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029B1 - 자동 정제 투입기 - Google Patents

자동 정제 투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029B1
KR100323029B1 KR1019990039650A KR19990039650A KR100323029B1 KR 100323029 B1 KR100323029 B1 KR 100323029B1 KR 1019990039650 A KR1019990039650 A KR 1019990039650A KR 19990039650 A KR19990039650 A KR 19990039650A KR 100323029 B1 KR100323029 B1 KR 10032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isc
hopper
seating plate
hole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105A (ko
Inventor
남승엽
권중천
성환도
장승수
Original Assignee
남승엽, 최경민
주식회사 일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엽, 최경민, 주식회사 일류기술 filed Critical 남승엽, 최경민
Priority to KR101999003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029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B65D83/045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the whole forming a circular container with rotating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정제 투입을 위한 장치로서, 동일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직립 배열되는, 복수개의 관 형상의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10)의 관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적재공(13)이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된, 소정 두께의 회전원판(11)과; 상기 회전원판(11)의 중심에 부설된 축(12)과; 하우징에 고정된 부싱형상으로, 상기 회전원판(11)이 안착되며, 상기 회전원판(11)의 적재공(13)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적재공(13)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연결공(21)이 1개 형성되어있는 고정원판(2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원판(11)의 축(12)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0)와; 상기 연결공(21)의 하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안착판(40)과; 상기 안착판(40) 위의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41)와; 상기 고정원판(20)의 하부와 상기 안착판(40)과의 사이 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해머(50)와; 상기 모터(30) 및 상기 솔레노이드해머(5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장치(도면에 미표시);를 포함하는 정제 자동투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상수원 소독의 확실성 및 생력화가 가능해 진다.

Description

자동 정제 투입기{Machine for Tablet-Insertion}
본 발명은 자동 정제 투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 식수로 사용하는 상수원의 소독을 위해 주기적으로 차아 염소산 칼슘과같은 정제형의 소독제를 투여할 경우에 정제를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자동 투입하므로써, 상수원 소독에 있어서 자동화와 생력화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 정제 투입기에 관한 것이다.
산간벽지등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곳에서는 상수원에서 물을 취수하여 끓여 식수로 사용하거나, 차아염소산 칼슘을 투여하여 발생하는 활성 염소기에 의하여 세균등을 파괴하므로써 안전한 식수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물을 끓이는 방법은 처리량이 소량이며 번거롭기 때문에 차아염소산 칼슘을 상수원 또는 취수탱크에 투입하여 소독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투입방법은 대부분 사람이 직접투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며, 분말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투입량의 변동, 정제를 투입하는 경우에는 투입주기의 차이로 확실한 소독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었으며, 상기 약품을 투입하면 소독약냄새가 잔존하므로 상기 냄새를 기피하여 투약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1999년 6월 18일 출원된 특허출원 제99-23018호 출원발명에서 기계적으로 정제를 주기적으로 상수원에 투입하는 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제를 주기적으로 소정의 상수원에 투입하므로써, 상기 상수원의 확실한 소독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 정제 투입기를 제공하고, 기출원된 특허출원 제99-23018호를 보다 편리하게 개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호퍼 11. 회전원판 12. 축
13. 적재공 15. 위치센서 20. 고정원판
21. 연결공 30. 모터 31. 회전축
40. 안착판 41. 센서 50. 솔레노이드해머
60. 유도파이프 70. 슈트안내파이프 71. 게이트
80. 셔터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첫째로, 동일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직립 배열되는, 복수개의 관 형상의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10)의 관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적재공(13)이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된, 소정 두께의 회전원판(11)과; 상기 회전원판(11)의 중심에 부설된 축(12)과; 하우징에 고정된 부싱형상으로, 상기 회전원판(11)이 안착되며, 상기 회전원판(11)의 적재공(13)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적재공(13)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연결공(21)이 1개 형성되어있는 고정원판(2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원판(11)의 축(12)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0)와; 상기 연결공(21)의 하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안착판(40)과; 상기 안착판(40) 위의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41)와; 상기 고정원판(20)의 하부와 상기 안착판(40)과의 사이 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해머(50)와; 상기 모터(30) 및 상기 솔레노이드해머(5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장치(도면에 미표시);를 포함하는 정제 자동투입기를 제공한다.
상기 호퍼(1)는 원기둥형상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육각기둥이나, 사각기둥 또는 팔각기둥등 정제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필요에 따라 분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는 탈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퍼(10), 회전원판(11)의 적재공(13), 고정원판(20)의 연결공(21)의 형상 및 크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차아염소산칼슘 정제의 형상, 크기 및 적재방식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예컨데, 테블릿 형태의 정제를 눕혀서(즉, 위에서보아 원형인 형태로) 적재하는 경우 상기 호퍼(10), 회전원판(11)의 적재공(13), 고정원판(20)의 연결공(21)의 단면형상은 원형이며 직경은 정제의 직경보다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블릿 형태의 정제를 세워서(즉, 위에서 보아 사각형 형태로) 적재하는 경우 호퍼(10), 회전원판(11)의 적재공(13), 고정원판(20)의 연결공(21)의 단면은 상기 사각형의 규격보다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원판(11)의 두께도 테블릿의 형태 및 적재방식에 따라 테블릿 하나의 높이보다 다소 두껍게 결정된다. 여기서 "다소 크다"는 것은 상기 정제의 유동이 자유로우면서도 적재된 정제의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을 정도로 조금 큰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투입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30)는 상기 회전원판(11), 고정원판(20), 안착판(40), 센서(15) 및 솔레노이드해머(50) 등과 함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모터(30)의 회전축은 기어장치, 벨트, 축, 체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원판(11)의 축(12)과 연결되어 모터(30)의 회전력이 회전원판(11)에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상기 모터(30)의 1회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모터(30)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호퍼(10)의 관이 상기 회전원판(11)의 적재공(13)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호퍼(10)의 회전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호퍼(10)의 회전을 감지하는 위치센서(15)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솔레노이드해머(50)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안착판(40)은 상기 연결공(21)에서 낙하된 정제를 일시적으로안착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연결공(21)과 안착판(40)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호퍼(10), 회전원판(11)의 적재공(13), 고정원판(20)의 연결공(2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내부단면형상과 크기를 갖는 유도파이프(60)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적재공(13)을 통과하여 낙하되는 정제의 유동을 바람직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판(40)의 주변 일측에는 상기 안착판(40)에 정제가 몇개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41)가 설치되어, 센서에 의해 정제의 존재가 감지되지 아니하면 즉, 안착판(40) 위에 정제가 소정 갯수 미만으로 존재하는 경우 그 신호가 제어장치로 전달되고, 제어장치는 상기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회전원판(11)이 회전되어 적재공(13)에 있던 정제가 안착판(40) 위로 낙하하도록 모터(30)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해머(50)에 의해 타격된 정제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해머(50)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게이트(71)를 내부에 포함하는 슈트안내파이프(70)를 추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번째로, 상기 안착판(40), 유도파이프(60) 및 솔레노이드해머(50) 등 일련의 장치에 의한 정제의 타격식 배출방식과는 달리 정제를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방식으로 배출하는 방식을 택한 정제투입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정제 투입기는, 동일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직립 배열되는, 복수개의 관 형상의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10)의 관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적재공(13)이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된, 소정 두께의 회전원판(11)과; 상기 회전원판(11)의 중심에 부설된 축(12)과; 하우징에 고정된 부싱형상으로, 상기 회전원판(11)이 안착되며, 상기 회전원판(11)의 적재공(13)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적재공(13)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연결공(21)이 1개 형성되어있는 고정원판(2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원판(11)의 축(12)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0)와; 상기 호퍼(10)의 내부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원판(20)의 연결공(21)의 하부에 연결된 소정 길이의 유도파이프(60)와; 상기 유도파이프(60)의 하부에, 상기 유도파이프(60)를 관통하여 설치된 1 또는 2개의 셔터장치(80)와; 상기 모터(30) 및 셔터장치(8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정제 투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정제 자동투입기는 정제 투하방식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첫 번째 자동투입기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이한 점만 서술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원판(11)의 적재공(13) 하부에 연결된 유도파이프(60)는 호퍼(10)에서 적재공(13) 및 연결공(21)을 통과한 정제의 유동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유도파이프(60)의 하부에는 유도파이프(60)를 관통하여 1 또는 2개의 셔터장치(80)가 설치된다. 이들 셔터장치(80)는 유도파이프(60)에 적층된 정제를 한 개씩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셔터장치(80)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셔터가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최하단의 정제가 투하되며, 최하단-1번째에 위치하던 정제가 투하되기 전에 셔터가 닫히게 된다. 두 개의 셔터장치(80)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하부 셔터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는 동안 최하단의 정제가 투하되며, 이후 상부의 셔터가 개방되었다가 순간적으로 폐쇄되어 최하단-1번째에 위치하던 정제가 하부 셔터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셔터장치(80)는 솔레노이드 벨브 등과 같은 작동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셔터장치(80)의 상부에 물체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센서(41)를 설치하여 정제의 투하가 보다 정확하게 제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정제 투입기는 원판 위에 호퍼(10)가 환상으로 배열되고 지지대에 의하여 상기 배열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서로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 안에 복수개의 호퍼(10)가 환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상을 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서로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 안에 복수개의 호퍼(10)가 환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호퍼(10)의 하부에는 회전원판(1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원판(11)의 중심부에는 축(12)이 부설되고 축(12)의 소정의 위치에는 종동풀리가 있어 모터(30)의 회전축(31)에 부설된 원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동풀리, 원동풀리, 벨트 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기어에 의한 연결, 체인에 의한 연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모터(3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원판(1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호퍼(10)는 원기둥형상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육각기둥이나, 정사각기둥, 직사각기둥 또는 팔각기둥 등 정제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도면에 표시된 것과 달리 상기 정제가 세로로 적층되는 형태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호퍼(10) 위에는 뚜껑을 덮어 이물질에 의한 오염 및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호퍼(10)의 중심 공간에는 상기 정제의 보관함을 설치하거나, 상기 호퍼에 정제를 투입하기 용이하게 하는 깔대기를 보관하는 수납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원판(20)은 중심에는 상기 회전원판(11)의 축(12)이 부설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멍이 뚫려 있으며, 일측에는 적재공(13) 내경과 같거나 약간 큰 연결공(21)이 뚫려 있으며, 상기 연결공(21)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원판(11)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적재공(13)중 어느 하나가 일치하도록 되어 있어 정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공(21)의 하부에는 유도파이프(60)가 부설될 수 있다. 상기 고정원판(20)은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원판(11)의 하중을 지탱한다.
상기 유도파이프(60)는 상기 솔레노이드해머(50)가 놓일 공간을 손쉽게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요건은 아니다.
상기 연결공(21) 또는 상기 유도파이프(60)의 하부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안착판(4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란 상기 정제의 높이의 0~1.5배의 거리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유도파이프(60)의 하부가 특정한 모양을 취하지 않는다면, 상기 이격거리는 상기 정제의 높이의 1~1.5배를 의미한다. 상기 유도파이프(60)의 하부의 모양에 따라서는 상기 이격거리는 상기 정제의 높이의 0~1배일 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기 유도파이프(60)의 하부의 일측면이 상기 정제의 높이의 1~1.5배만큼 개방되어 있고 타측면은 상기 솔레노이드해머(50)의 레버가 상기 정제를 타격할 수 있는 만큼 개방되어 있다면, 상기 유도파이프(60)의 하부는 상기 안착판(40)과 접하여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안착판(40)과 상기 연결공(21)의 사이의 공간에는 정제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41)가 위치한다. 상기 센서(41)는 상기 안착판(40)의 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공(21)의 바로 밑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41) 또는 상기 센서(41)의 검출부는 상기 정제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제의 이동에 방해만 되지 않는다면 그 설치위치는 어디가 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센서(41)는 상기 안착판(40)위의 상기 정제의 유무를 검출할 수도 있고, 소정의 갯수의 이상과 미만(예를들면 7개 이상과 7개 미만)을 검출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도면에 미표시)는 안착판(40) 위에 놓이는 정제의 유무를 감지하는 상기 센서(41)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30)를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해머(50)를 작동시키는 타이머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1회당 상기 모터(30)를 소정의 회전수 만큼 회전시켜 상기 회전원판(11)의 다음 적재공(13)과 상기 연결공(21)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원판(11)의 각각의 적재공(13)과 상기 연결공(21)의 상단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센서(14)를 설치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도1과 도2에서, 공간만 허용된다면, 제어장치는 어느 위치에 부착되어도 무방하므로 생략하였다.
상기 안착판(40)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게이트(71)를 포함하는 슈트안내파이프(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슈트안내파이프(70)는 상기 솔레노이드해머(50)의 타격에 의하여 튕겨져 나가는 정제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게이트(71)는 상기 슈트안내파이프(70)의 일측말단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일실시예에서 제시한 솔레노이드 해머(50)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호퍼(10), 회전원판(11), 축(12), 적재공(13), 위치센서(14), 고정원판(20), 연결공(21), 모터(30), 센서(41) 등은 상기 일실시예에서 제시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되며, 상기 연결공(21)의 하부에 셔터장치(80)를 설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상기 셔터위에 정제가 적재되어 있다. 상기 셔터장치(80)는 제어장치(도면에 미표시)의 신호를 받아 순간적으로 열렸다 닫히므로써 상기 정제가 상기 셔터의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공(21)과 상기 셔터(80)의 사이에는 유도파이프(60)를 개재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셔터(80)의 하부에 유도파이프(60)를 추가로 부설할 수도 있으며, 상기 유도파이프(60)의 중간에 상기 셔터장치(80)가 내재될 정도의 홈을 파서 상기 셔터가 상기 홈에 끼워지도록 부설할 수도 있다. 상기 유도파이프(60)는 상기 셔터장치(8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거나, 상기 정제의 이동을 유도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건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투입기에 의하면, 정제를 주기적으로 상수원에 투입하므로써, 상기 상수원의 확실한 소독을 가능하게 하며, 보다 효율적인 자동투입장치가 가능하게 한다.

Claims (5)

  1. 동일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직립 배열되는, 복수개의 관 형상의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관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적재공이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된, 소정 두께의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중심에 부설된 축과;
    하우징에 고정된 부싱형상으로 상기 회전원판이 안착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적재공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적재공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연결공이 1개 형성되어있는 고정원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원판의 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연결공의 하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 위의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고정원판의 하부와 상기 안착판과의 사이 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해머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솔레노이드해머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제 투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을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제 투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과 상기 안착판 사이의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유도파이프와;
    상기 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솔레노이드해머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게이트를 내부에 포함하는 슈트안내파이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제 투입기.
  4. 동일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직립 배열되는, 복수개의 관 형상의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관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적재공이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된, 소정 두께의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중심에 부설된 축과;
    하우징에 고정된 부싱형상으로, 상기 회전원판이 안착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적재공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적재공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는 연결공이 1개 형성되어있는 고정원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원판의 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호퍼의 내부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원판의 연결공의 하부에 연결된 소정 길이의 유도파이프와;
    상기 유도파이프의 하부에, 상기 유도파이프를 관통하여 설치된 1 또는 2개의 셔터장치와;
    상기 모터 및 셔터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제 투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을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제 투입기.
KR1019990039650A 1999-09-15 1999-09-15 자동 정제 투입기 KR10032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650A KR100323029B1 (ko) 1999-09-15 1999-09-15 자동 정제 투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650A KR100323029B1 (ko) 1999-09-15 1999-09-15 자동 정제 투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105A KR20000000105A (ko) 2000-01-15
KR100323029B1 true KR100323029B1 (ko) 2002-03-13

Family

ID=1961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650A KR100323029B1 (ko) 1999-09-15 1999-09-15 자동 정제 투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0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6186A (ja) * 1981-10-15 1983-04-20 Tokyo Shokai:Kk 衝撃センサを具備した錠剤フイ−ダ−
JPS5944598U (ja) * 1982-09-16 1984-03-24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薬品の添加装置
JPH0956784A (ja) * 1995-08-23 1997-03-04 Sanyo Electric Co Ltd 固形製剤充填装置
JPH10244270A (ja) * 1997-03-05 1998-09-14 Bridgestone Corp 自動供給殺菌装置
KR19990073189A (ko) * 1999-06-18 1999-10-05 남승엽, 최경민 자동정제투입기
KR20000013041A (ko) * 1998-08-04 2000-03-06 지차용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6186A (ja) * 1981-10-15 1983-04-20 Tokyo Shokai:Kk 衝撃センサを具備した錠剤フイ−ダ−
JPS5944598U (ja) * 1982-09-16 1984-03-24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薬品の添加装置
JPH0956784A (ja) * 1995-08-23 1997-03-04 Sanyo Electric Co Ltd 固形製剤充填装置
JPH10244270A (ja) * 1997-03-05 1998-09-14 Bridgestone Corp 自動供給殺菌装置
KR20000013041A (ko) * 1998-08-04 2000-03-06 지차용 상수도용 약품 자동투입기
KR19990073189A (ko) * 1999-06-18 1999-10-05 남승엽, 최경민 자동정제투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105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051B2 (en) Remote actuator for ball injector
JP2018524967A (ja) ブロワーを用いた養殖場用飼料自動定量供給装置
KR20120052474A (ko) 축산용 자동 습식급여기 및 자동 습식급여기 관리시스템
KR100323031B1 (ko) 자동 정제 투입기
WO1988007325A1 (en) Free-wheeling dispenser mechanism for manually operated animal food dispensing machine
CN1585711A (zh) 药剂送料器
AU2003212011A1 (en) High torque resistant and strong screwless plastic gear box
KR100323029B1 (ko) 자동 정제 투입기
US20120324786A1 (en) Low-profile seed handling system with separate seed bins and turret seed feeder
KR100335154B1 (ko) 자동 정제 투입기
CN109068580A (zh) 用于控制来自可变比混合施用装置的农产品的流动的系统和方法
US5862945A (en) Ball quantitative supply system
KR100323030B1 (ko) 자동 정제 투입기
KR100318852B1 (ko) 자동 정제 투입기
KR100649109B1 (ko) 자동 채수기
KR20160002074U (ko) 사료 공급장치
KR101730103B1 (ko) 사료 계량통의 사료 배출 장치
KR100464600B1 (ko) 고체 약품 자동투입기
US20080145152A1 (en) Device for dispatching resin cartridges for a bolting device
KR101510114B1 (ko) 무전원 자동 소독약 투입장치
KR200219202Y1 (ko) 정수약품자동투입기구조
KR101232027B1 (ko) 고형물 저장호퍼
US20070108223A1 (en) Dry pellet dispensing device for wells
KR20190032140A (ko)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KR200220473Y1 (ko) 소독약 자동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