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655B1 -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655B1
KR100293655B1 KR1019970043911A KR19970043911A KR100293655B1 KR 100293655 B1 KR100293655 B1 KR 100293655B1 KR 1019970043911 A KR1019970043911 A KR 1019970043911A KR 19970043911 A KR19970043911 A KR 19970043911A KR 100293655 B1 KR100293655 B1 KR 10029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uty
inverter
gate
voltag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451A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43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65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6On-off solenoid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장비의 성능 테스트시 별도의 장비 없이 TCU를 이용하여 듀티 컨트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원가 절감하고 신호의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과여자 전압 발생부와 홀드 전압 발생부를 구비하는 자동 변속 차량에 있어서, 일정 주기의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제너레이터와; 상기 펄스 제너레이터의 신호를 인가받아 과여자 전압 발생부의 트리거를 맞추며 소정 시간만큼 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트리거 신호 발생부와; 과여자 전압 발생부와 홀드 전압 발생부의 최종 듀티 신호를 인가받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본 발명은 자동 변속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듀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장비의 성능 테스트를 하던 것을 TCU를 약간 개조하여 듀티 컨트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신호의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 차량은 그 성능 테스트를 위하여 성능 테스트시 주행 상황과 동일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듀티 컨트롤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컨트롤러는 각 솔레노이드 밸브에 적절한 듀티 신호 및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주행상황별로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듀티 컨트롤러는 장비로 부터의 입력신호를 받는 A/D 처리부와, 디지털 화된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디지털 값을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처리부로 이루어지며 최종적으로 처리된 신호를 변속기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인가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의 별도 듀티 컨트롤러는 장비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대한 A/D처리를 하고 S/W적으로 연산하며, 다시 D/A처리해야 하므로 그 처리속도가 매우 느리며 듀티 컨트롤러 제작비 자체가 너무 비싸고 제작 기간 또한 매우 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TCU를 개조하여 듀티 컨트롤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신호 처리시간도 단축하고 제작비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제작기간을 단축하므로써 효율적인 장비 성능 테스트를 실현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여자 전압 발생부와 홀드 전압 발생부를 구비하는 자동 변속 차량에 있어서,
일정 주기의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제너레이터와;
상기 펄스 제너레이터의 신호를 인가받아 과여자 전압 발생부의 트리거를 맞추며 소정 시간만큼 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트리거 신호 발생부와;
과여자 전압 발생부와 홀드 전압 발생부의 최종 듀티 신호를 인가받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티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위한 듀티 컨트롤러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위한 듀티 컨트롤러에 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듀티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이루어진다.
일정 주기의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제너레이터(10)와, 상기 펄스 제너레이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20)와, 상기 인버터(20)의 신호를 트리거 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 발생부(30)와, 상기 트리거 신호 발생부(30)에서 트리거 된 신호와 인버터(20)의 신호를 논리합하는 NOR게이트(G1)와, 상기 NOR게이트(G1)의 신호에 따라 소정의 시간동안 과전압을 발생하는 과여자 전압 발생부(40)와, 상기 인버터(20)의 신호를 버퍼링하는 NOR게이트(G2)와, 상기 NOR게이트(G2)의 출력을 인가받아 듀티 신호 구간 만큼의 홀드 전압을 발생하는 홀드 전압 발생부(50)와, 상기 과여자 전압 발생부(40)와 홀드 전압 발생부(50)의 신호에 따라 자화 정도가 가변되는 솔레노이드 밸브(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버터(20)와 NOR게이트(G1,G2)는 신호를 잡음없이 출력하기 위하여 장착한다.
상기 트리거 신호 발생부(30)는 소정의 저항과 컨덴서값에 의해 시정수를 결정하여 소정의 온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능 테스트를 하고자하는 작업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펄스 제너레이터(10)에서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면 일단 인버터(20)에서 반전된다.
그리고 이 반전된 신호는 트리거 신호 발생부(30)와 홀드 전압 발생부(50)의 NOR게이트(G2)로 출력된다.
따라서 트리거 신호 발생부(30)에서는 소정의 온주기 즉 과여자 전압 출력 시간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트리거 신호 발생부(30)의 신호와 인버터(2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NOR게이트(G1)에서 반전논리합되어 두 신호가 모두 "0"일 때 하이 상태가 되는 신호로서 과여자 전압 발생부(40)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과여자 전압 발생부(40)는 펄스 제어레이터(10)에서 "하이"를 출력하는 주기중 소정의 시간동안만 온되며 이때 출력되는 전압은 5V보다 높은 12V를 출력한다.
그리고 홀드 전압 발생부(50)는 인버터(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NOR게이트(G2)를 통하여 인가받아 초기 펄스 제너레이터(10)의 출력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홀드 전압 발생부(50)는 펄스 제너레이터(10)에서 "하이"를 출력하는 기간중 낮은 전압(5V)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과여자 전압 발생부(40)와 홀드 전압 발생부(5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솔레노이드 밸브(60)로 인가되어 듀티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온/오프 제어 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오프에 대한 전압신호를 발생하는 전압 발생부(100)와, 상기 전압 발생부(100)의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200)와, 상기 인버터(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버퍼링하는 NOR게이트(G3)와, 상기 NOR게이트(G3)의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부(300)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부(300)의 신호에 따라 자화 상태가 가변되는 솔레노이드 밸브(4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압 발생부(100)에서 "하이"와 "로우"로 구분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인버터(200)에서 반전되어 다시 NOR게이트(G3)에서 반전되어 초기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부(300)로 인가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부(300)는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0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때 출력되는 신호는 온/오프신호이다.
상기 두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듀티 컨트롤러를 개발하여 성능 테스트를 하지 않고 TCU를 약간 개조하여 듀티 컨트롤 즉 솔레노이드 밸브를 듀티 제어와 온/오프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 제작원가가 저렴하고 제작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잇다.
또한 TCU의 회로를 이용하므로 신호 처리 체계가 간단하여 신호 처리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과여자 전압 발생부와 홀드 전압 발생부를 구비하는 자동 변속 차량에 있어서,
    일정 주기의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제너레이터와;
    상기 펄스 제너레이터의 신호를 인가받아 과여자 전압 발생부의 트리거를 맞추며 소정 시간만큼 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트리거 신호 발생부와;
    과여자 전압 발생부와 홀드 전압 발생부의 최종 듀티 신호를 인가받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온/오프 솔레노이드 구동을 위한 전압 발생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KR1019970043911A 1997-08-30 1997-08-30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KR10029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911A KR100293655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911A KR100293655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451A KR19990020451A (ko) 1999-03-25
KR100293655B1 true KR100293655B1 (ko) 2001-08-07

Family

ID=3752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911A KR100293655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54B1 (ko) * 2004-06-05 2006-09-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Tag-72에 대한 인간화 항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451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2711A (en) Charging generator for a vehicle including a circuit for suppressing a sudden change in a field current
KR970072581A (ko) 자기저항 기기내의 전류 정형 장치 및 그 정형 방법
TW346703B (en) Controlling apparatus for automotive generator
MX9707840A (es) Circuito impulsor de solenoide.
CA2126296A1 (en) Diagnostic circuit and method for amperometrically determining the current passing through a sensor
KR100293655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듀티 컨트롤러
JPH0799795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制御装置
US5687277A (en) Motor drive control device which uses pulse width modulation to control the speed of a motor
KR950014556A (ko) 엔진제어장치를 이용한 구동전원 보상회로
KR100204750B1 (ko) 차량용 풍향 제어 장치
SU1647836A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SU1187249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амплитуды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осто нное напр жение
KR970007659A (ko) 버스라인의 로딩보상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JPH07103058A (ja) ノックコントローラ装置
KR960038107A (ko) 가속특성에 따른 최적의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9980028679A (ko) 자동차용 오디오 자동 볼륨 조절장치
KR970013628A (ko) 펄스 폭 변조 방식을 사용한 실시간 직류모터 제어장치
KR950008229A (ko) 차량용 자동음량조정장치
KR950020004A (ko) 배터리 포크리프트의 제어방법
KR19980019822A (ko) 자동변속 자동차의 파워/이코노 마이저 변속타이밍 설정장치
JPH07241098A (ja) ステップモータの駆動方法
KR940008456A (ko) 일정레벨이하의 음량시 라우드니스자동 조절방법
KR19980060112A (ko) 액추에이터 제어를 위한 마이컴의 입출력 포트 최적화장치
TW370591B (en) Control device of internal-combustion engine used in car
KR970012822A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lyBack Transformer:FBT) 자동 조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