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168B1 - 도포시 막을 형성시키는, 겔의 형태를 갖는 고체 국소 수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포시 막을 형성시키는, 겔의 형태를 갖는 고체 국소 수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168B1
KR100286168B1 KR1019980007474A KR19980007474A KR100286168B1 KR 100286168 B1 KR100286168 B1 KR 100286168B1 KR 1019980007474 A KR1019980007474 A KR 1019980007474A KR 19980007474 A KR19980007474 A KR 19980007474A KR 100286168 B1 KR100286168 B1 KR 10028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rmula
weight
hydrophilic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987A (ko
Inventor
크리스띤 뒤삐
앙리 사멩
베로니끄 루리에
베로니끄 페라리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1998007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4Aqueous solutions or disper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02Resin hair set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04Dandruf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05St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수성 조성물, 특히 하기의 유동학적 측면을 가진 겔 형태의 매트릭스로 구성된 고체 국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전단 응력 C1이하로 안정한 정지 V0에서 고체 조성물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1,000,000 Pa.s 사이의 초기 점도,
- 응력 C2에서 전단한 이후, V0/V2비가 1000 이상일 때의 점도 V2,
- C2-C1차가 1000 P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메이크업, 스타일링, 신체-위생 또는 케어 조성물로서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도포시 막을 형성시키는, 겔의 형태를 갖는 고체 국소 수성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수성 겔의 외관을 갖는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도포시에 막을 형성시키는 신규한 고체 수성 조성물, 특히 국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체 형태인 생성물의 다양한 형태는 미용 산업, 특히 립스틱 스틱, 파운데이션 또는 아이 섀도우와 같은 메이크업 분야, 입술-교정 펜슬 및 탈안료 스틱 또는 모이스쳐링 스틱과 같은 피부 또는 입술 케어, 및 방취 스틱과 같은 위생 분야에서 공지이다. 조성물은 도포시에 마모되는 데, 이로인해 내구성이 있고, 계속적인 막을 생성하는 것을 어렵게 된다.
고체 조성물을 도포하여 지속적인 막을 생성하는 상기 문제는 왁스, 오일 및 분말(충진물 및 안료) 로 이루어진 메이크업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예컨대 그의 성분이 접촉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직물, 유리, 컵등) 지지체상으로 전달되지 않는 소위 "비전달" 메이크업 조성물에 특히 중요하다. 상기에 대한 이유는 "비전달"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조하려면 왁스 및/또는 수지 및 안료 및 충전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층을 없애기 위해 오일의 피부와 접촉하여 증발하는 휘발성 용매로 부분적으로 대체된 복합 조성물의 사용이 요구된다 (JP 제 62-61911 호, 제 61-65809 호, EP 제 602, 905 호). 휘발성 화합물의 사용과 관련한 제조의 어려움과는 별개로, 상기 용액은 분말성 및 뿌연 형태의 메이크업 효과를 남기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이제 수성 겔의 형태를 갖는 고체 매트릭스를 사용하고 특정한 유동학적 측면을 가짐으로써, 도포 및 건조 후에 막을 생성시키는 고체 수성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상기 전술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았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고체 매트릭스는 예컨대 낮은 전단 응력하에서 일정하여 조성물을 그의 점도내에서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조절할 수 있어서 안정한 초기 점도를 갖는다.
초기 점도의 상기 안정성은 초기 점도 V0에 가까운 전단 응력 C1에서 측정한 겔 V1의 점도의 값으로 나타난다. 상기 근접함은 전단후에 점도가 떨어지는 것과 관련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유리하게는, 비 V0/V1는 2 이하이다.
전단 응력 C1은 도포되는 지지체, 피부, 모발, 입술등에 퍼지게 하는 고체 매트릭스를 유동화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을 갖는 특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단 응력 C1은 500 Pa 이상이다. 하지만, 당업자는 상기 지지체를 역으로 영향이 미치지 않게하기 위해 상기 전단 응력 C1이 초과되지 않아야하는 값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따라서, 모발에 대한 적용에 대해서, 출발 전단 응력 C1은 1500 Pa 이하가 유리하다.
상기 및 이후에 다양한 점도 및 응력 값은 일단 매트릭스를 생성시킨 다음 측정한 것으로 주지된다. 조성물의 점도 및 유동학적 측면을 측정하기전에, 매트릭스를 정확하게 생성하도록 보장하는 것이 가치가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를 제조한 후에 24 시간 이상 두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상에 전단에 의해 유도된 점도의 하락은 예컨대 매트릭스는 높은 응력하에서 부러지지 않으며 가장 낮은 점도에 도달될 때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처럼 바로 가역적이지 않다.
유리하게는, 상기 매트릭스를 적합한 친수성 겔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생성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겔 물질은 겔 형태를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유동학적 측면을 갖는 고체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는 어떠한 겔 물질로도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친수성 겔 물질은 친수성 겔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친수성 겔 중합체는 특히 20,000 미만의 중량-평균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15,000 미만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스테르술폰이다.
상기 중체체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 의 반복 디카르복실레이트 단위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테레프탈릭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일 수 있다 :
(식 중,
A 는 1,4-페닐렌, 술포-1,3-페닐렌 및 임의로 1,3-페닐렌 기를 나타내고,
n 은 1 내지 4 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40 몰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몰 % 내지 90 몰 % 의 화학식 1 의 단위는, A 가 1,4-페닐렌 기를 나타내고 n 은 1 인 화학식 1 의 단위이다.
바람직하게는 10 몰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몰 % 내지 25 몰 % 의 화학식 1 의 단위는, A 가 술포-1,3-페닐렌 기를 나타내는 화학식 1 의 단위이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사슬의 말단들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2 의 기에 의해 필수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식 중, A 및 n 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올리고머는 사슬 말단에 하기 식으로 표현되는 기들을 소량 함유할 수 있다:
-A-CO-OH
-A-CO-OR
(식 중, A 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R 은 C1-C4알킬기를 나타낸다).
A 가 술포-1,3-페닐렌 기를 나타낼 때, 그것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금속 술포네이트, 특히 소듐 또는 포타슘 술포네이트, 또는 암모늄 또는 저급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술포네이트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급 알킬암모늄 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라디칼(들)이 저급 알킬, 바람직하게는 C1-C6알킬인 암모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소듐 술포네이트 이다.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경우에 따라서는 A 가 1,3-페닐렌 기를 나타내는 화학식 1 의 단위 20 몰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몰 % 이하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5000 내지 14,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0 내지 10,000 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 10-2N 의 LiBr 을 함유하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에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는 폴리스티렌 당량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A 가 1,4-페닐렌 기를 나타내고 n 은 1 인 화학식 1 의 단위를, 다양한 단량체들의 초기 화학양론적 비율, 및 부반응을 기본으로 하여 유사한, 최소 함량으로 조절하면서, 폴리에스테르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용융-루트, 용매-루트 또는 계면-루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그 방법들은 하기 반응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 이산 및 디올의 에스테르화 반응 및 다중 축합
- 디에스테르 및 디올의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 및 다중 축합
- 히드록시산의 자동축합
- 디올 및 산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쇼튼-바우만 (Schotten-Baumann) 반응, 및 다중 축합
- 락톤의 중합 반응
방법의 특히 유리한 모드는 트랜스에스테르화/및/또는 에스테르화 촉매를 사용한 용융-루트 트랜스에스테르화/다중 축합 및/또는 에스테르화/다중 축합에 의한 것이다.
A 가 1,4-페닐렌 기를 나타내고 n 은 1 인 화학식 1 의 단위를, 다양한 이산 및/또는 디에스테르 및 디올 단량체의 초기 화학양론적 비율, 및 에스테르화-제한제의 사용을 기본으로 하여 유사한, 최소 함량으로 조절하여 구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한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아민 또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히드록시드 또는 아세테이트 같은 염기성 화합물 일 수 있다.
분자량은 압력, 온도 및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주제를 이루는 신종 테레프탈산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 테레프탈 (Tp) 산, 무수물 또는 디에스테르
- 술포이소프탈 (SIp) 산, 무수물 또는 디에스테르
- 경우에 따라서는 이소프탈 (Ip) 산, 무수물 또는 디에스테르, 및
- 에틸렌 글리콜 (EG)
기재의 단량체 조성물을, 에스테르화 및/또는 트랜스에스테르화 촉매 및 에스테르화 제한제의 존재하에, 하기에 상응하는 상대적 비율로 에스테르화 및/또는 트랜스에스테르화/다중축합 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 (SIp)/[(Tp)+(SIp)+(Ip)] 의 몰비가 7/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100, 가장 특히 10/100 내지 25/100
* (Ip)/[(Tp)+(SIp)+(Ip)] 의 몰비가 20/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100 이하
* (EG)/[(Tp)+(SIp)+(Ip)] 의 몰비가 2/1 내지 3/1.
테레프탈 (Tp)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저급 디에스테르 (디(C1-C4)알킬 디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디에스테르의 형태로 사용된다.
술포이소프탈 (SIp)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저급 (C1-C4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의 알칼리 금속 술포네이트 (특히 소듐 술포네이트) 디에스테르의 형태로 사용된다. 소듐 디메틸 5-옥시술포닐이소술포네이트를 가장 특히 언급할 수 있다.
임의의 이소프탈 (Ip) 단량체는 특히 이소프탈산 형태로 사용된다.
모든 "이산" 단량체가 디에스테르의 형태로 사용될 때, 이들 "이산" 단량체와 에틸렌 글리콜 사이의 트랜스에스테르화 (교환) 작용은 130℃ 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140 내지 220℃ 의 온도, 가장 특히 약 180 내지 220 ℃ 의 온도에서 실행되며; 이 온도에서 형성된 메탄올 (디메틸 디에스테르의 바람직한 경우) 은 바람직하게는 증류에 의해 반응 매질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교환 반응은 금속 트랜스에스테르화 촉매 및 에스테르화 제한제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상기 촉매로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면 아세트산 매트릭스간, 아세트산 아연, 아세트산 코발트 또는 아세트산 칼슘, 또는 유기 또는 무기 티타네이트, 예를 들면 부틸 티타네이트, 니트릴로-2,2',2"-트리에틸 티타네이트 (또는 에스테르화 제한제로도 작용하는 티타늄 아미노트리에탄올레이트) 또는 칼슘 티타네이트 가 있다. 바람직한 촉매는 유기 티타네이트이고; 이들은 티타늄으로 표현된 양이 약 0.001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반응물들 중량에 대하여 티타늄 0.002 내지 0.02 중량 % 의 양으로 사용된다.
에스테르화 제한제는 염기성 화합물, 예를 들면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아민(트리에탄올아민, 구아니딘 카르보네이트, 디메틸아날린, 나프틸아민 등) 또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히드록시드 또는 아세테이트 (소듐 또는 포타슘 아세테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등)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반응물의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05 % 의 양으로 사용된다.
교환 반응의 지속 시간은 1 내지 4 시간 이고;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3 시간 이다.
90 % 이상의 메탄올의 이론적 양이 증류 제거되면, 과량의 폴리올은 반응 매질을 230 ℃ 까지 승온시켜 제거한다.
다중 축합 반응은 약 230 내지 280℃,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60 ℃ 의 온도에서, 이 온도로 예비 승온되고, 진공 상태에서 10 Pa 까지 압력이 차츰 감소된 다른 반응기에서 실행되고, 이 압력 감소는 약 40 분 동안 약 10 밀리바 까지 지속 된다.
다중 축합 반응은 폴리올 분자의 제거와 함께 일어나고, 이 반응은 7.5 리터 반응기에서 닻 형 바늘의 교반 속도 80 회전/분 및 반응 질량 온도 250 ℃ 에서, 교반기 샤프트의 모터 토르크가 약 0.5 내지 5 뉴우튼 미터의 값을 가리킬 때, 중지한다.
"이산" 단량체 중 하나가 이산 또는 무수물의 형태로 존재하고, 그 외의 이산(들) 은 디에스테르(들) 일 때,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상기 조건 하에서 디에스테르 단량체와 에틸렌 글리콜의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한 후, 이산 또는 무수물 단량체의 매질 내에서 에틸렌 글리콜과 에스테르화 하고, 그런 다음 상기 조건 하에서 다중 축합하여 얻으며; 에틸렌 글리콜의 총량은 두 작용 (트랜스에스테르화 및 에스테르화) 에 나누어 사용된다.
필요하다면, 에스테르화 반응은 교환 말기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에서,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생성된 반응 매질에, 이산 또는 무수물 형태의 단량체 및 사전에 현탁액에 놓여진 에틸렌 글리콜을 첨가함으로써 수행되고; 이 때 도입 시간은 약 1 시간이다.
이 에스테르화 반응은 약 230 내지 280 ℃ 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250 내지 260 ℃ 의 온도에서, 트랜스에스테르화 촉매와 동일한 종류의 촉매 및 에스테르화 제한제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상기 반응은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종류 및 동일한 비율의 촉매 및 에스테르화 제한제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반응에서 물은 과량의 폴리올과 동시에 반응기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종류의 제조 반응은 특히 WO 95/32997 에 기재되어 있다 (롱 쁠랑 쉬미).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 내지 4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 의 친수성 겔화 재료 사이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국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점막 또는 외골격 (모발, 속눈썹, 손톱등) 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조성물을 어떠한 통상의 피부화장의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신체 위생 조성물로서 예를 들어, 방취 스틱의 형태, 모발 조성물로서 예를 들어, 스타일링 스틱, 립스틱, 파운데이션, 아이 섀도우와 같은 메이크업 조성물, 특히 소위 "비전달" 메이크업 조성물, 또는 대안적으로 케어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따라서 예상되는 용도에 따라 화장품에 일반적인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명백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것을 구성하는 고체 매트릭스의 특정한 유동학적 특성에 영향을 줄만한 양으로 어떠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지방상을 포함한다. 지방상은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동물, 식물, 광물 또는 합성 원인 오일 또는 왁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지방산을 겔, 특히 수중유 또는 유중수 형태의 유화액의 형태로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화장품 일반적인 첨가물 및/또는 활성제를 포함하며, 이는 당업자가 조성물을 구성하는 고체 매트릭스의 유동학적 측면에 역영향을 일으키지 않기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상기 첨가물 및 활성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으로 주지된다.
통상적 미용 첨가제들은 특히 방향제, 염색제, 흡취제, 조성물 안정용 첨가제, 예를 들면 방부제, UVA 및/또는 UVB 차단제, 친수성 및/또는 친지질성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등이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물들의 양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고,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 중량 % 이다. 그 종류에 따라, 이들 보조물들은 수성 상 또는 지방 상을 함유한다면 지방 상에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용물에 통상적인 친수성 및/또는 친지질성 활성제, 특히 유리 라디칼 방지제, α - 또는 β - 히드록시산, UV-A 및/또는 UV-B 차단제, 세라미드, 비듬방지제, 예를 들면 옥토피록스 또는 아연 피리티온, 좌창 방지제, 예를 들면 레티노산 또는 벤조일 퍼옥시드, 모발 손실 방지제, 예를 들면 미녹시딜, 항진균제 또는 살균제, 구강 또는 치아 케어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신체 위생 조성물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발한 억제제 형 및/또는 살균제 형의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불쾌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취제 생성물 및/또는 흡취제를 함유할 수 있다.
모발 조성물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이것을 이루는 겔의 특정한 유동학적 성질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발 스타일에 대한 우수한 스타일링 효과 및 규제력을 갖는다.
고정 효과를 얻기 위하여 또는 스타일링 및 엉킴을 푸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 재료 또는 컨디셔닝 재료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들 고정 또는 컨디셔닝 재료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중량 %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발 케어 활성제 및/또는 광택 보강제 및/또는 모발 염색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들 활성제 및/또는 모발제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 %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한 억제 물질들은 땀의 흐름을 제한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들은 특히 알루미늄 염으로 구성된다.
살균 물질은 암내에 원인이 되는 피부 식물상의 성장을 억제한다. 상기 살균 생성물중에, 트리클로산 (5-클로로-2-(2,4-디클로로페녹시)페놀)을 언급할 수 있다.
흡취제는 그 내부에 악취의 원인이 되는 분자를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생성물이다 (상기 사실은 문헌 ["미용 과학 및 기술 시리즈" - 1988/ 7권, Chap 10 - IIIC] 에 주어져 있다). 상기 생성물은 이미 퍼진 땀냄새를 다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흡취제중에, 아연염, 특히 미국 특허 제 4,425,321 호에 기술된 폴리카르복실산의 아연염 및 특히 이량산의 아연염 및 수산화 또는 미수산화 삼량산의 아연염을 언급할 수 있다. 수용성 아연염을 언급할 수 있다.
모발 조성물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이것을 이루는 겔의 특정한 유동학적 성질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발 스타일에 대한 우수한 스타일링 효과 및 규제력을 갖는다.
고정 효과를 얻기 위하여 또는 스타일링 및 엉킴을 푸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 재료 또는 컨디셔닝 재료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들 고정 또는 컨디셔닝 재료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 1 내지 8 중량 %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발 케어 활성제 및/또는 광택 보강제 및/또는 모발 염색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들 활성제 및/또는 모발제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 %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고정 물질은 필수적으로 하나이상의 고정 중합체를 단독으로 또는 가소제 또는 중화제와 같은 일반적인 마용 첨가물을 가진 혼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어떤 고정 중합체도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성이온성 및 비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고정 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음이온성 또는 양성이온성 고정 중합체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중화될 수 있다. 중성화제는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및 클산 또는 시트르산과 같은 무기 또는 유기 산이다.
고정 중합체를 수용성 형태 또는 고체 중합체 입자의 분산액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양이온성 고정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사슬 부를 생성하거나 또는 거기에 부착된 1 차, 2 차, 3 차 및/또는 4 차 아민기를 함유하고, 500 내지 5,000,000 사이 및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000 사이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음이온성 고정 중합체는 카르복실산, 술폰산 또는 인산으로부터 유도된 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며 대략 500 내지 5,000,000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상기 중합체는 특허 및 특허 출원 DE 제 2,330,956 호, FR 제 1,222,944 호, FR 제 1,564,110 호, FR 제 1,580,545 호, FR 제 2,198,719 호, FR 제 2,265,782 호, FR 제 2,265,781 호, FR 제 2,350,384 호, FR 제 2,357,241 호, FR 제 2,439,798 호, GB 제 839,805 호, LU 제75370 호, LU 제 75371 호, US 제 2,047,398 호, US 제 2,723,248 호, US 제 2,102,113 호 및 US 제 4,128,631 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은 특히 얼라이드 콜로이드사에서 등록상표 베르시콜 E 또는 K, 아메르콜사에서 등록상표 아메르홀드 DR 25, 아메리칸 시나미드사에서 등록상표 쿼드라머, 바스프사에서 아리스토클렉스 A, 루비플렉스 VBM 70, 루비머 100 P 또는 MAEX 또는 울트라홀드 및 울트라홀드 스트롱, 헨켈사에서 등록상표 코스메디아 중합체 HSP 1180, 헤르큘레스사에서 등록 상표 레텐 412, 423 또는 425 ; ISP 사에서 아크리돈 LM, 간트레즈 AN 또는 ES 및 어벤티지 CP, 내셔날 스타치사에서 등록상표 플렉산 500, 플렉산 130 및 수지 28-29-30, 26-13-14 또는 28-13-10, 롬 & 하스사에서 등록상표 아큐딘 255, 롬팔마사에서 등록상표 유드라지트 L, 스테판사에서 스테판홀드, 또는 시멕스사에서 등록상표 크로톤산/비닐 아세테이트/비닐 t-부틸벤조에이트 공중합체로 시판되는 고체 생성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양성 고정 중합체는 특히 특허 FR 제 1,400,366 호 및 US 제 3,836,537 호에서 기술된다. 이들은 등록 상표명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내셔날 스타치사에서 등록 상표명 암포머, 암포머 LV 71 또는 로보크릴 47, 산도스사에서 등록 상표명 디아포머 Z301 및 얀 데커사에서 등록 상표명 에발산으로 CTFA (4 편, 1991) 에서 공지된 생성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컨디셔닝 물질은 필수적으로 통상의 미용 컨디셔닝 물질을 구성한다. 이들은 특히 매질내에 수용성이거나 수불용성일 수 있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또는 양성이온성 중합체, 단백질, 단백질 가수분해염, 세라미드, 유사세라미드, 직쇄 또는 측쇄 C16-C40사슬을 가진 지방산, 예컨대, 18-메틸 에이코산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양이온성 중합체의 컨디셔너를 모발의 비용 품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이미 공지된 특히, 특허 출원 EP 제 0,337,354 호, FR 2,270,846 호, FR 제 2,383,660 호, FR 제 2,598,611 호, FR 제 2,470,596 호 및 FR 제 2,519,863 호에 기재된 것들의 모든 것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양이온성 중합체 중에서, 유니온 카바이드사에서 등록 상표명 JR 400 으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4 급 셀룰로오스 에테르 유도체, 환공중합체, 상세하게는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염의 단일중합체 및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염 및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상세하게는 멀크사에서 등록 상표명 멀퀘트 100, 멀퀘트 550 및 멀퀘트 S 로 시판되는 염화물, 양이온성 폴리 사카라이드 및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메이홀사에서 등록 상표명 재규어 C13S 로 시판되는 2,3-에폭시프로필트리메틸 암모늄 염화물로써 개질된 구아 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택 강화체중에서 비휘발성 아릴실리콘, 상세하게는 다우 코닝사에서 등록 상표명 DC 556 으로 시판되는 페닐실리콘과 같은 폴리알킬아릴실록산 및 롱쁠랑사에서 등록 상표명 미라실(Mirasil) DPDM 으로 시판되는 디페닐디메티콘을 언급할 수 있다.
모발 염료중에서, 특히 염색 염료를 언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중에서, 니트로페닐렌디아민, 니트로디페닐아민, 니트로아닐린, 니트로페놀에테르 도는 니트로페놀과 같은 니트로벤젠 염료, 니트로피리딘, 안트라퀴논 염료, 모노- 또는 디아조 염료, 트리아릴메탄 염료, 아진 염료, 아크리딘 염료 및 크산텐 염료 또는 대안적으로 금속 함유 염료를 언급할 수 있다. 염화 또는 염기 형태인 상기 염색 염료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약 0.001 내지 약 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5 중량 % 의 범위일 수 있는 비율로 존재한다.
메이크업 조성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메이크업 조성물, 특히 충전물 및/또는 염료재료로 일반적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하는 충전물의 양은 조성물의 전제 중량에 대해 0.01 내지 60 중량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중량 % 사이이다.
염료재료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전제 중량에 대해 0.01 내지 3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 % 사이이다.
충전물은 그의 주요 작용이 조성물의 물리화학적 (유동학적, 기계적, 광학적) 및/또는 미용 특성을 개질시키는 데 있는 천연 또는 합성 물질이다.
충전물중에서, 활석, 운모, 실리카, 카올린, 나일론 분말 (특히 오르가졸), 폴리에틸렌 분말, 테플론, 녹말, 보론 질화물, 엑스판셀 (노벨 산업), 폴리트랩(다우 코닝) 및 실리콘 수지 마이크로비드 (예를 들어, 도시바로부터 토스펄스) 를 언급할 수 있다.
염료재료는 내구성 색상 물질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 천연 또는 합성 물질이다. 한편으로는, 염료 및 다른 한편으로는 안료 사이에 차이가 있다. 염료는 그의 주요 작용이 색상의 제공에 있는 용도의 매질내에 필수적으로 수용성인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재료) 이다. 코치닐 염료 카르민 (CI 75470) 과 같은 천연 유기 염료, 또는 할로산, 아조 또는 안트라퀴논 염료와 같은 합성 유기 염료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황산 구리와 같은 무기 염료를 언급할 수 있다. 안료는 미립자로 구성된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재료) 인 반면에, 염료는 색상을 제공하는 데 주요 작용을 하는 용도의 그의 매질내에 수불용성이다. 안료의 다른 형태는 뚜렷하여 ; 무기 안료, 유기 안료, 레이크 또는 진주빛 안료가 있다.
레이크는 그의 매질내에 수불용성으로 뭉쳐서 잔류하는 수불용성 입자상에 흡착된 염료이다. 진주빛 안료는 빛을 회절 및 굴절시켜서 진주빛 또는 광택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재료) 이다.
무기 안료중에서, 산화 금속, 특히 산화 지르코늄, 산화 세륨, 산화 아연 또는 산화 크롬 (CI 77288), 이산화 티타늄 (CI 77891), 흑, 황, 적 및 갈색 산화 철 (CI 77499, CI 77492, CI 77491), 보라색 매트릭스간 (CI 77742), 울트라민 청 (CI 77007), 철 청 (CI 77510), 수화 크롬 (CI 77289), 은 분말 또는 알루미늄 분말을 언급할 수 있다.
유기 안료중에서, 카본 블랙 (CI 77266) 또는 D & C 적 36 을 언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크는 알루미늄 입자상에 흡착된, 유기 염료의 금속(Al, Zr, Ca, Na) 염으로 이루어진다. 하기 상표명으로 공지된 것을 언급할 수 있다 :
D & C 적 21 (CI 45 380), D & C 오렌지 5 (CI 45 370), D & C 적 27 (CI 45 410), D & C 오렌지 10 (CI 45 425), D & C 적 3 (CI 45 430), D & C 적 7 (CI 15 850:1), D & C 적 4 (CI 15 510), D & C 적 33 (CI 17 200), D & C 황 5 (CI 19 140), D & C 황 6 (CI 15 985), D & C 녹 5 (CI 61 570), D & C 황 10 (CI 77 002), D & C 녹 3 (CI 42 053), D & C 청 1 (CI 42 090).
진주빛 안료중에서, 예를 착색된 티타늄 운모처럼 산화 티타늄, 비스무스 산염화물, 산화 철 또는 천연 안료로써 도포된 운모를 언급할 수 있다.
조성물이 케어 조성물일 때, 아스코르브 산, 코지산, 시트르산, 카페인산, 실리실산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5-n-옥타놀살리실산 또는 5-데카놀살리실산) 와 같은 활성제, α-히드록시산, 레틴산 및 레티놀 및 레티놀 에스테르, 벤젠-1,4-디 (3-메틸리덴-10-캄포르술폰산) 과 같은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식물 추출물 및 더욱 특별히 과일 추출물, 또는 대안적으로 크산틴 유도체 (카페인, 테오필린), β-글리시레틴산 또는 아시아트산과 같은 상기 산을 함유하는 천연 또는 합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 특히 글리세롤과 같은 습윤제, 또는 식물 원의 단백질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예상되는, 및 물리화학적 및/또는 미용 성질에 따라, 부드러움 및 딱딱한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겔화제를 부가적으로 더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조성물의 수분의 잔류 자기를 향상시키고 광택을 주는 라텍스(latex) 또는 유사 라텍스, 또는 그 외에 최종 조성물에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을 주는 하나 이상의 실리콘 고무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겔화제 중에서, 한천, 카라게닌 (carrageenan), 알긴산염과 같은 조류 추출물 ; 케롭 검, 구아 검과 같은 씨앗 추출물 ; 아라비아산 검, 카라야 검, 트라가칸트 검, 가티 검과 같은 식물 추출물 ; 삼출물 예컨대 크산탄 검, 셀룰로스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에틸세룰로오스 및 특히 알킬기를 그래프트하여 개질된 셀룰로오스 ; 펙틴과 같은 과일 추출물 ; 젤라틴, 카제인과 같은 동물 원의 겔화제 ; 골드리치사에서 "카르보폴" 또는 "페물렌" 으로 시판되는 것과 같은 가교된 폴리아크릴산과 같은 수용성 겔 합성 중합체 ; 예를 들어, 웨이벌리사에서 "레포니트 RD 및 RDS" 제품으로 시판되는 합성 헥토리트와 같은 실리콘 유도체, 예를 들어, 반더빌트사에서 "비 검" 제품과 같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고체 조성물에 첨가된 상기 부가적인 겔화제는 그것을 구성하는 고체 매트릭스의 유동학적 특성을 개질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지한다.
당업자는 그의 성분의 기능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알것이다. 그를 구성하는 고체 매트릭스는 전단응력 C1이상의 응력하에서 매우 감소되는 점도를 가지므로, 적절한 온도와 함께 조성물의 다양한 성분을 혼합할 수 있으므로, 일단 원하는 동질성이 수득되면, 통상의 방법에 따른 형태의 조성물, 특히 상기 형태와 일치하는 성형내에 방치함으로써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조성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같이 조성물을 피부, 점막, 모발 또는 외골격에 도포하는, 피부, 점막, 모발 또는 외골격에 대한 미용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그 범위에 제한없이 설명하고 있다.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중량으로 표현한 것이다. 조성물 중 에틸렌 글리콜 이소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술포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백분율은 활성 물질의 백분율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르는 테레프탈산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
하기의 반응물들을 80 회전/분 의 속도로 회전하는 닻-형 교반기가 장치되고, 교오와 토션계 (Kyowa torsion meter), 열-교환액 순환 자켓, 및 전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증류 컬럼에 연결된 7.5 리터 스테인레스 스틸 반응기에 도입시킨다:
- 11.47 몰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 2.53 몰의 소듐 디메틸-5-이소프탈레이트 술포네이트
- 39.16 몰의 에틸렌 글리콜
- 촉매 및 에스테르화 제한제로서 티타늄 아미노트리에탄올레이트 형태의 54 중량 ppm 의 티타늄.
180 ℃ 로 예비 가열시킨 혼합물을 130 분에 걸쳐 220 ℃ 로 승온시켜, 메탄올의 이론적 양의 90 % 이상을 증류 제거한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30 분에 걸쳐 230 ℃로 승온시킨다. 반응물이 이 온도에 도달했을 때 하기 조성을 가진 현탁액을 온도를 230 ℃ 로 유지한 채 60 분에 걸쳐 도입시킨다:
- 0.5 몰의 이소프탈산
- 2.36 몰의 테레프탈산
- 8 몰의 에틸렌 글리콜.
그런 다음 반응물을 60 분에 걸쳐 250 ℃ 로 승온시킨다.
혼합물의 도입 시간 동안 및 250 ℃ 로 승온하는 시간 동안, 물과 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은 열화없이 증류 제거된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250 ℃ 로 예비 가열된 오토클레이브로 이동시키고, 22 분 동안 100 밀리바로 감압 상태에 놓는다. 이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2 분 후 반응 mass 을 cast 하고 냉각시킨다.
얻어진 코폴리에스테르는 표 1 에 기술된 구조적 특성을 갖는다.
표 중에서:
* "이산 단위의 몰 %" 는 사용된 이산 또는 디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한 사용된 각각의 이산 또는 디에스테르의 % 로 나타낸 함량에 해당된다.
"Tp" 는 테레프탈릭 단위를 의미한다.
"Ip"는 이소프탈릭 단위를 의미한다.
"SIp" 는 술포이소프탈릭 단위를 의미한다.
* 코폴리에스테르의 "글리콜" 부분의 특성은 생성물을 190 ℃ 에서 16 시간 동안 가메탄올분해 한 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기술로 분석하고, 내부 검정하여 분석하여 얻는다.
- "디올 단위의 몰 %" 는 디올의 총량에 대한 옥시에틸렌 단위 "G", 디(옥시 에틸렌) 단위 "2G", 트리(옥시에틸렌) 단위 "3G" 및 테트라(옥시에틸렌) 단위 "4G"의 % 로 나타낸 함량에 해당된다.
* "%GT/Σ 단위" 는 A 가 1,4-페닐렌, 술포-1,3-페닐렌 및 경우에 따라서는 1,3-페닐렌 기를 나타내고 n 은 1 내지 4 의 범위인 하기 화학식 1 의 단위의 총량에 대하여 A 가 1,4-페닐렌을 나타내고 n=1 인 하기 화학식 1 의 단위의 몰 % 에 해당된다:
[화학식 1]
[-CO-A-CO-0-(CH2-CH2)n-]
"%GT/Σ 단위" 는 하기 식에 의하여 계산한다.
%GT/Σ 단위 = (Tp 단위의 몰 %) x (G 단위의 몰 %) / 100
* 폴리에스테르의 몰 질량 (Mw) 은 100 % DMAc/LiBr 에서 겔 투과 크로마토 그래피(GPC) 로 측정하고, 그 결과는 폴리스티렌 당량으로 주어진다.
[실시예 2 스타일링 스틱]
수성겔을 냉각 조건하에서 실시예 1 의 20 % 의 올리고머 및 나머지 100 % 까지의 탈광수에 혼합하여 제조한다. 수득된 유체 겔을 금형에 붓고 24 시간 동안 그대로 둔다. 고체로 될때까지 경화시킨 후, 하기의 유동학적 특성을 갖는 스타일링 스틱을 수득한다 :
초기 점도 V0: 90,000 Pa.s
전단 응력 C1: 500 Pa
1500 Pa 의 응력에서 점도 V2: 30 Pa.S
[실시예 3 스타일링 스틱]
실시예 1 의 25 % 의 올리고머 및 3 % 의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써 실시예 2 의 절차를 반복한다. 실시예 2 의 제품과 동등한 유동학적 특성을 갖는 스타일링 스틱을 수득한다.
[실시예 4 광택 스틱]
실시예 1 의 25 % 의 올리고머 및 롱쁠랑사에서 10% 의 오일 70641 V200 [Rhone-Poulenc사의 Silbione 70641, 점도 200인 제품) 로써 실시예 2 의 절차를 반복한다. 실시예 2 의 제품과 동등한 유동학적 특성을 갖는 광택 스틱을 수득한다.
[실시예 5 방취 스틱]
실시예 1 의 20 % 의 올리고머 및 0.25 % 의 트리클로산으로써 실시예 2 의 절차를 반복한다. 실시예 2 의 제품과 동등한 유동학적 특성을 갖는 방취스틱을 수득한다.
[실시예 6 립스틱]
실시예 1 의 20 % 의 올리고머, 5 % 의 안료 (산화철) 및 1 % 의 보존제 (preservative)로써 실시예 2 의 절차를 반복한다. 실시예 2 의 제품과 동등한 유동학적 특성을 갖는 수성 립스틱을 수득한다. 스틱은 입술에 쉽게 발라지며, 바를 때 상쾌한 느낌을 주며 윤이 나는 비전달 막을 생성한다.
[발명의 효과]
모발 조성물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이것을 이루는 겔의 특정한 유동학적 성질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발 스타일에 대한 우수한 스타일링 효과 및 규제력을 갖는다.

Claims (24)

  1.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 내지 40 중량% 사이의 겔 형태의 매트릭스인 친수성 겔화제로 구성되고 하기의 유동학적 측면을 가진 수성 고체 국소 조성물:
    - 고체 조성물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50,000 내지 1,000,000 Pa.s 사이의 초기점도 V0(정지 상태), 전술한 점도 V0는 전단 응력 C1까지는 안정함,
    - 응력 C2에서 전단한 이후의 점도 V2, 이때 V0/V2비는 1000 이상임,
    - C2-C1차는 1000 Pa 이하임;
    여기서, 전술한 친수성 겔화제는 하기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테레프탈릭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임 :
    [화학식 1]
    [-CO-A-CO-O-(CH2-CH2-0)n-]
    (식 중, A 는 1,4-페닐렌, 술포-1,3-페닐렌 및 임의로 1,3-페닐렌 기를 나타내고, n 은 1 내지 4 의 범위임);
    이때, 전술한 화학식 1의 35 몰% 이상은 A 가 1,4-페닐렌기이고 n 은 1 인 화학식 1의 단위이고, 전술한 화학식 1의 7몰% 이상은 A 가 술포-1,3-페닐렌기인 화학식 1 의 단위이며;
    전술한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A 가 1,3-페닐렌기일 때 화학식 1 의 단위를 20 몰 % 이하로 임의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 미만임.
  2. 제1항에 있어서, 겔이 전단 응력 C1의 출발시에 점도 V1을 가지고, V0/V2비가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단 응력 C1이 500 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상에 전단에 의해 유도되어 낮아진 점도가 바로 가역적으로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라텍스 또는 유사 라텍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가 5000 내지 14,000 사이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부, 점막 또는 외골격에 도포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상적인 피부미용에서, 향수 ; 방부제와 같은 안정화제 ; UV-A 햇빛 차단제, UV-B 햇빛 차단제 또는 UV-A 햇빛 차단제 및 UV-B 햇빛 차단제 모두 ; 친수성 항산화제, 친지질성 항산화제 또는 친수성 항산화제 및 친지질성 항산화제 모두 ; 킬레이트화제, 친수성제, 활성제, 또는 친수성제 및 활성제 모두 ; 항발산 형태, 항균 형태 또는 항발산 형태 및 항균 형태 모두의 활성 물질, 흡취제 또는 활성 물질 및 흡취제 모두 ; 모발 고정 재료 또는 컨디셔닝 재료 ; 모발 케어 활성제, 피부 강화제 및 모발 염색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중 하나이상 ; 충전제 ; 염료재료, 겔화 재료 ; 실리콘 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제, 첨가물 또는 활성제 및 첨가물 모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체위생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이크업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소위 "비전달" 메이크업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립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케어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 점막 또는 외골격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점막, 모발 또는 외골격용 미용 처리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A 가 1,4-페닐렌기인 화학식 1 의 단위가 40 몰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A가 1,4-페닐렌기인 화학식 1 의 단위가 40 내지 90 몰 %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A 가 술포-1,3-페닐렌기인 화학식 1 의 단위가 10 몰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A 가 술포-1,3-페닐렌기인 화학식 1 의 단위가 10 내지 25 몰 %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A 가 술포-1,3-페닐렌기인 화학식 1 의 단위가 5 몰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6항에 있어서, 코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8,000 내지 10,00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 % 사이의 친수성 겔화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8항에 있어서, 친수성제, 활성제 또는 친수성제 및 활성제 모두가 부동 라디칼제, α- 또는 β-히드록시산, 세라미드, 항비듬제, 항좌창제, 탈모제 ; 항균 또는 방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80007474A 1997-03-14 1998-03-06 도포시 막을 형성시키는, 겔의 형태를 갖는 고체 국소 수성 조성물 KR100286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3119 1997-03-14
FR9703119A FR2760634B1 (fr) 1997-03-14 1997-03-14 Composition aqueuse topique solide ayant l'aspect d'un gel permettant la formation d'un film lors de son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987A KR19980079987A (ko) 1998-11-25
KR100286168B1 true KR100286168B1 (ko) 2001-04-16

Family

ID=950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474A KR100286168B1 (ko) 1997-03-14 1998-03-06 도포시 막을 형성시키는, 겔의 형태를 갖는 고체 국소 수성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38858B1 (ko)
EP (1) EP0865786A1 (ko)
JP (1) JP2865656B2 (ko)
KR (1) KR100286168B1 (ko)
BR (1) BR9801339A (ko)
CA (1) CA2230131C (ko)
FR (1) FR2760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9642B1 (fr) * 1998-06-11 2002-05-1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polyester sulfonique ramifie et au moins un agent de conditionnement
FR2783160A1 (fr) * 1998-09-14 2000-03-1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queuse comprenant un polyester sulfone et un compose silicone
EP1002569A3 (de) * 1998-11-19 2000-09-06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Zubereitungen vom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enthaltend kationische Polymere
FR2798663A1 (fr) * 1999-09-17 2001-03-23 Oreal Gel aqueux comprenant un polymere filmogene sulfone hydrosoluble et une dispersion aqueuse d'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le comprenant et utilisations
FR2805990B1 (fr) * 2000-03-07 2003-04-11 Oreal Composition capillaire epaissie comprenant un polymere fixant et un compose pulverulent
FR2808684A1 (fr) * 2000-05-09 2001-11-16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comprenant une phase aqueuse, un oligomere copolyester terephtalique et un copolyester sulfone a motifs polyorganosiloxanes, procede de traitement et utilisation
DE10047038B9 (de) * 2000-09-22 2005-03-31 Wella Ag Haarstylingstift auf Basis von Polyethylenglykolen verschiedener Molekulargewichte
US7135166B2 (en) 2000-09-22 2006-11-14 Wella Ag Hair styling stick containing polyethylene glycols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s
WO2002073984A1 (en) * 2001-03-09 2002-09-19 Ayman, L.L.C. Universal point of contact identifier system and method
US6716419B2 (en) * 2001-06-05 2004-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seudoplastic, film forming cosmetic compositions
FR2855044A1 (fr) * 2003-05-19 2004-11-26 Oreal Utilisation d'un extrait de bacterie filamenteuse non photosynthetique non fructifiante pour le renforcement des matieres
FR2869319B1 (fr) * 2004-04-23 2008-03-14 Oreal Gel concentre en polyester sulfonique ramifi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ce gel
FR2873578B1 (fr) * 2004-07-29 2006-11-03 Oreal Polyester sulfonique lineaire comme agent de fixation des cheveux resistant a l'eau
US20060024259A1 (en) * 2004-07-29 2006-02-02 Sabine Vrignau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in a non-fatty medium, at least one linear sulfonic polyester and at least one nonionic thickening polymer, processes using this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20060024260A1 (en) * 2004-07-29 2006-02-02 Cecile Bebo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water-dispersible linear sulphonic polyester and a modified guar gum, methods employing this composition and uses
US20060188461A1 (en) * 2004-07-29 2006-08-24 Cecile Bebot Linear sulfonic polyester as a water-resistant hair fixing agent
JP4219391B2 (ja) * 2006-09-29 2009-02-0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9149662B2 (en) * 2007-06-18 2015-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n emulsified antiperspirant product
US20100112022A1 (en) * 2008-09-17 2010-05-06 Jody Lynn Hoying Antiperspirant Products and Methods of Merchandising the Same
US20100215700A1 (en) * 2009-02-25 2010-08-26 Conopco, Inc., D/B/A Unilever Shear Gel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hear Gels
US8668916B2 (en) 2010-09-24 2014-03-11 Conopco, Inc. HIPE-gelation process for making highly concentrated, spherical biopolymer gel particle suspensions
CN107995712A (zh) * 2017-12-08 2018-05-04 北京弗圣威尔科技有限公司 无线供电加热装置与加热方法及放置物和其制备方法
TW202017558A (zh) * 2018-06-29 2020-05-16 日商日產化學股份有限公司 被膜形成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993A (en) * 1970-02-27 1973-12-18 Eastman Kodak Co Polyesters and polyesteramides containing ether groups and sulfonate groups in the form of a metallic salt
US4300580A (en) * 1977-01-07 1981-11-17 Eastman Kodak Company Hair grooming method using linear polyesters
US4525524A (en) * 1984-04-16 1985-06-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
ZA919777B (en) * 1991-07-23 1992-09-30 Curtis Helene Ind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tecting hair against thermal degradation and to aid in hair styling
JPH05310530A (ja) * 1992-05-15 1993-11-22 Toyobo Co Ltd 化粧品
GB9415421D0 (en) * 1994-07-30 1994-09-21 Procter & Gamble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thereof
US5849280A (en) * 1996-08-06 1998-12-15 A-Veda Corporation Hair conditioning so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65656B2 (ja) 1999-03-08
CA2230131C (fr) 2003-05-06
EP0865786A1 (fr) 1998-09-23
US6338858B1 (en) 2002-01-15
BR9801339A (pt) 1999-05-04
KR19980079987A (ko) 1998-11-25
CA2230131A1 (fr) 1998-09-14
FR2760634B1 (fr) 2002-10-11
JPH10306039A (ja) 1998-11-17
FR2760634A1 (fr) 199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168B1 (ko) 도포시 막을 형성시키는, 겔의 형태를 갖는 고체 국소 수성 조성물
US629685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dispersion of film-forming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1,2-pentanediol
US6306411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dispersion of film-forming polymer and an aqueous suspension of organopolysiloxane
US7785613B2 (en) Film-forming cosmetic composition
US20020168335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wax and a polymer
US20080070993A1 (en) Additives for cosmetic products and the like
JPH10501227A (ja) ヒドロアルコール性液体ビヒクル中にスルホポリエステルを含む透明なエアゾール式ヘアスプレー製剤
JPS62265215A (ja) 耐水性日焼け止め配合品
US5478555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make-up of the skin, containing at least one silicone wax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CA2976739A1 (en) Polymers of itaconic acid and uses thereof as a film forming agent in a cosmetic or personal care product
JP4050615B2 (ja) ワックス及びポリマー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3102857B2 (ja) ポリエステルスルホンタイプの親水性ゲル化剤を含有する局所用組成物
US8163274B2 (en) Personal care products containing high refractive index ester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US6803047B1 (en) Vaporizable gelled composition
CA2358704A1 (en) Gel-type oil free cosmetic
JPS61129187A (ja) エステル化生成物およびこれら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2017149649A (ja) 化粧料用樹脂及び化粧料
WO2005107685A1 (en) Personal care products containing high refractive index ester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FR2783168A1 (fr) Composition topique comprenant un agent gelifiant de type polyester sulfone et un agent de structuration cationique
MXPA99001418A (en) Use of 1,2 pentanodiol in a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which has an aqueous dispersion of filmogen polymer particles, and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se constituents
MXPA99008241A (en)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sulfonated polyester gelling agent and a cationic structuring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