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339B1 - 투습방수포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습방수포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339B1
KR100295339B1 KR1019940037629A KR19940037629A KR100295339B1 KR 100295339 B1 KR100295339 B1 KR 100295339B1 KR 1019940037629 A KR1019940037629 A KR 1019940037629A KR 19940037629 A KR19940037629 A KR 19940037629A KR 100295339 B1 KR100295339 B1 KR 10029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adhesive
moisture
wat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474A (ko
Inventor
박광우
양정한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4003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339B1/ko
Publication of KR96002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06M15/568Reaction products of isocyanates with poly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기포위에 접착층, 미세기공 피막층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투습방수포에 있어서, 접착층 구성수지가 아래의 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인 투습 방수포이고, 아래의 폴리우레탄, 물, 아크릴수지, 톨루엔, 발수제, 유연제로 조성된 접착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투습방수포의 제조 방법인 것이다.
여기에서 R은 아리페틱 디이소시안네이트(단 C는 1~30) R′는 아리페틱 디아민(단 C는 1~30)

Description

투습 방수포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투습 방수포의 단면사진.
제2도는 종래의 투습 방수포의 단면사진.
본 발명은 투습 방수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면 코팅을 하면서도 접착층에 미세한 기공을 무수히 형성시켜 투습도 및 내수압이 우수하고 섬유포지로의 코팅액의 침투를 줄이는 투습 방수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투습성 방수포는 미세기공층과 섬유포지의 접착강력이 약하고 내수압이 낮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섬유포지에 접착층을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접착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폴리우레탄 내지 아크릴 수지에 적당량의 실리카와 경화제를 첨가하고 톨루엔 및 디엠에프로 희석시킨 다음 플로팅 나이프(floating knife) 또는 그래비어 롤(graver roll)로 섬유포레지에 전면(全面) 혹은 점상으로 코팅한 뒤 건조 및 경화시키고 이와 같이 제조된 포지의 접착층위에다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미세기공파막 조성물로서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고형분이 8~30%(이하 %는 중량%임) 실리카 0.1~10%,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0.1~5%,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0.1~5%, 그리고 경화제로 폴리이소시안네이트 0.1~5%정도를 함유시킨 극성유기용액을 코팅하여, 3~20% 디엠에프 수용액에서 습식 응고시켜서 미세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었다. (한국 특허공보 제87-815호, 제89-3169호)
그러나, 종래 접착층은 플로팅 나이프로 전면(全面) 코팅할 경우는 내수압과 접착력을 증가시키나 접착층의 기공이 적어서 투습도가 현저히 저하되며 코팅액의 섬유포지로 침투가 심하여 촉감이 나쁘고, 그래비어 롤을 이용하여 정상으로 코팅할 경우에는 촉감은 좋으나 내수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접착력의 증가를 위해 전면 코팅을 하면서도 접착층에 미세한 기공을 무수히 형성시켜 투습도 및 내수압이 우수하며, 섬유포지로의 코팅액의 침투를 줄이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포위에 접착층, 미세기공피막층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투습방수포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수지용액에 다음의 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에서 R은 아리페틱 디이소시안네이트(단 C는 1~30), R′는 아리페틱 디아민(단 C는 1~30) 또한, 접착층을 상기의 폴리우레탄, 물, 아크릴수지, 톨루엔, 발수제 및 유연제로 조성되는 접착수지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루우레탄 중합체가 물에 분산되거나 물과 에멀젼(emulsion)을 형성할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의 폴리우레탄 중합체 고형분 5~40%, 물 5~50%, 아크릴 수지 1~20%, 톨루엔 5~40%, 불소계 발수제 1~5%, 실리콘계 유연제 0.1~5%로 조성되는 접착수지 용액을 제조하여 이를 섬유포지에 플로팅이나 나이프오버롤 방식으로 1~100㎛ 두께로 코팅한 뒤 60~160℃에서 건조 및 경화를 시켜서 0.1~50㎛의 작은 기공이 무수히 많이 있는 내수압이 우수하면서도 투습성이 뛰어난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접착층 위에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미세기공피막 조성물로서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고형분이 8~30%, 안료 1~10%, 실리카 0.1~10%,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0.1~5%,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0.1~5%, 그리고 경화제로 폴리이소시안네이트 0.1~5% 정도를 함유시킨 극성유기용액을 코팅하여, 30~70% 디엠에프 수용액에서 습식 응고시켜서 미세기공을 가진 투습성 방수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수지용액 중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고형분이 5% 미만이면 접착력이 떨어지고 40% 초과시 접착층의 기공이 작아서 투습성이 떨어진다. 물의 함량이 5% 미만이면 기공이 작고 50% 초과시 기공이 너무 많아서 내수압이 저하된다. 아크릴은 1% 미만이면 접착층의 촉감이 나쁘고 20% 초과시 기공이 작아진다. 톨루엔흔 5% 미만이면 코팅액의 점도가 너무 높고 40% 초과시 점도가 너무 낮아 코팅이 힘들다. 불소계 발수제는 1% 미만이면 접착층의 발수도가 떨어져 내수압이 나쁘고 5% 초과시 효과가 더 좋아지지는 않는다. 실리콘계 유연제는 0.1% 미만이면 접착층의 촉감이 나쁘고 5% 초과시 접착층의 접착력이 떨어진다. 또한 코팅두께가 1㎛ 미만이면 접착력이 떨어지고 10㎛ 초과시 너무 두꺼워 건조 및 경화 시간이 너무 길어서 작업성이 나쁘고 촉감도 나쁘게 된다. 건조온도는 60℃ 미만이면 건조시간이 길어져서 작업성이 나쁘고 160℃ 초과시 중합체의 연화점이 되어서 접착층이 파괴되고 투습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의 접착층은 내수압과 투습도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전면 도포되었기 때문에 접착력이 우수하고, 발수된 섬유포지에 코팅을 실시하면 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포지로 코팅액의 침투가 적어서 촉감 또한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접착층을 사용한 투습성 방수포는 우수한 투습성과 내수압 그리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 접착층이 존재하므로 종래의 투습성 방수포에 비해 투습성이 2,000g/㎡24hr 이상 높고 내수압 또한 500㎜H20 이상 향상되었으며 촉감이 한층 부드럽다.
[실시예 1]
나이론 타프타 직물에 플로팅 나이프 방식으로 (가) 조성의 접착수지 용액을 5㎛의 두께로 코팅하여 접착층을 제조한 후 그 물성을 측정, 표에 나타내었다.
- 가 -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직물에 (나)의 조성비를 갖는 접착수지용액을 5㎛의 두께로 코팅하여 접착층을 제조한 후 그 물성을 측정, 표에 나타내었다.
- 나 -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코팅두께를 20㎛로 하고 다음과 같이 접착수지용액의 조성을 변경하여(나머지 성분은 (가)의 동일한 함량) 접착층을 제조한 후 그 물성을 측정,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같은 직물에 (다) 조성의 접착수지용액을 20㎛의 두께로 코팅하여 접착층을 제조한 후 그 물성을 측정, 표에 나타내었다.
---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다음과 같이 접착수지용액의 조성을 변경하여(나머지 성분은 (가)의 동일한 함량) 접착층을 제조한 후 그 물성을 측정,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같은 직물에 비교예 2의 조성액과 같은 접착수지용액을 그래비어 롤을 이용하여 점코팅하여 코팅면적이 90%되게 도포하여 그 물성을 측정,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접착층 위에 (라)와 같은 조성비를 갖는 수지액(폴리우레탄 수지의 미세기공 피막 조성물)을 나이프오버롤 방식으로 코팅두께가 40㎛가 되게 도포하고 15% 디엠에프 수용액을 20℃로 유지된 응고조에 3분간 침지한 후 다시 50℃로 유지된 수세조에 3분간 침지한 다음 150℃에서 2분간 건조시킨 뒤 불소계 발수제 8중량%, 이소프로필 알콜 4중량%, 물 88중량%인 용액에 침지시켜 픽업율을 30%로 한 다음 160℃에서 30초간 열처리하여 투습방수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표에 나타내었다.
---라---
[실시예 4]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접착층 위에 (라)같은 조성의 수지액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하여 투습방수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접착층 위에 (라)같은 조성의 수지액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하여 투습방수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착층 위에 (라)같은 조성의 수지액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하여 투습방수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접착층 위에 (라)같은 조성의 수지액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하여 투습방수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접착층 위에 (라)같은 조성의 수지액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하여 투습방수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표에 나타내었다.
※ 촉감 : ◎-매우양호 ●-양호 △-보통 ×-나쁨
※측정규격 : 내수압 - KS K 0591
투습도 - KS A 1013
박리강력 - KS K 0533

Claims (2)

  1. 기포위에 접착층, 미세기공피막층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투습방수포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수지용액에 다음의 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포.
    여기에서 R은 아리페틱 디이소시안네이트(단 C는 1~30) R′는 아리페틱 디아민(단 C는 1~30).
  2. 기포위에 접착층, 미세기공피막층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투습방수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수지용액이 다음의 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
    하기의 폴리우레탄 : 5~40중량% 물 : 5~50중량%
    아크릴수지 : 1~20중량% 톨루엔 : 5~40중량%
    발수제 : 1~5중량% 유연제 : 0.1~5중량%
    여기에서 R은 아리페틱 디이소시안네이트(단 C는 1~30) R′는 아리페틱 디아민(단 C는 1~30)
KR1019940037629A 1994-12-28 1994-12-28 투습방수포및그제조방법 KR10029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629A KR100295339B1 (ko) 1994-12-28 1994-12-28 투습방수포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629A KR100295339B1 (ko) 1994-12-28 1994-12-28 투습방수포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474A KR960023474A (ko) 1996-07-20
KR100295339B1 true KR100295339B1 (ko) 2001-09-17

Family

ID=3752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629A KR100295339B1 (ko) 1994-12-28 1994-12-28 투습방수포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3483A (zh) * 2013-09-03 2014-08-20 盐城市昶桦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抗撕裂涂层面料及其制备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57B1 (ko) * 2005-07-29 2006-12-06 벤텍스 주식회사 발수성을 이용한 흡한속건성 원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438A (ko) * 1984-06-09 1986-01-28 이상철 투습성 방수포와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438A (ko) * 1984-06-09 1986-01-28 이상철 투습성 방수포와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3483A (zh) * 2013-09-03 2014-08-20 盐城市昶桦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抗撕裂涂层面料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474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9000A (en)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oa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560611A (en)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oated fabric
JPH0627216B2 (ja) 伸縮性をもった衣料用透湿防水性フィルム
JP2001315236A (ja) 防水透湿性複合膜及び防水透湿性積層シート
GB2039790A (en)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oa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HU225098B1 (hu) Rugalmas vízálló összetételek
WO1994025663A1 (en)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900006605A (ko) 흡수성을 갖는 직물 및 그 직물의 제조방법
JP4176259B2 (ja) 透湿防水加工布
KR100295339B1 (ko) 투습방수포및그제조방법
KR20120086149A (ko) 투습방수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09298154A (ja) 繊維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合成皮革
JPH079631A (ja) 透湿性防水布帛
JP2000108289A (ja) 繊維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合成皮革
US20040258904A1 (en) Moisture permeable hot melt adhesive sheet and tape
KR0120737B1 (ko) 3층구조투습방수포 및 그 제조방법
JP2008307813A (ja) 透湿性防水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72543A (ja) 透湿性防水性伸縮布帛
JPH0578984A (ja) 透湿防水性コーテイング布帛
KR19990049776A (ko) 3층 구조 투습방수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KR0185762B1 (ko)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
KR100530570B1 (ko) 습식라미네이팅용이형표지,이의제조방법및이를사용한라미네이트형투습방수포의제조방법.
KR870002089B1 (ko) 투습성 방수포의 제조방법
JP4086476B2 (ja) 透湿性防水布帛
KR870000815B1 (ko) 투습성 방수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