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344B1 -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344B1
KR100291344B1 KR1019970054090A KR19970054090A KR100291344B1 KR 100291344 B1 KR100291344 B1 KR 100291344B1 KR 1019970054090 A KR1019970054090 A KR 1019970054090A KR 19970054090 A KR19970054090 A KR 19970054090A KR 100291344 B1 KR100291344 B1 KR 100291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domen
epidermis
headrest
open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901A (ko
Inventor
타케이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사이토 쿄시
가부시기가이샤 다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토 쿄시, 가부시기가이샤 다치에스 filed Critical 사이토 쿄시
Priority to KR101997005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344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344B1/ko

Links

Images

Abstract

주머니 모양으로 봉제한 표피에 패드를 일체로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패드성형용의 발포액이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구성으로서는 주머니 모양으로 봉제한 표피(c)의 개구부(A)의 단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연장하는 주입구(10A)가 있는 복편(1)을 갖추고, 부호 30을 끼워넣어 패드성형용의 발포액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상세하게는 주머니 모양으로 봉제한 표피안에 패드를 일체로 발포하여 성형하는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에는 주머니 모양으로 봉제한 표피의 개구부에서 안쪽으로 U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스테이를 장착한 후 표피내에 발포액을 주입하여 패드를 표피와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이있다.
이것은 표피의 개구부로부터 발포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로부터 주머니 모양의 안쪽에 표피의 단테두리를 연장하는 한쌍의 혀모양 편부를 갖추고, 이 혀모양 편부사이에 통형상 필름을 사이에 끼워 이 통형상 필름안에 패드발포용의 발포액 주입용 주입노즐을 꽂아넣어 패드를 표피와 일체로 발포성형하고 있다(예를들면 일본국 특공평 6-45149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7-31759호 공보).
따라서 이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패드를 발포성형후 통형상 필름을 표피에서 절개할 필요가 있어서 그 작업성이 좋지않으며, 절개할 때에 표피를 손상시킬 염려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종래방법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표피일체의 발포품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은 표피의 개구부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연장하는 주입구가 있는 복편을 갖추고 상기 발포액 주입용의 주입노즐을 상기 개구부를 경유하여 상기 복편의 주입구에 삽입함으로써 패드를 발포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표피내에 주입노즐로부터 주입한 발포액은 표피내부에 위치하는 복편에 의해 막혀져 표피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주머니 모양으로 봉제한 표피일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표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헤드레스트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복편(覆片) 2:복편
10A:주입구 30:주입노즐
A:개구부 C:표피
P:패드 S:스테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패드 발포성형용의 발포액을 주입노즐(30)에서 주머니 모양으로 봉제한 표피(C)내에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표피(C)를 구성하는 바닥천(2A),(1A)사이에 개구부(A)를 갖고, 이 개구부(A)로부터 U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스테이(S)를 장착하고 바닥천(1A)에 뚫은 통구멍에 의해 스테이(S)의 다리부를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이 주입노즐(30)은 개구부(A)를 개구방향으로 연장하는 L자형상 플레이트(4)에 마련되어 있으며, L자형상 플레이트(4)의 양단을 개구부(A)의 양단에 닿게하는 것으로 개구부(A)를 구성하는 표피의 좌우양테두리는 바깥쪽으로 접합하고 직선형상을 이루어 개구부(A)를 막도록 형성되어있다.
이상의 표피(C)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머니 모양으로 봉제되어있다.
도 2는 성형틀에 셋트하는 상태, 도 3은 표피(C)를 봉제한 상태를 도시한다.
표피(C)는 직물, 기모포 등의 표피재와 이 표피재의 뒷면에 일체로 고정부착한 우레탄 폼의 슬러브재로 이루어지는 와딩과, 이 와딩의 바깥면에 일체를 이루는 와딩커버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사용하고 있다.
헤드레스트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상기 바닥천(2A),(1A)의 좌우단부(B)(B)는 일체로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실(B1)에 의해 봉제된다.
그리고 이 바닥천(2A),(1A)에서 봉제되지 않는 각 단 테두리사이에 개구부(A)가 형성된다.
개구부(A)의 좌우양단부를 구성하는 바닥천(2A),(1A)은 재봉실(B2)(B2)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고 있다.
이 재봉실(B2)(B2)사이의 바닥천을 복편(2)(1)으로 한다. 따라서 복편(1)(2)은 바닥천(2A)(1A)의 일부를 연장시키고 한쪽의 복편 A(1)은 다른쪽의 복편 B(2)에 대해 돌출량이 길며 또한 복편 A(1)의 선단에는 돌편(10)을 연장하여 이 돌편(10)에 주입구(10A)를 뚫고 있다. 도면중 부호 3은 주입노즐(30)에 누두(漏斗)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입기를 도시한다.
이상의 돌편(10)도 복편 A(1)과 마찬가지로 바닥천(1A)과 동일부재, 즉 상기 표피재, 와딩, 와딩커버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되고, 돌편(10)에 구멍을 뚫는 주입구(10A)의 내경은 주입구 (10A)에 삽통하는 주입노즐(30)의 외경에 비해 작은 지름으로 형성하며 주입노즐(30)에 주입구(10A)의 입구테두리가 와딩의 탄성에 의해 탄성접촉하여 주입구(10A)로부터 발포액이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복편 A(1)이 복편 B(2)에 비해 긴 것을 사용하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편(10)을 복편 A(1)에 마련할 필요가 없고, 주입구(10A)를 복편 B(2)에서 돌출하는 부분의 복편 A(1)에 마련해도 좋다.
표피(C)는 도 3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은 상태로 봉제하여 복편 A(1), 복편 B(2)를 내부에 꽂아넣으면 도 3쇄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편 A(1), 복편 B(2)은 표피(C)의 안쪽방향을 향한다. 또한 바닥천(1A)에는 스테이(S)의 양 다리부를 삽통하는 통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뚫려져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실(B1)(B2)에 의해 복편 A(1), 복편 B(2)을 봉제함과 동시에 복편 A(A), 복편 B(2)이 바닥천(1),(2)과 일체로 와딩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복편 A(1), 복편 B(2)이 표피(C)의 내부에 꽂아넣은 상태에서 복편 A(1), 복편 B(2)이 서로 접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개구부(A)가 막혀진다.
다음은 개구부(A)로부터 스테이(S)를 삽입하여 스테이(S)의 양 다리를 바닥천(1A)에 마련한 통구멍에서 외부로 돌출시킨 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A)에 L자형상 플레이트(4)로 이루어지는 지그를 장착하여 복편 A(1), 복편 B(2)으로 이루어지는 개구부(A)를 바깥쪽으로 끌어당겨 닫히게 함과 동시에 플레이트(4)와 일체의 주입노즐(30)을 돌편(10)의 주입구(10A)에 삽통한다.
또한 이를 헤드레스트 발포성형틀 안에 셋트하고 주입노즐(30)에서 발표액을 주입하여 패드(P)를 표피(C)와 일체로 발포하고, 발포완료후 틀을 빼내어 주입노즐(30)을 떼어내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얻을 수 있다.
즉 개구부(A)는 닫힌 상태에서 발포액의 발포압에 의해 복편 B(2)보다 길다란 부분의 복편 A(1) 및 돌편(10)은 복편 B(2)을 싸도록 발포성형되고, 개구부(A) 또는 주입구(10A)에서 발포액이 헤드레스트의 외부로 누출하지 않고 패드(P)는 발포성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머니 모양으로 봉제된 표피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편에서 주입구에 주입노즐을 삽통시켜 패드와 표피와 일체로 발포하므로 패드발포성형용의 발표액이 복편에 의해 차단된다. 그 때문에 발포액이 외부로 누출하는 경우가 없어 외관상에 뛰어난 표피일체 발포품인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종래방법과 같이 통형상 필름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필름의 부착 및 절개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6)

  1. 통형상으로 봉제한 표피의 개구부로부터 안쪽으로 스테이(S)의 일부를 장착하여 표피내에 발포액을 주입함으로써 패드를 표피와 일체로 발포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표피의 개구부(A)의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주입구(10A)가 형성된 복편을 갖추고, 상기 발포액 주입용의 주입노즐(30)을 상기 개구부(A)를 경유하여 상기 복편의 주입구(10A)에 삽입함으로써 패드를 발포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편은 개구부의 좌우양테두리에 연장되고 한쪽의 단테두리에서 연장하는 복편 A(1)는 다른쪽의 단테두리에서 연장하는 복편 B(2)에 비해 주머니 모양 표피의 내부방향으로 향하는 전체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주입노즐(30)은 상기 복편 A(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편의 선단에는 돌편(10)을 연장하고, 이 돌편(10)에 상기 주입구(10A)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편, 돌편은 표피와 동일 부재로 이루어지고, 개구부는 지그에 의해 닫히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패드를 발포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편 A,B가 서로 접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개구부를 막도록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를 갖는 복편은 발포체제(發泡體製) 와딩으로 형성되고, 주입구의 내경은 주입노즐의 외경에 비해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KR1019970054090A 1997-10-22 1997-10-22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KR10029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090A KR100291344B1 (ko) 1997-10-22 1997-10-22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090A KR100291344B1 (ko) 1997-10-22 1997-10-22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01A KR19990032901A (ko) 1999-05-15
KR100291344B1 true KR100291344B1 (ko) 2001-10-24

Family

ID=6604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090A KR100291344B1 (ko) 1997-10-22 1997-10-22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614B1 (ko) * 1999-11-16 2004-11-06 가부시기가이샤 다치에스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KR100466762B1 (ko) * 2002-10-21 2005-01-15 장태영 발포 폴리스틸렌 수지 입자들이 충전된 유연성 충전제품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01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95768A (ja) フレーム付表皮一体発泡品
JPH08230076A (ja) アームレストの製造方法
KR100291344B1 (ko)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US6068338A (en) Headrest for a vehicle seat
JP5066937B2 (ja) 表皮一体ヘッドレストとその製造方法
JP3670840B2 (ja) ヘッドレストの製造方法
JP3460476B2 (ja) ヘッドレストの製造方法
KR100636600B1 (ko) 발포성형품과 이의 제조방법
KR100455614B1 (ko)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
JP3963337B2 (ja) ヘッドレストの製造方法
JP3372010B2 (ja) ヘッドレスト
JPH0956939A (ja) 表皮一体成形ヘッドレ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1252A (ja) 自動車用シートにおける一体発泡品の製造方法
JP3191280B2 (ja) 表皮材一体発泡ヘッドレスト
JP2005059428A (ja) ヘッドレストの製造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
JP3587414B2 (ja) ヘッドレスト
JP4500068B2 (ja) ヘッドレスト用の表皮
JP4515393B2 (ja) 表皮一体発泡品の製造装置
JPH1014708A (ja) 表皮材一体発泡ヘッドレスト及びその発泡成形方法
KR100338296B1 (ko) 헤드레스트
JP4368736B2 (ja) ヘッドレスト
JPH04279307A (ja) 表皮材一体パッド材の成形方法
KR200219830Y1 (ko) 발포성형제품의 표피체 봉합장치
KR100196468B1 (ko) 발포액주입구
JPH09271425A (ja) ヘッドレストのスティおよびヘッド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