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816B1 - 이진화상출력장치의가중오차합계산방법과그장치 - Google Patents

이진화상출력장치의가중오차합계산방법과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816B1
KR100296816B1 KR1019960037822A KR19960037822A KR100296816B1 KR 100296816 B1 KR100296816 B1 KR 100296816B1 KR 1019960037822 A KR1019960037822 A KR 1019960037822A KR 19960037822 A KR19960037822 A KR 19960037822A KR 100296816 B1 KR100296816 B1 KR 100296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sum
output
pixel
weigh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622A (ko
Inventor
김용운
이활림
김재호
박장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37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816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3Discrimination between the two tones in the picture signal of a two-ton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04N1/4092Edge or detail enhanc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시밀리, 디지탈 복사기 등의 이진화상 출력장치에서 이진화 알고리듬에 적용되는 오차확산법의 가중오차합을 구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간의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경계를 강조하고 또 계산량이 적은 오차확산계수를 결정하며 가중오차합 계산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Fan과 Shuau가 제안한 오차확산계수로 이진화한 이진 화상에서는 상관패턴은 발생하지 않지만 특정한 영역에서 표준 오차확산계수보다 더 많은 규칙적인 패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본 발명은 도면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m,n화소에 대하여 오차확산계수를 1,1,2,1,1로 결정하여 이전 오차합으로부터 누적해서 오차합(esum)을 구하고, 상기의 오차합(esum)에 이진화 오차(e(m,n-1))를 더하여 가중오차합을 구하여, 상기의 가중오차합에 이진화 오차(e(m-1,n))를 1비트 좌쉬프트(left shift)하여 상기의 가중 오차합에 더하여 전체 가중오차합(eweight_sum)을 구함으로써, 이진화상에서 상관패턴을 감소시키고 또한 화상의 경계를 강조하여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이진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또한 고화질의 이진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로하는 오차확산 계산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과 그 장치이다.

Description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과 그 장치
본 발명은 팩시밀리, 디지탈 복사기 등의 이진화상 출력장치에서 이진화 알고리듬에 적용되는 오차확산법의 가중오차합을 구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간의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경계를 강조하고 또 계산량이 적은 오차확산계수를 결정하며 가중 오차합 계산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같이 오차 확산법으로 계조 화상에서 이진화상을 얻고자 할때 일정한 모양의 패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패턴은 인간의 눈에 거슬리기 때문에 상기 패턴을 감소시키고 또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경계를 강조한 계산량이 적은 오차확산계수를 구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오차 확산법을 이용한 이진화상은 그 화질이 다른 이진화 알고르즘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오차 확산법은 화상에서 아주 밝은 부분(밝기값이 0(흑) ∼ 255(백), 255 근처의 밝기값)인 경우와 아주 어두운 부분(밝기값이 O 근처인 밝기값)에서 이른바 상관패턴(correlated pattern)이라고 불리는 일정한 모양의 패턴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관 패턴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Fan과 Shuau는 상관 패턴의 원인이 오차의 비대칭 확산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지지영역(support region)이 넓은 오차 확산계수를 제안하였다.
도면 제 1 도의 (a)는 표준 오차확산계수를 나타내고 (b)는 표준 오차확산계수의 지지영역을 나타내며, 도면 제 2 도의 (a)는 Fan과 Shuau가 제안한 오차확산계수를 나타내고, (b)는 Fan과 Shuau가 제안한 오차확산계수의 지지영역을 나타낸다.
Fan과 Shuau는 오차확산계수가 대각으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여 그 지지영역을 표준 오차확산계수보다 넓게 하였다(제 1 도의 (b) 및 제 2 도의 (b)의 비교).
즉, 지지영역을 넓혀서 오차 확산을 대칭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관 패턴은 제거되었다.
또한, 오차확산계수가 1,2,4,8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차의 이동(shift)만으로 오차 확산량이 계산되어 그 계산량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Fan과 Shuau가 제안한 오차확산계수로 이진화한 이진 화상에서는 상관패턴은 발생하지 않지만 특정한 영역에서 표준 오차확산계수보다 더 많은 규칙적인 패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것은 비록 오차확산계수의 지지영역을 넓혀서 오차 확산을 대칭이 되게 함으로써 상관 패턴은 제거되었지만, 인간의 시각 특성을 고려할때 오차 확산계수의 주파수특성이 이진화상의 화질이 큰 영향을 주게된다는 점이 간과되었고, 또 이러한 오차확산계수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면서 그 것에 기인하는 인간의 시각적 특성에 관련하여 나타나는 경계 강조의 필요를 확보하지 못한데서 기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진화상에서 상관패턴을 감소시키고 또한 화상의 경계를 강조하여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이진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오차확산계수의 계산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화질의 이진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로하는 오차확산 계산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오차확산계수의 주파수 특성이 앞줄의 오차확산계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오차 화상은 입력계조화상과 상관도가 높다는 점에 착안하여, 앞줄의 계수를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갖도록 조정하는 한편, 주목화소 이전의 오차확산계수는 앞줄과 대칭이 되도록 조정하여 화질의 개선을 확보한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과 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 도는 표준 오차확산계수와 그 지지영역을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Fan과 Shuau가 제안한 오차확산계수와 그 지지영역을 나타낸 도면
제 3 도는 Floyd와 Steinberg의 표준 오차확산법의 주파수 특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오차확산계수의 주파수 특성과 인간의 시각의 MTF
제 5 도는 오차 확산법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차확산계수의 가중 오차합 계산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 : 입력계조화상 처리수단 502 : 가산수단
503 : 수정화상 처리수단 504 : 이진화처리수단
505 : 이진화상 출력수단 506 : 감산수단
507 : 오차합 계산수단 601a∼601e : 입력부
602,604,608 : 가산기 603,605,607 : 저장부
606 : 감산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방법은,
입력계조화상의 밝기값에 인접한 화소의 이진화오차를 오차확산계수로 가중평균한 오차합을 더한 수정화상을 임계값으로 이진화하여 이진화상을 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m,n화소에 대하여 오차확산계수를 1,1,2,1,1로 결정하여 이전 오차합으로부터 누적해서 오차합(esum)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의 오차합(esum)에 이진화 오차 (e(m,n-1))를 더하여 가중오차합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의 가중오차합에 이진화 오차(e(m-1,n))를 1비트 좌쉬프트(left shift)하여 상기의 가중 오차합에 더하여 전체 가중오차합(eweight_sum)을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화상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이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장치는,
입력계조화상의 m,n화소에 대한 오차합 esum(m,n) 및 m,n-1화소오차e(m,n-1)를 가산하여 저장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의 출력값을 m+1,n-1화소오차 e(m+1,n-1)와 가산하여 저장하는 제 2 수단과, 상기 제 2 수단의 출력값과 m-1,n-1화소오차 e(m-1,n-1)를 감산하여 저장하는 제 3 수단과, 상기 제 3 수단의 출력값과 주목화소 바로앞의 화소오차 e(m-1,n)를 2배한 값을 가산하여 최종 가중오차합 eweight_sum(m,n)을 구하는 제 4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한 가중 오차합 계산 과정과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오차 확산법으로 이진화를 수행하는 수순은 (a).입력 계조화상의 밝기값에 인접한 화소의 이진화 오차를 오차확산계수로 가중 평균하고, (b).이 가중평균한 오차합을 더한 수정 화상을 구하고, (c).수정 화상을 임계값으로 이진화하며, 상기의 오차확산계수에 의해서 이진 화상의 패턴이 결정된다.
도면 제 5 도는 오차확산법의 기본구조로서 이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다.
그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이진화처리할 입력계조화상을 구하여 출력하는 수단(501)과, 상기의 입력계조화상 처리수단(501)의 입력계조화상을 오차합계산수단(507)의 출력값에 가산하여 가중오차합을 구해나가는 가산수단(502)과, 상기가산수단(502)의 출력값으로부터 수정화상을 구하는 수단(503)과, 상기의 수정화상처 리수단(503)의 출력값을 이진화처리하는 수단(504)과, 상기 이진화처리수단(504)의 출력값으로부터 이진화상을 구하는 수단(505)과, 상기의 이진화처리수단(504)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감산하여 그 이진화오차를 구하는 감산수단(506)과, 상기 감산수단 (506)의 출력값으로부터 오차합을 계산하여 상기의 가산수단(502)에 입력하는 오차합계산수단(507)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오차확산법 기존구조에 따르면, 입력계조화상 처리수단 (501)에서 연속계조 입력화소를 출력하고, 이 출력된 입력계조화상에 오차합계산수단(507)의 주변화소의 오차 가중평균을 가산수단(502)에서 가산하여 수정화상을 구하고, 이 수정화상을 그 처리수단(503)에서 처리하여 이진화처리수단(504)을 거쳐 이진화상(505)을 얻는다.
그리고, 상기 수정화상을 이진화처리된 화소값과 감산하여, 이진화처리 후 생긴 오차값을 구하고 이 오차합을 계산하여 다시 가산수단(502)에서 입력계조화상에 더해줌으로써 연속되는 입력계조화소에 대한 가중오차합을 구해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오차확산 이진화법을 수식으로 전개하면 아래의 식(1), 식(2), 식(3)의 순서로 된다.
상기 수식의 전개와 분석의 편의를 위해 오차를 식(3)과 같이 정의함으로써, 현재 화소의 밝기값에 주변화소의 오차를 더한 수정화상은 식(1)과 같고, 식(2)의 과정에서 수정화상과 임계값T를 비교하여 임계값T 보다 수정화상의 밝기값이 큰 경우 이진화소를 백(1)으로 결정하고, 작은 경우에는 이진화소를 흑(0)으로 결정한다.
상기의 수식에서 b(m,n)은 이진 출력화소이고, i(m.n)은 연속계조 입력화소이며, e(m,n)은 이진화처리 후에 생긴 오차값이고, c(m,n)은 입력계조화상에 주변화소의 오차 가중평균을 더한 수정화상의 값이고, T는 임계값으로써 연속계조 화상이 0에서 1사이에 분포한다면 일반적으로 0.5로 정해지는 상수값이며, ajk는 오차확산계수로써 인접화소의 오차를 입력 화소에 더하는 가중값으로 Floyd와 Steinberg가 제안한 표준 오차 확산법에서는 식(4)로 주어진다.
상기의 식(5) 및 식(6)은 식(2)를 퓨리에(Fourier) 변환하여 구한 식으로 서, 상기 식(2)를 퓨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해석하면 이진 화상과 입력계조화상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I(u,v)),B(u,v),C(u,v)는 각각 입력 계조화상, 출력 이진화상, 수정화상을 퓨리에 변환한 것이다.
그리고, G(u,v)와 F(u,v)는 오차확산계수에 의해서 결정되는 필터이다.
Floyd와 Steinberg의 표준오차확산계수는 G(u,v)는 저역통과필터이고, F(u,v)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고역통과필터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의 식(5)에서 이진 화상은 입력계조화상에 오차를 고역통과시켜 더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식(1), 식(2), 식(3)을 통해서 이진 화상의 이진 패턴은 오차확산필터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같은 오차확산법의 주파수 특성을 통해서 오차 확산계수의 주파수 특성이 이진화상의 화질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식(6)은 이진 화상이 계조화상에 오차화상의 고주파수 성분이 더해진 화상임을 의미한다.
또한 이진화상은 입력화상을 1비트로 양자화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그 오차 화상은 입력화상과 상관도가 높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인간의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오차화상의 고주파수 성분을 통과하는 오차확산계수를 설계한다면 오차확산필터만으로 부가되는 계산없이 경계를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계수의 주파수 특성과 인간 시각의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으로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것이 인간의 주파수 특성(HVS, human visual system)이고 점선으로 표기된 것은 Floyd 표준오차확산법에 의한 주파수 특성이며, 실선으로 표시된 것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바의 주파수 특성이다.
상기 도면 제 4 도에서 살펴보면 인간의 시각 특성은 주파수 영역을 대체로 통과시키고 또 고주파수 성분은 억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오차확산계수는 앞줄의 1차원 필터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본 발명의 오차확산계수는 주목화소에 대해서 앞줄의 오차를 확산하는 오차확산계수를 제 4 도의 실선과 같이 되도록 결정하였다.
이것은 인간의 시각 특성내에서 경계를 강조하기 위해서 Floyd 표준오차확산법의 오차확산계수보다 중간 주파수 영역을 많이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관패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지지영역이 넓고, 대칭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오차확산계수가 대칭이 되도록 아래의 식(7)과 같이 주목화소의 앞화소의 오차확산계수를 2로 결정하였다.
위와같은 계수를 가지는 오차확산법에서 계산은 주로 가중오차합을 구하는데 있다.
Fan이 제안하는 오차확산계수의 가중오차합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더하기 5회와 이동 3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상기 오차확산계수에 대한 가중오차합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면, 더하기 6회와 이동 2회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 오차확산계수의 가중오차합 계산보다 계산량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오차확산계수의 계산량을 줄이기 위하여 아래의 식(8) 및 식(9)로 주어지는 계산방법으로 가중오차합을 계산한다.
상기의 수식에서 esum(m,n)과 eweight_sum(m,n)은 각각 오차합과 가중오차합이 다.
상기의 식(7)에서 보이는 바와같이 앞줄에 오차확산계수가·1,1,2,1,1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8)과같이 오차합은 이전 오차합으로부터 누적하여 계산하고, 식(9)에서 e(m,n-1)를 더해줌으로써 앞줄의 가중오차합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식(9)와같이 e(m-1,n)을 1비트 왼쪽 이동하여 가중오차합에 더해줌으로써, 식(9)의 전체 가중오차합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가중오차합을 구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오차확산계수의 가중오차합 계산은 더하기 4회와 이동1회로 완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오차확산계수의 가중오차합 계산은 기존의 계산량보다 더하기 1회, 이동 2회가 작아져서 그 계산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면 제 6 도에 상기한 본 발명의 가중오차합 계산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이 실시예 구성에서는 가산기 4개(감산은 가산으로 구현가능하기 때문에 가산기로 처리)와 주목화소 바로 앞의 화소의 오차를 2배하는 계산을 왼쪽 이동(left shift) 1회로 가능하게 한 것이며, 최종적으로 구해진 가중오차합은 상기 도면 제 5 도에서 수정화상을 구하는 입력으로 된다.
제 6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연속입력 계조 화상의 m,n화소오차합 esum(m,n)을 입력하는 제 1 입력부 (6O1a)와, ·m,n-1화소오차 e(m,n-l)를 입력하는 제 2 입력부(6O1b)와, m+1,n-l화소오차 e(m+1,n-1)를 입력하는 제 3 입력부(601c)와, m-1,n-1화소오차 e(m-1,n-1)를 입력하는 제 4 입력부(601d)와, 주목화소 바로 앞의 화소의 오차를 2배한 오차 e(m-1,n)*2를 입력하는 제 5 입력부(601e)와, 상기의 제 1 입력부(601a)의 출력과 제 2 입력부(601b)의 출력을 가산하는 제 1 가산기(602)와, 상기 제 1 가산기(602)의 출력을 이시 저장하는 제 1 저장부(603)와, 상기 제 1 저장부(603)의 출력과 상기 제 3 입력부(601c)의 출력을 가산하는 제 2 가산기(604)와, 상기 제 2 가산기(604)의 출력을 일시 저장하는 제 2 저장부(605)와, 상기 제 2 저장부(605)의 출력과 상기 제 4 입력부(601d)의 출력을 감산하는 감산기(606)와, 상기 감산기(606)의 출력을 일시 저장하는 제 3 저장부(607)와, 상기 제 3 저장부(607)의 출력을 상기 제 5 입력부(601e)의 출력에 가산하는 제 4 가산기(608)와, 상기 제 4 가산기(608)의 출력을 최종 가중오차합 eweight_sum(m,n)으로 출력하는 출력부(609)로 구성된다.
상기의 주목화소 바로 앞 화소의 오차를 두배하는 계산은 제 5 입력부(601e)에서 화소값의 왼쪽 이동 1회로 이루어지며, 감산기(606)는 가산기로 구현되므로 결국 4회의 덧셈과 1회의 왼쪽 이동만으로 가중오차합을 구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제 1 입력부(601a)의 오차합 esum(m,n)은 제 1 가산기(602)에서 제 2 입력부(601b)의 오차 e(m,n-1)와 더해져서 제 1 저장부(603)에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제 3 입력부(601c)의 오차 e(m+1,n-1)는 제 2 가산기(604)에서 제 1 저장부(603)의 출력과 더해져서 제 2 저장부(605)에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제 4 입력부(601d)의 오차 e(m-1,n-1)는 제 2 저장부(605)의 출력과 감산기(606)에서 감산되어 제 3 저장부(607)에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제 5 입력부(601e)의 오차 e(m-1,n)*2는 제 3 저장부(607)의 출력과 제 3 가산기(608)에서 더해져서 가중오차합 eweight_sum(m,n)이 구해지게 되며, 이 가중 오차합은 출력부(609)에서 상기 제 5 도의 수정화상을 구하는 값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과 그 장치에 의하면,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화상의 경계를 강조하고 또 계산량이 적은 이진화상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고속의 이진화상 처리가 가능하고 또한 고화질의 이진화상 출력이 가능한 이진화상 출력장치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오차확산계수의 가중오차합을 계산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계산 알고리즘 또한 간략화할 수 있는 특징과 장점이 확보된다.

Claims (5)

  1. (1회 정정) 입력계조화상의 밝기값에 인접한 화소의 이진화오차를 오차확산계수로 가중평균한 오차합을 더한 수정화상을 임계값으로 이진화하여 이진화상을 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m,n(m,n은 화상 데이터에서 (m,n)에 위치하는 화소)화소에 대하여 오차 확산계수를 1,1,2,l,1로 결정하여 이전 오차합으로부터 누적해서 오차합(esum)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오차합(esum)에 이진화 오차(e(m,n-1))를 더하여 가중오차합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의 가중오차합에 이진화 오차(e(m,n-1))를 1비트 좌쉬프트(left shift)하여 상기의 가중 오차합에 더하여 전체 가중오차합(eweight_sum)을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
  2. (1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오차확산계수는 ;
    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오차합 esum(m,n)과 가중오차합
    의 연산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게산 방법.
  4. 입력계조화상의 m,n화소에 대한 오차합 esum(m,n) 및 m,n-1화소오차 e(m,n-1)를 가산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의 출력값을 m+1,n-1화소오차 e(m+1,n-1)와 가산하는 제 2 수단과, 상기 제 2 수단의 출력값과 m-1,n-1화소오차 e(m-1,n-1)를 감산하는 제 3 수단과, 상기 제 3 수단의 출력값과 주목화소 바로앞 의 화소오차 e(m-1,n)를 2배한 값을 가산하여 최종 가중오차합 eweight_sum(m,n)을 구하는 제 4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장치.
  5. 연속입력 계조 화상의 m,n화소오차합 esum(m,n)을 입력하는 제 1 입력부(601a)와, m,n-1화소오차 e(m,n-1)를 입력하는 제 2 입력부(601b)와, m+1,n-1 화소오차 e(m+1,n-1)를 입력하는 제 3 입력부(601c)와, m-1,n-1화소오차 e(m-1,n-1)를 입력하는 제 4 입력부(601d)와, 주목화소 바로 앞의 화소의 오차를 2배한 오차 e(m-l,n)*2를 입력하는 제 5 입력부(601e)와, 상기의 제 1 입력부(601a)의 출력과 제 2 입력부(601b)의 출력을 가산하는 제 1 가산기(602)와, 상기 제 1 가산기 (602)의 출력을 일시 저장하는 제 1 저장부(603)와, 상가 제 1 저장부(603)의 출력과 상기 제 3 입력부(601c)의 출력을 가산하는 제 2 가산기(604)와, 상기 제 2 가산기(604)의 출력을 일시 저장하는 제 2 저장부(605)와, 상기 제 2 저장부(605)의 출력과 상기 제 4 입력부(601d)의 출력을 감산하는 감산기(606)와, 상기 감산기(606)의 출력을 일시 저장하는 제 3 저장부(607)와, 상기 제 3 저장부(607)의 출력을 상기 제 5 입력부(601e)의 출력에 가산하는 제 4 가산기(608)와, 상기 제 4 가산기 (608)의 출력을 최종 가중오차합eweight_sum(m,n)으로 출력하는 출력부(60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화상 출력장치의 가중오차합 계산 장치.
KR1019960037822A 1996-09-02 1996-09-02 이진화상출력장치의가중오차합계산방법과그장치 KR100296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822A KR100296816B1 (ko) 1996-09-02 1996-09-02 이진화상출력장치의가중오차합계산방법과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822A KR100296816B1 (ko) 1996-09-02 1996-09-02 이진화상출력장치의가중오차합계산방법과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622A KR19980019622A (ko) 1998-06-25
KR100296816B1 true KR100296816B1 (ko) 2001-10-24

Family

ID=3752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822A KR100296816B1 (ko) 1996-09-02 1996-09-02 이진화상출력장치의가중오차합계산방법과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712B1 (ko) * 2002-01-12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수화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이진영상 생성방법
KR100490244B1 (ko) * 2002-09-18 2005-05-17 주식회사 롯데캐논 화상처리 시스템의 임계값에 의한 오차 확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622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150B1 (ko) 에지 강조를 이루는 오차확산 방식 이치화 방법 및 장치
JP3070860B2 (ja) 画像データの増強方法およびカラー画像データの増強方法
JP2001275015A (ja) 画像処理回路及び画像処理方法
KR100687645B1 (ko)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잡음 제거 장치
US8170362B2 (en) Edge-enhancement device and edge-enhancement method
EP17796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3d noise reduction
JPH0622135A (ja) 画像処理方法
KR101031153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72692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oot suppression in image detail enhancement
US791696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5539541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noise elimination circuits
JP3700357B2 (ja) 画像処理装置
JP3171283B2 (ja) ノイズ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100296816B1 (ko) 이진화상출력장치의가중오차합계산방법과그장치
JPH10262160A (ja) Sn比検出装置および雑音低減装置
JP3149729B2 (ja) ブロック歪除去装置
JP4193347B2 (ja) 画像処理装置
JP316522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H05136988A (ja) 2値画像の変倍処理装置
JPH07302190A (ja) 除算器並びにこれを用いた画像信号読取装置
KR101007840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JP2005094513A (ja) 原稿読取装置
JP2717020B2 (ja) 画像処理装置
KR20030018046A (ko) 영상신호 윤곽보정장치
JP2857906B2 (ja) 中間調の2値化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