노드 절환을 실시한 경우의 송진 손실 변화량(1133)을 모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식 7003에서, Ii는 계산 필요 정보(1126)에 보존된 노드 부하를 사용하고, D는 절환 노드 정보(1131)에 보존되어 있는 절환 노드의 집합을 사용하고, Em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1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절환 노드 검출 수단(1109)에서 추출된 절환 노드의 접속하는 측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1132)에서 취출한다. En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1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m과는 다른 단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1132)에서 취출한다. Rloop는, 계산 필요 정보(1126)에서 취출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130)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의 합을 구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P)을 산출한다. △P의 값이 부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P가 정의 값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이 증가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1137)에서는,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모든 조에 대해서, 방사상 계통 정보(1129)와 계산 필요 정보(1126),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108)에서 검출한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130)와, 계통 조건 정보(1127), 절환 노드 검출 수단(1109)에서 추출한 절환 노드 정보(1131)와,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111)에서 산출한 송전 손실 변화량(1133)과, 브랜치의 조작 실시후의 계통에 대해서 과부하 및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계통 조건 정보(1127)를 사용하여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112)의 절환후 계통 체크 결과(1134)를 사용하여, 이하의 처리를 한다.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동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고, 또한, 노드 절환에 의한 송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가 있는 경우는, 그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 중에서 저감량이 최대인 브랜치 개폐 조작의 조에 대해서 노드 절환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브랜치의 조를 조작 브랜치(1135)에 보존하고,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브랜치 조작의 조가 1조도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1135)에 조작 브랜치 없음을 보존한다.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1114)에서는, 조작 브랜치(1135)에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1113)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1135)에 조작 브랜치 없음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1115)을 실행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1113)에서는, 조작 브랜치(1135)에 보존되어 있는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1129)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개상태로,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통 정보(1132)의 브랜치 통과 전류와 노드 전압의 값에 대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1110)을 실행함으로써 보정을 행한다.
즉, 계산 필요 정보(1126)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삭제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추가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1⑾)와 절환 노드 정보(1131)에 대해시는, 보정된 방사상 계통 정보(1129)와, 계산 필요 정보(1126)를 사용하여 보정을 행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1115)에서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1114)에서 노드 절환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시점에서의 방사상 계통 정보(1129)와, 계산 필요 정보(1126)를 기초로, 송전 손실 최소 계통 구성을 작성하여 출력 영역(1136)에 보존한다.
도 127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도 128의 배전 계통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8은 배전 계통의 예이다. 도 128에 있어서 배전 계통(1111)은, 배전용 변압기(Tr1, Tr2)와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의 Bus1, Bus2, Bus3과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와, 폐상태에 있는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11, SW12, SW13, SW16, SW17, SW18, SW20, SW21, SW22, SW23, SW24)와 개상태에 있는 개폐기(SW9, SW10, SW14, SW15, SW19)와, 이들 개폐기에 의해 구분된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운전원에 의해 SW9, SW14가 개상태에서 조작 금지, SW12, SW24가 폐상태에서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1101)에서는, 배전 계통(1111) 배전용 변압기(Tr1, Tr2)의 임피던스나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의 임피던스 및 부하량, 전압 강하 한도치나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1, SW12, SW13, SW14, SW15, SW16, SW17, SW18, SW19, SW20, SW21, SW22, SW23, SW24)의 개폐 상태 및 운전원에 의한 조작 금지 설정 상태, 통과 전류 허용치나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등을 입력하여, 배전선 계통 설비 정보(1118), 구간 정보(1119), 개폐기 정보(1120), 운전원 설정 정보(1117)에 보존한다.
도 129에 나타낸 모델 계통(1112)은 데이타 변환 수단(1102)에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모델화된 결과의 계통이다. 데이타 변환 수단(1102)에 의해 배전 계통(1111)의 배전용 변압기(Tr1, Tr2)는 모델 계통(1112)의 브랜치(B1, B2)로, 배전 계통(1111)의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Bus1, Bus2, Bus3)은 각각 모델 계통(1112)의 노드(N1, N2, N3)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 FCB1, FCB2, FCB3, FCB4, FCB5, FCB6은 각각 B3, B4, B5, B6, B7, B8로, 개폐기SW1은 B9로, SW2는 B10으로, SW3은 B11로, SW4는 B12로, SW5는 B13으로, SW6은 B14로, SW7은 B15로, SW8은 B16으로, SW9는 B17로, SW10은 B18로, SW11은 B19로, SW12는 B20으로, SW13은 B21로, SW14는 B22로, SW15는 B23으로, SW16은 B24로, SW17은 B25로, SW18은 B26으로, SW19는 B27로, SW20은 B28로, SW21은 B29로, SW22는 B30으로, SW23은 B31로, SW24는 B32로 각각 치환한다.
이들의 노드와 브랜치로 변환한 결과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와 노드 부하와 브랜치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개폐기의 대응을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에, 노드의 전압 저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한도치를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1122)에 보존한다. 또한, 배전용 변압기(Tr1, Tr2),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개상태로 되면, 계통 전체에 전력의 공급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브랜치(B1, B2, B3, B4, B5, B6, B7, B8)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또, 개폐기(SW9, SW12, SW14, SW24)는 운전원에 의해 조작금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브랜치(B17, B20, B22, B32)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그것 이외의 브랜치(B9, B10, B11, B12, B13, B14, B15, B16, B18, B19, B21, B23, B24, B25, B26, B27, B28, B29, B30, B31)는 조작 가능 브랜치로서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1122)에 추가·보존한다.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1103)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와 축퇴용 브랜치 개폐 상태(1123)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한 모든 개상태 브랜치인 B18, B23, B27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모든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B1, B2, B4, B5, B6, B7, B13, B15, B16, B17, B18, B19, B20, B21, B22, B23, B24, B25, B26, B27, B28)를 계산 대상 브랜치로서, 노드(N1, N2, N3, N5, N6, N7, N8, N14, N16, N17, N18, N19, N20, N21, N22, N23, N24)를 계산 대상 노드로서, 또, 계산 대상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B3, B8, B9, B10, B11, B12, B14, B29, B30, B31, B32)는 축퇴 대상 브랜치로서, 계산 대상 노드 이외의 노드(N4, N9, N10, N11, N12, N13, N15, N25, N26, N27, N28)는 축퇴 대상 노드로서 계산 대상 계통 정보(1124)에 보존한다. 도 130의 모델 계통(1113)에, 계산 대상 브랜치와 계산 대상 노드, 축퇴 대상 브랜치, 축퇴 대상 노드를 나타낸다.
키 설비 추출 수단(1105)에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를 사용하여 계산 대상 계통 정보(1124)에서 축퇴 대상으로 되어 있던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계산 대상 노드이고, 다방의 노드가 축퇴 대상 노드로 되어 있던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서, 또, 기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에서 계산 대상으로 되어 있던 노드를 키 노드로 한다. 도 130의 모델 계통(1113)에서는, 브랜치(B3)와 노드(N2), 브랜치(B14)와 노드(N14), 브랜치(B29)와 노드(N24), 브랜치(B8)와 노드(N3)를 키 브랜치와 키 노드로서, 키 설비 정보(1125)에 보존한다. 노드 축퇴 수단(1104)에서는, 키 설비 정보(1125)에 보존되어 있는 키 브랜치의 각각에 대해서,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의 어드미턴스 행렬과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를 사용하여 키 브랜치의 하위의 노드를 추출한다. 또,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 정보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에서 취출하여 합계하고, 키 노드의 부하에 가산한다. 예를 들어, 도 130의 모델 계통(1113)에 있어서의 키 브랜치(B3)의 경우에는, 노드(N4, N10, N11, N12, N13)를 축퇴 대상 노드로서, 키 노드(N2)의 노드 부하로서 N2, N4, N10, N11, N12, N13의 노드 부하의 합계를 키 설비 정보(1125)에 추가 보존한다.
계산용 노드 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1107)에서는,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1103)에서 계산 대상으로 판단된 노드(N1, N2, N3, N5, N6, N7, N8, N14, N16, N17, N18, N19, N20, N21, N22, N23, N24)와, 브랜치 (B1, B2, B4, B5, B6, B7, B13, B15, B16, B17, B18, B19, B20, B21, B22, B23, B24, B25, B26, B27, B28)를 계산 대상 계통 정보(1124)에서 취출하고, 축퇴 노드와 축퇴 브랜치의 번호를 전과 같은 상태로 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도 13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축퇴전 노드 번호와 축퇴후 노드 번호의 대응 테이블 및 축퇴전 브랜치 번호와 축퇴후 브랜치 번호, 대응 개폐기 테이블을 계산 필요 정보(1125)에 보존한다.
또,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에서 축퇴전의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취출하여 축퇴후 노드 번호와 축퇴후 브랜치 번호를 사용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로 변환하고, 축퇴전의 노드 정보에 대해서는 키 노드에 대해서는 노드 축퇴 수단(1104)의 노드 축퇴 집약 수단(1106)에서 작성된 노드 부하 합계치를 키 설비 정보(1125)에서 취출하고, 키 노드 이외의 노드의 부하에 대해서는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의 노드 정보를 취출하여 축퇴후의 노드 번호로 변환하고, 축퇴전의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는 계산 대상 브랜치의 정보를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1121)에서 취출하여 축퇴후의 브랜치 번호로 변환하고, 축퇴전의 어드미턴스 행렬에 대해서는 축퇴후의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다시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1126)에 추가·보존한다.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1122)에 대해서는, 축퇴전의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및 축퇴전의 브랜치 통과 한도 허용치와 조작 가부를 축퇴후의 노드 번호 및 축퇴후의 브랜치 번호로 변환하여 계통 조건 정보(1127)에 보존하고, 브랜치의 개폐 상태에 대해서는 축퇴후의 브랜치의 번호로 변환하여 브랜치 개폐 상태(1128)와 방사상 계통 정보(1129)에 보존한다. 그 결과 계통을 도 131의 모델 계통(114)에 나타낸다. 방사상 계통 정보(1129)에 보존된 계통이 도 131의 모델 계통(1114)과 동일한 계통인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1137)에서는,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1)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7, Br8, Br9, Br12, Br14)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6)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2, Br14, Br19, Br18, Br17)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20)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7, Br21)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1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112)을 각각 실시한다.
예를 들어, 개상태의 브랜치(Br11)의 폐조작과 폐상태의 브랜치(Br14)의 개조작을 실시하는 경우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108)에서는 브랜치(Br3, Br7, Br8, Br9, Br11, Br14, Br13, Br12, Br4)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130)에, 절환 노드 검출 처리에서는 노드(Nd13)가 절환 노드 정보(1131)에 보존된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1110)에서는, 방사상 계통 정보(1129)의 계통 상태에서의 노드 전압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1132)에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111)에서는, 노드(Nd13)를 브랜치(Br14)의 계통에서 브랜치(Br3)의 계통으로 절환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도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도 72의 식 7003에 있어서 절환 노드의 집합에 포함되는 노드는, 절환 노드 정보(1131)에 보존된 노드(Nd13)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노드 부하(I13)는 노드(Nd13)의 노드 부하를 계통 정보(1132)에서 취출한다.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14)의 양단의 노드를 계산 필요 정보(1126)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에서 취출하고, 절환 노드(Nd13)가 접속하고 있는 측의 노드(Nd13)를 m으로 하고, 브랜치(Br14)의 다른 일단의 노드(Nd12)를 n으로 한다. 따라서, 노드 전압(Em, En)은 각각 노드(Nd13, Nd12)의 전압을 계통 정보(1132)에서 취출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130)에 보존되이 있는 브랜치(Br3, Br7, Br8, Br9, Br11, Br14, Br13, Br12, Br11)의 임피던스를 계산 필요 정보(1126)에서 취출하고, 그들 브랜치의 저항분의 합을 Rloop로 한다. 이들 값을 사용하여 도 72의 식 7003에 의해 송전 손실 변화량를 산출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1133)에 보존한다.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1)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7, Br8, Br9, Br12, Br14)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6)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19, Br14, Br12, Br18, Br17)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20)의 폐조작과 폐상태의 브랜치(Br17, Br21)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각각 계산한다.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112)에서는, 브랜치(Br11)의 폐조작과 브랜치(Br9)의 개조작을 행한 후의 계통, 도 132의 모델 계통(1115)에 대해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체크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는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의 전체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1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112)을 실시한 결과가 도 133의 결과 (1111)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1137)에서는, 노드(Nd10)를 브랜치(Br4)의 계통의 접속에서 브랜치(Br3)의 계통의 접속으로 조작한 후의 계통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가장 송진 손실 경감의 효과가 있는 경우라고 판단하고, 개조작 브랜치로서 브랜치(Br9), 폐조작 브랜치(Br11)를 조작 브랜치(1135)에 보존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에서는, 도 132의 모델 계통(1115)의 계통 상태가 되도록 방사상 계통 정보(1129)의 브랜치(Br9)를 개상태로, 브랜치(Brl1)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1126)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9)의 어드미턴스를 감산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11)의 임피던스를 가산하고, 계통 정보(1132)의 노드 전압을 방사상 계통 정보(1129) 및 계산 필요 정보(1126)를 사용하여 계통 정보 작성 수단(1110)에 의해 산출한다.
2회째의 노드 절환 결정 수단(1137)에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7, Br8, Br11, Br12, Br14)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6)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12, Br14, Br19, Br18, Br17)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20)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17, Br21)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111)에서 구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112)을 각각 실시한 결과가 도 109의 결과(1112)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노드 절환은 종료이다라고 판단하고,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1115)에서, 도 132의 모델 계통(1115)의 계통을 배전 계통의 정보 계통(757)으로 변환하여, 출력 영역(1136)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결과 작성된 배전 계통을 도 135의 결과 계통(1131)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2, 도 137, 도 138, 도 139, 도 140, 도 141, 도 l42, 도 143, 도 144, 도 145, 도 146, 도 147, 도 148, 도 14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전 계통과 그것을 운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개략도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37은 도 2의 배전 계통 운용 장치(17)의 상세도이다. 도 138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처리 플로우 챠트이다. 도 139는 배전 계통의 예, 도 140은 도 139의 배전 계통을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변환한 결과인 모델 계통을 나타내고, 도 141, 도 142, 도 143, 도 144, 도 145는 도 139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델 계통의 상태 천이를, 도 146은 도 139의 배전 계통의 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배전 계통 결과를, 도 147, 도 148, 도 149는 도 139의 배전 계통에 대해서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71, 도 72, 도 73은 본 발명에서 사용 하는 계산식이다.
도 137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19)에는 이하와 같은 수단이 있다. 데이터 입력 수단(1201)에서는, 배전선 상의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정보나 구간 임피던스 등의 배전 계통 설비의 정보나 개폐기의 개폐 상태, 구간 부하 등의 구간 정보,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의 조작의 가부 등의 운전원에 의한 설정 정보, 계통 상태가 운용상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치로서의 통과 전류 허용치나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을 입력하여, 기억 장치(20)에 배전 계통 설비 정보(1218), 개폐기 정보(1220), 구간 정보(1219), 운전원 설정 정보(1217)로서 보존한다.
데이타 변환 수단(1202)에서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1218)나 개폐기 정보(1220), 구간 정보(1219), 운전원 실정 정보(1217)를 사용하여, 배전 계통을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변환하여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에,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1222)에 보존함과 동시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1223)에 저장한다. 또, 모든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에 추가·보존한다.
루프 검출 수단(1203)에서는,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행렬,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1222)의 브랜치 조작 가부,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1223)의 브랜치 개폐 상태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본 수단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사용할 수 있다. 그룹 판정 수단(1204)에서는, 루프 검출 수단(1203)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를 제외한 모든 브랜치가 동일 그룹임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1224)의 브랜치별 그룹 정보에 보존한다.
이미, 다른 그룹이라고 판단되어 있는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금회의 루프 검출 수단(1203)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를 제외한 모든 브랜치를 그 이미 다른 그룹에 할당되어 있는 브랜치와 동일 그룹으로 할당한다. 다른 그룹에 할당되어 있는 브랜치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그룹의 번호가 최소인 그룹 이외의 그룹이라고 판단되는 모든 브랜치 및, 금회의 루프 검출 수단(1203)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를 제거한 모든 브랜치를 그룹의 번호가 최소인 그룹이라고 판단하고, 브랜치 그룹 정보(1224)의 브랜치 그룹 번호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 수단(1205)에서는,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1223)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서 개상태이고, 또한,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1222)에서 조작 가능으로 되어 있는 모든 브랜치에 대해서, 루프 검출 수단(1203)과 그룹 판정 수단(1204)을 실시함으로써, 브랜치가 소속하는 그룹을 판정한다. 또,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에 대해서는,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어느 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노드에 접속하는 브랜치를 찾아, 그 브랜치보다 하위의 계통의 브랜치에 대해서는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와 동일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한다. 본 수단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사용할 수 있다.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는 루프 구성 브랜치로 된 모든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본 수단에서 검출된 브랜치의 그룹은, 브랜치 그룹 정보(1224)에 보존된다.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1206)에서는, 브랜치 그룹 정보(1224)를 사용하여 동일 그룹이라고 판단된 브랜치와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를 취출하고, 동일 그룹이라고 판단된 브랜치 및 노드의 번호를 이전과 동일한 상태로 함으로써, 계산용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의 고침을 실시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빈호의 대응 테이블, 그룹 분할전의 노드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노드 번호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1226)에 보존한다. 또,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의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노드 정보에 대해서는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정보만을 취출하여 그룹 분할후의 노드 번호에 의해 작성하고,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는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정보만을 취출하여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에 의해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1226)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1222)로부터는, 브랜치의 조작 가능 및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 노드의 정보에 대해서 취출하여,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에서 작성하여, 계통 조건 정보(1227)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에서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상태(1228)와 방사상 계통(1229)에, 어드미턴스 행렬을 계산 필요 정보(1226)에 보존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208)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1226)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1229)에서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로 되어 있는 1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추출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230)로서 보존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208)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적용할 수 있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1209)에서는,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230)에서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208)에서 폐조작을 실시한 브랜치 이외의 브랜치의 개조작 실시한 경우에 절환되는 노드의 집합을 절환 노드 정보(1231)로서 추출한다. 절환 노드 검출 수단(1209)에는, 본 발명의 청구항 2를 적용할 수 있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1210)에서는, 계산 필요 정보(1226)와 방사상 계통 정보(1229)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및 노드 전압을 도 73의 식 7004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계통 정보(1232)에 저장한다. 식 7004에 있어서는, E는 노드 전압 행렬(유효분/무효분)은 어드미턴스 행렬의 역행렬 Y-1과 노드 부하(유효분/무효분) I와의 적(積)으로 산출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211)에서는, 계통 정보(1232)의 노드 전압과 절환 노드 정보(1231),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230), 계산 필요 정보(1226)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 정보와 계통 조건 정보(1227)를 사용하여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일어나지 않는 브랜치의 개폐 조작에 의한 노드 절환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1233)을 도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식 7003에서, Ii는 계산 필요 정보(1226)에 보존된 노드 부하를 사용하고, D는 절환 노드 정보(1231)에 보존되어 있는 절환 노드의 집합을 사용하고, Em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2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절환 노드 검출 수단(1209)에서 추출된 절환 노드의 접속하는 측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1232)에서 취출한다. En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208)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중 m과는 다른 단의 노드의 전압을 계통 정보(1232)에서 취출하고, Rloop는, 계산 필요 정보(1226)에서 취출한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230)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의 합을 구하여 송전 손실 밴화랑(△P)을 산출한다. △P의 값이 부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에측되고, △P가 정의 값인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이 증가한다.
노드 절환 결정 수단(1207)에서는,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모든 조에 대해서, 방사상 계통 정보(1229)와 계산 필요 정보(1226),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208)에서 검출한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230)와, 계통 조건 정보(1227), 절환 노드 검출 수단(1209)에서 추출한 절환 노드 정보(1231)와,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211)에서 산출한 송전 손실 변화량(1233)과, 브랜치의 조작 실시후의 계통에 대해서 과부하 및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계통 조건 정보(1227)를 사용하여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212)의 절환후 계통 체크 결과(1234)를 사용하여, 이하의 처리를 한다.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고, 또한,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는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가 있는 경우는, 그 브랜치의 개폐 조작의 조 중에서 저감량이 최대인 브랜치 개폐 조작의 조에 대해서 노드 절환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브랜치의 조를 조작 브랜치(1235)에 보존하고, 노드 절환에 의해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브랜치 조작의 조가 1조도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1235)에 조작 브랜치 없음을 보존한다.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1214)에서는, 조작 브랜치(1235)에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1213)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1235)에 조작 브랜치 없음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1215)을 실행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1213)에서는, 조작 브랜치(1235)에 보존되어 있는 개폐 조작을 행하는 브랜치를 사용하여, 방사상 계통 정보(1229)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개상태로, 또,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상태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통 정보(1232)의 브랜치 통과 전류와 노드 전압의 값에 대해서, 계통 정보 작성 수단(1210)을 실행함으로써 보정을 행한다. 즉, 계산 필요 정보(1226)에 보존되어 있는 어드미턴스 행렬에 대해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삭제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의 임피던스의 값을 추가함으로써 보정을 행하고,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230)와 절환 노드 검출 정보(1231)에 대해서는, 보정된 방사상 계통 정보(1229)와 계산 필요 정보(1226)를 사용하여 보정을 행한다.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1236)에서는, 그룹 분할 수단(1205)에서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1206)에서 추출된 노드와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 절환 결정 수단(1207), 절환후 보정 수단(1213),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1214)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가 되는 계통을 각각 검출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1215)에서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1214)에서 노드 절환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시점에서의 방사상 계통 정보(1229)와 계산 필요 정보(1226)를 기초로, 송전 손실 최소 계통 구성을 작성하여 출력 영역(1225)에 보존한다.
도 138에 본 발명의 처리의 흐름을 도 139의 배전 계통을 사용하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9는 배전 계통의 예이다. 도 139에 었어서 배전 계통(1211)은, 배전용 변압기(Tr1, Tr2)와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의 Bus1, Bus2, Bus3과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와, 폐상태에 있는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11, SW12, SW13, SW16, SW17, SW18, SW20, SW21, SW22, SW23, SW24)와 개상태에 있는 개폐기(SW9, SW10, SW14, SW15, SW19, SW25)와, 이들 개폐기에 의해 구분된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운전원에 의해 SW9, SW10, SW14가 개상태에서 조작 금지, SW12, SW24가 폐상태에서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수단(1201)에서는, 배전 계통(1211) 배전용 변압기(Tr1, Tr2)의 임피던스나 구간(Sec1, Sec2, Sec3, Sec4, Sec5, Sec6, Sec7, Sec8, Sec9, Sec10, Sec11, Sec12, Sec13, Sec14, Sec15, Sec16, Sec17, Sec18, Sec19, Sec20, Sec21, Sec22, Sec23, Sec24, Sec25)의 임피던스 및 부하량, 전압 강하 한도치나 개폐기(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SW9, SW10, SW11, SW12, SW13, SW14, SW15, SW16, SW17, SW18, SW19, SW20, SW21, SW22, SW23, SW24, SW25, SW26)의 개폐 상태 및 운전원에 의한 조작 금지 설정 상태, 통과 전류 허용치나 구간과 개폐기의 접속 관계 등을 입력하여, 배전선 계통 실비 정보(1218), 구간 정보(1219), 개폐기 징보(1220), 운전원 설정 정보(1217)에 보존한다.
도 140에 나타낸 모델 계통(1212)은 데이타 변환 수단(1202)에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로 모델화된 결과의 계통이다. 데이타 변환 수단(1202)에 의해 배전 계통(1211)의 배전용 변압기(Tr1, Tr2)는 모델 계통(1212)의 브랜치(B1, B2)로, 배전 계통(1211)의 배전용 변압기의 양단의 모선(Bus1, Bus2, Bus3)은 각각 모델 계통(1212)의 노드(N1, N2, N3)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 FCB1, FCB2, FCB3, FCB4, FCB5, FCB6은 각각 브랜치 B3, B4, B5, B6, B7, B8로, 개폐기SW1은 B9로, SW2는 B10으로, SW3은 B11로, SW4는 B13으로, SW5는 B15로, SW6은 B16으로, SW7은 B17로, SW8은 B18로, SW9는 B20으로, SW10은 B19로, SW1은 B21로, SW12는 B22로, SW13은 B23으로, SW4는 B24로, SW15는 B25로, SW16은 B26으로, SW7은 B27로, SW8은 B28로, SW19는 B29로, SW20은 B30으로, SW21은 B31로, SW22는 B32로, SW23은 B33으로, SW24는 B34로, SW25는 B12로, SW26은 B14로 각각 치환한다.
이들의 노드와 브랜치로 변환한 결과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와 노드 부하와 브랜치의 임피던스와 브랜치와 개폐기의 대응을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에, 노드의 전압 저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한도치를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1222)에 보존한다. 또한, 배전용 변압기(Tr1, Tr2),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FCB1, FCB2, FCB3, FCB4, FCB5, FCB6)는 개상태로 되면, 계통 전체에 전력의 공급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브랜치(B1, B2, B3, B4, B5, B6, B7, B8)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서, 또, 개폐기(SW9, SW10, SW12, SW14, SW24)는 운전원에 의해 조작 금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브랜치(B19, B20, B22, B24, B34)를 조작 불가능 브랜치로시, 그것 이외의 브랜치(B9, B10, B11,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21, B23, B25, B26, B27, B28, B29, B30, B31, B32, B33)는 조작 가능 브랜치로서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1222)에 추가·보존한다.
그룹 분할 수단(1205)에서는,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1222)의 브랜치 조작 가부와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1223)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사용하여 브랜치가 개상태의 브랜치 도 140의 모델 계통(1212)의 브랜치(B12, B14, B25, B29)에 대해서, 루프 검출 수단(1203)과 그룹 판정 수단(1204)을 사용하여, 전체 브랜치와 노드의 그룹의 판정을 행한다. 먼저, 루프 판정 수단(1203)에서는,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행렬,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1223)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하고 또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도 140의 모델 계통(1212)에서 조작 가능하고, 또한 개상태의 브랜치(B12)의 폐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로서, 브랜치(B1, B3, B9, B10, B11, B12, B34, B33, B8, B2)를 검출한다.
다음에 그룹 판정 수단(1204)에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한 브랜치에서 배전용 변압기를 제외한 모든 브랜치가 동일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한다. 도 140의 모델 계통(1212)에서는, 브랜치(B12)의 폐조작을 행함으로써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에서, 브랜치(B3, B9, B10, B11, B12, B34, B33, B8)를 동일 그룹 1이라고 판단한다. 도 140의 모델 계통(1212)에서, 2회째의 그룹 분할용 수단(1205)에서는, 조작 가능하고 개상태의 브랜치(B14)의 폐조작을 대상으로 하면, 루프 검출 수단(1203)에서 루프 구성 브랜치로 판단된 브랜치는, 브랜치(B3, B9, B13, B14, B16, B15, B4)이다. 그룹 판정 수단(1204)에서는, 이미 B3, B9가 그룹 1이라고 판단되어 있으므로, 루프를 구성한다고 판단한 B13, B14, B16, B15, B4도 그룹 1이라고 판단한다.
도 140의 모델 계통(1212)에 대해서 그룹 분할 수단(1205)을 실시한 결과,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로서 브랜치(B12와 B14)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의 브랜치(B3, B4, B8, B9, B10, B12, B13, B14, B15, B16, B33, B34)와,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그룹 1의 브랜치의 편단인 브랜치(B17)와 그의 하위 계통의 브랜치(B18)를 그룹 1로, 또, 브랜치(B25와 B29)의 폐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B5, B6, B7, B21, B22, B23, B25, B26, B27, B28, B29, B30)와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중 일방의 노드가 그룹 2의 브랜치의 편단인 브랜치(B31)와 그의 하위 계통의 브랜치(B32)를 그룹 2의 2 그룹으로 분할하고, 브랜치 그룹 정보(1224)에 보존한다. 도 140의 모델 계통(1212)을 그룹 분할한 결과를 도 141의 모델 계통(1213)에 나타낸다.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1236)에서는, 그룹 분할 수단(1205)에서 분할된 그룹마다 도 141의 모델 계통(1213)에 있어서의 브랜치(B3, B4, B8, B9, B10,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33, B34)로 된 그룹 1과, 브랜치(B5, B6, B7, B21, B22, B23, B25, B26, B27, B28, B29, B30, B31, B32)로 된 그룹 2의 각각에 대해서,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1206)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1207), 절환후 보정 수단(1213),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1214)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인 계통 구성을 구한다.
도 142의 모델 계통(1213)의 그룹 1에 대해서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1236)을 실시한 경우의 처리를 이하에 기제한다.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1206)에서는,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B3, B4, B8, B9, B10,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33, B34)와,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B1.B2의 양단의 노드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의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N1, N2, N3, N4, N5, N9, N10, N11, N12, N13, N14, N15, N16, N17, N27, N28)를 추출한다.
이들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 및 노드에 대해서, 이전과 동일한 상태로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를 고치고, 도 14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개폐기, 그룹 분할전의 노드 번호와 그룹 분할후의 노드 번호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고, 계산 필요 정보(1226)에 보존한다. 분할전/분할후의 대응 테이블을 도 147에 나타낸다. 또,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의 노드 정보로부터 그룹 1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정보를 추출하고,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1221)의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 분할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에 의한 브랜치와 노드의 관계 정보를 작성한다.
그리고, 그룹 1에 속하는 조작 가능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여, 계산 필요 정보(1226)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1222)에서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의 조작 가부와 통과 전류 허용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를 추출하여, 계통 조긴 정보(1227)에 보존한다. 그룹 분할용 브랜치 개폐 정보(1223)의 브랜치 개폐 상태에서 그룹 1에 속하는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추출하고, 브랜치 개폐 상태(1228)와 방사상 계통 정보(1229)에 보존한다. 도 141의 모델 계통(1213)에서, 그룹 1을 추출한 결과의 계통을 도 142의 모델 계통(1221)에 나타낸다.
방사상 계통 정보(1229)에 보존된 계통이 도 142의 모델 계통(1221)과 동일한 계통인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1207)에서는,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6, Br7, Br8, Br16)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1)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6, Br10, Br13, Br12)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2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212)을 각각 실시한다.
예를 들어, 개상태의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폐상태의 브랜치(Br8)의 개조작을 실시하는 경우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1208)에서는 브랜치(Br1, Br3, Br6, Br7, Br8, Br9, Br17, Br16, Br5, Br2)가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230)에, 절환 노드 검출 처리(914)에서는 노드(Nd9)가 절환 노드 정보(1231)에 보존된다. 계통 정보 작성 수단(1210)에서는, 방사상 계통 정보(1229)의 계통 상태에서의 노드 전압을 산출하여, 계통 정보(1232)에 보존한다.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211)에서는, 노드(Nd9)를 브랜치(Br3)의 계통에서 브랜치(Br5)외 계통으로 절환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모 72의 식 700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도 72의 식 7003에 있어서 절환 노드의 집합에 포함되는 노드는, 절환 노드 정보(1231)에 보존된 노드(Nd9)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노드 부하(I9)는 노드(Nd9)의 노드 부하를 계통 정보(1232)에서 취출한다.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9)의 양단의 노드를 계산 필요 정보(1226)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에서 취출하고, 절환 노드(Nd9)가 접속하고 있는 측의 노드(Nd9)를 m으로 하고, 브랜치(Br9)의 다른 일단의 노드(Nd8)를 n으로 한다. 따라서, 노드 전압(Em, En)은 각각 노드(Nd9, Nd8)의 전압을 계통 정보(1232)에서 취출한다.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1230)에 보존되어 있는 브랜치(Br1, Br3, Br6, Br7, Br8, Br9, Br17, Br16, Br5, Br2)의 임피던스를 계산 필요 정보(1226)에서 취출하고, 그들 브랜치의 저항분의 합을 Rloop로 한다.
이들 값을 사용하여 도 72의 식 7003에 의해 송전 손실 변화량를 산출하여, 송전 손실 변화량(1233)에 보존한다.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6, Br7, Br8, Br16)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1)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6, Br10, Br13, Br12)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각각 계산한다.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212)에서는, 브랜치(Br13)의 폐조작과 브랜치(Br11)의 개조작을 행한 후의 계통, 도 143의 모델 계통(1222)에 대해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체크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혹은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의 초과 및 노드의 진압 강하 한도치의 초과의 발생이 없을 경우에는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의 전체에 대해서,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211)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212)을 실시한 결과가 도 148의 결과(1201)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 결정 수단(1207)에서는, 노드(Nd12)를 브랜치(Br4)의 계통의 접속에서 브랜치(Br3)의 계통의 접속으로 조작한 후의 계통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가장 송전 손실 경감의 효과가 있는 경우라고 판단하고, 개조작 브랜치로서 브랜치(Br13), 폐조작 브랜치(Br11)를 조작 브랜치(1235)에 보존한다. 절환후 보정, 수단(1213)에서는, 도 143의 모델 계통(1222)의 계통 상태가 되도록 방사상 계통 정보(1229)의 브랜치(Br13)를 개상태로, 브랜치(Br11)를 폐상태로 보정을 행하고, 계산 필요 정보(1226)의 어드미턴스 행렬에서 개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13)의 어드미턴스를 감산하고, 폐조작을 행하는 브랜치(Br11)의 임피던스를 가산하고, 계통 정보(1232)의 노드 전압을 방사상 계통 정보(1229) 및 계산 필요 정보(1226)를 사용하여 계통 정보 작성 수단(1210)에 의해 산출한다.
2회째의 노드 절환 결정 수단(1207)에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9)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6, Br7, Br8, Br16)의 개조작에 대한 송전 손실 변화량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Br13)의 폐조작과, 조작 가능한 폐상태의 브랜치(Br6, Br10, Br11, Br12)의 개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송전 손실 변화량을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1211)에서 구하고,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1212)을 각각 실시한 결과가 결과(1202)와 같게 된 경우, 노드 절환에 의한 송전 손실의 저감이 예측되고, 또한, 노드 절환후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노드 절환은 종료라고 판단한다.
도 141의 모델 계통(1213)의 그룹 2에 대해서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1236)의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1206)을 실시한 결과의 계통을 도 144의 모델 계통(1231)에 나타낸다. 이 모델 계통(1231)에 대해서 노드 절환 결정 수단(1207), 절환후 보정 수단(1213),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1214)의 결과 얻어진 그룹 2에 대한 송전 손실 최소 계통이, 도 145의 모델 계통(1232)이 되도록 한다.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1215)에서, 계산 필요 정보(1226)의 분할전 브랜치와 분할후 브랜치의 대응 테이블을 사용하여, 그룹 1의 결과에 대한 도 143의 모델 계통(1222)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배전 계통의 개폐기 상태로 변환하고, 그룹 2의 결과에 대해서는 도 145의 모델 계통(1232)의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배전 계통의 개폐기 상태로 변환하여, 출력 영역(1225)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그 결과, 얻어진 계통이 도 146의 배전 계통 예(1241)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개폐기의 개폐 상태가 판단되면, 그 정보로부터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고,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의해 임의의 개폐기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개폐기나 구간을 용이하게 확실히 검출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개폐기의 개폐 상태가 판단되면, 그 정보로부터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고,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의해 임의의 개폐기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 및 구간을 용이하게 확실히 검출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 관계, 구간 임피던스 개폐기의 개폐 상태가 판단되면, 그 정보로부터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고,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의해 임의의 개폐기를 개조작(開操作)한 경우의 분리계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 및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 및 구간을 용이하게 확실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서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배전 계통을 대상으로 계통을 개폐기와 구간의 접속을 추적 인식하여 인간계에서 송전 손실 변화량이 최소가 되는 계통을 판단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하면, 운용상 최적의 계통으로서, 고속으로 구해지고 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몇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기 위한 개폐기 등을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나 구간 부하 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기억 장치의 입력 정보 영역으로부터 입력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를 기억 장치에 보존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정보를 기초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로부터 배전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거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를 폐조작(閉操作)함으로써 어드미턴스 행렬의 일부를 보정하고, 노드 주입량을 설정하여 전류열 벡터를 작성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보정한 어드미턴스 행렬과 설정한 전류열 벡터에 의해 노드 전압을 구하는 전압 산출 수단과;
    브랜치의 양단의 노드 전압차로부터 브랜치의 통과 전류를 구하는 전류 산출 수단과;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추출(抽出) 수단과;
    동일한 루프를 구성하는 노드를 구하는 루프 구성 노드 검출 수단과;
    브랜치와 노드를 각각 개폐기와 구간으로 치환하는 루프 구성 개폐기 및 구간 추출 수단을 구비하고,
    주어진 임의의 개폐기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개폐기 및 구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2.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몇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기 위한 개폐기 등을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나 구간 부하 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기억 장치의 입력 정보 영역으로부터 입력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를 기억 장치에 보존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정보를 기초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로부터 배전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거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를 개조작(開操作)함으로써 어드미턴스 행렬의 일부를 보정하고, 노드 주입량을 설정하여 전류열 벡터를 작성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보정한 어드미턴스 행렬과 설정한 전류열 벡터에 의해 노드 전압을 구하는 전압 산출 수단과;
    그 노드 진압으로 개조작한 브랜치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노드를 구하는 말단 계통 노드 검출 수단과;
    마찬가지로 개조작한 브랜치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브랜치를, 상기 말단 계통 노드 검출 처리의 결과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에 의해 검출하는 말단 계통 브랜치 검출 수단과;
    얻어진 결과의 브랜치와 노드를 각각 개폐기와 구간으로 치환하는 말단 계통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주어진 임의의 개조작한 개폐기의 말단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 및 구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3.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몇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기 위한 개폐기 등을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나 구간 부하 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기억 장치의 입력 정보 영역으로부터 입력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를 기억 장치에 보존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정보를 기초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로부터 배전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거나,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주어진 임의의 브랜치를 개조작함으로써 어드미턴스 행렬의 일부를 보정하고, 노드 주입량을 설정하여 전류열 벡터를 작성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보정한 어드미턴스 행렬과 설정한 전류열 벡터에 의해 노드 전압을 구하는 전압 산출 수단과;
    그 노드 전압으로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노드를 구하는 분리계 노드 검출 수단과;
    분리계 노드 검출 결과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상태로부터 분리 계통을 구성하는 개폐기를 구하는 분리계 브랜치 검출 수단과;
    브랜치와 노드를 각각 개폐기와 구간으로 치환하는 분리계 개폐기 및 구간 검출 수단과;
    분리 계통이 존재하는가 어떤가를 분리계 노드 검출 수단의 결과로 판단하는 분리계 발생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주어진 임의의 개폐기를 개상태로 한 때에 가능한 분리계가 존재하는가를 판정하고, 분리계가 있는 경우에는 분리계를 구성하는 개폐기 및 구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4.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배전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및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흑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거나 하기 위한 개폐기를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이나 구간 부하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나 구간 정보나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 조작 가부 조건 동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계산에 필요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계통조건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통과 전류를 계산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의 개조작을 행한 경우에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의 유무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중에서 조작 가능하고 브랜치 통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이고, 그 브랜치를 개상태로 한 계통에서 상기 계통 체크 수단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한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된 계산 필요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작성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를 개방한 경우의 계통 접속 정보로 되도록 보정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구성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5.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배전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몇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거나 하기 위한 개폐기를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이나 구간 부하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나 구간 정보나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조작 가부 조건 등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계산에 필요로 하는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축퇴(縮退)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검출하여 계산 대상 계통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를 축퇴 대상 계통으로 분류하는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계통의 브랜치중에서, 브랜치의 한쪽 노드가 계산 대상 계통이고, 다른 한쪽이 축퇴 대상 계통인 브랜치를 추출하고, 그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키 브랜치의 계산 대상 계통측의 노드를 키 노드로 하는 키 설비 추출 수단과;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의 노드를 축퇴 대상 노드로서 추출하고, 축퇴 대상 노드 모두의 노드 부하의 합을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縮退)집 약 수단과;
    키 설비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키 브랜치와 키 노드를, 축퇴 대상 노드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축퇴 대상 노드를 사용하여,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전체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의 합을 계산하여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수단과;
    계산 대상 계통의 노드와 브랜치에 대해서,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계산 대상 계통의 계산 필요 정보로서 노드와 계산용 노드의 대응, 브랜치와 계산용 브랜치의 대응, 계산용 노드/브랜치 접속 상태, 노드 정보, 브랜치 정보, 노드/브랜치 접속 상태를 브랜치 임피던스에 의해 표시한 어드미턴스 행렬 등을 작성하고, 또, 브랜치의 조작 가부 상태나 계통의 운용 조건을 계통 조건 정보로서 작성하고, 계산용의 브랜치에 대해서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하는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렌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통과 전류를 계산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의 유무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중에서 브랜치 통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이고, 그 브랜치를 개상태로 한 계통에서 상기 계통 체크 수단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한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된 계산 필요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추출수단에서 작성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를 개방한 경우의 계통 접속 정보로 되도록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 수단과;
    루프 계통이 없게 되고,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결과로서 구해진 집약 계통에 대한 방사상 계통 구성을, 계산 필요 정보와 계통 조건 정보, 브랜치 개폐 상태를 사용하여, 계산용 계통과 조합하여 축퇴전의 전체 계통에 대한 방사상 계통 구성으로 되돌려, 다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6.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배전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몇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거나 하기 위한 개폐기를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이나 구간 부하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나 구간 정보나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조작 가부 조건 등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그룹 분할의 계산에 필요로 하는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와,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보존하는 그룹 분할용 그룹 개폐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를 먼저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브랜치중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 이외를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로 보존하고, 또, 다른 루프 구성 브랜치로시 검출한 브랜치가 이미 브랜치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루프 구성 브랜치도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고, 모든 브랜치가 1개의 그룹에 소속하도록 브랜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그룹 판정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그룹 판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가 소속하는 그룹을 판정하고, 또, 그것 이외의 브랜치에 대해서 그룹용 계산 필요 정보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를,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관계가 있는 브랜치와 노드에 통합하여 이전에 구한 그룹에 소속하는 브랜치에 접속하는 노드 보다도 하위의 계통을 그 브랜치와 동일한 그룹으로 하여 그룹 브랜치 정보에 보존하는 그룹 분할 수단과;
    브랜치 그룹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마다, 동일 그룹 내의 브랜치와 노드의 번호를 미리 채워 고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함과 동시에,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에 의해,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부하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작성하여 필요 계산 정보에 의해,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조작 가부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로, 브랜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정보로 보존하는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통과 전류를 계산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의 유무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중에서 브랜치 통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이고, 그 브랜치를 개상태로 한 계통에서 상기 계통 체크 수단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한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된 계산 필요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작성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브랜치를 개방한 경우의 계통 접속 정보로 되도록 보정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루프 계통이 없게 되고,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구성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그룹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상기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보정 수단과,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로 되는 계통을 각각 검출하는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과;
    그룹별로 구해진 결과 계통인 브랜치 개폐 상태와 계산 필요 정보의 분할전과 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로,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사용하고,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7.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배전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몇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거나 하기 위한 개폐기를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나 구간 부하 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나 구간 정보나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 조작 가부 조건 등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계산에 필요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통과 전류를 계산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의 유무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중에서 조작 가능하고 브랜치 통과 전류가 최소루 되는 브랜치에서, 브랜치를 개상태로 계통에서 상기 계통 체크 수단에 의해 계통 조건을 만족한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된 계산 필요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 의해 작성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를 개방한 경우의 계통 접속 정보로 되도록 보정하는 데이타 보정 수단과;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구성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브랜치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하는 배전선이 절환(切替)되는 노드를 추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에 의해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노드 전압 및 위상각과,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模擬)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초과의 발생이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 초과의 발생의 유무 등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브랜치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크게되는 브랜치의 조작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또, 계통 조건을 만족하며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계통 구성 정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통과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루프 구성 브랜치와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한 절환 노드의 정보와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8.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배전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베진선과, 배전선을 및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제하거나 하기 위한 개폐기를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나 구간 부하 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나 구간 정보나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 조작 가부 조건 등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계산에 필요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검출하여 계산 대상 계통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를 축퇴 대상 계통으로 하여 분류하는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계통의 브랜치중에서, 브랜치의 한쪽 노드가 계산 대상 계통이고, 다른 한쪽이 축퇴 대상 계통인 브랜치를 추출하여, 그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키 브랜치의 계산 대상 계통측의 노드를 키 노드로 하는 키 설비 추출 수단과;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의 노드를 축퇴 대상 노드로서 추출하고, 축퇴 대상 노드 모두의 노드 부하의 합을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집약 수단과;
    키 설비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키 브랜치와 키 노드를,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축퇴 대상 노드를 사용하여,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전체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의 합을 계산하여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수단과;
    계산 대상 계통의 노드와 브랜치에 대해서, 노드와 브랜치의 번호를 고치고, 계산 대상 계통의 계산 필요 정보로서 노드와 계산용 노드의 대응, 브랜치와 계산용 브랜치의 대응, 계산용 노드/브랜치 접속 상태, 노드 정보, 브랜치, 노드/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브랜치 임피던스에 의해 표시한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고, 또, 브랜치의 조작 가능 상태나 계통의 운용 조건을 계통 조건 정보로서 작성하고, 계산용의 브랜치에 대해서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하는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작성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통과 전류를 계산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의 유무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의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중에서 브랜치 통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에서, 그 브랜치를 개상태로 한 계통에서 상기 계통 체크 수단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한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된 계산 필요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작성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를 개방한 경우의 계통 접속 정보로 되도록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 수단과;
    루프 계통이 없게 되고,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조작 가능으로 되는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그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추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에 의해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과,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동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이나 노드의 진압 강하 한도치 초과의 발생의 유무 등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브랜치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크게 되는 브랜치의 조작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또,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와 절환 노드의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 조작 브랜치인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결과로서 구해진 집약 계통에 대한 방사상 계통 구성을, 계산 필요 정보와 계통 조건 정보, 브랜치 개폐 상태를 사용하여, 계산용 계통과 조합하여 축퇴전의 전체 계통에 대한 방사상 계통 구성으로 되돌려, 다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9.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배전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및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거나 하기 위한 개폐기를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나 구간 부하 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나 구간 정보나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 조작 가부 조건 등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그룹 분할의 계산에 필요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와,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보존하는 그룹 분할용 그룹 개폐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를 먼저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브랜치중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 이외를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여 브랜치 그룹 정보로 보존하고, 또, 다른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검출한 브랜치가 이미 브랜치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루프 구성 브랜치도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여, 모든 브랜치가 1개의 그룹에 속하도록 브랜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그룹 판정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그룹 판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가 소속하는 그룹을 판정하고, 또, 그것 이외의 브랜치에 대해시 그룹용 계산 필요 정보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관계가 있는 브랜치와 노드에 통합하여 이전에 구한 그룹에 소속하는 브랜치에 접속하는 노드 보다도 하위의 계통을 그 브랜치와 동일한 그룹으로 하여 그룹 브랜치 정보에 보존하는 그룹 분할 수단과;
    브랜치 그룹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마다, 동일 그룹 내의 브랜치와 노드의 번호를 미리 채워 고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함과 함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로,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부하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작성하여 필요 계산 정보로,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조작 가부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로, 브랜치 개폐 상태를 브랜치 개폐 정보로 보존하는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과;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가능한 모든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계통에 대해서 브랜치 통과 전류를 계산하는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브랜치를 개조작한 경우에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의 유무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 초과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는 계통 체크 수단과;
    루프 구성 브랜치중에서 브랜치 동과 전류가 최소로 되는 브랜치에서, 그 브랜치를 개상태로 한 계통에서 상기 계통 체크 수단에서 계통 조건을 만족한 브랜치를 추출하는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변환 수단에서 작성된 계산 필요 정보와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작성된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에 대해서,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를 개방한 경우의 계통 접속 정보로 되도록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 수단과;
    루프 계통이 없게 되고, 방사상 계통인가를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하고, 방사상 계통 구성 정보를 작성하는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조작 가능으로 되는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조작 가능인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그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추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에 의해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과,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등과 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이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 초과의 발생의 유무 등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브랜치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크게 되는 브랜치의 조작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또,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와 절환 노드의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계산 그룹 추출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그룹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상기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보정 수단과,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로 되는 계통을 각각 검출하는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과;
    그룹별로 구해진 결과 계통인 브랜치 개폐 상태와 계산 필요 정보의 분할전과 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에 의해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10.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배전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몇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거나 하기 위한 개폐기를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나 구간 부하 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나 구간 정보나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 조작 가부 조건 등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계산에 필요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계통 조건 정보,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구성 정보로서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인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브랜치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추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에 의해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과,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 초과의 발생이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 초과의 발생의 유무 등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브랜치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크게 되는 브랜치의 조작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또,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계통 구성 정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통과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루프 구성 브랜치와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절환 노드의 정보와 방사상 계통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계산 그룹 추출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11.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배전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및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혹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거나 하기 위한 개폐기를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나 구간 부하 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나 구간 정보나 운전원이 설정한 개폐기 조작 가부 조건 등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계산에 필요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축퇴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축퇴용 계통 조건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모두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와 노드를 검출하여 계산 대상 계통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루프를 구성하지 않는 브랜치와 노드를 축퇴 대상 계통으로 하여 분류하는 계산 대상 계통 추출 수단과;
    축퇴 대상 계통의 브랜치중에서, 브랜치의 한쪽 노드가 계산 대상 계통이고, 다른 한쪽이 축퇴 대상 계통인 브랜치를 추출하여, 그 브랜치를 키 브랜치로 하고, 또, 키 브랜치의 계산 대상 계통측의 노드를 키 노드로 하는 키 설비 추출 수단과;
    키 브랜치의 말단 계통의 노드를 축퇴 대상 노드로서 추출하고, 축퇴 대상 노드 전체의 노드 부하의 합을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집약 수단과;
    키 설비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키 브랜치와 키 노드를, 축퇴 대상 노드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축퇴 대상 노드를 사용하여, 노드 축퇴 집약 수단에 의해, 전체 축퇴 대상 노드의 노드 부하의 합을 계산하여 키 노드의 노드 부하에 가산하는 노드 축퇴 수단과;
    계산 대상 계통의 노드와 브랜치에 대해서, 노드와 브랜치의 벅호를 고치고, 계산 대상 계통의 계산 필요 정보로서 노드와 계산용 노드의 대응, 브랜치와 계산용 브랜치의 대응, 계산용 노드/브랜치 접속 상태, 노드 정보, 브랜치 정보, 노드/브랜치의 접속 상태를 브랜치 임피던스에 의해 표시한 어드미턴스 행렬을 작성하고, 또, 브랜치의 조작 가능 상태나 계통의 운용 조건을 계통 조건 정보로서, 또한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로서 작성하고, 계산용의 브랜치에 대해서 브랜치 개폐 상태를 작성하는 계산용 노드/브랜치 번호 작성 수단과;
    조작 가능하게 되는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조작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그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추출하는 절환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에 의해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과,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이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 초과의 발생의 유무 등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브랜치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크게 되는 브랜치의 조작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또,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와 절환 노드의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결과로서 구해진 집약 계통에 대한 방사상 계통 구성을, 계산 필요 정보와 계통 조건 정보, 브랜치 개폐 상태를 사용하여, 계산용 계통과 조합하여 축퇴전의 전체 계통에 대한 방사상 계통 구성으로 되돌리고, 또한 브랜치 개폐 상태를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12. 전력 계통의 하류 부분에 위치하는 배전 계통에서, 배전선마다 설치된 배전선 인출용 차단기와, 배전선과, 배전선을 몇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흑은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계하거나 하기 위한 개폐기를 구비하는 배전 계통 설비 정보를 기억하고, 개폐기의 개폐 상태 등의 정보(이하, 개폐기 정보라 함)나 구간 부하 등의 정보(이하 구간 정보라 함)를 입력 정보로서 실비 계획이나 설비 운용 등의 운용 계획에 사용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에 있어서,
    배전 계통 설비 정보나 개폐기 정보나 구간 정보나 운전원이 실정한 개폐기 조작 가부 조건 등의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그들 입력 정보로부터 계통을 노드/브랜치로 치환하여 그룹 분할의 계산에 필요한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노드의 부하 정보, 브랜치 임피던스, 개폐 상태 등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와, 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조작 가부 및 노드 전압 강하 한도치 등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와, 브랜치의 개폐 상태를 보존하는 그룹 분할용 그룹 개폐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과;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나 그룹 분할용 계통 조건 정보를 원래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상태로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브랜치중에서 배전용 변압기에 대응하는 브랜치 이외를 모두 동일 그룹으로서 브랜치 그룹 정보에 보존하고, 또, 다른 루프 구성 브랜치로서 검출한 브랜치가 이미 브랜치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루프 구성 브랜치도 모두 동일 그룹으로 하여, 모든 브랜치가 1개의 그룹에 소속하도록 브랜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그룹 판정 수단과;
    상기 루프 검출 수단과 상기 그룹 판정 수단에 의해, 브랜치가 소속하는 그룹을 판정하고, 또, 그것 이외의 브랜치에 대해서 그룹용 계산 필요 정보의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와 브랜치의 접속 관계,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관계가 있는 브랜치와 노드에 통합하여 이전에 구한 그룹에 소속하는 브랜치에 접속하는 노드 보다도 하위의 계통을 그 브랜치와 등일한 그룹으로 하여 그룹 브랜치 정보에 보존하는 그룹 분할 수단과;
    브랜치 그룹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마다, 동일 그룹 내의 브랜치와 노드의 번호를 미리 채워 고치고, 그룹 분할전의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함과 함께, 그룹 분할용 계산 필요 정보로,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노드 부하와 브랜치 임피던스를 추출하고, 노드와 브랜치의 관계 정보를 작성하여 필요 계산 정보로, 그룹에 속하는 브랜치의 통과 전류 허용치와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와 브랜치의 조작 가부를 추출하여 계통 조건 정보로, 브랜치 개폐 상태를 방사상 계통 정보로 보존하는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과;
    조작 가능하게 되는 개상태의 브랜치를 폐조작 한 경우에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를 검출하는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상기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조작 가능한 개상태의 브랜치의 폐조작과 그 조작에 의해 가능한 루프를 구성하는 브랜치중 폐조작을 행한 브랜치와는 다른 브랜치의 개조작에 의해, 접속 배전선이 절환될 노드를 추출하는 절환 노드 검출 수단과;
    방사상 계통 정보와 브랜치 임피던스와 노드 부하에 의해 브랜치의 통과 전류와 노드의 전압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계통 정보 작성 수단과;
    절환에 수반하는 송전 손실의 변화량을 계통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노드 전압 및 위상각과, 절환 노드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의 노드 부하와,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에서 추출된 브랜치의 브랜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브랜치의 개폐 조작후의 계통에서.브랜치의 통과 허용 전류 초과의 발생이나 노드의 전압 강하 한도치 초과의 발생의 유무 등의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는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과;
    브랜치 개폐 조작이 가능한 브랜치의 조에서, 상기 송전 손실 변화량 모의 계산 수단과 절환후 계통 체크 수단을 사용하여, 브랜치 조작후의 계통에 있어서,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가장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크게 되는 브랜치의 조작의 조를 검출하여 조작 브랜치로 하고, 또, 계통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송전 손실 변화량이 감소 방향으로 되는 브랜치의 조작 조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 브랜치 없음으로 하는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1조의 브랜치의 개폐 조작을 실시한 경우의.노드 전압과 위상각과 브랜치 전류와 루프 구성 브랜치와 절환 노드의 정보를 보정하는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의 결과, 조작 브랜치가 있는 경우에는 절환후 보정 수단을 실행하고, 조작 브랜치가 없는 경우에는 계산 그룹 추출 수단을 실행하는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과;
    그룹 분할 수단에서 분할된 각 그룹에 대해서, 상기 계산용 계통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노드와 브랜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체 루프 구성 브랜치 검출 수단과, 브랜치 전류 산출 수단과, 최소 전류 브랜치 추출 수단과, 데이타 보정 수단과, 방사상 계통 판정 수단과, 노드 절환 결정 수단과, 절환후 보정 수단과, 노드 절환 종료 판정 수단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이 최소로 되는 계통을 각각 검출하는 그룹별 결과 계통 검출 수단과;
    그룹별로 구해진 결과 계통인 브랜치의 개폐 상태와 계산 필요 정보의 분할전과 후 브랜치 번호와 노드 번호와 개폐기의 대응 테이블에 의해, 개폐기의 개폐 상태로 변환하는 결과 계통 구성 변환 수단
    을 사용하여, 송전 손실량이 최소로 되는 계통 구성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운용 장치.
KR1019970037534A 1996-08-07 1997-08-06 배전 계통 운용장치 KR100299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3316 1996-08-07
JP8223316A JPH1056737A (ja) 1996-08-07 1996-08-07 配電系統運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32A KR19980018432A (ko) 1998-06-05
KR100299307B1 true KR100299307B1 (ko) 2001-10-26

Family

ID=1679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534A KR100299307B1 (ko) 1996-08-07 1997-08-06 배전 계통 운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56737A (ko)
KR (1) KR100299307B1 (ko)
CN (1) CN106029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61A1 (ko) * 2016-12-16 2018-06-21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전력량계, 전력량계 관리 장치 및 전력량 측정 방법
US10120953B2 (en) 2012-09-20 2018-11-06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System data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27B1 (ko) * 2001-06-15 2004-07-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직류전철용 변전소 용량설계 방법
AU2003302883A1 (en) * 2002-12-12 2004-06-30 Nitin S. Bhagat Optimal feeder design in distribution system planning
JP4577841B2 (ja) * 2005-10-12 2010-11-10 東京電力株式会社 分散型電源を配電ネットワークに連系する際の条件を決定する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JP4556946B2 (ja) * 2006-12-19 2010-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潮流計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8220067A (ja) * 2007-03-05 2008-09-18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系統解析方法
JP5395367B2 (ja) * 2008-05-20 2014-01-22 株式会社東芝 最小送電損失系統構成の決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610156B (zh) * 2016-01-20 2018-05-15 国网浙江省电力公司杭州供电公司 一种多线路并发合环方法
CN107843770B (zh) * 2017-10-08 2019-11-26 国网江西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阻抗变化规律的配网线路开关位置设置方法
CN107977510B (zh) * 2017-11-30 2021-01-22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直流线路损耗的拟合方法
CN110071499B (zh) * 2019-04-03 2021-11-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宁供电公司 一种快速判断配电网安全合环的方法和系统
KR102148299B1 (ko) * 2020-02-05 2020-08-26 주식회사 유성계전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
CN117289072A (zh) * 2023-08-22 2023-12-2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基于电压编码的电网不良数据辨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269B2 (ja) * 1992-11-20 2001-05-14 株式会社東芝 配電系統操作装置
JPH0746762A (ja) * 1993-08-03 1995-02-14 Toshiba Corp 配電系統の操作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0953B2 (en) 2012-09-20 2018-11-06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System data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8110761A1 (ko) * 2016-12-16 2018-06-21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전력량계, 전력량계 관리 장치 및 전력량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32A (ko) 1998-06-05
CN1060292C (zh) 2001-01-03
JPH1056737A (ja) 1998-02-24
CN1173757A (zh) 1998-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307B1 (ko) 배전 계통 운용장치
Malekshah et al. Reliability-driven distribution power network dynamic reconfiguration in presence of distributed generation by the deep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EP2507751B1 (en) Restoration switching analysis with modified genetic algorithm
Gonzalez et al. A sensitivities computation method for reconfiguration of radial networks
EP1411613A1 (en) Simulation of an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network
Aygen et al. Fault section estimation in electrical power system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pproach
Srivastava et al. Expert-system method for automatic reconfiguration for restoration of shipboard power systems
Teklić et al. Artificial neural network approach for locating faults in power transmission system
Carrano et al. Power distribution network expansion scheduling using dynamic programming genetic algorithm
Gholami et al. Service restoration for unbalanced distribution networks using a combination two heuristic methods
EP3367637B1 (en) Substation voltage replica based on digital voltage
Raj et al. Weak bus-oriented optimal Var planning based on grey wolf optimization
dos Santos et al.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systems with aided communication channels—Part I: Performance analysis methodology
Giannelos et al. A new class of planning models for option valuation of storage technologies under decision-dependent innovation uncertainty
Wong et al. Power system fault predi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CN110112736B (zh) 一种基于混合整数线性规划的配电网自愈方法
John A general method of digital network analys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with low-speed computers
Castro et al. A search space reduction strategy within the MILP branch flow model for concurrent AC multistage transmission expansion and reactive power planning
Le-Huy et al. Lessons learned in porting offline large-scale power system simulation to real-time for wide-area monitoring, protection and control
Sudhakar et al. Heuristic based strategy for the restoration problem i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JP3976433B2 (ja) 配電系統計画作成方法
Levitin et al. Reliability indices of a radial distribution system with sectionalizing as a function of network structure parameters
CN115128393A (zh) 一种故障选线结果融合的小电流接地故障选线识别方法
Rao et al. Load Balancing and Restoring Service by Using Hybrid Ant Lion and Improved Mayfly Optimization Technique
Oswald et al. A new method for the computation of faults on transmission 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