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507B1 -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4507B1 KR100284507B1 KR1019940703483A KR19940703483A KR100284507B1 KR 100284507 B1 KR100284507 B1 KR 100284507B1 KR 1019940703483 A KR1019940703483 A KR 1019940703483A KR 19940703483 A KR19940703483 A KR 19940703483A KR 100284507 B1 KR100284507 B1 KR 1002845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fluid guide
- intermediate conduit
- conduit means
- guide mean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vision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 A61M39/18—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 connection under sterile conditions, i.e. sterile dock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79—Reciprocating valve uni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79—Reciprocating valve unit
- Y10T137/86895—Plural disk or plu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aper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Physical Deposition Of Substances That Are Compon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여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 연결장치는 두 의료기기의 각각의 개방단부가 연결되는 두개의 입구를 구비한 중간 도관수단(1~5)과, 그 중간도관수단(1~5)내에 위치하여 그 안에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유체안내수단(9~16)으로 구성되는 데, 그 유체안내수단(9~16)은 상기 의료기기가 도관수단(1~5)의 입구에 연결될 때, 도관수단(1~5) 내측의 그 유체안내수단(9~16)의 선형적인 위치에 따라, 중간 도관수단(1~5)을 통해 두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제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장치와 연결 가능한 하나의 의료기기와 결합되는 본 장치의 일부로써 사용되기 위한 연결 수단, 본 장치의 일부로써 사용되기 위한 지지수단, 그러한 연결 수단과 결합되는 의료기기, 본 장치의 일부로써 사용되기 위한 유체안내수단, 본 장치의 일부로써 사용되기 위한 지지수단과 같은 장치, 및 본 장치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의료기기들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3(a)도 내지 제3(e)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적절한 지지수단 내에 설치된 제1도 내지 제3도의 연결장치의 평면도.
제5(a)도 내지 제5(c)도는 제4도에 도시한 지지수단내에 설치된 연결장치의 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의료기기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의료기기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제2실시예의 도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8도 내지 제11도는 제7도에 도시한 연결장치의 여러가지 사용단계를 보인 사시도.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부로서의 지지수단의 폐쇄 및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13도는 함께 사용되는 의료기기가 연결된 제12도의 지지수단의 평면도.
제14도 내지 제15(a)도 및 제15(b)도는 제12도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완전한 구성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16도는 제12도의 지지수단의 횡단면도.
제17(a)도 내지 제17(e)도는 제14도 및 제15도의 연결장치의 여러 가지 사용단계에서의 연결장치의 중간 도관수단의 횡단면도.
제18도는 제12도의 지지수단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제19도 및 제20도는 지지수단에 내장된 구동수단의 일부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연결요소 6,7,8 : 관
9,15 : 탄성 플러그 10,12 : 간격자
11,14,16 : 중공 탄성 밀봉부재 20 : 지지체
21,22 : 플랜지 23,24 : 블록
25 : 브래킷 26 : 프레임
27 : 홈 50 : 중간 도관수단
53 : 연결수단 56 : 편이 스프링
58 : 플런저 64 : 연결수단
65 : 플러그 66,67 : 플러그
68 : 중공 밀봉부재 80,81 : 간격자
본 발명은, 비록 의료기기가 투석용 전용 의료기기는 아니라 하더라도, 둘 이상의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여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 및 제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연결장치 내에 사용되는 부품 및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는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둘 이상의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야 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 있다. 일반적으로, 이 유체의 흐름은, 특히 몸속 또는 몸밖으로 유체가 주입되고 배출되는 경우에, 무균환경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감염의 위험을 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의료기기간에 유체가 흐르도록 하여야 하는 경우, 의료기기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종종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이렇게 의료기기가 함께 연결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의 예로, 수혈, 정맥주사에 의한 약제 및 영양제의 투여, 마취제 투여 및 특히 투석을 들 수 있다.
투석에는 통상적으로 몸안으로 유체를 주입하고 쓸모가 없어진 유체를 몸밖으로 배출하는 따위의 행위가 포함된다. 최근 들어, 그러한 기법에 근거한 수 많은 치료방법이 개발되었다. 유체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환자의 몸안에 이식된 카테테르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한 치료방법의 일 예로, 전형적으로 신장병이 있는 환자에 대해 사용되는 “연속이동 복막투석방법(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이하, CAPD라 칭함)이 있다. 이 치료방법에 따르면, 비교적 다량의 특별히 처방된 유체가 무균 유체백으로 부터 환자의 복부에 이식된 카테테르를 통해 환자의 복막내로 주입된다. 이 유체는 수 시간 동안, 통상은 6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복막내에 보유된 후 환자의 몸에서 다시 카테테르를 통해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으로 배출되고, 그 즉시 신선한 유체로 교체된다.
CAPD는 환자가 거의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형태의 치료방법이다. 그러나, CAPB에 의한 치료를 받는 환자는 매우 감염되기 쉽기 때문에, 복막염에 걸릴 가능성이 커져서 자주 입원을 할 필요가 있다. 이들 환자들이 걸리게 되는 감염의 주원인은 상기한 유체백을 교환할 때 카테테르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박테리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치료방법에서 유체교환중의 감염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관련 의료기기(즉, CAPD의 경우, 카테테르, 새로운 유체백 및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다양하게 설계된 바 있다. 공지된 연결장치중 한가지는 Y형 연결편에 의해 속이 비어있는 백에 연결되는 신선한 유체백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자는 적어도 한번은 Y형 연결편에 연결하고 한번은 분리하기 위해 카테테르를 개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카테테르가 공기중의 박테리아에 노출되게 된다. 매우 정교하게 만들어진 또다른 연결장치는 새로운 유체백과 속이 비어있는 백을 연결하고, 연결되면 자동적으로 카테테르를 개방시키고 분리되면 카테테르를 폐쇄하는 커플링장치를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는 제조비용이 비교적 많이 들뿐더러 항상 사용이 간단한 것은 아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연결장치중, 감염의 문제점을 완전히 만족할만한 수준까지 극복한 연결장치는 나와있지 않으며, 대다수가 사용이 불편하거나, 착용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은 물론 신뢰성도 떨어지는 등의 다른 여러 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즉, 감염이나 누출의 위험성이 해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하고 편리하여서 환자 또는 개업의사가 부정확하게 사용할 위험성이 해소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둘 이상의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종래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야기되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상에 따라, 두 의료기기의 개방단부를 함께 연결하여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연결장치로서, 두 의료기기의 각각의 개방단부가 연결되는 두개의 입구를 구비한 중간 도관수단과, 중간 도관수단내에 위치하여 그 안에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유체안내수단으로 구성되며,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의료기기가 도관수단의 입구에 연결될 때, 도관수단 내측의 유체안내수단의 선형적인 위치에 따라, 중간 도관수단을 통해 두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장점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된 두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이 중간 도관수단을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중간 도관수단은 무균상태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의료기기가 도관수단의 입구에 연결되면, 의료기기 안 또는 밖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은, 중간 도관수단의 폐쇄된 환경내에서만 이동하는 유체안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연결장치는, CAPD 따위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카테테르 및 유체백과 같은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는 경우 특히 유용하다.
연결장치는, 유체가 안과 밖으로 흐를 수 있는 다수의 서로 다른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기중 어느 하나는 마취가스 공급장치 또는 정맥을 통한 약제 또는 영양제 공급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의료기기중 다른 하나는 그러한 유체를 사람 또는 동물의 몸속으로 주입하기 위한 관 또는 다른 도관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라는 용어는 몸이나 다른 장치 및 기구로 유체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단순한 관을 포함한다. 또한, 의료기기에는, 예를 들어 CAPD 또는 이와 유사한 치료방법에 사용되는 카테테르 또는 유체가 흘러 들어가거나 흘러나오는 유체백이 포함된다.
연결장치는 둘 이상의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장치는 CAPD에 있어서 유체를 교환하는데 이상적으로 사용되며, 이 경우, 카테테르, 신선한 유체로 채워진 유체백 및 배출된 유체가 담기는 속이 비어있는 백을 함께 연결하여 이들 세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연결장치가 몇몇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연결장치의 중간 도관수단은 그에 대응하는 수의 입구를 구비한다. 유체안내수단은, 입구영역에서 도관수단내에서의 이동에 의해 도관수단의 내측에서의 유체안내수단의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연결장치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의료기기는 각각 적어도, 개방단부가 연결장치의 중간 도관수단내에 제공된 입구중 하나에 연결되는 하나의 출구관 또는 다른 도관수단(전형적으로는 유연한 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장치는, 유체안내수단이 도관수단내의 적절한 위치를 차지할 때 의료기기와 도관수단간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의료기기중 어느 하나를(편리하게는 그 출구관을 통해) 도관수단의 적절한 입구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그렇지 않으면, 연결수단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일부로서 형성되기 보다는 별개로 의료기기의 개방단부상에 제공되거나 그에 부착될 수도 있다.
중간 도관수단의 입구는 도관수단을 따라 서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안내수단은, 도관수단내의 그 길이방향 위치로부터 연결장치에 연결된 두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이 허용되는지 제한되는 지의 여부가 결정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도관수단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도관수단은, 두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이 완전한 밀봉환경이 유지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단부가 폐쇄되는 원통형 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경우에도, 유체안내수단은 도관수단내에서 적어도 두 위치간을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두 위치중 어느 한 위치에서, 연결장치에 연결된 두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이 허용되는 반면, 유체안내수단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도관수단의 영역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각각의 단부에서, 유체안내수단은 도관수단의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되어, 연결장치에 연결된 의료기기로부터 유체안내수단의 단부를 넘어 도관수단의 영역내로 유체가 흐르지 못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안내수단은, 도관수단내의 위치에 의해 연결장치에 연결된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이 허용되는지의 여부, 그리고 허용된다면 어떤 식으로 유체가 흐르는지 결정될 수 있도록 적절히 그 형상이 정해지는 단일요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관수단을 따라 이동하여 의료기기가 연결된 입구를 통과할 때, 소정의 순서로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정해질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유체안내수단은, 도관수단내에서의 위치에 의해 유체의 흐름여부가 결정되는 다수의 유체안내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유체안내요소는, 도관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단일의 유체안내요소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관수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배열을 취하면, 예를 들어, 유체안내요소중 어느 하나는, 도관수단의 입구를 통과하면서 그 입구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는 반면, 유체안내요소의 연속하는 또다른 요소는, 입구를 통과하면서 그 입구를 통해 유체가 흘러 인접한 입구 또는 다른 입구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체안내수단은 서로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유체안내수단이 연속하는 유체안내요소로 구성되는 경우, 유체안내수단의 양단부에서의 이들 요소는 도관수단의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됨으로써, 유체안내요소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도관수단의 영역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안내수단은, 도관수단의 입구가 모두 폐쇄되어 도관수단 및 그에 연결된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는 적어도 일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중간 도관수단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유체안내수단의 외측 가장자리는, 폐쇄될 입구를 차단하기에 충분한, 유체안내수단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도관수단의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되어야 한다.
유체안내수단은, 일방향으로 도관수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연결장치에 연결된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단순히 일방향으로 유체안내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유체의 흐름순서를 제어할 수 있게된다. 예를 들어, 유체안내수단은 도관수단내의 모든 입구를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위치에서 연결장치에 연결된 두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다시 모든 입구를 폐쇄하여 도관수단과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3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은 어느 한 위치에서 다음 위치를 향해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이다.
유체안내수단이 분리되어 있는 다수의 유체안내요소로 구성되는 경우, 이들 요소는 단부와 단부가 접촉하는 상태로 도관수단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이들 요소는, 사용시 하나 이상의 입구를 폐쇄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외벽이 도관수단의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되는 적절한 길이로 된 하나 이상의 밀봉요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밀봉요소는 플러그의 형태를 취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되어 도관수단의 내측에 놓이는 경우에도 도관수단의 내측을 따라 활주할 수 있는 탄성재료로 만들어진다.
유체안내수단은 전형적으로, 요소가 도관수단내에 적절히 위치할 때 두 입구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정해지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도관수단의 입구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이들 유체안내요소는 단순히 유체안내수단의 밀봉수단 사이를 적절한 간격으로 유지하는 간격자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간격자는, 간격자의 길이에 따라 둘 이상의 입구 사이에서 간격자 둘레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그 형상이 정해진다. 그렇지 않으면, 그러한 요소는, 외벽이 도관수단의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되는 플러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플러그는, 플러그가 적절히 위치할 때, 적절한 위치에서 개방되어 도관수단내의 둘 이상의 입구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내부 덕트를 구비한다. 그러한 플러그는 탄성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유체안내요소는, 예를 들어, 두 입구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 도관수단내에서 두 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3입구를 동시에 차단하는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유체안내요소의 정확한 형상은 연결장치에 연결된 여러가지 의료기기간의 유체 흐름의 정확한 형태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유체안내요소가 도관수단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연결된 의료기기간의 소정의 순서에 따른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도관수단은 부분적으로, 도관수단의 다른 부분에 대한 연결수단의 적절한 위치결정으로부터 유체가 흐를 수 있고 유체안내요소가 이동할 수 있는 완전한 도관수단이 형성될 수 있도록,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연결될 하나 이상의 의료기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의료기기의 연결수단은, 그 측벽에서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입구를 갖춘 적절한 길이의 단부개방 중공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관부분은, 사용시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중간 도관수단을 구성하는 길이가 긴 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위치결정될 수도 있다.
연결장치의 사용시, 중간 도관수단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형성하는 각각의 의료기기 연결수단은, 도관수단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의료기기로부터 유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연결수단의 개방단부를 밀봉하는 밀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수단은, 사용시 연결장치내의 유체안내요소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봉수단은 연결수단의 내측에 위치하여 그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되는 탄성 플러그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사용시, 연결수단이 전체 도관수단의 일부를 형성할 때, 이 플러그는 다른 유체안내요소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도관수단을 통해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필요하다면 연결수단으로부터 변위되어 관련 의료기기로 또는 의료기기로부터 유체가 흐르게 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연결장치의 유체안내수단은 분리형 연결수단을 통해 도관수단에 연결되는 각각의 의료기기에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또다른 분리형 밀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장치의 사용후, 이들 또다른 밀봉수단은 도관수단을 따라 이동하여 각각의 분리가능한 연결수단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연결수단이 밀봉되어 연결된 의료기기로부터 유체가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 연결수단은 연결장치에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는, 의료기기를 연결장치에 연결할 때, 중간 도관수단을 통해 의료기기간에 유체가 흐를 때, 그리고 의료기기를 제거할 때 항상 폐쇄환경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항상 무균환경이 유지된다.
각각의 의료기기는, 연결장치에 연결되기 전에, 의료기기의 연결수단내에 위치한 분리형 밀봉수단에 의해 그 폐쇄단부에서 밀봉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밀봉수단 및 다른 유체안내요소를 도관수단을 따라 이동시키면, 밀봉수단은 연결수단으로부터 변위되어 소정의 순서에 따라 유체가 흐르게 된다. 최종적으로, 모든 유체의 흐름이 완료되면, 각 의료기기의 연결수단은 연결장치의 전체 유체안내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분리형 밀봉수단에 의해 다시 밀봉된다. 따라서 각각의 의료기기 및 그에 연결된 연결수단은 연결장치에 분리되고 그 개방단부가 완전히 밀봉됨으로써,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의료기기내의 유체가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일이 없다.
그러한 연결장치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든다. 그리고 사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연결장치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수조작은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장치는 환자가 스스로 액체교환을 수행하는 CAPD 따위의 치료방법에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연결장치 및 그 구성요소는 단순하기 때문에, 연결장치는 비교적 소형화, 경량화될 수 있고, 따라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시 연결장치의 중간 도관수단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의료기기의 분리형 연결수단에는 전형적으로 의료기기 자체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CAPD에 있어서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환자는 출구관에 부착된 연결수단과 연결수단의 내측에 이미 설치된 밀봉수단을 갖춘 새로운 유체백을 간단히 입수하게 되면,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전체 의료기기를 연결할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카테테르에는 카테테르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적절한 형상의 연결수단과 연결수단 내측에 설치된 밀봉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중간 도관수단내에서 유체안내수단을 이동시키거나 유체안내수단의 이동을 돕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동수단은, 예를 들어 도관수단의 일단부의 외측으로부터 작용하여, 눌려지게 되면 도관수단을 통해 유체안내수단을 밀게되는 플런저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구동수단은, 예를 들어 기계적인 제어, 전기적인 제어 또는 유압식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유체안내수단은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자동제어되어 유체안내수단의 이동패턴을 달성함으로써, 도관수단내에서 유체안내수단에 의해 차지되는 위치의 순서에 의해 연결장치에 연결된 의료기기간에 소정의 순서에 따라 유체가 흐르게 된다.
연결장치는 중간 도관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수단은 또한, 의료기기가 도관수단에 연결될 때 바른 순서로 의료기기의 연결수단을 그위에 장착하기 적절한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수단의 지지수단은, 예를 들어, 의료기기의 연결수단 및/또는 의료기기에 부착된 출구관을 적소에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갖춘 지지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수단은, 사용중에 중간 도관수단 및 기타 다른 연결수단을 수용하고 보호하기에 적절한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장치의 구동수단은 지지수단의 안 또는 위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중간 도관수단을 통해, 지지수단 안 또는 위의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일련의 유체안내요소를 구동한다. 구동수단은 여러방향으로 요소를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필요하다면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자동식 또는 수동식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수단은, 소정의 방향으로 유체안내수단을 밀어내고, 종래의 방식대로 도관수단을 통해 구동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밀기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시, 밀기요소 및 유체안내수단은 도관수단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동될 수 있는 폐쇄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부터 매번 사용된 후에 연결장치를 리세트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가 CAPD에 사용되어 카테테르, 카테테르를 통해 몸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백 및 카테테르를 통해 몸속으로 주입되는 신선한 유체로 채워진 신선한 유체백간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경우, 연결장치는, 사용시 신선한 유체백 입구와 수용백 입구에 인접하여 위치할 때 신선한 유체백에서 수용백으로 유체가 흐르게 하지만 카테테르 안으로 또는 밖으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막는 제1유체안내요소와, 사용시 카테테르 입구와 수용백 입구에 인접하여 위치할 때 카테테르로부터 수용백으로 유체가 흐르게 하지만 신선한 유체백 안으로 또는 밖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제2유체안내요소와, 사용시 신선한 유체백 입구와 카테테르 입구에 인접하여 위치할 때 신선한 유체백으로부터 카테테르로 유체가 흐르게 하지만 수용백 안으로 또는 밖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제3유체안내요소와, 도관수단내에서 카테테르 입구와 두 유체백의 입구에 걸쳐 위치할 때 도관수단과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막는 제4 유체안내요소 또는 일련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유체안내요소는, 도관수단내에서 그 길이방향 길이가 변동됨에 따라, 4개의 분리형 유체안내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단일 유체안내수단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4개의 유체안내요소 또는 유체안내수단의 상당부는 상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도관수단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배열됨으로써, 카테테르, 수용백 및 신선한 유체백간에 정확한 순서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중간 도관수단에 연결된 의료기기로 들어가거나 의료기기에서 나오는 유체의 흐름을 추가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양상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연결수단으로서, 의료기기의 개방단부에 부착될 수 있고, 연결장치에서 사용될 때 중간 도관수단을 통해 상기 의료기기의 개방단부와 연결장치에 또한 연결된 제2의 의료기기간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장치의 중간 도관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이 제공된다.
이 연결수단은 소정길이의 중공관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시 연결장치의 유체안내수단의 일부를 형성하여 부착된 의료기기의 개방단부를 밀봉하는 밀봉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3양상에 따라, 개방단부에 연결수단이 부착되는 의료기기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양상에 따라, 제1양상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유체안내수단으로서, 연결장치의 중간 도관수단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그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안내수단이 제공된다. 유체안내수단은 적절한 형상의 단일 유체안내요소 또는 연속적으로 도관수단을 통해 이동하는 다수의 분리형 유체안내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유체안내수단은, 사용시, 도관수단내의 위치에 따라, 연결장치에 연결된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5양상에 따라, 둘 이상의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제1양상에 따른 연결장치에 의료기기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양상에 따라, 제1양상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지지수단이 제공된다. 지지수단은 중간 도관수단내에서 유체안내수단을 이동시키거나 유체안내수단의 이동을 돕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수단은, 연결장치가 사용되는 동안 중간 도관수단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두 의료기기를 함께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장치로서, 의료기기중의 어느 하나의 의료기기는 다른 의료기기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다른 의료기기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가 또한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의료기기중 어느 하나의 의료기기는 환자의 몸에 연결된 카테테르 또는 다른 의료기기에 약제를 주사하는데 사용되는 주사기일 수도 있다. 유체안내수단은, 도관내의 위치에 따라 두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유체안내수단은, 소정의 유체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편이수단에 의해 의료기기중 어느 하나의 의료기기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위치로 편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유체안내수단은 편이수단의 작용을 극복하면서 상기 위치 밖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의료기기는, 연결장치의 사용시, 중간도관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유체 교환중(예를 들어, CAPD에 사용하기 위한)에 카테테르 및 유체백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실시예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연결장치는, 상호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요소(1~5)로 이루어져서, 사용시 조립된 도관수단의 전체길이를 따라 소통이 되도록 하는 중간 도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요소(1~5)는 각각 소정 길이로 된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공관의 단부는, 조립시 연결요소의 인접한 단부에 끼워 맞추어져서 연결될 수 있도록, 테이퍼 형상을 취하고 있다.
연결요소(2)는 그 개방단부가 상기 연결요소(2)의 측벽내에 설치된 관(6)에 연결되어 있어서, 신선한 투석액으로 채워져 있는 유체백(도시안됨)의 연결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또한 수행한다. 이와 유사하게, 연결요소(3)는 관(7)을 통해 카테테르와 연결되는 연결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연결요소(4)는 관(8)을 통해 (카테테르로부터 투석액이 유입되는) 속이 비어 있는 유체백과 연결되는 연결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장치를 사용하기에 앞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테르 및 두개의 유체백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놓여있을 때, 연결요소(2)는 새로운 유체백의 개방단부를 밀봉상태로 폐쇄하는 탄성 플러그(9)를 포함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연결요소의 일부 단면도인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9)는 간격자(10)를 지지한다.
연결요소(3)는 중공 탄성 밀봉부재(11)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심을 통해 유체는 길이 방향으로 흐른다. 밀봉부재(11)의 외벽은, 연결요소(2)내의 플러그(9)의 외벽의 경우처럼, 연결요소(3)의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 밀봉부재에 의해, 연결요소(3)에 연결된 카테테르 안으로 또는 그 밖으로 유체가 흐르지 못하게 된다.
연결요소(4)는 연결요소(4)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유체가 다시 흐를 수 있게 하지만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에 연결되는 측관(8)안으로 또는 밖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또다른 중공 탄성 밀봉부재(16)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장치의 사용에 앞서, 연결요소(5)는 간격자(12), 중공탄성밀봉부재(13), 또다른 중공 탄성 밀봉부재(14) 및 탄성 플러그(15)를 포함한다. 밀봉부재 및 플러그의 외벽은 연결요소(5)의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된다. 연결장치가 사용되기 전에는, 연결요소(1)는 속이 비어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연결장치의 전형적인 사용방법을 제3(a)도 내지 제3(e)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a)도 내지 제3(e)도에는, 그 구성을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중간 도관수단의 일부가 절결 도시되어 있는 연결장치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연결요소(1~5)는,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께 조립되어 완전한 중간도관 수단을 형성한다. 연결요소는 제3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지지수단(제4도 및 제5도 참조)내에 고정됨으로써, 연결장치의 사용시, 연결요소 모두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사용된 유체백과 새로운 유체백 및 카테테르간에 유체교환을 시작할 준비가 되면, 사용자는, 제3(b)도에서 길이가 긴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관수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밀봉부재, 플러그 및 간격자(유체안내요소 15,14,13,12,16,11,10 및 9)를 차례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유체안내요소는 제3(b)도에 도시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6에서 연결된 새로운 유체백의 신선한 유체는 연결요소(2)로 유입되어 간격자(10) 둘레를 흐르고, 중공 밀봉부재(11,16)을 통과하고 간격자(12) 둘레를 흐른 후에, 8에서 연결된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으로 유입된다. 사용자는, 새로운 유체백에서 유출된 신선한 무균액을 사용하여 어셈블리를 세척할 수 있도록, 소량의 유체가 두 유체백 사이를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b)도에서 길이가 짧은 화살표는 이와 같은 연결장치의 동작단계에서의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낸다.
다음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3(b)도에서 길이가 긴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더욱 더 유체안내요소를 누르면, 유체안내요소는 제3(c)도에 도시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여기서, 새로운 유체백은 밀봉부재(16)에 의해 도관수단으로부터 밀봉된 상태로 차단되어 있다. 그러나, 이제 유체는 카테테르로부터 간격자(12) 둘레를 흐르고 관(8)을 통해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 내부로 유출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환자의 몸속의 유체가 카테테르를 통해 속이 비어 있는 유체백 내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동작단계가 완료되고, 새로운 유체백으로부터 유체를 환자에게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환자는 다시 한번 도관수단을 통해 유체안내요소를 누르게 되면, 유체안내요소는 제3(d)도에 도시한 위치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새로운 유체백에서 나온 유체는 간격자(12) 둘레를 흐르고, 관(7)의 하부로 흐른 뒤 카테테르를 통해 환자의 몸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배출된 유체로 채워진 유체백은 밀봉수단(13)에 의해 도관수단으로부터 밀봉상태로 차단되어 있다.
주입이 완료되면, 유체안내요소는 눌려져서 제3(e)도에 도시한 위치에 이르게 된다. 유체백 및 카테테르 양쪽 모두 밀봉부재(13, 14 및 15)에 의해 도관수단으로 부터 밀봉상태로 차단된다. 카테테르는 밀봉부재(14)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연결요소(3)와 함께 연결장치에서 제거될 수 있다. 전체적인 유체의 교환은 의료기기의 개방단부가 외부에 노출될 필요 없이 도관수단내에서 완전한 폐쇄환경상태로 수행되었다.
사용후 장치는 분해된다. 사용된 유체안내요소(9, 10, 11, 16 및 12)를 포함하는 연결요소(1)는 폐기된다. 이제 속이 비어있는 연결요소(5)는 후속하는 유체교환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후속하는 유체교환단계에서, 이 연결요소는 상기한 유체교환단계에서 연결요소(1)가 사용된 바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배출된 유체로 채워진 유체백은 연결요소(4)와 함께 폐기된다. 속이 비어있는 새로운유체백이, 그 연결요소(2)와 함께 후속하는 유체교환단계에서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준비되며, 후속하는 유체교환단계에서 유체백은 배출된 유체로 채워지게 된다. 카테테르 연결요소(3)는, 그 무균 밀봉 플러그(14)와 함께, 보호덮개(도시안됨) 내측에 놓여지고, 환자의 몸의 안전하고 편안한 위치에 부착된다.
후속하여 연결장치가 사용되어질 경우, 제1도 및 제2도에 도면부호 5로서 도시되어 있는, 유체안내요소가 정확한 배치상태로 사전장착되어 있는 연결요소는 카테테르 연결요소(3),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을 갖춘 연결요소(2), 연결요소(2)와 유사한 연결요소를 구비한 새로운 유체백 및 속이 비어있는 연결요소(5)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연결장치는 비교적 사용 및 재사용이 간단하고, 유체가 교환되는 동안 항상 무균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도는 사용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연결장치의 여러가지 연결요소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장치 또는 지지수단의 개략 평면도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연결요소는 플라스틱 지지체(2) 위에 장착되어 있다. 연결요소(1, 5)에는 플랜지(21, 22)가 각각 내장되어 있고, 이들 플랜지는 블록(23, 2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블록(23)은 지지체(20)에 고정되는 반면, 블록(24)은, 화살표 4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요소(2, 3, 4)는 브래킷(25)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동 가능한 블록(24)은 블록(23)을 향해 이동하여 고정(고정장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됨으로써,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요소의 숫놈 및 암놈형 테이퍼 단부의 결합에 의해) 여러가지 연결요소의 인접한 연결면이 밀봉상태로 놓이게 된다.
프레임(26)은 지지체(20)내의 홈(27)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차례로 키(28)가 프레임(26)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체안내요소가 장착되는 축(31)은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연결장치의 동작단계가 제5(a)도 내지 제5(c)도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5(a)도 내지 제5(c)도는, 연결장치의 연속적인 세단계의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장치의 여러 부분과 지지수단의 상대위치를 평면도로서 보인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화살표 41로 도시한 방향으로 프레임(26)을 누르게 되면 연결장치의 여러가지 유체안내요소가 도관수단의 안쪽을 통해 눌려지게 되어 사용된 유체백과 새로운 유체백 및 카테테르(제4도 및 제5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의료기기)간의 순차적인 유체 흐름이 올바르게 수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레임(26)을 누르면, 먼저 키(28)가 계단형 키홈(29)의 첫번째 계단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유체안내요소가 제3(b)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유체안내요소를 그 다음 위치(제3(c)도)로 이동시키기 위해 키(28)는, 키홈(29)의 제2 계단(제5(c)도)과 접촉할 때까지 화살표 42 방향으로 눌려진다. 키홈(29)을 따라 키(28)가 계속해서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정확한 방법으로 도관수단을 통해 유체안내요소를 계단형태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연결장치의 일단계의 동작으로부터 다음 단계의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유체교환이 완료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블록(24)은 분리되고, 연결장치의 여러가지 연결요소는 지지체(20)로부터 떨어지게되고, 프레임(26)은 그 시작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실제로, 카테테르를 통한 환자의 복부 안으로 또는 밖으로의 유체의 흐름은 제어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제어는 지지체(20)상에 장착되어 카테테르 연결관(7)의 안 또는 밖으로 흐르는 유체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가변 조임수단(30)을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조임수단(30)은 단순히 유연한 카테테르관을 향해 이동하여 그 카테테르관을 조임으로써 카테테르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제한한다(제5(b)도 및 제5(c)도 참조). 조임장치(30)를 이동시키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캠 또는 스크류의 작용을 이용하여 조임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6도에는 카테테르내로 주입하거나 카테테르로부터 유체시료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장치는 개략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연결장치를 사용할 때의 서로 다른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연결장치는 용기(51)내에서 구멍의 형태로 형성된 중간 도관수단(50)으로 구성된다. 카테테르(관 52)의 개방단부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연결장치의 연결요소(3)와 유사하게, 연결수단(53)에 연결되어 있다(즉, 소정길이의 중공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탄성 밀봉 플러그(54)는 관(53)의 내측에 위치하여 카테테르의 개방단부를 밀봉한다. 연결장치의 사용시, 연결수단(53)은 중간 도관수단(50)의 일부를 형성한다.
연결수단(53)의 아래에는 도관수단(50)의 폐쇄단부 내측의 소정위치에서 편이 스프링(56)을 고정하는 스프링 보류장치(55)가 위치하고 있다. 제6(a)도에서, 스프링은 “휴지” 위치에 놓여 있다. 그러나, 플러그(54)는 카테테르의 단부를 밀봉시키는 위치로 플러그(54)를 편이시키는 스프링(50)의 작용을 극복하면서 하향이동하여야 한다.
연결장치의 사용시, 카테테르 연결수단(53)은 제6(a)도에 도시한 위치에 놓이며, 폐쇄요소(57)에 의해 적소에 고정된다. 플런저(58)는 폐쇄요소(57)내의 중앙구멍을 통해 아래로 눌려져서, 스프링(56)의 작용을 극복하면서 플러그(유체안내요소)(54) 및 스프링 보류장치(55)를 아래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플런저는 잠금수단(제6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플런저의 개방단부를 통해 도입되는 종래의 주사기 따위의 제2 의료기기(제6(b)도에서 도면부호 59로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이 위치에서 고정된다. 주사기(59)를 사용하여 필요한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고 나면, 주사기는 플런저에서 제거되고, 플런저는 폐쇄요소(57)내의 고정된 위치에서 해제되며, 스프링(56)은 카테테르 연결수단(53)내의 위치로 플러그(54)를 다시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카테테르 및 그 연결수단은 안전하게 연결장치에서 제거될 수 있고, 유체의 주입 및/또는 배출시 그 개방단부는 항상 무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7도 내지 제1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제3실시예가 사시도(제7도의 경우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중간 도관수단은 절결도시되어 있다. 이 연결장치는 CAPD에 있어서 카테테르, 신선한 투석액으로 채워진 유체백 및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간의 유체교환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제7도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사용시 관(59), 관(60) 및 카테테르 연결수단(64)(길이가 짧은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도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59,60)은 각각 일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타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개방단부는 카테테르 연결수단(64)에 인접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연결요소(59)는 입구 경유관(연결수단)(7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입구 경유관에는 신선한 유체백의 개방단부가 유연한 관(61)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요소(60)는 상기 경유관과 유사한 연결관(7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결관에는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의 개방단부가 유연한 관(63)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장치는 종래의 어떠한 유체백이라도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하며, 유체백에는 연결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특수 연결수단이 제공될 필요가 없다. 도관수단내에 포함되는 유체안내요소는, 카테테르 연결수단(64)을 밀봉하는 플러그(75), 속이 빈 유체백과 연결되는 출구를 밀봉하는 플러그(67), 신선한 유체백과 연결되는 출구를 밀봉하는 플러그(66), 간격자(80), 중공 밀봉부재(68), 간격자(81), 플러그(69), 간격자(82), 플러그(70), 간격자(83) 및 세개의 또다른 플러그(71-73)이다. 유체안내요소는 모두 관(59,60,64)의 내벽과 밀봉상태로 연결되는 외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제7도에 도시한 관(59)의 왼쪽 단부에 위치한 수동식 플런저(74)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관(59, 64, 60)의 길이를 따라 유체안내요소를 누르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누름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밀봉 플런저(65~77)는, 제8도에 도시한 위치에 이를 때까지 도관수단을 따라 눌려져서, 더 이상 유체백 또는 카테테르에 연결되는 출구를 차단하지 않게 된다. 이 단계에서, 유체(85)는 신선한 유체백으로부터 관(75)을 지나 간격자(81) 둘레를 흐른 다음, 중공 밀봉부재(68)를 통과하고 간격자(80) 둘레를 흐른 후, 관(76, 63)을 경유하여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내로 유입된다. 이로부터 충분한 시간을 두고 신선한 유체백에서 나온 유체로 도관수단의 내부를 세척할 수가 있게된다. 그런 다음, 유체안내요소는 도관수단을 따라 더욱 더 눌려져서, 제9도에 도시한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후, 유체는 카테테르에서 관(62)을 경유하여 간격자(82) 둘레를 흐른 후 연결관(76,63)을 통해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 내부로 배출된다. 이 유체의 흐름은 도면부호 86으로 도시되어 있다.
유체안내요소는 더욱 더 이동하여 제10도에 도시한 위치에 이르고, 여기서 도면부호 8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가 신선한 유체백 및 카테테르 사이로 흐르고 간격자(83) 둘레를 흐르게 된다. 이 위치에서, 밀봉 플러그(70)는, 제9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유체가 신선한 유체백으로 또는 유체백으로부터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처럼, 관(76)을 지나 속이 비어있는 백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막는다.
제10도에서, 도면부호 89는 플런저(74)의 단부를 가리킨다.
마지막으로, 유체안내요소는 제11도에 도시한 위치로 눌려지고, 이 위치에서 플러그(71, 72, 73)는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현재는 카테테르에서 배출된 유체로 가득 채워져 있다), 카테테르 및 “신선한” 유체백(현재는 비어있다)에 연결되는 출구를 각각 밀봉한다. 카테테르 및 그 연결수단(64)은 연결장치에서 제거되어 완전히 밀봉될 수도 있다. 현재 완전히 채워진 유체백, 그 연결관(63,76) 및 사용된 유체안내요소를 포함하는 연결요소(60)는 폐기된다. 연결요소(59) 및 그에 연결된 현재 비어있는 유체백은, 연결요소(70) 및 원래 비어있던 유체백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계속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제7도 내지 제11도의 연결장치가 사용되는 동안, 모든 유체는 관(59,60,64)으로 대표되는 중간 도관수단을 경유하여 카테테르 및 두개의 유체백 사이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유체교환은 폐쇄된 환경에서 수행되므로 감염의 위험성이 없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도면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주요 요소중 하나는 카테테르 및 그 연결수단이고, 연결수단은 관의 형태를 취하며 그 측벽에는 유연한 카테테르 관이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유연한 카테테르 관 및 연결수단의 내측 사이를 흐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결수단 내측에 설치된 탄성 플러그에 의해, 연결수단이 외부와 접촉하게 될 때 카테테르는 항상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연결수단의 구성에 의해, 유사한 형상의 연결요소를 연결수단의 양단부에 장착할 수 있게되어 연결수단 내측의 플러그는 인접한 연결요소내로 눌려질 수도 있고, 및/또는 제2밀봉 플러그 또는 다른 유체안내요소가 인접한 연결요소로 부터 카테테르 연결수단내로 눌려질 수 있다. 그러한 유체안내요소의 (함께 중간도관수단을 형성하는) 연결요소를 통한 순차적인 이동에 의해, 밀봉환경에서 유체교환을 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을 받지는 않는다. 특히, 상호 연결되는 둘 이상의 의료기기간의 여러가지 다른 범위의 유체 흐름 패턴을 얻기 위하여, 다른 형상 및 다른 배열로 된 유체안내요소(예를 들어, 밀봉 플러그, 간격자 등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장치를 더욱 단순하게 구성하면, 경우에 따라 제1단계의 동작(즉, 신선한 유체백으로부터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으로 유체를 공급할 때의 시스템의 세척)을 수행하는 유체안내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연결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지지수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수단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연결장치의 경우처럼, 여러 가지로 변형된 형태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는 눈이 손상되었다거나 손의 거동이 불편한 따위의 신체적인 결함이 있는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지지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12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연결장치를 보인 것이다. 연결장치는 도면부호 99로 도시된 보호 하우징 형태의 지지수단과, 하우징내에 장착되어 연결장치를 통해 유체안내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연결장치는 CAPD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연결장치의 작동기구는, 사용자가 요구되는 단계를 통해 유체안내요소를 순차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이차적인 동작을 여러번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 단계의 종료시점에서, 장치는 다음번의 사용에 앞서 리세트되어야만 한다. 제12도 내지 제20도의 연결장치에는 이차적인 동작이 필요없고 매번 사용후에 리세트할 필요가 없는 바람직한 작동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제13도의 경우, 사용시, 새로운 유체백(102)의 연결수단(101)은 연결장치의 지지수단내의 클립(103)내에 놓인다.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의 연결수단(104)은 클립(106)내에 놓인다. 카테테르 연결수단(107)은 클립(108)내에 놓인다. 조임장치레버(118)(제15도 참조)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수단(101,104,107)을 결합시킨다.
밀봉 세트(유체안내요소)(109)(제17(a)도)를 순차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레버(110)를 누르면, 평기어(111)가 회전하여 112, 112a로 도시되어 있는 상호 연결된 일련의 “누름편”으로 구성된 체인(113)을 구동시킨다. 일위치(제17(b)도)만큼 체인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일위치 만큼 밀봉 세트(109) 또한 전방으로 밀려나간다.
이러한 단계가 4번 반복되면 완전한 유체백 교환이 이루어지며, 그동안에 제16도에서 도면부호 112로 도시된 요소는 완전히 채워진 유체백 연결수단내로 완전하게 이동하고, 요소(112a)는 속이 비어있는 유체백 연결수단(104) 밖으로 완전하게 이동한다. 완전히 채워진 유체백 연결수단(101)은 다음의 유체교환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속이 비워진다. 연결장치는 재사용에 앞서 리세트될 필요가 없으며, 구동체인(113)은 연결장치를 통해 신선한 유체안내요소 세트를 구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놓인다.
연결장치의 지지수단(99)내에 장착되고 고정되는 연결수단(101,104,107)으로 인해, 체인(113) 및 밀봉 세트(109)로부터 연속하는 루프(114)(제16도)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루프(114)를 형성하는 이동부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과 관련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경우에 따라 유체안내요소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 연결장치의 조작자는 레버(110)에 연결된 작동기구를 분리시키는 일위치에서 레버(116)에 연결된 작동기구를 결합시키는 다른 위치로 상호 잠금 스위치(115)를 이동시키게 된다. 레버(116)의 작동에 의해, 루프를 형성하는 이동부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99)은, 제12(a)도에는 폐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제12(b)도에는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보호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101, 104, 107)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도관수단을 통해 기어(111)에 의해 구동되는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 밀기요소(112, 112a)로 이루어진 체인(113)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19도는 체인(113)의 구성요소를 더욱 상세하게 보인 것이고, 제20도는 사용시 체인이 기어(111)에 연결되는 방식을 보인 것이다. 체인은 다수의 세트로 된 누름편으로 만들어지고, 세트로 된 누름편은 각각 2개의 단부요소(112a)와 8개의 중간 연결요소(112)로 구성된다. 각 세트의 단부요소는 인접한 세트의 단부요소에서 분리될 수 있어서, 연결수단(101,104,107)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매번 유체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체인을 리세트할 필요없이 제거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Claims (15)
- 두 의료기기의 개방단부를 함께 연결하여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두 의료기기의 각각의 개방단부가 연결되는 두개의 입구를 구비한 중간 도관수단과; 상기 중간 도관수단 안쪽에 위치하고 그 안에서 단부와 단부가 접촉되는 상태에서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여 각각의 유체안내수단이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중간 도관 수단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유체 안내 수단에 각각이 인접한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가 서로 인접하게 되어 있는 다수의 유체안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의료기기가 도관수단의 입구에 연결될 때, 도관수단 내측의 유체안내수단의 선형적인 위치에 따라, 중간 도관수단을 통해 두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중간 도관수단 내부에서 상기 유체 안내수단이 유체흐름을 위해 상기 중간 도관수단에서 모든 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유체안내수단이 상기 연결장치에 연결된 상기 두 개의 의료기기사이에서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제2위치까지, 상기 중간 도관수단의 모든 입구가 상기 중간 도관수단 및 상기 두 개의 의료기기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폐쇄되는 제3위치까지 이동가능하며, 상기 유체 안내 수단이 한 방향으로 한 위치에서 다음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도관수단은 원통형 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수단을 소정의 위치로 편이시키기 위한 편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편이 스프링에 의해 연결장치에 연결된 의료기기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막는 위치로 편이되지만, 소정의 유체 흐름이 허용될 수 있도록 편이수단의 작용을 극복하면서 이 위치 밖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중간 도관수단과 밀봉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밀봉요소를 포함하여, 하나이상의 입구를 유체흐름으로부터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요소 각각이 연속주변 밀봉체를 상기 중간도관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중간도관수단에서 적절히 위치할 때 상기 중간도관수단의 두 입구사이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도관수단의 입구간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유체안내수단의 다른수단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간격자 형태를 취하며, 상기 간격자는 상기 중간 도관수단의 둘 이상의 입구 사이에서 간격자 둘레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도관수단내에서 유체안내수단을 이동시키거나 유체안내수단의 이동을 돕는 구동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중간도관수단의 일단부의 외측으로부터 조정가능한 플런저를 구비하며, 상기 플런저는 내리눌려지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중간도관수단을 통해 상기 유체안내수단이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CAPD를 수행할 때 유체교환중에 입구를 구비한 카테테르, 카테테르를 통해 몸에서 배출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백 및 카테테르를 통해 몸안으로 주입되는 신선한 유체로 채워져 있으며 출구를 구비한 신선한 유체백을 상호 연결하고 그들간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연결장치는 사용시 신선한 유체백 출구와 수용백 입구에 인접하여 위치할 때 신선한 유체백으로부터 수용백으로 유체가 흐르게 하지만 카테테르 안으로 또는 밖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제1유체안내수단과; 사용시 카테테르 입구와 수용백 입구에 인접하여 위치할 때 카테테르로부터 수용백으로 유체가 흐르게 하지만 신선한 유체백 안으로 또는 밖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제2유체안내수단과; 사용시 신선한 유체백 출구와 카테테르 입구에 인접하여 위치할 때 신선한 유체백으로부터 카테테르로 유체가 흐르게 하지만 수용백 안으로 또는 밖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제3유체안내수단과; 도관수단내에서 카테테르 입구와 두 유체백의 출구에 걸쳐 위치할 때 상기 중간도관수단과 의료기기간의 유체의 흐름을 막는 제4유체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1연결수단 및 제2연결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의료기기의 개방단부를 밀봉시키며, 상기 제1연결 수단 및 상기 제2연결수단 각각이 상기 의료 도관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단부와 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상태에 적합하게된 각각의 길이들을 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수단 및 상기 제2연결 수단 각각이 유체 안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유체 안내수단은 상기 중간 도관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게 상기 연결수단을 위치시키자마자 상기 중간 도관 수단 안쪽에 위치되며, 이로써 상기 연결장치가 모듈러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수단이 상기 중간 도관수단 내에서 제1한정위치로부터 두 개의 중간 위치를 통해 제2한정위치로 까지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한정위치에서는 상기 유체안내수단이 상기 중간 도관수단으로 부터 세 개의 의료기기를 밀봉시킬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중간위치에서는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중간 도관수단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기 각각을 밀봉시켜 나머지 두개의 의료기기내에서 상기 중간도관수단을 통한 유체흐름을 허용하며, 상기 제2한정위치에서는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중간 도관수단으로부터 세 개의 의료기기 모두를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제1연결수단, 제2연결수단 및 제3연결수단을 구비하며, 각각이 의료기기의 개방단부를 밀봉시키고 상기 중간도관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인접한 위치가 되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및 제3연결수단이 상기 유체안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유체 안내수단은 상기 중간도관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연결수단을 위치시키자마자 제1한정위치에서 상기 중간 도관수단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제1한정위치에서는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중간도관수단으로부터 세 개의 상기 의료기기 모두를 밀봉시키며, 상기 유체 안내수단은 두 개의 중간 위치를 통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유체 안내수단은 상기 중간안내수단으로 부터 상기 의료기기 각각을 밀봉시켜 나머지 두 개의 상기 의료기기 사이에서 상기 중간 도관수단을 통해 제2한정위치로까지 유체흐름을 허용하며, 상기 제2한정위치에서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세 개의 상기 의료기기 모두를 상기 중간도관수단으로 부터 밀봉시키며, 상기 중간 도관수단은 상기 유체안내수단이 그의 제2한정위치에 있을 때 서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제2한정위치에서는 각각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의료기기중 하나의 개방단부를 밀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체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도관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게 상기 연결수단을 위치시키자 마자 상기 유체 안내수단이 제1한정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한정위치에서는 상기 유체안내수단은 상기 중간도관수단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기를 밀봉시키며, 상기 유체안내수단이 중간위치를 통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중간위치에서는 상기 유체 안내수단은 상기 의료기기사이에서 상기 중간 도관수단을 거쳐 제2한정위치까지 유체흐름을 허용하며, 상기 제2한정위치에서는 상기 유체안내수단이 상기 의료기기를 상기 중간도관수단으로부터 밀봉시키며, 상기 제1연결수단 및 제2연결수단은 상기 유체 안내수단이 그 제2한정위치에 있을 때 분리가능하며, 상기 제2한정위치에서, 각각의 상기 연결수단은 각각의 상기 의료기기의 개방단부를 밀봉시키는 하나이상의 상기 유체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요소 각각이 연속주변 밀봉체를 상기 중간도관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9207532A GB9207532D0 (en) | 1992-04-07 | 1992-04-07 | Medical connection system |
GB9207532.4 | 1992-04-07 | ||
PCT/GB1993/000734 WO1993019808A1 (en) | 1992-04-07 | 1993-04-07 | Connec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700772A KR950700772A (ko) | 1995-02-20 |
KR100284507B1 true KR100284507B1 (ko) | 2001-03-15 |
Family
ID=1071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703483A KR100284507B1 (ko) | 1992-04-07 | 1993-04-07 |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5)
Country | Link |
---|---|
US (1) | US5620426A (ko) |
EP (1) | EP0680359B1 (ko) |
JP (1) | JPH07508430A (ko) |
KR (1) | KR100284507B1 (ko) |
AT (1) | ATE213655T1 (ko) |
AU (1) | AU676157B2 (ko) |
BR (1) | BR9306197A (ko) |
CA (1) | CA2133728A1 (ko) |
DE (1) | DE69331641T2 (ko) |
ES (1) | ES2173094T3 (ko) |
FI (1) | FI944681A0 (ko) |
GB (2) | GB9207532D0 (ko) |
NO (1) | NO943736L (ko) |
NZ (1) | NZ251742A (ko) |
WO (1) | WO199301980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100975C1 (de) * | 2001-01-11 | 2002-07-25 | Horst Pajunk | Spannadapter für einen Katheter |
US6698424B2 (en) | 2001-12-21 | 2004-03-0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dical connector for a respiratory assembly |
US7147252B2 (en) | 2001-12-21 | 2006-12-1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dical connector |
WO2005062796A2 (en) * | 2003-12-19 | 2005-07-14 | Medical Components, Inc. | Catheter button hub |
JP4744440B2 (ja) * | 2004-06-07 | 2011-08-10 | テルモ株式会社 | 接続具 |
US8062269B2 (en) | 2006-06-09 | 2011-11-22 | Baxter International Inc. | Fail safe dual chamber peritoneal dialysis/infusion system |
US8062316B2 (en) | 2008-04-23 | 2011-11-22 | Avinger, Inc. |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boring through blocked vascular passages |
US9125562B2 (en) | 2009-07-01 | 2015-09-08 | Avinger, Inc. | Catheter-based off-axi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ing system |
EP2424608B1 (en) | 2009-04-28 | 2014-03-19 | Avinger, Inc. | Guidewire support catheter |
JP6101078B2 (ja) | 2009-05-28 | 2017-03-29 | アビンガ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vinger, Inc. | バイオイメージングのための光コヒーレンストモグラフィ |
WO2011003006A2 (en) | 2009-07-01 | 2011-01-06 | Avinger, Inc. | Atherectomy catheter with laterally-displaceable tip |
WO2014039096A1 (en) | 2012-09-06 | 2014-03-13 | Avinger, Inc. | Re-entry stylet for catheter |
JP2013531542A (ja) | 2010-07-01 | 2013-08-08 | アビンガ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長手方向に移動可能なドライブシャフトを有するアテローム切除カテーテル |
US11382653B2 (en) | 2010-07-01 | 2022-07-12 | Avinger, Inc. | Atherectomy catheter |
US10548478B2 (en) | 2010-07-01 | 2020-02-04 | Avinger, Inc. | Balloon atherectomy catheters with imaging |
CA2831306C (en) | 2011-03-28 | 2018-11-20 | Avinger, Inc. | Occlusion-crossing devices, imaging, and atherectomy devices |
US9949754B2 (en) | 2011-03-28 | 2018-04-24 | Avinger, Inc. | Occlusion-crossing devices |
WO2013059363A1 (en) | 2011-10-17 | 2013-04-25 | Avinger, Inc. | Atherectomy catheters and non-contact actuation mechanism for catheters |
US9345406B2 (en) | 2011-11-11 | 2016-05-24 | Avinger, Inc. | Occlusion-crossing devices, atherectomy devices, and imaging |
EP2849636B1 (en) | 2012-05-14 | 2020-04-22 | Avinger, Inc.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ith graded index fiber for biological imaging |
US11406412B2 (en) | 2012-05-14 | 2022-08-09 | Avinger, Inc. | Atherectomy catheters with imaging |
EP2849660B1 (en) | 2012-05-14 | 2021-08-25 | Avinger, Inc. | Atherectomy catheter drive assemblies |
US9498247B2 (en) | 2014-02-06 | 2016-11-22 | Avinger, Inc. | Atherectomy catheters and occlusion crossing devices |
US11284916B2 (en) | 2012-09-06 | 2022-03-29 | Avinger, Inc. | Atherectomy catheters and occlusion crossing devices |
WO2014142958A1 (en) | 2013-03-15 | 2014-09-18 | Avinger, Inc. | Optical pressure sensor assembly |
EP2967371B1 (en) | 2013-03-15 | 2024-05-15 | Avinger, Inc. | Chronic total occlusion crossing devices with imaging |
EP2967507B1 (en) | 2013-03-15 | 2018-09-05 | Avinger, Inc. | Tissue collection device for catheter |
WO2015006353A1 (en) | 2013-07-08 | 2015-01-15 | Avinger, Inc. | Identification of elastic lamina to guide interventional therapy |
CN106102608B (zh) | 2014-02-06 | 2020-03-24 | 阿维格公司 | 旋切术导管和闭塞穿越设备 |
CN107106190B (zh) | 2014-07-08 | 2020-02-28 | 阿维格公司 | 高速慢性全闭塞部横穿装置 |
EP3322338A4 (en) | 2015-07-13 | 2019-03-13 | Avinger, Inc. | MICRO-MOLDED ANAMORPHOSING REFLECTIVE LENS FOR IMAGERY-GUIDED DIAGNOSTIC / THERAPEUTIC CATHETERS |
JP6927986B2 (ja) | 2016-01-25 | 2021-09-01 | アビンガ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vinger, Inc. | 遅延補正を備えたoctイメージングカテーテル |
EP3435892B1 (en) | 2016-04-01 | 2024-04-03 | Avinger, Inc. | Atherectomy catheter with serrated cutter |
WO2017210466A1 (en) * | 2016-06-03 | 2017-12-07 | Avinger, Inc. | Catheter device with detachable distal end |
EP3478190B1 (en) | 2016-06-30 | 2023-03-15 | Avinger, Inc. | Atherectomy catheter with shapeable distal tip |
WO2021076356A1 (en) | 2019-10-18 | 2021-04-22 | Avinger, Inc. | Occlusion-crossing device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19151A (en) * | 1972-09-22 | 1974-06-25 | C Kish | Flexible valve |
GB1513722A (en) * | 1974-06-26 | 1978-06-07 | Renold Ltd | Damper apparatus for applying a tensioning force to a member |
US4291706A (en) * | 1978-09-26 | 1981-09-29 | Intermedicat Gmbh | Valve for closing a plurality of container outlets simultaneously |
US4306705A (en) * | 1979-01-22 | 1981-12-22 | Svensson Jan A | Slide valve and coupler assembly |
DE3518575A1 (de) * | 1985-04-19 | 1986-10-23 |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Deerfield, Ill. | Mehrwegeventil |
US4877057A (en) * | 1986-03-12 | 1989-10-31 | Wormald, U.S. Inc. | Pressure equalizing valve |
US4821996A (en) * | 1987-01-28 | 1989-04-18 |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 Fluid flow control valve and transfer set |
US5100377A (en) * | 1989-03-28 | 1992-03-31 | Dexide, Inc. | Medical evacuation and irrigation device |
US5247966A (en) * | 1991-01-11 | 1993-09-28 | Tahoe Surgical Instruments, Inc. | Suction irrigator valve apparatus |
-
1992
- 1992-04-07 GB GB9207532A patent/GB9207532D0/en active Pending
-
1993
- 1993-04-07 NZ NZ251742A patent/NZ251742A/en unknown
- 1993-04-07 JP JP5517275A patent/JPH07508430A/ja not_active Ceased
- 1993-04-07 KR KR1019940703483A patent/KR1002845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04-07 DE DE69331641T patent/DE69331641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04-07 BR BR9306197A patent/BR9306197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04-07 US US08/302,846 patent/US562042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04-07 AT AT93909043T patent/ATE213655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04-07 CA CA002133728A patent/CA2133728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3-04-07 EP EP93909043A patent/EP068035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04-07 ES ES93909043T patent/ES2173094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04-07 AU AU39590/93A patent/AU676157B2/en not_active Ceased
- 1993-04-07 GB GB9418593A patent/GB2280247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04-07 WO PCT/GB1993/000734 patent/WO1993019808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4
- 1994-10-05 NO NO943736A patent/NO943736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4-10-06 FI FI944681A patent/FI944681A0/fi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9418593D0 (en) | 1994-11-02 |
FI944681A (fi) | 1994-10-06 |
GB9207532D0 (en) | 1992-05-20 |
US5620426A (en) | 1997-04-15 |
EP0680359B1 (en) | 2002-02-27 |
KR950700772A (ko) | 1995-02-20 |
CA2133728A1 (en) | 1993-10-14 |
NO943736L (no) | 1994-11-28 |
NO943736D0 (no) | 1994-10-05 |
AU3959093A (en) | 1993-11-08 |
ES2173094T3 (es) | 2002-10-16 |
ATE213655T1 (de) | 2002-03-15 |
GB2280247A (en) | 1995-01-25 |
DE69331641D1 (de) | 2002-04-04 |
NZ251742A (en) | 1996-11-26 |
WO1993019808A1 (en) | 1993-10-14 |
GB2280247B (en) | 1995-08-30 |
FI944681A0 (fi) | 1994-10-06 |
DE69331641T2 (de) | 2002-10-31 |
EP0680359A1 (en) | 1995-11-08 |
JPH07508430A (ja) | 1995-09-21 |
BR9306197A (pt) | 1998-06-23 |
AU676157B2 (en) | 1997-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84507B1 (ko) | 연결장치 | |
EP0080485B1 (en) | Antimicrobial ultraviolet irradiation of connector for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 |
US5417667A (en) | Catheter access system and method | |
US2005024588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ration of IV liquid medication and IV flush solutions | |
US4512764A (en) | Manifold for controlling administration of multiple intravenous solutions and medications | |
US495023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agless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 |
US6050978A (en) | Needleless valve connector | |
EP0851778B1 (en) | Peritoneal dialysis tube connection with dual disinfectant system | |
US5190067A (en) | Directional flow control | |
CN100518850C (zh) | 可反转的多管腔导管 | |
US5289849A (en) | Control of fluid flow | |
US7892210B2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dministration of IV liquid medication and IV flush solutions | |
US5454792A (en) | Linear slide valve for CVC access | |
US20040221904A1 (en) | Fluid manifold control device | |
JPH1015079A (ja) | 医用装置用の弁付きアダプタ | |
WO1988006895A1 (en) | Bagless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 |
US5217432A (en) | Automated drug infusion manifold | |
WO2017037144A2 (en) | Removable unit for a mechanical connecting device for medical purposes, particularly for peritoneal dialysis | |
KR101526609B1 (ko) | 커플링 장치 및 그 사용방법 | |
US20110264070A1 (en) | Device for infusion of prescription medicines or treatments | |
WO1999022805A1 (en) | Roller clamp-connector assembly | |
KR200406643Y1 (ko) | 정맥 주사용 의료기구 | |
SU1091846A3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единени двух магистрале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