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128B1 -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 저하 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 저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128B1
KR100298128B1 KR1019980013602A KR19980013602A KR100298128B1 KR 100298128 B1 KR100298128 B1 KR 100298128B1 KR 1019980013602 A KR1019980013602 A KR 1019980013602A KR 19980013602 A KR19980013602 A KR 19980013602A KR 100298128 B1 KR100298128 B1 KR 100298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dimethylaluminum hydride
mixed solution
demethyl
alumi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379A (ko
Inventor
이시우
이정현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정명식
Priority to KR101998001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128B1/ko
Priority to JP10224426A priority patent/JPH11158186A/ja
Publication of KR1999008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5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selected from boron, aluminium, gallium, indium, thallium or rare earth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C23C16/1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from metallo-organic compounds
    • C23C16/20Deposition of aluminium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dimethyl aluminum hydride, DMAH)의 점도 저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상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에 포스핀을 첨가함으로써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의 점도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혼합 용액은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에 의한 박막의 제조에 있어 유기금속 전구체(metal-organic precursor)로 사용될 경우 버블러형 전구체 이송 시스템에서의 버블링 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직접 액체 주입형 이송 시스템에의 적용이 용이하고 단위 시간당 증기화되는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양이 증가되어 알루미늄 박막의 대량생산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 저하 방법{METHOD OF DECREASING VISCOSITY OF DIMETHYLALUMINUM HYDRIDE WHICH IS USEFUL AS PRECURSOR IN PREPRATION OF ALUMINUM THIN MEMBRANE}
본 발명은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dimethyl aluminum hydride; DMAH)의 점도 저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상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에 포스핀을 첨가함(이하, 얻어진 용액은 "혼합 용액"이라 함)으로써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의 점도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박막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시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배선 공정에 사용되는 중요한 소재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박막은 물리증착법(PVD; physical vapor deposition)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 층덮힘(step coverage) 특성이 저조하여 그 사용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물리 증착법을 대체할 새로운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 공정으로 유기금속 전구체를 이용한 알루미늄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 화학 증착법은 반응물을 자체의 증기압을 이용하거나 운반 기체에 실어서 기체 상태로 반응기 내부로 도입하여 기상에서의 확산, 표면 흡착, 표면 반응, 표면 확산, 핵생성, 박막 성장, 탈착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과정을 통하여 원하는 성분과 형태의 박막을 주어진 기판위에 제조하는 공정이다. 최근에는 유기금속 전구체를 원료로 이용하여 금속 또는 유전체 물질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박막의 제조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일부 공정은 반도체 소자의 대량 생산을 위한 산업화에 적용되는 단계에까지 이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에 있어 유기금속 전구체의 선정은 매우 중요한데, 현재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유망한 것으로 공지된 유기금속 전구체로는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가 있다.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는 상온에서 증기압이 2.2 torr로 상대적으로 높고 상온에서 액체이며 또한 상당히 안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는 증기상태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이량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삼량체로 구성되고 액체 상태에서는 적어도 삼량체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는 분자들의 분자간 결합(intermolecular association) 경향이 매우 강하고 이러한 분자간 결합 경향으로 인해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는 점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이 디지털 점도계(digital viscometer)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여 확인한 바에 따르면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는 6,400 cp(centi poise)으로, 이는 버블러(bubbler) 형 및 직접 액체 주입 방법(direct liquid injection) 형 전구체 증기 이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구리 증착용 전구체인 구리(헥사플루오로아세틸아세토산염)트리메틸비닐실란[Cu(hexafluoroacetylacetonate)trimethylvinylsilane; (hfac)Cu(VTMS)]의 점도가 3 내지 5 cp임에 비추어 볼 때 매우 높은 값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은 점도로 인해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는 버블러를 이용한 증기 이송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버블러 내에서 운반 기체의 버블링 효율을 매우 저하시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증기의 반응기내로의 도입이 매우 어렵고 결국 버블러 형을 이용한 알루미늄 박막의 대량 생산이 어려우며, 직접 액체 주입 방법에도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카와사키 스틸사(Kawasaki Steel Co., 일본)는 버블러의 고안을 개선하여 버블링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개발한 바 있으나(미국특허공보 제 5,552,181 호), 이 경우는 버블러 형 전구체 증기 이송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이고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원액을 직접 액체 주입 방법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는다.
따라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를 유기금속 전구체로 사용하여 알루미늄 박막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먼저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블러 형 및 직접 액체 주입 방법 형의 전구체 증기 이송 시스템 모두에 적용할 수 있도록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를 저하시키고 더 나아가 알루미늄 박막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디에틸페닐포스핀(■)과 트리벤질포스핀(●)의 첨가량에 따른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의 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상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에 포스핀을 0.1 내지 5 몰%로 첨가하여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의 점도를 저하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포스핀 화합물로는 알킬, 아릴, 아릴알킬이 치환된 포스핀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3의 디에틸페닐포스핀과 하기 화학식 4의 트리벤질포스핀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스핀은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고 있어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 배위함으로써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분자간 결합을 방지하여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의 점도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상기 혼합용액의 기화 온도는 20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범위이며, 증기압은 2.2 내지 30 torr 이다.
상기 혼합용액을 유기금속 전구체로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기판위에 화학증착시켜 알루미늄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증착 공정은 50 내지 400℃에서, 1.9x10-5내지 1.9 psi의 압력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액상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에 디에틸페닐포스핀을 0.88, 1.58, 2.23 및 2.67 몰%로 각각 가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고, 이 혼합용액의 점도를 디지털 점도계(RVTDV-1, Brookfield 사)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구로는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구인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의 점도는 6,400cp인데 비해, 디에틸페닐포스핀을 2.67 몰%로 첨가한 혼합용액의 경우에는 점도가 50cp까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디에틸페닐포스핀 대신에 트리벤질포스핀을 0.08, 0.16, 0.24 및 0.37 몰%로 각각 가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혼합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리벤질포스핀을 0.37 몰%로 첨가한 혼합용액의 경우에는 점도가 60cp까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액상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에 소량의 포스핀을 첨가함으로써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의 점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혼합 용액은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에 의한 박막의 제조에 있어 유기금속 전구체로 사용될 경우 버블러형 전구체 이송 시스템에서 버블링 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직접 액체 주입형 이송 시스템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단위 시간당 증기화되는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양이 증가되어 알루미늄 박막의 대량생산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1)

  1. 액상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에 트리벤질포스핀을 0.1 내지 5 몰%로 첨가하여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액체의 점도를 저하시키는 방법.
KR1019980013602A 1997-10-21 1998-04-16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 저하 방법 KR100298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602A KR100298128B1 (ko) 1998-04-16 1998-04-16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 저하 방법
JP10224426A JPH11158186A (ja) 1997-10-21 1998-08-07 水素化ジメチルアルミニウムの粘度を下げ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602A KR100298128B1 (ko) 1998-04-16 1998-04-16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 저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379A KR19990080379A (ko) 1999-11-05
KR100298128B1 true KR100298128B1 (ko) 2001-08-07

Family

ID=3752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602A KR100298128B1 (ko) 1997-10-21 1998-04-16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 저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1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3531A (ja) * 1993-03-30 1994-10-07 Kawasaki Steel Corp Al薄膜形成方法
KR960037690A (ko) * 1995-04-28 1996-11-19 고오사이 아끼오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디메틸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를 감소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3531A (ja) * 1993-03-30 1994-10-07 Kawasaki Steel Corp Al薄膜形成方法
KR960037690A (ko) * 1995-04-28 1996-11-19 고오사이 아끼오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디메틸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를 감소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379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8947A (en) Difunctional amino precursors for the deposition of films comprising metals
TW201512177A (zh) 揮發性二氫吡嗪基及二氫吡嗪金屬錯合物
KR20160108305A (ko) 아미도이민 리간드를 포함하는 금속 착물
JP2002523634A (ja) ルテニウムまたは酸化ルテニウムを化学蒸着するための前駆物質の化学的性質
US20130052368A1 (en) Methods for preparing thin films by atomic layer deposition using hydrazines
Gaur et al. Ruthenium complexes as precursors for chemical vapor-deposition (CVD)
EP3348667A1 (en) Chemical vapor deposition feedstock comprising organic ruthenium compound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using said chemical vapor deposition feedstock
KR20020046230A (ko) 구리 소스 시약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마이크로전자장치 구조물을 위한 이의 용도
US20040247905A1 (en) Volatile copper(I) complexes for deposition of copper films by atomic layer deposition
KR20210058370A (ko) 텅스텐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텅스텐 함유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6576293B2 (en) Method to improve copper thin film adhesion to metal nitride substrates by the addition of water
KR100298128B1 (ko)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 저하 방법
KR20200123722A (ko) 형성재료, 형성방법 및 신규화합물
KR100233961B1 (ko)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에 전구체로 유용한 디메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점도 저하 방법
KR100863063B1 (ko) 화학 증착용 유기 알루미늄 전구체 용액 및 그 제조 방법
JP2000169966A (ja) 化学蒸着からの銅膜堆積のための銅化合物の溶液およびその合成方法
KR102123331B1 (ko) 코발트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막의 제조방법
KR100459609B1 (ko) 코발트 및 코발트실리사이드 박막 증착을 위한유기코발트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박막 제조방법
KR20120120182A (ko) 루테늄 착체 혼합물, 그 제조방법, 성막용 조성물, 루테늄 함유 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291147B1 (ko) 디멜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의점도저하방법
KR100257073B1 (ko) 디엠에이에이치 액체의 점도개선방법
KR20210058289A (ko) 텅스텐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텅스텐 함유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7282B1 (ko) 신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전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의 제조방법
KR20180115382A (ko) 신규한 텅스텐 전구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KR101965217B1 (ko) 탄탈럼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막의 증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