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604B1 -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604B1
KR100298604B1 KR1019990059586A KR19990059586A KR100298604B1 KR 100298604 B1 KR100298604 B1 KR 100298604B1 KR 1019990059586 A KR1019990059586 A KR 1019990059586A KR 19990059586 A KR19990059586 A KR 19990059586A KR 100298604 B1 KR100298604 B1 KR 100298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nozzle
turbine
nozzle body
vacuum clea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마쯔시게사부로
이와세유끼지
다지마다이지
사또시게노리
시노자끼도시야
스나가와마사오
야마모또와따루
야마구찌아쯔시
사또스스무
나가노요오스께
호시다다유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886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05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868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19206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는 흡입 노즐 주 본체와, 흡입 노즐 주 본체에 장착된 터빈 부재와, 흡입 노즐 주 본체에 형성되어 터빈 부재에 흡입 기류를 공급함으로써 터빈 부재에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유동 통로와, 흡입 노즐 주 본체의 회전 청소 부재 수납실 내에 장착되어 터빈 부재에 발생된 회전 토오크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청소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통로가 흡입 노즐 케이스에 형성된 공기 흡입 포트로부터 청정 공기를 흡입하여 이 청정 공기에 소정의 방향을 제공함으로써 청정 공기를 터빈 부재의 외주연으로부터 터빈 부재 안으로 송풍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터빈 부재 내의 기류가 회전 청소 부재 수납실 안으로 유동되며, 상기 유동 통로가 다수의 안내판을 갖고, 상기 유동 통로 내에 마련된 안내판이 터빈 부재의 외주연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터빈 부재 안으로 송풍되는 기류에 방향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SUCTION NOZZLE BODY FOR USE IN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SUCTION NOZZLE BODY}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 노즐체를 갖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흡입 노즐체 상에 제공된 회전 브러시와 같은 회전 청소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내부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회전 토오크를 발행시키기 위한 터빈 부재 및 노즐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터빈 구조가 개선된 진공 청소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 노즐체를 갖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트와 같은 긴 직물 물체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서, 흡입 노즐체 상에 제공된 회전 브러시는 바닥의 면을 접하며, 회전 브러시의 타격(beating-out) 등의 기능에 의해 먼지는 바닥으로부터 부유되어 진공 청소기 주 본체내로 흡입된다.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서는, 진공 청소기 주 본체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사용하는 공기 터빈 구조에 따라 회전 브러시를 구동하기 위한 힘(회전 토오크)을 얻도록 되어 있다.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내의 공기 터빈 구조에 의해 구동력을 얻기 위한종래 기술 중 하나에서는, 회전 브러시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회전력을 얻음으로써, 여러 가지 종래의 장치를 부착하고 흡입 노즐체에서 소음을 제한하기 위한 개선이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소61-85,911호에서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명세서의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23A)는 터빈(5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케이싱(21A) 내에 제공된다.
안내 부재(23A)는 수납 포트(7A)의 측면을 향하도록 노즐(22B)의 하부측으로부터 터빈(5A)의 회전 외주연 표면을 따라 점차 접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23A)는 터빈(5A)을 향해 터빈(5A)의 회전 방향을 따라 케이싱(21A) 내에 형성되는 유입 기류를 안내한다.
안내 부재(23A)는 터빈(5A) 상의 터빈(5A) 근처에서의 기류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수납 포트(7A)의 돌출 부재와 공기 유동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6-319,669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서 설명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에서는, 안내 부재에 의해 형성된 테이퍼형 공기 유동 통로는 노즐(22B)의 터빈(5B)의 측면에 제공되며 공기 누설 방지 판(40B)은 케이싱 상에 제공된다.
터빈(5B)으로 유입될 수 없는 기류는 상기 테이퍼형 공기 유동 통로에 의해 그리고 공기 누설 방지 판(40B)에 의해 형성된 다른 공기 유동 통로에 의해 포획되어, 기류는 터빈(5B) 내로 유입된다. 그 결과, 이러한 공기 터빈 구조에서, 공기 터빈 구조에 의해 발생된 회전 토오크를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진공 청소기의 다른 종래의 흡입 노즐체는 본 명세서의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흡입 노즐에서, 터빈(5C)은 회전 브러시(3C)의 회전 축(32C)의 양 단부 부분에 제공된다.
이러한 흡입 노즐체에서, 회전 브러시(3C)에 의해 스크래칭되는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는 공기 유동과 함께 흡입된다. 먼지를 포함하는 이러한 공기 유동은 분리벽(11C) 상에 제공된 개구(37C)로부터 터빈실(2C)로 유입되어 터빈(5C)에 회전 에너지를 준다.
그 후, 먼지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 유동이 흡입 노즐체의 후방부에 제공된 유동 통로(38C)를 통해 연장 파이프(39C) 내로 유입된다.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유동은 진공 청소기 주 본체내로 흡입된다.
이러한 종래의 흡입 노즐체에서, 터빈(5C)은 회전 축(32C)의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어, 이러한 구조적 특성을 사용하면, 경량의 양호한 핸들링 성질을 갖는 저렴한 흡입 노즐체가 제안된다.
일반적으로, 공기 터빈 구조의 터빈에서 발생된 회전 토오크(T)는 이하의 식(1)으로 표시된다.
T = γQnV2/ N·g x n x cosθ … (1)
여기서, γ는 유체(공기)의 비중(specific weight)이며, Qn은 하나의 블레이드 당 유입 유동량이며, V는 유동 속도이며, N은 회전수이며, g는 중력 가속도이며, θ는 블레이드에 대한 유체의 유입각이며, n은 블레이드의 수이다.
발생된 회전 토오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유동량 및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터빈의 블레이드로의 다량의 공기 유동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터빈 블레이드에 대해 적절한 공기 유동 유입각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된 안내 부재(23A)를 갖는 상술된 종래의 흡입 노즐체 구조에서, 터빈(5A)으로 유입되지 않으나 터빈(5A)의 측면부를 향해 유출되는 기류를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노즐로부터의 기류의 일부만이 터빈(5A) 내로 송풍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 부재(23A)를 갖는 종래의 흡입 노즐체 구조에서, 큰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 16 및 도 17에서 도시된 상술된 종래의 흡입 노즐체 구조에서, 흡입 노즐체 구조는 노즐(22B)과 안내 부재(23B)와 공기 누설 방지 판(40B)을 포함한다.
구조적 측면에서 부품 사이에 매끄럽지 않는 연결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매끄러운 공기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불연속부는 노즐(22B)의 팁 단부 및 케이싱에 존재하는 공간이며, 매끄럽지 않은 연결부는 공기 누설 방지 판(40B)과 안내 부재(23B)에 존재한다.
이러한 상술된 종래의 흡입 노즐체 구조에서, 터빈(5B)의 측면부를 향해 유출되는 기류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노즐(22B)로부터 기류가 나온직후 소용돌이가 발생되어, 그 결과, 발생된 회전 토오크의 저하 및 소음의 증가가 초래된다.
더욱이, 본 출원의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종래의 흡입 노즐체 구조에 있어서, 본 출원의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상기 종래의 흡입 노즐체 구조에서와 동일한 문제점이 노즐에 대응하는 개구(37C)와 터빈(5C) 사이의 관계로부터의 구조적 면에서 발생한다.
더욱이, 여러 종류의 전술한 종래의 흡입 노즐체에 있어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유동이 터빈 내로 불어넣어지고 회전 토오크가 터빈에 대해 발생된다. 회전하는 터빈이 먼지의 맞물림에 따라 로크되지 않게 하기 위해 터빈과 안내 부재 사이에 큰 간극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큰 간극에서의 공기 유동의 누출량은 많아지며, 터빈에 작용하는 공기량이 불가피하게 감소되므로 회전 토오크 발생량을 증가시키기가 곤란하다.
전술한 문제점에 대하여, 터빈에 대해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통로를 형성하는 대책을 취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공기 터빈 구조에서, 회전 토오크를 완전히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대량의 공기 유동이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바이패스되므로, 공기 터빈 구조를 작동시키기 위해 본래 이용하는 먼지 흡입력이 감소될 수 있다는 다른 문제점을 야기한다.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 사용된 흡입 노즐체에 있어서, 강력 브러시 시스템 흡입 노즐체 및 터빈 브러시 시스템 흡입 노즐체는 실용적이게 된다. 강력 브러시 시스템 흡입 노즐체에서, 회전 브러시 등의 회전 청소 부재는 소형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터빈 브러시 시스템 흡입 노즐체에서, 회전 브러시 등의 회전 청소 부재는 공기 터빈 구조에 의해 회전된다. 최근에, 후자인 터빈 브러시 시스템 흡입 노즐체가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터빈 브러시 시스템 흡입 노즐체에서, 터빈과 회전 브러시 사이의 회전력 전달 수단은 타이밍 밸트를 사용하는 것이 관례였다. 이러한 종류의 흡입 노즐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흡입 노즐체의 크기는 커지고, 또한 청소될 표면에 대해 흡입 노즐체를 부착시킨 동안의 필요한 회전수 특성과, 흡입 노즐체를 들어올리는 동안의 필요한 회전수 특성은 반대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후자의 문제점에서, 흡입 노즐체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터빈의 회전수가 높아진다면, 흡입 노즐체가 들어올려질 때 큰 소음이 발생된다.
더욱이, 터빈은 흡입 노즐체에 단단히 설치되므로 터빈은 용이하게 꺼내지지 않으며, 흡입 노즐체의 분해에 장시간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흡입 노즐체의 재순환 특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터빈 구조에 있어서 소음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큰 회전 토오크가 얻어질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와,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터빈 구조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고 소량의 공기 유동에 의해 큰 회전 토오크가 얻어질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와,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먼지를 포함하지 않는 깨끗한 공기가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공기 터빈 구조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와,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빈 부재를 갖는 소형 흡입 노즐체가 얻어질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와,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 노즐체를 들어올리는 동안에 발생되는 소음이 방지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와,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 노즐체의 재순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와,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 구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의 일 실시예의 외관도.
도 3은 도 1의 흡입 노즐체를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선 VI-VI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노즐 및 터빈 사이의 대향 관계가 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의 추가 실시예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선 VIII-V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노즐 및 터빈 사이의 대향 관계가 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의 다른 추가 실시예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 구조의 또 다른 추가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도시된 흡입 노즐체의 주 노즐의 안내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1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를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를 이용하는 안내 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다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선 XVII-XVII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8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또 다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
도 19는 도18의 선 XIX-XIX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 내의 공기 유동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 내의 공기유동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가 투시된 구조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 내에 사용되는 또 다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 내의 터빈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 내의 회전식 브러시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25는 도 22의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 내의 터빈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전방 종단면도.
도 26은 도 23의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 내의 터빈 부분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27은 도 23의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 내의 터빈 부분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28은 도 23의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 내의 터빈 부분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 종단면도.
도 29는 도 22의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의 터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터빈의 정면도.
도 31은 도 30의 선 XXXI-XXXI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2는 도 30의 선 XXXII-XXXII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3은 도 30의 선 XXXIII-XXX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5는 도 34의 진공 청소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의 유지 보수 및 분해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도 36의 선 XXXVII-XXXVII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노즐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9는 흡입 포트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0은 도 38의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배면도.
도 41은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상부면도.
도 42는 도 38의 선 XXXXII-XXXXII를 따라 취한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3은 흡입 노즐체의 흡입 포트 덮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4는 도 41의 선 XXXXIV-XXXXIV를 따라 취한 흡입 포트 덮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5는 도 43의 선 XXXXV-XXXXV를 따라 취한 흡입 포트 덮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6은 도 43의 선 XXXXVI-XXXXVI를 따라 취한 흡입 포트 덮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7은 후방부 흡입 포트를 도시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러시실
2 : 터빈실
3, 205 : 회전 브러시
4 : 주 노즐
5, 210 : 터빈
6 : 유동 통로
8, 32, 209 : 회전 축
9 : 타이밍 벨트
10, 34 : 흡입 노즐 케이스
12 : 보조 노즐
14 : 노브
15 : 안내부
17 : 기류 유입 포트
18 : 바닥벽부
19 : 개방부
20, 24 : 후크
33 : 안내판
35 : 공기 흡입 포트
36 : 플로어면
42 :지지 유닛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는 흡입 노즐 주 본체와, 흡입 노즐 주 본체에 장착된 터빈 부재와, 흡입 노즐 주 본체에 장착되며 흡입 기류를 터빈 부재에 공급함으로써 터빈 부재에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노즐 부재와, 흡입 노즐 주 본체에 장착되고 터빈 부재에 발생된 회전 토오크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청소 부재를 포함한다.
노즐 부재에는 격벽부와 안내부 및 측벽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노즐 부재의 격벽부는 기류의 유동 유입 포트를 형성하고, 노즐 부재의 안내부는 기류의 유동 유입 포트 내로 유동된 기류를 터빈 부재의 외주연으로부터 터빈 부재의 내부 부분으로 도입시키기 위해 터빈 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터빈 부재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노즐 부재의 측벽부는 노즐 부재의 안내부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기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는 흡입 노즐 주 본체와, 흡입 노즐 주 본체에 장착된 터빈 부재와, 흡입 노즐 주 본체 내에 형성되며 흡입 기류를 터빈 부재에 공급함으로써 터빈 부재에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유동 통로와, 흡입 노즐 주 본체의 회전 청소 부재 수납실 내에 설치되고 터빈 부재에 발생된 회전 토오크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청소 부재를 포함한다.
유동 통로는 흡입 노즐 케이스에 형성된 공기 흡입 포트로부터 청정 공기를 흡입하고, 이 청정 공기에 소정의 방향을 부여함으로써 터빈 부재의 외주연으로부터 터빈 부재 내로 청정 공기를 불어넣으며, 이에 의해 터빈 부재 내의 공기 유동은 회전 청소 부재 수납실 내로 유동된다.
흡입 노즐체의 노즐 부재 및 안내 부재는 유입 기류를 터빈 부재로 효과적으로 유입시키도록 형성되어 큰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흡입 노즐체는 하부 표면에 흡입 포트를 갖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구비한흡입 노즐 주 본체와, 흡입 노즐 주 본체의 하부 케이스의 흡입 포트에 위치되고 회전 축을 갖는 회전 청소 부재와, 회전 청소 부재의 회전 축과 동일 축에 위치하고 회전 청소 부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터빈 부재와, 회전 청소 부재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흡입 노즐 주 본체와 함께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흡입 통로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후방부에 배치된 흡입 커플링과, 회전 청소 부재를 덮기 위한 흡입 포트 덮개와, 흡입 포트 덮개의 후방 표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터빈 부재 내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노즐 부재와, 흡입 노즐 주 본체의 상부 케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흡입 포트 덮개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를 적어도 하나의 터빈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흡입 노즐체는 하부 표면에 흡입 포트를 갖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구비한 흡입 노즐 주 본체와, 흡입 노즐 주 본체의 하부 케이스의 흡입 포트에 배치되고 회전 축을 갖는 회전 청소 부재와, 회전 청소 부재의 상기 회전 축과 동일 축에 배치되고 회전 청소 부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터빈 부재와, 회전 청소 부재의 후방 부분에 배치되고 흡입 노즐 주 본체와 함께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흡입 통로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후방 부분에 배치된 흡입 커플링과, 회전 청소 부재를 덮기 위한 흡입 포트 덮개와, 흡입 포트 덮개의 후방 표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터빈 부재 내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노즐 부재와, 흡입 포트 덮개 상에 제공된 개폐 레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개폐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흡입 포트 덮개는 흡입 노즐 주 본체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성되고 흡입 포트 덮개의 개방 시간 동안 회전 청소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터빈 부재는 상기 흡입 노즐 주 본체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브러시와 같은 회전 청소 부재가 터빈 부재에 의해 직접 구동되므로, 흡입 노즐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고, 흡입 노즐체의 회전 중에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 포트 덮개의 개방중에 회전 청소 부재 및 터빈 부재가 흡입 노즐체의 흡입 노즐 주 본체로부터 탈착식으로 결합 및 해제가능하므로, 흡입 노즐체에 필요한 해체(decomposition) 시간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흡입 노즐체의 재생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후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 노즐체를 갖는 진공 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노즐체를 갖는 전체 진공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진공 청소기는 진공 청소기 본체(101), 호스(102), 호스(102)의 손잡이부 상에 마련된 원격 조작 스위치 유닛(103), 연장 파이프(104) 및 흡입 노즐체(100)를 포함한다.
진공 청소기 본체(101)가 작동 상태에 이르렀을 때, 수반된 먼지와 함께 흡입된 기류는 연장 파이프(104)와 호스(102)를 통해서 진공 청소기 본체(101)로 들어간다. 진공 청소기 본체(101) 내에 먼지가 걸린 후에, 기류는 진공 청소기 본체(101)로부터 배출된다. 진공 청소기 본체(101)는 원격 조작 스위치 유닛(103)으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제어 및 작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100)의 내부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IV-IV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체(100)의 내부는 격벽(11)에 의해서 회전 브러시실(1)과 이 회전 브러시실(1)에 인접해서 배치된 터빈실(2)로 대략 분류된다. 주 노즐(4)과 보조 노즐(12)이 회전 브러시실(1)과 터빈실(2)을 분할하는 격벽(11) 상에 마련된다.
회전 청소 부재들 중 하나인 회전 브러시(3)는 바닥측에 개구부를 갖는 회전 브러시실(1)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된다. 다수의 블레이드를 갖는 터빈(5)이 터빈실(2)내에 설치된다. 공기 터빈 구조가 회전 브러시(3)와 터빈(5)에 의해 형성된다. 터빈(5)의 둘레를 둘러싸는 유동 통로(6)가 터빈실(2) 내에 마련되며, 이 유동 통로(6)는 터빈(5) 근방으로 기류가 도입되게 한다.
수납 포트(7)가 유동 통로(6)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이 수납 포트(7)는 기류를 수집해서 진공 청소기 본체(101)로 기류가 도입되게 한다. 터빈(5)은 터빈 회전 축(8)상에 장착되며, 또한 이 터빈 회전 축(8)은 타이밍 벨트(9)를 통해서 회전 브러시(3)에 결합된다.
보조 노즐 면적 절환 판(13)이 격벽(11)을 따라서 활주식으로 설치된다. 흡입 노즐 케이스(10) 외측을 향해 돌출한 노브(14, knob)를 제어함으로써, 보조 노즐 면적 절환 판(13)은 활주식으로 이동되고, 그 다음 보조 노즐(12)의 유입 통로의 일부가 막힘으로써 보조 노즐 유입 통로의 단면적이 변화된다. 상술한 구성 요소들 모두는 흡입 노즐 케이스(흡입 노즐 주 본체)(10) 내에 수용된다.
진공 청소기가 가동되고 진공 청소기 본체(101) 내에서 흡입력이 발생할 때, 상술한 흡입 노즐체(100) 내에서는 흡입된 기류가 이하의 두가지 경로 방식으로 수납 포트(7)를 통해서 진공 청소기 본체(101) 내로 흡입된다.
수납 포트(7)를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서 진공 청소기 본체(101)내로 흡입된다.
수납 포트(7)를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서 진공 청소기 본체(101) 내로 흡입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노즐(4)은 기류의 기류 유입 포트(17), 안내부(15) 및 노즐 측벽부(16)를 포함한다. 주 노즐(4)의 기류 유입 포트(17), 안내부(15) 및 노즐 측벽부(16)는 격벽부(11)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주 노즐(4)의 안내부(15)는 터빈(5)의 외주연을 따라서 터빈(5)의 외주연과 중심부간의 대향 간극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터빈(5)의 둘레로 감겨지도록연장된다.
노즐 측벽부(16)는 안내부(15)의 양측면 모서리부터의 기류의 탈출 또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터빈(5)의 외주연 쪽으로 연장된다. 이 노즐 측벽부(16)는 또한 노즐 측벽부(16)의 선단 모서리와 터빈(5)의 둘레 사이에 미소 간극을 두고 대향된다. 주 노즐(4)의 유동 통로(6)는 터빈(5)의 외주연을 따라서 가늘게 개방되어 공기가 터빈(5) 내로 송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예의 흡입 노즐체(100)의 공기 터빈 구조는 이하의 치수를 갖는 요소들로 구성된다.
즉, 터빈(5)의 직경(d)은 34㎜이고, 터빈(5)의 폭(축방향 길이)(w)는 60㎜이며, 주 노즐(4)의 내벽 폭(b)은 13㎜이고, 주 노즐(4)의 기류 유입 포트(17)의 내벽 높이(h)는 12㎜이다.
상기에 구성된 흡입 노즐체(100)의 공기 터빈 구조에 있어서, 기류 유입 포트(17)로부터 흡입된 기류는 안내부(15) 상에 형성된 점차 감소된 유동 통로에 의해 속도가 증대한다. 기류는 노즐 측벽부(16) 상에 형성된 개구들로부터 터빈(5) 내로 송풍된다.
기류는 터빈(5)의 블레이드 공간(5a 내지 5d) 내로 연속적으로 유동되며, 그 기류가 터빈(5)에 에너지를 제공한 후에 터빈(5)의 양 노즐 측벽부(16)의 외향 돌출부로부터 터빈실(2) 내의 유동 통로(6) 내로 유출된다.
도 4 및 도 20에서는 공기 유동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20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주 노즐(4)로부터 송풍되는 모든 기류는 터빈(5)의 블레이드로 연속적으로 유입되고, 터빈(5) 블레이드와 기류 사이의 충돌에 의해서 얻어지는 에너지는 동력으로서 터빈(5)에 전달된다.
기류는 터빈(5) 블레이드의 만곡된 기부 바닥부를 따라 유동해서 최종적으로는 기류는 유동 방향을 유입 방향에 대향하는 반대 방향으로 역변화시켜서 그 후 기류가 배출된다.
이때, 터빈(5)의 블레이드는 기류를 역방향으로 배출하는 힘인 반작용력으로서의 동력을 얻는다. 그후, 배출된 기류는 수납 포트(7)를 통해서 연속적으로 흡입된다.
그밖에, 종래 기술에서 측벽을 갖지 않는 안내 부재의 경우,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기류(31D)가 터빈(5D)으로 들어가지 않고 터빈(5D)의 상부를 통해서 미끄러져서 유동한다. 상기에 더불어, 상기 기류(31D) 및 터빈(5D)을 통해서 흐르도록 된 기류(30D)는 충돌을 해서 큰 교란이 발생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흡입 노즐체(100)의 경우, 기류는 효과적으로 터빈(5)에 작용되기 때문에, 유동량 및 유동 속도의 상승 없이, 즉 소음 수준을 높이는 나쁜 영향없이도 종래 기술에 비해서 약 50% 높은 큰 회전 토오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부 또는 상술한 전체 주 노즐(4)을 흡입 노즐 케이스(10)에 대해서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고 구성 요소의 수를 줄임으로써, 저비용의 흡입 노즐체(1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흡입 노즐체(100)에 따라서, 하기의 효과가얻어질 수 있다.
주 노즐(4) 안의 기류의 주연 방향에서의 속도 성분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터빈(5)에 작용하는 기류의 속도는 주 노즐(4)의 기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주 노즐(4)을 통해서 통과하는 기류의 마찰 손실은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기류는 터빈(5)의 블레이드 간격(5a 내지 5d)의 복수개의 부분(이러한 실시예에서 4개의 부분)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기류는 터빈(5)의 기류 유입 포트(17)에서 급격하게 감소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서, 기류의 교란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은 낮아지게 된다.
또한, 터빈(5)으로부터의 기류의 유출 속도는 높게 설정할 수 있고, 더 큰 회전 토오크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주 노즐(4)의 기류 유입 포트(17)에서 큰 유동 통로 면적이 형성되고 주 노즐(4)의 기류 유입 포트(17)는 곡면 구조를 갖기 때문에, 주 노즐(4)의 기류 유입 포트에서의 흐름의 제거가 억제될 수 있고 또한 소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주 노즐(4)를 통해서 흡입되는 대부분의 기류는 터빈(5)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보다 큰 회전 토오크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의 다른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흡입 노즐체(100)의 횡방향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횡단면선 VI-VI를 따라서 주 노즐(4) 및 터빈(5)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흡입 노즐체의 상기 실시예의 특성은 주 노즐(4)의 형상 구조에 있다. 즉, 주 노즐(4)은 내주연 바닥벽부(18) 및 개방부(19)를 포함한다.
내주연 바닥벽부(18)는 터빈(5)의 외주연에 대해서 노즐 측벽부(16)의 팁(tip) 단부 모서리에서 일반적으로 대향하도록 연장된다. 개방부(19)는 내주연 바닥벽부(18)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되어서 기류를 터빈(5)쪽으로 분사시킨다.
다른 구조 수단은 본 발명의 앞 실시예에 공통적이기 때문에, 인용 부호는 앞 실시예의 동일한 인용 부호를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따라서 다른 구조 수단과의 중복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될 것이다.
기류 유입 포트(17)를 통해서 흡입된 기류는 안내부(15), 노즐 측벽부 및 일반적으로 터빈(5)의 외주연 표면에 대향하는 내주연 바닥벽부(18)에 의해서 둘러싸여진 유동 통로를 통과하며, 기류는 개방부(19)를 통해서 터빈(5)으로 유동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주 노즐(4)에서, 터빈(5)으로 유입되기에 불가능한 기류는 개방부(19)로부터 밀려나지는 않지만 주 노즐(4)의 하류의 측면으로 흘러서 주 노즐(4)의 하류의 측면에서 터빈(5)으로 흐른다.
따라서, 터빈(5)으로 유입되는 기류의 속도는 크게 증가하고, 이것으로 인해 큰 회전 토오크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기류는 접선 방향 및 내부로 들어가려는 방향의 성분을 가지기 때문에, 주 노즐(4)의 공기 출구 포트에서의 유동 속도는 더 크게 되고 발생된 회전 토오크는 더욱 증가한다.
또한, 기류는 복수개의 터빈(5) 블레이드 간극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소음은 발생된 회전 토오크의 크기 이하로 작게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따라서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흡입 노즐체(100)의 주 노즐(4) 및 터빈(5)을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을 따라서 도시된 횡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의 특징은 유동 통로 단면적이 각각의 선행 실시예에 대해서 주 노즐(4)상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유동 통로 단면적의 감소에 있다.
다른 구성 수단은 본 발명의 선행 실시예에 공통적이기 때문에, 인용 부호는 선행 실시예와 동일한 인용 부호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다른 구성 구단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될 것이다.
주 노즐(4)의 유동 통로(6)는 안내부(15)와 측벽부(16)의 내면으로 구성되고 공기를 터빈(5)의 외주연으로 송풍시키기 위해서 개방된다. 유동 통로의 폭은 일정하지만 반경 방향으로의 안내부(15)의 높이(노즐의 유동 통로 단면적의 높이)(hθ)는 유동 통로(6) 하류의 측면에 비례해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주 노즐(4) 및 터빈(5)에 의해서 구성되는 유동 통로 면적은 점차적으로 유동 통로(6) 하류의 측면에 비례해서 줄어들게 된다. 흡입 노즐체(100)가 일반적으로 터빈(5)의 외주연 표면에 대향하는 내주연 바닥벽부(18)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술한 사실은 유사하게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본 실시예에서, 흡입 노즐체(100)에서는, 주 노즐(4)의 기류 유입 포트(17)의 유동 통로 단면적(S)은 150㎟ 내지 250㎟이고 상기 유동 통로 단면적은 주 노즐(4)의 터빈(5)의 외주연에 대한 권취-라운딩 각(winding-round angle)(θ)에 반응해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주 노즐(4)의 기류 유입 포트(17)로부터의 각(θ) 위치에서의 유동 통로 단면적(Sθ)은 기류 유입 포트(17)의 유동 통로 단면적(Smax)과 기류 유입 포트(17)로부터 주 노즐(4)의 최종 단부까지의 각(θmax) 사이의 관계를 갖는 다음 수학식 2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Sθ= (θmax- θ) / θmaxx Smax… 수학식 2
상기에 설명한 유동 통로 단면적의 점진적인 감소는 터빈(5)의 외주연에 대향하는 주 노즐(4)의 안내부(15)를 구성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기류 유입 포트(17)로부터의 각(θ)에서의 노즐 유동 통로 단면의 높이(hθ)는 측벽들 사이의 폭(b)(주 노즐(4)의 기류 유입 포트(17)의 내벽 폭)과 기류 유입 포트(17)의 유동 통로 단면적(Smax)과 주 노즐(4)의 기류 유입 포트(17)로부터 최종 단부까지의 각(θmax) 사이의 관계를 갖는 다음 수학식 3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실현된다.
hθ= (θmax-θ) / θmaxb x Smax… 수학식 3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동 통로(6)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주연 방향 성분도 거의 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터빈(5)의 블레이드들 사이로 유동하는 공기 유동이 터빈(5)의 각 블레이드 사이에서 동일해지고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지 않게 되어 소음이 억제된다. 또한, 많은 공기 유동이 터빈(5)에 대하여 송풍될 수 있어서 큰 회전 토오크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흡입 노즐체(100)의 주 노즐(4) 및 터빈(5)을 도시하고, 도 10은 도 9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내부(15) 및 측벽부(16)가 주 노즐(4)에 마련되고, 유동 통로(6)의 단면적이 이의 하류측에서의 폭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터빈(5)의 반경 방향 높이(hθ)도 유동 통로(6)의 하류측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그 결과, 주 노즐(4) 및 터빈(5)에 의해 구성된 주 노즐(4)에서의 유동 통로(6)의 단면적은 유동 통로(6)의 하류측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상기 흡입 노즐체(100)는 터빈(5)의 외주연에 정상적으로 대향하는 내주연 바닥벽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동 통로(6)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균일하게 감소되고, 터빈(5)의 블레이드들 사이로 유동하는 공기 유동이 터빈(5)의 각 블레이드들 사이에서 거의 동일해지고,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지 않으므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많은 공기 유동이 터빈(5)에 대하여 송풍될 수 있어서 큰 회전 토오크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흡입 노즐체(100)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안내부(15) 및 주 노즐(4)의 노즐 측벽부(16)는 분할선(25a) 위치에서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으로 분할되는 흡입 노즐 케이스(10)의 상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 노즐(4)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부분은 격벽(11)으로부터 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흡입 노즐 케이스(10)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주 노즐(4)의 작동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흡입 노즐 케이스(10)와 안내부(15) 및 주 노즐(4)의 노즐 측벽부(16)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경량의 흡입 노즐체(100)을 얻을 수 있고 부품의 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흡입 노즐 케이스(10)와 주 노즐(4)을 결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흡입 노즐체(100)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흡입 노즐체(100)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의 특징은 주 노즐(4)의 내부가 개방식으로 구성되어서 주 노즐(4)의 내부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는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 노즐(4)의 측벽부(16)는 흡입 노즐 케이스(10)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주 노즐(4)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부분은 분할선(25b)의 위치에서 연속 구조로 일체로 형성된다.
주 노즐(4)의 안내부(15)는 스프링 로딩된 후크(20, 24)를 사용하는 흡입 노즐 케이스(1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주 노즐(4)의 측벽부(16)의 외주연은 막히게 된다.
후크(20, 24)를 구부림으로써 주 노즐(4)의 안내부(15)가 흡입 노즐 케이스(10)로부터 분리되고, 이로써 주 노즐(4)의 안내부(15)를 흡입 노즐 케이스(10)와는 별개로 꺼낼 수 있다. 터빈(5)에 대한 주 노즐(4)의 작동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주 노즐(4)의 내부 또는 터빈(5) 주변부에 수집되면 주 노즐(4)의 안내부(15)를 꺼내고 주 노즐(4)의 내부 또는 터빈(5) 주변부를 개방시킨다.
이렇게 해서 주 노즐(4)의 내부 또는 터빈(5) 주변부로부터 쌓인 먼지를 꺼낼 수 있다.
또한, 특히 공구 수단 없이 주 노즐부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먼지 막힘을 제거하는 등의 보수 작업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흡입 노즐체(100)를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여러 실시예에서 설명한 주 노즐(4)은 터빈(5) 및 회전 브러시(3)가 동일 축 상에 장착되어 있는 흡입 노즐체 구조물에 사용되며, 이러한노즐체 구조물에서는 상기에 설명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체(100)에서는 회전 브러시(3)의 회전 축(32) 양단부에 장착된 터빈(5)을 갖는 두 쌍의 터빈 구조에 의해 회전 브러시(3)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토오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흡입 노즐체(100)에서는 깨끗한 공기가 터빈(5) 안에 송풍되는 공기로서 사용된다.
도 22는 흡입 노즐체(100)의 내부 구조가 투명 구조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흡입 노즐체(100)의 터빈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4는 흡입 노즐체(100)의 회전 브러시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5는 흡입 노즐체(100)의 터빈부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다른 구성 수단이 본 발명의 전자의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이기 때문에, 도면 부호들은 전자의 실시예의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따라서 다른 구성 수단에 대한 이중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될 것이다.
회전 브러시(3)는 흡입 노즐체(100)내에 장착되고 회전 브러시실(1)을 가로지른다. 이러한 회전 브러시(3)는 모든 단부들쪽으로 돌출한 회전 축(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축(32)은 지지 유닛(42)을 통해 흡입 노즐 케이스(34)에 장착된다.
터빈(5)은 회전 축(32)의 양 단부들에 장착되며 진공 청소기 주 본체(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작용시킴으로써 회전 토오크를 발생하도록 공기 터빈구조를 구성한다.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흡입 먼지 개구부(26)는 흡입 노즐체(100)의 저부면에 제공된다. 회전 브러시실(1)을 플로어면(36)쪽으로 유도하도록 개구부(26)가 개방된다. 회전 브러시(3)의 브러시부 또는 블레이드 수단을 플로어면(36)에 작용시킴으로써, 플로어면(36)이 충격을 받아 먼지들이 제거된다. 개구부(26)는 주변 공기를 수반한 제거된 먼지를 흡입한다.
도 23 및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안내판(33)은 상술한 터빈(5)의 외주연에 제공된다. 흡입 노즐 케이스(34)의 후방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 포트(35)로부터 청정 공기가 흡입된다. 안내판(33)은 청정 공기를 터빈(5)의 축방향 외측 영역의 외주연으로부터 내부로 송풍함으로써 상술한 청정 공기를 터빈(5)으로 유도한다.
흡입 노즐 케이스(34)에 형성된 공기 흡입 포트(35)로부터 흡입된 청정 공기는 안내판(33)의 넓은 범위의 후방부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각 안내판(33)의 방향에 따라서, 청정 공기는 넓은 범위의 터빈(5)의 외주연으로부터 터빈(5)의 블레이드 공간(5a 내지 5e)까지 형성된 공간으로 유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터빈(5)의 외주연의 넓은 범위는 약 250°이다.
청정 공기는 터빈(5)의 축방향의 내측 영역으로 유동하고 구동 동력을 터빈(5)으로 전달한다. 청정 공기는 회전 브러시실(1)의 중앙부로 유도되어 터빈(5)으로부터 유출된다. 청정 공기는 연장 파이프(104)를 통해 수납 포트(7)를 지나서 최종적으로 진공 청소기 주 본체(101)로 흡입된다.
회전 브러시(3)에 의해 충격을 받은 먼지는 주로 흡입 먼지 개구부(26)로부터 흡입된 공기에 의해 수집된다. 회전 브러시실(1)에 있어서, 터빈(5)에서 나온 공기는 수납 포트(7)에 대해 브러시실(1)에 수집된 먼지를 운반하는 공기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빈(5)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터빈(5)의 넓은 범위의 외주연으로부터 유동되기 때문에, 공기 흡입 포트(35)에서 취한 청정 공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큰 회전 토오크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터빈(5)에서 회전 브러시실(1)로 유출된 공기는 회전 브러시실(1)에 축적된 먼지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터빈(5)에 작용한 공기가 깨끗해지기 때문에, 터빈(5)의 블레이드 공간 및 안내판(33)과 같은 정지 부재에 먼지가 달아 붙는 것으로 인해 공기의 자유 이동 및 자유 회전이 방해받지는 않는다.
따라서, 터빈(5)의 형상 구조, 안내판(33)의 형상 및 터빈(5)과 안내판(33) 사이의 간극은 최대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하게 쉽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소량의 흡입 공기로 필요한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터빈(5)의 블레이드의 외주연 단부와 안내판(33)의 내주연 단부 사이의 간극이 더 적어진다면, 회전 중에, 터빈(5)의 블레이드의 외주연 단부 및 안내판(33)의 내주연 단부가 복수개의 부분에서 일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큰 소음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된 큰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빈(5)의 블레이드 및 안내판(33)은 복수개의 부분에서 일치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를 견고히 위치시키기 위하여, 터빈(5)의 블레이드에는 36°의 피치가 형성되고 안내판(33)에는 19°의 피치가 형성된다.
도 26에는, 상술된 실시예에서 터빈(5)으로 유입되는 청정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복수의 공기 흡입 포트(35a, 35b 및 35c)가 흡입 노즐 케이스(34)에 형성되는 흡입 노즐체(100)의 변경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은 상술된 실시예에서, 흡입 노즐 케이스(34)의 상부 판이 흡입 노즐체(100)의 높이 치수를 작게하도록 낮게 형성된 흡입 노즐체(100)의 변경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청정 공기를 터빈(5)으로 보내는 영역은 전방 및 후방 영역 두 영역으로 나뉜다. 청정 공기를 두 영역으로 흡입하기 위해, 2개의 공기 흡입 포트(35c, 35d)는 전방 및 후방 방향에서 흡입 노즐 케이스(34)에 형성된다.
도 28은 상술된 실시예에서, 청정 공기를 터빈(5)으로 보내기 위해, 노즐형 구조가 복수의 공기 흡입 포트(35e, 35f 및 35g)에 형성되는 흡입 노즐체(100)의 변경예를 도시한다.
도 29 내지 도 33은 큰 회전 토오크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형태의 터빈(5)을 도시한다.
도 29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체의 터빈(5)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터빈(5)의 정면도이고, 도 31은 도 30의 선 XXXI-XXX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선 XXXII-XXX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3은 도 30의 선 XXXIII-XXX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터빈(5)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터빈(5)의 블레이드(5g)의 기부 바닥부의 깊이는 축방향을 향해 각각의 위치에서 다르고, 블레이드는 중앙부가 가장 깊고 모든 단부들쪽이 얕아지도록 매끄럽게 만곡되어 있다.
터빈(5)이 회전 축(32)에 장착된 상태에서, 블레이드(5g1) 쪽의 내측 영역(회전 브러시(3)의 영역)은 도 30 및 도 32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축(32)의 중심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보조 블레이드(5g2)는 블레이드(5g1)의 외주연 주위에 형성되고 주연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외측 영역(회전 브러시(3)에 대향한 영역, 5g3)은 안내판(33)에 대향한 구배로 형성된다.
진공 청소기 주 본체(101)가 작동하여 흡입 공기를 발생시킬 때, 안내판(33)에 의해 유동 방향으로 유도된 공기는 터빈(5)의 외주의 축방향 외측 영역(5g3)으로부터 흡입되고 공기는 회전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터빈(5)으로 들어간다.
이 때에, 블레이드(5g1)가 구배에 대향하여 안내판(33)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이 거의 없다. 터빈(5)으로 들어오는 공기가 절곡형 기부 바닥부에 의해 블레이드형 공간으로 안내되어 축방향의 내측으로 방향을 부드럽게 바꾸기 때문에, 터빈(5)에 대해 회전 토오크가 효과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터빈(5)으로 들어오는 공기가 축방향 블레이드(5g1) 쪽의 내측 영역으로부터 유출되는 것과 동시에 공기가 상기 영역내에 형성된 보조 블레이드(5g2)에 작용하고,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터빈(5)은 소음이 없어지고 공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한 큰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터빈(5)이 흡입 먼지 개구부(26)를 관통하지 않는 청정 공기를 이용하도록 회전되는 흡입 노즐체(100) 구조에 사용되기에 적당하다.
폐기물이 회전 브러시(3)에 끼거나, 머리카락이 주위에 감기므로,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 브러시(3)를 탈착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4와 도 35는 흡입 노즐 케이스(34)가 상부 케이스(34a) 및 하부 케이스(34b)의 2개 부분으로 분할되는 흡입 노즐체(100)를 도시한다.
지지 유닛(42)은 분할선(34e)으로 도시된 부분에 의해 지지되고 개재된다. 안내판(33)은 그룹(33a) 및 그룹(33b)의 2개 그룹으로 분할된다. 그룹(33a)의 안내판은 상부 케이스(34a)에 장착되고, 그룹(33b)의 안내판은 하부 케이스(34b)에 장착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고, 도 35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 케이스(34)의 상부 케이스(34a) 및 하부 케이스(34b)가 독립적으로 분리되므로 흡입 노즐체(100)의 청소는 터빈(5)과 회전 브러시(3)를 함께 꺼내어 수행될 수 있다.
청정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공기 흡입 포트에서 진공 청소기 주 본체(10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따라 터빈(5)에 깨끗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터빈(5)이 회전되는 흡입 노즐체(100)에 따르면, 통과하는 공기의 저항을 큰 단면적으로 작게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6 및 도 37은 전술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흡입 노즐체(10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36은 흡입 노즐체(100)의 외형을 나타내고, 도 37은 도 36의 선 XXXVII-XXXVII를 따라 취한 흡입 노즐체(1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대형 흡입 포트(35h)를 형성하기 위해, 흡입 노즐체(100)는 터빈실(2)로부터 회전 브러시실(1)의 후방부로 연장되는 흡입 노즐 케이스(34)와 함께 공기 흡입 상자부(34c)를 일체로 형성한다. 필터 수단(43)이 공기 흡입 상자부(개구, 35h)의 내부에 제공된다.
필터 수단(43)은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인체의 안전을 보장한다. 이러한 대형 공기 흡입 포트(35h)가 흡입 노즐 케이스(34)의 후방부에 존재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구성되므로, 흡입 노즐체(100)의 외형은 과도하게 크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터빈 구조를 사용하여 회전 브러시(3)가 구동되는 흡입 노즐체(100)에서, 진공 청소기 주 본체(101)로부터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터빈(5)에 효과적으로 도입되므로 큰 회전 토오크가 발생될 수 있다.
흡입 노즐체(100)에 제공되는 회전 브러시(3)는, 회전 브러시(3)의 회전에 대한 긴 털을 갖는 카페트에 따른 높은 저항을 나타내는 바닥 조건에서도 원활하게 회전가능하므로 카페트 깊숙한 곳의 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흡입 노즐체(100)의 각각이 설치된 진공 청소기의 청소 능력은 향상될 수 있고 청소 작업 노동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와 흡입 노즐체를 갖는 진공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8은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9는 흡입 포트 덮개가 제거된 흡입 노즐체의 평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1은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상부면도이다.
흡입 노즐체(200)는 골격 구조로서 흡입 노즐 주 본체(201)를 갖는다. 흡입 노즐 주 본체(201)는 그 높이의 대체로 중앙부에서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흡입 노즐 주 본체(201)는 하부 케이스(202)와 상부 케이스(203)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202)는 흡입 노즐 주 본체(201)의 외부 형태를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203)는 하부 케이스(202)의 상부 후방부에 제공된다.
회전 청소 부재로서의 회전 브러시(205)를 덮는 흡입 포트 덮개(204)가 흡입 노즐 주 본체(201)의 상부 전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된다. 흡입 포트 덮개(204)는 회전 브러시(205)를 덮는다.
케이스(206)가 흡입 노즐 주 본체(201)의 후방 단부에서 상향 및 하향으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흡입 커플링(207)이 케이스(206)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개폐 레버(208)가 흡입 포트 덮개(204)에 내측에 제공되고 횡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개폐 레버(208)의 조작에 의해, 흡입 포트 덮개(204)는 하부 케이스(202) 및 상부 케이스(203)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회전 브러시(205)는 흡입 노즐체(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회전 브러시(205)는 청소할 면의 청소를 수행한다.
2개의 회전 축(209)이 회전 브러시(205)의 양단부에 가압 삽입된다. 하나의 터빈(210A)이 회전 축(209)에 삽입된다. 또 다른 터빈(210B)이 터빈(210A)에 대향으로 제공된다. 터빈 부재(210)가 터빈(210A, 210B)들로 구성된다.
다음에 회전 브러시(205)의 회전 수단이 도면을 참조해 설명된다. 도 42는 도 38의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3은 흡입 포트 덮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4는 도 43의 선 XXXXIV-XXXXIV를 따라 취한 흡입 포트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3의 선 XXXXV-XXXXV을 따라 취한 흡입 포트 덮개의 단면도이고, 도 46은 도 43의 선 XXXXVI-XXXXVI를 따라 취한 흡입 포트 덮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체(200)의 본 실시예에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노즐(211, 212, 다중 블레이드 노즐)이 터빈(210)의 외주연을 덮음으로서 제공되고 공기를 터빈(210)으로 송풍한다. 상부측 다중 블레이드 노즐(211)이 흡입 포트 덮개(204)의 배면에 고정되고, 하부측 다중 블레이드 노즐(212)이 하부 케이스(202)에 고정된다.
다음에 회전 브러시(205)를 회전시키는 작동이 설명된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210)에 송풍된 공기는 후방부 흡입 포트(213)와 상부 흡입 포트(214)에 의해 흡입된다. 후방부 흡입 포트(213)는 흡입 노즐체(200)의 상부 케이스(203)의 후방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공기 통과 구멍(215)을 갖는다. 상부 흡입 포트(214)는 흡입 노즐체(200)의 상부 케이스(203)의 상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공기 통과 구멍(215)을 갖는다.
도 47은 후방부 흡입 포트(21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후방부 흡입 포트(213)는 상부 케이스(203)의 절반 두께의 판으로 형성되고, 공기 통과 구멍(215)은 판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203)의 흡입 포트에 형성된다.
공기 통과 구멍(215)이 상부 케이스(203)의 흡입 구멍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흡입 노즐체(200)의 분해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흡입 노즐체(200)의 재활용성이 향상된다.
공기는 후방부 흡입 포트(213) 및 상부 흡입 포트(214)로부터 흡입되고,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관통 통로(217A)에는 하부 케이스(202)와 상부 케이스(203)의 전방벽과, 하부 케이스(202)의 외벽과 상부 케이스(203)의 외벽에 의해 형성된 격벽(2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216B)과 공기 관통 통로(217B)가 회전 브러시(205)의 전방측에 유사하게 형성된다.
도 38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흡입 포트(213)와 상부 흡입 포트(214)의 공기 관통 구멍(127)(127A, 127B)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공기 관통 통로(217A)를 통해 하부 케이스(202)와 일체로 형성된 안내벽(218)에 의해 막히게된다. 공기는 다중 블레이드 노즐(211, 212)로 안내되고, 터빈(210)으로 송풍된다.
후방부 흡입 포트(213) 및 상부 흡입 포트(214)의 공기 관통 구멍(127A, 127B)으로부터 흡입된 대부분의 공기가 이러한 다중 블레이드 노즐(211)의 측면으로부터 터빈(210)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공기는 다중 블레이드 노즐(211) 및 다중블레이드 노즐(212)의 전방면으로 거의 유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체(200)의 상기 실시예는 공기가 다중 블레이드 노즐(211)의 전방측으로 유동되어 터빈(210)(회전 브러시(205))의 토오크가 개선되는 것을 지향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도입 포트(219)는 흡입 본체(200)(흡입 포트 덮개(204))의 측면에 제공된다.
공기 도입 포트(219)를 제공함으로써, 공기는 다중 블레이드 노즐(211) 및 다중 블레이드 노즐(212)의 전방측으로 유동되고, 따라서 터빈(210)(회전 브러시(205))의 토오크는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공기 도입 포트(219)의 수 및 위치는 수요에 따라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도입 포트(219)는 흡입 포트 덮개(204) 상에 제공될 수도 있는데, 상기 흡입 포트 덮개는 터빈(210)의 상부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공기가 터빈(210)으로 송풍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터빈(210)으로 송풍된 후에, 공기는 흡입 포트(220)로 유동되고 케이스(206) 및 흡입 노즐 커플링(207)을 통해 진공 청소기 주 본체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체(200)의 실시예에서, 흡입 노즐체(200) 후방부 흡입 포트(213) 및 상부 흡입 포트(214)의 공기 통과 구멍(215)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터빈(210)으로 유동되고, 공기는 케이스(206) 및 흡입 노즐 커플링(207)을 통해 진공 청소기 주 본체로 흡입된다. 따라서, 공기는 고속으로 회전됨으로써 흡입 포트(220) 내의 중심부로 이동되고, 결과적으로 소용돌이 유동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실시예의 흡입 노즐체(200)에서, 터빈(210) 및 회전 브러시(205)는 후방부 흡입 포트(213) 및 상부 흡입 포트(214)의 공기 통과 구멍(215)으로부터 흡입된 공기 및 흡입 포트(220)에서 발생된 소용돌이 유동에 따라 회전된다.
전술된 양쪽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제거되어야 할 표면의 먼지는 감겨지고 흡입됨으로써, 흡입 노즐체(200)의 먼지 수집 성능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체(200)의 실시예에서, 흡입 노즐체(200)가 청소되어야 할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남게 되는 작업 조작 중에, 대부분의 공기가 흡입 포트(220)로부터 흡입되고, 후방부 흡입 포트(213) 및 상부 흡입 포트(214)의 공기 통과 구멍(215)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감소되기 때문에, 터빈(210) 및 회전 브러시(205)의 회전수는 감소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체(200)의 실시예에서, 터빈(210) 및 회전 브러시(205)의 수는 청소되어야 할 표면의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체(200)의 유지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체(200)의 실시예에서, 흡입 포트 덮개(204)는 흡입 노즐체(200)의 흡입 포트(220)의 상부에 위치된다.
흡입 포트 덮개(204)에서, 개폐 레버(208)는 흡입 포트 덮개(204)의 내측에서 측면 방향으로 활주된다. 개폐 레버(208)를 조작함으로써, 흡입 노즐체(200)는 하부 케이스(202) 및 상부 케이스(203)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덴트부는 흡입 노즐체(200)(흡입 포트 덮개(204))의 측면에 형성된다. 조작자가 흡입 포트 덮개(204)를 제거할 때, 조작자는 집게 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으로 덴트부를 삽입하고 엄지 손가락으로 개폐 레버(208)를 걸게 된다.
조작자가 개폐 레버(208)를 외측으로 활주시키고 흡입 포트 덮개(204)로부터 분리시키며 엄지 및 집게 손가락(가운데 손가락)으로 흡입 포트 덮개(204)를 끄집어냄으로써 제거한다.
이러한 때에, 다중 블레이드 노즐(211)은 흡입 포트 덮개(204)의 후방면에 고정되고, 또한 다중 블레이드 노즐(212)은 하부 케이스(203)에 고정되게 나사 조임되기 때문에, 단지 회전 브러시(205) 및 터빈(210)이 제거되고 청소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노즐체(200)에서 편리한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입 노즐체(200)의 실시예에 의하면, 덴트부가 흡입 노즐체(200)(흡입 포트 덮개(204))의 측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집게 또는 가운데 손가락으로 덴트부를 삽입시킬 수 있고 엄지 손가락으로 개폐 레버(208)를 걸게 될 수 있다.
조작자는 개폐 레버(208)를 외측으로 활주시키고 흡입 포트 덮개(204)로부터 분리하고, 엄지 및 집게 손가락(가운데 손가락)로 흡입 포트 덮개(204)를 끄집어냄으로써 제거하여, 흡입 포트 덮개(204)는 흡입 노즐체(2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입 노즐체(200)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향 쪽으로 활주되기 위한 개폐 레버(208)는 흡입 포트 덮개(204)의 내측에 제공되고, 청소 작업중에 흡입 노즐체(200)가 가구등과 접촉할 때에도 개폐 레버(208)는 외부 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입 노즐체(200)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재료를 이용한 회전 축(209)을 갖는 회전 브러시(205)는 서로 터빈(210)과 함께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흡입 노즐체(200)의 분해 시간이 짧아질 수 있고, 금속 부품 및 플라스틱 부품이 분리될 수 있고, 흡입 노즐체(200)의 재생 특성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상술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브러시와 같은 회전 청소 부재가 터빈 부재에 따라 직접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소형 크기의 흡입 노즐체를 얻을 수 있고, 흡입 노즐체에 의한 회전으로 인한 소음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 노즐 포트의 개방중에, 회전 브러시 및 터빈 부재와 같은 회전 청소 부재가 탈착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흡입 노즐체의 분해 시간이 짧아지고 흡입 노즐체의 재생 특성이 개선된다.

Claims (11)

  1.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에 있어서,
    흡입 노즐 주 본체와, 흡입 노즐 주 본체에 장착된 터빈 부재와, 흡입 노즐 주 본체에 형성되어 터빈 부재에 흡입 기류를 공급함으로써 터빈 부재에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유동 통로와, 흡입 노즐 주 본체의 회전 청소 부재 수납실 내에 장착되어 터빈 부재에 발생된 회전 토오크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청소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통로가 흡입 노즐 케이스에 형성된 공기 흡입 포트로부터 청정 공기를 흡입하여 이 청정 공기에 소정의 방향을 제공함으로써 청정 공기를 터빈 부재의 외주연으로부터 터빈 부재 안으로 송풍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터빈 부재 내의 기류가 회전 청소 부재 수납실 안으로 유동되며,
    상기 유동 통로가 다수의 안내판을 갖고, 상기 유동 통로 내에 마련된 안내판이 터빈 부재의 외주연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터빈 부재 안으로 송풍되는 기류에 방향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2. 제1항에 있어서, 유동 통로 내에 마련된 안내판이 터빈 부재의 블레이드에 대한 구배를 갖고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동 통로 내에 마련된 안내판이 복수개의 위치 설정부에서 터빈 부재의 블레이드와 동시에 일치하지 않는 피치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공기 흡입 포트가 터빈 부재의 외주연에 대향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5. 제1항에 있어서, 공기 흡입 포트가 회전 청소 부재 수납실의 후방 위치 쪽으로 가면서 확장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6. 제5항에 있어서, 필터 부재가 공기 흡입 포트의 개방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7. 제1항에 있어서, 터빈 부재가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로부터 공기 속으로 송풍하기 위한 축방향의 외측 영역 및 블레이드의 공간에 공기를 유동하기 위한 내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빈 부재의 블레이드의 기부 바닥부의 깊이가 축방향 중앙부에서 깊게 형성되도록 매끄럽게 만곡되고, 상기 터빈 부재의 외측 영역이 안내판에 대한 구배를 갖고 고정되고, 상기 터빈 부재의 내측 영역이 터빈 부재의 회전 축 중심에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8. 제7항에 있어서, 터빈 부재의 블레이드의 내측 영역의 외주연 모서리 부분에 보조 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블레이드가 터빈 부재의 주연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9.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빈 부재와 유동 통로가 회전축의 양단부 부분들 상에 마련되고, 터빈 부재의 회전축이 회전 청소 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10. 제9항에 있어서, 터빈 부재의 회전축의 양단부 부분들을 지지하는 베어링 유닛들이 흡입 노즐 케이스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지지 및 샌드위치되고, 상기 흡입 노즐 케이스가 상하 방향으로 두개의 부품들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11.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 주 본체를 갖고 있는 진공 청소기가 제1항에 기재된 흡입 노즐체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노즐체가 진공 청소기 주 본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1019990059586A 1995-07-14 1999-12-21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100298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886095A JP3300574B2 (ja) 1995-07-14 1995-07-14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95-178680 1995-07-14
JP17868095A JP3192063B2 (ja) 1995-07-14 1995-07-14 電気掃除機用吸口及び電気掃除機
JP95-178860 1995-07-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365A Division KR100260369B1 (ko) 1995-07-14 1996-07-13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8604B1 true KR100298604B1 (ko) 2001-09-22

Family

ID=264987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365A KR100260369B1 (ko) 1995-07-14 1996-07-13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1019990059586A KR100298604B1 (ko) 1995-07-14 1999-12-21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365A KR100260369B1 (ko) 1995-07-14 1996-07-13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0260369B1 (ko)
CN (1) CN1154429C (ko)
TW (2) TW36884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1599A (zh) * 2010-12-23 2012-07-11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器风动地刷
CN111035319A (zh) * 2018-10-12 2020-04-21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扫地机器人的壳体以及扫地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59B1 (ko) * 2002-05-11 2005-03-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100855677B1 (ko) * 2002-08-29 2008-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KR100572153B1 (ko) * 2004-04-02 2006-04-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브러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KR100617163B1 (ko) * 2004-10-12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노즐어셈블리
CN103190862B (zh) * 2012-01-06 2015-12-09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风动地刷及其真空吸尘器
CN104367268B (zh) * 2013-08-13 2017-06-16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改进型吸尘器地刷
CN104674737B (zh) * 2013-11-28 2018-01-02 长沙中联重科环境产业有限公司 吸嘴和道路清洁车辆
DE102014114375A1 (de) * 2014-10-02 2016-04-0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Angetriebene Bürste als Vorsatzgerät für einen Staubsauger
CN104939746A (zh) * 2015-05-21 2015-09-30 苏州展翘电器有限公司 一种集尘风道和涡轮驱动风道分离结构的风动滚刷
CN110710928A (zh) * 2018-07-11 2020-01-21 尚科宁家(香港)股份有限公司 一种表面清洁头
CN109222752B (zh) * 2018-09-20 2024-03-15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降速结构的吸尘器尘桶及吸尘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1599A (zh) * 2010-12-23 2012-07-11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器风动地刷
CN111035319A (zh) * 2018-10-12 2020-04-21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扫地机器人的壳体以及扫地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59600B (en) 1999-06-01
CN1154429C (zh) 2004-06-23
KR970005211A (ko) 1997-02-19
KR100260369B1 (ko) 2000-07-01
CN1191102A (zh) 1998-08-26
TW368848U (en)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604B1 (ko)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JP4555326B2 (ja) 排気アセンブリ
JP4515095B2 (ja) 真空掃除機
KR100398687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US8308832B2 (en)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US20020178699A1 (en) Grill assembly of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GB2418630A (en) Cyclonic separator with noise reducing feature
KR20020092111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JP4809200B2 (ja) 真空掃除機
KR100736666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장치
KR20030008568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JP2004167206A (ja) グリル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4315963B2 (ja) サイクロン集塵器
JP2007038126A (ja) 空気清浄機
AU2008238967B2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JP3192063B2 (ja) 電気掃除機用吸口及び電気掃除機
KR20020056320A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청소구조
JPH1147050A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6006454A (ja) 電気掃除機
JPH1147051A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H1156704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930005849Y1 (ko) 습, 건식 청소기의 유로(流路)구조
KR101256102B1 (ko) 진공청소기
SU1736421A1 (ru) Пылесос
JPH1017947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