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267B1 - 자동변속기의유압제어시스템및변속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유압제어시스템및변속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267B1
KR100296267B1 KR1019970064776A KR19970064776A KR100296267B1 KR 100296267 B1 KR100296267 B1 KR 100296267B1 KR 1019970064776 A KR1019970064776 A KR 1019970064776A KR 19970064776 A KR19970064776 A KR 19970064776A KR 100296267 B1 KR100296267 B1 KR 100296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supplied
line pressur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3734A (ko
Inventor
장재덕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6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2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2061/0037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characterised by controlled fluid supply to lubrication circuits of the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06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16H2061/0209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with independent solenoid valves modulating the pressure individually for each clutch or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3Details of electro hydraulic valves, e.g. lands, ports, spools 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6On-off solenoid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4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four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4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five enga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변속특성이 향상되고 변속제어가 간단하며 고속주행시 라인압의 가변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및 그 변속제어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자동변속기는 매뉴얼밸브(210)의 조작에 따라 라인압을 전/후진압 관로로 공급하고, 유성기어세트의 복수의 회전요소에 작용하는 세개의 클러치기구(310)(320)(330) 및 두 개의 브레이크기구(340)(350)에 선택적으로 라인압을 공급 및 해제하여 자동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를 가지며, 특히 차속 및 스로틀밸브의 개도에 따라 ON/OFF제어되는 세개의 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에 의해 세개의 압력제어밸브(230)(240)(250)를 각각 독립제어하여 유로를 개폐시키고, 각 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복수의 제어밸브(360)(370)(380)(390)로 유로를 변경하여 각 클러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서 자동변속이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제1,2,3압력제어밸브가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중립상태에서 각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가능해지고 변속특성이 향상되며 제어가 간단하다. 또한 3,4속에서 제4솔레노이드밸브(170)가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 듀티제어되어 라인압의 가변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고속주행시 라인압의 급상승으로 인한 클러치(310)(320) 및 브레이크(340)의 작동충격을 경감시킨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및 변속제어방법{pressure control sytem for automatic transimission and shift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및 변속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성기어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전요소중 한 회전요소를 고정시키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부재와 같은 마찰요소에 작동압유를 공급하는 제어밸브의 독립제어가 가능하도록 개량된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및 변속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는 유성기어세트중 한 회전요소를 고정시키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부재와 같은 마찰요소에 유압을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치차 변속장치내의 임의의 회전요소를 변속기의 출력축에 연결하기도 하고 변속기의 케이싱에 대하여 고정하기도 하여, 차량의 운전상태 예컨대, 차속 및 스로틀밸브의 개도상태에 따라 변속을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변속기에는 복수의 회전요소를 가지는 유성기어세트가 복수조로 조합되어 있고, 회전요소중 한 요소를 고정시키는 클러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와 같은 마찰요소가 채용되어 있으며, 이들 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압유를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복수의 제어밸브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각 변속단에서차속 및 스로틀밸브의 개도상태 등을 감지하는 센서기구 등의 신호를 연산하는 트랜스 콘트롤 유니트(TCU)의 전자제어에 의해서 이들 제어밸브는 포트변환이 이루어져 각 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압유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의 일예가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케이싱(40)내에 엔진(10)의 동력을 유체 클러치 작용으로 입력축(23)에 전달하는 토오크 컨버터(20)와, 입력축(23)에 전달된 동력을 전진4단 후진 1단으로 변속시키는 변속부가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토오크 컨버터(20)는 크랭크축(11)과 함께 회전되는 임펠러(21)와, 이 임펠러(21)의 회전에 따른 유체마찰로 상기 입력축(23)과 함께 회전되는 터빈(22)을 포함한다.
상기 변속부는 유성치차(30)와, 이 유성치차(30)의 임의 회전요소중 한 요소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클러치(41,42,43) 및 브레이크(51,52)와, 일방향클러치(37)로 구성된다.
상기 유성치차(30)는 링기어(34), 긴 피니언기어(33), 짧은 피니언기어(35), 리어 선기어(32), 플런트 선기어(31) 및 상기 피니언 기어(33,3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출력축(39)에 연결가능한 캐리어(36)로 구성된다. 상기 링기어(34)는 변속기 출력축(39)에 연결가능하고, 프론트 선기어(31)는 킥/다운드럼(38) 및 프런트 클러치(41)를 통하여 출력축(39)에 연결되며, 리어 선기어(32)는 리어 클러치(42)를 통하여 출력축(39)에 연결된다. 그리고 캐리어(36)는 상호 병렬로 설치된 로우/리버스브레이크(52)와 일방향 클러치(37)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40)에 연결가능함과 동시에 엔드 클러치(43)를 통하여 출력축(39)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킥/다운드럼(38)은 킥/다운 브레이크(51)에 의해 케이스(40)와 전체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고, 유성치차(30)를 통과한 토오크는 출력축(39)에고정된 구동치차(61)로부터 구동륜의 구동축(62)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각 클러치(41,42,43) 및 브레이크(51,52)는 각각 피스톤기구 또는 서보기구 등을 구비한 유압기기로 구성되어 있고, 오일펌프(24)에서 발생되는 유압이 소정의 유압제어기구(80)를 통해 공급되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유압제어기구(80)는 트랜스 콘트롤 유니트(70)의 전자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변속레버에 의한 선택 패턴은 P(주차),R(후진),N(중립),D(전진 3단 또는 4단 자동변속),2(전진 2단 자동변속),L(제1단 고정)로 되어 있다. 상기 변속레버를 상기 선택 패턴의 각 영역에 유지한 경우, 상기 각각의 클러치(41,42,43) 및 브레이크(51,5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면중 부호 "0"는 유압이 작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작동되어 각 변속단에 대응하여 자동변속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자동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41,42,43) 및 브레이크(51)(52)를 작동시키는 유압제어기구는 엔드 클러치(43)에 공급되는 유압의 공급시키를 제어하며 2속에서 3속으로 변속시 엔드클러치(43)에 유압을 공급하고 3속에서 2속으로 변속시 엔드클러치(43)에 공급되었던 유압을 해방시키는 엔드클러치밸브(44)와, 1속에서 2속으로 변속시 라인압의 흐름을 제어하고 후진시에 로우/리버스 브레이크(52)의 유압통로를 제어하는 1-2시프트밸브(88)와, 3속에서 4속으로 변속시 리어 클러치(42)의 작동 유압을 배출시키고 4속에서 3속으로 변속될 때 리어 클러치(42)에 공급되는 유압의 시간을 제어하여 충격발생을 방지시키는 리어 클러치 배기밸브(89)와, 프런트 클러치(41), 리어 클러치(42) 및 킥/다운브레이크(51)의 해방측에 작용하는 유압을 조절하는 2-3/4-3시프트밸브(90)를 구비한다. 그리고 트랜스 콘트롤 유니트(70)의 신호에 따라 듀티제어되는 두 개의 압력제어솔레노이드밸브(83,8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압력제어 솔레노이드밸브(83,84)의 제어에 따라 각 클러치 및 브레이크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여 변속시의 충격발생을 방지시키는 두 개의 압력제어밸브(85,8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변속단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유로를 절환하는 시프트 콘트롤밸브(87)와, 트랜스 콘트롤 유니트(70)의 신호에 따라 0n/off 제어되어 시프트 콘트롤 밸브(87)에 작용하는 라인압을 조절하는 두 개의 시프트 콘트롤 솔레노이드밸브(81)(82)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유압제어 시스템은 상기 트랜스 콘트롤유니트(70)에 의해 전자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81,82)의 on/off제어에 따라 포트변환되는 시프트밸브(87)가 각 변속단에 대응하여 각 밸브(44,88,89,90)를 선택적으로 포트변환시키고, 선택적으로 포트변환된 밸브(44,88,89,90)에 각 압력제어밸브(85,86)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어 선택된 변속단에서 선택된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써, 변속제어가 복잡하고 응답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변속제어가 간단하고 응답성이 향상되도록 개량된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및 변속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전/후진 주행중 "N레인지"로의 변속후 다시 전/후진 변속단으로 매뉴얼변속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및 변속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4속 자동변속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자동변속기에 있어서 각 변속단에서 선택적으로 작동되
는 마찰요소를 표시한 도표,
도3은 도1에 도시된 종래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도,
도4는 본 발명 자동변속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5는 본 발명 자동변속기에 있어서 각 변속단에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마
찰요소를 표시한 도표,
도6은 본 발명 자동변속기에 있어서 각 변속단에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솔
레노이드밸브를 표시한 도표,
도7은 본 발명 자동변속기의 "N레인지" 상태에서의 유압 회로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유압회로도의 요부(100)를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9는 도7에 도시된 유압회로도의 요부(200)를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10은 도7에 도시된 유압회로도의 요부(300)를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11은 "D레인지" 1속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12는 "D레인지" 2속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13은 "D레인지" 3속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14는 "D레인지" 4속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15는 "L레인지"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16은 "R레인지"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17은 "D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 시프트 업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
속기의 유압회로도,
도18의 (a)는 "D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 시프트 업 초기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b)는 "D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 시프트 업 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19는 "D레인지" 3속에서 4속으로 시프트 업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
속기의 유압회로도,
도20은 "D레인지" 4속에서 3속으로 다운 시프트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21은 "D레인지"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시프트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22는 "D레인지" 2속에서 1속으로 다운 시프트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23은 "D레인지" 2속에서 4속으로 리프트 풋 업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
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24는 "D레인지" 4속에서 2속으로 킥/다운 스킵 시프트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25는 "D레인지" 3속에서 1속으로 킥/다운 스킵 시프트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도,
도26은 "D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 시프트 업 변속시 라인압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27은 "D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 시프트 업 변속시 라인압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28은 "D레인지" 3속에서 4속으로 시프트 업 변속시 라인압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29는 "D레인지" 4속에서 3속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시 라인압 상태를 나타
낸 그래프,
도30은 "D레인지"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시 라인압 상태를 나타
낸 그래프,
도31은 "D레인지" 2속에서 1속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시 라인압 상태를 나타
낸 그래프,
도32는 "D레인지" 2속에서 4속으로 리프트 풋 업 변속시 라인압 상태를 나타
낸 그래프,
도33은 "D레인지" 4속에서 2속으로 킥/다운 스킵 변속시 라인압 상태를 나타
낸 그래프,
도34는 "D레인지" 3속에서 1속으로 킥/다운 스킵 변속시 라인압 상태를 나
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토오크 컨버터 120...댐퍼클러치 콘트롤밸브
130...제5솔레노이드밸브 140...감압밸브
150...토오크컨버터 콘트롤밸브 160...레귤레이터 밸브
170...제4솔레노이드밸브 180...오일펌프
210...매뉴얼밸브 220...N-R콘트롤 밸브
230...제1압력제어밸브 240...제2압력제어밸브
250...제3압력제어밸브 260...제1솔레노이드밸브
270...제2솔레노이드밸브 280...제3솔레노이드밸브
310...언더 드라이브 클러치 320...오버 드라이브 클러치
330...리버스 클러치 340...킥/다운 브레이크
350...로우/리버스 브레이크 360...제1제어밸브
370...제2제어밸브 380...제3제어밸브
390...제4제어밸브 400...변속제어 유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유성기어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전요소와, 복수의 회전요소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마찰요소를 가지는 변속유니트와;
상기 변속유니트의 입력축에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토오크 컨버터와;
엔진의 구동력으로 유압을 발생하며 상기 복수의 마찰요소에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일정압인 라인압으로 조절하고 상기 토오크 컨버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밸브와;
변속조작하는 조작레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라인압을 전진압관로 또는 후진압관로로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매뉴얼밸브와;
각 변속단에서 트랜스제어유니트의 신호에 따라 ON/OFF 또는 듀티제어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따라 포트변환되어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개폐시키는 복수의 압력제어밸브와;
각 변속단에서 포트변환되어 상기 선택된 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제어밸브;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압력제어밸브는 상기 전진압관로를 통한 라인압을 상기 마찰요소중 "D레인지" 1,2,3속 및 "L레인지"에서 작동하는 제1클러치기구에 공급시키는 제1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전진압관로를 통한 라인압을 상기 마찰요소중 "D레인지" 2,3,4속에서 작동하는 제1브레이크기구에 공급시키는 제2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전진압관로를 통한 라인압을 상기 마찰요소중 "D레인지" 3,4속에서 작동하는 제2클러치기구와 "L레인지"에서 작동하는 제2 브레이크기구에 공급시키는 제3압력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레귤레이터밸브로부터 조절된 라인압과 제2클러치기구에 작용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며, 상기 마찰요소중 제1압력제어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3속에서 작용하는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는 제1제어밸브와;
"D레인지"3,4속에서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상기 제2 클러치기구로 공급하고, "L레인지"에서 소정의 포트변환수단에 의해서 포트변환 되어 상기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상기 제2브레이크 기구로 공급하는 제2제어밸브와;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과 상기 제2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어 상기 제1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3속에서 작용하는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는 제3제어밸브와;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를 통한 라인압을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공급시키는 제4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제어유니트에의 입력요소에는 차속 및 스로틀 밸브의 개도가 포함된다.
상기 매뉴얼밸브는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D레인지" 및 "L레인지"에서 상기 제1,2,3압력제어밸브측으로 라인압을 공급하는 제2포트와, "L레인지"에서 상기 제2제어밸브를 포트변환시키도록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와, "D레인지" 및 "L레인지"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밸브를 포트변환시키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와, "R레인지"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밸브를 포트변환시키고 제3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시키는 제5포트와, " R레인지"에서 상기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제6포트와,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상기 각 포트를 변환시키는 밸브스풀을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매뉴얼밸브의 제6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 상에는 "N레인지"에서 " R레인지"로 변속시 충격을 경감시키는 N-R콘트롤밸브가 더 마련되어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밸브는 상기 오임펌프로부터 압유가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토오크컨버터측으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2,3포트와, 상기 "D레인지" 및 "L레인지"에서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와, "R레인지"에서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와,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오일팬으로 배출시키는 제6포트와,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이동되어 포트변환시키는 밸브스풀을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레귤레이터밸브에는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어 상기 밸브스풀의 포트변환에 관계하는 제7포트형성하고, 제7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을 "D레인지" 3속 또는 4속에서 듀티제어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제어밸브는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2클러치기구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와, 상기 제3포트와 연통하여 제어압을 상기 제3제어밸브에 공급하는 제4포트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며 상기 제3포트를 개폐하여 상기 제4포트와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제1랜드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되는 제어압이 작용하는 제2랜드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가진다.
상기 제2제어밸브는 "L레인지"에서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상기 제2브레이크기구에 제어압을 공급하는 제3포트와, 상기 제2클러치기구에 제어압을 공급하는 제4포트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1랜드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되는 제어압을 상기 제3,4포트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랜드를 포함하는 밸브스풀을 가진다.
상기 제3제어밸브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2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2,3포트와, 상기 제1제어밸브의 제4포트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와, 상기 제4포트로부터 공급된 라인압을 상기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는 제5포트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1,2랜드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3랜드와, 상기 제4,5포트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제4랜드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가진다.
상기 제4제어밸브는 상기 제3클러치기구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클러치기구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상기 제2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와, 상기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와,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와,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6포트와, 상기 제6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을 상기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공급하는 제7포트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1랜드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2랜드와, 상기 제3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3랜드와, 상기 제4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4랜드와, 상기 제5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5랜드와, 상기 제6,7포트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제6랜드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가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매뉴얼밸브의 조작에 따라 라인압을 전/후진압 관로로 공급하고, 유성기어세트의 복수의 회전요소에 작용하는 세개의 브레이크기구 및 두 개의 클러치기구에 선택적으로 라인압을 공급 및 해제하여 자동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에 있어서,
차속 및 스로틀밸브의 개도에 따라 ON/OFF제어되는 세개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세개의 압력제어밸브를 각각 독립제어하여 유로를 개폐시키고, 상기 각 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복수의 제어밸브로 유로를 변경하여 상기 각 클러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서 자동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1속은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압력제어밸브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진다.
2속은 제1,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2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며,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3속은 제1,2,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2,3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이 라인압을 제1제어밸브와 제3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며,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4속은 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제2,3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L레인지"는 제1,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3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후진으로의 변속은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3클러치기구와 제2브레이크기구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1속에서 2속으로 업 시프트 변속은; 1속상태에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유지시키고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2속에서 3속으로 업 시프트 변속은; 2속 상태에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이 공급되고, 이후 제1클러치기구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제1제어밸브 및 제3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3속에서 4속으로 업 시프트 변속은; 3속 상태에서 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1클러치기구 및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1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4속에서 3속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은; 4속 상태에서 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이 라인압을 제1제어밸브와 제3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은; 3속 상태에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2클러치기구에 작동되었던 라인압이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3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되도록 하고, 동시에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3제어밸브 및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3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2속에서 1속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은; 2속 상태에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유지시키고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2속에서 4속으로 리프트 풋 업 변속은; 2속 상태에서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제1클러치기구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1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시키고,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4속에서 2속으로 킥/다운 스킵 변속4속 상태에서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2클러치기구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3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시키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3속에서 1속으로 킥/다운 스킵 변속은; 3속 상태에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3압력제어밸브를 통해 해제시키고,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2압력제어밸브를 통해 해제시키며,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3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제어밸브를 통해 해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유압제어시스템은 각 제어밸브가 각 압력제어밸브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제어되므로 변속제어가 간단하고 변속응답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비뇨형 유성치차를 채용한 전자제어식 4속 자동변속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되는 4속 자동변속기는 도1에 도시된 4속 자동변속기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유압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4속 자동변속기의 구성요소는, 도4 참조, 엔진(10)의 동력을 유체마찰로 토오크 변환시키는 토오크 컨버터(110)와, 이 토오크 컨버터(110)로부터 동력이 입력되는 출력축(39)에 결합되어 소정 변속비로 출력시키는 변속단 예컨대, 유성치차기구(30)를 가진다.
상기 유성치차기구(30)는 케이스(40)와, 이에 수용되는 플런트 선기어(31) 및 리어 선기어(32)와, 상기 프런트 선기어(31)에 외접되는 긴 피니언(33)과, 상기 리어 선기어(32)와 긴 피니언(33)을 연결하는 짧은 피니언(35)과, 상기 긴 피니언(33)을 내접시키는 링기어(34)와, 상기 긴 피니언(33)과 짧은 피니언(35)을 지지하며 상기 출력축(3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36)를 가진다.
그리고 4속 자동변속기에는 상기 출력축(39)에 상기 프런트 선기어(31)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작동되는 리버스 클러치(Reverse clutch;330)와, 상기 출력축(39)에 상기 리어 선기어(Rear sun gear;32)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유압작동되는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Uder drive clutch;310)와, 상기 출력축(39)에 상기 캐리어(Carrier;36)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유압작동되는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Over drive clutch;320)와, 상기 프런트 선기어(Front sun gear;31)를 상기 케이스(40)에 고정시키도록 작동되는 킥/다운 브레이크(Kick/Down brake;340)와, 상기 캐리어(36)를 상기 케이스(40)에 고정시키도록 작동되는 로우/리버스 브레이크(Low/reverse brake;350)가 채용된다.
한편, 본 시스템에 채용되는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와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는 변속 제어시 원심력의 영향을 배제시키기 위하여 유압밸런스기구(미도시)가 채용되었다.
이하에 본 발명 유압제어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 및 도7을 참조하면, 이 시스템에는 상기 엔진(10)의 구동과 함께 구동되어 라인압을 생성하며 상기 각 클러치(310)(320)(330) 및/또는 브레이크(340)(350)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180)와; 변속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라인압을 전진압관로 또는 후진압관로로 선택적으로 분배시켜서 상기 각 클러치(310)(320)(330) 및/또는 브레이크(340)(350)에 공급시키는 매뉴얼 밸브(210)와; 상기 오일펌프(180)에서 발생한 유압을 일정압인 라인압으로 조절하고 상기 토오크 컨버터(110)에 압유를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밸브(160)와; 상기 전진압관로를 통한 라인압을 상기 클러치기구중 "D레인지" 1,2,3속 및 "L레인지"에서 작동하는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공급시키는 제1압력제어밸브(230)와; 상기 전진압관로를 통한 라인압을 상기 브레이크기구중 "D레인지" 2,3,4속 에서 작동하는 킥/다운 브레이크(340)에 공급시키는 제2압력제어밸브(240)와; 상기 전진압관로를 통한 라인압을 상기 클러치기구중 "D레인지" 3,4속에서 작동하는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와 상기 브레이크기구중 "L레인지"에서 작동하는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에 공급시키는 제3압력제어밸브(250)와; 엔진(10) 및 변속부에 부착된 각종 센서로부터 입수한 차량운행 상태의 정보(예컨대, 차속 및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연산하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따라 ON/OFF 또는 듀티제어되어 상기 각 제1, 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의 포트변환을 각각 제어하는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밸브(160)로부터 조절된 라인압과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작용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며, 제1압력제어 밸브(26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3속에서 작용하는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는 제1제어밸브(360)와; "D레인지"3,4속에서 제3압력제어밸브(25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상기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로 공급하고, "L레인지"에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 되어 상기 제3압력제어밸브(25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상기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로 공급하는 제2제어밸브(370)와;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23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과 상기 제2제어밸브(37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어 상기 제1제어밸브(36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3속에서 작용하는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는 제3제어밸브(380)와;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40)를 통한 라인압을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에 공급시키는 제4제어밸브(390);를 구비한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밸브(160)는 상기 오일펌프(180)로부터 압유가 공급되는 제1포트(161)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110)측으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2,3포트와(162,163), 상기 "D레인지" 및 "L레인지"에서 상기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164)와, "R레인지"에서 상기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165)와, 오일펌프(180)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오일팬(181)으로 배출시키는 제6포트(166)와, 상기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이동되어 포트변환시키는 밸브스풀(168)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밸브(160)에는 상기 오일펌프(18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어 상기 밸브스풀(168)의 포트변환에 관계하는 제7포트(167)가 형성되고, 이 제7포트(167)로 공급되는 라인압을 "D레인지" 3속 또는 4속에서 듀티제어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17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펌프(180)와 매뉴얼밸브(210) 사이의 유로상에는 라인압을 그 이하로 감압시키는 감압밸브(14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는 갑압된 유압으로 각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를 포트변환시키도록 변속제어유니트(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도9를 참조하면, 상기 매뉴얼밸브(210)는 상기 오일펌프(11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211)와, "D레인지" 및 "L레인지"에서 상기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라인압을 공급하는 제2포트(212)와, "L레인지"에서 상기 제2제어밸브(370)를 포트변환시키도록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213)와, "D레인지" 및 "L레인지"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밸브(160)를 포트변환시키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214)와, "R레인지"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밸브(160)를 포트변환시키고 상기 리버스 클러치(330)에 라인압을 공급시키는 제5포트(215)와, "R레인지"에서 상기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제6포트(216)와,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상기 각 포트를 변환시키는 밸브스풀(217)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6포트(216)로 공급되는 라인압 상에는 "N레인지"에서 " R레인지"로 변속시 충격을 경감시키는 N-R콘트롤밸브(220)가 마련되어 있다.
도7 및 도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230)는 상기 감압밸브(140)로부터 감압이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계하는 제1,2포트(231,232)와, 전진단으로 변속시 상기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233)와, 이 제3포트(233)와 연통하여 라인압을 상기 제1,3,4제어밸브(360,380,390) 및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공급하는 제4포트(234)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스프링으로 탄지되고 제1포트(231)로 공급되는 감압이 작용하는 제1랜드(235)와, 제2포트(232)로 공급되는 감압이 작용하여 제3포트(233)를 개폐시키는 제2랜드(236)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포트(231)로 공급되는 감압은 변속제어유니트(40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260)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40)는 상기 감압밸브(140)로부터 감압이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계하는 제1,2포트(241,242)와, 전진단으로 변속시 상기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243)와, 이 제3포트(243)와 연통하여 라인압을 상기 제4제어밸브(390)에 공급하는 제4포트(244)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스프링으로 탄지되고 제1포트(241)로 공급되는 감압이 작용하는 제1랜드(245)와, 제2포트(242)로 공급되는 감압이 작용하여 제3포트(243)를 개폐시키는 제2랜드(246)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포트(241)로 공급되는 감압은 변속제어유니트(40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270)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 제3압력제어밸브(250)는 상기 감압밸브(140)로부터 감압이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계하는 제1,2포트(251,252)와, 전진단으로 변속시 상기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253)와, 이 제3포트(253)와 연통하여 라인압을 상기 제2제어밸브(370)에 공급하는 제4포트(254)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스프링으로 탄지되고 제1포트(251)로 공급되는 감압이 작용하는 제1랜드(255)와, 제2포트(252)로 공급되는 감압이 작용하여 제3포트(253)를 개폐시키는 제2랜드(256)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포트(251)로 공급되는 감압은 변속제어유니트(40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280)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7 및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제어밸브(360)는 상기 오일펌프(18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361)와, 상기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362)와,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230)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363)와, 이 제3포트(363)와 연통하여 제어압을 상기 제3제어밸브(380)에 공급하는 제4포트(364)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361)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며 상기 제3포트(363)를 개폐하여 제4포트(364)와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제1랜드(365)와, 제2포트(362)로 공급되는 제어압이 작용하며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제2랜드(366)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구비한다.
상기 제2제어밸브(370)는 "L레인지"에서 매뉴얼밸브(210)의 제3포트(213)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371)와, 제3압력제어밸브(250)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372)와,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에 제어압을 공급하는 제3포트(373)와, 상기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제어압을 공급하는 제4포트(374)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371)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1랜드(375)와, 상기 제2포트(372)로 공급되는 제어압을 상기 제3,4포트(373,374)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며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제2랜드(376)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구비한다.
상기 제3제어밸브(380)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23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381)와, 상기 제2제어밸브(37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2,3포트(382,383)와, 상기 제1제어밸브(360)의 제4포트(364)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384)와, 상기 제4포트(384)로부터 공급된 라인압을 킥/다운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하는 제5포트(385)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제1포트(381)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1,2랜드(386,387)와, 상기 제2포트(382)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3랜드(388)와, 상기 제4,5포트(384,385)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제4랜드(389)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구비한다.
상기 제4제어밸브(390)는 리버스 클러치(330)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391)와,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392)와, 상기 제2제어밸브(37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393)와, 상기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394)와,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23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395)와,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4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6포트(396)와, 이 제6포트(396)로 공급되는 라인압을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하는 제7포트(397)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391)로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1랜드(398a)와, 상기 제2포트(392)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2랜드(398b)와, 상기 제3포트(393)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3랜드(398c)와, 상기 제4포트(394)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4랜드(398d)와, 상기 제5포트(395)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5랜드(398e)와, 상기 제6,7포트(396,397)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제6랜드(398f)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구비한다.
한편, 참조번호 130은 댐퍼 클러치 컨트롤 솔레노이드밸브로서 변속제어유니트(400)의 신호에 따라 듀티율(duty rate)로 제어되어 댐퍼클러치 콘트롤밸브(120)를 포트변환시킨다. 또한 참조번호 150은 토오크 컨버터(110)의 유압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토오크 컨버터 콘트롤밸브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은각 변속단에서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먼저, 본 발명 유압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변속기의 클러치기구(310,320,330) 및 브레이크기구(340,350)는 각 변속단에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를 제어하는 각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는 각 변속단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OFF 제어된다.
"D레인지" 1속
도5,6 및 도11을 참조하면, "D레인지" 1속에서는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가 작동되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FF로 제어되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가 ON으로 제어된다.
매뉴얼밸브(210)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D레인지"로 변속시키면,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계한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26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제1,2포트(231,232)에 동일한 압력의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밸브스풀은 스프링력으로 원위치를 유지하여 제3,4포트(233,23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언더 드라이브클러치(31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N 으로 제어됨으로써 각 제2,3압력제어밸브(240)(250)의 각 제1포트(241)(251)에는 각 제2포트(242)(252)에서 보다 낮은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제2,3압력제어밸브(240)(250)의 각 밸브스풀은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각각의 제3포트(243)(253)를 차단시킨다.
한편, 제1제어밸브(360)는 오일펌프(18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어 제3포트(363)가 차단되며, 이에 따라서 제3제어밸브(38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에는 라인압이 공급되지 않는다.
"D레인지" 2속
도5,6 및 도12를 참조하면, "D레인지" 2속에서는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와 킥/다운 브레이크(340)가 작동되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260)(270)가 OFF로 제어되고,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ON으로 제어된다.
매뉴얼밸브(210)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D레인지"로 변속시키면,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계한다. 이때 제3솔레노이드밸브(28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N 으로 제어됨으로써 제3압력제어밸브(250)의 제1포트(251)에는 제2포트(252)에서 보다 낮은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제3압력제어밸브(250)의 밸브스풀은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3포트(253)를 차단시킨다.
그리고 제1,2솔레노이드밸브(260)(27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1,2압력제어밸브(230)(240)의 각 제1,2포트(231,232)(241,242)에 동일한 압력의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각 밸브스풀은 스프링력으로 원위치를 유지하여 각각의 제3,4포트(233,234)(243,24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공급되고, 제2압력제어밸브(240) 및 제4제어밸브(39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4제어밸브(390)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한 라인압이 제5포트(395)를 통해 밸브스풀의 제5랜드(398e)에 작용하여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6포트(396)와 제7포트(397)가 연결되어 제2압력제어밸브(240)를 통한 라인압이 킥/다운 브레이크(340)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제1제어밸브(360)는 오일펌프(18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어 제3포트(363)가 차단되며, 이에 따라서 제3제어밸브(38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에는 라인압이 공급되지 않는다.
"D레인지" 3속
도5,6 및 도13을 참조하면, "D레인지" 3속에서는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가 작동되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가 OFF로 제어된다.
매뉴얼밸브(210)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D레인지"로 변속시키면,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계한다. 이때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의 각 제1,2포트(231,232)(241,242)(251,252)에 동일한 압력의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각 밸브스풀은 스프링력으로 원위치를 유지하여 각각의 제3,4포트(233,234)(243,244)(253,25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공급되고, 제2압력제어밸브(240) 및 제4제어밸브(39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되며, 제3압력제어밸브(250) 및 제2제어밸브(370)를 통해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된다. 또한,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한 라인압이 제1제어밸브(360) 및 제3제어밸브(38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4제어밸브(390)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한 라인압이 제5포트(395)를 통해 밸브스풀의 제5랜드(398e)에 작용하고 제3제어밸브(38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되는 라인압이 제4랜드(398d)에 작용하여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6포트(396)와 제7포트(397)가 연결되어 제2압력제어밸브(240)를 통한 라인압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되게 된다.
3속으로의 변속초기에 제1제어밸브(360)는 오일펌프(18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밸브스풀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3포트(363)가 차단되고, 이후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라인압이 공급된후 그 라인압이 제1제어밸브(360)의 제2랜드(366)에 작용함으로써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3,4포트(363)(36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제1압력제어밸브(23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이 제1제어밸브(360)를 경유하여 제3제어밸브(380)의 제4포트(384)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3제어밸브(380)는 제2제어밸브(37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과 제1압력제어밸브(23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어 제4,5포트(384)(385)가 연통되고, 이에 따라 제1제어밸브(36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으로 공급된다.
한편, 3속에서 제4솔레노이드밸브(17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 듀티제어됨으로써, 고속주행시 라인압의 급상승으로 인한 클러치(310)(320) 및 브레이크(340)의 작동충격을 경감시킨다.
"D레인지" 4속
도5,6 및 도14를 참조하면, "D레인지" 4속에서는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가 작동되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N제어되며,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가 OFF로 제어된다.
매뉴얼밸브(210)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D레인지"로 변속시키면,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계한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260)는 ON으로 제어됨으로써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3포트(233)를 차단시킨다. 그리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2,3압력제어밸브(240)(250)의 각 제1,2포트(241,242) (251,252)에 동일한 압력의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각 밸브스풀은 스프링력으로 원위치를 유지하여 각각의 제3,4포트(243,244)(253,25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2압력제어밸브(240) 및 제4제어밸브(39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되고, 제3압력제어밸브(250) 및 제2제어밸브(370)를 통해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4제어밸브(390)는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40)를 통한 라인압이 제5포트(395)를 통해 밸브스풀의 제5랜드(398e)에 작용하고, 제2제어밸브(370)를 통해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되는 라인압이 제3랜드(398c)에 작용하며, 제5랜드(398e)에 작용하는 힘이 제3랜드(398c)에 작용하는 힘보다 크므로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6포트(396)와 제7포트(397)가 연결되어 제2압력제어밸브(240)를 통한 라인압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4속에서 제4솔레노이드밸브(17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 듀티제어됨으로써, 고속주행시 라인압의 급상승으로 인한 클러치(320) 및 브레이크(340)의 작동충격을 경감시킨다.
"L레인지"
도5,6 및 도15를 참조하면, "L레인지"에서는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 및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가 작동되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FF로 제어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270)가 ON으로 제어되며,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OFF로 제어된다.
매뉴얼밸브(210)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L레인지"로 변속시키면,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며, 제3포트(213)를 통한 라인압은 제2제어밸브(370)의 제1포트(371)로 공급된다. 이때 제2제어밸브(370)의 밸브스풀은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2포트(372)와 제3포트(373)를 연통시킨다.
한편,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여한다. 이때 제2솔레노이드밸브(270)는 ON으로 제어됨으로써 제2압력제어밸브(240)의 밸브스풀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3포트(243)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제1솔레노이드밸브(26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제1,2포트(231,232)에 동일한 압력의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밸브스풀은 스프링력으로 원위치를 유지하여 제3,4포트(233,23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언더 드라이브클러치(31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제1제어밸브(360)의 제1포트(361)로 공급되는라인압으로 밸브스풀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3포트(363)를 차단시킴으로써 제3포트(363)로는 라인압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3솔레노이드밸브(28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3압력제어밸브(250)의 제3,4포트(253)(254)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3압력제어밸브(250)를 경유하여 제2제어밸브(370)를 통해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에 공급된다.
"R레인지"
도5,6 및 도16을 참조하면, "R레인지"에서는 리버스 클러치(330) 및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가 작동되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듀티 제어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270)가 ON으로 제어되며,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OFF로 제어된다.
매뉴얼밸브(210)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R레인지"로 변속시키면,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된다. 그리고 매뉴얼밸브(210)의 제1포트(211)를 통해 공급된 라인압은 제5포트(215)를 통해 레귤레이터밸브(160)의 제5포트(165)로 공급되어 라인압조절에 관여하고, 동시에 리버스 클러치(330)에 공급된다.
그리고 매뉴얼밸브(210)의 제6포트(216)를 통해 배출되는 라인압은 N-R콘트롤밸브(220)를 통해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에 공급된다. 이때 N-R콘트롤밸브(220)를 통한 라인압의 압력은 제1솔레노이드밸브(260)의 듀티 제어에 따라 조절되며, 포트변환에는 상기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이 이용된다. 이러한 N-R콘트롤밸브(220)는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속시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의 급작동에 따른 변속충격을 경감한다.
"D레인지" 1속에서 "D레인지" 2속으로 변속
도8 내지 도10 및 도17과 라인압 변화를 나타낸 도26을 참조하면, "D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 변속되게 되면, 1속에서 작동되던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킥/다운 브레이크(340)가 더 작동되게 되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FF로 제어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270)가 듀티제어되며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OFF로 제어된다.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여한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26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제1,2포트(231,232)에 동일한 압력의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밸브스풀은 스프링력으로 원위치를 유지하여 제3,4포트(233,23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언더 드라이브클러치(310)를 작동시키고 제4제어밸브(390)의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6포트(396)와 제7포트(397)를연통시킨다.
그리고, 제2솔레노이드밸브(27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듀티 제어됨으로써 각 제2압력제어밸브(240)의 제3,4포트(243)(24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2압력제어밸브(240)를 경유하고 제4제어밸브(39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된다.
한편, 제1제어밸브(360)는 오일펌프(18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어 제3포트(363)가 차단된다.
"D레인지" 2속에서 "D레인지" 3속으로 변속
도8 내지 도10 및 도18(a)(b)와 라인압 변화를 나타낸 도27을 참조하면, "D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 변속시 2속에서 작동되던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와 킥/다운 브레이크(340)에 더하여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가 작동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가 OFF로 제어되고, 제4솔레노이드밸브(170)가 듀티 제어된다.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계한다. 이때 각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FF로 제어됨으로써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의 각 제1,2포트(231,232)(241,242)(251,252)에 동일한 압력의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각 밸브스풀은 스프링력으로 원위치를 유지하여 각각의 제3,4포트(233,234)(243,244)(253,25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공급되고, 제2압력제어밸브(240) 및 제4제어밸브(39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되며, 제3압력제어밸브(250) 및 제2제어밸브(370)를 통해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된다.
한편, 도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초기에는 도12에서와 같은 2 속의 상태이므로 제1제어밸브(360)의 제3포트(363)가 차단되고 제3압력제어밸브(250)의 제3포트(253)가 차단된다.
이후 도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듀티제어되면서 제3압력제어밸브(250)의 제3,4포트(253)(254)가 연통되어 제2제어밸브(370)를 통해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라인압이 공급되고 동시에 제1제어밸브(360)의 제2랜드(366)측에 공급되며 제3제어밸브(380)의 제2포트(382)측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제1제어밸브(360)의 밸브스풀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제3포트(363)가 개방되고 이를 통해 제3제어밸브(380)의 제4포트(384)측으로 공급되며, 동시에 제3제어밸브(380)의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4포트(384)와 제5포트(385)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제1제어밸브(360)를 통한 라인압은 제3제어밸브(38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된다.
한편, 3속에서 제4솔레노이드밸브(17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 듀티제어됨으로써, 고속주행시 라인압의 급상승으로 인한 클러치(320) 및 브레이크(340)의 작동충격을 경감시킨다.
" D레인지" 3속에서 4속으로 변속
도8내지 도10 및 도19와 라인압 변화를 나타낸 도28을 참조하면, "D레인지" 3속에서 4속으로 변속시에는 3속에서 작동되던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되던 라인압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260)(270)가 듀티 제어되고,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OFF로 제어된다.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여한다. 이때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계속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2,3압력제어밸브(230)(240)의 각 제1,2포트(241,242)(251,252)에 동일한 압력의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각 밸브스풀은 스프링력으로 원위치를 유지하여 각각의 제3,4포트(243,244)(253,25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2압력제어밸브(240) 및 제4제어밸브(39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계속 공급되며, 제3압력제어밸브(250) 및 제2제어밸브(370)를 통해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계속 공급된다.
한편, 제1솔레노이드밸브(260)는 듀티제어됨으로써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3포트(233)를 차단시키고 귀환포트(237)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서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은 귀환포트(237)를 통해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밸브(360)는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밸브스풀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3,4포트(363)(364)가 연통된다. 이에 따라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3제어밸브(380) 및 제1제어밸브(360)의 제3,4포트(363)(364)를 통해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귀환포트(237)로 해제되게 된다.
한편, 3속에서 듀티제어 되었던 제4솔레노이드밸브(170)는 계속 듀티제어됨으로써, 고속주행시 라인압의 급상승으로 인한 클러치(320) 및 브레이크(340)의 작동충격을 경감시킨다.
" D레인지" 4속에서 3속으로 변속
도8내지 도10 및 도20과 라인압 변화를 나타낸 도29를 참조하면, "D레인지" 4속에서 3속으로 다운 시프트되게 되면는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과 더불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가 작동되게 되며,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가 OFF로 제어된다.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여한다. 이때 제2,3압력제어밸브(270)(280)를 통해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와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라인압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며,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N에서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제1,2포트(231,232)에 동일한 압력의 감압이 공급된다. 따라서 밸브스풀은 스프링력으로 원위치를 유지하여 제3,4포트(233,23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1제어밸브(360)의 밸브스풀은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되는 라인압 및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3,4포트(363)(36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로 공급되는 라인압의 일부가 제1제어밸브(360)의 제3,4포트(363)(364)를 경유하여 제3제어밸브(380)로 공급되고 이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된다.
한편, 4속에서 듀티제어 되었던 제4솔레노이드밸브(170)는 3속에서도 유지된다.
" D레인지" 3속에서 2속으로 변속
도8내지 도10 및 도21과 라인압 변화를 나타낸 도30을 참조하면, "D레인지"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시프트시에는 3속에서 작용되었던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가 계속 작동되고,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해제됨으로써 작동해제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260)(270)가 계속 OFF로 제어되고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ON으로 제어된다.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여한다. 이때 제1,2솔레노이드밸브(260)(27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계속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1,2압력제어밸브(230)(240)의 각 제3,4포트(233,234)(243,24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게속적으로 공급되고, 제2압력제어밸브(240) 및 제4제어밸브(39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한편, 제3솔레노이드밸브(280)는 ON으로 제어됨으로써 제3압력제어밸브(250)의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3포트(253)를 차단시키고 귀환포트(257)를 제4포트(254)와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2제어밸브(370)를 경유하여 귀환포트(257)로 해제되고, 또한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3 및 제2제어밸브(380) (370)를 경유하여 귀환포트(257)로 해제되게 된다.
여기서 제1압력제어밸브(23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제3제어밸브(380)의 밸브스풀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3포트(383)와 제5포트(385)를 연통시킴으로써,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이를 통해 해제되게 된다.
" D레인지" 2속에서 1속으로 변속
도8내지 도10 및 도22과 라인압 변화를 나타낸 도31을 참조하면, "D레인지" 2속에서 1속으로 다운 시프트시에는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가 계속 작동되고 킥/다운 브레이크(340)가 작동해제되며,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FF로 계속 유지되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가 ON으로 제어된다.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여한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26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FF로 계속 제어됨으로써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제3,4포트(233,23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은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는 ON으로 제어됨으로써 제2,3압력제어밸브(2400(250)의 밸브스풀이 좌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각 밸브(240)(250)의 제3포트(243)(253)가 차단되어 매뉴얼밸브(210)로부터의 라인압 공급이 차단된다. 이때 제2압력제어밸브(240)의 제4포트(244)는 귀환포트(247)와 연통된다.
또한, 제1압력제어밸브(23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제4제어밸브(390)의 제6,7포트(396)(397)가 연통되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2압력제어밸브(240)의 귀환포트(247)로 해제된다.
한편, 제1제어밸브(360)는 오일펌프(18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어 제3포트(363)가 차단된다.
" D레인지" 2속에서 4속으로 변속
도8내지 도10 및 도23과 라인압 변화를 나타낸 도32를 참조하면, "D레인지" 2속에서 4속으로 리프트 풋 업시에는 2속에서 작동되었던 킥/다운 브레이크(340)가 계속 작동되고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가 작동해제 되게 되며,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가 새로이작동되게 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2솔레노이드밸브(270)가 OFF로 걔속제어되고,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OFF로 제어되며,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N으로 제어된다.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여한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260)는 ON으로 제어됨으로써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3포트(233)를 차단시키고 제4포트(234)와 귀환포트(237)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귀환포트(237)를 통해 해제된다.
그리고 동시에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3압력제어밸브(250)의 제3,4포트(253)(254)를 연통시켜서 라인압을 제2제어밸브(370)를 를 경유하여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시킨다.
이때 제1제어밸브(360)는 변속초기에 오일펌프(180)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제3포트(363)를 차단시켰다가 변속후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밸브스풀이 좌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4제어밸브(390)는 변속초기에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해제되므로 인해 제6,7포트(396)(397)가 차단되려 하지만, 제2제어밸브(370)를 경유하여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밸브스풀이 우축으로 이동하여 연통되므로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으로 라인압의 공급을 계속 유지시킨다.
" D레인지" 4속에서 2속으로 변속
도8내지 도10 및 도24와 라인압 변화를 나타낸 도33을 참조하면, "D레인지" 4속에서 2속으로 킥/다운 스킵 시프트시에는 4속에서 작동되었던 킥/다운 브레이크(340)가 계속 작동되고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가 작동해제 되게 되며,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가 새로이 작동되게 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2솔레노이드밸브(270)는 OFF로 계속 제어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260)는 ON에서 OFF로 제3솔레노이드밸브(280)는 OFF에서 ON으로 제어된다.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여한다. 이때 제2솔레노이드밸브(270)는 OFF로 계속 제어됨으로써 제2압력제어밸브(240)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라인압의 공급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3솔레노이드밸브(280)는 ON으로 제어됨으로써 제3압력제어밸브(250)의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3포트(253)를 차단시키고 귀환포트(257)와 제4포트(254)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 오버 드라이브클러치(320)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2제어밸브(370)를 경유하여 귀환포트(257)로 해제되게 된다.
한편, 제1솔레노이드밸브(260)는 OFF로 제어됨으로써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제3,4포트(233)(234)가 연통되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라인압을 공급시킨다.
"D레인지" 3속에서 1속으로 킥/다운 시프트
도8내지 도10 및 도25와 라인압 변화를 나타낸 도34를 참조하면, "D레인지" 3속에서 1속으로 킥/다운 시프트시에는 3속에서 작동되던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가 계속 작동되고,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가 작동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FF로 계속 유지되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가 ON으로 제어된다.
오일펌프(18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레귤레이터밸브(160)에서 일정압으로 제어되어 토오크 컨버터(110)에 공급되고, 매뉴얼밸브(210)의 제2포트(212)를 통한 라인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된다.
감압밸브(140)를 통한 감압은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측으로 공급되어 포트변환에 관여한다. 이때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FF로 유지되므로 제1압력제어밸브(230)를 통해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310)에 계속 라인압을 공급시킨다.
그리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는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서 ON으로 제어됨으로써, 제2,3압력제어밸브(240)(250)의 각 밸브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귀환포트(247)(257)를 각각의 제4포트(244)(254)와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작동측(342)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4제어밸브(390)를 경유하여 제2압력제어밸브(240)의 귀환포트(247)를 통해 해제되게 된다.
또한,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320)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은 제2제어밸브(370)를 경유하여 제3압력제어밸브(250)의 귀환포트(257)로 해제되게 된다. 이때 제1제어밸브(360)는 제2랜드(366)측에 작용되었던 라인압이 해제되고 또한 오일펌프(180)로부터의 라인압으로 밸브스풀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4포트(364)와 귀환포트(367)가 연통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킥/다운 브레이크(340)의 비작동측(341)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3제어밸브(380)를 경유하여 제1제어밸브(360)의 귀환포트(367)로 해제되게 된다.
한편, "D레인지" 1,2,3,4속 또는 후진으로 주행중에 운전자의 실수로 변속레버를 "N레인지"로 조작하였다가 다시 주행레인지로 변속시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주행중 "N레인지"에서 1속으로의 매뉴얼변속
도11을 참조하면, 저속으로 예컨대, 1속으로 주행중에 운전자의 실수로 "N레인지"로 변속을 하게 되면 "D레인지" 1속에서 작동되던 언더드라이브 클러치(310)에의 유압공급이 매뉴얼밸브(210)로부터 차단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듀티(duty) 제어되면서 제1압력제어밸브(230)의 제3포트(233)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압의 완전해제를 방지한다. 주행중 "D레인지"로 매뉴얼변속을 하게 되면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가 ON으로 유지되고,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제1압력제어밸브(230)로 공급되고, 제1압력제어밸브(230)로부터 언더드라이브 클러치(310)에 라인압이 공급되어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D레인지" 1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통상 엔진회전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듀티(duty) 제어되므로 주행중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의 매뉴얼변속시 변속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엔진회전수의 증가를 대폭 경감시키면서 변속이 부드럽게 이어진다.
주행중 "N레인지"에서 2속으로의 매뉴얼변속
도12를 참조하면, 예컨대, 2속으로 주행중에 운전자의 실수로 "N레인지"로 변속을 하게 되면 "D레인지" 2속에서 작동되던 언더드라이브 클러치(31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에의 유압공급이 매뉴얼밸브(210)로부터 차단되고 제1,2솔레노이드밸브(260)(270)가 듀티(duty) 제어되면서 제1,2압력제어밸브(230)(240)의 제3포트(233)(243)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압의 완전해제를 방지한다. 주행중 "D레인지"로 매뉴얼변속을 하게 되면 제3솔레노이드밸브(280)가 ON으로 유지되고,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제1,3압력제어밸브(230)(240)로 공급되어 언더드라이브 클러치(31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에 유압이 공급되면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D레인지" 2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통상 엔진회전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제1,2솔레노이드밸브(260)(270)가 듀티(duty) 제어되므로 주행중 "N레인지"에서 "D레인지"으로의 매뉴얼변속시 변속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엔진회전수의 증가를 대폭 경감시키면서 변속이 부드럽게 이어진다.
주행중 "N레인지"에서 3속으로의 매뉴얼변속
도13을 참조하면, 예컨대, 3속으로 주행중에 운전자의 실수로 "N레인지"로 변속을 하게 되면 "D레인지" 3속에서 작동되던 언더드라이브 클러치(310), 오버드라이브 클러치(32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에의 유압공급이 매뉴얼밸브(210)로부터 차단되고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가 듀티(duty) 제어되면서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의 제3포트(233)(243)(253)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압의 완전해제를 방지한다. 주행중 "D레인지"로 매뉴얼변속을 하게 되면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가 듀티(duty) 제어되면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로 공급되어 언더드라이브 클러치(310), 오버드라이브 클러치(32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에 유압이 공급되면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D레인지" 3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통상 엔진회전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제1,2,3솔레노이드밸브(260)(270)(280)가 듀티(duty) 제어되므로 주행중 "N레인지"에서 "D레인지"으로의 매뉴얼변속시 변속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엔진회전수의 증가를 대폭 경감시키면서 변속이 부드럽게 이어진다.
주행중 "N레인지"에서 4속으로의 매뉴얼변속
도14를 참조하면, 예컨대, 4속으로 주행중에 운전자의 실수로 "N레인지"로 변속을 하게 되면 "D레인지" 4속에서 작동되던 오버드라이브 클러치(32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에의 유압공급이 매뉴얼밸브(210)로부터 차단되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가 듀티(duty) 제어되면서 제2,3압력제어밸브(240)(250)의 제3포트(243)(253)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압의 완전해제를 방지한다. 주행중 "D레인지"로 매뉴얼변속을 하게 되면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ON으로 유지되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가 듀티(duty) 제어되면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제2,3압력제어밸브(240)(250)로 공급되어 오버드라이브 클러치(320) 및 킥/다운 브레이크(340)에 유압이 공급되면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D레인지" 4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통상 엔진회전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제2,3솔레노이드밸브(270)(280)가 듀티(duty) 제어되므로 주행중 "N레인지"에서 "D레인지"으로의 매뉴얼변속시 변속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엔진회전수의 증가를 대폭 경감시키면서 변속이 부드럽게 이어진다.
주행중 "N레인지"에서 "L레인지"로의 매뉴얼변속
도15를 참조하면, "L레인지"로 주행중에 운전자의 실수로 "N레인지"로 변속을 하게 되면 "L레인지"에서 작동되던 언더드라이브 클러치(310) 및 로우/리버스브레이크(350)에의 유압공급이 매뉴얼밸브(210)로부터 차단되고 제1,3솔레노이드밸브(260)(280)가 듀티(duty) 제어되면서 제1,3압력제어밸브(230)(250)의 제3포트(233)(253)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압의 완전해제를 방지한다. 주행중 "L레인지"로 매뉴얼변속을 하게 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270)가 ON으로 유지되고 제1,3솔레노이드밸브(260)(280)가 듀티(duty) 제어되면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제1,3압력제어밸브(230)(250)로 공급되어, 언더드라이브 클러치(310) 및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에 라인압이 공급되어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L레인지"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통상 엔진회전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제1,3솔레노이드밸브(260)(280)가 듀티(duty) 제어되므로 주행중 "N레인지"에서 "L레인지"로의 매뉴얼변속시 변속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엔진회전수의 증가를 대폭 경감시키면서 변속이 부드럽게 이어진다.
주행중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의 매뉴얼변속
도16을 참조하면, "R레인지"로 주행중에 운전자의 실수로 "N레인지"로 변속을 하게 되면 "R레인지"에서 작동되던 리버스 클러치(330) 및 로우/리버스 브레이크(350)에의 유압공급이 차단되며, 이후 "R레인지"로 변속하게 되면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듀티제어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270)가 ON으로 유지되며 제3솔레노이드밸브가 OFF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서 매뉴얼밸브(210)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어 후진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매뉴얼변속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통상 엔진회전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제1솔레노이드밸브(260)가 듀티(duty)제어되어 N-R콘트롤밸브(220)가 조절되므로 주행중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의 매뉴얼변속시 변속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엔진회전수의 증가를 대폭 경감시키면서 변속이 부드럽게 이어진다.
첫째, 제1,2,3압력제어밸브(230)(240)(250)가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260) (270)(280)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변속 응답성이 향상된다.
둘째, 운전자가 실수로 주행중에 "N레인지"로 변속레버를 조작한 후 다시 주행모드로 매뉴얼변속을 하더라도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를 경감시키면서 변속이 가능해지고 변속특성이 향상되며 제어가 간단하다.
세째, 3,4속에서 제4솔레노이드밸브(170)가 변속제어유니트(400)에 의해 듀티제어되어 라인압의 가변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고속주행시 라인압의 급상승으로 인한 클러치(310)(320) 및 브레이크(340)의 작동충격을 경감시킨다.

Claims (36)

  1. (정정) 복수의 유성기어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전요소와, 복수의 회전요소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마찰요소를 가지는 변속유니트와;
    상기 변속유니트의 입력축에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토오크 컨버터와;
    엔진의 구동력으로 유압을 발생하며 상기 복수의 마찰요소에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일정압인 라인압으로 조절하고 상기 토오크 컨버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밸브와;
    변속조작하는 조작레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라인압을 전진압관로 또는 후진압관로로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매뉴얼밸브와;
    각 변속단에서 트랜스제어유니트의 신호에 따라 ON/OFF 또는 듀티제어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전진압관로를 통한 라인압을 상기 마찰요소중 "D레인지" 1,2,3속 및 "L레인지"에서 작동하는 제1클러치기구에 공급시키는 제1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전진압관로를 통한 라인압을 상기 마찰요소중 "D레인지" 2,3,4속에서 작동하는 제1브레이크기구에 공급시키는 제2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전진압관로를 통한 라인압을 상기 마찰요소중 "D레인지" 3,4속에서 작동하는 제2클러치기구와 "L레인지"에서 작동하는 제2 브레이크기구에 공급시키는 제3압력제어밸브를 포함하고서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따라 포트변환되어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개폐시키는 복수의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레귤레이터밸브로부터 조절된 라인압과 제2클러치기구에 작용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며, 상기 마찰요소중 제1압력제어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3속에서 작용하는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는 제1제어밸브와, "D레인지"3,4속에서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상기 제2 클러치기구로 공급하고, "L레인지"에서 소정의 포트변환수단에 의해서 포트변환 되어 상기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상기 제2브레이크 기구로 공급하는 제2제어밸브와,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과 상기 제2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포트변환되어 상기 제1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3속에서 작용하는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는 제3제어밸브와,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를 통한 라인압을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공급시키는 제4제어밸브를 포함하고서 각 변속단에서 포트변환되어 상기 선택된 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제어밸브;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제어유니트에의 입력요소는 차속 및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밸브는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D레인지" 및 "L레인지"에서 상기 제1,2,3압력제어밸브측으로 라인압을 공급하는 제2포트와, "L레인지"에서 상기 제2제어밸브를 포트변환시키도록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와, "D레인지" 및 "L레인지"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밸브를 포트변환시키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와, "R레인지"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밸브를 포트변환시키고 제3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시키는 제5포트와, " R레인지"에서 상기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제6포트와,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상기 각 포트를 변환시키는 밸브스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 상에 "N레인지"에서 " R레인지"로 변속시 충격을 경감시키는 N-R콘트롤밸브가 더 마련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밸브는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압유가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토오크컨버터측으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2,3포트와, 상기 "D레인지" 및 "L레인지"에서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와, "R레인지"에서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와, 오일펌프로부터공급되는 압유를 오일팬으로 배출시키는 제6포트와,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으로 이동되어 포트변환시키는 밸브스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밸브에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어 상기 밸브스풀의 포트변환에 관계하는 제7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7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을 "D레인지" 3속 또는 4속에서 듀티제어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와 매뉴얼밸브 사이의 유로상에 라인압 이하로 감압시키는 감압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각 제1,2,3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갑압된 유압으로 상기 제1,2,3압력제어밸브를 포트변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변환수단은 상기 매뉴얼밸브에 "L레인지"로 변속시 라인압이 토출되는 포트를 형성하고, 상기 포트로 토출되는 라인압을 상기 제2제어밸브의 밸브스풀에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밸브는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2클러치기구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와, 상기 제3포트와 연통하여 제어압을 상기 제3제어밸브에 공급하는 제4포트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며 상기 제3포트를 개폐하여 상기 제4포트와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제1랜드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되는 제어압이 작용하는 제2랜드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밸브는 "L레인지"에서 상기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상기 제2브레이크기구에 제어압을 공급하는 제3포트와, 상기 제2클러치기구에 제어압을 공급하는 제4포트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1랜드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되는 제어압을 상기 제3,4포트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랜드를 포함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제어밸브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2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2,3포트와, 상기 제1제어밸브의 제4포트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와, 상기 제4포트로부터 공급된 라인압을 상기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는 제5포트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1,2랜드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3랜드와, 상기 제4,5포트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제4랜드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제어밸브는 상기 제3클러치기구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클러치기구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상기 제2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와, 상기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작용하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4포트와,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와,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6포트와, 상기 제6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을 상기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축에 공급하는 제7포트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하는 제1랜드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2랜드와, 상기 제3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3랜드와, 상기 제4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4랜드와, 상기 제5포트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작용되는 제5랜드와, 상기 제6,7포트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제6랜드를 가지는 밸브스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5. 매뉴얼밸브의 조작에 따라 라인압을 전/후진압 관로로 공급하고, 유성기어세트의 복수의 회전요소에 작용하는 세개의 클러치기구 및 두 개의 브레이크기구에 선택적으로 라인압을 공급 및 해제하여 자동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에 있어서,
    차속 및 스로틀밸브의 개도에 따라 ON/OFF 또는 듀티제어되는 적어도 세개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적어도 세개의 압력제어밸브를 각각 독립제어하여 유로를 개폐시키고,
    상기 각 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복수의 제어밸브로 유로를 변경하여 상기 각 클러치기구 및 브레이크기구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서 자동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압력제어밸브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여 1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2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며,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하여 2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제1,2,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2,3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이 라인압을 제1제어밸브와 제3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하며,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여 3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2,3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여 4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제1,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3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여 "L레인지"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3클러치기구와 제2브레이크기구로 공급되도록 하여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1속상태에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유지시키고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되게 하여서,
    1속에서 2속으로 업 시프트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2속 상태에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이 공급되게 하고,
    이후 제1클러치기구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제1제어밸브 및 제3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되도록 하여서, 2속에서 3속으로 업 시프트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3속 상태에서 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1클러치기구 및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1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3속에서 4속으로 업 시프트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4속 상태에서 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이 라인압을 제1제어밸브와 제3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함으로써, 4속에서 3속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3속 상태에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2클러치기구에 작동되었던 라인압이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3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되도록 하고, 동시에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3제어밸브 및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3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7. 제17항에 있어서, 2속 상태에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유지시키고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이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2속에서 1속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2속 상태에서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어하여, 제1클러치기구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1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시키고,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2속에서 4속으로 리프트 풋 업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4속 상태에서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2클러치기구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3압력제어밸브의 귀환포트로 해제시키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4속에서 2속으로 킥/다운 스킵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30. 제18항에 있어서, 3속 상태에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시키고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제어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3압력제어밸브를 통해 해제시키고,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2압력제어밸브를 통해 해제시키며,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되었던 라인압을 제3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제어밸브를 통해 해제시킴으로써, 3속에서 1속으로 킥/다운 스킵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31. 제15항에 있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듀티제어하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유지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압력제어밸브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여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D레인지" 1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32. 제15항에 있어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를 듀티제어하고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유지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2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여,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하여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D레인지" 2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33. 제15항에 있어서, 제1,2,3솔레노이드밸브를 듀티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2,3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이 라인압을 제1제어밸브와 제3제어밸브를 경유시켜서 제1브레이크기구의 비작동측에 공급하고,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하고,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여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D레인지" 3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34. 제15항에 있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유지하고 제2,3솔레노이드밸브를 듀티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2,3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2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4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1브레이크기구의 작동측에 라인압을 공급하며,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여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D레인지" 4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35. 제15항에 있어서,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유지하고 제1,3솔레노이드밸브를 듀티제어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1,3압력제어밸브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제1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1클러치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며,
    제3압력제어밸브로부터 제2제어밸브를 경유하여 제2브레이크기구에 라인압을 공급하여서,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L레인지"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36. 제15항에 있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듀티제어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ON으로 유지하며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OFF로 유지하여 매뉴얼밸브로부터 라인압이 제3클러치기구와 제2브레이크기구로 공급되도록 하여서,후진 주행중에 "N레인지"에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KR1019970064776A 1997-11-29 1997-11-29 자동변속기의유압제어시스템및변속제어방법 KR100296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776A KR100296267B1 (ko) 1997-11-29 1997-11-29 자동변속기의유압제어시스템및변속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776A KR100296267B1 (ko) 1997-11-29 1997-11-29 자동변속기의유압제어시스템및변속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734A KR19990043734A (ko) 1999-06-15
KR100296267B1 true KR100296267B1 (ko) 2001-08-07

Family

ID=3752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776A KR100296267B1 (ko) 1997-11-29 1997-11-29 자동변속기의유압제어시스템및변속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271B1 (ko) * 2002-11-06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789A (ko) * 1990-12-29 1992-07-27 이범창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789A (ko) * 1990-12-29 1992-07-27 이범창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734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62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32052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JP2911604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液圧制御システム
KR015404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KR10022282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
KR0118870B1 (ko) 자동변속기 변속제어 시스템의 매뉴얼 변속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79051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0276907B1 (ko) 자동 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US5435211A (en) Control system for torque converter
KR100296267B1 (ko) 자동변속기의유압제어시스템및변속제어방법
KR100299790B1 (ko) 자동변속기의유압제어시스템
KR100276707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및 그 변속제어방법
KR960040792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191579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79427B1 (ko) 무단 변속기의 전, 후진 제어를 위한 매뉴얼 밸브
KR200230992Y1 (ko) 자동변속기의유압제어장치
JPH0820013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293665B1 (ko) 자동변속기용유압제어시스템
JP2892035B2 (ja) 圧力調整弁のオーバストローク防止装置
JP2729814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725032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208152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13813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JPH01116337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9980017021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스킵 변속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