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195B1 - 데이터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195B1
KR100292195B1 KR1019960017060A KR19960017060A KR100292195B1 KR 100292195 B1 KR100292195 B1 KR 100292195B1 KR 1019960017060 A KR1019960017060 A KR 1019960017060A KR 19960017060 A KR19960017060 A KR 19960017060A KR 100292195 B1 KR100292195 B1 KR 100292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transmission
signal
selector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086A (ko
Inventor
한진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6001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195B1/ko
Publication of KR97007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45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셀렉터의 제어의 따라 기지국과 교환기 상호간에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 및 교환기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데이터 신호인지를 판별하여 보코더 또는 데이터 전송경로의 알맞은 위치로 스위칭하는 셀렉터와, 이 셀렉터로부터 데이터 전송경로가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출력하는 직렬 접속부와, 이 직렬 접속부를 통과한 데이터를 교환기 측의 처리속도에 알맞도록 변경하여 상기 교환기에 전송하는 PCM 접속부로 구성되며, 기지국과 교환기 상호간에 음성신호 이외의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에 따라 CDMA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장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장치가 포함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데이터 처리부 10 : 기지국
20 : 셀렉터 30 : 직렬 접속부
40 : PCM 접속부 50 : 교환기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셀렉터(selector)의 제어의 따라 기지국과 교환기 상호간에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는 셀렉터에 접속되어 기지국과 교환기 사이의 음성신호를 상호 변환 및 전송하는 장치로서, 기지국의 음성 패킷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신호로 코딩하여 교환기 측으로 전송하고, 교환기로 부터 전송되는 PCM 신호를 음성 패킷 신호로 디코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보코더와 셀렉터 사이의 정보는 패킷 형태의 명령어(command)로 이루어지며, 셀렉터는 초기 명령어(init command), 프레임 율 명령어(frame rate command), 송신 프레임 명령어(TX frame command) 및 수신 프레임 명령어(RX frame command) 등의 4개의 명령어만으로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보코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이들 명령어만으로 음성 통화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율 명령어는 송신 프레임 명령어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서 0~8Kbps(Kilo bit per second)의 범위에서 가변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보코더와 셀렉터를 통해서 음성신호만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데이터를 기지국과 교환기 상호간에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데이터 신호의 전송인 경우 보코더의 코딩 및 디코딩 과정은 수행하지 않으면서 셀렉터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전송경로를 통해서 기지국과 교환기 간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셀렉터로부터 패킷 형태의 병렬 데이터가 전송되면 직렬 접속부를 통해 직렬 데이터로 출력시킨 후 PCM 접속부에 의해 교환기 측의 처리속도로 변경하여 기지국과 교환기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장치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에는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부(1)가 연결되어 교환기(50)와의 음성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는 상기 기지국(1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데이터 신호인지를 판별하여 보코더(도시하지 않음) 또는 데이터 전송경로의 알맞은 위치로 스위칭하는 셀렉터(20)와, 이 셀렉터(20)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어 데이터 전송경로가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출력하는 직렬 접속부(30) 및, 이 직렬 접속부(30)를 통과한 직렬 데이터를 교환기(50) 측의 처리속도에 알맞도록 변경하여 교환기(50)에 전송하는 PCM 접속부(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장치는 셀렉터(20)에서 음성 패킷 신호가 아닌 병렬 데이터 신호가 전송됨을 판별하면 상기 병렬 데이터 신호는 직렬 접속부(30)에 의해 직렬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 후 64Kbps PCM 접속부(40)에 입력된다.
상기 PCM 접속부(40)에 입력된 데이터 신호는 교환기(50) 측의 처리속도와 일치되도록 8 개씩 그룹으로 묶거나 풀어서 32 채널로 맞춘 다음 PCM 스트림으로 만들어 교환기(5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성 신호는 보코더에 의해 코딩 또는 디코딩되어 전송되는 반면, 상기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신호는 상기 보코더 이외의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인 상기 직렬 접속부(30) 및 PCM 접속부(40)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서 기지국과 교환기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과 교환기 상호간에 음성신호 이외의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에 따라 CDMA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

  1. 기지국(10) 및 교환기(50)로 구성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1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데이터 신호인지를 판별하여 보코더 또는 데이터 전송경로의 알맞은 위치로 스위칭하는 셀렉터(20)와, 이 셀렉터(20)로부터 데이터 전송경로가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출력하는 직렬 접속부(30)와, 이 직렬 접속부(30)를 통과한 데이터를 교환기(50) 측의 처리속도에 알맞도록 변경하여 상기 교환기(50)에 전송하는 PCM 접속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KR1019960017060A 1996-05-20 1996-05-20 데이터 전송장치 KR10029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060A KR100292195B1 (ko) 1996-05-20 1996-05-20 데이터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060A KR100292195B1 (ko) 1996-05-20 1996-05-20 데이터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086A KR970078086A (ko) 1997-12-12
KR100292195B1 true KR100292195B1 (ko) 2001-09-17

Family

ID=3752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060A KR100292195B1 (ko) 1996-05-20 1996-05-20 데이터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195B1 (ko) * 2000-07-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간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 및 그 기지국 제어기내 보코더의 데이터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086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2366B1 (ko)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코더 바이패스 구현 방법
EP1061753B1 (en) Audio transcoder mode switching depending on the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US54405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control information into a user signal stream of a CDMA cellular system
TW257912B (ko)
KR19990087280A (ko)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무선통신 채널상에 전송하는 회로 및 방법
CA2325401A1 (en) Cellular simultaneous voice and data transmission including digital simultaneous voice and data (dsvd) modem
EP1113680B1 (en) Mobile-to-mobile DTMF signalling in tandem free operation
CN101622711B (zh) 用于无声插入描述符(sid)转换的方法、系统
KR100292195B1 (ko) 데이터 전송장치
KR960020123A (ko) 통합된 프레임 구성의 무선 액세스 통신 시스템(wacs)형 이동 통신
KR100297875B1 (ko) 가변 속도 보코더를 사용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음질 향상을 위한 방법
JP3154290B2 (ja) 符号化情報の通信システムおよび符号化情報の整合方法
KR10042919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셀렉터/보코더
KR100345306B1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서의기지국제어기의타임스위치
KR100417240B1 (ko) 디지털 음성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330416B1 (ko)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KR970060783A (ko) 비동기 전송시스템의 에이치 디 엘 씨/에스 디 엘 씨(hdlc/sdlc)전환장치 및 제어방법
KR100295186B1 (ko) 가상 보코더를 이용한 바이패스 장치
JPS63136797A (ja) 交換機
KR20010010623A (ko) 패킷 송수신 장치
KR20000019739A (ko) 브이.34 표준 모뎀기능을 구비한 광대역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가입자 접속장치
Adachi et al. Radio channel structure for QPSK digital mobile radio
JP2002062897A (ja) 音声符号化装置と音声復号化装置及び音声符号化方法と音声復号化方法
KR20010078552A (ko) 교환기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20010082946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내 보코더 성능 시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