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068B1 -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068B1
KR100299068B1 KR1019990045657A KR19990045657A KR100299068B1 KR 100299068 B1 KR100299068 B1 KR 100299068B1 KR 1019990045657 A KR1019990045657 A KR 1019990045657A KR 19990045657 A KR19990045657 A KR 19990045657A KR 100299068 B1 KR100299068 B1 KR 10029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guide member
flange
fixing clip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911A (ko
Inventor
고영익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4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068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결합물에 대하여 결합물을 원터치식의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간단히 결합 및 해체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클립을 결합물에 대하여 고정시켜서 분실을 방지하여 그 결합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용 클립의 일단이 결합물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결합물(52)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여러단의 단차부(60,62,64)를 갖는 보스(58)와; 상기 보스(58)의 선단면에 그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끝단으로부터 볼록부(68)와, 제 1오목부(70)와, 이 제 1오목부(70)의 외경보다 그 외경이 큰 걸림부(72)와, 이 걸림부(72)의 외경보다 그 외경이 작은 제 2오목부(74)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66)와; 상기 피결합물(54)의 삽입공(56) 외면에 밀착되어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78)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78)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부재(66)가 이동가능한 관통공(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78)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보스(58)의 단차부들(60,62,64)에 순차적으로 걸림되게 각각 단부측에 걸림돌기(84)가 형성된 다수의 홀더(8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78)의 타측면으로는 상기 가이드부재(66)의 제 1오목부(70)와, 걸림부(72) 및 제 2오목부(74)에 순차적으로 걸림되게 각각 단부측에 걸림돌기(88)가 형성된 다수의 분할편들(8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결합부재(76);를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용 클립{Fixing Clip}
본 발명은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물과 피결합물을 고정결합시키는 객체의 고정용 클립에서 가이드부재를 결합물에 일체화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상을 상하로 이동하는 결합부재를 상기 결합물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물과 피결합물의 결합시 외관을 향상시키고, 분실의 염려가 없도록 하여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도록 한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각종 인테리어 제품등은 나사나 못 등을 대신하여 간단한 원터치작용에 의해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클립에 의해 조립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차실내에 적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트림 및 각종 전장부품등은 그 재질이 가변운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서 굳이 그 체결력이 우수한 나사나 못등을 대신하여 클립으로서 차체패널 등에 고정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첨부 도면 도 1은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고정용 클립(2)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클립(2)은 수직형상의 가이드부재(12)와, 이 가이드부재(12)상을 단계적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해제되는 결합부재(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는 끝단으로부터 볼록부(14)와, 제 1오목부(16)와, 상기 제 1오목부(16)의 지름보다 그 외경이 큰 걸림부(18)와, 상기 걸림부(18)보다 그 외경이 작은 제 2오목부(20)가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22)는 상기 가이드부재(12)가 관통되게 그 중앙부위에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26)의 외주에 걸쳐 플랜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24)의 일측으로는 직각으로 절개되어 네 개로 분할된 분할편들(28)이 연장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분할편들(28)의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용 클립(2)을 이용하여 결합물(4)과 피결합물(8)을 결합 및 해체시키는 순서 및 방법을 첨부 도면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물(4)과 피결합물(8)을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2)의 관통공(26)을 통하여 가이드부재(12)를 볼록부(14)로부터 삽입시켜서 상기 결합부재(22)의 분할편들(28)의 걸림돌기(30)가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제 1오목부(16)에 위치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분할편들(28)은 수직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결합물(4)과 피결합물(8)의 삽입공들(6,10)을 매치시킨 상태에서 이 삽입공들(6,10)에 상기 결합부재(22)의 분할편들(28)을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2)의 플랜지(24)가 결합물(4)의 외면에 걸쳐져 더 이상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선단을 살며시 눌러준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부재(12)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결합부재(22)의 분할편들(28)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30)가 제 1오목부(16)와 걸림부(18) 사이의 경사부위를 타고 넘으면서 걸림부(18)에 걸려지게 된다.
즉, 상기 분할편들(28)의 걸림돌기(30)가 가이드부재(12)의 제 1오목부(16)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걸림부(18)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결합부재(22)의 분할편들(28)은 첨부 도면 도 2b와 같이 외향확장되어 경사를 이루는 바, 상기 결합물(4)과 피결합물(8)이 결합부재(22)의 플랜지(24)와 외향경사를 이루는 분할편들(28)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결합된 결합물(4)과 피결합물(8)을 해체시킬 경우에는 상기 고정용 클립(2)의 가이드부재(12) 선단을 지름이 작은 막대기등으로 누르게 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2)가 내측방향으로 밀리면서 분할편들(28)의 걸림돌기(30)가 제 2오목부(20)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할편들(28)의 걸림돌기(30)가 가이드부재(12)의 제 2오목부(20)에 안착되면, 상기 분할편들(28)은 다시 수축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결합부재(22) 전체가 결합물(4) 및 피결합물(8)의 삽입공(6,10)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므로써, 상기 고정용 클립(2) 전체를 빼내어서 상기 결합물(4)과 피결합물(8)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물 및 피결합물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용 클립의 선단 즉, 가이드부재의 선단과, 결합부재의 플랜지가 결합물의 외측면에 돌출됨으로써, 외관이 좋지않게 되고 또한, 상기 고정용 클립은 객체로 이루어지는 바, 피결합물에 대한 결합물의 조립 및 해체작업시 분실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결합물과 피결합물을 고정시키는 객체의 고정용 클립에서 가이드부재를 결합물의 내측에 일체화함과 아울러, 결합부재를 상기 결합물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물과 피결합물의 결합시 외관을 향상시키고, 분실의 염려가 없도록하여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합물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여러단의 단차부를 갖는 보스와; 상기 보스의 선단면에 그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끝단으로부터 볼록부와, 제 1오목부와, 이 제 1오목부의 외경보다 그 외경이 큰 걸림부와, 이 걸림부의 외경보다 그 외경이 작은 제 2오목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피결합물의 삽입공 외면에 밀착되어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이동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보스의 단차부에 순차적으로 걸림되게 각각 단부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다수의 홀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의 타측면으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제 1오목부와, 걸림부 및 제 2오목부에 순차적으로 걸림되게 각각 단부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다수의 분할편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용 클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a는 도 1의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물과 피결합물을 결합시키기 전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물과 피결합물을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c는 종래의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물과 피결합물이 결합된 상태에서 해체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물과 피결합물을 결합시키기 전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물과 피결합물을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물과 피결합물이 결합된 상태에서 해체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고정용 클립 52 : 결합물
54 : 피결합물 56 : 삽입공
58 : 보스 60 : 제 1단차부
62 : 제 2단차부 64 : 제 3단차부
66 : 가이드부재 68 : 볼록부
70 : 제 1오목부 72 : 걸림부
74 : 제 2오목부 76 : 결합부재
78 : 플랜지 80 : 관통공
82 : 홀더 84,88 : 걸림돌기
86 : 분할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물과 피결합물을 조립 및 해체하는 방법 및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물(52)의 내면에 3단의 단턱(60,62,64)부를 갖는 보스(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58)의 선단면에는 끝단으로부터 볼록부(68)와, 제 1오목부(70)와, 이 제 1오목부(70)보다 외경이 큰 걸림부(72)와, 이 걸림부(72)보다 외경이 작은 제 2오목부(74)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66)의 일단면이 고정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66) 및 보스(58)상을 상하로 이동하여 걸림·해제되는 결합부재(76)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부재(76)는 상기 가이드부재(66)가 관통되게 그 중앙부위에 관통공(8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80)의 외주에 플랜지(7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78)의 일측에는 결합물(52)의 내면에 형성된 보스(58)에 단계적으로 걸림되는 홀더(8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홀더(82)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확장 및 수축이 용이하며, 각 홀더(82)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8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76)의 플랜지(78)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66)의 제 1오목부(70), 걸림부(72), 제 2오목부(74) 등에 걸림되는 분할편들(8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분할편들(86)의 단부에도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8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용 클립(50)을 이용하여 결합물(52)과 피결합물(54)을 고정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76)의 관통공(80)에 가이드부재(66)의 끝단 즉, 볼록부(68)로부터 삽입시킨 후, 상기 결합부재(76)의 홀더(82)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84)가 보스(58)의 제 1단차부(60)에 걸림되게 한다.
이때, 상기 분할편들(86)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88)는 가이드부재(66)의 제 1오목부(70)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분할편들(86)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이 분할편들(86)의 원주둘레가 피결합물(54)의 삽입공(56)보다 작게 되어 고정용 클립(50) 전체가 상기 피결합물(54)의 삽입공(56)에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물(52)을 누르게 되면, 결합부재(76)의 플랜지(78)가 피결합물(54)의 일면과 밀착되어짐으로써, 상기 결합부재(76)는 고정된 위치를 가지고 상기 결합물(52)의 일면에 형성된 보스(58)와, 이 보스(58)의 일면에 고착된 가이드부재(66)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66)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부재(76)의 분할편들(86)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88)는 상기 가이드부재(66)의 제 1오목부(70)와 걸림부(72) 사이의 경사부위를 타고 상기 제 1오목부(70)보다 외경이 큰 걸림부(72)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76)의 홀더(82)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84) 또한 보스의(58) 제 1단차부(60)에 위치하고 있다가 상기 제 1단차부(60)와 제 2단차부 (62)사이의 경사부위를 타고 제 2단차부(62)로 이동하여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편들(86)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확장되어 벌어지게 되므로써, 그 전체적인 지름이 피결합물(54)의 삽입공(56) 지름보다 크게 되어 상기 결합물(52)과 피결합물(54)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결합된 결합물(52)과 피결합물(54)을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물(52)을 내측으로 더 눌러준다.
그러면, 상기 보스(58)의 제 2단차부(62)에 걸려있던 홀더(82)의 걸림돌기(84)가 상기 제 2단차부(62)와 제 3단차부(64) 사이의 경사부위를 타고 넘어가면서 제 3단차부(64)에 걸려지게 되며, 상기 분할편들(86)의 걸림돌기(88) 또한 가이드부재(66)의 걸림부(72)에 위치하고 있다가 상기 걸림부(72)와 제 2오목부(74) 사이의 경사부위를 타고 넘으면서 제 2오목부(74)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제 2오목부(74)는 상기 걸림부(72)의 외경에 비하여 그 외경이 작으므로, 상기 분할편들(86)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분할편들(86)의 전체적인 지름이 피결합물(54)의 삽입공(56) 지름보다 작아지게 되는 바, 이 상태에서 결합물(52)을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이 결합물(52)의 일측면에 형성된 보스(58)에 결합부재(76)의 홀더(82)가 걸린채 피결합물(54)의 삽입공(5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용 클립(50)은 결합물(52)의 일측면에 형성된 보스(58)와, 결합부재(76)의 홀더(82)길이에 따라 결합물(52)과 피결합물(54) 사이가 소정간격을 가지게 되나, 이는 상기 보스(58)와 홀더(82)의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물(52)과 피결합물(5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클립은, 결합물과 피결합물의 고정결합시 그 사이에 내재되어 그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외관이 향상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물과 피결합물의 결합 또는 해체시 항시 결합물의 일측면에 형성된 보스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분실의 염려가 없게 되는등 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결합물(52)과 피결합물(54)의 삽입공상에 원터치식으로 삽설되어 상기 결합물(52)과 피결합물(54)을 고정결합시키는 고정용 클립(50)에 있어서,
    상기 결합물(52)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여러단의 단차부(60,62,64)를 갖는 보스(58)와;
    상기 보스(58)의 선단면에 그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끝단으로부터 볼록부(68)와, 제 1오목부(70)와, 이 제 1오목부(70)의 외경보다 그 외경이 큰 걸림부(72)와, 이 걸림부(72)의 외경보다 그 외경이 작은 제 2오목부(74)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66)와;
    상기 피결합물(54)의 삽입공(56) 외면에 밀착되어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78)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78)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부재(66)가 이동가능한 관통공(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78)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보스(58)의 단차부들(60,62,64)에 순차적으로 걸림되게 각각 단부측에 걸림돌기(84)가 형성된 다수의 홀더(8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78)의 타측면으로는 상기 가이드부재(66)의 제 1오목부(70)와, 걸림부(72) 및 제 2오목부(74)에 순차적으로 걸림되게 각각 단부측에 걸림돌기(88)가 형성된 다수의 분할편들(8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결합부재(7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클립.
KR1019990045657A 1999-10-20 1999-10-20 고정용 클립 KR10029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657A KR100299068B1 (ko) 1999-10-20 1999-10-20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657A KR100299068B1 (ko) 1999-10-20 1999-10-20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911A KR20010037911A (ko) 2001-05-15
KR100299068B1 true KR100299068B1 (ko) 2001-10-29

Family

ID=1961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657A KR100299068B1 (ko) 1999-10-20 1999-10-20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0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911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9761B1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cleaning tool
KR100791492B1 (ko) 파스너
JP2860341B2 (ja) 保持クリップ
JP3029093B2 (ja) スナップ型ファスナー
JPH08270628A (ja) 留め具
CN107683375B (zh) 家具的部件之间的连接装置
JP3383894B2 (ja) 紐締め具
US10557491B2 (en) Fastening device for a furniture panel
WO2012002339A1 (ja) グロメット
JPH0619170B2 (ja) 板の留め具
JPH10252726A (ja) クリップ
KR20080004379A (ko) 클립
JP2000009277A (ja) 成形されたクリップ
JP5324443B2 (ja) ブラインドマウント用留め具
US6517302B2 (en) Modular clip
KR100299068B1 (ko) 고정용 클립
JP4060129B2 (ja) ツーピースクリップ
KR101296171B1 (ko) 해제클립
KR101751557B1 (ko)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GB2305961A (en) A releasable clip or rivet having a segmented leg expandable by an insertion pin
JPH07190029A (ja) クリップ
CA2355537C (en) Handle grommet assembly
JP2002276626A (ja) パイプ連結部材
JP3765344B2 (ja) 継手装置
KR20020083912A (ko) 표장부재의 부착구조 및 표장부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