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192B1 -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토출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192B1
KR100958192B1 KR1020070075968A KR20070075968A KR100958192B1 KR 100958192 B1 KR100958192 B1 KR 100958192B1 KR 1020070075968 A KR1020070075968 A KR 1020070075968A KR 20070075968 A KR20070075968 A KR 20070075968A KR 100958192 B1 KR100958192 B1 KR 100958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chamber
working fluid
chamb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919A (ko
Inventor
김태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192B1/ko
Priority to CN2008800199060A priority patent/CN101680440B/zh
Priority to PCT/KR2008/004311 priority patent/WO2009017325A1/en
Publication of KR2009001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5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헤드커버(50)의 일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토출요홈부(54)를 구획벽(58)을 사용하여 제1토출방(58), 연통유로(60) 및 제2토출방(64)으로 구획하였다. 이와 같이 토출요홈부(54)가 구획됨에 의해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동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특히, 상기 구획벽(58)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유로(60)의 입구(62)가 상기 제2토출방(64)과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어 연통유로(6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형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압축기, 헤드커버, 작동유체, 토출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 토출장치{Head Cover For A Hermetic Compressor and Working-fluid Dis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헤드커버 및 밸브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 토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헤드커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헤드커버 내에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소음저감효과를 보인 그래프.
도 6b는 종래 기술의 소음관련 내용을 보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실린더블록 22: 압축실
30: 밸브어셈블리 31: 밸브플레이트
32: 흡입공 33: 토출공
34: 유로공 36: 흡입밸브판
38: 흡입밸브 40: 유로공
42: 토출밸브 44: 가스켓
45: 윈도우 50: 헤드커버
51: 몸체부 52: 흡입요홈부
54: 토출요홈부 56: 구획벽
58: 제1토출방 60: 연통유로
62: 입구 64: 제2토출방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실에서 압축된 작동유체가 토출되어 임시로 머무르는 토출방을 구비하는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밀폐용기(1)는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의 하부에는 고정자(3)가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 크랭크축(5)이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상기 고정자(3)의 중앙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자(4)는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 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핀(5b)이 구비된다. 상기 편심핀(5b)은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어 설치된다. 상기 편심핀(5b)이 설치된 지점에서 길이방향으로 반대쪽에는 균형추(5c)가 형성된다. 도 1에는 오일(L)을 공급하기 위해 크랭크축(5)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가 도면부호 5a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통로(5a)의 내부로 오일(L)을 펌핑하는 오일피스가 도면 부호 5d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내부에 압축실(6')이 형성된 실린더블록(6)이 구비된다. 상기 압축실(6')에는 피스톤(7)이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7)은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록(6)의 선단에는 상기 압축실(6')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작동유체를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9)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9)에서 상기 실린더블록(6)의 선단이 위치한 면과 반대면에는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공간이 구비된 헤드커버(10)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커버(10)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흡입소음기(11)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헤드커버(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헤드커버(10)는 상기 밸브어셈블리(9)와 함께 상기 실린더블록(6)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어셈블리(9)로 작동유체를 전달하고 상기 압축실(6')에서 압축되어 나온 작동유체를 토출소음기(도시되지 않음)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헤드커버(10)중 상기 실린더블록(6)과 마주보는 면이 소정형상으로 요 입되어 토출방(10a)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방(10a)은 압축된 작동유체가 압축실(6')에서 토출되어 최초로 머무르는 공간이다. 상기 헤드커버(10)의 다른 일측에는 흡입소음기(11)의 일측 형상과 대응되게 요입된 소음기안착부(10b)가 형성된다. 상기 소음기안착부(10b)에는 흡입소음기(11)의 토출부(미도시)가 안착되고 상기 흡입소음기(11)의 내부를 통과하여 작동유체가 압축실(6‘)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헤드커버(10)에 형성된 토출방(10a)은 압축실(6')에서 압축된 작동유체가 토출되어 최초로 머무르는 공간이다. 상기 토출방(10a)으로는 상기 밸브어셈블리(9)의 제어에 의해 압축된 작동유체가 유입되고, 토출소음기로는 상기 밸브어셈블리와 실린더블록(6)을 관통하여 형성된 유로를 통해 작동유체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작동유체를 토출방(10a)에서 토출소음기로 전달하는 상기 밸브어셈블리와 실린더블록(6)에 형성된 유로는 상기 토출방(10a)의 일단부에서 토출방(10a)과 연통된다. 이와같이 토출소음기측과 토출방(10a)이 연통되는 부분이 토출방(10a)의 일단부에 있으므로, 토출방(10a)에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경로는 매우 짧아지게 되고, 토출방(10a)의 타단부는 작동유체의 유동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공간으로 된다.
이와 같이 압축실(6')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커버(10) 내에서의 유동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면 작동유체의 맥동과 소음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커버 내에서 작동유체의 유동거리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흡입소음기의 일측이 안착되는 흡입요홈부와; 상기 흡입요홈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압축되어 토출된 작동유체가 임시로 머무르는 제1토출방과 상기 제1토출방과 구획되고 작동유체가 임시로 머무르는 제2토출방과 상기 제1 및 제2 토출방을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형성된 토출요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출요홈부에는 상기 제1토출방과 제2토출방 및 연통유로를 구획하도록 구획벽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상기 연통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2토출방이 구비된 반대쪽에 형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흡입공과 토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밸브플레이트의 표면에 흡입밸브와 토출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공과 토출공을 개폐하는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흡입공으로 전달되는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흡입요홈부와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나온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토출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어셈블리와 함께 상기 압축실 이 형성된 실린더블록에 체결되는 헤드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출요홈부의 내부는 구획벽에 의해 제1토출방, 연통유로 및 제2토출방으로 구획되어 상기 압축실을 나온 작동유체가 상기 제1토출방, 연통유로 및 제2토출방을 차례로 통과한다.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상기 연통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2토출방이 구비된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제1토출방은 상기 토출공과 토출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토출방은 상기 실린더블록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로와 연통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형성된 유로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실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작동유체가 헤드커버 내부의 토출방에서 상대적으로 긴 유동거리를 가지게 되므로, 작동유체의 맥동과 소음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 토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 토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헤드커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린더블록(20)에는 압축실(22)이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축실(22)에서는 피스톤(도시되지 않음)이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작동유체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블록(20)중 아래에서 설명될 밸브어셈블리(30)가 장착되는 면의 네 모서리에는 밸브어셈블리(30)와 헤드커버(5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20')이 천공되어 있다.
밸브어셈블리(30)는 상기 압축실(22)의 내외부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밸브어셈블리(30)에는 밸브플레이트(31)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31)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그 네 모서리에 상기 체결공(20')과 대응되는 체결공(31')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밸브플레이트(31)에는 흡입공(32), 토출공(33) 및 유로공(34)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상기 흡입공(32)은 상기 압축실(22)로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경로가 된다. 상기 토출공(33)은 상기 압축실(22)에서 압축된 작동유체가 압축실(22)에서 토출되는 경로가 된다. 상기 유로공(34)은 아래에서 설명될 헤드커버(50)의 토출요홈부(54)측과 토출소음기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31)와 실린더블록(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흡입밸브판(36)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밸브판(36)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스프링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흡입밸브판(36)에는 흡입밸브(38)가 형성되는데, 상기 흡입밸브(38)는 상기 흡입공(32)을 개폐하여 상기 압축실(22)로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흡입밸브판(36)에는 또한 상기 토출공(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토출공(39)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공(34)과 대응되는 위치에 유로공(40)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36'는 체결공이다.
상기 밸브플레이트(31)중 상기 흡입밸브판(36)과 접하는 반대면에는 토출밸브(42)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밸브(42)는 상기 토출공(33)을 개폐하는 것이다. 상 기 토출밸브(42)는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요홈(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는데, 밸브스프링(도시되지 않음)과 함께 밸브리테이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상기 토출밸브(42)도 상기 흡입밸브판(36)과 유사한 구성의 토출밸브판에 구비되어 밸브플레이트(31)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플레이트(31)중 상기 토출밸브(42)가 구비되는 면에 밀착되게 가스켓(44)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44)은 아래에서 설명될 헤드커버(50)와 밸브플레이트(31) 사이에서 작동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켓(44)에는 소정 형상의 윈도우(45)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윈도우(45)는 아래에서 설명될 헤드커버(50)의 토출요홈부(5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가스켓(44)에는 흡입공(46)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흡입공(32)과 연통된다. 도면부호 44'는 체결공이다.
헤드커버(50)는 상기 밸브어셈블리(30)와 함께 상기 실린더블록(20)에 체결되어 상기 밸브어셈블리(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압축실(22)의 내외부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헤드커버(50)의 골격을 몸체부(51)가 형성하는데, 상기 몸체부(51)의 일면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요홈부(52)와 토출요홈부(54)가 각각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요홈부(52)에는 흡입소음기의 일측이 안착된다. 상기 흡입요홈부(52)에 안착된 흡입소음기의 일측을 통해 작동유체가 상기 흡입공(46,32)을 거쳐 압축실(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흡입요홈부(52)는 상기 몸체 부(51)의 거의 중앙에서 일측 가장자리까지 길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51)의 일측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상기 토출요홈부(54)는 상기 밸브어셈블리(30),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밸브플레이트(31)와 협력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토출요홈부(54)에는 구획벽(56)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56)은 상기 토출요홈부(54)의 내부를 제1토출방(58), 연통유로(60) 및 제2토출방(64)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토출방(58)은 상기 흡입요홈부(52)와 인접하게 몸체부(51)의 중앙 근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벽(56)은 상기 제1토출방(58)과 제2토출방(64)을 연결하는 연통유로(60)의 길이가 최대한 길게 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토출공(33)(도 4에서는 점선으로 표시)과 연통되는 제1토출방(58)과 상기 유로공(34)(도 4에서는 점선으로 표시)과 연통되는 제2토출방(64)을 구획벽(56)으로 서로 구획되게 하고, 상기 구획벽(56)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유로(60)의 입구를 상기 토출요홈부(54)내에서 상기 제2토출방(64)이 형성된 반대쪽에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헤드커버(50)의 몸체부(51)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구획벽(56)을 토출요홈부(54)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하고, 상기 제2토출방(64)의 반대쪽에서 상기 연통유로(60)와 제1토출방(58)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1'는 헤드커버(50)의 몸체부(51)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헤드커버(50)를 밸브어셈블리(30)와 함께 실린더블록(20)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 토출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헤드커버(50)는 상기 밸브어셈블리(30)와 함께 상기 실린더블록(20)에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상기 헤드커버(50)의 흡입요홈부(52)에는 흡입소음기의 일측이 안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흡입소음기의 출구와 상기 흡입공(46,32)이 서로 연통된다. 상기 헤드커버(50)의 제1토출방(58)은 상기 윈도우(45)를 통해 상기 토출밸브(42)가 개방되면 상기 토출공(33)과 연통될 수 있는 상태이다.
압축기가 구동되어 피스톤이 상기 압축실(22)에서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면, 작동유체의 흡입과 압축이 진행된다. 즉, 피스톤이 압축실(22)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후퇴하면 압축실(22) 내부가 저압을 되고 상기 흡입밸브(38)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흡입공(32)을 개방한다. 따라서, 작동유체가 상기 흡입소음기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공(46,32)을 거쳐 압축실(22)로 흡입된다.
작동유체가 압축실(22)로 흡입된 상태에서 피스톤이 전진하면 상기 압축실(22) 내부에서 압축이 일어나는데,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밸브(38)는 상기 흡입공(32)을 막게 된다. 상기 피스톤이 상기 압축실(22)의 내부에서 전진을 계속하여 작동유체의 압축이 진행되고, 일정 이상의 압축이 이루어지면 상기 압축실(22)의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토출밸브(42)가 동작되어 상기 토출공(33)을 개방한다.
상기 토출공(33)이 개방되면, 상기 압축실(22) 내부에서 압축된 작동유체가 상기 토출공(33)을 통해 상기 제1토출방(58)으로 토출된다. 상기 제1토출방(58)으로 토출된 작동유체는 도 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유로(60)의 입구(62)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입구(62)를 통해 작동유체는 상기 연통유로(60)로 전달되고, 상기 연통유로(60)를 따라 유동된 작동유체는 제2토출방(64)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2토출방(64)으로 유동된 작동유체는 상기 유로공(34,40)을 통과해서 상기 실린더블록(20)을 관통하여 형성된 유로(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된다. 상기 유로는 토출소음기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로 전달된 작동유체는 토출소음기로 전달되었다가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압축기와 종래의 압축기에서 소음개선정도를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N은 소음의 레벨을 상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기준값이다.
각각의 도면의 위에 있는 그래프에서 살펴보면, 동작주파수가 약 3kHz정도 일때, 소음레벨이 본 발명에서는 2.9N dB이고, 종래 기술에서 3.6N dB임을 알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소음레벨이 본 발명에서 낮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음레벨의 감소는 각각의 도면의 아래에 있는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 다.
예를 들어, 상기 구획벽(56)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유로(60)의 입구(62)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토출방(64)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토출요홈부(54)에서의 작동유체의 유동거리가 가장 길어지도록 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입구(62)가 상기 구획벽(56)의 중간쯤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는 상대적으로 소음 및 맥동 제거 효과가 떨어지기는 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토출방(58), 연통유로(60) 및 제2토출방(64)이 토출요홈부(54)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토출요홈부(54)의 내벽과 나란히 형성되는 하나의 구획벽(56)으로 구획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다. 상기 구획벽(56)이 굴곡지고 여러개로 구성되어 상기 연통유로(60)의 길이를 더 길게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 토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헤드커버의 몸체부에 요입되게 형성된 토출요홈부를 구획벽을 통해 제1토출방과 제2토출방 그리고 이들 토출방을 연결하는 연통유로로 구획하였다. 따라서, 작동유체가 제1토출방, 연통유로 및 제2토출방을 차례로 통과하므로 그 유동거리가 길어지면서 맥동과 소음이 줄어들게 된다.
특히, 토출방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유로의 입구가 제2토출방이 구비된 반대쪽에 있어, 제1토출방에서 제2토출방으로 작동유체가 이동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유체가 압축실에서 나와 토출소음기로 가기 전에 그 맥동과 소음을 최소화시킴에 의해 본 발명이 채용된 압축기를 사용하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고, 압축기 단품 상태에서도 저주파 및 고주파에서 각각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흡입소음기의 일측이 안착되는 흡입요홈부와;
    상기 흡입요홈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압축되어 토출된 작동유체가 임시로 머무르는 제1토출방과 상기 제1토출방과 구획되고 작동유체가 임시로 머무르는 제2토출방과 상기 제1 및 제2 토출방을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형성된 토출요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출요홈부에는 상기 제1토출방과 제2토출방 및 연통유로를 구획하도록 구획벽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상기 연통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2토출방이 구비된 반대쪽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2. 삭제
  3. 삭제
  4. 압축실과 연통되는 흡입공과 토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밸브플레이트의 표면에 흡입밸브와 토출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공과 토출공을 개폐하는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흡입공으로 전달되는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흡입요홈부와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나온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토출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어셈블리와 함께 상기 압축실이 형성된 실린더블록에 체결되는 헤드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출요홈부의 내부는 구획벽에 의해 제1토출방, 연통유로 및 제2토출방으로 구획되어 상기 압축실을 나온 작동유체가 상기 제1토출방, 연통유로 및 제2토출방을 차례로 통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유체 토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상기 연통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2토출방이 구비된 반대쪽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유체 토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방은 상기 토출공과 토출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토출방은 상기 실린더블록 내부를 관통하 여 형성되는 유로와 연통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형성된 유로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유체 토출장치.
KR1020070075968A 2007-07-27 2007-07-27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토출장치 KR100958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968A KR100958192B1 (ko) 2007-07-27 2007-07-27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토출장치
CN2008800199060A CN101680440B (zh) 2007-07-27 2008-07-23 封闭式压缩机用顶盖以及使用该顶盖的工作流体排出装置
PCT/KR2008/004311 WO2009017325A1 (en) 2007-07-27 2008-07-23 Head cover for a hermetic compressor and working-fluid dis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968A KR100958192B1 (ko) 2007-07-27 2007-07-27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919A KR20090011919A (ko) 2009-02-02
KR100958192B1 true KR100958192B1 (ko) 2010-05-14

Family

ID=4030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968A KR100958192B1 (ko) 2007-07-27 2007-07-27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토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58192B1 (ko)
CN (1) CN101680440B (ko)
WO (1) WO2009017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48B1 (ko) * 2009-02-04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US10125756B2 (en) 2014-12-22 2018-11-13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t least one of airflow turbulence and pressure fluctuation proximate a valve
KR102067139B1 (ko) * 2019-06-20 2020-01-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의 맥동저감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118U (ja) 1983-02-14 1984-08-24 トキコ株式会社 圧縮機用消音器
JPS6214190U (ko) 1985-07-11 1987-01-28
KR100421965B1 (ko) 2002-04-10 2004-03-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KR20060082146A (ko) * 2005-01-11 2006-07-18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의 토출실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9222B1 (ko) * 1997-12-31 2002-02-19 구자홍 밀폐형압축기의헤드커버부누설방지구조
JP3776025B2 (ja) * 2000-11-29 2006-05-17 松下冷機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KR100402460B1 (ko) * 2000-12-06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KR100437397B1 (ko) * 2001-12-18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KR20040090853A (ko) * 2003-04-18 2004-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118U (ja) 1983-02-14 1984-08-24 トキコ株式会社 圧縮機用消音器
JPS6214190U (ko) 1985-07-11 1987-01-28
KR100421965B1 (ko) 2002-04-10 2004-03-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KR20060082146A (ko) * 2005-01-11 2006-07-18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의 토출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0440A (zh) 2010-03-24
CN101680440B (zh) 2012-05-09
KR20090011919A (ko) 2009-02-02
WO2009017325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238B2 (en) Muffler of compressor
KR20090095104A (ko) 압축기용 머플러
KR100958192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작동유체토출장치
KR20040074382A (ko) 압축기
KR100461232B1 (ko) 유체 압축장치
KR100641122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101206811B1 (ko) 밀폐형 압축기
JP4051067B2 (ja) 密閉型圧縮機
US20060018778A1 (en) Hermetic compressor
KR200382925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JP2003314455A (ja) シリンダ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密閉型圧縮機
KR20090066891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3755917B2 (ja) 圧縮機のバルブ装置
KR10044676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맥동소음 저감구조
KR10117941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밸브 어셈블리
KR10107846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KR100746425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유닛
KR101543660B1 (ko) 압축기 및 맥동저감 밸브조립체
KR100816833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KR20060118904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10032452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19990084940A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KR10042458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루프파이프 체결구조
KR10092221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KR200358823Y1 (ko) 압축기의매니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