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289B1 - 전자사진프로세서의용지스태킹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프로세서의용지스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289B1
KR100288289B1 KR1019980012068A KR19980012068A KR100288289B1 KR 100288289 B1 KR100288289 B1 KR 100288289B1 KR 1019980012068 A KR1019980012068 A KR 1019980012068A KR 19980012068 A KR19980012068 A KR 19980012068A KR 100288289 B1 KR100288289 B1 KR 10028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ischarge
sorter
main bod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441A (ko
Inventor
황태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2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각종 프린터등의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용지를 배지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본체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동시에 동작시켜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배지롤러가 적소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배지부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설치되는 소터로 구성된 용지 스태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배지부의 일측에는 용지를 배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롤러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기어가 장착된 구동롤러가 각각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지롤러의 배지롤러기어와 소터의 각 구동롤러의 기어에는 동시에 감겨서 회전하도록 벨트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한 대의 프린터로 다수명의 사용자가 이용할 때 적용.

Description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PAPER STACK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본 발명은 복사기(Copier)또는 레이저 프린터(Raser Beam Prin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기기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지된 용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배지부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소터(Sorter) 또는 메일박스(Mail Box)의 동력전달을 위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용지 스태킹장치(Paper Stacking Device)는 한 대의 전자사진 프로세서로 다수명의 사용자가 각각의 배지부를 할당받아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치이다. 또한, 상기 용지 스태킹장치는 소터(분류)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스태킹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용지 스태킹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10과, 상기 프린터 본체로부터 이송된 용지112를 분류할 수 있는 다수개의 배지부121을 갖는 소터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린터 본체110의 하측에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매의 용지112를 적재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111이 장착된다. 그후,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는 상기 급지카세트111에 적재된 다수매의 용지121중 최상단의 용지를 본체로 낱장씩 이송하기 위한 픽업롤러113이 적소에 구성된다. 그후, 상기 본체110의 적소에는 상기 급지카세트111로부터 이송된 용지112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현상기11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현상기114로부터 형성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정착부가 적소에 형성된다. 상기 정착부에서 정착된 화상을 배지시키기 위한 배지롤러115가 상기 정착부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후,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112를 본체의 배지롤러115에 의해 배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지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소터120이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소터120의 일측부에는 종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지된 용지를 적재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배지부121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배지부121의 일측에는 각각의 배지부로 이송된 용지112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122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배지부121의 롤러122 일측에는 솔레노이드(Solenoid)로 동작하는 용지가이드126이 설치된다. 상기 용지가이드126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배지부121로 용지를 배출시킬 때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각 배지부121의 롤러122에는 다수개의 구동기어123이 맞물려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한 개의 구동기어123이 회전하면 이에 맞물린 모든 기어가 회전하여 롤러122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일측 구동기어123에는 모터124가 설치되어 모터의 동력전달기어124a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어12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그후, 상기 모터124에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장치125를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지용지를 분류하여 배지하기 위한 용지 스태킹장치의 소터는 그 내부에 별도의 모터를 장착시키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다수의 기어링 조합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조립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소터에 별도의 구동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동작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터내의 별도의 기어링 조합없이 간단히 다수의 구동롤러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지시키기 위하여 본체의 구동부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배지롤러기어를 구비한 배지롤러가 적소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지를 배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배지부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설치되는 소터로 구성된 용지 스태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터의 각 배지부의 일측에는 용지를 배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롤러의 일측에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구동롤러가 각각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지롤러의 배지롤러기어와 소터의 각 구동롤러의 구동기어에는 동시에 감기도록 벨트를 설치하여 상기 각 구동롤러를 동시에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스태킹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스태킹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5: 배지롤러
20: 소터(Sorter) 23: 구동롤러
24: 벨트(Bel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스태킹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스태킹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0과, 상기 프린터 본체로부터 이송된 용지12를 분류할 수 있는 다수개의 배지부를 갖는 소터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린터 본체10의 하측에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매의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11이 장착된다. 그후,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급지카세트11에 적재된 다수매의 용지12중 최상단의 용지를 본체로 낱장씩 이송하기 위한 픽업롤러13이 적소에 구성된다. 그후, 상기 본체10의 적소에는 상기 급지카세트11로부터 이송된 용지12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현상기1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현상기로부터 형성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정착부가 적소에 형성된다. 상기 정착부에서 정착된 화상을 배지시키기 위한 배지롤러15가 상기 정착부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배지롤러15는 본체10의 도시되지 않은 현상기구동모터와 다수개의 기어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지롤러15에는 상기 배지롤러15와 함께 회전하도록 배지롤러기어15a가 설치된다.
그후,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12를 본체10의 배지롤러15에 의해 배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소터20이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소터20의 일측부에는 종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지된 용지12를 적재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배지부21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배지부21의 일측에는 각각의 배지부로 이송된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22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배지부21의 롤러22 일측에는 솔레노이드(Solenoid)로 동작하는 용지가이드25가 설치된다. 상기 용지가이드25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배지부21로 용지를 배출시킬 때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각 배지부21의 롤러22에는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롤러23이 맞물리도록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구동롤러23에는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기어23a가 각각 설치된다. 그후, 상기 배지롤러15의 배지롤러기어15a와 소터20의 각 구동롤러23의 구동기어23a에는 동시에 감기도록 벨트24를 감는다. 즉, 상기 배지롤러15의 회전에 의해서 소터20의 모든 구동기어23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벨트24는 정확한 동력전달을 위하여 타이밍벨트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지 스태킹장치20은 본체10의 급지카세트11로부터 적재된 용지12를 픽업롤러13에 의해 이송시키면, 이와 동시에 현상기14가 동작하고 배지롤러15가 구동된다. 또한, 상기 배지롤러15의 구동에 의해서 벨트24가 유동하고, 상기 벨트24는 상기 본체10 상측에 설치된 소터20의 구동롤러23을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즉, 현상기14의 도시되지 않은 동력전달모터에 의해서 소터20의 구동부까지 모두 일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는 본체의 구동부에 의해서 소터의 구동까지 별도의 기어배열없이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원가가 감소하고 소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지시키기 위하여 본체의 구동부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배지롤러기어를 구비한 배지롤러가 적소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지를 배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배지부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설치되는 소터로 구성된 용지 스태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터의 각 배지부의 일측에는 용지를 배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롤러의 일측에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구동롤러가 각각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지롤러의 배지롤러기어와 소터의 각 구동롤러의 구동기어에는 동시에 감기도록 벨트를 설치하여 상기 각 구동롤러를 동시에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정확한 동력전달을 위하여 타이밍벨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지부의 롤러에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용지가이드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킹 장치.
KR1019980012068A 1998-04-06 1998-04-06 전자사진프로세서의용지스태킹장치 KR10028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068A KR100288289B1 (ko) 1998-04-06 1998-04-06 전자사진프로세서의용지스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068A KR100288289B1 (ko) 1998-04-06 1998-04-06 전자사진프로세서의용지스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41A KR19990079441A (ko) 1999-11-05
KR100288289B1 true KR100288289B1 (ko) 2001-05-02

Family

ID=3751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068A KR100288289B1 (ko) 1998-04-06 1998-04-06 전자사진프로세서의용지스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5709B2 (en) 2003-11-06 2008-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ain and sub-image forming units and method of us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156A (ja) * 2001-09-07 2003-05-27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5709B2 (en) 2003-11-06 2008-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ain and sub-image forming units and method of u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41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7900B2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393044A (en) Paper feeder
US485796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30170048A1 (en) Drive mechanism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032942A (en) Secondary cassette feed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88289B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용지스태킹장치
US6837489B2 (en) Jam removing apparatus of machine having ADF function
CN100549851C (zh) 图像形成装置
US7120381B2 (en) Image-forming machine
EP0378005B1 (en) Copy sheet de-registration device
JP2622295B2 (ja) 画像形成装置
JP3786165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816524A2 (en) Image forming device with optional paper cassette
US20100054833A1 (en)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3226587B2 (ja) 多段給紙装置
KR100251945B1 (ko) 양면인쇄기기의 구동단속장치
US6188866B1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movable refeeder cassette
JPH082775A (ja) 排紙装置
KR100270691B1 (ko) 팩시밀리의양면스캐닝장치
JPH06183587A (ja) 給紙装置
JP3234039B2 (ja) 給紙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6161186A (ja) 画像形成装置の原稿搬送装置
JPS59198233A (ja) 給紙装置
JPH08239154A (ja) 用紙搬送装置
JP200101918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