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222B1 - 밀폐형압축기의헤드커버부누설방지구조 - Google Patents

밀폐형압축기의헤드커버부누설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222B1
KR100299222B1 KR1019970080665A KR19970080665A KR100299222B1 KR 100299222 B1 KR100299222 B1 KR 100299222B1 KR 1019970080665 A KR1019970080665 A KR 1019970080665A KR 19970080665 A KR19970080665 A KR 19970080665A KR 100299222 B1 KR100299222 B1 KR 10029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over
pressure side
leakage
valve plate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439A (ko
Inventor
이신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8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22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커버(10)의 고압측(10t)과 저압측(10b)을 구획하는 구획벽(10p)의 상면에 누설방지턱(20)을 형성하고, 상기 누설방지턱(20)에 대응되는 밸브판(14)의 부분에 누설방지홈(30)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헤드커버(10)와 밸브판(14)이 가스켓(13)을 사이에 게재한 상태로 결합되면, 상기 누설방지턱(20)이 상기 누설방지홈(30)에 끼워지면서 상기 가스켓(13)도 함께 끼워져 고압측(10t)과 저압측(10b) 사이의 누설이 확실하게 차단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커버부의 고압측에서 저압측으로의 냉매 누설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용기(I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핀(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5b)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균형추(5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축(5)은 상기 프레임(2)에 베어링(15)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5)의 내부에는 오일통로(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통로(5a)를 통해서는 밀폐용기(1)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L)이 안내되어 상기 프레임(2)의 상부로 전달되어 비산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5)의 하단부에는 상기 오일(L)을 펌핑하여 상기 오일통로(5a)로 전달하는 펌핑기구(5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6')이 구비된 실린더(6)이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6')에는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로 연결된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의 선단에는 상기 압축실(6')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9)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9) 상에는 헤드커버(1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헤드커버(10)에는 흡입머플러(11)가 상기 압축실(6')로 냉매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밸브어셈블리(9)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 2에는 헤드커버(10)와 이와 체결되는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헤드커버(10)의 내부에는 고압측(10t)(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과 저압측 (10b)(흡입머플러(11)가 위치되는 부분)이 구획벽(10p)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커버(10)의 내측에는 밸브어셈블리(9)의 가스켓(13)과 밸브판(14)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13)은 상기 헤드커버(10)와 밸브판(14)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가스켓(13)은 특히 상기 구획벽(10p)의 상면과 밸브판(14)의 대응되는 부분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헤드커버(10)의 표면(즉, 상기 밸브판(14)과 접촉되는 면)과 상기 밸브판(14)의 표면(상기 헤드커버(10)와 접촉되는 면)이 정확하게 가공되어 있지 않으면, 이들 사이를 통해 상기 헤드커버(10)의 고압측(10t)과 저압측(10b)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상기 고압측(10t)에는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 있고, 상기 저압측(10b)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스켓(13)을 헤드커버(10)와 벨브판(14) 사이에 게재시키고 있으나 상기 표면들의 가공상태가 좋지 않으면 누설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처럼 상기 구획벽(10p)을 넘어 고압측(10t)과 저압측(10b)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흡입머플러(11)가 상기 고압측(10t)에서 전달되는 고온고압의 냉매의 영향으로 녹아내리거나, 상기 가스켓에 터짐이 발생하여 압축기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에서 저압측과 고압측 사이의 냉매 누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밸브판을 A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밀폐용기 2: 프레임
3: 고정자 4: 회전자
5: 크랭크축 5a: 오일유로
5b: 편심핀 5c: 균형추
5d: 프로펠러 6: 실린더
6': 압축실 7: 피스톤
8: 커넥팅로드 9: 밸브어셈블리
10: 헤드커버 10t : 고압측
10b; 저압측 11: 흡입머플러
13: 가스켓 14: 밸브판
20: 누설방지턱 30: 누설방지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획벽에 의해 냉매가 흡입되는 저압측과 냉매가 토출되는 고압측으로 구획된 공간을 가지고 실린더의 선단에 장착되는 헤드커버와, 상기 실린더와 헤드커버사이에 개재되며 냉매의 흡입과 토출을 제어하는 밸브판과, 상기 헤드커버와 상기 밸브판 사이에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과, 상기 헤드커버의 구획벽과 상기 밸브판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누설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헤드커버의 상기 구획벽과 상기 밸브판의 표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요철부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커버부의 고압측에서 저압측으로의 냉매누설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본 헤드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헤드커버(10)의 내측에는 구획벽(10)p)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벽(10p)은 상기 헤드커버(10) 내측 공간을 압축된 냉매가 유동되는 고압측(10t)과 흡입머플러(11)의 일측이 위치되는 저압측(10b)으로 나누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커버(10)의 내측 쪽에는 밸브어셈블리(9)를 구성하는 가스 켓(13)과 밸브판(14)이 위치된다. 상기 가스켓(13)은 상기 헤드커버(10)와 밸브판(14) 사이에서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판(14)은 상기 고압측(10t)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는 토출밸브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커버(10)와 밸브판(14)에는 상기 헤드커버(10)의 고압측(10t)과 저압측(10b) 사이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누설방지턱(20)과 누설방지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헤드커버(10)의 구획벽(10p) 상면에는 누설방지턱(20)이 형성되고, 상기 누설방지턱(20)에 대응되는 상기 밸브판(14)의 부분에는 누설방지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설방지턱(20)과 누설방지홈(30)은 상기 헤드커버(10)와 밸브판(14)이결합되면 상기 가스켓(13)을 사이에 게재한 채 서로 끼워져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설방지턱(20)과 누설방지홈(30)을 위와는 반대로 각각 밸브판(14)과 헤드커버(10)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압축기가 구동되면 크랭크축(5)의 회전운동이 커넥팅로드(8)에 의해 피스톤(7)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바뀌면서, 상기 피스톤에 의해 냉매가 압축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냉매는 토출밸브를 통해 상기 헤드커버(10)와 밸브판(14)에 의해형성되는 헤드커버(10)의 고압측(10t)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커버(10)의 고압측으로 전달된 냉매는 별도의 토출유로와 토출소음저감을 위한 구조를 거쳐 압축기의 외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가 구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커버(10)의 고압측(10t)에는 상대적으로 고압의 냉매가 유동되어 상기 구획벽(10p)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저압 측(10b)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형성된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10p)의 누설방지턱(20)이 상기 가스켓(13)과 함께 상기 누설방지홈(3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획벽(10p)과 이와 접촉되는 밸브판(14) 사이의 부분을 통해서는 누설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누설방지턱(20)이 상기 누설방치홈(30)에 상기 가스켓(13)을 게재한 채 삽입되면, 상기 가스켓(13)이 상기 누설방지홈(30)에 상기 누설방지턱(20)에 의해 끼여지게 되므로, 사용중에 가스켓(13)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항상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압측(10t)에서 저압측(10b)으로의 누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압측(10t)에서 헤드커버(10) 외측으로의 누설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는 고압측과 저압측을 구획하는 구획벽 상단과 밸브판에 각각 누설 방지턱과 누설방지홈을 형성하였으므로, 누설방지턱이 가스켓을 게재한 채 누설방지홈에 끼워짐에 의해 고압측에서부터 저압측으로의 누설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누설방지턱과 누설방지홈 사이에 가스켓이 끼워져 고정되므로 가스켓이 항상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게 되어 헤드커버의 다른 부분을 통한 누설 또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구획벽에 의해 냉매가 흡입되는 저압측과 냉매가 토출되는 고압측으로 구획된 공간을 가지고 실린더의 선단에 장착되는 헤드커버와,
    상기 실린더와 헤드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냉매의 흡입과 토출을 제어하는 밸브판과,
    상기 헤드커버와 상기 밸브판 사이에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과,
    상기 헤드커버의 구획벽과 상기 밸브판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누설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헤드커버의 상기 구획벽과 상기 밸브판의 표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요철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부 누설방지구조.
KR1019970080665A 1997-12-31 1997-12-31 밀폐형압축기의헤드커버부누설방지구조 KR100299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665A KR100299222B1 (ko) 1997-12-31 1997-12-31 밀폐형압축기의헤드커버부누설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665A KR100299222B1 (ko) 1997-12-31 1997-12-31 밀폐형압축기의헤드커버부누설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439A KR19990060439A (ko) 1999-07-26
KR100299222B1 true KR100299222B1 (ko) 2002-02-19

Family

ID=3752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665A KR100299222B1 (ko) 1997-12-31 1997-12-31 밀폐형압축기의헤드커버부누설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152B1 (ko) * 2000-04-26 2002-09-05 엘지전자주식회사 압축기의 가스누설 방지구조
KR100958192B1 (ko) * 2007-07-27 201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439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46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US5577901A (en) Compressor with valve unit for controlling suction and discharge of fluid
JPS6339432Y2 (ko)
JPH08200218A (ja) 往復動型圧縮機
KR101234822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299222B1 (ko) 밀폐형압축기의헤드커버부누설방지구조
KR20030080674A (ko)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KR100628751B1 (ko) 밸브 플레이트에서의 누설방지구조를 가지는 사판식 압축기
KR20010003711A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장치
JPH0737796B2 (ja) ロータリ圧縮機
KR100299213B1 (ko) 전동압축기의냉매흡입구조
KR20020023517A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조립체
KR100299215B1 (ko) 밀폐형압축기의냉매흡입구조
KR100299217B1 (ko) 밀폐형압축기의압력파이프진동저감장치
KR20026790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KR200221545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밸브용 리테이너구조
KR20018410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KR20018407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
KR100299223B1 (ko) 전동압축기의흡입머플러일체형헤드커버
KR10070299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밸브장치
KR20040107825A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와 밸브플레이트 밀봉구조
KR20018410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 실링구조
KR100299225B1 (ko) 전동압축기의흡입냉매과열방지구조
KR20018407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데드볼륨 저감구조
KR200184096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