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149B1 - 상수도용약품자동투입기 - Google Patents

상수도용약품자동투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149B1
KR100292149B1 KR1019980031690A KR19980031690A KR100292149B1 KR 100292149 B1 KR100292149 B1 KR 100292149B1 KR 1019980031690 A KR1019980031690 A KR 1019980031690A KR 19980031690 A KR19980031690 A KR 19980031690A KR 100292149 B1 KR100292149 B1 KR 10029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plate
lower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041A (ko
Inventor
정천복
Original Assignee
지차용
한국지하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차용, 한국지하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차용
Priority to KR101998003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14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1Upstream control, i.e. monitoring for predict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물탱크의 내측 상부 소정위치에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약품을 물탱크에 수용된 물로 안내하도록 된 안내구와, 상기 안내구의 외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며 물탱크의 상부로 결합되는 본체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공이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과 저면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토록 삽결되어 모터의 동력전달샤프트에 축설되고 상부판의 결합공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원주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결합공에 삽결되는 홀더에 의해 상부판에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폐되어 내측에 약품을 충진하도록 된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물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시간대별로 모터의 정지와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물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시간대별로 일정량의 약품을 자동투입하여 균일하고 지속적인 소독으로 안정된 멸균을 이루하며, 과다한 약품의 투입을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시키고, 카트리지의 교환만으로도 약품보충을 이루어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
본 발명은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의 물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일정량의 약품을 자동적으로 투입하여 균일하고 지속적인 소독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된 멸균으로 상수도의 안전하고도 위생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물은 일정한 소독과정을 거쳐 각종 병균이 멸균된 상태의 깨끗한 물이 공급되는데 이런 종래 상수도의 물을 소득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102)이나 일정한 용기에 다량의 약품(103)을 넣어 상기한 그물망(102)이나 용기를 물탱크(101)에 투입하여 물탱크(101)에 유입되는 물을 소독한 연후에 각 가정으로 소독된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수도의 물을 소독할 경우 약품의 초기 투입시 다량의 약품 투입으로 인해 심한 냄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음용수(먹는 물)로써 부적합하게 됨은 물론, 약품을 투입하고 일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약품이 다 녹아 없어진 후에는 멸균이 이루어지지 않아 비위생적인 사용을 이루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멸균되지 않는 물이 각 가정에 공급될 경우 수인성전염병 등과 같은 각종 병균에 사용자가 노출되어짐으로써, 질병이 쉽게 유발되는 등 국민건강을 저해하는 문제점과, 물탱크에 투입된 약품은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모두 녹아 없어지므로 관리자가 정기적(매일 또는 주일, 월단위)으로 약품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보충해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한번에 다량의 약품을 투입되는 일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결국, 이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본실개소59-44598호(1984.3.24)는 모터등의 구동수단(1)과, 약품을 이동, 배출하는 이동수단(2과, 구동수단(1))와 이동수단(2)의 사이에 설치되며, 구동수단(1)의 구동력을 이동수단(2)에 전달하여 이동수단(2)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달수단(3)과, 이동수단(2)상에 고형약품을 제공하는 약품 공급 수단(4)과, 약품 공급 수단(4)의 바로 아래, 이동수단의 바로 아래로 위치하여 설치되며, 약품 공급 수단(4)으로부터의 이동수단(2)상에 공급된 고형 약품이 이동수단(2)상으로부터 직접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억지수단(5)을 가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절단수단은 감속톱니바퀴로 물려있으며, 구동수단(1)의 구동을 간헐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정제약인 고체약품을 자동으로 정량첨가하는 수처리 약품첨가장치를 도1a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수단(1)으로 원판(7)을 감속하여 회전시키면 원판구멍(7′)이 약품공급수단의 하단에 일치할 때, 하단에서 억지판(8)으로 막힌 공 내부에 약품을 넣는다. 이때, 넣는 약품량은 구멍의 크기와 원판(7)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약품이 정제인 경우 정제1개분의 크기와 비슷한 크기의 구멍을 두면 정제를 1개씩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수단(1)에 의해 원판(7)이 회전하게 되면 원판(7)에 형성된 원판구멍(7′)이 공급수단(4)의 하부에 위치되어 일치될 경우에는 원판(7)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려 하는 약품이 원판구멍(7′)에 삽입되고, 상기와 같이 원판구멍(7′)에 약품이 삽입된 상태에서 원판(7)이 회전하게 되어 억지판(5)(8)에서 벗어나게 되면 원판구멍(7′)의 하부는 개방되어 약품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원판(7)을 연속회전시켜 약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지만 연속적인 공급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원판에 홈(9)을 파서 원판구멍(7′)이 공급수단(4)의 구멍과 일치할 때 마이크로스위치(10)의 작동에 따라 타이머의 전원회로가 열리게 됨과 동시에 구동수단(1)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이때, 타이머가 작동을 개시하여 소정시간 경과 후에는 구동수단(1)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원판(7)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일본실개소59-44598호(1984.3.24)의 경우 수처리 약품을 자동적으로 정량투여하는 것은 가능하게 되었지만, 약품공급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없어 매우 불안정된 상태이며, 타임 체크로 약품투입시기를 결정하므로 물탱크에 물의 유입량이나 사용량에는 무관하므로 안정된 소독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며(물이 유입되지 않아도 시간에 의하여 무조건 투입됨으로써 식수 소독은 부적합), 수면에서 상승하는 습기차단 수단이 미비하여 약품이 기화되거나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습기와 가스(gas)가 상승하게 될 경우에는 구동수단(1)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쉽게 부식되어 제품의 수명이 매우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습기 및 공기차단수단이 없어 약품이 공기와 습기에 접촉하게 되면 쉽게 기화되어 녹거나 응고되는 결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약품이 가회되어 녹거나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와 습기의 접촉을 취대한 차단하도록 하면서, 상수도의 물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일정량의 약품을 자동 투입하여 균일하고 지속적인 소독으로 정확하고 안정된 멸균을 이루어 위생적인 수돗물을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적정량의 약품 투입으로 과다한 약품의 낭비를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품의 보충시 약품이 충진된 카트리지의 교환으로 관리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 상수도의 물탱크에 약품이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종래 수처리 약품첨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의 회전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의 상부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의 하부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에 있어서, 콘트롤러의 작동상태에 따른 자동싸이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안내구
12 : 연결호스 20 : 콘트롤러
21 : 정지위치센서 22 : 발광기
23 : 약품감지 수광기 30 : 회전판
31 : 유입공 40 : 하부판
41 : 투입공 50 : 상부판
51 : 결합공 52 : 홀더
53 : 체결수단 60 : 카트리지
70 : 모터 71 : 동력전달샤프트
72 : 감속기 80 : 조작반
100 : 약품 110 : 물탱크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의 회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의 상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의 하부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 자동투입기에 있어서, 콘트롤러의 작동상태에 따른 자동싸이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는, 물탱크(110)의 상부에 외관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내부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형태의 안내구(11)를 형성하고, 상기한 안내구(11)의 하부 소정위치로 단부의 외주면에는 물탱크(110)의 내부로 소정길이 투입된 연결호스(12)를 장착하고, 상기한 본체(10)의 상면으로는 투입공(41),(41a),(41b)을 형성한 하부판(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40)의 상면으로는 다량의 약품(100)이 충진된 카트리지(60),(60a),(60b)가 착탈가능토록 결합된 홀더(52),(52a),(52b)를 결합공(51)(51a)(51b)에 결합시킨 상부판(50)을 볼트(53)체결에 의하여 고정 설치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50)의 저부 수용공간(하부판(4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판(50)의 상면에 장착된 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모터(70)의 동력전달샤프트(71)에 축설되어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회전판(30)을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30)이 회전할 때 유입공(31)이 카트리지(60),(60a),(60b)와 동일축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카트리지(60)(60a)(60b)에 충진된 약품(100)이 하부판(40)의 투입공(41),(41a),(41b)을 통하여 본체(10)의 안내구(11)에 유입되도록 유입공(31)을 카트리지(60)(60a)(60b)와 동일 원주상에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모터(70)에는 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한 회전력을 일차적으로 감속시켜 상기한 회전판(30)이 적정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감속기(72)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회전판(30)이 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카트리지(60),(60a),(60b)에 충진된 약품(100)을 상수도의 물탱크(110)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시간에 따라 제어되어 자동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콘트롤러(20)를 장착한다.
즉, 상기 콘트롤러(20)에 의하여 회전판(30)의 회전 및 약품(100)의 투입수, 투입시간 등이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물탱크(110)의 지속적인 소독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판(50)에는 3개의 카트리지(60),(60a),(60b)를 착탈가능토록 장착하기 위한 3개의 홀더(52),(52a),(52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홀더(52),(52a),(52b)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51),(51a),(5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40)에는 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30)의 유입공(31)을 통하여 카트리지(60),(60a),(60b)에 충진된 약품(100)이 본체(10)의 안내구(11)로 안내되어 물탱크(11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부판(50)의 결합공(51),(51a),(51b)에 장착된 카트리지(60),(60a),(60b)의 하부 동일축상에 동일한 숫자의 투입공(41),(41a),(4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50)의 결합공(51),(51a),(51b)과 하부판(40)의 투입공(41),(41a),(41b)을 각기 3개씩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용도 및 설치장소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형성시켜 다량의 카트리지(60),(60a),(60b)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구(11)의 하부 소정위치로는 콘트롤러(20)에 연결되어 약품(100)의 투입상태를 감지하여 약품(100)의 소진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발광기(22)와 약품감지 수광기(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20)에 연결되어 회전판(30)의 일측면으로는 약품(100)이 회전판(30)의 유입공(31)과 하부판(40)의 투입공(41),(41a),(41b)을 통하여 본체(10)의 안내구(11)로 안내되도록 회전판(20)의 정지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지위치센서(2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50)의 홀더(52),(52a),(52b)에 지지되어 착탈가능토록 장착된 카트리지(60),(60a),(60b)는 일측면이 밀페되고 타일측면이 개방된 소정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형상의 약품(100)을 투입하여 밀봉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60),(60a),(60b)는 종이를 합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으로 자연상태에 방치시에도 그 분해작용이 짧아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운반 및 보관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의 카트리지(60),(60a),(60b)는 수지물이나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연상태에 방치시 분해작용이 짧아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종이류를 합성시킨 재질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물탱크(110)의 상부에 하부판(40)을 결합시키고 그 상부에 상부판(50)를 결합시키며 상,하부판(50)(40)의 사이에 회전판(30)을 결합시켜 모터(70)로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약품이 안내구(11)를 경유하여 물탱크(1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품이 외기에 노출되거나 물탱크(110)의 습기에 접촉됨으로써 기화되거나 녹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약품이 쉽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약품이 응고되어 물탱크(110)내에서 적기에 녹지않아 소독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트리지(60),(60a),(60b)가 결합된 홀더(52),(52a),(52b)를 상부판(50)에 분리하여 각각의 카트리지(60),(60a),(60b)에 약품(100)을 충진한 다음 각각의 홀더(52),(52a),(52b)를 상부판(50)에 결합시킨 후, 전원을 인가하여 조작반(80)의 선택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눌러 투약수라는 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온”되면 투입수량(총수량)을 설정하고, 다시 선택스위치를 눌러 투입간격(시간)에 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온”되면 투약간격(시간)을 설정한 다음 선택스위치를 자동운전(도시되지 않음)으로 놓으면 된다.
여기서, 상기 약품(100)의 투입간격(시간)은 1시간에서 99시간까지 설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물탱크(110)로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정하면 된다.
이때, 약품(100)의 투입간격(시간) 및 투입수량을 설정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음용수(먹는 물)로 사용되는 물일 경우 물 16톤(ton)을 기준으로 20g, 1EA사용하면 0.3PPM 이하의 잔류염소가 검출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물탱크(110)에 투입되는 약품(100)은 콘트롤러(20)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된 투입간격(시간)에 따라 설정된 일정량의 약품(100)이 자동으로 투입된다.
따라서 콘트롤러(20)에 제어에 의하여 물탱크(110)로 투입되는 약품(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러(20)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70)가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모터(70)의 회전을 감속기(72)가 일정속도로 감속시키게 되고 상기 감속된 모터(70)의 회전은 회전판(30)과 연결된 동력전달샤프트(71)를 통하여 회전판(3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30)이 상기 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부판(50)의 내부에서 감속회전을 하는 과정에서 콘트롤러(20)에 연결된 정지위치센서(21)가 카트리지(60),(60a),(60b)와 하부판(40)의 투입공(41),(41a),(41b)이 위치한 동일축상에 회전판(30)의 유입공(31)이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20)에서 모터(7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60),(60a),(60b)와 하부판(40)의 투입공(41),(41a),(41b)이 위치한 동일축상에 회전판(30)의 유입공(31)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한 유입공(31)을 통하여 카트리지(60),(60a),(60b)에 충진된 약품(100)이 초기에 설정된 수량만큼 본체(10)의 안내구(11)로 낙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구(11)로 낙하된 약품(100)은 안내구(11)를 따라 연결호스(12)를 통하여 물탱크(110)의 내부로 투입되는데 이때, 안내구(1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발광기(22)와 약품감지 수광기(23)에 의하여 약품(100)의 투입수량을 확인하게 된다.
즉, 안내구(11)를 통과하는 약품(100)을 발광기(22)와 약품감지 수광기(23)가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한 감지신호를 콘트롤러(20)로 보내어서 카트리지(60),(60a),(60b)에 약품(100)이 소진되었음을 아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내구(11)를 통하여 초기에 설정된 투입수량 만큼 약품(100)의 투입이 완료되면, 다시 회전판(30)이 일정각도 회전하여 약품(100)의 낙하를 차단하게 되고, 다시 설정된 투입간격(시간)이 되면 모터(70)가 구동되어 회전판(30)을 다시 회전시키고 이 과정에서 회전판(30)의 유입공(31)이 카트리지(60),(60a),(60b)와 하부판(40)의 투입공(41),(41a),(41b)이 이루는 동일축상에 위치하게 되면 다시 설정된 투입수량 만큼 약품(100)을 낙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작용들이 콘트롤러(20)의 제어에 의하여 반복되면서 물탱크(11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시간대별로 약품(100)의 투약수량 및 투약간격(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균일하고 지속적인 소독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콘트롤러(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100)의 투입수량 및 투입간격(시간)을 설정된 값에 의하여 자동싸이클에 따라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약품(100)의 부족이나 고장 등을 알리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20)의 자동싸이클을 설명하면 먼저,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물탱크(110)에 유입되는 유입수를 확인하게 되고 유입수가 확인되면 초기에 설정된 투약간격을 비교하게 된다.
따라서, 투약간격이 확인되면 모터(70)를 회전시키게 되고, 다시 모터(70)가 회전되는지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는 두번의 회전검출(8초, 9초)을 통하여 모터(70)의 고장유무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즉, 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30)의 회전을 정지위치센서(21)가 감지하는 것으로 모터(70)의 회전검출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모터(70)의 회전검출이 되지 않을 경우 모터(70)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모터고장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온”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70)의 회전이 검출되면 모터(7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판(30)이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정지위치센서(21)가 회전판(30)의 유입공(31)이 카트리지(60),(60a),(60b)와 하부판(40)의 투입공(41),(41a),(41b)이 이루는 동일축상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20)로 신호를 보내고 이와 동시에 모터(70)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회전판(30)이 회전을 멈추게 되면 카트리지(60),(60a),(60b)에 충진된 약품(100)은 회전판(30)의 유입공(31)을 통하여 설정된 투약수량만큼의 약품(100)의 물탱크(110)로 투입된다.
한편, 카트리지(60),(60a),(60b)에 충진된 약품(100)이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 회전판(30)이 각각의 카트리지(60),(60a),(60b)에 충진된 약품(100)을 낙하시키기 위하여 회전시 카트리지(60),(60a),(60b)에서 낙하된 약품(100)이 안내구(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광기(22)와 약품감지 수광기(23)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카트리지(60),(60a),(60b)에 약품(100)이 소진된 것으로 간주하고 약품(100)의 소진상태로 간주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콘트롤러(20)는 자동싸이클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약품(100)의 투입간격 및 투입수량을 제어함은 물론 약품 자동투입기(가)의 고장 및 약품(100)의 소진상태를 알리어 관리자가 이 신호에 따라 즉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마을 단위의 간이 상수도, 아파트 물탱크, 수영장, 목용탕, 온천, 학교 등 물의 소독이 필요한 모든 곳에서 물의 양에 따라 지속적이고 균일한 소독을 이루어 특히, 사계절수인성 전염병의 완전한 멸균을 이루어 일반인이 안심하고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한번의 투입으로 장기간 동안 관리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체고장진단을 통하의 이상의 발생시, 이를 알람이나 램프 등으로 알려 관리자가 고장의 원인이나 고장의 장소를 신속하게 처리하여 이로 인한 관리비용의 절감 및 관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물의 양이나 시간대별로 투입간격(시간) 및 투입수량을 설정하여 지속적이고 균일한 살균을 이루어 정확한 PPM를 관리를 이루도록 하므로써 완벽한 멸균처리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수도의 물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시간대별로 일정량의 약품을 자동 투입하여 균일하고 지속적인 소독으로 정확하고 안정된 멸균을 이루어 일반인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의 양에 따른 적정량의 약품 사용으로 과다한 약품의 낭비를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품의 보충시 약품이 충진된 카트리지만 교환하면 한번의 교환으로 한달 이상의 사용을 이루어 이로인한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상수도의 물탱크(110)의 물을 소독하기 위한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110)의 내측 상부 소정위치에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약품(100)을 물탱크(110)에 수용된 물로 안내하도록 된 안내구(11)와, 상기 안내구(11)의 외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며 물탱크(110)의 상부로 결합되는 본체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공(41)(41a)(41b)이 형성된 하부판(40)과, 상기 하부판(40)의 상부에 체결수단(53)으로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51)과 저면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판(50)과, 상기 상부판(50)과 하부판(40)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토록 삽결되어 모터(70)의 동력전달샤프트(71)에 축설되고 상부판의 결합공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원주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31)이 형성된 회전판(30)과, 상기 결합공(51)에 삽결되는 홀더(52)(52a)(52b)에 의해 상부판(50)에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폐되어 내측에 약품을 충진하도록 된 카트리지(60)(60a)(60b)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물탱크(110)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시간대별로 모터(70)의 정지와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
KR1019980031690A 1998-08-04 1998-08-04 상수도용약품자동투입기 KR10029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690A KR100292149B1 (ko) 1998-08-04 1998-08-04 상수도용약품자동투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690A KR100292149B1 (ko) 1998-08-04 1998-08-04 상수도용약품자동투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041A KR20000013041A (ko) 2000-03-06
KR100292149B1 true KR100292149B1 (ko) 2001-11-26

Family

ID=1954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690A KR100292149B1 (ko) 1998-08-04 1998-08-04 상수도용약품자동투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154B1 (ko) * 1999-09-15 2002-05-03 남승엽, 최경민 자동 정제 투입기
KR100323029B1 (ko) * 1999-09-15 2002-03-13 남승엽, 최경민 자동 정제 투입기
KR20030033415A (ko) * 2001-10-22 2003-05-01 김태식 정수약품 자동투입시스템
KR20030039416A (ko) * 2001-11-13 2003-05-22 동양수처리공업주식회사 물탱크의 고체염소 투입장치
KR100902493B1 (ko) * 2008-11-24 2009-06-10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수처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4598U (ja) * 1982-09-16 1984-03-24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薬品の添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4598U (ja) * 1982-09-16 1984-03-24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薬品の添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041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915B2 (ja) 生体物質を供給、溶解、増殖及び放出するシステム及び装置
KR102378899B1 (ko) 영양 보충제 디스펜싱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멀티 서빙 카트리지
US6340431B2 (en) SPA chemistry monitor and treatment unit
JP2002191289A (ja) 飲料マシン
KR100292149B1 (ko) 상수도용약품자동투입기
KR20060086350A (ko) 바이오매스 생성기
ES2156598T3 (es) Equipo para desinfeccion de residuos sanitarios.
US20080172787A1 (en) Audible alert and timer for an emergency eyewash station
US4032035A (en) Child-resistant cover for containers
WO2006069008A1 (en) Compositions and devices for inactivation of pharmaceuticals to facilitate waste disposal, and methods thereof
KR200314231Y1 (ko) 액체 약품 자동투입기
KR20230058859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290327B1 (ko)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KR200235564Y1 (ko) 생활용수내의 약품 자동투입기
CN114081287A (zh) 一种家庭安全药柜
KR20060112640A (ko) 자동 정제 투입장치
KR100332943B1 (ko) 소독약품 자동 투입기
CN113181053A (zh) 一种适用于护理科的药物供给装置
JPH10244270A (ja) 自動供給殺菌装置
KR200223695Y1 (ko) 부력과 수차를 이용한 소독약액 주입장치
KR200360107Y1 (ko) 고체 약품용 자동투입기
CN214530913U (zh) 一种带有消毒功能的自动供水系统
KR101699762B1 (ko) 무동력 약품투입장치
KR200212288Y1 (ko) 생활용수 소독장치
CN215223858U (zh) 一种家用宠物投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