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739B1 - 투사형영상표시기기의램프교환시기점검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투사형영상표시기기의램프교환시기점검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739B1
KR100290739B1 KR1019980031724A KR19980031724A KR100290739B1 KR 100290739 B1 KR100290739 B1 KR 100290739B1 KR 1019980031724 A KR1019980031724 A KR 1019980031724A KR 19980031724 A KR19980031724 A KR 19980031724A KR 100290739 B1 KR100290739 B1 KR 100290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microcomputer
voltage
ignition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061A (ko
Inventor
강영모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73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램프 교환시기 점검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램프가 온되어 있는 시간만을 단순히 마이컴을 통해 누적하고 램프 업체가 제시하는 수명시간과 비교하게 되는 바, 기본적으로 특성의 오차가 크므로 램프수명도 일률적이지 않고 편차가 크며, 램프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성의 전이 및 사용환경등에 따른 수명의 편차등으로 인해 실제 램프상태에 따른 정확한 교환시기를 알아내기가 불가능하였다. 즉, 램프의 수명이 아직도 남아있는 데도 교환을 해야하는 모순됨과 램프의 수명이 다되어 교환시점이 지난 램프를 계속 사용함으로 인한 램프의 폭발 위험성을 내포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램프점화를 위한 점화기 동작시의 고압을 측정한 후 이를 마이컴이 일정회수 만큼 데이타로 평균하여 정상 동작시의 전압으로 규정하고 기준전압값을 정하여 이후의 점화동작시 고압을 매회 측정하여 정상동작시의 기준전압값과 비교하므로서, 램프의 수명이 다하는 시점을 판단한 후 램프의 교환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알려주어 램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한편, 램프의 폭발 위험성에서 사용자 및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램프 교환시기 점검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램프 교환시기 점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광원 소자인 램프의 수명이 다한 시기를 알아내어 램프를 적절한 시점에 교환할수 있도록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램프 교환시기 점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DMD 등을 광판(Light Valve)으로 사용하는 모든 투사형 영상표시기기는 기본적으로 광원소자인 램프를 필요로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메탈 할라이드나 제논 램프등을 사용하는 램프부(1)에서 광(光)을 광원제어 및 광분리부(2)에 제공하면, 상기 광원제어 및 광분리부(2)에서는 빛을 집적 및 분리한 RGB영상신호를 고효율로 결상계(예: LCD패널, DMD등)(3)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상계(3)에서는 전기적인 RGB영상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광판에 전기적인 신호를 R'G'B'의 광신호로 변환시킨 후, 상기 변환된 R'G'B' 각각의 광신호를 광합성부(4)로 전송하게 되므로서, 상기 광합성부(4)에서는 R'G'B' 각각의 광을 합성되어 광영상을 얻도록 하였다.
이때, 투사렌즈(5)에서는 상기 광합성부(4)에 의해 합성된 광영상을 적당한 화면사이즈와 촛점으로 맞춘 후 이를 스크린(6)에 투사하게 되므로서,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에 반드시 필요로 하는 램프는 일정시간 사용하고 나면 수명이 다하게 교환을 해주어야 하는데, 그 교환시기가 되었는데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램프가 폭발하게 되는 위험성을 내포하게 되는 바,
따라서, 종래 LCD 프로젝타등을 포함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들의 램프 교환시기의 점검은 램프(1)의 교환시기를 LED(8)의 점멸을 통한 경고 신호나 OSD의 램프 교환을 알리는 경고 문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였으며, 이때 상기 램프(1)의 교환 경고를 하기 위해서는 램프의 교환시기를 어떻게 결정하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컴(7)이 램프(1)가 온되어 있는 시간을 카운터하여 램프(1)가 오프되는 시점까지 계속 누적한 후 합하여 램프 제조업체에서 제시하는 램프 규격서상의 램프수명 시간과 비교한다.
이후, 상기의 비교결과에 따라 LED(8)의 점멸 또는 OSD의 경고 문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램프 교환시점을 알리거나 혹은 램프의 수명이 다된 것으로 판단하여 램프(1)의 온 동작자체가 되지 않도록 보호동작 모드를 동작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램프의 교환시기 점검은, 램프(1)가 온 되어 있는 시간만을 단순히 마이컴(7)을 통해 누적하고 램프 업체가 제시하는 수명시간과 비교하게 되는 바, 이는 기본적으로 특성의 오차가 크므로 램프(1)의 수명도 일률적이지 않고 편차가 크며, 램프(1)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성의 전이 및 사용환경등에 따른 수명의 편차등으로 인해 실제 램프(1)의 상태에 따른 정확한 교환시기를 알아내기가 불가능하였다.
즉, 램프(1)의 수명이 아직도 남아있는 데도 교환을 해야하는 모순됨과 더불어 램프(1)의 수명이 다되어 교환 시점이 지난 램프(1)를 계속 사용함으로 인한 램프의 폭발 위험성을 내포하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램프점화를 위한 점화기 동작시의 고압을 측정한 후 이를 마이컴이 일정회수 만큼 데이타로 평균하여 정상 동작시의 전압으로 규정하고 기준전압값을 정하여 이후의 점화동작시 고압을 매회 측정하여 정상동작시의 기준전압값과 비교하므로서, 램프의 수명이 다하는 시점을 판단한 후 램프의 교환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알려주어 램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한편, 램프의 폭발 위험성에서 사용자 및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종래에 적용되는 램프 교환시기 점검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종래에 적용되는 램프 교환시기 점검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램프 교환시기 점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5의 a∼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램프 점화시의 고압특성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램프의 온/오프와 점화기 온/오프의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램프 교환시기 점검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램프 교환시기 점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램프 점화시의 고압특성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램프의 온/오프와 점화기 온/오프의 타이밍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컴(50)의 램프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는 램프(10)와;
램프(10)의 내부에 위치하되, 마이컴(50)의 점화기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여 일정한 점화전압을 출력하는 점화기(20)와;
상기 점화기(20)에서 출력하는 일정한 점화전압을 펄스형태의 전압파형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시키는 전압변환 트랜스(30)와;
상기 전압변환 트랜스(30)에 의해 변환된 펄스형태의 전압파형을 정류 및 적분하여 직류전압(DC)으로 변환시킨 후 마이컴(50)의 점화전압포트(P)로 입력시키는 정류 및 적분기(40)와;
상기 정류 및 적분기(40)에 의해 점화전압포트(P)에 입력된 직류전압에 따라 제어동작하여 램프(10)의 수명 및 그 교환시기를 LED(60)의 점멸 또는 OSD의 경고 문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마이컴(50); 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램프 교환시기 점검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램프 교환시기 점검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그 진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점화기(20)의 온동작 횟수를 카운터하여 마이컴(50)의 점화전압포트(P)를 체크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체크된 마이컴(50)의 점화전압포트에 따라 점화기(20)의 점화횟수가 일정횟수(예: 50회)만큼 계속 이루어졌는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점화기(20)의 점화횟수가 일정횟수(예: 50회) 이하이면 마이컴(50)에서 점화전압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램프(10)의 기준점화전압을 구한 후 점화횟수를 카운터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점화기(20)의 점화횟수가 일정횟수(예: 50회)를 초과하면 일정횟수(예: 50회)까지 구해진 기준점화전압에 대한 일정비율(예: 85%)와 점화전압을 비교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비교결과 기준점화전압에 대해 일정비율(예: 85%)에 해당하는 점화전압이 마이컴(50)에 입력되면 램프(10)의 수명이 다된 것으로 판단하여 램프(10)의 교환을 알리는 OSD문구를 출력하는 제 5 단계; 로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램프 교환시기 점검 장치 및 방법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의 a,b에서와 같이 마이컴(50)에서 램프 온/오프와 점화기 온/오프를 램프(10)와 점화기(20)에 출력시키면, 상기 램프(10) 내부의 점화기(20)는 마이컴(50)의 점화기 온/오프 출력에 의해 점화된 후 도 5a에서와 같은 일정한 점화전압(약 23KV 정도의 고압)을 전압변환 트랜스(30)에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전압변환 트랜스(30)에서는 입력되는 일정한 점화전압을 도 5b에서와 같이 펄스형태의 전압파형으로 변환시킨 후 이를 정류 및 적분기(40)로 출력하게 된다.
이후, 도 5c에서와 같이 상기 정류 및 적분기(40)에서는 입력되는 펄스형태의 전압파형을 정류 및 적분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한 후 이를 마이컴(50)의 점화전압포트(P)로 입력시키는 바,
상기 마이컴(50)에서는 점화전압포트(P)에 입력된 직류전압에 따라 제어동작을 하여 램프(10)의 수명 및 그 교환시기를 LED(60)의 점멸 또는 OSD의 경고 문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즉, 상기 마이컴(50)에서는 점화전압포트(P)에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체크하면서 초기 점화기(20)의 온동작 횟수(점화횟수=점화횟수+1)를 카운터한 후, 상기 점화기(20)의 점화횟수가 일정횟수(예: 50회)만큼 계속 이루어졌는가를 판단(점화횟수≤50)하게 되는데,
만약, 상기의 판단결과 점화기(20)의 점화횟수가 일정횟수(예: 50회) 이하이면, 상기 마이컴(50)에서는 점화전압의 평균값{기준점화전압=(기준점화전압+점화전압)÷2}을 계산하여 램프(10)의 기준점화전압을 구한 후 점화횟수를 카운터(점화횟수=점화횟수+1)한다.
이때, 상기의 판단결과 점화기(20)의 점화횟수가 일정횟수(예: 50회)를 초과하면, 상기 마이컴(50)에서는 일정횟수(예: 50회)까지 구해진 기준점화전압에 대한 일정비율(예: 85%)과 점화전압을 비교(기준점화전압*0.8≥점화전압)하게 되는 바,
상기의 비교결과에 따라 기준점화전압의 일정비율(예: 85%) 이하가 점화전압으로 마이컴(50)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50)에서는 일정비율(예: 85%)로 입력되는 점화전압을 통해 램프(10)의 수명이 다된 것을 판단한 후 상기 램프(10)의 교환을 알리도록 LED(60)를 점멸시키거나 또는 OSD문구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인 특성의 오차가 크므로 램프의 수명도 일률적이지 않고 편차가 크고, 램프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성의 전이 및 사용환경등에 따른 수명의 편차등으로 인한 램프 교환시기의 부정확한 알림을 개선하므로서, 램프의 수명이 다하는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한 후 램프의 교환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알려주어 램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한편, 램프의 폭발 위험성에서 사용자 및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마이컴의 램프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는 램프와;
    램프의 내부에 위치하되, 마이컴의 점화기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여 일정한 점화전압을 출력하는 점화기와;
    상기 점화기에서 출력하는 일정한 점화전압을 펄스형태의 전압파형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시키는 전압변환 트랜스와;
    상기 전압변환트랜스에 의해 변환된 펄스형태의 전압파형을 정류/적분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마이컴의 점화전압포트로 입력시키는 정류 및 적분기와;
    상기 정류 및 적분기에 의해 점화전압포트에 입력된 직류전압에 따라 제어동작하여 램프의 수명 및 그 교환시기를 LED의 점멸 또는 OSD의 경고 문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마이컴; 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램프 교환시기 점검 장치.
  2. 점화기의 온동작 횟수를 카운터하여 마이컴의 점화전압포트를 체크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체크된 마이컴의 점화전압포트에 따라 점화기의 점화횟수가 50회만큼 계속 이루어졌는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점화기의 점화횟수가 50회 이하이면 마이컴에서 점화전압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램프의 기준점화전압을 구한 후 점화횟수를 카운터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점화기의 점화횟수가 50회를 초과하면 50회까지 구해진 기준점화전압에 대한 85%와 점화전압을 비교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비교결과 기준점화전압에 대해 85%에 해당하는 점화전압이 마이컴에 입력되면 램프의 수명이 다된 것으로 판단하여 램프의 교환을 알리는 OSD문구를 출력하는 제 5 단계; 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램프 교환시기 점검 방법.
KR1019980031724A 1998-08-04 1998-08-04 투사형영상표시기기의램프교환시기점검장치및방법 KR10029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724A KR100290739B1 (ko) 1998-08-04 1998-08-04 투사형영상표시기기의램프교환시기점검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724A KR100290739B1 (ko) 1998-08-04 1998-08-04 투사형영상표시기기의램프교환시기점검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061A KR20000013061A (ko) 2000-03-06
KR100290739B1 true KR100290739B1 (ko) 2001-07-12

Family

ID=1954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724A KR100290739B1 (ko) 1998-08-04 1998-08-04 투사형영상표시기기의램프교환시기점검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10B1 (ko) * 2004-07-12 200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램프 사용시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0863843B1 (ko) * 2006-04-27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061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9044097A1 (fr) Appareil de presentation par projection
KR100290739B1 (ko) 투사형영상표시기기의램프교환시기점검장치및방법
US7119492B2 (en) Flicker detecting system for detecting lamp life differing from lamp to lamp
JP3933724B2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30149911A1 (en) Rapid self-error-check circuit of a computer power supply
US8491130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plural light sources
JPH06319053A (ja) X線プロテクタ装置
KR100638714B1 (ko)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JP5272481B2 (ja) 投影装置及び光源制御方法
GB2341017A (en) Substituting defective light sources
JP4455037B2 (ja) カメラ、閃光装置及び閃光撮影システム
US7067990B2 (en)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US20040032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maining lamp lifetime
KR970010477B1 (ko) 액정프로젝터의 램프사용시간 검출회로
JP4853763B2 (ja) 光源寿命判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並びに光源寿命判定方法
JP2007103081A (ja) バックライト光源駆動回路
JP7500965B2 (ja)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及び非常用照明装置
JP2006134702A (ja) ランプ点灯装置
JP2022073096A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吊下状態検出用センサーユニット
KR100329395B1 (ko) 액정프로젝터
JPH02142093A (ja) ランプ寿命予測装置
KR20230065697A (ko) 고장 진단이 가능한 온도 컨트롤러 및 온도 컨트롤러의 고장 진단 방법
KR19990084337A (ko) 플리커메터 출력분석방법 및 그 장치
KR200319495Y1 (ko) 영상 표시 기기의 감압 보호 장치
JPH11102792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