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677B1 -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677B1
KR100855677B1 KR1020020051593A KR20020051593A KR100855677B1 KR 100855677 B1 KR100855677 B1 KR 100855677B1 KR 1020020051593 A KR1020020051593 A KR 1020020051593A KR 20020051593 A KR20020051593 A KR 20020051593A KR 100855677 B1 KR100855677 B1 KR 100855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turbine
belt
suction hole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0138A (ko
Inventor
민영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67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44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for conveying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흡입부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저면에 형성된 흡입공(12)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된 공기를 연장관(20)으로 안내하는 흡입부 케이싱(10)과; 상기 흡입공(12)의 직상부에 설치되고, 케이싱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솔부재(32)를 포함하는 에지테이터와; 연장관(20)의 직전에 설치되고, 흡입되는 공기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쌍의 터빈(42,44); 그리고 상기 한쌍의 터빈의 중심부분과, 상기 회전축(30)의 중간부분을 연결하여, 터빈에서의 회전동력을 회전축에 전달하는 벨트(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청소기, 흡입, 에지테이터, 벨트, 터빈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부{Suction portion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부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부의 내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입부 케이싱 12 ..... 흡입공
14 ..... 통기공 20 ..... 연장관
30 ..... 회전축 32 ..... 솔부재
40, 42, 44 ..... 터빈 52 ..... 연결부
A ..... 에지테이터 B ..... 벨트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흡입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펫트 청소용 에지테이터를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더욱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부를 도시한 것으로, 흡입부의 상면을 제거한 상태에서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부 케이싱(10)의 저면 에는 흡입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공(12)은, 청소기본체(도시 생략)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외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공(12)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부 케이싱(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기공(14)을 경유하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20) 속으로 유입된다. 상기 연장관(2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 케이싱(10)과 연장관(20) 사이의 통로에는 터빈(16)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빈(16)은 연장관(20)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작동이 시작되어, 상기 흡입공(12)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터빈(16)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12)의 직상부에는, 에지테이터(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지테이터(A)는, 흡입부 케이싱(10)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에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솔부재(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솔부재(32)는, 에지테이터(A)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면서, 카펫트 등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에지테이터(A)의 회전에 따라 솔부재(32)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솔부재(32)는 흡입공(12) 저면으로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카펫트 등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내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털어내어진 이물질은, 상기 흡입공(12) 및 통기공(14)을 경유하여, 연장관(20) 속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흡입되는 공기는, 연장관(20)의 직전에 설치되어 있는 터빈(16)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터빈(16)의 일측에는 벨트(24)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벨트(24)는 에지테이터의 회전축(30)에 같이 걸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터빈(16)의 회전은 벨트(24)를 통하여, 에지테이터(A)의 회전축(3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에지테이터(A)가 회전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공(12)의 하부로 돌출되는 솔부재(32)가 카펫트의 먼지를 털어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흡입공(12)을 통하여 유입되어, 연장관(20)을 통하여 청소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에지테이터(A)가 회전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공(12)의 하부로 돌출되는 솔부재(32)가 카펫트의 먼지를 털어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흡입공(12)을 통하여 유입되어, 연장관(20)을 통하여 청소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기 터빈(16)의 일측(좌측면)에서, 벨트(24)가 에지테이터(A)의 회전축(30)과 연결되어 있다. 즉, 동력전달을 위한 벨트(24)가 터빈(16) 및 회전축(30)에서 일측에 치우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벨트에 의하여 회전하는 에지테이터(A)의 회전축(32)은, 중심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일측으로 치우진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에지테이터(A)의 회전축(30)이 균형 잡힌 상태에서 회전하여야 하나, 동력 전달이 일측에 치우진 상태에서 수행되고 있어서, 회전축(30)의 회전시 불균형을 이룰 우려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터빈(16)은 한개로 구성하고 있어서, 흡입공(12)을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연장관(20)으로 유입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충분하게 회전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즉, 상기 터빈(16)이 충분히 회전해야만 상기 에지테이터(A)가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터빈(16)을 충분히 회전시키는 것이 요구되지만, 종래와 같이 한개의 터빈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지테이터를 충분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지테이터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부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저면에 형성된 흡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된 공기를 연장관으로 안내하는 흡입부 케이싱과; 상기 흡입공의 직상부에 설치되고, 케이싱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솔부재를 포함하는 에지테이터와; 연장관의 직전에 설치되고, 흡입되는 공기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쌍의 터빈; 그리고 상기 한쌍의 터빈의 중심부분과,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분을 연결하여, 터빈에서의 회전동력을 회전축에 전달 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터빈은 그 중심부분이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연결부에 걸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빈을 한쌍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흡입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충분하게 회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자의 중심부분에 벨트로 연결함으로써 에지테이터의 회전시 더욱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연장관(20)의 하단부에는 흡입부 케이싱(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부 케이싱(10)은 방바닥 또는 카펫트 등과 같은 바닥면에서, 이물질과 같이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 케이싱(10)의 저면에는 흡입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공(12)은, 청소기본체(도시 생략)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외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공(12)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부 케이싱(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기공(14)을 경유하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20) 속으로 유입된다. 상기 연장관(2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흡입부 케이싱(10)과 연장관(20) 사이의 통로에는 한쌍의 터빈(4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터빈(40)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터빈(42,44)은 중간에서 연결부(5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항상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터빈(42,44)은 연장관(20)의 직전에 설치되어 있고, 연장관(20)의 흡입 단면적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터빈(40)은, 흡입부 케이싱(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연장관(20)의 직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기 터빈(42,44)은, 상기 흡입공(12)으로 흡입되어 연장관(20)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작동이 시작되어, 상기 흡입공(12)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터빈(40)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빈(42,44)은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관(20)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것에 비하여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터빈(40)은, 연장관(20)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이 충분히 넓게 되어 보다 원활하면서도 충분한 회전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12)의 직상부에는, 에지테이터(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지테이터(A)는, 흡입부 케이싱(10)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에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솔부재(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솔부재(32)는, 에지테이터(A)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면서, 카펫트 등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에지테이터(A)의 회전에 따라 솔부재(32)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솔부재(32)는 흡입공(12) 저면으로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카펫트 등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내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털어내어진 이물질은, 상기 흡입공(12) 및 통기공(14)을 경유하여, 연장관(20) 속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흡입되는 공기는, 연장관(20)의 직전에 설치되어 있는 터빈(40)을 회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터빈(40)의 중심에는 벨트(B)가 설치되는데, 상기 벨트(B)는 에지테이터의 회전축(30)에 같이 걸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터빈(40)의 회전은 벨트(B)를 통하여, 에지테이터(A)의 회전축(30)을 회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B)가 감아 걸려지는 부분은, 터빈(40) 및 회전축(30)의 정중앙 부분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터빈(40)에서 벨트(B)가 걸려지는 부분은, 예를 들면 한쌍의 터빈(42,44)을 중심부분에서 연결하는 연결부(52)이다. 상기 연결부(5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터빈(42,44)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에지테이터(A)에 있어서도, 상기 벨트(B)는 중심부분에 걸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B)가 걸려지는 연결부(52)(또는 한쌍의 터빈의 중심부분) 및 회전축(30)의 중심부분에는, 벨트(B)가 감아 걸린 상태에서 미끄럼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풀리부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벨트(B) 자체와 벨트에 의하여 전달되는 회전동력의 손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구성의 변화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흡입부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진공청소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진공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흡입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부 케이싱(10) 저면에 형성된 흡입공(12)을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되는 공기는, 통기공(14)을 통하여 연장관(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연장관(20)의 직전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터빈(42,44)이 흡입공기의 흐름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상기 터빈(4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력은, 벨트(B)를 통하여 에지테이터(A)의 회전축(30)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에지테이터(A)는 터빈(40)의 회전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에지테이터(A)의 솔부재(32)의 하단부는, 흡입공(12)의 저면으로 돌출한 상태이기 때문에, 에지테이터(A)의 회전에 의하여 카펫트 등의 표면을 털어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털어지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연장관(20)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2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 내부에 내장된 필터장치에 의하여 필터링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빈(40)을 한쌍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충분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회전력은 터빈(40) 및 회전축(30)의 정중앙에 설치되는 벨트에 의하여 에지테이터(A)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것에 비 하여 보다 충분한 회전 및 회전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빈(40) 자체를 한쌍으로 구현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연장관으로 흡입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종래의 것에 비하여 충분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회전력은, 터빈(40) 및 회전축(30)의 정중앙에 설치되는 벨트(B)에 의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에지테이터(A)의 회전시 안정감을 더욱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충분한 에지테이터의 회전을 확보함은 물론이고, 에지테이터의 회전시보다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저면에 형성된 흡입공(12)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된 공기를 연장관(20)으로 안내하는 흡입부 케이싱(10)과;
    상기 흡입공(12)의 직상부에 설치되고, 케이싱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솔부재(32)를 포함하는 에지테이터와;
    연장관(20)의 직전에 설치되고, 흡입되는 공기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쌍의 터빈(42,44); 그리고
    상기 한쌍의 터빈의 중심부분과, 상기 회전축(30)의 중간부분을 연결하여, 터빈에서의 회전동력을 회전축에 전달하는 벨트(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터빈은 그 중심부분이 연결부(52)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연결부에 걸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KR1020020051593A 2002-08-29 2002-08-29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KR100855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593A KR100855677B1 (ko) 2002-08-29 2002-08-29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593A KR100855677B1 (ko) 2002-08-29 2002-08-29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138A KR20040020138A (ko) 2004-03-09
KR100855677B1 true KR100855677B1 (ko) 2008-09-03

Family

ID=3732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593A KR100855677B1 (ko) 2002-08-29 2002-08-29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872A1 (ko) * 2009-11-09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8772A (zh) * 2018-03-07 2018-08-10 苏州艾利欧电器有限公司 风动地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369B1 (ko) * 1995-07-14 2000-07-01 가나이 쓰도무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JP2001161610A (ja) * 1999-12-13 2001-06-19 Sharp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369B1 (ko) * 1995-07-14 2000-07-01 가나이 쓰도무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노즐체 및 흡입 노즐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JP2001161610A (ja) * 1999-12-13 2001-06-19 Sharp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872A1 (ko) * 2009-11-09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노즐
US8695160B2 (en) 2009-11-09 2014-04-15 Lg Electronics Inc. Nozzle of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138A (ko)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06629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KR10085567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부
KR10050905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JPH04288111A (ja) 電気掃除機
US20060117522A1 (en) Suction apparatus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0176467Y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 브러시 분말 여과장치
KR10069425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H119524A (ja) 真空掃除機の吸入装置
JPS61238221A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S61238219A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KR2005010855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3128046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00617200B1 (ko) 진공청소기용 노즐어셈블리
KR20090071234A (ko) 진공청소기
KR100565694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어셈블리
KR100199933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100492593B1 (ko) 업라이트 청소기
JPS60173398A (ja) 送風機
KR100539745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유동발생장치
KR20036405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606796B1 (ko) 진공청소기용 노즐어셈블리
JP2002165734A (ja) 床用吸込具
JP3024476B2 (ja) 電気掃除機
JPS61238222A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2004337585A (ja) サイクロン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