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185B1 - 줌렌즈배럴 - Google Patents

줌렌즈배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185B1
KR100297185B1 KR1019940012703A KR19940012703A KR100297185B1 KR 100297185 B1 KR100297185 B1 KR 100297185B1 KR 1019940012703 A KR1019940012703 A KR 1019940012703A KR 19940012703 A KR19940012703 A KR 19940012703A KR 100297185 B1 KR100297185 B1 KR 10029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arrel
lens
zoom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381A (ko
Inventor
마찌다기요사다
미야모또히데노리
Original Assignee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오노 시게오
Publication of KR95000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캠홈의 배럴 침동 홈부를 단축시키거나 사용하지 않고 캠홈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동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줌 렌즈배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합성 집점 거리가 광축을 따라 렌즈 그룹을 왕복 운동시킬 때 복수의 렌즈 그룹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 줌 렌즈 배럴은 상기 광축과 평행하게정렬된 복수의 안내홈과, 렌즈 그룹을 유지하고 상기 안내홈을 따라 직진 안내관과, 상기 렌즈 그룹을 왕복 운동시키고 직진 안내관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렌즈 그룹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주면내에 형성된 복수의 캠홈을 갖는 줌 캠링과,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필림면과 평행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직진 안내관의 안내홈의 필름 측단부로터 연장되고 배럴 침동시 각 안내홈에 대응하는 캠홈의 필름 측단부를 중첩시키는 전방 단부를 갖는 평행 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줌 렌즈 배럴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줌 렌즈 배럴(zoom lens barrel)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침동상태(sinking state)의 개략 단면도.
제 2 도는 넓은 각도 상태에 있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 3 도는 망원 촬영 상태(telephotographic state)에 있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 4 도는 안내홈과 캠홈의 형상과 이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제 1 도의 줌 렌즈 배럴의 줌 캠링(zoom cam ring)의 전개도.
제 5 도는 넓은 각도의 상태에 있는 제 4 도의 줌 캠링의 전개도.
제 6 도는 안내홈과 캠홈의 형상과, 이들의 관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 배럴 다른 실시예의 줌 캠링의 전개도.
제 7 도는 넓은 각도 상태에 있는 제 5 도의 줌 캠링의 전개도.
제 8 도는 종래의 줌 렌즈 배럴의 안내홈과 캠홈의 형상과, 이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전개도.
제 9 도는 종래의 줌 렌즈 배럴의 캠홈 사이의 간섭(inter ference)을 도시하는 도면.
제 10 도는 종래의 줌 렌즈 배럴의 캠홈 사이의 간섭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줌 캠홈 2 : 제 1 캠홈
3 : 제 2 캠홈 4 : 제 1 안내홈
5 : 결합핀 6 : 제 2 안내홈
7 : 결합핀 10 : 카메라 몸체
11 : 카메라 본체 12 : 줌 렌즈 배설
13 : 촬영 필름 14 : 제 1 렌즈 그룹
15 : 제 2 렌즈 그룹 17 : 직진 안내관
19 : 줌 캠링 20 : 제 1 안내홈
21 : 제 2 안내홈 22 : 평행 홈
23 : 제 1 캠홈 24 : 제 2 캠홈
27 : 제 1 렌즈 홀더 28 : 결합핀
29 : 제 2 렌즈 홀더 30 : 결합핀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복수의 렌즈그룹 사이의 간격을 가변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망원촬영(telephotographing)과 넓은 각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줌 촬영 렌즈(이하 줌 렌즈로 칭한다)를 갖는 줌 렌즈 배럴(barrel)에 관한 것이다.
[관련 배경 기술]
최근의 다중 기능을 갖는 컴팩트한(compact) 카메라는 망원 촬영 위치로 부터 넓은 각도 위치까지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는 줌 렌즈를 사용한다. 또한, 줌 렌즈가 카메라 몸체내에서 이동되는 배럴 침동형(barrel sinking type) 카메라는 카메라가 소형이고 얇게 되는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형태의 줌 렌즈는 적어도 2 세트의 렌즈그룹이 렌즈 배럴내에 왕복 가능하게 정렬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렌즈그룹 사이의 거리 변화에 의하여 임의의 상배율(image magnification)로 촬영을 위해 합성 집점 거리(compound focal length)가 변화된다.
일본 특허원 제 4-278932호에 기재된 상기 형태의 줌 렌즈를 가진 종래의 줌 렌즈 배럴은, 카메라 몸체의 측부에 있고 안내관의 외주면내에 형성된 복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안내홈을 갖는 직진 안내관과, 상기 안내홈내에 삽입된 결합핀을 가진 렌즈 홀더에 의하여 결합되고 광학축을 따라 왕복되는 복수의 렌즈 그룹과, 직진 안내관의 외주면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광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대응하는 렌즈 홀더의 결합핀이 안내홈을 통하여 삽입되는 복수의 캠홈이 외주면내에 제공된 줌 캠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줌 렌즈 배럴을 갖는 컴팩트한 카메라의 작동성 향상 및 신속한 촬영을 위하여, 렌즈 홀더와 함께 렌즈 그룹을 왕복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몸체내에 조립된 구동 모터에 의하여 줌 캠링이 회전되는 방식으로 상기 줌 렌즈는 줌 동작이 됨으로써, 렌즈 그룹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합성 집점 거리가 변하게 된다.
제 8 도는 줌 렌즈 캠링의 전개도로서, 안내홈의 형상과 줌 렌즈 배럴의 캠홈의 형상과, 이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원주 길이 A를 갖는 줌 캠링(2)은 2개의 렌즈 그룹을 왕복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원주면 상에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정렬된 복수 세트의 캠홈(3 개의 제 1 캠홈(2) 및 3 개의 제 2 캠홈(3))을 갖는다.
상기 제 1 캠홈(2)은 직진 안내관의 제 1 안내홈(4)중 하나를 따라 피사체(object)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 1 렌즈 그룹을 왕복시키며, 소정 각도에서 광축과 교차되는 경사진 줌 홈을 형성한다. 제 1 렌즈 그룹을 지지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상에 있는 각각의 결합핀(5)은 캠홈(2)과 안내홈을 결합한다. 제 2 캠홈(3)은 직진 안내관의 제 2 안내홈(6)중 하나를 따라 피사체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제 2 렌즈 그룹을 왕복시킨다.
각각의 제 2 캠홈은 얕은 V자형으로 구불어지고, 그래서 이것은 줌 캠링(1)의 원주상으로 연장된 필림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배럴 침동 홈부(3a)와, 소정 각도에서 광축과 교차되는 줌홈(3b)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그룹을 지지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 상에 제공된 각각의 결합핀(7)은 안내홈(6)을 통하여 각각의 제 2 캠홈(3)을 결합한다. 제 2 캠홈(3)의 배럴 침동 홈부(3a)는 줌 캠링(1)의 넓은 단부의 쪽에 형성된다.
상기 줌홈(3b)으로 부터 떨어진 배럴 침동 홈부(3a)의 단부(a)는 침동 배럴의 쪽에서 즉, 피사체로부터 떨어진 제 1 캠홈(2)의 단부(a) 근처에서 있는 제 1 캠홈(2)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것은 촬영이 없을 때 줌 렌즈가 카메라 몸체내에 침동시 2개의 렌즈 그룹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작게 만들고, 그럼으로써 상기 카메라는 소형으로 되고 얇게 된다.
줌 홈(3b)의 경사각(α;줌홈(3b)과 필림면 사이의 각도)은 제 1 캠홈(2)의 경사각(β)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상기 제 1 안내홈(4)과 제 2 안내홈(6)은 서로 근접하게 형성되고, 광축과 평행하고 직진 안내관의 원주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이들은 렌즈 그룹의 회전을 제한하고, 렌즈 그룹의 이동 행정을 한정시킨다.
상기 렌즈 그룹이 카메라 몸체내에 침동하고 촬영을 하지 않을 때, 상기 결합핀(5, 7)은 피사체로부터 떨어진 제 1 및 제 2 캠홈(2, 3)의 단부 즉, 제 8 도에 도시된 배럴 침동 단부(a)에 배치된다. 상기 줌 캠링(1)이 화살표(8)로 지시된 방향에서 상기 상태로부터 회전될 때, 상기 결합핀(5, 7)은 2개의 렌즈 그룹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넓은 각도쪽 단부(넓은 각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결합핀(5, 7)이 넓은 각도 단부(b)로부터 망원 촬영 단부(망원 촬영 위치; c)로 이동될 때, 상기 렌즈 그룹 사이의 거리는 다시 작게 된다.
화살표(9)는 피사체를 향한 방향 즉, 줌 렌즈의 연장 방향을 도시한다.
[발명의 요약]
상술한 줌 렌즈 배럴을 가진 컴팩트한 카메라에서, 상기 2개의 렌즈 그룹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리는 카메라를 얇고 최소형으로 만들기 위하여 비-촬영시 배럴 침동 상태에 거의 0로 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나, 상기 구조적인 이유 때문에, 렌즈 그룹 사이의 차이를 대부분의 경우에 0으로 만드는 것이 어렵다. 상기 이유중의 하나는 제 2 캠홈(3)의 침동 배럴(3a)의 길이가 꽤 길기 때문이다. 제 1 및 제 2 캠홈의 행정 및 회전 각도가 서로 같을지라도,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캠홈(3)의 배럴 침동 홈부(3a)의 길이는 제 8 도에 도시된 길이 즉, 렌즈 시스템이 넓은 각도 단부 위치(b)로부터 큰 침동 길이를 가지거나 카메라 몸체를 얇게하고 카메라를 컴팩트하게 만들기 위하여 넓은 각도 단부 위치(b)로부터 침동 위치로의 행정이 증가할 때 길이보다 더 크게 된다. 이것은 제 1 캠홈(2)의 배럴 침동쪽 단부(a)를 대응되는 배럴 침동 홈부(3a)의 넓은 각도쪽 단부(b)와 간섭되게 하며, 그래서 이것은 렌즈 그룹을 연장하고 축소하는데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상기 렌즈 배럴의 직경이 카메라를 컴팩트하게 만들기 위하여 감소된다면, 줌 캠링(1')의 원주방향 길이(B)는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 도에 도시된 줌 캠링(1)의 원주방향 길이(A) 보다 근본적으로 더 짧게 된다. 제 10 도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캠홈(2, 3)의 형상과 크기가 제 8 도에 도시된 형상과 크기와 같게 될 때, 줌 캠링(1')의 회전 각도는 더 크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캠홈(2, 3)의 피치는 작게되고, 그래서 이들의 배럴 침동 측단부는 서로 간섭되게 된다.
상기 제 1 캠홈(2)과 필림면 사이의 경사각(β)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게 설정될 때, 전체 행정에 걸친 줌 캠링(1')의 회전각은 작게되고, 제 1 및 제 2 캠홈(2, 3)은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경우에 큰 경사각(β)은 줌 캠링(1')을 회전하기 위하여 회전 하중을 증가시킨다. 그래서, 큰 구동력을 제공하는 큰 구동 모터가 요구되고, 이것은 카메라를 컴팩트화 하는데 방해가 된다. 즉, 이것은 카메라를 컴팩트화하기 위하여 렌즈 직경의 감소를 방해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캠홈의 배럴 침동 홈부의 사용없이 또는 짧게함으로써 캠홈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줌 렌즈 배럴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렌즈 그룹이 광축을 따라 왕복할 때, 복수의 렌즈 그룹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합성 접점 길이가 변하는 줌 렌즈 배럴은, 광축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렌즈 그룹을 왕복시키고 렌즈 그룹을 지지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상에 제공되고 안내홈내에 삽입되는 결합 핀을 갖는 직진 안내관과, 렌즈 그룹을 왕복하며 직진 안내관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렌즈 그룹을 지지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의 결합 핀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주면내에 형성된 복수의 캠홈을 갖는 줌 캠링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필름 표면과 평행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직진 안내관의 안내홈의 필름쪽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배럴 침동시 각 안내홈에 대응하는 캠홈의 필름쪽 단부를 중첩하는 전방 단부를 갖는 평행한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연장된 평행한 홈은 배럴 침통 홈부로부터 형성된다. 그래서, 캠홈의 배럴 침통의 양은 짧게 될 수 있고, 인접된 캠홈 사이의 간섭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평행한 홈이 필름면과 평행하게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안내하기 위하여 직진 안내관의 안내홈의 필름쪽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각각의 평행홈은 배럴 침동시에 각 안내홈에 대응되는 캠홈의 필름쪽 단부를 중첩하는 전방 단부를 갖기 때문에, 배럴 침동 홈부는 짧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넓은 각도의 단부 위치와 배럴 침동 단부 위치 사이의 행정이 상기 카메라를 얇게 만들기 위하여 증가될지라도, 캠홈 사이의 간섭은 배럴 침동 홈부의 짧아진 거리 정도까지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그룹은 매우 잘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카메라의 크기 특히, 그 높이와 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렌즈 배럴의 외부 직경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캠홈 사이의 간섭은 본 발명에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 배럴의 외부 직경은 배럴 침동 홈부의 짧아진 길이의 양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작아진 외부 직경도 줌 캠링의 하중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컴팩트하고 가벼운 카메라가 얻어질 수 있도록 구동 모터를 소형으로 만든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기초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배럴 침동상태(sinking state)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 배럴의 일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이고, 제 2 도는 넓은 각도 상태에 있는 줌 렌즈의 배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망원 촬영 상태에 있는 줌 렌즈의 배럴의 개략적인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제 4 및 제 5 도는 줌 렌즈 배럴의 안내홈과 캠홈의 형상과, 이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제 4 도는 이들 배럴이 침동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제 5 도는 이들이 넓은 각도의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제 1 내지 제 3 도에서, 도면부호 10으로 도시된 카메라 몸체는 카메라 본체(11)와, 줌 렌즈 배럴(12)과, 촬영 필름(13) 및, 촬영 광학 시스템의 줌 렌즈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렌즈그룹(14, 15)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본체(11)의 대략 중앙부에는 개구(16)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6)와 연통되는 원통형의 직진 안내관(17)은 카메라 본체(11)위에 형성되고 카메라 본체의 후방단부로 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상기 개구(16) 뒷쪽에는 촬영 필름(13)이 주행하는 필름 통로(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줌 렌즈의 래벌(12)은 카메라 본체(11)로 부터 돌출된 직진 안내관(17)과, 상기 직진 안내관(17)내에 왕복가능하게 배치된 제 1 및 제 2 렌즈그룹(14, 15)과, 상기 직진 안내관(17)의 외주면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줌 캠링(19) 및, 상기 줌 캠링(19)을 회전하기 위한 구동 모터(도시않음)를 포함한다.
직진 안내관(17)의 외주면에는 복수 세트의 안내홈(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 1 안내홈(20)과 3개의 제 2 안내홈(21)이 있음)이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정렬되어 있다. 제 1 안내홈(20)은 광학축(L)과 평행하게 배치된 직선홈을 포함하고, 제 1 렌즈그룹의 회전을 규제하며 이동 행정을 규정한다. 제 2 안내홈(21)은 광학축(L)과 평행한 직선홈을 포함하고, 대응되는 제 1 안내홈(20)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행한 홈(22)은 직진 안내관(17)의 축에 수직이고, 촬영 필름(13)과 평행하며, 촬영 필름은 제 1 안내홈(20) 근처를 향한 방향에 대향된 방향으로 제 2 안내홈(21)의 필름쪽 단부(21a)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장치는 제 8 도에 도시된 종래의 안내홈(6)의 장치와는 다른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평행홈(22)은 이것의 전방 단부가 줌 캠링(19)내에 형성된 후술하는 제 2 캠홈(24)의 배럴 침동 측부의 배럴 침동쪽 단부를 중첩하는 길이를 가진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렌즈그룹(14)은 제 1 렌즈 홀더(26)에 셔터(27)를 거쳐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렌즈 홀더(26)는 직진 안내관(17)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3개의 결합핀(28)은 제 1 렌즈 홀더(26)의 후방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직진 안내관(17)내에 형성된 제 1 안내홈(20)을 결합하며, 그래서 상기 제 1 렌즈 홀더(26)는 직진 안내관(17)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며 광축(L)을 따라 이동하지만 회전하지는 않는다(제 4 도).
상기 제 2 렌즈그룹(15)은 제 2 렌즈 홀더(29)에 의하여 유지되고, 제 1 렌즈그룹(14)의 후방쪽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렌즈 홀더(29)는 제 1 렌즈 홀더(26)의 후방쪽에 배치되고, 직진 안내관(17))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 2 렌즈 홀더(29)의 후방 단부로 부터 돌출된 3개의 결합핀(30)은 직진 안내관(17)내에 형성된 제 2 안내홈(21)내에 삽입되고, 그래서 상기 제 2 홀더(29)는 광축(L)을 따라 이동하지만, 회전되는 않는다. 제 2 렌즈그룹(15)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렌즈그룹(15)을 후방으로 미는 압축 코일 스프링(32)이 제 1 렌즈 홀더(26)와 제 2 렌즈 홀더(29) 사이에 있다.
상기 줌 캠링(19)은 직진 안내관(17)의 외주면 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카메라 본체(11)와 링형(ring-shaped) 지지부재(33)의 전방 단부에 의하여 미끄럼 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플랜지부(19a)를 가지고 외주면의 필름쪽 단부 위에 있다.
상기 플랜지부(19)에 근접하여 있는 부분인 줌 캠링(19)의 외주면 부분에 기어(34)가 형성된다. 3개의 제 1 캠홈(23)과 3개의 제 2 캠홈(24)은 줌 캠링(19)의 내주면내에 교대로 그리고 등거리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캠홈(23)은 결합핀(28)의 팁 단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광축(L)과 교차하는 경사진 줌 홈을 형성하고, 직진 안내관(17)의 제 1 안내홈(20)을 따라 제 1 렌즈그룹(14)을 왕복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 2 캠홈(24)은 직진 안내관(17)의 제 2 안내홈(21)을 따라 제 2 렌즈그룹(15)은 왕복하는데 사용되고, 이들 각각은 소정 각도에서 광축(L)과 교차되는 제 2 줌 홈(24b)과 필름면과 평행하게 줌 캠링(19)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배럴의 침동 홈부(24a)를 포함한다. 상기 대응되는 제 2 캠홈(24)을 통과하는 결합핀(30)의 팁 단부는 대응되는 제 2 캠홈(24)내에 삽입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캠홈(23, 24)은 제 8 도에 도시된 종래의 제 1 및 제 2 캠홈(2, 3)과 동일하지만, 단지 본 발명의 제 2 캠홈(24)의 배럴 침동홈(24a)은 종래의 제 2 캠홈(3)의 길이보다 평행 홈(22)의 길이가 더 짧다는 점이 다르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33)는 볼트(35)에 의하여 카메라 본체(11)의 전방면에 고정되고, 줌 캠링(19)의 기어(34)와 결합하는 기어(3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줌 작동시, 상기 기어(36)는 줌 캠링(19)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키고 수축하기 위하여 구동 모터(도시않음)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줌 렌즈 배럴(12)을 가진 침동 배럴형의 카메라는 제 1 렌즈 홀더(26)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침동 상태에 있을 때 카메라 몸체(1)의 직진 안내관(17)내에 완전히 끌어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배럴 침동 상태에서, 결합 핀(28)은 제 1 안내홈(20)의 필름쪽 단부에 위치되고, 제 2 렌즈 홀더(29)의 결합핀(30)은 각 안내홈(21)의 평행한 홈(22)의 전방 단부와 제 2 캠홈(24)의 필름쪽 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줌 캠링(19)은 줌 캠링919)이 연장되는 제 4 도의 화살표(40)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1 캠홈(23)은 제 4 도의 상태로부터 제 5 도의 상태로 왼쪽으로 이동된다. 각 결합핀(28)은 대응되는 제 1 홈(23)의 저면에 의하여 제 4 도에서 상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결합핀(28)을 가압하는 힘의 축방향 요소는, 대응하는 제 1 안내홈(20)을 따라 상기 결합핀(28)을 피사체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래서, 상기 제 렌즈그룹(14)은 제 1 렌즈 홀더(26)와 함께 전진하고, 직진 안내관(17)으로 부터 카메라 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줌 캠링(19)은 줌 캠링(19)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2 캠홈(24)은 왼쪽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각 결합핀(30)은 평행한 홈(22)이 대응하는 제 2 캠홈(24)의 배럴 침동 홈부(24a)를 중첩하는 상태에서 넓은 각도 단부 위치(b)로 이동된다. 평행한 홈(22)과 배럴 침동 홈부(24a)는 필름 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핀(30)은 제 2 안내홈(21)을 따라 전진할 수 없지만 제 2 렌즈 그룹(15)은 배럴 침동 위치에 보유된다. 제 1 배럴 침동부(24a)의 길이에 대응되는 각도의 양에 의한 줌 캠링(19)의 회전은 결합핀(30)을 배럴 침동 홈부(24a)의 넓은 각도 단부(b)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4, 15)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각도 상태로 설정된다.
상기 줌 캠링(19)이 넓은 각도 상태로부터 줌 캠링(19)의 연장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결합핀(28, 30)은 제 1 및 제 2 안내홈(20)을 따라 피사체로 향하여 이동될 수 있고, 망원 촬영 위치(c)에 정지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렌즈그룹(14, 15)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원촬영 상태를 취한다.
상기 구동 모터가 줌 캠링(19)을 수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술한 것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될 때, 상기 결합핀(28, 30)은 제 1 및 제 2 안내홈(20, 21)의 안내홈(20, 21)을 따라 필름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4, 15)은 배럴 침동 상태로 복귀되도록 직진 안내관(17)내로 수축된다.
본 발명에서, 광축(L)에 수직인 평행한 홈(22)은 대으하는 제 2 안내홈(24)의 필름쪽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평행한 홈(22)이 배럴 침동 홈부(24a)와 똑같은 작용을 갖기 때문에, 배럴 침동 홈부(24a)의 길이는 평행한 홈의 길이 크기에 의하여 짧아질 수 있다. 상기 렌즈 시스템이 넓은 각도 측부위치(b) 또는, 넓은 각도위치(b)로 부터 배럴 침동 위치까지의 행정이 카메라 몸체를 얇고 컴팩트하게 만들기 위하여 증가되는 경우에 많은 양의 배럴 침동을 갖는 경우, 캠홈(23, 24) 사이의 간섭은 제 1 캠홈(23)의 행정과 회전이 제 2 캠홈(24)의 행저과 회전이 같게 될지라도 안전하게 방지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4 및 15)은 안전하게 연장되고 수축된다. 평행한 홈(22)이 배럴 침동 홈부로서 작용되기 때문에, 배럴 침동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4, 15) 사이의 거리는 크게되지 않는다.
대응하는 제 1 캠홈(23)으로 부터의 제 2 캠홈(24)의 배럴 침동 홈부(24a)의 분리는 제 1 캠홈(2)과 제 8 도의 제 2 캠홈(3)의 배럴 침동 홈부(3a) 사이의 분리보다 평행한 홈의 길이에 의하여 더 크게된다. 그러므로, 렌즈 배럴의 직경이 카메라를 소형으로 만들기 위하여 감소될지라도, 제 1 캠홈(23)과 필름 표면 사이의 경사각(β)을 크게하는 것이 필요없고, 그래서 제 1 및 제 2 캠홈(23, 24)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상기 경사각(β)이 작게될 때, 줌 캠링(19)을 회전하기 위한 회전하중 또한 작게된다. 그래서, 소형 구동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럴 침동 위치(a)로 부터 넓은 각도 위치(b)로의 이동 동안에, 상기 결합핀(30)은 평행한 홈(22)내의 줌 캠링(19)의 원주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고, 렌즈 홀더(28, 29)가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렌즈(15)는 외부힘을 받을 때 이것의 위치 및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는데, 왜냐하면 상기 제 2 렌즈 그룹(15)이 직진 안내관(17)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스프링에 의하여 한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결합핀(30)의 흔들림은 제거된다.
제 6 및 제 7 도는 안내홈과 캠홈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제 6 도는 배럴 침동 상태를 도시하고, 제 7 도는 넓은 각도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2 캠홈(24)은 광축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 줌홈에 의하여서만 형성되고, 제 4 도에 도시된 배럴 침동 홈부(24a)는 생략된다. 평행한 홈(22)은 제 2 안내홈(21)의 필름쪽 단부로부터 대응하는 제 2 캠홈(24)의 필름쪽 단부까지 연장되고, 그래서 상기 평행한 홈(22)은 배럴 침동 홈부로서 사용된다. 제 2 실시예의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똑같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캠홈(24)은 배럴 침동 홈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의 제 2 캠홈(24)의 경사각(α)은 제 1 실시예의 경사각보다 더 작게 될 수 있다. 상기 작은 경사각(α)은 줌 캠링을 구동할 때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고, 모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α)이 작게 되면 될수록, 상기 캠의 길이는 더 크게 되고 캠의 정확도는 증가된다. 상기 제 2 캠홈(24)이 배럴 침동 홈부를 갖지 않을 때, 상기 결합핀(30)은 흔들리지 않고 렌즈 홀더(28, 29)는 회전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줌 렌즈 배럴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이것의 각각은 2개의 렌즈 그룹(14, 15)을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본적으로, 본 발명은 3개 또는 더 많은 렌즈 그룹을 가진 줌 렌즈 배럴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2)

  1. 간극으로 정렬된 복수의 렌즈 그룹을 가지고 합성 집점 거리(compound focal length)와 광축을 제공하는 줌 렌즈 배럴(barrel)에서, 상기 합성 집점 거리를 변하게 하도록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 그룹을 왕복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렌즈 그룹 사이의 간극이 변하는 줌 렌즈 배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으로 형성된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렌즈 그룹을 유지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위에 제공되는 상기 안내홈 결합핀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며, 필름쪽 단부를 가지는 안내홈을 따라 왕복 가능한 직진 안내관과, 상기 직진 안내관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렌즈 그룹을 지지하기 위한 렌즈 홀더의 결합핀 사이에 결합되며 필림쪽 단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캠홈으로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렌즈 그룹을 왕복 운동시키는 줌 캠링(zoom camring)과,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안내하기 위하여 안내홈의 필름쪽 단부로부터 필름면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줌 렌즈 배럴이 배럴 침동 상태(sinking state)에 있을 때 상기 각 안내 홈에 대응하는 캠홈중의 대응되는 하나의 캠홈의 필름쪽 단부를 중첩하는 전방 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평행한 홈을 포함하는 줌 렌즈 배럴.
  2. 적어도 2개의 렌즈 그룹과, 광축과, 상기 광축을 따라 렌즈 그룹을 안내하기 위한 직진 안내관 및 , 상기 광축을 따라 렌즈 그룹을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캠관을 포함하는 줌 렌즈 배럴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 배럴은 안내관의 필름쪽 단부 사이에 형성된 안내부를 포함하고, 필름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줌 렌즈 배럴.
KR1019940012703A 1993-06-07 1994-06-07 줌렌즈배럴 KR100297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60036 1993-06-07
JP5160036A JPH06347687A (ja) 1993-06-07 1993-06-07 ズーム式レンズ鏡筒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81A KR950001381A (ko) 1995-01-03
KR100297185B1 true KR100297185B1 (ko) 2001-10-24

Family

ID=1570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703A KR100297185B1 (ko) 1993-06-07 1994-06-07 줌렌즈배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6347687A (ko)
KR (1) KR100297185B1 (ko)
CN (1) CN1064133C (ko)
TW (1) TW2383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9567A (ja) * 2001-11-06 2003-05-14 Nikon Corp 変位検出装置及びレンズ鏡筒
JP4233394B2 (ja) * 2003-06-17 2009-03-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デジタルカメラ
TWI297709B (en) 2003-07-08 2008-06-11 Canon Kk Lens barrel
JP4571811B2 (ja) * 2004-02-16 2010-10-27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カム機構
JP2005351982A (ja) * 2004-06-08 2005-12-22 Canon Inc ズーム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JP4645274B2 (ja) * 2005-04-08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CN100451820C (zh) * 2005-07-05 2009-01-14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具有镜头倍率调整功能的光机模块
JP2008134569A (ja) * 2006-11-29 2008-06-12 Chinontec Kk レンズ鏡筒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CN101201439B (zh) 2006-12-13 2010-05-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JP5049605B2 (ja) 2007-01-29 2012-10-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円筒成形品、レンズ鏡筒、カメラ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JP2008224795A (ja) * 2007-03-09 2008-09-25 Ricoh Co Ltd レンズ鏡胴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5561475B2 (ja) * 2010-04-28 2014-07-30 Smc株式会社 複動機構
CN103163620B (zh) * 2011-12-16 2015-01-07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镜头机构
US11523034B2 (en) * 2016-02-10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CN110174754B (zh) * 2019-06-18 2024-03-05 福建福光天瞳光学有限公司 高变倍连续变焦镜头及调焦方法
WO2022010633A1 (en) 2020-07-06 2022-01-13 Yourbrook Energy Systems Ltd. Turbine with dynamic bla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927A (zh) 1995-08-16
JPH06347687A (ja) 1994-12-22
KR950001381A (ko) 1995-01-03
CN1064133C (zh) 2001-04-04
TW238361B (en) 1995-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185B1 (ko) 줌렌즈배럴
JP4969859B2 (ja) レンズ鏡筒
JP4359115B2 (ja) 沈胴式レンズ鏡筒
US6049432A (en) Zoom lens barrel
EP1632800A1 (en) Retractable Lens Camera
JP4969863B2 (ja) レンズ鏡筒
US5687029A (en) Lens barrel having collapsing and extending use grooves
KR100378482B1 (ko) 줌 카메라의 경통 조립체
US6747809B2 (en) Lens barrel
JP2001100083A (ja) レンズ移動装置
KR101100995B1 (ko) 렌즈 배럴 및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US7242535B2 (en) Zoom lens barrel including a rotatable cam ring
US6989944B2 (en) Camera
US7876508B2 (en) Lens drive unit, lens barrel, and image forming device
JPS63271306A (ja) ズ−ムレンズ付沈胴式カメラ
US8483555B2 (en) Lens barrel
JPH09203842A (ja) レンズ鏡筒
US6753911B1 (en) Zooming lens barrel and a camera in use therewith
KR100296681B1 (ko) 줌렌즈경통
US6516148B1 (en) Barrel assembly of zoom camera
US6707993B1 (en) Lens barrel
JP3573127B2 (ja) ズームレンズ鏡筒
US5764937A (en) Drive mechanism for collapsing a lens barrel into the body of a camera
US5801888A (en) High magnification zoom lens barrel including a drive ring having a short length to provide a compact camera
KR100307615B1 (ko) 두개의 헬리코이드부가 형성된 링과 캠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가지는 줌 카메라에 사용되는 줌 렌즈 베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