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416B1 -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416B1
KR100330416B1 KR1020000002342A KR20000002342A KR100330416B1 KR 100330416 B1 KR100330416 B1 KR 100330416B1 KR 1020000002342 A KR1020000002342 A KR 1020000002342A KR 20000002342 A KR20000002342 A KR 20000002342A KR 100330416 B1 KR100330416 B1 KR 100330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oder
data
unit
signal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829A (ko
Inventor
백창현
김춘수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2000000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4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7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와 사설 교환기 가입자간의 특수 데이터 서비스 및 다양한 음성 서비스를 위한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는, 이동교환기와 사설교환기를 접속하며 채널별로 모니터하고 통화의 착발신 상태확인, 특수 서비스 요구확인, 보코더 선택 등을 수행하고, 상기 두 교환기들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각 처리부로 전송하고, 각 처리부의 신호는 상기 두 교환기들로 전송하는 선로 정합부와; 상기 선로 정합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보코더 신호를 공중전화망 가입자가 사용하는 PCM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PCM 신호를 보코더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교환기로 전송하는 보코더 변환부; 및 상기 선로 정합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특수 데이터를 공중전화망 가입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특수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Append Service System for Trunk }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와 사설 교환기 가입자간의 특수 데이터 서비스 및 다양한 음성 서비스를 위한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CDMA 이동시스템의 서비스 옵션을 이용하여 CDMA 이동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CDMA 기술 표준(IS-95A/B)에 의하지 않는 다양한 음성 서비스 및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또는 특수한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공중 전화망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중 전화망 가입자와 디지털 이동통신 가입자가 연동되는 서비스도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함) 이동단말기가 공중 전화망 가입자와 접속되어 특수한 데이터 서비스(CDMA Traffic Channel의 음성 정보를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게 될 경우, 또는 QCELP(Qualcomm Code-Excited Linear Prediction),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 뿐만 아니라 현재 CDMA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AMBE(Advanced Multi-Band Excitation) 등의 다양한 보코더 서비스가 요구되면 이를 지원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현재 IS-95A/B에서는 QCELP 신호에 대한 서비스만 가능하다. 그러나, 공중 전화망 가입자와 이동통신 가입자간의 특별한 형태의 데이터 사용과 다양한 보코더의 사용이 요구되면 기존의 CDMA 기지국 제어기를 재 설계 및 제작하여야만 한다. 특정한 공중 전화망 가입자에게만 제공될 수 있는 특수 데이터 서비스 및 보코더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제어기 제작은 CDMA 시스템의 변경과 경제적 부담을 갖게 된다.
즉, CDMA 이동 전화망에서는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의 QCELP에 대하여 IS-95A/B에 제시는 되었으나, 이동 단말기와 공중 전화망 가입자간의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특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실현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수 데이터 서비스 및 보코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2048Kbps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를 적용한 망의 일 예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로 정합부의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특수 데이터 처리부의 구성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코더(Vocoder) 변환부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선로 정합부 22 : 특수 데이터 처리부
23 : 보코더 변환부 31 : 선로 정합
32 : 프레임부 33 : 메모리 입출력부
34 : S/P 변환부 35 : P/S 변환부
36 : 채널 모니터부 41 : 동기 패턴발생 및 인식부
42 : 데이터 포맷 설정부 43 : 데이터 발생 및 변환부
44 : 채널 설정부 45 : 마이크로 프로세서
51 : 채널 설정부 52 : 보코더 모듈
53 : 보코더 선택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는, 이동 단말기측의 이동교환기와 공중전화망 가입자측의 사설교환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공중전화망 가입자간의 특수 데이터 서비스 및 다양한 보코더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기와 사설교환기를 접속하며 채널별로 통화의 착발신 상태확인, 특수 서비스 요구확인, 보코더 선택 등을 수행하고, 상기 두 교환기들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각 처리부로 전송하고, 각 처리부의 신호는 상기 두 교환기들로 전송하는 선로 정합부와; 상기 선로 정합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보코더 신호를 PCM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PCM 신호를 보코더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교환기로 전송하는 보코더 변환부; 및 상기 선로 정합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특수 데이터를 공중전화망 가입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특수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선로 정합부는, 상기 이동교환기 또는 사설교환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30채널의 가입자신호로 변환하는 프레임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특수 서비스모드, 보코더 종류, 및 통화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모니터;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교환기들의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 변환부 또는 특수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하는 S/P 변환부; 및 상기 보코더 변환부 또는 특수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교환기 또는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P/S 변환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보코더 변환부는, 상기 선로 정합부로부터 보코더 선택정보를 수신받아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보코더를 선택하는 보코더 선택부와; 상기선로 정합부로부터 통화되고 있는 채널정보를 수신받는 채널 설정부; 및 상기 보코더 선택부의 보코더 정보와 상기 채널 설정부의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의 보코더를 활성화시켜, 상기 이동교환기의 보코더 신호를 PCM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설교환기의 PCM신호를 보코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교환기로 전송하는 보코더 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양호하게는, 상기 특수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동기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기패턴을 발생하는 동기패턴 발생 및 인식부와;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데이터 포맷 설정부; 상기 이동 단말기와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발생 및 변환부; 특수 데이터 서비스가 발생된 채널을 상기 데이터 발생 및 변환부로 알려주는 채널 설정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를 적용한 망의 일 예시도이다. 이동 단말기(11)와, 기지국(12), 기지국 제어기(13), 이동교환기(14),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가 포함된 정합장치(17), 사설교환기(15), 및 일반 단말기(16)가 연결된다.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는 정합장치(17)에 포함되며 다양한 서비스와 보코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No.7 시그널링을 통해 이동교환기(14)에 정합장치(17)가 접속된 것을 알린다. 이동교환기(14)는 이동 단말기(11)의 서비스 옵션과 No.7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바이패스시킨다.
이 정합장치의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48kbps 트렁크와 연결되며 No.7 시그널링을 제공하는 선로 정합부(21)와, 실제로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특수 데이터 처리부(22), 다양한 음성 보코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코더 변환부(23)로 구성된다.
선로 정합부(21)는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를 이동교환기(14)와 사설교환기(15)로 연결하고, 특수 데이터 처리부(22)는 2048Kbps 트렁크의 각 30채널에 대한 특수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리고 보코더 변환부(23)는 이동 단말기(11)에 탑재되어 있는 특수 용도의 보코더 또는 공중 전화망 가입자의 요구에 의한 보코더 등을 지원한다. 선로 정합부(21)는 ITU-T에서 2048Kbps에 권고되는 물리적 권고 사항에 맞추어 이동교환기(14)와 사설교환기(15)간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No.7 시그널링은 이동교환기(14)가 정합장치(17)와 연결되는 것을 알게 하고, R2 시그널링은 사설교환기(15)와 연결되는 것을 알게 한다.
또한, 선로 정합부(21)는 채널별 모니터 기능을 갖고 있으며, 통화의 착발신 상태 확인, 특수 서비스 요구 확인, 보코더 선택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각 채널별 직렬 데이터를 해당 처리부로 보내기 위해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을 하며, 역으로 트렁크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처리부에서 보내온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로 정합부의 내부 상세 구성도이다.이동교환기(14) 또는 사설교환기(1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프레임부(32)를 거쳐 30 채널의 가입자 신호로 변환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채널 모니터(36)에서 특수 서비스 모드, 보코더 선택, 통화 채널 선택 등을 한다. 또한 특수 데이터 처리부(22)와 보코더 변환부(23)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S/P 변환부(34)와 P/S 변환부(35)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특수 데이터 처리부(22)의 내부 상세 구성도이다. 선로 정합부 또는 보코더 변환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오는 동기 패턴을 인식하며 부가 서비스장치가 이동 단말기(11)로 전송하는 동기 패턴 발생을 하는 동기 패턴 발생 및 인식부(41)와,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포멧을 결정하는 데이터 포멧 설정부(42), 이동 단말기와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발생 및 변환부(43), 특수 데이터 서비스가 발생된 채널을 알려주는 채널 설정부(44), 및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5)를 포함한다.
이 특수 데이터 처리부(22)는 상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특수 데이터의 프레임을 인식하고, 공중 전화망 가입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와 정합장치 간 상대방의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기 위한 접속 방식 확인 기능이 구현된다. 또한, 공중 전화망 가입자의 특수 데이터 형식을 갖도록 하는 데이터 포멧 선택 기능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특정한 데이터 포멧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코더 변환부의 내부 상세 구성도이다. 보코더 변환부는, 이동 단말기의 보코더의 종류에 따라 정합장치의 보코더를 선택하고, 이를공중 전화망 가입자와 통화될 수 있는 PCM 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역으로도 PCM 신호를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보코더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보코더 변환부(23)는 채널 설정부(51), 보코더 모듈(52), 및 보코더 선택부(53)로 구성된다.
보코더 선택부(53)는 선로 정합부(21)로부터 보코더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와 동일한 보코더를 선택하고, 통화가 되고 있는 채널 설정 부분의 명령에 의해 해당 채널의 보코더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보코더 모듈(52)은 사설교환기(15) 쪽으로 보내기 위한 PCM 신호를 발생시키고, 역으로 PCM 신호를 보코더 신호로 변환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CDMA 이동 단말기(11)와 이동교환기(14)가 서비스 옵션에 의해 보코더 선택 및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교환기(14)는 부가 서비스장치 접속 여부를 No.7 시그널링을 통해 판단한다. 부가 서비스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 기지국 제어기(13)에 보코더 바이패스 명령을 보내 이동 단말기(11)의 보코더 신호와 특수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부가 서비스장치까지 연결해야 하는데, 이는 이동 단말기(11)와 이동 교환기(14)에 부가적인 기능으로서 추가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은 부가 서비스장치에서 이동 단말기(11)로, 이동 단말기(11)에서 부가 서비스장치로 접속되는 경우 호 접속과정에서 결정되며, 실질적인 서비스는 이동 단말기(11)가 트래픽 채널 상태로 천이 되었을 때 제공된다.
공중 전화망의 가입자 요구에 의한 특수 보코더 선택에 의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 또는 부가 서비스장치 어느 쪽도 착, 발신이 되어도 이동 교환기(14)는 부가 서비스장치와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 옵션에 의해 호 접속 과정에서 기지국 제어기(13)의 보코더를 바이패스(Bypass)하도록 명령하고, 기지국 제어기(13)는 이 명령에 의해 자신의 보코더를 바이패스한다.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이 열리고, 이동 단말기와 부가 서비스장치는 자신의 보코더를 알리기 위해 초기에 접속 방식 확인 절차를 거쳐 사용될 보코더를 설정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보코더 신호는 부가 서비스장치의 선로 정합부(21)를 거쳐 보코더 변환부(23)에 연결되며, 보코더 변환부(23)에서는 PCM신호로 변환하여 공중 전화망 가입자와 통화가 이루진다. 역으로도 공중 전화망 가입자의 PCM신호를 선택된 보코더 신호로 변환하여 선로 정합부(21)를 거쳐 이동 단말기(11)까지 연결하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와 통화되도록 한다.
특수 데이터 서비스도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 옵션과 부가 장치의 No.7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호 접속 과정에서 기지국 제어기(13)의 보코더를 바이패스하도록 명령하고, 기지국 제어기(13)는 이 명령에 의해 자신의 보코더를 바이패스한다. 트래픽 채널이 열리고, 이동 단말기와 부가 서비스장치는 특수 데이터 서비스 모드로 동작되기 위해 초기에 접속 방식 확인 절차를 거쳐 특수 데이터 서비스 상태로 설정한다. 이미 설정된 이동 단말기와 부가 서비스장치의 특수 데이터 포멧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며, 부가 서비스장치의 특수 데이터 처리부(22)에서는 이동 단말기와 부가 서비스장치와 연결되는 사설 교환기를 거쳐 가입자에게 접속된다.
부가 서비스장치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가 아닌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11)는 서비스 옵션과 특수 데이터 서비스 기능이 없으므로 이동 교환기(14)는 기지국 제어기(13)에 보코더 바이패스 명령을 보내지 않으며, 당연히 접속 방식 확인 과정에서 인식이 되지 않으므로 부가 서비스장치는 일반 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를 사설 교환기 쪽으로 바이패스시킨다.
또한, 부가 서비스장치에서 일반 단말기로 접속될 경우도 이동 교환기(14)는 기지국 제어기(13)에 보코더 바이패스 명령을 보내지 않으며, 부가 서비스장치는 접속 방식 확인 정보가 오지 않으므로 역시 일반 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를 사설 교환기 쪽으로 바이패스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으로 인하여 특정 사설 교환기 가입자와의 부가적인 특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기존의 CDMA 이동시스템의 무리한 변형이 없으면서 안정된 서비스와 경제적인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 데이터 서비스 및 다양한 보코더 선택 기능을 갖는 CDMA 이동 단말기와의 통화는 동일 기능을 갖는 부가 서비스장치로 인해 통화자의 통화 품질에 절대 영향을 주지 않으며, 통화의 안전성 및 사설 교환 가입자가 특별하게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이동 단말기와의 통화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크기가 작아서 이동성이 좋고 설치하고자 하는 어떤 사설 교환기와의 접속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 단말기측의 이동교환기와 공중전화망 가입자측의 사설교환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공중전화망 가입자간의 특수 데이터 서비스 및 다양한 보코더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기와 사설교환기를 접속하며 채널별로 통화의 착발신 상태확인, 특수 서비스 요구확인, 보코더 선택 등을 수행하고, 상기 두 교환기들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각 처리부로 전송하고, 각 처리부의 신호는 상기 두 교환기들로 전송하는 선로 정합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보코더 신호를 PCM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공중전화망 가입자의 PCM 신호를 보코더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교환기로 전송하는 보코더 변환부; 및
    상기 선로 정합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특수 데이터를 공중전화망 가입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특수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정합부는,
    상기 이동교환기 또는 사설교환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30채널의 가입자신호로 변환하는 프레임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특수 서비스모드, 보코더 종류, 및 통화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모니터,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교환기들의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 변환부 또는 특수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하는 S/P 변환부, 및
    상기 보코더 변환부 또는 특수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교환기 또는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P/S 변환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코더 변환부는,
    상기 선로 정합부로부터 보코더 선택정보를 수신받아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보코더를 선택하는 보코더 선택부와,
    상기 선로 정합부로부터 통화되고 있는 채널정보를 수신받는 채널 설정부, 및
    상기 보코더 선택부의 보코더 정보와 상기 채널 설정부의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의 보코더를 활성화시켜, 상기 이동교환기의 보코더 신호를 PCM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설교환기의 PCM신호를 보코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교환기로 전송하는 보코더 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동기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기패턴을 발생하는 동기패턴 발생 및 인식부와,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데이터 포맷 설정부,
    상기 이동 단말기와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발생 및 변환부,
    특수 데이터 서비스가 발생된 채널을 상기 데이터 발생 및 변환부로 알려주는 채널 설정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KR1020000002342A 2000-01-19 2000-01-19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KR100330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342A KR100330416B1 (ko) 2000-01-19 2000-01-19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342A KR100330416B1 (ko) 2000-01-19 2000-01-19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829A KR20010075829A (ko) 2001-08-11
KR100330416B1 true KR100330416B1 (ko) 2002-03-27

Family

ID=1963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342A KR100330416B1 (ko) 2000-01-19 2000-01-19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4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829A (ko) 200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9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241903B1 (ko) 무선 인터넷망에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장치
KR20000048576A (ko) 디지털 무선 전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와 그 제공 방법
KR100474912B1 (ko) 듀얼 ip 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US6021138A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for a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RU2147771C1 (ru) Дистанционное вокодирование по линии связи на большую дальность действия
RU98100450A (ru) Дистанционное вокодирование по линии связи на большую дальность действия
KR100203355B1 (ko) 발신 전용 휴대 전화 시스템
KR100330416B1 (ko)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JP2775846B2 (ja) 時分割多重化装置
CN1099184C (zh) 经公众交换站实现通信连接的方法
KR960011706B1 (ko) Isdn 망에 접속가능한 디지탈 키폰 시스템
JPH09266509A (ja) 仮想専用線接続システム
KR940005246B1 (ko) Isdn 전화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228550B1 (ko) 종합정보통신망 접속 장치를 가지는 시티-2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KR10032375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운용 방법
JPH01252000A (ja) ディジタル電話システム
KR0160355B1 (ko) 핸드오버 처리를 위한 타임 슬롯 교환 장치 및 핸드오버 처리 방법
KR20030008861A (ko) 에이티엠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서 디티엠에프 신호 전달방법
KR20000004109A (ko) 전전자 교환기의 호 절단 제어 방법
JPH099329A (ja) チャネル切り替え制御方式
KR20020026087A (ko) 교환기에서의 다중경로 접속장치
KR19990005230A (ko) 무선가입망 기지국 제어기의 vcia장치
JPH07245774A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の信号伝送方法
JPH08195788A (ja) 通信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