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994B1 -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994B1
KR100295994B1 KR1019990020748A KR19990020748A KR100295994B1 KR 100295994 B1 KR100295994 B1 KR 100295994B1 KR 1019990020748 A KR1019990020748 A KR 1019990020748A KR 19990020748 A KR19990020748 A KR 19990020748A KR 100295994 B1 KR100295994 B1 KR 10029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vent
vent control
vehicl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497A (ko
Inventor
황진철
Original Assignee
이승복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복,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승복
Priority to KR101999002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99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생가스의 유입량과 충격량에 따라 가스의 벤트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단순하고 바느질(sewing)로 전체적인 모양을 사각형상으로 제작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어백 쿠션을 구비한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되면서 탑승자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백에서는 하부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는 벤트 조절부(28)를 구비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에어백 쿠션(22)을 개시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AIR BAG HAVING A VENT CONTROL MEANS AND MANUFACTURING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생가스의 유입량과 충격량에 따라 가스의 벤트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단순하고 바느질(sewing)로 전체적인 모양을 사각형상으로 제작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어백 쿠션을 구비한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충돌사고시에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 차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던 중에 정면 또는 측면 충돌하게 되면,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면서 탑승자가 차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막아 인명 피해를 최소화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반단면도이다. 이것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전자제어유닛(ECU)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발생기(6)와, 하부에는 가스발생기(6)가 고정되고 상부에는 커버(2)가 장착되는 하우징(8)과, 가스발생기(6)에서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하우징(8)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는 에어백 쿠션(4)과, 에어백 쿠션(4)을 감싸는 쿠션커버(12)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백 쿠션(4)과 쿠션커버(12)는 볼트나 나사와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10)에 의해서 하우징(8)에 고정된다.
도 2는 종래의 운전석 에어백의 조립구조를 보인 평면도로서, 쿠션커버(12)의 일단은 에어백 쿠션(4)의 외주면에 열융착되고 타단은 체결나사에 의해 하우징(8)에 고정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4)에는 에어백 팽창 직후에 에어백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가스 배출용 벤트홀(vent hole)(14)이 구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면, 초기 전개시에는 팽창가스의 압력이 극대화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팽창되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는데, 원형의 종래 에어백 쿠션의 경우에는 가스의 벤트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나, 탑승자의 충격량에 대한 적절한 분산장치가 미미하였다. 또한,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는 테더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가스 발생량과 승객의 충격량에 따라 벤트량을 조절하는 벤트 시스템을 가지며, 초기 전개시에는 충격량을 최대한 흡수함과 동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로딩되는 충격량을 줄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운전석 에어백을 도시한 반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에어백의 조립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조립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에어백 쿠션 24:메인 소잉라인
26:장착부 26a:유입홀
28:벤트 조절부 30:테더 소잉라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면서 탑승자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용 에어백에 있어서, 하부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는 벤트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1장(단일)의 원단에 의해서 사각형상으로 제작된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조립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의 내부에는 인플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로부터 전달되는 가스는 유입홀(26a)을 통해 에어백 쿠션내부로 유입되어 이를 팽창시킨다. 그에 따라 에어백 쿠션(22)이 팽창되면서 확장됨으로써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백 쿠션(22)의 모양을 사각형상으로 구성하였으며, 사각형 원단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된 메인 소잉라인(24)을 통해서 에어백 쿠션의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 쿠션(22)의 모양을 사각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22)이 전개되는 시간에 따라서 가스의 벤트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에어백 쿠션(22)의 일측단에는 벤트 조절부(28)의 에어벤트 조절구(27)를 형성하여, 탑승자의 충격이 최대한 분산되도록 하였다. 이 벤트 조절부(28)는 도 4에 단면상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소잉라인(24)과 보조 소잉라인(2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에어백 쿠션(22)을 이루고 있는 1장의 원단으로 제작된 2개의 쿠션층(22', 22')을 메인 소잉라인(24)과 보조 소잉라인(24')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에어백 쿠션(22)의 팽창시에 벤트 조절부(28)의 확장에 따라 초기 전개시의 충격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메인 소잉라인(24)의 연장부와 보조 소잉라인(24')의 연장부 사이의 간격(α)에 의해서 방출되는 가스의 벤트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각형 에어백 쿠션(22)에서는 또한, 종래의 테더를 삭제하는 대신에, 테더 소잉라인(30)을 형성하여 제조비용의 절감을 꾀하였다. 이 테더 소잉라인(30)의 형성으로 장착부(26)의 유입홀(26a)을 통해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확장되는 에어백 쿠션(22)의 전개방향을 적절히 규제함으로써, 사각의 넓은 면적이 완전히 팽창된 상태에서는 에어백 쿠션(22)의 중심이 탑승자의 안면부에 위치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서는 중심으로부터 사각의 모서리부(29)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테더 소잉라인(30)을 예시하였으나, 에어백의 용량 및 장착위치에 따라 수량 및 연장방향을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먼저, 도 5a와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장의 사각형 원단(22')을 가령, 상부길이(L1)보다 하부길이(L2)의 면적이 넓게 되도록 구분한 다음, 위쪽에 유입홀(26a)을 천공한다. 다음에, 원단(22')을 파팅라인(parting line)(P)을 기준으로 접어서 도 5c와 같은 접철부위(28')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22')의 사각 구석부분을 접어서 모서리부(29)를 만든 상태에서 바느질하여 메인 소잉라인(24)을 형성한다. 이때, 원단(22')은 파팅라인(P)을 기준으로상하부 길이를 동일하게(즉, L1=L2)하여 접을 수도 있다.
다음에,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부위(28')를 바느질하여 보조 소잉라인(24')을 형성하여 벤트 조절부(28)를 형성한 다음, 이 벤트 조절부(28)에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에어벤트 조절구(27)를 형성한다. 다음에, 테더 소잉라인(30)을 추가로 형성하여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을 완성하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22')의 파팅라인(P)을 기준으로 상하 길이를 동일하게 접을 경우에는, 메인 소잉라인(24)을 형성하여 벨트 조절부(40)를 형성한 다음, 바느질하여 보조 소잉라인(24')을 형성하여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에어 벤트 조절구(27')를 형성한다. 다음, 테더 소잉라인(30)을 추가로 형성하여 에어백 쿠션을 완성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벤트량을 조절하여 초기 전개시에는 충격량을 최대한 흡수함과 동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로딩되는 충격량을 줄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의 전체적인 모양을 사각형상으로 제조하는 한편, 기존의 테더를 삭제하는 대신에 테더 소잉라인을 추가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9)

  1.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면서 탑승자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용 에어백에 있어서,
    하부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는 벤트 조절부(28)를 구비하고 1장의 원단에 의해서 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22)의 가장자리에는 메인 소잉라인(24)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22)내에는 팽창시에 쿠션의 전개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테더 소잉라인(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22)의 일측단에는 가스의 벤트량을 조절하는 벤트 조절구(2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쿠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조절부(28)는 메인 소잉라인(24)과 보조 소잉라인(24')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22)에 중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조절부(28)는 메인 소잉라인(24) 연장부와 보조 소잉라인(24') 연장부 간의 간격(α)에 의해서 가스의 벤트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조절부(40)에는 메인 소잉라인(24)과 보조 소잉라인(24')에 의해 가스의 벤트량을 조절하는 벤트 조절구(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8. 하부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는 벤트 조절부(28)를 구비하고 1장의 원단에 의해서 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에어백 쿠션(22)은 파팅라인(P)을 기준으로 상부길이(L1)보다 하부길이(L2)를 길게 하여 접힘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22)은 파팅라인(P)을 기준으로 상부길이(L1)와 하부길이(L2)를 동일하게 하여 접힘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의 제조방법.
KR1019990020748A 1999-06-04 1999-06-04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KR10029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748A KR100295994B1 (ko) 1999-06-04 1999-06-04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748A KR100295994B1 (ko) 1999-06-04 1999-06-04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97A KR20010001497A (ko) 2001-01-05
KR100295994B1 true KR100295994B1 (ko) 2001-07-12

Family

ID=1959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748A KR100295994B1 (ko) 1999-06-04 1999-06-04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1145A (zh) * 2011-12-22 2012-06-13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新型电梯安全气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97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6343B2 (en) Airbag device
US7347444B2 (en)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
US7066487B2 (en) Airbag with internal positioning panels for sequential deployment
JP2960359B2 (ja) 横方向衝撃に対するガスバッグ保護装置
KR100967685B1 (ko) 에어백 장치
US7625007B2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US8430425B2 (en) Airbag assembly
US7093851B2 (en) Tunable control side air bag cushion
JP2003054352A (ja) 乗員脚部保護装置
JP4569310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05186891A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8778848A (zh) 带内部扩散器的侧部安全气囊
US6726242B2 (en) Integral airbag exhaust vent
US7121580B2 (en) Side airbag apparatus
JP3488249B2 (ja) エアバッグ構造体
JPH07277128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295994B1 (ko) 차량용 벤트 조절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KR101177810B1 (ko) 저위험 전개 운전자 에어백 시스템
JP3275771B2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H10287195A (ja) 側突用エアバッグ
KR100512859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JP2005533713A (ja) 膨張式クッション用プロファイルチューナパネル
KR100292107B1 (ko) 승객용에어백의쿠션
KR102245830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0512860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