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299B1 -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299B1
KR102148299B1 KR1020200013582A KR20200013582A KR102148299B1 KR 102148299 B1 KR102148299 B1 KR 102148299B1 KR 1020200013582 A KR1020200013582 A KR 1020200013582A KR 20200013582 A KR20200013582 A KR 20200013582A KR 102148299 B1 KR102148299 B1 KR 10214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input
voltage
break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계전
Priority to KR102020001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활선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차단기의 동작특성 감시 및 동작시간 측정이 가능하고 차단기 동작을 누적하여 저장 및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차단기 동작특성 이력 관리 수행이 가능하고, 차단기의 투입(CLOSE) 및 개방(TRIP) 회로 트립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로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감시하므로 감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며, 차단기 접점 또는 개방코일의 비정상시 부저를 통해 경고 알람을 출력하여 관리자가 쉽게 인지 및 대처할 수 있는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 {Circuit breaker operation characteristic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 상태에서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파악하여 차단기의 동작특성 및 동작시간을 측정하고 그 이력 관리가 가능한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CB: Circuit Breaker)는 전기회로에 과전류 즉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차단전류의 흐름을 끊는 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퓨즈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나 퓨즈는 한번 작동되면 새로운 것으로 대치해야 하지만 누전차단기는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라 가정용에서 고압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차단기가 있다.
이와 같은 차단기는 내부에 고정 전극과 가동 전극이 구비되며, 차단기의 투입(CLOSE)시에는 고정 전극과 가동 전극이 단락되고, 차단기의 개방(TRIP)시에는 가동 전극이 고정 전극으로부터 분리되는데, 이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차단기의 차단기의 투입 또는 차단 성능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1362934호(참고문헌 1)에 제안된 바 있다. 이의 차단기 동작 특성 진단 장치는 활선상태에서의 차단기 동작 특성 진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 회로 상의 코일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 모듈; 및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이 코일에 대한 이벤트가 없는 것으로 감지한 것에 대응하여 진단 전압을 진단 대상 코일에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진단 전압 및 상기 진단 대상 코일 상의 전류를 사용하여 상기 진단 대상 코일의 저항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진단하는 진단 모듈을 포함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진단 모듈이 진단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의 차단기 동작 특성 진단 방법은 이벤트 감지 모듈이 제어 회로 상의 코일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 상의 코일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 모듈이 진단 대상 코일에 진단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진단 전압 및 상기 진단 대상 코일 상의 전류를 사용하여 상기 진단 대상 코일의저항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대상 코일의 진단 중 상기 제어 회로 상의 코일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 모듈을 상기 진단 대상 코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에 제안된 차단기 동작 특성 감시방식은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 이벤트를 판단하여 이벤트 발생이 없는 동안에 저항 및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차단기의 진단을 위해서는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이 없을 경우에 별도의 진단 전압 인가부를 통해 자체 측정용 전압을 발생시켜 저항 및 인덕턴스를 연산함에 따라 활선상태에서의 지속적인 차단기 동작 특성 감시가 어렵고 구성도 복잡하다.
아울러, 참고문헌 1에 제안된 차단기 동작 특성 감시방식은 시간에 따른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 동작에 관한 이력 관리가 불가능하다.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36293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활선 상태에서 차단기의 투입(CLOSE)코일 및 개방(TRIP)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파악하여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감시하면서도 구성이 간단한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기의 동작특성 감시시 차단기 투입(CLOSE) 및 개방(TRIP) 동작 시간 측정 및 이력관리가 가능한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원공급 계통에 연결된 차단기의 투입코일과 개방코일에 인가되는 투입전압 및 개방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투입전압 및 개방전압을 감시하여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측정된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투입코일에 투입되는 투입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투입 입력접점과, 상기 개방코일에 투입되는 개방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개방 입력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평상시 개방회로의 입력접점에 개방전압인 DC -62.5V의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DC +62.5V로 변할 때 시간측정을 시작하고, 투입회로의 개방 입력접점에 투입전압인 DC -62.5V의 전압이 인가되는 시점을 종료로 하여 개방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의 모든 접점이 모두 0V이거나 차단 개방 및 투입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부저를 제어하여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DC +62.5V가 인가되는 P선(+)과 DC -62.5V가 인가되는 N선(-)이 구비되는 DC 전원공급 계통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동작특성 감시 방법에 있어서, 차단기 투입코일의 투입 입력접점을 통해 투입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차단기 개방코일의 개방 입력접점을 통해 개방전압을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이후에 개방전압이 -62.5V인지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상기 개방전압이 -62.5V가 아니면 개방전압이 +62.5V인지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상기 개방전압이 +62.5V이면 차단기 개방 동작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고 차단기의 개방횟수 측정을 시작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설정시간 이내에 투입전압이 0V에서 -62.5V로 바뀌었는지를 비교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를 통해 투입전압이 0V에서 -62.5V로 바뀐 것으로 판단되면 차단기 개방 동작시간의 측정을 종료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방법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를 통해 개방전압이 -62.5V이면 투입전압이 0V 또는 +62.5V인지를 비교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를 통해 투입전압이 0V 또는 +62.5V이면 건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투입전압이 0V 또는 +62.5V이 아니면 차단기 접점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8단계;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상기 개방전압이 +62.5V가 아니면 개방전압은 0V로 판단하고 투입전압이 -62.5V 또는 +62.5V인지를 비교하는 제9단계; 상기 개방전압이 -62.5V 또는 +62.5V이면 건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개방전압이 -62.5V 또는 +62.5V가 아니면 차단기 개방코일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6단계 이후에 차단기의 개방횟수 측정을 시작하는 제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선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차단기의 동작특성 감시 및 동작시간 측정이 가능하고 차단기 동작을 누적하여 저장 및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차단기 동작특성 이력 관리 수행이 가능하고, 차단기의 투입(CLOSE) 및 개방(TRIP) 회로 트립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로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감시하므로 감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의 동작 전 투입코일 및 개방코일 조작회로의 정상 상태를 판단 가능하고, 차단기 접점 또는 개방코일의 비정상시 부저를 통해 경고 알람을 출력하여 관리자가 쉽게 인지 및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는 차단기 동작 특성 타임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를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는 전원공급 계통을 구성하는 제1 전원선(L1)과 제2 전원선(L2) 사이에 연결된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제1 전원선(L1)과 제2 전원선(L2) 사이의 전압값을 확인하여 감시한다.
이때, 전선로는 일 예로 대용량의 DC 전원공급 계통으로 P선과 N선 양단은 DC 125V 전압이 걸리고 정상 상태에서 P선과 접지선 및 N선과 접지선 사이에는 저항의 분압 작용에 의해 전체 전압의 절반 전압이 각각 걸리게 된다. 따라서 직류 전선로로서 제1 전원선(L1)은 DC +62.5V가 흐르는 P선(+)이고, 제2 전원선(L2)은 DC -62.5V가 흐르는 N선(-)이다.
이러한 제1전원선(L1)과 제2전원선(L2) 사이에는 차단기(1)가 연결된다. 상기 차단기(1)는 투입코일(10)과 개방코일(20)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코일(10)의 양단에는 투입스위치(SW1) 및 차단기 b접점(12)이 연결되고, 투입스위치(SW1)에는 재폐로 계전기(PRO 79R)와 투입코일 원방제어용 접점(CX)이 병렬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개방코일(20)의 양단에는 개방스위치(SW2) 및 차단기 a접점(22)이 연결되고, 상기 개방스위치(SW2)에는 과전류 계전기(PRO OCR)와 개방코일 원방제어용 접점(TX)이 병렬 연결된다.
이와 같은 차단기(CB)의 동작특성을 감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100)가 연결된다.
이러한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100)는 차단기(1)의 투입코일(10)과 개방코일(20)에 인가되는 투입전압(DI CC) 및 개방코일(20)의 개방전압(DI TC)을 측정하기 위한 입력부(110)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투입전압(DI CC) 및 개방전압(DI TC)을 감시하여 차단기(1)의 개방 및 투입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에서 측정된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30)와, 상기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 정보를 외부장치(200)로 전송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투입(CLOSE) 회로의 투입코일(10)에 투입되는 투입전압(DI CC)을 측정하기 위한 투입 입력접점(CC)과, 개방(TRIP) 회로의 개방코일(20)에 투입되는 개방전압(DI TC)을 측정하기 위한 개방 입력접점(TC)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투입 입력접점(CC)을 통해 투입전압(DI CC)을 측정하고, 상기 개방 입력접점(TC)을 통해 개방전압(DI TC)을 측정한다. 일례로 상기 신호입력부(110)의 CH1 및 CH3를 통해 -62.5V을 판단하고, CH2 및 CH4를 통해 +62.5V을 판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어부(120)는 투입 입력접점(CC)과 개방 입력접점(TC)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OV, -62.5V, +62.5V의 상태 변화를 측정하며, 이에 따라 개방(TRIP) 및, 투입(CLOSE)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파악하여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측정 예로 평상시 개방코일(20)을 포함하는 개방(TRIP) 회로의 입력접점(TC)에 개방전압(DI TC)인 DC -62.5V의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DC +62.5V로 변할 때 시간측정을 시작하고, 투입코일(10)을 포함하는 투입(CLOSE) 회로의 개방 입력접점(TC)에 투입전압(DI CC)인 DC -62.5V의 전압이 인가되는 시점을 종료로 하여 개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서 상기 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투입전압(DI CC) 및 개방전압(DI TC)을 감시하여 차단기 동작 특성을 파악하고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을 메모리부(130)에 저장하며, 이러한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 정보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40)는 시리얼통신을 통해 외부장치(200)로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방식의 일 예로 RS485통신 방식을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부(110)의 모든 접점이 모두 0V이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부저(15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20)는 차단기(1)의 개방 및 투입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부저(150)를 제어하여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100)는 입력부(110)인 차단기(1) 투입코일(10)의 투입 입력접점(CC)을 통해 투입전압(DI CC)을 측정하고, 상기 차단기(1) 개방코일(20)의 개방 입력접점(TC)을 통해 개방전압(DI TC)을 측정한다.
이에 제어부(120)는 투입전압(DI CC)과 개방전압(DI TC)을 이용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비교 감시한다.
우선 상기 제어부(120)는 개방전압(DI TC)이 -62.5V인지를 비교한다.(S1)
상기 단계(S1)를 통해 개방전압(DI TC)이 -62.5V이면 투입전압(DI CC)이 0V 또는 +62.5V인지를 비교한다.(S2)
상기 단계(S2)를 통해 투입전압(DI CC)이 0V 또는 +62.5V이면 건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S3), 투입전압(DI CC)이 0V 또는 +62.5V이 아니면 차단기의 접점[차단기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코일(10)과 연결되는 b접점(12) 또는 상기 개방코일(20)과 연결되는 a접점(22)]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S4)
한편, 상기 단계(S1)를 통해 개방전압(DI TC)이 -62.5V가 아니면 개방전압(DI TC)이 +62.5V인지를 비교한다.(S5)
상기 단계(S5)를 통해 개방전압(DI TC)이 +62.5V이면 차단기 개방 동작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고(S6), 차단기(1)의 개방횟수 측정을 시작한다.(S7)
그리고, 상기 단계(S7) 이후, 설정시간(예를 들어, 1초) 이내에 투입전압(DI CC)이 0V에서 -62.5V로 바뀌었는지를 비교한다.(S8)
상기 단계(S8)를 통해 설정시간 내에 투입전압(DI CC)이 0V에서 -62.5V로 바뀐 것으로 판단되면 차단기 개방 동작시간의 측정을 종료하고(S9), 차단기(1)의 개방횟수 측정을 시작한다.(S10)
물론, 상기 단계(S5)를 통해 투입전압(DI CC)이 0V에서 -62.5V로 바뀌지 않으면 상기 단계(S9 및 S10)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S5)를 통해 개방전압(DI TC)이 +62.5V가 아니면 개방전압(DI TC)은 0V로 판단하고(S11), 투입전압(DI CC)이 -62.5V 또는 +62.5V인지를 비교한다.(S12)
상기 단계(S12)를 통해 투입전압(DI CC)이 -62.5V 또는 +62.5V이면 건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S13), 투입전압(DI CC)이 -62.5V 또는 +62.5V가 아니면 차단기 개방코일(20)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S14)
이상에서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차단기(1)의 동작특성 감시 및 동작시간 측정이 가능하고, 차단기 동작 기록 누적으로 차단기 동작특성 이력 관리 수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차단기(1)의 동작 전 투입코일(10) 및 개방코일(20) 조작회로의 정상 상태를 판단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S4)를 통해 차단기 접점의 비정상으로 판단하거나 부저(150)를 통해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 정보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단기 10: 투입코일
20: 개방코일 100: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메모리부 140: 통신부
150: 부저 200: 외부장치

Claims (6)

  1. 전원공급 계통에 연결된 차단기의 투입코일과 개방코일에 인가되는 투입전압 및 개방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투입전압 및 개방전압을 감시하여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측정된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차단기 개방 및 투입 이력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측정한 개방전압이 -62.5V일 경우, 투입전압이 0V 또는 +62.5V이면 건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투입전압이 0V 또는 +62.5V가 아니면 차단기의 접점(차단기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코일과 연결되는 b접점 또는 상기 개방코일과 연결되는 a접점)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측정한 개방전압이 0V일 경우, 상기 투입전압이 -62.5V 또는 +62.5V이면 건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투입전압이 -62.5V 또는 +62.5V가 아니면 차단기 개방코일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투입코일에 투입되는 투입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투입 입력접점과, 상기 개방코일에 투입되는 개방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개방 입력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평상시 개방회로의 입력접점에 개방전압인 DC -62.5V의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DC +62.5V로 변할 때 시간측정을 시작하고, 투입회로의 투입 입력접점에 투입전압인 DC -62.5V의 전압이 인가되는 시점을 종료로 하여 개방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4. DC +62.5V가 인가되는 P선(+)과 DC -62.5V가 인가되는 N선(-)이 구비되는 DC 전원공급 계통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동작특성 감시 방법에 있어서,
    차단기 투입코일에 인가되는 투입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차단기 개방코일에 인가되는 개방전압을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이후에 개방전압이 -62.5V인지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상기 개방전압이 -62.5V가 아니면 개방전압이 +62.5V인지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상기 개방전압이 +62.5V이면 차단기 개방 동작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고 차단기의 개방횟수 측정을 시작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설정시간 이내에 투입전압이 0V에서 -62.5V로 바뀌었는지를 비교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를 통해 투입전압이 0V에서 -62.5V로 바뀐 것으로 판단되면 차단기 개방 동작시간의 측정을 종료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를 통해 개방전압이 -62.5V이면 투입전압이 0V 또는 +62.5V인지를 비교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를 통해 투입전압이 0V 또는 +62.5V이면 건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투입전압이 0V 또는 +62.5V이 아니면 차단기의 접점(차단기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코일과 연결되는 b접점 또는 상기 개방코일과 연결되는 a접점)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8단계;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상기 개방전압이 +62.5V가 아니면 개방전압은 0V로 판단하고 투입전압이 -62.5V 또는 +62.5V인지를 비교하는 제9단계;
    상기 투입전압이 -62.5V 또는 +62.5V이면 건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투입전압이 -62.5V 또는 +62.5V가 아니면 차단기 개방코일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 이후에 차단기의 개방횟수 측정을 시작하는 제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방법.
KR1020200013582A 2020-02-05 2020-02-05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14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82A KR102148299B1 (ko) 2020-02-05 2020-02-05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82A KR102148299B1 (ko) 2020-02-05 2020-02-05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299B1 true KR102148299B1 (ko) 2020-08-26

Family

ID=7229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582A KR102148299B1 (ko) 2020-02-05 2020-02-05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2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6737A (ja) * 1996-08-07 1998-02-24 Toshiba Corp 配電系統運用装置
KR20100084300A (ko) * 2009-01-16 2010-07-26 네오피스 주식회사 전력용 차단기의 진단 기능을 내장한 보호 계전기
KR20120001300A (ko) * 2010-06-29 2012-01-04 한국전력공사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362934B1 (ko) 2012-05-07 2014-02-13 주식회사 원방하이테크 활선 상태에서 차단기 동작 특성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623366B1 (ko) * 2015-07-03 2016-05-24 (주)서전기전 이력 정보와 운전 데이터 및 진단 정보를 내장하여 자체 진단이 가능한 차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6737A (ja) * 1996-08-07 1998-02-24 Toshiba Corp 配電系統運用装置
KR20100084300A (ko) * 2009-01-16 2010-07-26 네오피스 주식회사 전력용 차단기의 진단 기능을 내장한 보호 계전기
KR20120001300A (ko) * 2010-06-29 2012-01-04 한국전력공사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362934B1 (ko) 2012-05-07 2014-02-13 주식회사 원방하이테크 활선 상태에서 차단기 동작 특성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623366B1 (ko) * 2015-07-03 2016-05-24 (주)서전기전 이력 정보와 운전 데이터 및 진단 정보를 내장하여 자체 진단이 가능한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5382B1 (ja) 絶縁検出器及び電気機器
US11207998B2 (en)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arging station including automatically closing a fuse
CN106469620B (zh) 功率开关和方法
US20150072198A1 (en) Battery Cell Un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omplex Impedance of a Battery Cell arranged in a Battery Cell Unit
EP2887482A1 (en) Digital protection relay, digital protection relay test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digital protection relay
CN102798782B (zh) 一种高压绝缘电阻监测报警仪
US8503148B2 (en) Circuit breaker with fault indication and secondary power supply
KR101623366B1 (ko) 이력 정보와 운전 데이터 및 진단 정보를 내장하여 자체 진단이 가능한 차단기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CN111474453A (zh) 绝缘检测电路、部件绝缘故障的检测方法及车辆
CN210129032U (zh) 一种在线监测电流互感器故障的装置
KR102148299B1 (ko) 차단기 동작특성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70019091A (ko) 현장용 지상개폐기 진단기록장치
JP2008003039A (ja) ロックアウト装置の動作監視装置、断路器、ロックアウト装置の動作管理方法
KR101888409B1 (ko) 배전지능화 단말장치
EP2988142A2 (en)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switching state and/or an electrical condition of a high-voltage breaker system,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H11354341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監視装置
US1072029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circuit breaker in metal-clad and metal enclosed switchgear
CN110994544B (zh) 主动保险丝控制方法和电路、第一和第二控制装置
CN220137355U (zh) 位置反馈回路断线检测装置
CN212162793U (zh) 一种断路器励磁线圈的保护装置
Obarcanin et al. The Embedded Handheld System for Contact Timing Parameter Extraction in Online Mode for the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Condition Assessment
CN114899944B (zh) 通讯管理机
CN111628480A (zh) 一种断路器励磁线圈的保护装置及方法
CN113777479A (zh) 短路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