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674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674B1
KR100298674B1 KR1019990035695A KR19990035695A KR100298674B1 KR 100298674 B1 KR100298674 B1 KR 100298674B1 KR 1019990035695 A KR1019990035695 A KR 1019990035695A KR 19990035695 A KR19990035695 A KR 19990035695A KR 100298674 B1 KR100298674 B1 KR 100298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shaped body
belt
buckl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620A (ko
Inventor
니시자와사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0002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3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 push-button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띠형상체가 끼워지는 슬릿을 2개 형성하고, 띠형상체를 이 2개의 슬릿에 끼워 고정하면서 끼워진 띠형상체의 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띠형상체(W)가 끼워지는 제 1 슬릿(20)과 제 2 슬릿(21)과 띠형상체의 걸림부(22)를 구비한고 있다. 걸림부(22)와 대향하는 측에 있는 제 2 슬릿(21)의 벽부(21a)에서 걸림부(22)측을 향하여, 제 2 슬릿(21)에 끼워져 인출되는 띠형상체(W)에 있어서의 굴곡부 외측면(Wd)을 억누르는 돌출편(23)이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2)에 있어서의 돌출편(23)의 선단과 대향하는 부분에 돌출편(23)을 받아들이는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2a)의 측방에 있어서 제 2 슬릿(21)에 있어서의 걸림부(22)측의 구멍가장자리(22b)를 돌출편(23)의 선단(23a)보다도 돌출편(23)이 돌출형성되는 벽부(21a)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벨트, 밴드 등의 띠형상체를 피부착부재에 연결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벨트, 밴드 등의 띠형상체를 병렬로 형성된 2개의 슬릿중 일측 슬릿에 삽입하여 인출한 후, 그 인출된 띠형상체를 타측 슬릿에 삽입하여 인출함에 의해서 2개의 슬릿 사이에 걸어붙임과 아울러, 이 2개의 슬릿 사이에 걸어붙여진 띠형상체의 굴곡부 내측면에 슬릿의 구멍가장자리를 맞닿게 하여 상기 띠형상체를 고정하는 버클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띠형상체에는 상기 2개의 슬릿에 끼워져 걸어붙여진 굴곡상태에서 본래의 곧은 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띠형상체를 단순히 2개의 슬릿에 끼워두는 것만으로는 상기한 복귀력의 작용에 의하여, 특히 인출된 띠형상체에 상당한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띠형상체의 인출부분이 휘어지게 되어 상기 슬릿의 구멍가장자리와 띠형상체의 굴곡부 내측면과의 맞닿음상태가 충분하지 않게 되어 고정상태를 약화시키는 일이 있었다. 또, 상기 띠형상체의 복귀력에 의한 휘어짐에 의해서 버클이 들어올려짐으로써 버클의 사용상에서 요구되는 소망위치로 버클을 쉽게 위치지울 수 없는 일이 있었다. 특히, 소위 프런트 릴리스 타입이라 불리우는 버클에서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부재와 암부재를 그 결합상태에서 버클의 전면측에 형성된 조작돌기등을 버클의 배면측을 향하여 눌러서 상기 결합상태를 해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띠형상체의 휘어짐에 의해서 버클이 들어올려지게 되면, 그 들어올려진 수치만큼 상기 조작돌기의 누름량이 흡수됨으로써 상기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위치까지 조작돌기를 버클의 배면측을 향하여 더 눌어야만 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종래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Ba)의 우측 암부재(Ba')에 띠형상체(W)가 끼워지는 슬릿(S)을 병렬로 3개 형성하고, 2개의 슬릿(S,S)에 끼워져 걸어붙여진 띠형상체(W)를 남어지 1개의 슬릿(S)에 끼워서 버클(Ba)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띠형상체(W)의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띠형상체(W)가 끼워지는 슬릿(S)을 3개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그 슬릿(S)의 형성분 만큼 버클(Ba)의 치수가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므로, 이러한 종래의 버클(Ba)은 그 소형화에 한계를 가지는 것이었다. 또, 띠형상체(W)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3개의 슬릿(S,S,S)에 끼워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버클(Ba)에서는 띠형상체(W)의 끼움조작이나 고정작업이 반드시 용이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여기서, 본 발명은 벨트, 밴드 등의 띠형상체를 피부착부재에 연결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띠형상체가 끼워지는 슬릿을 2개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체를 상기 2개의 슬릿에 끼워 고정하면서 끼워진 띠형상체의 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에 의해서 이 휘어짐에 따른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력의 저하나 버클의 부상 등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가능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버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버클의 사시도
도 3은 버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버클의 평면도
도 6은 버클의 저면도
도 7은 버클의 정면도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버클의 좌측면도
도 10은 버클의 우측면도
도 11은 수부재의 평면도
도 12는 수부재의 저면도
도 13은 수부재의 정면도
도 14는 도 11의 C-C선 단면도
도 15는 수부재의 좌측면도
도 16은 수부재의 우측면도
도 17은 암부재의 평면도
도 18은 암부재의 저면도
도 19는 암부재의 정면도
도 20은 도 17의 D-D선 단면도
도 21은 암부재의 좌측면도
도 22는 암부재의 우측면도
도 23은 종래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a - 버클 W - 띠형상체
Wb - 굴곡부 외측면 R - 피부착부재
1 - 접속부 20 - 제 1 슬릿
21 - 제 2 슬릿 21a - 벽부
22 - 걸림부 22a - 오목부
22b - 구멍가장자리 23 - 돌출편
본 발명의 버클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1∼6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버클을 통해서 띠형상체가 연결고정되는 피부착부재에 대한 접속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2. 상기 띠형상체가 끼워지는 제 1 슬릿과 제 2 슬릿을 병렬로 구비하고,
3. 상기 제 1 슬릿과 제 2 슬릿 사이를 상기 띠형상체의 걸림부로 하고,
4. 상기 걸림부와 대향하는 측에 있는 상기 제 2 슬릿의 벽부에서 상기 걸림부측을 향하여, 상기 제 2 슬릿에 끼워져 인출되는 상기 띠형상체에 있어서의 굴곡부 외측면을 억누르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편을 돌출형상으로 형성하고,
5. 상기 걸림부에 있어서의 상기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편의 선단과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편을 받아들이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6. 상기 오목부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릿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측의 구멍가장자리를 상기 돌출편의 선단보다도 상기 돌출편이 돌출형성되는 상기 벽부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2 슬릿에 끼워져 인출된 띠형상체를 되접어서 제 1 슬릿에 끼워 인출함에 의해서 상기 띠형상체를 상기 걸림부에 걸어붙임과 아울러, 상기 제 1, 제 2 슬릿의 구멍가장자리를 상기 띠형상체의 굴곡부 내측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띠형상체를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걸림부에 걸어붙여지도록 상기 제 2 슬릿에 끼워져 인출된 띠형상체(이 띠형상체는 돌출편의 폭보다도 넓은 폭으로 되어 있다)를 그 굴곡부 내측면이 상기 걸림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걸림부측으로 항시 억누르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슬릿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있는 상기 걸림부측의 구멍가장자리가 상기 돌출편의 선단보다도 상기 벽부측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슬릿에 끼워진 상기 띠형상체는 그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가 상기 구멍가장자리부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의 외측으로 눌려짐과 동시에 그 중앙부가 상기 돌출편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측으로 눌려진다. 결국, 본 발명에 관한 버클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슬릿에 대한 상기 띠형상체의 삽입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멍가장자리와 상기 돌출편의 선단이 상기 제 2 슬릿에서 인출된 띠형상체의 폭방향으로의 펼쳐짐을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슬릿에 끼워져 되접힌 상태로 된 상기 띠형상체가 본래의 곧은 상태로의 복귀를 충분히 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관한 버클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슬릿에서 인출되어 있는 상기 띠형상체에 장력이 가해지는 것에 관계없이 상기 띠형상체의 굴곡부 내측면을 상기 걸림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 1, 제 2 슬릿의 구멍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상기 띠형상체의 굴곡부 내측면에 맞닿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상태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띠형상체의 복귀력에 따른 버클의 부상(浮上)을 방지하여 상기 버클이 사용상의 소망하는 소요위치에 비교적 안정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띠형상체의 복귀를 저지하는 기능을 상기 제 1, 제 2 슬릿과 돌출편에 의하여 이룰수 있기 때문에, 버클의 전체 길이를 비교적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띠형상체를 상기 제 2 슬릿에 대하여 그 폭방향의 양 측부를 상기 굴곡부 외측면측을 향하여 꺾어 구부리고, 이 꺾여 구부려진 절곡부가 상기 돌출편의 양측에 끼워지는 상태로 끼울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슬릿에 있어서 끼워지는 띠형상체에 대한 접촉면적을 비교적 크게 하여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2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Ba)을 구성하는 수부재(3)와 암부재(4)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수부재(3)와 암부재(4)를 결합하고 상기 수부재(3)의 제 1 슬릿(20) 및 제 2 슬릿(21)에 띠형상체(W)를 끼운 상태에서 이 띠형상체(W)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띠형상체(W)가 고정된 수부재(3)와 암부재(4)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도 5 내지 도 10은 버클(Ba)을 구성하는 수부재(3)와 암부재(4)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6은 상기 수부재(3)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 내지 도 22는 상기 암부재(4)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은 벨트, 밴드 등의 띠형상체(W)를 피부착부재(R)에연결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은 상기 피부착부재(R)가 부착되는 접속부(1)와 상기 띠형상체(W)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 1, 제 2 슬릿(20,21)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접속부(1)에 부착되는 피부착부재(R)를 띠형상체(W)로 한 경우에는, 2개의 띠형상체(W,W)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버클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버클에 상기 접속부(1)와 상기 제 1, 제 2 슬릿(20,21)을 일체로 형성하여 둘 수도 있다. 또, 상기 버클을 착탈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부재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이 2개의 부재중 일측에 상기 접속부(1)를, 타측에 상기 제 1, 제 2 슬릿(20,21)을 형성하고, 이 2개의 부재를 결합함에 의해서 2개의 띠형상체(W,W)를 서로 연결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피부착부재(R)의 외측면, 예를 들면 가방이나 륙색의 외측면에 상기 버클에 있어서의 제 1, 제 2 슬릿(20,21)에 끼워져 고정되는 띠형상체(W)를 부착하거나, 상기 접속부(1)를 직접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은 상기 제 1, 제 2 슬릿(20,21)을 병렬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릿(20)과 제 2 슬릿(20,21) 사이를 띠형상체(W)의 걸림부(22)로 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 슬릿(21)에 끼워져 인출된 띠형상체(W)를 되접어서 제 1 슬릿(20)에 끼워 인출함에 의해서 상기 띠형상체(W)를 상기 걸림부(22)에 걸어붙임과 아울러, 상기 제 1, 제 2 슬릿(20,21)의 구멍가장자리를 상기 띠형상체(W)의 굴곡부 내측면(Wa)에 맞닿게 하여 상기 띠형상체(W)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은, 상기 제 2 슬릿(21)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22)와 대향하는 벽부(21a)에서 상기 걸림부(22)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 2 슬릿(21)에 끼워져 인출되는 상기 띠형상체(W)의 굴곡부 외측면(Wd)을 억누르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편(23)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걸림부(22)에는 상기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편(23)을 받아들이는 오목부(22a)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오목부(22a)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릿(21)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22)측의 구멍가장자리(22b)를 상기 돌출편(23)의 선단(23a)보다도 상기 벽부(21a)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22)에 걸어붙여지도록 상기 제 2 슬릿(21)에 끼워져 인출된 띠형상체(W){이 띠형상체(W)는 상기 돌출편(23)의 폭(x3)보다도 넓은 폭으로 되어 있다}를 그 굴곡부 내측면(Wa)이 상기 걸림부(22)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걸림부(22)측으로 항시 억누르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에 의하면, 상기 제 2 슬릿(21)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22a)의 양측에 있는 상기 걸림부(22)측의 구멍가장자리(22b){이하, 돌출단부(22b')라 한다}가 상기 돌출편(23)의 선단(23a)보다도 상기 벽부(21a)측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슬릿(21)에 끼워진 상기 띠형상체(W)는 그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Wc)가 상기 돌출단부(22b')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22)의 외측으로 눌려짐과 동시에 그 중앙부(Wd)가 상기 돌출편(23)의 선단(23a)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22)측으로 눌려진다. 결국,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에 있어서는, 상기제 2 슬릿(21)에 대한 상기 띠형상체(W)의 삽입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부(22b')와 상기 돌출편(23)의 선단(23a)이 상기 제 2 슬릿(21)에서 인출된 띠형상체(W)의 폭방향으로의 펼쳐짐을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슬릿(20,21)에 끼워져 되접힌 상태로 된 상기 띠형상체(W)가 본래의 곧은 상태로의 복귀(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로의 복귀)를 충분히 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에 있어서는, 첫째로, 상기 제 2 슬릿(21)에서 인출되어 있는 상기 띠형상체(W){도 4에 있어서의 상측에 있는 띠형상체(W)의 인출측}에 장력이 가해지는 것에 관계없이 상기 띠형상체(W)의 굴곡부 내측면(Wa)을 상기 걸림부(22)에 밀착시켜 상기 제 1, 제 2 슬릿(20,21)의 구멍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상기 띠형상체(W)의 굴곡부 내측면(Wa)에 맞닿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띠형상체(W)에 대한 고정상태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둘째로, 상기 띠형상체(W)의 복귀력에 따른 버클의 부상을 방지하여 상기 버클이 사용상의 소망하는 소요위치에 비교적 안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세째로, 상기 띠형상체(W)의 복귀를 저지하는 기능을 상기 제 1, 제 2 슬릿(20,21)과 돌출편(23)에 의하여 이룰수 있기 때문에, 버클의 전체 길이를 비교적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네째로, 상기 띠형상체(W)를 상기 제 2 슬릿에 대하여, 그 폭방향의 양 측부(Wc,Wc)를 상기 굴곡부 외측면(Wb)측을 향하여 꺾어 구부리고, 이 꺾여 구부려진 절곡부(We)가 상기 돌출편(23)의 양측에 끼워지는 상태로 끼울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슬릿(21)에 있어서 끼워지는 띠형상체(W)에 대한 접촉면적을 비교적 크게 하여 띠형상체(W)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섯째로, 상기 버클을 플라스틱재료로 사출성형등의 수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할 경우에, 상기 걸림부(22)에 형성되는 오목부(22a)에 의하여 언더컷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이러한 버클을 플라스틱재료로 성형할 경우에 그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2에 나타낸 예는 상술한 구성을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부재(3)와 암부재(4)로 이루어지는 버클(Ba)에 있어서의 수부재(3)에 적용시킨 것이다.
이 적용예에 있어서는, 암부재(4)를 편평한 통형상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이 암부재(4)의 일단측에 수부재(3)의 삽입부(30)가 끼워지는 삽입구(40)을 형성하고, 그 타단측에 띠형상체(W)의 접속부(1)를 형성하고 있다. 즉, 이 적용예에 있어서는 수부재(3)에 형성된 제 1, 제 2 슬릿(20,21)에 끼워져 고정되는 띠형상체(W)와 암부재(4)의 접속부(1)에 부착된 띠형상체(W){즉, 피부착부재(R)}를 수부재(3)와 암부재(4)의 결합에 의하여 서로 연결고정하는 버클(Ba)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암부재(4)의 접속부(1)는 띠형상체(W,R)가 끼워지는 슬릿(10)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 슬릿(10)에 끼워져 인출된 띠형상체(W,R)의 단부를 당해 띠형상체(W,R)에 꿰매 붙이는 방식등에 의하여 부착함으로써, 상기 띠형상체(W,R)를 암부재(4)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수부재(3)는 상기 암부재(4)에 대한 삽입부(30)를 일측에 구비하고, 또한 타측에 제 1 슬릿(20)과 제 2 슬릿(21)을 병렬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 1 슬릿(20)과 제 2 슬릿(21) 사이를 상기 띠형상체(W)의 걸림부(22)로 하는 고정부(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삽입부(30)는 상기 암부재(4)에 있어서의 내측벽(41)에 슬라이드접촉하면서 상기 암부재(4)내로 삽입되는 판형상부(31)를 상기 고정부(2)를 구성하는 제 2 슬릿(21)의 벽부(21a)에 있어서의 외벽면(21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판형상부(31)는 그 삽입선단측에서 상기 고정부(2)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평행한 1쌍의 분할홈(31b,31b)과 이 1쌍의 분할홈(31b,31b)의 각 홈단부를 상기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분할홈(31c)으로 구성되는 ㄷ자형상 홈부(31a)에 의하여 구분되는 탄성편(3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탄성편(32)은 그 기단부측이 되는 상기 삽입부(30)의 삽입선단측을 변형중심점으로 하여 그 선단측을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탄성편(32)의 표면측에 있어서의 기단부측에는 이 탄성편(32)의 폭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서 걸림돌기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선단부측에는 이 탄성편(32)의 폭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서 조작돌기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조작돌기부(32b)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수부재(3)의 표면측(3')이라 한다.
한편, 상기 암부재(4)는 그 표면측이 되는 상판부(42)에, 상기 수부재(3)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부(30)의 기단부측에 있는 외벽면(21b)이 상기 암부재(4)의 삽입구(40) 가장자리에 맞닿게 되는 상기 수부재(3)의 상기 암부재(4)내로의 최대 삽입위치(Mx)에서, 상기 수부재(3)의 걸림돌기부(32a)가 상기 암부재(4)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걸어맞춤구멍(42a)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상판부(42)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구(40)측에는 이 삽입구(40)에 연통되는 오목부(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42b)에 상기 수부재(3)의 조작돌기부(32b)가 수납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상기 오목부(42b)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암부재(4)의 표면측(4')이라 한다.
또, 상기 수부재(3)의 삽입부(30)를 구성하는 판형상부(31)의 양 측단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의 전 길이에 걸쳐서 상기 암부재(4)의 상판부(42)에 대향하는 하판부(43)에 슬라이드접촉하는 리브형상의 돌기부(31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브형상의 돌기부(31d)의 돌출치수만큼 상기 탄성편(32)의 선단측이 수부재(3)의 배면측을 향하여 암부재(4)내에서 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부재(4)의 상판부(42)의 내면과 하판부(43)의 내면 간의 치수가 상기 수부재(3)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부(30)의 리브형상의 돌기부(31d)의 선단에서 상기 탄성편(32)의 걸림돌기부(32a)의 선단까지의 치수보다도, 적어도 상기 걸어맞춤구멍(42a)에 있어서의 삽입구(40)측을 향하는 구멍가장자리부에서 작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결과, 이 적용예의 버클(Ba)에 있어서는, 상기 수부재(3)의 표면측(3')과 암부재(4)의 표면측(4')이 같은 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3)의 삽입부(30)를 상기 암부재(4)의 삽입구(40)에서 상기 최대삽입위치(Mx)를 향하여 삽입함에 의해서, 상기 탄성편(32)의 걸림돌기부(32a)의 선단을 상기 암부재(4)의 내면에 접촉시켜 상기 탄성편(32)을 상기 암부재(4)의 배면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최대삽입위치(Mx)에서 상기 걸어맞춤구멍(42a)에 상기 걸림돌기부(32a)가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편(32)을 탄성복귀시킬 수 있으며, 이 탄성복귀에 의하여 상기 걸어맞춤구멍(42a)에 상기 걸림돌기부(32a)를 걸어맞춰서 암부재(4)내에서 수부재(3)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양 부재를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다. 또, 이양 부재의 결합상태는, 상기 암부재(4)의 오목부(42b)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탄성편(32)의 조작돌기부(32b)를 암부재(4)의 배면측으로 눌러서 상기 탄성편(32)을 상기 배면측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부(32a)와 걸어맞춤구멍(42a)의 걸어맞춤을 원터치로 해제할 수 있고, 이 결합상태의 해제에 의하여 암부재(4)내에서 수부재(3)의 삽입부(30)를 빼내어 양 부재(3,4)를 분리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부재(3)에 있어서의 띠형상체(W)의 고정부(2)는 상기 삽입부(30)의 측으로 상기 제 2 슬릿(21)이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1, 제 2 슬릿(20,21)의 길이방향이 상기 삽입부(30)의 암부재(4)내로의 삽입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3)의 삽입부(30)의 삽입방향(F)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20)을 구성하는 양 벽부(20a,20a)는 그 벽면을 상기 수부재(3)의 표면측(3')에서 배면측을 향하여 갈수록 상기 제 2 슬릿(21)의 측에서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22)와 대향하는 수부재(3)의 표면측(3')에 있는 상기 제 1 슬릿(20)의 구멍가장자리{이하, 제 1 걸림단부(20b)라 한다}와, 상기 걸림부(22)측의 수부재(3)의 배면측에 있는 상기 제 1 슬릿(20)의 구멍가장자리{이하, 제 2 걸림단부(20c)라 한다}와의 사이, 즉 상기 제 1 슬릿(20)에 대한 띠형상체(W)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간격(x1)이 상기 제 1 슬릿(20)을 구성하는 양 벽부(20a,20a)의 벽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x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도 14).
또, 상기 걸림부(22)에 있어서의 수부재(3)의 배면측의 면은, 암부재(4)내로의 수부재(3)의 삽입부(30)의 삽입방향(F)을 따라서 곧은 평탄면(22c)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 2 슬릿(21)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22)와 대향하는 벽부(21a)에는 상기 걸림부(22)측을 향하여, 상기 제 2 슬릿(21)을 구성하는 양 측벽부(21c,21c)와의 사이에 상기 띠형상체(W)의 절곡부(We)의 삽입간격(21d)을 두고서 돌출편(23)이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편(23)은 그 하면(23b)이 상기 걸림부(22)에 있어서의 수부재(3)의 표면측(3')을 향하는 면(22d)보다도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돌출편(23)은 상기 제 2 슬릿(21)의 길이방향측을 향하여 긴 판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22)와 대향하지 않는 측을 상기 탄성편(32)의 선단측에 있는 분할홈(31c)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23)은 그 길이방향 양측에서 연장되는 연장편(23c)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벽부(21a)에 일체로 연이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돌출편(23)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돌출편(23)의 형성폭이 상기 제 2 슬릿(21)에 끼워지는 띠형상체(W)의 폭보다도 작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걸림부(22)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편(23)의 선단을 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돌출편(23)의 선단(23a)과의 사이에 상기 띠형상체(W)의 중앙부(Wd)가 끼워지는 삽입간격을 두고서 상기 돌출편(23)의 선단측을 받아들이는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22a)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릿(21)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22)측의 구멍가장자리(22b){이하, 제 3 걸림단부(22b')라 한다}를 상기 돌출편(23)의 선단(23a)보다도 상기 돌출편(23)이 돌출형성되는 상기벽부(21a)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이 적용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슬릿(21)에 상기 띠형상체(W)를 상기 고정부(2)의 표면측(3')에서 끼워넣을 때에, 상기 돌출편(23)의 양 측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간격(21d)내로 상기 띠형상체(W)의 양 측부(Wc,Wc)가 절곡된 상태로 수납되도록 삽입하여 상기 수부재(3)의 배면측으로 빼내고, 이와 같이 수부재(3)의 배면측으로 빼낸 띠형상체(W)의 단부를 상기 제 1 슬릿(20)에 상기 수부재(3)의 배면측에서 삽입하여 표면측(3')으로 빼내도록 함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22)에 상기 띠형상체(W)를 걸어붙이고, 이와 같이 걸어붙여진 띠형상체(W)에 대하여 상기 제 1 슬릿(20)측에서 상기 제 1 걸림단부(20b) 및 제 2 걸림단부(20c)를 맞닿게 하고, 또한 상기 제 2 슬릿(21)측에서 상기 띠형상체(W)의 양 측부(Wc,Wc)에 상기 제 3 걸림단부(22b')를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띠형상체(W)에 장력이 가해질수록 상기한 각 걸림단부(20b,20c,22b')가 더욱더 강하게 띠형상체(W)에 맞닿게 되므로 상기 걸림부(22)에 걸어붙여진 띠형상체(W)는, 제 1 슬릿(20)에서 인출되어 있는 띠형상체(W)의 부분을 이 제 1 슬릿(20)의 벽부(20a)의 경사방향을 따라서 풀어내는 등의 조작을 하지 않는 한 고정부(2)와의 고정위치가 변경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띠형상체(W)의 중앙부(Wd)를 상기 돌출편(23)의 선단(23a)에 의하여 억누룰 수 있고, 이와 같은 돌출편(23)의 억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 2 슬릿(21)에서 상기 수부재(3)의 표면측(3')으로 인출되어 있는 띠형상체(W)의 굴곡부 내측면(Wa)이 상기 걸림부(22)의 수부재(3)의 표면측(3')에 있는 면(22d)에 눌려붙여지도록 함으로써, 인출되어 있는 띠형상체(W)가 항시 곧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특히 본 적용예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돌기부(32b)를 눌러서 상기 암부재(4)와 상기 수부재(3)의 결합상태를 해제조작할 때에, 상기 띠형상체(W)의 복귀력에 의한 버클(Ba)의 부상에 의해서 상기 조작돌기부(32b)의 누름조작을 한 손으로 하기 어렵게 하는 사태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본 적용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부(22)에 걸어붙이도록 상기 제 1 슬릿(20) 및 제 2 슬릿(21)에 끼워진 상기 띠형상체(W)의 상기한 바와 같은 복귀, 즉 휘어짐을 상기 돌출편(23)에 의하여 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띠형상체(W)를 제 1, 제 2 슬릿(20,21)에 단지 1회씩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띠형상체(W)의 고정을 위한 끼움작업이 용이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23)은 상기 제 1, 제 2 슬릿(20,21)에 끼워지는 띠형상체(W)의 폭의 치수보다도 작은 폭(x3)으로 형성하면 되고, 또한 2개 이상의 돌출편(23,23,…)을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제 2 슬릿(21)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돌출편(23)의 외측부에서 타단측에 형성되는 돌출편(23)의 외측부까지의 치수가 상기 띠형상체(W)의 폭의 치수보다도 작게 되도록 2개 이상의 돌출편(23)을 형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에 있어서는, 띠형상체를 피부착부재에 연결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띠형상체가 끼워지는 슬릿을 2개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체를 상기 2개의 슬릿에 끼워 고정하면서 끼워진 띠형상체의 복귀력에 의한 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에 의해서 이 휘어짐에 따른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력의 저하나 버클의 부상 등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가능한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띠형상체를 2개의 슬릿에 끼우는 조작만에 의하여 띠형상체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띠형상체의 끼움조작이나 고정작업에 각별한 곤란성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는 특징을 가진다.

Claims (1)

  1. 버클을 통해서 띠형상체(W)가 연결고정되는 피부착부재(R)에 대한 접속부(1)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띠형상체(W)가 끼워지는 제 1 슬릿(20)과 제 2 슬릿(21)을 병렬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슬릿(20)과 제 2 슬릿(21) 사이를 상기 띠형상체(W)의 걸림부(22)로 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부(22)와 대향하는 측에 있는 상기 제 2 슬릿(21)의 벽부(21a)에서 상기 걸림부(22)측을 향하여, 상기 제 2 슬릿(21)에 끼워져 인출되는 상기 띠형상체(W)에 있어서의 굴곡부 외측면(Wd)을 억누르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편(23)이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22)에 있어서의 상기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편(23)의 선단과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편(23)을 받아들이는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오목부(22a)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릿(21)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22)측의 구멍가장자리(22b)를 상기 돌출편(23)의 선단(23a)보다도 상기 돌출편(23)이 돌출형성되는 상기 벽부(21a)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19990035695A 1998-10-09 1999-08-26 버클 KR100298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01736A JP2000116412A (ja) 1998-10-09 1998-10-09 バックル
JP301736 1998-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620A KR20000028620A (ko) 2000-05-25
KR100298674B1 true KR100298674B1 (ko) 2001-09-22

Family

ID=1790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695A KR100298674B1 (ko) 1998-10-09 1999-08-26 버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116412A (ko)
KR (1) KR100298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442A (ja) * 2003-08-12 2005-03-10 Ykk Corp バックル
JP4951315B2 (ja) 2006-04-04 2012-06-13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170889B2 (ja) * 2008-09-02 2013-03-27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KR101317044B1 (ko) * 2011-04-28 2013-10-11 백지숙 버클
JP6203110B2 (ja) * 2014-04-23 2017-09-27 株式会社ニフコ ベルト装置、及び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620A (ko) 2000-05-25
JP2000116412A (ja)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149B1 (ko) 버클
KR870004028Y1 (ko) 버클
EP1400183B1 (en) Buckle
KR101140438B1 (ko) 버클
US5419020A (en) Separable buckle
JP4299941B2 (ja) バックル
JPH0431684B2 (ko)
US5170539A (en) Spring loaded sliding bar web connector assembly for a buckle
EP1395162B1 (en) Device for holding cleaning wiper and cleaning article employing holding device
KR850003131Y1 (ko) 버클(buckle)
US6170133B1 (en) Buckle
KR100314594B1 (ko) 버클
US10588383B2 (en) Buckle
KR20070014032A (ko) 끈 고정구
KR20080070544A (ko) 버클
EP1166674B1 (en) Buckle
KR100298674B1 (ko) 버클
JP3130203B2 (ja) バックル
JP3780497B2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JPH0625985Y2 (ja) 電気器具取付装置
KR920003985Y1 (ko) 플라스틱제 버클
KR100312006B1 (ko) 버클
JP2002282015A (ja) バックル
JP3133291B2 (ja) プラスチック製バックル
WO2013121557A1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