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395B1 -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방법및안정화된조성물 - Google Patents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방법및안정화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395B1
KR100296395B1 KR1019960702105A KR19960702105A KR100296395B1 KR 100296395 B1 KR100296395 B1 KR 100296395B1 KR 1019960702105 A KR1019960702105 A KR 1019960702105A KR 19960702105 A KR19960702105 A KR 19960702105A KR 100296395 B1 KR100296395 B1 KR 10029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added
activity
apc
acti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580A (ko
Inventor
가쭈마사 미야타
요시노리 아키모토
요이치 오가타
토모히로 나카가키
Original Assignee
노나까 사네오
사이단호진가가쿠오요비겟세이리요호오겐큐쇼
이타가키 히로시
테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나까 사네오, 사이단호진가가쿠오요비겟세이리요호오겐큐쇼, 이타가키 히로시, 테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나까 사네오
Publication of KR96070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12N9/50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 C12N9/64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 C12N9/6421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 C12N9/6424Serine endopeptidases (3.4.21)
    • C12N9/6464Protein C (3.4.21.6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6Blood coagulation or fibrinolysis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2Serine endopeptidases (3.4.21)
    • A61K38/4866Protein C (3.4.21.6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96Stabilising an enzyme by forming an adduct or a composition; Forming enzyme conju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1Serine endopeptidases (3.4.21)
    • C12Y304/21069Protein C activated (3.4.21.6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된 안정화된 제제를 제공하며, 이 방법 및 제제는 분리 및 정제, 동결 건조, 가열 등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또는 저장시 적용될 수 있다.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및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염 완충액에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및 추가로 알부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첨가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안정화된 조성물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혈장으로 부터 유도되거나 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는, 본 발명은 저장시 또는 분리 및 정제, 동결건조, 가열처리 등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안정화된 제제에 관한 것이다.
[기술배경]
단백질 C (이후 "PC" 로 약칭된다) 는 비타민 K 의존성 단백질, 즉 γ-카복시글루탐산을 함유하는 단백질의 일종이며, 혈관 내피세포의 표층에 존재하는 트롬보모둘린의 존재하에서 트롬빈에 의해 활성화 단백질 C (이후 "APC" 로 약칭된다) 로 활성화된다. 활성화 단백질 C 는 세린 프로테아제의 일종이며, Va 인자(FVa) 및 VIIIa 인자(FVIIIa) 와 같은 혈액 응고 시스템의 보조인자를 불성화시킴으로써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낸다. 활성화 단백질 C 가 혈관벽으로부터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방출하여 피브린 용해 시스템을 촉진시킨다는 것이 또한 이미 공지되어 있다. 추가로, 단백질 C 의 결핍은 심각한 혈전증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활성화 단백질 C 가 혈액 응고 및 피브린 용해 시스템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임은 명확하다. 그러므로,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는 신규한 항응고제 또는 프로피브린 용해제로서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혈장중에 존재하거나 조직 배양 시스템 중에 유발된 단백질 C의 양은 극히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를 항응고제 또는 프로피브린 용해제로서 광범위하고 안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의 분리 및 정제가 중요하다. 또한, 용액 또는 동결 형태로서 장기간 동안 저장하는 것, 동결건조 또는 오염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가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공업적으로 대량 제조하는 경우에 필수적인 요건이다. 그러나, 고순도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의 저장, 동결 또는 동결건조, 또는 가열 처리는 그의 활성을 극히 저하시킨다. 고순도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의 안정성에 대한 보고는 지금까지 없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고순도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효율적이면서 안정하게 공업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현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를 예의 연구하고, 그 결과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에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을 포함한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과 같은 염 완충액을 가하고, 추가로 알부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첨가하게 되면 상당 시간동안 저장후 또는 분리 및 정제, 동결건조, 가열 등과 같은 처리 후에도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의 활성이 유지될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및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염 완충액에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및 추가로 알부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여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과 같은 염 완충액에 용해시키고, 이 완충액에 단백질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예를 들어 글리신, 알라닌,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 및 알부민, 글로불린 등과 같은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 및 바람직한 구체예로 임의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대표적으로는 Tween 80 을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여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안정화된 제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본 원에 사용된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는 실질적으로 APC 활성을 갖는 변형체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사람 혈장으로 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단백질 C를 제조한 후 이를 활성화시키거나; 사람 혈장으로 부터 APC 를 직접 분리하거나; 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APC 를 제조하는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백질 C 를 APC 로 활성화시키는 것은 공지된 방법의 어떤 방법에 의해서도, 예를 들면 사람 또는 소 혈액으로 부터 분리한 트롬빈으로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등가의 프로테아제로 활성화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혈액으로 부터 유래된 APC 의 제조는 예를 들어 사람 혈장으로 부터 항-단백질 C 항체를 사용하여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 단백질 C 를 사람 트롬빈으로 활성화시키고, 생성된 단백질 C 를 양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거나[참조 : Blood,63, p.115-121(1984)]; 키질(Kisiel) 에 의한 방법[참조:J.Clin.Invest.,64, p.761-769(1979)] 에 따라 사람 혈장으로 부터 바륨 시트레이트 흡착 및 용출, 황산암모늄에 의한 분획화, DEAE-Sephadex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덱스트란 설페이트 아가로스 크로마토그래피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등에 의해 정제된 단백질 C 를 활성화시켜 APC 를 제조하거나; 또는 시판되고 있는 단백질 C-함유 혈액 응고제제를 테일러(Tayler) 등의 방법[참조:J. Clin.Invest.,79, p.918-925(1987)] 에 따라 활성화시켜 APC 를 제조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APC 의 제조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61-205487 호,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1-2338 호 또는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1-85084 호 등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본 원에 사용된 출발물질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언급한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된 출발물질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는, 예를 들어 황산암모늄을 사용한 염석,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 여과, 전기영동 등을 포함한 통상적인 생화학적 분리 및 정제 방법을 조합하여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정제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순도가 높지 않은 생성물 조차도 또한 저장, 동결, 동결건조, 가열 등과 같은 과정으로 인해 활성의 감소롤 나타낸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정제도가 증가함에 따라 불안정해지는 이와 같은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되는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는 용액 또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에서, 안정화제로서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200 mM 농도의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염,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및 안정화 효과를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100 내지 2500 U/㎖ 의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완충액에 가한다. 염 및 아미노산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그의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완충액으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시트레이트, 인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 등이 포함된다. 아미노산은 0.005 M 내지 0.1 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M 내지 0.05 M 의 최종 농도로 첨가된다. 알부민 또는 글로불린과 같은 안정화 효과를 갖는 폴리펩타이드는 상식 또는 경제적인 관점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는 적합한 농도, 바람직하게는 0.5 %(W/V) 내지 10 %(W/V) 의 농도로 첨가된다. 본 원에서 사용된 단위 "%(W/V)" 는 용액 1 ℓ 중에 용해된 용질의 양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용질 10 g 이 1 ℓ 의 용액에 용해된 경우 이 농도를 1 %(W/V) 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Tween 80 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0005%(W/V) 내지 0.1 %(W/V) 의 농도로 임의적으로 가하여 안정화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체예는 100 내지 2500 U/㎖ 의 단백질 C 및/또는 활성화 단백질 C, 50 내지 200 mM 의 나트륨 이온, 5 내지 100 mM 의 아미노산, 및 추가로 0.5 내지 10 %(W/V) 의 알부민 및 0.0005 내지 0.1 %(W/V)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완충 수용액이다.
안정화제가 분말 형태의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에 첨가되는 경우에, 안정화제의 농도량은 이 분말이 용해될 때 상기 언급한 범위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1 x 105내지 2.5 x 1O6U 의 단백질 C 및/또는 활성화 단백질 C, 50 내지 200 mg 의 나트륨 이온, 5 내지 100 밀리몰의 아미노산, 및 추가로 5 내지 100 g 의 알부민 및 0.005 내지 1 g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다.
이들 성분의 첨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분말 물질을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완충액에 직접 첨가하거나; 상기 분말 물질을 물 또는 적합한 완충액에 미리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완충 용액에 첨가하거나; 상기 분말 물질을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분말과 혼합시키는 것과 같은 여러 방법들이 포함될 수 있다. 첨가는 상기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 과정 동안에 또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과정 동안에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가 첨가된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용액은 용액 상태로 저장되거나, 분리 및 정제와 같은 과정으로 처리되거나, 또는 약제학적 제제로 제조되는 경우에, 이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 에서 수행된다. 상기 용액이 동결 상태로 저장되는 경우에, 동결점 미만의 저온, 더욱 바람직하게는 - 20 ℃ 미만의 저온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동결 건조된 상태로 저장되는 경우에, 실온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가 혼입된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용액 상태, 동결 상태 또는 동결건조 상태로 저장되는 동안에, 또는 분리 및 정제와 같은 과정으로 처리되거나, 또는 약제학적 제제로 제조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의 활성이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APC 의 활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APC 활성의 1 단위는 정상인 혈장의 활성화된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초) 을 2 배 연장시키는 APC 의 양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APC 의 활성은 희석된 샘플을 정상인 혈장에 첨가하여 APTT (초) 를 측정하고, 측정된 APTT 값이 대조(완충액) 값의 2 배가 되는 희석율을 결정하여 샘플에 대한 APC의 활성으로 함으로써 측정된다.
(방법)
샘플을 1 % 의 사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는 베로날 완충액으로 예를 들어 400 배, 500 배, 800 배 또는 1000 배 희석한다. 37℃ 에서 대조 (완충액) 또는 각 희석액 샘플 각각 100 ㎕ 에 정상인 혈장 (예를 들어 시트롤 I : Baxter Diagnostics Inc.) 100 ㎕ 및 APTT 시약(예를 들어 액틴 : Baxter Diagnostics Inc.) 100 ㎕ 를 15 초 간격으로 연속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한 다음, 2 분후 0.025 M CaCl2100 ㎕ 를 가하고, 응고 시간을 측정한다.
(활성 계산)
대조용 및 샘플의 각 희석율 (X) 에서의 APTT 값 (Y) 으로 부터 103/X 및 Y 의 직선회귀식 및 상관 계수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
Y = A (103/X) + B
다음 식으로 부터 구한 X1값을 샘플에 대한 APC(U/㎖) 의 활성으로 한다 :
X1= 103{(Y1-B)/A)
상기식에서, Y1은 대조용의 APTT (초) 의 2 배되는 값이다.
단백질 C 의 활성은 베링거 만하임 (Boehlinger Mannheim) 제품인 "스타클롯(Staclot) 단백질 C" 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PC 의 안정성에 대한 여러 카운터이온(counterion) 의 효과 :
500 U/㎖ 의 활성을 갖는 사람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용액에 2.5% 의 사람 혈청 알부민 (이후 "HSA" 로 약칭한다) 을 첨가한다. 그후, 용액을 0.7 % NaCl 및 0.067 M 글리신을 함유하는 Na 시트레이트, Na 포스페이트 및 Na 설페이트 (각각 20 mM) 의 용액에 대해 투석시킨다. 투석후, 각 용액을 37 ℃ 에서 24 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활성을 측정한다.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시험된 모든 카운터이온 Na 시트레이트, Na 포스페이트 및 Na 설페이트가 유사한 만족할만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2]
APC 의 안정성에 대한 아미노산의 효과 :
500 U/㎖ 의 활성을 갖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용액에 2.5 %의 HSA 를 첨가한다. 그후, 용액을 0.7 % NaCl 및 각각 0.05 M 의 글리신, 알라닌,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을 함유하는 나트륨 시트레이트 완충액의 용액에 대해 투석시킨다. 투석후, 각 용액을 37 ℃ 에서 24 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활성을 측정한다.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상기 언급한 여섯개의 아미노산은 모두 APC 안정성의 저하없이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다.
[표 2]
[실시예 3]
HSA 의 첨가 효과
사람 활성화 단백질 C (1700 U/㎖), 20 mM 시트레이트, 0.7 % NaCl 및 0.067 M 글리신을 함유하는 용액에 2.5 % HSA 를 첨가한 용액과 첨가하지 않은 용액을 제조한다. 그후, 용액을 37 ℃ 및 4 ℃ 에서 정치시킨다. 활성을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시간에 따라 측정하고, 활성 보유율을 구한다.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내었다.
[표 3]
각 조건하에서의 활성 보유율(%)
37℃ 에서:
4℃ 에서:
표 3 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HSA 를 함유하지 않는 시스템은 정치시 APC 활성의 감소를 저지할 수 없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2.5 % HSA 는 APC 를 매우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4]
APC 의 안정성에 대한 HSA 의 효과 :
표 4 에 기재된 데이타는 APC 의 활성이 HSA 의 농도에 의존함을 나타낸다. 활성화 단백질 C(500 U/㎖) 의 용액에 0.5 내지 10.0 % 의 HSA 를 가한다. 이 용액을 저장 용기에 충전하고, 37 ℃ 에서 정치시킨다. 24 시간후, 샘플을 취하여 활성을 측정한다. HSA 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활성은 약 20 % 감소된 반면, HSA 를 0.5 내지 10.0 % 의 농도로 첨가한 경우는 활성의 감소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APC 는 안정한 상태로 남아 있다.
[표 4]
[실시예 5]
APC 의 안정성에 대한 Tween 80의 효과 :
사람 활성화 단백질 C (500 U/㎖), 20 mM 시트레이트, 0.7 % NaCl 및 0.067 M 글리신을 함유하는 용액에 0.0005 내지 0.1 %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Tween 80 (상품명) 을 가한다. 이 용액을 저장 용기에 충전하고, 37 ℃ 에서 정치시킨다. 24 시간후, 샘플을 취하여 활성을 측정한다. 결과를 하기 표 5 에 나타내었다. Tween 80 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 활성이 약 20 % 감소되고 안정성이 저하된 반면, Tween 80 을 0.0005 내지 0.1 % 범위의 농도로 첨가한 경우는 활성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고, 용액은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표 5]
[실시예 6]
동결 건조된 고체 시트레이트의 품질에 대한 NaCl 의 효과
염화 나트륨을 1 내지 500 mM 범위의 농도로 포함하도록 APC 500 U/㎖, HSA 2.5 %, Gly 0.067 M 및 Na 시트레이트 20 mM 을 함유하는 APC 동결건조 제제를 제조한다. 각각의 동결 건조 제제를 60 ℃ 에서 1 개월 동안 저장하고, 고체의 외형상 품질을 관찰하여 하기 표 6 에 나타내었다.
[표 6]
선택된 농도의 NaCl 을 함유하는 동결 건조 제제의 품질
표 6 의 결과로 부터, 염화 나트륨을 고농도 및 저농도로 첨가한 경우에 고체 APC 제제를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명확하다. 염화 나트륨이 50 내지 200 mM 로 존재하는 것이 동결 건조 제제의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7]
동결 건조 제제에서 APC 활성
APC 활성을 100 내지 2500 U/바이알(vial) 로 함유하도록 본 발명의 안정화제 (0.7 % NaCl, 0.067 M 글리신 및 2.5 % HSA) 를 함유하는 시트레이트 완충 용액을 제조하고, 바이알에 무균적으로 분배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 밀폐시킨다.
각 바이알을 10 ℃, 15 ℃ 및 60 ℃ 에서 정치시키고, 활성의 감소를 조사한다. 결과를 하기 표 7 에 나타내었다. 데이타는 본 발명의 APC 에 대한 안정화 방법이 동결 건조의 상태에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표 7]
[실시예 8]
APC 의 안정성에 대한 반복된 동결-융해의 효과
500 U/㎖ 의 활성을 갖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함유하는 시트레이트 완충 용액에 본 발명의 안정화제(0.7 % NaCl, 0.067 M 글리신 및 2.5 % HSA) 를 가한다. 생성된 용액에 대해 동결 (- 80 ℃) 및 융해를 반복 (5 회, 10 회, 15 회 및 20 회) 실시하고, 활성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8 에 나타내었다. 20 회의 동결 융해에도 불구하고, APC 의 활성은 커다란 변화가 없었고 안정한 상태로 남아 있다.
[표 8]

Claims (8)

  1.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및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염 완충액에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및 추가로 알부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여,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0.005 M 내지 0.1 M 의 최종 농도로 첨가되는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에서 선택되는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글리신, 알라닌,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 중에서 선택되는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0.5 %(W/V) 내지 10 %(W/V) 의 최종 농도로 첨가되는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0.0005 %(W/V) 내지 0.1 %(W/V) 의 최종 농도로 첨가되는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7. 100 내지 2500 U/㎖ 의 단백질 C 및/또는 활성화 단백질 C, 50 내지 200 mM 의 나트륨 이온, 5 내지 100 mM 의 아미노산, 및 추가로 0.5 내지 10%(W/V) 의 알부민 및 0.0005 내지 0.1 %(W/V)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단백질 C 및/또는 활성화 단백질 C-함유 완충 수용액.
  8. 1 x 105내지 2.5 x 106U 의 단백질 C 및/또는 활성화 단백질 C,50 내지 200 mg 의 나트륨 이온, 5 내지 100 밀리몰의 아미노산, 및 추가로 5 내지 100 g의 알부민 및 0.005 내지 1 g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단백질 C 및/또는 활성화 단백질 C-함유 조성물.
KR1019960702105A 1993-10-29 1994-10-27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방법및안정화된조성물 KR100296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92500A JP2886061B2 (ja) 1993-10-29 1993-10-29 プロテインcもしくは活性化プロテインcの安定化方法及び安定化組成物
JP292500/1993 1993-10-29
PCT/JP1994/001804 WO1995011698A1 (fr) 1993-10-29 1994-10-27 PROCEDE DE STABILISATION DE PROTéINE C ACTIVEE OU NON ACTIVEE ET COMPOSITION STABILIS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580A KR960705580A (ko) 1996-11-08
KR100296395B1 true KR100296395B1 (ko) 2001-10-24

Family

ID=1778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105A KR100296395B1 (ko) 1993-10-29 1994-10-27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방법및안정화된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62299A (ko)
EP (1) EP0726076B1 (ko)
JP (1) JP2886061B2 (ko)
KR (1) KR100296395B1 (ko)
CN (1) CN1210061C (ko)
AT (1) ATE195425T1 (ko)
AU (1) AU679581B2 (ko)
DE (1) DE69425581T2 (ko)
WO (1) WO1995011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0329B2 (ja) * 1997-03-24 2011-05-11 カーディオム ファーマ コーポレイション 血管障害の治療方法
BR9809292A (pt) * 1997-04-28 2000-07-04 Lilly Co Eli Métodos aperfeiçoados para o processamento de proteìna c ativada
US6630137B1 (en) * 1997-04-28 2003-10-07 Eli Lilly And Company Activated protein C formulations
EP1557463A1 (en) * 1997-04-28 2005-07-27 Eli Lilly & Company Improved methods for processing activated protein C
EP1561469A1 (en) * 1997-04-28 2005-08-10 Eli Lilly & Company Activated Protein C Formulations
AU769144B2 (en) * 1997-04-28 2004-01-15 Eli Lilly And Company Improved methods for processing activated protein C
US7204981B2 (en) * 2000-03-28 2007-04-17 Eli Lilly And Company Methods of treating diseases with activated protein C
AU2001262939A1 (en) 2000-05-24 2001-12-03 Eli Lilly And Company Formulations and use of activated protein c and protein c zymogen for treating hypercoagulable states
US20050143283A1 (en) * 2002-03-08 2005-06-30 Eli Lilly And Company Activated protein c formulations
DE10333317A1 (de) * 2003-07-22 2005-02-17 Biotecon Therapeutics Gmbh Formulierung für Proteinarzneimittel ohne Zusatz von humanem Serumalbumin (HSA)
CN103893135B (zh) * 2014-03-28 2017-01-11 中国医学科学院输血研究所 一种人血浆蛋白c的冻干稳定剂组合物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959B2 (ja) * 1990-10-15 1997-04-2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シート搬送区分装置
AT397615B (de) * 1991-05-14 1994-05-25 Immuno Ag Arzneimittel enthaltend protein c
AT402262B (de) * 1991-06-20 1997-03-25 Immuno Ag Arzneimittel enthaltend aktiviertes protein c
AT402263B (de) * 1991-06-20 1997-03-25 Immuno Ag Pharmazeutische präparation enthaltend eine thrombolytisch wirkende substanz
JP3043558B2 (ja) * 1993-10-29 2000-05-22 財団法人化学及血清療法研究所 ヒト活性化プロテインc調製物及びその製法
JPH07165605A (ja) * 1993-12-16 1995-06-27 Teijin Ltd 活性化プロテインcバイア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11698A1 (fr) 1995-05-04
ATE195425T1 (de) 2000-09-15
DE69425581D1 (de) 2000-09-21
AU8003094A (en) 1995-05-22
CN1138297A (zh) 1996-12-18
KR960705580A (ko) 1996-11-08
EP0726076A1 (en) 1996-08-14
CN1210061C (zh) 2005-07-13
JPH07126184A (ja) 1995-05-16
US5962299A (en) 1999-10-05
AU679581B2 (en) 1997-07-03
JP2886061B2 (ja) 1999-04-26
EP0726076B1 (en) 2000-08-16
EP0726076A4 (en) 1997-10-29
DE69425581T2 (de) 200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6397B1 (en) Activated protein C formulations
KR100491281B1 (ko) 저당함량을가지는안정한알부민무함유재조합인자Vlll의제제
US5770700A (en) Liquid factor IX formulations
EP0228862B1 (en) Stabilized human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compositions
US7351561B2 (en) Thrombin preparation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EP0359201B1 (en) Method for stabilizing blood coagulation factors
US4968617A (en) Solid hydrochloride salt of t-PA
KR100296395B1 (ko) 단백질 c 또는 활성화 단백질 c 를 안정화시키는방법및안정화된조성물
JP2002249441A (ja) 血液凝固第vii因子を活性化するプロテアーゼ又はそのプロ酵素の安定化された液体製剤
AU743102B2 (en) Pharmaceutical substance containing various vitamin K-dependent factors
RU2142806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и хранения фактора ix, водный раствор очищенного фактора ix,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фактор ix, способ лечения
Osterlund et al. Effect of a peptide stabilizing factor on liver ATP citrate lyase
Nagasawa et al. A simple method for purification of bovine plasminogen
CA2175202C (en) A method for stabilizing protein c or activated protein c and the stabilized composition obtained by said method
JP3282834B2 (ja) 超高純度トロンビン調製物
AU769144B2 (en) Improved methods for processing activated protein C
JPH0462302B2 (ko)
EP1557463A1 (en) Improved methods for processing activated protein C
CZ373799A3 (cs) Zlepšené způsoby zpracování aktivovaného proteinu C
MXPA97005209A (es) Preparacion estabilizada de factor viii recombinante, libre de albumina, que tiene un bajo contenido de azuca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