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340B1 - 화상 검색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록 캐리어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검색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록 캐리어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340B1
KR100283340B1 KR1019920701148A KR920701148A KR100283340B1 KR 100283340 B1 KR100283340 B1 KR 100283340B1 KR 1019920701148 A KR1019920701148 A KR 1019920701148A KR 920701148 A KR920701148 A KR 920701148A KR 100283340 B1 KR100283340 B1 KR 100283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ne
coded
coded pictur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제프마리아카텔티메르만스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1260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8334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NL9002113A external-priority patent/NL9002113A/nl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computer file, document page or paper sheet, e.g. a fax cover shee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H04N1/217Interfaces allowing access to a single user
    • H04N1/2175Interfaces allowing access to a single user with local image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device, e.g. in a memory or on a display separate from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04N1/3935Enlarging or reducing with modification of image resolution, i.e. determining the values of picture elements at new relative pos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6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r the storage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Details therefor, e.g. coding or decod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6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r the storage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Details therefor, e.g. coding or decoding means therefor
    • H04N1/646Transmitting or storing colour television type signals, e.g. PAL, Lab; Their conversion into additive or subtractive colour signals or vice versa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7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8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9/888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17Card-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11B2220/255CD-I, i.e. CD-interact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6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volving multiple description coding [MDC], i.e. with separate layers being structured as independently decodable descriptions of input pictu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type information, e.g. handwritten or text docu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4Orientation, e.g. landscape or portrait; Location or order of the image data, e.g. in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기록 캐리어(184) 및 판독 장치(11)를 구비한 화상 검색 시스템을 기술한다. 연속 코드화된 화상 라인으로 구성된 코드화 화상(8TV, 16TV, 64TV, 256TV)은 기록 캐리어(184)의 연속 트랙(20)에 기록된다. 그 판독 장치는 트랙에 기록된 코드화 화생 라인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 헤드(280)에 의해 트랙을 주사하는 수단과, 소정의 검색 정밀도로 선택된 어드레스를 갖는 트랙부로 판독 헤드(28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코드화 화상 라인(APDB)과 함께 라인 수(LN) 및 라인 동기화는 트랙(20)에 기록된다. 그 라인 수는 코드화 화상내에 관련된 화상 라인의 순서 번호를 지정한다. 그 라인 동기화는 관련된 화상 라인의 시작을 지정한다. 더욱이, 코드화 화상의 코드화 화상 라인의 수에 대한 어드레스(ADLN#1,....,ADLN#1009)는 관련된 화상 라인이 트랙(20)에 기록되는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트랙부(IIDB)에 기록된다. 그 장치는 트랙부(IIDB)로부터 판독된 어드레스를 기초로 하여 코드화 화상 라인을 검색하기 위한 수단(104)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검색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록 캐리어 및 장치
본 발명은 기록 캐리어 및 판독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코드화된 화상 라인(consecutive coded picture lines)으로 이루어진 코드화된 화상이 상기 기록 캐리어의 인접 트랙에 기록되고, 상기 트랙에는 어드레스가 제공되며, 상기 판독 장치는 트랙을 주사하여 기록된 코드화 화상을 판독 하기 위한 판독 헤드와, 상기 판독 헤드를 특정한 검색 정밀도로 선택된 어드레스를 갖는 트랙부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록 캐리어 및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시스템, 기록 캐리어 및 판독 장치는 Kluwer(ISBN 902012129)에 의해 발행된, "컴팩트 디스크 인터액티브, 설계자의 개관(Compact Disc Interactice, a designer's overview)'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책에는 컴팩트 디스크상에 코드화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소위 CD-1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그 기록된 코드화 화상의 표시는 CD-I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화된 화상의 선택된 부분의 확대된 표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과 같은, 특정한 화상 처리 동작을 위해서는, 기록된 코드화 화상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판독되어야 한다. 코드화된 화상의 전체 판독 시간은 코드화된 고해상도 화상에 대하여 길어질 수 있으므로, 코드화된 화상 라인들이 선택적으로 검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된 코드화된 화상 라인이 기록된 상기 트랙의 부분들이 신속하게 검색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코드화된 화상 라인들과 함께 라인 동기화(line synchronizatinos) 및 라인 번호(line numbers)가 상기 기록 캐리어 상에 기록됨으로써 달성되는데, 각 라인 번호는 코드화된 화상내의 관련된 코드화 화상 라인의 순차 번호를 지정하고, 각 라인 동기화는 관련 코드화 화상 라인의 시작을 지정하며, 코드화된 화상중의 다수의 코드화된 화상 라인들에 대한 어드레스가 또한 기록 캐리어상에 기록되고, 상기 어드레스는 관련된 화상 라인이 트랙내 어디에 기록되었는지를 지정하며, 상기 장치는 선택된 코드화 화상내의 코드화 화상 라인을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된 화상의 화상 라인의 기록된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수단과, 상기 판독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의 기록이 시작되는 트랙부 앞에 위치한 트랙부에 대한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된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트랙부로 상기 판독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판독된 라인 번호 및 라인 동기화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의 시작부의 판독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파일내 모든 코드화된 화상 라인에 라인 동기화 및 라인 번호를 부가하고, 다수의 코드화된 화상 라인의 어드레스를 기록함으로써, 원하는 코드화된 화상라인의 기록 시작부 앞의 짧은 거리에 위치한 트랙부의 어드레스를 신속히 찾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코드화된 화상 라인의 저장을 위해 필요한 트랙 공간이 화상 라인별로 변화하는, 가변-길이 코딩(variable-length coding)이 화상 코딩을 위해 선택되면 특히 유리하다. 상기 경우에, 특정한 코드화 화상 라인의 기록이 시작하는 트랙 위치는 더 이상 제 1 코드화 화상 라인의 기록 시작 위치와 명확히 구별되어 얻어질 수 없다.
더욱이, 라인 동기화 및 라인 번호의 부가는, 잘못된 판독의 경우에 에러 전파(error propagation)가 기껏해야 하나의 코드화 화상 라인의 길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는, 매 화상 라인의 시작부에서 라인 번호가 알려지고 그 코드화 라인의 시작점이 알려지므로, 잘못 판독된 화상 라인의 디코딩 및 재생은 간단히 복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시스템의 한 실시예는, 코드화 화상 라인의 기록된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위치들 사이에 위치되는 트랙부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검색 정밀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독 헤드의 변위동안, 그 헤드가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에 선행하는 코드화 화상 라인을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갖는 부분으로 이동된다면, 그 판독 헤드는 변위 이후에 원하는 코드화 화상 라인의 기록이 시작되는 위치 앞에 배치된 위치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상기 방법으로, 판독 헤드의 변위 이후에 반대 방향으로 판독 헤드를 다시 변위시켜야 할 필요가 없어진다. 판독 헤드의 변위가 종료되는 순간부터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에 도달하는 순간까지의 대기 시간이 제한되어, 전체적으로 짧은 액세스 시간이 달성된다. 더우기, 화상 라인 번호의 어드레스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트랙 공간은 최소한이다.
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트랙이 나선형 트랙이고, 판독 헤드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판독 헤드를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응되며,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기록된 어드레스들에 의해 지정된 위치 사이에 배치된 트랙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나선형 트랙의 1회전 길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는, 나선형 트랙상을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판독 헤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검색 정확도(search accuracy)는 나선형 트랙의 1회전 길이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절반에 대응한다는 사실을 최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31도를 참조하여 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a도, 제1b도 및 제1c도는 화상 기억 시스템,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과, 단순화된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을 각각 도시한다.
제2도는 기록 캐리어상에 화상 정보를 기록하는데 적합한 포맷을 도시한다.
제3도는 화상 정보의 적합한 코딩을 도시한다.
제4도는 화상 정보의 코딩에서 사용될 적합한 잔류 코딩을 도시한다.
제5도는 해상도가 증가하는 일련의 코드화 화상에 대한 화상의 컬러 정보의 적합한 배열을 도시한다.
제6도는 잔류 코드화 화상(residually coded picture)을 포함하고 있는 서브 화일의 포맷을 도시한다.
제7도는 기록 캐리어상에 적합한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는 기록된 코드화 화상 라인을 도시한다.
제8도는 화상 라인들으로 이루어진 화상을 도시한다.
제9도는 다수의 서로 다른 화상 처리 기능들을 도시한다.
제10도는 선택적인 재생 세팅에 따라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검색 및 재생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1도는 기록 캐리어상에 선택적인 재생 세팅을 기록하는데 적합한 포맷을 도시한다.
제12도는 비 휘발성 메모리내에 본 발명의 재생 세팅을 기억시키는데 적합한 포맷을 도시한다.
제13도는 16개의 저해상도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모자이크 화상을 도시한다.
제14도는 단순화된 화상검색 및 재생 시스템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제15도는 제어 데이타 그룹이 패킷으로 배열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6a도 및 제16b도는 제14도에 도시된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용 데이타 추출 회로(data extraction circuit)를 도시한다.
제17도는 데이타 기억 시스템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제18도는 화상 기억 시스템용 레코딩 유닛을 도시한다.
제19도는 CD-ROM XA 포맷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제20도는 CD-I포맷에 따라 화상 정보가 기록되었을 때 기록 캐리어의 적합한 조직을 도시한다.
제21도, 제23도 및 제24도는 CD-I 포맷에 따라 기록된 정보가 블럭으로 분할될 때 다수의 서로 다른 해상도에 대한 절대 코드화 화상의 화상 라인에 대한 적합한 구성을 도시한다.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화상 라인으로 이루어진 화상을 도시한다.
제25도는 화상처리 유닛의 예를 도시한다.
제26도 내지 제27d도는 화상처리 유닛에 의해 수행될 화상처리 기능을 도시한다.
제28도는 판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9도 및 제31도는 단순화된 화상처리 유닛의 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제30a도 내지 제30d도는 제29도 및 제31도에 도시된 단순화한 화상처리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다.
제 1a 도는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는 화상 기억 시스템(12)을 도시한다. 화상 기억 시스템(12)은, 예를 들어 스트립-형상 포토그래픽 네가티브(strip-shaped photographic negative) 또는 슬라이드(slide)와 같은, 화상 캐리어(3)상의 화상을 스캐닝하기 위한 화상 스캐닝 유닛(1)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 스캐닝 장치(1)는 스닝하여 얻어진 화상 정보를 코딩하기 위한 화상 코딩 유닛을 더 포함한다. 코드화된 화상 정보는 제어 유닛(4)의 제어하에, 기록 유닛(5)에 의해 기록 캐리어(184)상에 기록된다. 기록하기 전에, 제어 유닛(4)은, 예를 들면 코드화된 화상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화상 표현을 개선하거나 정정하거나 편집하는 것과 같은, 선택적 화상 처리(optional picture processing)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제어 유닛은 공지되어 있는 화상 처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 유닛(5)은, 예를 들어 광학적(optical)이거나 자기(magnetic) 또는 광자기(magneto-optical)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및 광자기 기록 장치의 높은 저장 용량을 고려할 때, 광 또는 광자기 기록 장치를 사용하는 양호하다, 제어 유닛(4)은, 예를 들어 적합한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워크 스테이션이라 불리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b 도는 화상 기억 시스템(12)에 의해 기록 캐리어(184)에 기억된 코드화된 화상의 표현(representations)을 검색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을 도시한다. 상기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13)은 제어 유닛(7)의 제어하에 선택된 코드화 화상의 위치를 찾아 판독하는 판독 유닛(6)을 포함한다. 이렇게 판독된 코드화 화상의 표현은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어 제어 유닛(7)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8)이나, 판독된 코드화 화상 표현의 하드 카피(hard copy)(15)를 생성하는 전자 이미지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13)은 부가적인 기록 장치(additional recording device)(5a)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에 의해 코드화 화상 정보는 개선이나 정정 또는 편집을 위해 제어 유닛(7)에 의해 실행되는 선택적 화상 처리 동작 후에 판독 유닛(6)에 의해 판독된다.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13)내의 제어 유닛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또는 워크 스테이션 같은, 적당한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이러한 시스템이 실행할 제어 작업 및 선택적 화상 처리에 매우 적합하지만 상당히 비싸다는 결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 및 화상처리 기능의 복잡성 때문에, 제어 유닛용의 그러한 비싼 컴퓨터 시스템은 전자 이미지 프린터(9)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선택된 코드화 화상을 단지 디스플레이하기만을 원한다면,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 스테이션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의 연산 능력 및 기억용량은 실행될 제어 기능에 비해 높다. 이 경우에는 제한된 연산 및 기억 용량과 제한된 데이타 처리 속도를 가지는 간단한 제어 유닛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c 도는 이러한 간단한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14)을 도시한다. 이 간단한 시스템(14)은 디스플레이 장치(10)와, 판독 유닛(6)을 포함하는 화상 검색 및 판독 유닛(11)을 포함한다. 검색 및 판독 동작과, 만약 적용 가능하다면 제한된 화상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은, 유닛(10 및 11)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닛(11)이 적당하다. 제어 유닛이 검색 및 판독 유닛(11)에 설치될 때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른 무엇보다, 표준 TV 세트나 모니터 장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는, 소비자가 화상의 표시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검색 및 판독장치만을 구입하면 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이용에 특히 유리하다.
가격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제 1a 도에 도시한 화상 기억 시스템(12)과 제1b도에 도시한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13)은, 예를 들어 사진 처리 실험실 등에서의 중요한 용도에 대해서 특히 적합하다.
코드화된 화상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미리 정한 포맷과 순서로 기록 캐리어 위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도는 적당한 형식과 순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코드화된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화일은 참조표시 IP1, ..., IPn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화일 IP1, ..., IPn을 화상 파일(picture files)이라 부른다. 또한, 복수의 제어 화일(BB)이 기록되어 있다. 이화일은, 판독 화상 데이타에 선택적 화상 처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목적 및 코드화된 화상 정보의 표현(representatinos)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목적으로, 코드화된 화상 정보의 판독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데이타의 일부분이 화상화일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양호하게는, 제어 데이타의 상기 일부분은 관련된 화상 화일에 포함된 코드화된 화상 정보를 판독, 디스플레이 및 화상 처리의 제어에 특히 관련된 부분이다. 이것의 장점은, 필요한 제어 데이타가 필요한 순간, 즉, 화상화일이 판독되는 순간에 이용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화상 화일(Ip) 및 관련된 제어 화일(BB)과는 달리 많은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text)정보와 같은, 추가 정보를 갖는 화일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디오 및 텍스트 정보는, 예를 들면 코드화 화상 정보에 관련되어서, 관련된 코드화 화상 정보의 표현이 디스플레이될 때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추가 정보를 가지는 화일은 ADD라고 참조표시하고, 예를 들면 코드화 화상 정보 다음에 기록할 수 있다.
기억된 모든 화상에 대해서 화상 화일은 복수의 서브 파일을 포함하는데, 그 각각은 동일한 스캐닝된 화상의 하나의 표현(a representation)을 정의하고, 상기 코드화 화상들에 의해 정의된 표현들의 해상도들은 서로 다르다. 제 2도에서 화상 화일(IP1)에 대한 서로 다른 서브 화일들은 TV/4, TV, 4TV, 16TV, 64TV, 256TV라는 참조 표시를 가지고 있다. 서브화일 TV는 실질적으로 표준 NTSC 또는, PAL TV화상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가지는 스캔된 화상의 표시를 정의한다. 이러한 화상은, 예를 들면, 각각 768 픽셀을 가지는 512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화일 TV/4는 해상도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서브화일 TV에 의해 표시된 화상의 해상도에 대해서 선형으로 2만큼 줄어든 해상도를 가지는 스캔된 화상을 표시한다. 서브화일 4TV, 16TV, 64TV 및 256TV는 수평 및 수직 해상도가 선형적으로 각각 2배, 4배, 8배 및 16배 증가한 화상 표시를 정의한다. 양호하게는, 서브 화일은 연속된 코드화 화상에 의해 정의된 표시의 해상도가 선형적으로 2단씩 증가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재생동안 일련의 서브화일들이 일반적으로 연속하여 읽혀질 때는, 먼저 해상도가 낮은 화상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다음에 이 표시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해상도가 증가되는 쪽의 동일화상의 표시로 대체시키는 것이 간단하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화상 표시가 나타나기 전의 기다리는 시간이 최소로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필요한 정보의 양이 제한되기 때문에, 저해상도 표시를 정의하는 코드화된 화상의 판독 시간은 고해상도 표시를 정의하는 코드화된 화상의 판독 시간에 비해서 짧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화상의 표현은, 화상이 일정한 휘도값 및 일정한 칼라 값으로 된 작은 영역들의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표시에서 일정 칼라 값을 가지는 영역이 일정 휘도값을 가지는 영역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통례이다.
이제부터 일정 칼라 값을 가지는 영역을 칼라 픽셀(color pixel)이라 하고 일정 휘도값을 가지는 영역을 휘도 픽셀(luminance pixel)이라 한다. 전체 화상 폭과 같은 폭을 가지는 칼라 픽셀의 행(row)을 이하에서는 칼라 화상 라인이라고 한다. 전체 화상 폭과 같은 폭을 가지는 휘도 픽셀의 행을 이하에서는 휘도 화상 라인이라고 한다. 휘도 화상 라인과 칼라 화상 라인으로 표현되는 화상은, 각 화상 픽셀과 칼라 픽셀에 관련된 휘도 값과 칼라 값을 지정하는 디지탈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코드화된 화상에 의해 간단히 정의될 수 있다.
제3도는 칼라 픽셀과 휘도 픽셀로 구성된 화상의 구조를 도시한다. 휘도 픽셀은 참조기호(Y2.1,....., Yk-1.r-1)를 가진다. 칼라 픽셀은 참조기호(C2.1,....., Ck..r)를 가진다. 제3도에서처럼 보통 칼라 픽셀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크기는 휘도 픽셀의 크기의 두배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수평 및 수직방향의 칼라 정보의 해상도가 휘도 정보 해상도보다 절반정도로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절한 화상 코딩은, 하나의 디지털 코드 또는 디지털 코드들이 휘도 픽셀마다 및 칼라 픽셀 마다 할당되며, 상기 코드(들)는 휘도 성분(Y)의 절대값과 칼라 차성분(U 및 V)의 절대값을 각각 정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코딩을 이제부터는 절대 화상 코딩(absolute picture coding)이라 한다. 양호하게는, 많은 저 해상도 화상의 표현들은 절대 코드화된 화상으로 기록된다. 이것은 화상 정보가 간단한 방식으로 복구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특히 소비자 시장에 대한 그러한 시스템의 가격이 간단한 화상 디코딩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낮게 유지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단순화된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14)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다수의 절대 코드화된 화상을 구비한 화상 화일을 사용하는 것은, 고해상도 화상 표시의 윤곽 내에 작은 저해상도 화상의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는 복합 화상의 표현을 재생하는 것을 단순화시킨다. 이러한 복합 화상의 표현을 재생하는 것을 "화상 내 화상 (Picture In Picture)", 즉 "PIP"라고 한다. 더욱이, 동일한 화상을 서로 다른 해상도로 표현하는 것을 정의하는 복수의 절대 코드화된 화상을 기록하는 것은, 코드화된 화상의 세밀한 부분의 확대 표현을 재생하는것을 간단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또한, TELE-기능(TELE-function)(또는 줌-기능(ZOOM-function))이라고 한다.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절대 코드화된 화상의 유용성은, 몇몇의 TELE 기능 및 PIP기능에 대해서, 요구되는 화상 정보를 직접 이용할 수 있고 복잡한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부가 화상 처리 동작에 의해서 얻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상정보를 기록할 때, 코드화된 픽셀을 로우(즉, 라인)로, 또는 때로는 컬럼으로 기록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 사용하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화상 정보가 라인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라인으로 기록하는 것이 양호하다.
절대 코드화된 화상이 서브화일 TV/16, TV/4 및 TV에 기록될 때는 연속코드화 화상 라인들을 인접하여 기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기록 정보 배열 방식을 종종 "인터리빙(interleaving)"이라 한다. 이러한 방식의 장점은 비교적 많은 부분의 정보가 디스크의 흠집 또는 다른 이유로 검색될 수 없을 때, 코드화 화상의 표현에서 두개의 인접한 화상 라인이 잘못 재생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인접 화상 라인내에 결함이 있는 표현은 복구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것은 잘목판독된 픽셀(또는, 화상라인)이 두개의 정확히 판독된 화상 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표현의 경우는 아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잘못 판독된 픽셀(또는, 화상라인)들은 인접 화상 라인의 하나 또는 둘다로 부터 얻어진 픽셀(또는, 화상라인)로 간단히 대체될 수 있다. 잘목 판독된 픽셀은 또한 소위 에러 정정 코드의 사용으로 곧바로 복구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에러 정정 코드에 기초한 에러 정정은 상당히 복잡하고, 따라서 높은 비용을 고려할 때 가능하면 복잡한 회로의 사용을 피해야 하는 단순화된 화상 검색 및 재생 시스템(14)에서는 사용하기에 덜 적합하다.
화상 정보가 나선형 트랙을 갖는 디스크 형태의 기록 캐리어 상에 기록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코드화 화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필요한 트랙의 부분은 나선형 트랙의 복수의 회전수를 차지할 것이다. 잘못 판독된 화상 라인의 간단한 복구를 고려하면, 제 7 도 및 제 8 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생될 화상의 표현내에서 인접 화상 라인을 정의하는 코드화 화상 라인이 트랙 방향(접선 방향이라고도 함)으로도, 트랙을 가로지르는 방향(방사 방향이라고도 함)으로도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도는, 연속 화상 라인(l1...ln)으로 구성된 화상(80)이, 일련의 절대코드화된 화상 라인(BLa1, BLa3, BLa5, BLa7, BLa9, BLa11, BLa13, BLa2, BLa4,...)의 형태로 나선형 트랙(71)에 기록된 디스크 형태의 기록 캐리어(70)를 도시한다. 상기 절대 코드화 화상 라인(BLa1,...BLa13)은 각각 화상 라인(l1,...,l13)을 나타낸다. 절대 코드화 화상 라인은 연속 화상 라인의 정보가 방사 및 접선 방향으로도 인접하지 않는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도면부호(72)는 판독할 수 없는 디스크부분이며, 디스크 결함(defect)이라고도 부른다. 도시된 결함은 나선형 트랙(71)의 한 주회 이상으로 연장한다. 표현의 인접 화상 라인을 정의하는 코드화 화상 라인들이 서로 방사상 및 접선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표현에서 인접 화상 라인을 정의하는 코드화 화상 라인이 디스크 결함의 발생으로 인해 잘못 판독되는 것을 방지한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코드화 화상 라인(BLa)이 기록체 위에서 차지하는 길이가 실제보다 상당히 크게 도시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는, 디스크 결함이 연속적으로 기록된 복수의 코드화된 화상 라인을 차지하는 경우가 상당히 자주 있다. 인접 화상 라인이 인접하여 기록된 코드화된 화상 라인에 의해 정의되어서는 안된다는 요구 조건을 고려할 때 트랙에서 절대 코드화 화상 라인의 순서는 나선형 트랙의 주회 길이 및 절대 코드화 화상 라인을 기록하기 위해 요구되는 길이에 크게 의존한다. 절대 코드화된 화상 라인을 기록하는데 적당한 배열은 계속하여 보다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고해상도를 위해서는 절대 코드화 화상 정보의 기억은 기록될 정보량이 매우 많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고해상도의 화상에 대해서는 잔류 코딩(residual coding)이 매우 적합하다. 이 잔류 코딩에서는 고 해상도의 화상 픽셀의 신호값과 저 해상도 화상의 대응 부분의 신호값과의 차이가 결정되고 나중에 인코딩된다.
이 코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제 4도는 수평 및 수직 해상도를 두배 증가시키는 경우에, 저해상도 화상의 한 휘도 픽셀 Y와 이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의 네개의 휘도 픽셀 Y1,1'; Y2,1'; Y1,2'; 및 Y2,2'를 도시한다. 휘도 픽셀 Y1,1' ...., Y2,2'의 절대 휘도값 대신에 잔류 코딩은 휘도 픽셀 Y1,1' ...., Y2,2'와 휘도 픽셀 Y의 휘도값의 차이 (지금부터는 잔류 값(residual values)이라 한다)를 인코딩 한다. 이 방식으로 완전한 화상의 잔류값은 휘도 및 칼라 정보 모두에 대해서 결정될 수 있다. 0이거나 매우 작은 값인 잔류 값의 수가 큰 잔류값인 것의 수에 비해 커짐에 따라, 잔류값들이 비선형 양자화되고 계속하여, 예를 들면, 허프만 코딩(Huffman coding)으로 처리되는, 부가적인 코딩을 적용함으로써 실질적인 데이타 압축을 얻을 수 있다.
잔류 코드화 화상(residually coded picture)은 더 증가한 해상도를 갖는 화상의 새로운 잔류 코딩에 대한 기초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절대 코드화된 저해상도 화상과 증가하는 해상도를 가지는 일련의 잔류 코드화된 화상을 압축된 형태로 기록함으로써 증가하는 해상도들을 갖는 동일 화상의 표현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코드화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도에 도시된 화상 화일 IP1에서 서브화일 TV/4 및 TV의 화상은 절대 코드화 되고, 서브화일 4TV, 16TV, 64TV 및 256TV의 화상은 비선형 양자화 및 허프만 코딩으로 잔류 코드화 된다. 이 코드화된 화상을 이하에서는 간단히 잔류 코드화 화상(residually coded picture)이라 한다.
칼라 정보도 휘도 정보와 같은 방식으로 잔류 코드화 된다. 그러나, 연속적인 잔류 코드화된 칼라 정보의 수평 및 수직 해상도는 휘도 정보에서 처럼 두배가 아닌 네배로 증가한다. 이것은 단지 잔류 코드화된 휘도 신호만 가지고 칼라 정보를 갖지 않는 화상 화일(4TV 및 64TV)이 잔류 코드화된 휘도 정보 및 잔류 코드화된 칼라 정보를 가지는 화상 화일(16TV 및 256TV)과 교호함을 의미한다. 제 2도를 참조하라. 서브화일 4TV 및 64TV에서 칼라 정보를 빼면 요구되는 기억 용량 및 화상 화일내 코드화된 화상 정보의 액세스 타임이 감소한다. 그러나 서브화일 4TV 및 64TV에 칼라 정보가 없는 것이 재생동안 화질에 역효과를 미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칼라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코드화된 화상의 표현을 재생하는 동안 고해상도의 표시를 정의하는 다음의 코드화된 화상의 칼라 정보 또는, 저해상도의 표시를 정의하는 이전의 코드화된 화상의 칼라 정보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요구되는 화상 정보에 대한 전체 액세스타임을 감소하기 위하여, 제 2도의 화일 IP에 대해 설명된 것처럼, 서브화일 4TV 및 64TV에 있는 휘도 정보(Y)에 인접하여서 서브화일 16TV 및 256TV에 칼라 정보(U,V)를 기록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요구되는 고해상도 칼라 정보에 대한 더 짧은 액세스 타임은 서브화일 16TV 및 256TV에 있는 칼라 정보가 U*,V*부분 및 U', V' 부분으로 나누어질 때 얻어진다. U*,V*부분 은 U*,V*및 U', V'로 표시된 해상도의 절반정도로 낮은 수평 및 수직 해상도를 갖는 칼라 정보를 정의한다. 이것은 화상에 대해서 화상의 이용 가능한 픽셀 4개중 하나의 코드화된 칼라 정보를 U*,V*에 먼저 기록하고 그 다음에 제 5도에서 도시한 것처럼, 화상의 다른 픽셀의 코드화된 화상 정보를 기록한다. 이 도면에서 U*,V*(UV11; UV31; UV51;...)에 속하는 칼라 픽셀은 음영된 블록으로 표시되고 U', V'(UV21; UV41; ... UV12; UV22; UV2)에 속하는 칼라 픽셀은 비음영된 블록으로 표시되어 있다. 16TV 및 256TV의 정보(U*,V*)는 각각 서브화일 4TV 및 64TV로 정의된 휘도 정보의 해상도의 절반인 수평 및 수직 해상도를 갖는 칼라 정보를 정의한다. 이렇게, 서브화일 4TV 및 64TV 각각의 휘도 정보는 서브 화일 16TV 및 256TV각각에 있는 칼라 정보와 함께 칼라 정보의 수평 및 수직 해상도가 휘도 정보의 해상도의 절반인 표현을 또다시 정의한다. 이것은 각각 서브 화일 4TV 및 64TV의 휘도 정보와 서브화일 16TV 및 256TV의 칼라 정보 U*,V*의 조합에 의해 정의되는 칼라 정보와 휘도 정보의 해상도 사이의 비는 서브 화일 TV/4, TV, 16TV 및 256TV 전체로써 정의된 표현의 칼라 정보와 휘도 정보의 해상도의 비와 같으며, 따라서 칼라 및 휘도 정보 사이의 해상도 비가 같은 기억된 모든 코드화된 화상의 표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서브화일 4TV에 의해 기록된 코드화 화상의 표현을 재생하는 동안, 서브화일 TV의 칼라 정보 또는 서브화일 16TV의 완전한 칼라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코드화 픽셀은 라인 단위로 기록하는 것이 보통이다.
비선형 양자화 및 허프만 코딩을 사용하는, 전술한 잔류 코딩이 사용되면, 잔류값은 가변길이의 코드에 의해 표현된다. 이것은 잔류 코드화된 화상 라인을 기록하는데 요구되는 공간이 가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잔류 코드화 화상라인의 시작부가 기록되는 위치는 코드화 화상의 제1코드화 화상 라인의 기록 시작부에 의해 명확하게 정의되지는 않는다. 이것이 코드화된 화상 라인, 예를 들면 TELE-기능(TELE-function)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화된 화상 라인을 선택적으로 읽어내는 것을 복잡하게 한다. 이 문제는 라인 번호(LN)(제 6 도 참조)를 코드화된 화상 라인 BL 및 라인 동기 코드(LD)의 시작점에 기록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라인 동기화 코드는, 예를 들면, 잔류 코드화된 화상 성분의 정보를 표시하는 일련의 허프만 코드내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독특한 비트 조합일 수도 있다. 라인 동기화 코드LD 및 라인번호 LN의 부가는 동기 판독을 용이하게 하고 잘못 읽은 잔류 코드뒤의 에러 전달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부가적 장점이 있다.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의 가장 빠른 검색은 기록 캐리어상의 코드화 화상라인의 기록이 시작되는 어드레스를 기록 캐리어 상의 별개의 콘트롤 파일내에, 양호하게는 각 서브화일의 시작부에서, 기로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 6도에서는, 그들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서브화일 4TV의 시작부에서 제어 화일 IIDB내에 ADLN#1,.....ADLN#1009으로 표시되어 있다. 일련의 잔류 부호화 화상 라인 형태인 화상 라인 정보는 서브화일 4TV의 섹션 APDB에 삽입된다.(섹션 APDB는 서브화일 4TV내의 실제 화상 정보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일반 검색 처리(coarse serch process)중에 기록 캐리어상의 화상 라인의 시작점을 검색할 때, 판독 소자는 기록 캐리어에 대하여 코드화 화상라인의 기록이 시작하는 시작점 앞의 짧은 거리에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후에, 미세 검색 처리(fine search process)가 실행되고, 이 과정에서는, 기록 캐리어가 정상 판독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스캐닝되는 동안, 선택된 잔류 코드화 화상 라인의 기록의 시작은 대기되고, 그후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의 판독이 개시된다. 일반 검색 처리동안에 판독 소자가 기록 캐리어에 대하여 위치될 수 있는 정확도는 제한되고 광학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서 그 정밀도는 일반적으로 연속 코드화 화상라인들의 기록 캐리어 상의 기록이 시작되는 위치들 사이의 거리보다 훨씬 더 크다. 따라서, 그의 기록 시작점들이 상기 판독 소자가 일반 검색 처리 동안에 위치될 수 있는 정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제한된 수의 코드화 화상라인들의 시작 어드레스만을 기억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는 기억된 코드화 화상 내의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하고, 어드레스 데이터의 저장에 필요한 많은 양의 공간을 필요로 함이 없이, 신속하게 판독될 수 있게 한다. 디스크형 기록 캐리어의 경우에, 판독소자가 디스크위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일반 검색 처리 동안의 평균 검색 정확도는 정의에 의해 디스크 1회전 길이의 절반과 동일하며, 이것은, 디스크형 기록 캐리어가 사용될 때,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위치들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디스크의 1회전 길이의 절반에 대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억된 코드화 화상은 랜드스케이프 포맷(landscape format)(즉, 충실한 재생을 위해 상기 화상은 화상의 폭이 화상의 높이보다 더 크게 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의 다수의 화상을 정의하고, 포트레이트 포맷(portrait format)(즉, 충실한 재생을 위해 상기 화상은 화상의 높이가 화상의 폭보다 더 크게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의 다수의 화상을 정의한다.
예시한 제 1 도는 랜드스케이프 포맷인 몇 개의 화상(2a, 2b, 2c와 2d)과 포맷트레이트 포맷인 하나의 화상(2e)을 구비하는 이미지 캐리어를 도시한다. 기록 캐리어 상의 모든 코드화 화상은 그들이 랜드스케이프 포맷(landscape format)인 화상의 표현들인 것처럼 기록된다. 이것은, 스캐닝된 화상이 랜드스케이프 형인지 포트레이트 형인지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의존하여 스캐닝 및 /또는 화상 처리를 전환할 필요없이, 균일한 화상 스캐닝이 사용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재생동안에 포트레이트 포맷 화상(portrait format picture)의 표현이 부정확한 회전된 위치(incorrect rotated position)내에 디스플레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기록된 코드화 화상에 회전코드(rotation code)를 할당할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배제될 수 있고, 상기 회전 코드는 재생동안에 그 표현이 회전되어야 할지, 그리고 만약 회전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그 표현이 90°, 180° 또는 270°의 각도로 회전되어져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이 회전코드는 매 화상 화일 1P1,....1Pn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회전 코드를 제어 화일 BB내에 기록하거나, 판독 유닛내에 배열되거나 판독 유닛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내에 기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제, 재생 동안에, 회전코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표현이 회전되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만약회전하여야 하는 경우라면, 필요한 각만큼의 회전이 재생전에 수행될 수 있다. 화상 화일 IP내에 회전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의 단점은, 이러한 회전 코드가 화상의 스캐닝동안에 이미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이것은 화상 기억 시스템의 오퍼레이터(operator)가 각 스캐닝된 화상에 대해 기억된 화상이 재생동안 회전되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공지된 보조 장치가 스캐닝된 화상이 랜드스케이프 포맷인지 포트레이트 포맷인지 그리고 그 화상이 스캐닝 유닛에 대해 올바른 방향으로 제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은 기록동안 오퍼레이터가 반드시 옆에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것은 완전 자동화된 화상 기억 시스템(12)을 실현하는 것을 어렵게 하므로 특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만약 회전 코드를 코드화 화상 정보의 기록 동안에 이용할 수 있다면, 기록 캐리어상에 이러한 코드를 기록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제 2 도에 도시된 화일 조직의 경우에, 회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적당한 위치는 제어 화일 BB의 서브화일 FPS이다. 사용자의 편의성 때문에, 필요한 회전은 별문제로 하고, 기억된 코드화 화상의 표현 대신에 약간 시프트된(왼쪽, 오른쪽, 위 혹은 아래로)표현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할지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만약 디스플레이 유닛내 상기 표현이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영역이 표현의 크기보다 작다면 화상의 중요부분이 디스플레이 영역 바깥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확실히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요구된 시프트는 매 코드화 화상에 병진 코드(translation code)를 할당하는 것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제 9 도에서 화상(90)에 대한 적절한 병진 코딩은 병진 후에 디스플레이될 화상(91)의 정점의 좌표(xp 및 yp)에 의해 정의된다. 병진코드와 확대코드(magnification code)에 의하여 원화상의 어떤 부분이 디스플레이될 확대 인자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번호(93)는, 병진(xp, yp)과 확대 인자 2에 정의된 화상(90)의 일부분의 확대된 표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테이타에 더하여 예를 들면 코드화 화상의 표현이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인가되어야 할 칼라 혹은 휘도 적응을 정하는 파라미터들과 같은 다른 화상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어 화일(BB)의 서브화일(FPS)내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화상들이 재생되어야 할 원하는 시퀀스를 제어 화일 BB내의 서브화일 FPS에 기억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디스플레이 시퀀스, 회전, 병진, 확대, 휘도 및 칼라 적응, 코드화 화상의 표현의 재생전에 수행되는 다른 화상 처리 동작에 관한 상기 언급된 정보는 이하에서 우선 재생 세팅(preferential reproduction settings)으로 언급될 것이다. 기록 레코드 상의 모든 코드화 화상에 대한 원하는 화상 처리 동작들 뿐만 아니라 선호되는 시퀀스를 정의하는 우선 재생 세팅들의 집합은 이하에서 우선 재생 세팅들의 한 세트로 언급될 것이다. 화일 FPS내에 하나 이상의 우선 재생 세팅을 기록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것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시퀀스 및 다른 화상 처리 동작들이, 예를 들면 가족 중에 누구인 서로 다른 사람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것은 또한, 사용자가 우선 재생 세팅들의 서로 다른 세트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번 기록 형(write-once type)의 기록캐리어가 사용될 때에는, 우선 재생 세팅들의 세트들은 그들이 기록 동안 사용가능하기만 하면 기록 캐리어 상에 기록 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기록하는 동안 인간의 조정을 요구한다. 기록 캐리어의 판독 동안에 우선 재생 세팅의 한 세트가 선택되고, 선택된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에 딸 코드화 화상의 표현이 디스플레이된다. 제 10 도는 코드화 화상의 표현이 선택된 우선 재생 세팅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상 검색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 다이어그램에서 참조번호(100)는 기록 캐리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유닛을 나타낸다. 판독된 정보를 인가하기 위해, 판독 유닛(100)은 제어 및 신호 처리 유닛(101)에 연결된다. 판독 장치(100)로부터 받아들인 정보로부터 유닛(101)은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들)를 포함하는 화일 FPS을 선택하고 제어 메모리(102)내에 이 세트(들)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원격 제어 장치인 데이타 입력 유닛(data entry unti)(103)에 의해 사용자는 제어 메모리(102)로부터 한 세트를 선택하고, 그후 유닛(101)을 활성화하여 판독 사이클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고, 판독 사이클내에서 코드화 화상 정보는 유닛(101)의 제어하에서 선택된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에 의해 지정된 시퀀스에서 판독된다. 코드화된 화상 정보가 판독된 후, 이 정보는 우선 재생 세팅들 중의 선택된 세트에 따라서 처리되고 디스플레이 유닛(104)에 인가된다.
얼마간 시간이 흐른 후, 기록 캐리어 상에 기억된 우선 재생 세팅들이 더 이상 사용자의 희망에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게 되거나, 희망하지 않거나 잘못된 우선 재생 세팅들이 기록 캐리어 상에 기록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것은 만약 기록 캐리어가 겹쳐쓰기(overwirtten) 할 수 없는 타입인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되는데, 이는 기록된 우선 재생 세팅이 이제 적응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제 10도의 검색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비휘발성 메모리(105)를 제공함으로써 완화시킬수 있으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기록 캐리어 식별 코드와 함께 우선 재생 세팅의 새로운 세트나 기록 캐리어 상에 기록된 우선 재생 세팅들의 세트에 대한 우선 재생 세팅의 원하는 변화에 관한 정보가 기록 캐리어 식별 코드에 의해 지정된 기록 캐리어에 대하여 기억된다. 비휘발성 메모리(105)의 제한된 기억 용량을 고려할 때, 우선 재생 세팅들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가장 콤팩트한 형태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이유로 우선 재생 세팅들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1 도는 기록 캐리어상의 화일 FPS에 포함된 우선 재생 세팅의 적당한 포맷(110)의 예를 나타낸다. 포맷(110)은 고유 기록 캐리어 식별 코드(unique record carrier identification code)가 기억된 섹션 DID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드는 임의수 발생기(random-number generator)에 의해 발생되어 기록 캐리어상에 기록되는 큰 임의 수(large random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는 년, 월, 일, 시간, 분, 초 및 수분의 일초의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 코드(time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기록 캐리어 식별 코드는 타임 코드와 임의 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포맷(110)에서 섹션 DId 다음에는 다수의 서로 다른 우선 재생 세팅들의 세트들이 기억된 섹션(FPS1, FPS2, ... FPSn)이 후속한다. 각각의 우선 재생 세팅섹센(FPS1, ... FPSn)은 SEL부와 SEQ부를 포함하는데, SEL내에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되는 우선 재생 세팅의 서로 다른 세트들 각각에 대한 세트 식별 번호가 지정되고, SEQ내에는 기어된 화상들의 표현들이 재생되게 된다. 이 부분 다음에는, 관련된 화상의 표현이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수행될 우선 처리 동작들을 화상 1, ...n에 대하여 기억하는 코드화 섹션(FIM#1, ..., FIM#n)이 후속한다.
제 12 도는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에 원하는 적응에 관한 정보가 비휘발성 메모리(105)에 기억되어질 수 있는 적절한 포맷(120)의 예를 나타낸다. 포맷(120)은, 우선 재생 세팅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세트 식별 번호와 기록 캐리어 식별들의 조합들을 지정하는 섹션(121)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합들의 각각에 하나의 포인터가 할당되고, 상기 포인터는 섹션(DID-POINT)내에 포함되고, 비휘발성 메모리(105)내의 섹션(DFPS1,...,DFPSn)의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매 섹션 DFPS는 새로운 시퀀스를 지정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예를 들면 바이트(byte)수로)을 나타내는 코드를 구비한 LSEQ부를 포함한다. 만약 LSEQ부가 영(Zero)이 아닌 길이를 나타내면 LSEQ뒤에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퀀스를 지정하는 데이터를 구비한 NSEQ부가 후속할 것이다. NSEQ 다음에는 새로운 우선 처리 동작들이 모든 화상에 대하여 수정된 우선 처리 동작들로 지정된다. ROT는 회전 코드를 구비한 섹션을 나타낸다. 섹션 LTELE와 LPAN은 화상 확대(섹션 NTELE에서) 및 화상 병진(섹션 NPAN 에서)과 관련된 새로운 테이타의 기억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길이를 지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상 처리 정보가 기억되는 정확도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3개의 서로 다른 정확도를 나타내는 3개의 서로 다른 길이를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LTELE와 LPAN 다음에는 NTELE 부와 NPAN부가 후속한다. 만약 화상 확대와 화상 병진에 관한 정보가 변화될 필요가 없다면, 이는 LTELE와 LPAN에서 길이 영(Zero)으로 표시되어진다.
화상에 대한 우선 처리 동작들을 수정된 우선 처리 동작들로만 기억함으로써 새로운 우선 재생 세팅들을 기억하는 데 필요한 공간은 상당히 감소된다. 상기 차이들의 기록에 의해 필요한 기억 공간이 감소하는 것과는 별개로, 수정된 데이터의 기록에 필요한 길이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부가적인 감소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 캐리어가 판독되면, 기록 캐리어 상에 기억된 우선 재생 세팅들과 메모리(105)에 기억된 차이들로부터 우선 재생 세팅의 적응된 세팅이 얻어지고, 이 적응된 세트는 메모리(102)내에 기억된다.
비휘발성 메모리(105)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예를 들면 자기카드, EPROM, EEPROM 혹은 NVRAM의 형태인 가변 메모리(106)가 제 10 도의 검색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내에서 우선 재생 세팅의 기억을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가변 메모리(106)가 연결될 수 있는 다른 화상 검색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상에서 동일한 우선 재생 세팅에 따라 기록 캐리어 상의 화상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메모리(105,106)중 어느 하나 또는 두 메모리 모두가 우선 재생 세팅들의 기억에 사용되면, 기록 캐리어 상의 우선 재생 세팅들의 세트들로 정의된 서로 다른 우선 재생 세팅들의 세트들과 메모리(105,106)내에 기억된 우선 재생 세팅들의 수정에 의해 선택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해 유닛(101)은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택 수단은, 기록 캐리어상에 그리고 메모리(105,106)내에 기억된 우선 재생 세팅 정보에 의해 하나의 특정한 기록 캐리어와 선택 번호에 대해 정의된 우선 재생 세팅들의 다양한 세트들로부터 선택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타입일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이러한 선택 수단은, 메모리(105,106)의 내용과 기록 캐리어상에 기록된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에 기초한 재생에 앞서서, 관련된 기록 캐리어들에 대하여 사용가능한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들을 결정하고, 예를 들어 메모리(102)내에 기록하는 타입일 수 있다. 그후에, 메모리(102)내의 이용가능한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중의 하나가 소정의 선택 기준에 따라 선택된다. 양호하게는, 선택 기준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가변 메모리(106)내의 우선 재생 세팅 정보에 할당되고, 중간 우선 순위가 비휘발성 메모리내의 우선 재생 세팅 정보에 할당되고, 최하위 우선 순위가 기록 캐리어 상의 우선 재생 세팅들에 할당되는, 그러한 것이다. 만약 유닛(101)이 컴퓨터를 포함하면, 컴퓨터에 적절한 선택 프로그램을 로딩함으로써 자동 선택이 실현될 수 있다.
제 2 도의 파일 OV를 다시 참조하면, 모든 화상 파일 IP1,...,IPn에 대해 OV는 절대-코드화 저해상도 화상을 포함하는 서브화일 TV/16을 포함한다. 화일 OV를 기록하는 것은 기록 캐리어 상에 기록된 코드화 화상 정보의 개관이 최저 액세스 시간으로 얻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서브화일 TV/16내의 코드화 화상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채우는 표현으로써, 양호하게는 선택된 우선 재생 세팅들의 세트에 의해 정의된 시퀀스내에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서브화일들로부터 모자이크 화상이라고 불리는 형태로 표현을 구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한데, 상기 모자이크 화상내에서는 서브화일 TV/16내에 포함된 다수의 코드화 저해상도 화상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양호하게는 선택된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에 따른 순서로 배열된다. 예시로써, 제 13 도는 16개의 저해상도 서브화일 화상의 표현(IM#1, IM#3, ..IM#26)으로 구성된 모자이크 화상(130)을 나타낸다.
제 14 도는 보다 상세하게 제 1C 도의 화상 검색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시스템에서 화상 검색 및 판독 유닛(11)은 판독 유닛(6), 제어 유닛(140)과 화상처리 유닛(141)을 포함한다. 판독 유닛(6)은 기록 캐리어로 부터 판독한 정보를 신호 경로(142)를 경유하여 제어 유닛(140)과 화상 처리 유닛(140)에 공급한다. 이제, 제어 유닛(140)은 판독된 정보로부터 제어 화일(BB, IIDB)내에 포함된 특정한 정보를 선택한다. 화상 처리 유닛(141)은 판독된 정보로부터 화상정보를 선택하고 이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적절한 형태로 변환한다. 판독유닛(6)과 화상 처리 유닛(141)은, 예를 들어 데이타 입력 유닛(143)을 경유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와 제어 화일(BB, IIDB)내의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140)에 의해 제어된다.
모든 기록된 화상에 대한 커다란 정보의 양을 고려하면, 판독되는 화상당 판독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상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을 고속으로, 즉 고 전송속도(bit rate)로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제어 화일내의 데이터 또한 고 비트 율(bit rate)로 판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제어작업은 제어 유닛(140)에 의해 수행된다. 이 제어작업은 단지 제한된 데이터 처리 속도를 필요로 하고, 낮은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가진 간단한 저속 저가 마이크로컴퓨터가 이 목적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러한 저가 마이크로컴퓨터는 제어 화일(BB, IIDB)의 판독 동안에 높은 전송속도로 제공되는 제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것은 제어 데이타가 제공되는 속도(이 속도는 화상 정보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가 너무 빨라서 저속 저가 컴퓨터가 그것을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제어 데이타를 포함하는 모든 비트 그룹이 기록 캐리어상에 연속하여 n회(n은 2이상의 정수) 기록되어짐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n회 반복하여 기록된 그룹들 중의 한 그룹을 이하에서 패킷(packet)이라 부를 것이다. 제어 데이터가 판독되면, 이제 n개의 동일한 비트 그룹의 패킷이 이제 제공된다. 예시로써, 제15도는 제어 화일 (BB, IIDB)내의 제어 데이터가, n이 2이고 비트 그룹당 비트수가 8인 경우에, 판독 유닛(6)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제 15 도에서, 비트 그룹은 참조번호(150)을 가지고, 패킷은 참조번호(151)을 가진다. 비트 그룹당 비트수는 8이고 패킷당 비트 그룹의 수는 2이다.
동일한 비트 그룹을 n회 반복함으로써 제어 데이타가 판독 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속도는, 부가적인 보조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n배 감소된다. 따라서, 적당한 n값을 선택함으로써 제어 데이타가 제어 유닛(141)의 저속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에 제공되는 속도를, 저속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144)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는 정도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신호 경로(145) 및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144)사이에는 데이터 추출 회로(145)가 배열되어서, 제어 데이터의 각 패킷(151)을 하나의 비트 그룹으로써, n분할된 비트 그룹 반복율과 동일한 비율로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144)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테이타 추출 회로 (145)는, 예를 들어 n 분할된 비트 그룹 반복율과 동일한 클럭 주파수가 로딩된 레지스터(160)(제 16a 도 참조)를 포함한다. 이 클럭 신호는 동기화 비트(152)로서 각 비트 그룹(150)내에서 1비트를 사용함으로서 매우 간단히 얻어진다. 연속 비트 그룹(150)의 동기화 비트(152)에 대하여, 비트 그룹(150)의 패킷의 반복율에 연관된 주파수로 교번하는 논리값이 할당될 수 있다. 교번 주파수는 패킷의 반복율의 절반(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과 같거나 그의 배수일 수 있다. 이것은 동기화 비트로부터 직접 얻어진 클럭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데이타 추출 회로(145)는 레지스터(160)의 부하 제어 회로 입력에 동기화 비트의 교번 논리값에 대응하는 교번 클럭 신호를 공급하는 클럭 추출 회로(161)를 포함한다. 레지스터(160)는 클럭 신호의 제어하에 각 패킷(151)의 비트 그룹이 로딩되는 통상적인 형태이다. 클럭 추출 회로(161)는 또한 클럭 신호를 신호 라인(162)을 통해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144)에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화일의 비트 그룹은 소위 프레임들 내에 배열되고, 프레임은 제 15 도의 도면부호(154)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프레임(154)의 시작부는 간단히 검출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매우 간단한 검출은, 다른 패킷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기화 비트(152)의 가능한 논리값 패턴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소정 패턴의 논리값(150)을 나타내는 동기화 비트(152)를 구비한 다수의 프레임 동기화 그룹(153)을 프레임(154)의 시작부에 삽입함으로써 달성된다.
각 프레임(154)은 프레임이 마이크로컴퓨터(144)에 의해 정확하게 읽어들여졌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리던던트 정보(redundan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부분(155)을 가진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인터럽트에 의해 부정확하게 읽어들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서는 제어 데이터내에서의 판독처리가 다른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인터럽트 된다. 그러한 제어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펫치하기 위해, 데이타 입력 유닛(143)내에 데이타 입력의 결과로서 호출될 수 있다. 제어 화일(BB 및 IIDB)로부터 데이터를 부정확하게 읽어들이는 것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인터럽트에 의해서 초래되기 때문에, 부분(155)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에러 정정이 마이크로컴퓨터(144) 자체에 의해 실행될 것이 요구된다. 데이타 추출 회로(145)는 프레임 동기화 비트 그룹(153)의 동기화 비트(152)에 기초하여 각 프레임의 시작부를 검출하는 프레임 동기 검출기(163)를 포함한다. 프레임의 시작을 검출한 후, 프레임 동기 검출기(163)는 동기 신호를 신호 라인(164)을 통해 마이크로컴퓨터에 공급한다. 신호라인(164,165)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제어하에, 마이크로 컴퓨터(144)는, 원리적으로는 통상의 방법으로 레지스터(160)에서 가용한 제어 데이타를 읽어들인다. 원리적으로는, 프레임 동기 검출기(163) 및 / 또는 레지스터(160) 및 / 또는 클럭 추출회로 (161)의 기능은 마이크로컴퓨터(144) 자체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제어 화일(BB 및 IIDB)로부터 제어 데이타를 판독하는 상기 과정에 있어서, 레지스터(160)용 클럭 신호가 동기 비트(152)로 부터 얻어진다. 그러나, 레지스터(160)를 로딩하기 위한 클럭 신호를 코드화 화상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화상 처리 유닛(141)내에서 일반적으로 생성되는 화상 정보 클럭 신호로부터 얻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화상 정보 클럭 신호는 판독된 화상 화일내 비트 그룹 반복율과 고정된 관계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제어 화일(BB 및 IIDB)내 비트 그룹 반복율과 고정된 관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레지스터(160)를 로딩하기 위한 클럭 신호는 주파수 분할 회로에 의하여 화상 정보 클럭 신호로부터 간단히 얻어질 수 있다.
제 16b 도는 데이타 추출 회로 (145)의 일예를 도시하는데, 데이터 추출회로는 레지스터(160)용 클럭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주파수 분할시(165)를 채용하며, 상기 분할기는 화상정보 클럭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를 유도하며, 화상 정보 클럭 신호는 신호 라인(166)을 통해 신호처리 유닛(141)에 의해 주파수 분할기(165)에 인가된다. 레지스터(160)를 로딩하기 위한 클럭 신호는 프레임(154)의 시작부와 동기되어야만 한다. 이는 주파수 분할기(165)용 리셋 가능한 카운팅 회로를 채용함으로써 간단히 실현될 수 있으며, 카운팅 회로는 프레임의 시작부 검출시 생성되는 리세트 신호에 의해 매번 리세트된다. 리세트 신호는 프레임 동기 비트 그룹(153)의 매 검출에 응답하여 신호 라인(164)을 통해 프레임 동기 검출기(163)에 의해 공급된 신호일 수 있다.
제어 화일의 정보가 블럭으로 배열되는 경우, CD-ROM과 CD-ROM XA와 같이 통상적이고, 제 9 도와 관련하여 이후 설명되는 방법으로 배열되는 경우, 각 블럭(BLCK)의 시작부에 위치한 블럭 동기부(SYNC)에 의거하여 카운터용 리세트 신호가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각 프레임(154)의 시작부가 항상 블럭 동기부(SYNC)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한다. 이것은 블럭 시작부에서 각 프레임(154)의 시작부를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성취된다. 레지스터(160)용 클럭 신호를 동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프레임(154)의 시작부에 위치한 프레임 동기화 비트 그룹(153)은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 각 프레임(154)의 시작부가 어떠한 제어 데이타도 포함하지 않는 다수 비트그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프레임의 시작부가 검출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인가되는 제어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것을 제어할 판독 프로그램(read-in program)을 호출한다. 그러나, 이순간 마이크로컴퓨터는 다른 제어 작업을 수행하느라 바쁘다. 상기 제어 작업은 판독프로그램이 호출되기전 인터럽트되어야 한다. 이 활성 제어 작업의 인터럽션과 그후의 판독 프로그램의 호출은 약간의 시간을 요한다. 각 프레임(154)의 시작부에서 어떠한 제어 데이타도 없는 다수 비트 그룹을 배열하는 것은, 각 프레임(154)내의 유용한 제어 데이타의 제 1 패킷(151)을 읽어내는(read-out) 동안 마이크로컴퓨터(144)가 판독 프로그램 제어하에 제어 데이타를 판독할 준비가 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높은 신뢰도로 보장한다. 상기로부터 매 프레임 시작부에서의 동지 비트 그룹(153)이 2중 목적으로 기능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즉 동기를 제공하는 것과, 제 1의 유용한 제어 데이타가 제공될 때까지 대기 시간을 실현하는 것이다.
비트 그룹(153)이 대기시간을 실현하는데에만 사용되는 경우에, 이 비트 그룹(153)의 비트 논리값이 임의값을 취할 수 있다.
비트 그룹(153)이 동기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면, 비트 그룹(153)은 프레임(154)의 다른 비트 그룹에서 발생하지 않는 비트 패턴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위해 각종 상이한 방법이 가능하다. 즉, 제어 데이타의 패킷들 사이에 유용한 제어 정보없이 부가 패킷의 삽입 또는 패킷내 비동일 비트 그룹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매 10 패킷 이후 논리값 "0"의 비트만을 포함하는 패킷을 삽입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단지 논리값 "1"의 비트만을 포함하는 32프레임 동기비트 그룹(153)중의 한 그룹이 사용되면, 이것은 프레임 동기 비트 그룹(153)에 의해 형성된 패턴은 프레임(154)의 다른 패킷에서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제 17 도는 보다 상세한 화상 기억 시스템(12)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7 도의 스캐닝 유닛(1)는 이미지 캐리어(3)를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화상 정보를 통상의 영상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스캐닝 소자(170)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상의 화상정보란 스캐닝 화상을 나타내는 RGB 화상 신호이다. 스캐닝 소자 출력에서의 화상 신호는 얻을 수 있는 최대 해상도를 화상당 화소의 수로 정의한다. 스캐닝 소자(170)에 의해 공급된 정보 신호는 통상의 매트릭스 회로(170)에 의해 두 색차 신호U 및 V와 휘도 신호Y로 변환된다. 코딩 회로(72)는 통상의 방법으로 신호 Y, U 및 V를 전술한 코딩 방법에 따라서 잔류 코드화 화상(고해상도 화상을 위한)과 절대 코드화 신호(저해상도 화상용)로 변환한다. 스캐닝 소자(170), 매트릭스 회로(171) 및 코딩회로(172)는 인터페이스 회로(175)를 거쳐 제어 유닛(4)에 의해 제어회로(174)에 인가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통상의 제어 회로(174)에 의해 제어된다. 코딩 회로(172)에 의해 생성된 절대 및 잔류 코드화 화상 정보는 인터페이스 회로(175)를 통해 제어 유닛(4)에 인가된다. 제어 유닛(4)은 디스플레이 유닛(176), 연산 및 기억 유닛(177)과 데이타 입력 유닛, 즉 사용자에 의한 데이타 입력을 위한 키보드를 포함한다. 통상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76)과 데이타 입력 유닛(178)은 연산 및 기억 유닛(177)에 결합된다. 연산 및 기억 유닛(177)은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179,180)를 거쳐 화상 스캐닝 유닛(1) 및 기록 유닛(5)에 결합된다. 기록 유닛(5)은, 기록될 정보를 기록에 적합하고 기록에 적합한 포맷으로 배열되는 코드로 변환하는 포맷팅 및 코딩 유닛(181)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인터페이스 회로(182)를 거쳐 제어 유닛로부터 수신된다. 이와같이 코드화되고 포맷된 데이타는 기록 헤드(183)에 인가되며, 기록 헤드는 기록 캐리어(184)상에 대응 정보 패턴을 기록한다. 기록 절차는 제어 유닛(4)에서 수신된 제어 명령과, 만일 적용가능하다면, 기록 캐리어(184)에 대한 기록 헤드(183)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회로(185)에 의해 제어된다.
기억 및 제어 유닛(177)은, 전술한 포매팅 룰에 따른 통상의 방법으로 스캐닝 유닛(1)에 의해 공급된 잔류 코드화 화상 정보를 배열하고, 화상 화일 IP 및 OV를 구성하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로 적재된다. 또한, 연산 및 기억 유닛(177)은 통상의 방법과 전술한 포매팅 룰에 따라 제어 파일내에, 각종 화일이 기록 캐리어(184)상에서 기록된 어드레스 리스트와 같은 자동 생성된 제어 데이타와 함께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 우선 재생 세팅들을 삽입하는 소프트웨어로 적재된다.
연산 및 기억 유닛(177)은, 또한, 초점 어긋남의 보정 및 그레인(grain) 제거와 같은 에러 정정을 위해, 또는 화상의 칼라 적응 및 휘도 적응과 같은 목적을 위해, 스캐닝된 화상정보의 처리를 가능케 하는 화상처리 소프트웨어를 더 가질 수 있다.
연산 및 기억 유닛(177)에 의하여 합성된 화일은 기록되기 위해 원하는 시퀀스로 기록 유닛(5)에 인가된다.
기록 캐리어(184)와 기록 유닛(5)의 매우 적합한 조합은 유럽 특허출원 제 88203019.0(PHQ 88.001), 90201309.3 (PHQ 89.016), 8900092.8(PHN 12.398), 8802233.8(PHN 12.299), 8901206.3(PHN 12.571), 90201094.1(PHN 12.925), 90201582.5(PHN 12.994), 90200687.3(PHN 13.148), 90201579.1(PHN 13.243), 호와 네델란드 특허출원 제 8902358(PHN 13.088) 및 9000327(PHN 13.242)호에 상세히 게재되어 있다. 여기 소개된 기록 캐리어는 CD 포맷에 따라 정보를 기록하는데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기록 캐리어상에 화일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가 제18도에 개략 도시된다. 도시한 기록 장치는 포맷팅 회로(186)를 포함하며, 포맷팅 회로는 기록될 정보를 합성하며, 정보는 소위 CD-ROM 또는 CD-ROM XA 시스템과 같이 통상적인포맷팅 방법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를 거쳐 인가된다.
예시로써, 이 포맷이 제 19 도에 도시된다. 이 포맷에 따라서, 데이터는 CD신호내의 서브코드 프레임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의 블럭 BLCK으로 배열된다. 각 블럭 BLCK은 블럭 동기부 SYNC, 블록과 함께 기록된 서브코드부내의 절대 시간 코드에 대응하는 절대 시간 코드형태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헤더부 HEAD와, 만약 CD-ROM XA 포맷이 사용되면, 블럭 BLCK은 또한 무엇보다도 화일 번호와 채널 번호를 포함하는 서브헤더부 SUBHEAD를 포함한다. 또한, 각 블럭 BLCK은 기록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DATA부를 포함한다. 각 블럭 BLCK은 또한 에러정정 및 에러 검출을 위해 리던던트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 EDC & ECC를 포함한다. 제 18 도에 도시한 기록 유닛(5)은 에러 검출 및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 코드(이후 에러 정정 코드라 한다)를 가산하고 정보를 인터리브하기 위한 CIRC 인코딩 회로(187)를 포함한다. CIRC 인코딩 회로(187)는 포맷팅 회로(186)에 의해 공급된 포맷 정보에 따라 상기 연산을 수행한다. 이 연산 수행 후 EFM 변조기(188)에 정보가 인가되며, 정보는 기록 캐리어상에 기록하기에 보다 양호한 형태로 주어진다. 또한, EFM 변조기(188)는 서브코드 정보를 가산하며, 서브코드 Q 채널의 어드레스 정보와 같은 절대시간 코드를 포함한다.
제 20 도는 상기 CD 포맷에 따라 트랙(20)에 정보가 기록된 경우 기록 캐리어의 조직을 도시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조직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 도면부호를 가진다.
기록된 정보는, 통상의 CD 신호 기록에서와 같이, 리이드-인 섹션 LI(lead-in section L1; 또한 리이드-인 트랙으로 칭함)에 의해 선행되고, 통상의 리이드-아웃 섹션 LO(lead-out section LO; 또한, 리이드-아웃 트랙으로 칭함)로 종료된다.
정보가 CD 포맷으로 기록될 때, CD-I 표준에 따라 기록된 섹션을 제어화일 BB내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섹션들은 DL로 표시된 "디스크 테이블 & 디렉토리"와 AF로 표시된 응용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기록된 화상 정보가 표준 CD-I 시스템으로 디스플에이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를 가진 서브 화일 FPS이 응용 프로그램 섹션 AF내에 또한 포함된다. 섹션 DL 및 AT에 더하여 제어 화일 BB은 제 15 도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포맷으로 우선 재생 세팅의 세트를 가진 섹션 FPS과 제어 데이타를 가진 섹션 CNTR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섹션 IT가 소정 길이의 섹션 내 기록 캐리어상 소정 영역 내에 기록된다. 이것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요청 정보의 검색을 단순화하기 위함이다. 섹션 IT가 모든 제어 데이타를 수용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으면, 제어 데이터의 일부분은 화일 OV 다음의 섹션 ITC내에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섹션 ITC내에 ITC의 시작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가 CD 포맷으로 기록된 경우에 대하여, 제 21도는 절대 코드화 서브화일 TV에 대하여 절대 코드화 휘도 정보를 구비한 화상 라인 Y01, Y02,....Y16과, 절대 코드화 칼라 정보를 가진 화상 라인 C01,C03,.....,C15의 배열을 도시하며, 연속한 라인들은 트랙 방향(탄젠트 방향이라 칭함)에서 서로 인접하지 않으며,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반경 방향이라 칭함)에서 서로 인접하지 않는다.
제 22 도는 연관된 화상 표현을 위한 화상 라인의 위치를 도시한다. 제 21 도 및 제 2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화 휘도 정보를 가진 다수의 기수 코드화 휘도 화상 라인(Y01,Y03,....Y15)은 블럭 BLCK #1, #2 및 #3을 포함하는 섹션내에 기록되고, 계속해서 코드화 칼라 정보를 가진 다수의 우수 코드화 칼라 화상 라인(C01,C05,....,C13)은 블럭 BLCK #4 와 #5를 포함하는 섹션내에 기록되고, 코드화 휘도 정보를 가진 우수 코드화 휘도 화상 라인(Y02,....,Y16)은 블럭 BLCK #5,....,#8을 포함하는 섹션내에 기록되며, 최종적으로 코드화 칼라 정보를 가진 우수 코드화 칼라 화상 라인(C03,C07,....,C15)은 블럭 BLCK #8 과 #9를 포함하는 섹션내에 기록된다. 블럭 BLCK #1, ......,BLCK #9의 코드화 화상 라인은 제 22 도에 도시한 화상 표현의 인접한 부분을 정의한다. 표현의 인접 부분을 정의하는 섹션들의 그룹은 이후 섹션 그룹(section group)이라 칭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섹션 그룹은 서브화일 TV 내 표현의 다른 인접 부분을 한정한다. 서브화일 TV/4 및 TV/16용 화상 정보를 가진 코드화 화상 라인은 제 23 도 및 제 2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사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은 판독 코드 화상 표현에서 둘이상의 인접 화상 라인이 디스크 결함으로 인해 부정확하게 판독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정확하게 판독된 화상 라인들이 서로 인접하는 화상 표현에서 복구는 실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것은 표현내에서 두 개의 올바르게 판독된 화상 라인 사이에 위치한 부정확하게 판독된 화상 라인을 복구하는 것과 대비된다. 뒤에 언급한 복구는 부정확하게 판독된 화상 라인을 인접 화상 라인에서 얻어진 픽셀로 대체함으로써 간단히 실현된다.
제 25 도는 보다 상세한 화상 처리 유닛(141)을 도시한다. 화상 처리 유닛(141)은 동기화 코드 LD와 각 잔류 코드 화상 라인의 시작을 표시한는 화상 라인 번호 LN을 검출하는 제 1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제 2 검출 회로(251)는 다수의 코드화 화상 라인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섹션 IIDB의 시작을 표시하기 위하여 잔류 코드화 화상을 가진 각 화상 화일내 각 서브 화일의 시작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검출 회로(250,251)는 잔류 코드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만 필요하고 절대 코드 화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필요치 않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이러한 검출을 위해, 제 1 및 제 2 검출 회로(250,251)의 입력이 신호 경로(142)에 접속된다. 잔류 코드화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회로(252)와 화상 처리 연산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253)는 신호 경로(42)에 접속된다. 신호 경로(142) 및 디코딩 회로(252)의 출력은 멀티플렉스 회로(254)를 거쳐 화상 메모리(255)의 데이타 입력에 접속되는데, 이는 판독 및 디코드 화상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 메모리(225)의데이타 출력은 디코딩 회로(252)의입력과 멀티플렉스 회로(254)의 입력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253)는 화상 메모리(255)의 메모리 위치를 어드레스 하는 어드레스 발생기(256)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유닛(141)은 또한 화상 메모리의 내용을 신호 변환기(258)에 출력하기 위하여 메모리 위치를 어드레스 하는 제 2 어드레스 발생기(257)를 포함한다. 신호 변환기(258)는 화상 메모리(255)에서 판독된 화상 정보를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인가하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통상의 유형이다. 디코딩 회로(252)는 예를 들어 제어 유닛(253)과 가산기 회로(259)에 의해 제어되는 후프만 디코딩 회로(Huffmam decoding circut)(261a)를 포함한다.후프만 디코딩 회로(261a)는 신호 경로(142)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디코드하고 계속해서 이 정보를 가산기 회로(259)의 한 입력에 공급한다. 가산기 회로(259)의다른 입력은 화상 메모리(255)의데이타 출력에 연결된다. 가산기 회로(259)에 의해 수행된 가산 연산의 결과는 멀티플렉스 회로(254)에 인가된다. 제어 회로(253)는 제어 신호 경로(260)를 거쳐 제어 유닛(140)에 결합된다. 제어 회로(253)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능한 제어 및 연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및 계산 유닛은 예를 들어 적절한 제어 소프트웨어로 적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 또는 전용 하드웨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어 소프트웨어는 제어 신호 경로(260)를 거쳐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어드레스 발생기(256) 및 멀티플렉스 회로(254)는 신호 경로(142)을 통해 인가된 화상 정보의 선택된 부분이 화상 메모리 내로 적재되도록 제어된다. 이처럼 화상 메모리(255)에 기억된 정보는 어드레스 발생기(257)의 도움으로 판독되며, 그후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신호 변환기(258)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에 인가된다.
제 26 도에 있어서, 도면부호(261, 262, 263)는 상이한 해상도를 가진 동일 화상의 화상 표현이다. 표시(261)는 384 픽셀의 256 화상 라인을 포함한다. 표현(262)는 768 픽셀의 512 화상 라인을 포함하고, 표현(263)은 1536 픽셀의 1024 화상 라인을 포함한다. 표현(261, 262 및 263)에 대응하는 코드화 화상은 화상화일 IP의 연속 서브화일 TV/4, TV 및 4TV에 포함된다. 제 26 도에 도시한 화상 메모리(255)의 용량은 768 메모리 기억장소(또한 메모리 소자로 불린다)의 512 열이다. 하나의 표현이 화상 화일 IP로부터, 서브화일이 선택된 전체 코드화 화상을 표현하여야 한다면, 그의 화소 수는 화상 메모리의 용량에 대응하며, 본경우에 표현(262)을 정의하는 서브화일이다. 이러한 선택은 화상 번호 및 해상도 정도(이것은 서브화일 해상도의 식별이다.)와 같은 셋팅 데이타에 의거하여 행해지며, 예를 들어 블럭 BLCK의 해더 HEAD 및 서브헤더 SUBHEAD 내 각 서브 화일의 시작부에기억된다. 각 서브 화일에 대해 이 데이타는 각 블럭 BLCK의 시작부 검출시 블럭 동기 검출기(262a)에 의해 공급된 신호에 따라 제어 회로(253)에 의해서 읽어들여진다.
절대 코드화 화상의 표현이 재생되는 경우, 선택되는 서브 화일의 시작부 검출시, 제어 회로는 멀티플렉스 회로(254)를 신호 경로(142)가 화상 메모리(255)의데이타 입력에 접속되는 상태로 세트한다. 또한, 어드레스 발생기(256)는 메모리 기억 장소가 연속 픽셀 정보 수신과 동기되어 어드레스되는 상태로 세트되는데, 이 상태란 화상 라인(111,...., 1512)의 정보가 메모리(255)의 각열 r1,....,r512에 기억되도록 세트된 상태이다. 메모리(255)내에 적재된 화상 정보가 판독 출력되어 신호 변환기(258)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된다. 판독 출력 순서는 어드레스 발생기(257)가 연속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순서로 정해진다. 정상적인 재생 동안, 이 순서는 행 단위로 (row-by-row) 메모리가 판독되고 행 r1으로 시작하고 행내 열 C1으로시작되는 방식이다. 이것은 비월주사 원리 및 순차 주사 원리에 따라 가능하다. 비월주사 원리에 따라 판독 출력된 경우, 화상 메모리(255)의 모든 기 수행이 먼저 판독되고 이어서 화상 메모리(255)의 우수 행이 판독된다. 순차 주사 원리에 따라 판독 출력된 경우, 모든 행은 순서적으로 판독된다.
화상 메모리(255)에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방법에 대한 멋진 대안은, 이 화상 메모리(255)가 화상의 저해상도 표현을 정의하는 화상 화일로부터의 화상 정보로 우선 채워지고 이어서 동화상의 고해상도 표시를 한정하는 코드화 화상으로 중복 기록되는 것이다. 상기 예에서, 서브 화일 TV/4로부터 각 코드 픽셀을 판독 출력하는 동안, 2×2 메모리 소자의 그룹이 이 코드 픽셀에 의해 한정된 신호값으로 매번 채워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공간 복사법(spatial replica)"이라고 알려져 있다. 양호한 화질은 판독 출력 픽셀에 의해 한정된 신호값으로 2×2 매트릭스의 메모리 소자중 하나만을 채우고, 공지의 보간 기술에 의하여 인접 픽셀에서 2×2 매트릭스의 다른 픽셀을 유도함으로써 구해진다. 이 방법은 "공간 보간법(spatial interpolation)"이라고 알려져 있다. 다음 서브 화일(이경우 TV)의 검출 후, 화상 메모리의 내용은 상기 방법으로 이 서브 화일의 화상 정보로 매번 중복 기록된다. 서브 화일 TV/4의 정보량은 서브화일 TV의 1/4이다. 이것은 시간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하며, 이 후 제 1 예비 화상(first provisional picture)이 디스플에이 유닛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화상 화일 TV/4의 판독 출력 후 이 저해상도 화상은 원하는 해상도를 가진 동일 화상의 표현으로 중복 기록된다. 연속 해상도의 코드화 화상들을 가진 화상 화일이 직접 서로 연속하므로, 서브 화일 TV/4의 판독 출력 후 서브 화일 TV를 검색하는데 있어 잃어버리는 시간은 없다.
화상이 회전되는 경우, 어드레스 발생기(256)는 메모리 기억장소를 어드레스 하는 순서가 원하는 회전 각도에 따라서 적응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제 27b, 27c 및 27d 도는 270°, 180°및 90°각도의 회전을 위해 화상 정보가 메모리에 기억되는 방법을 각각 예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도면은 화상의 두 화상 라인(11, 12)의 정보 위치만을 도시한다.
작은 화상의 표현이 다른 화상 또는 원한다면 동일 화상(PIP 기능)의 풀-스캔 표현(full-scam represention)의 윤곽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이것은 확대없이 서브화일 TV/4의 저해상도 화상으로 화상 메모리(255)의 원하는 위치를 채움으로써 간단히 달성될 수 있다. 화상 메모리(255)가 채워지면, 어드레스 발생기(256)는 메모리 기억장소용 정보가 어드레스되고, 작은 화상이 기억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 메모리 기억장소용 정보가 어드레스되고, 작은 화상이 기억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 메모리 기억장소를 설명하기 위해 제 26 도에 프레임(264)이 표시된다. 전술한 화상 처리동안, 서브 화일 TV/4 내 저해상도 화상의 존재로 인해, 이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화상 정보는 화상 화일 IP내에서 직접 이용가능하며, 따라서 부가적인 처리가 필요치 않다는 잇점이 있다.
절대 코드화 화상의 일부분이 확대된 표현이 디스플레이될 때, 화상의 일부분의 정보, 예를 들면, 프레임(265)에 대응하는 부분이 선택된다. 선택 부분의 각 픽셀의 정보는 2×2 메모리 기억장소 그룹의 매 메모리 기억장소내로 적재되며, 저해상도의 따라서 저해상도의 확대된 풀-스캔 표현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메모리내에서 각 픽셀 2×2 회를 반복하는 대신에 전술한 공간 보간 원리에 따라서 메모리가 채워질 수도 있다.
잔류 코드화 화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가 우선 실행된다. 계속해서, 프레임(266)으로 표현된 부분이 서브 화일 4TV에서 선택된다. 프레임(266)내의 부분은 표현(262)내 프레임(265)의 부분에 대응한다. 제어 회로(253)는 멀티플렉스 회로(254)를 잔류 디코딩 회로(252)의 출력이 메모리(255)의 데이타 입력에 접속된 상태로 설정한다. 어드레스 발생기(256)는 서브 화일 4TV로부터의 잔류 코드화 화상 정보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순서로 수신 코드 픽셀과 동기하여 화상 메모리(255)를 어드레스하는 상태로 설정한다. 어드레스되는 메모리 기억장소내 화상 정보는 디코딩 회로(252)에 인가되고 가산기 회로(259)에 의하여 잔류값에 가산되며, 그후 정보는 어드레스되는 메모리 기억장소에 적재된다. 프레임(266)에 대응하는 기록 캐리어 상에 기록된 화상 정보 부분은 제어 화일 IIDB내 정보에 의거 바람직하게 판독된다. 섹션 IIDB내 정보는 검출기(250)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253)에 의해 판독된다. 계속해서, 코드화 화상 라인의 어드레스는 프레임(266)내 화상 라인에 대응하는 제 1 코드 화상 라인 바로 앞에 위치한 정보로부터 선택된다. 그후, 제어 회로는 명령을 제어 신호 경로(260)를 거쳐 제어 유닛(140)에 공급하며, 이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은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 부분을 찾는 검색 처리를 개시한다. 이 부분이 발견되면 화상 정보의 판독 출력이 시자괴며, 메모리(255)내용의 적응은 프레임(266)내 화상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 1 코드화 화상 라인의 부분이 도달되는 대로 시작된다. 상기 코드화 화상 라인의 검출은 라인 동기화 코드 LD와 함께 각각의 코드화 화상 라인의 시작부에 삽입된 라인 번호를 기초로 하여 실행된다. 제어 회로는 검출기 회로(251)에서 나오는 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 번호(LN)를 판독한다. 서브 화일(4TV)의 시작부에 어드레스 정보를 기억함으로서 얻고자 하는 소정의 정보를 빨리 액세스 할 수 있다. 소정의 잔류 코드화 화상 라인의 판독에 대한 검출은 서브 화일(4TV)의 라인 번호와 라인 동기화 코드가 존재함으로서 단순화 될 수 있다.
제 28 도는 기록 캐리어상에 기록된 코드화 화상 정보를 제 18 도에 도시되어 있는 기록 유닛으로서 판독할 수 있는 판독 유닛(6)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판독 유닛(6)은 트랙(20)을 스캔하여 기록 캐리어(184)상의 정보 패턴을 판독하고 결과로 나타나는 정보를 대응 신호로 변환하는 통상의 판독 헤드(280)을 포함한다. 판독 유닛은 선택된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트랙(20)의 부분으로 트랙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판독 헤드(280)를 이동시키기 위한 통상의 위치 유닛(positioning unit)(284)을 더 포함한다. 판독 헤드(283)의 이동은 제어 유닛(285)로 제어된다. 판독 헤드(280)에 의해 변환된 신호는 EFM 디코딩 회로(281)에 의해 디코드되고 다음에 CIRC 디코딩 회로(282)에 인가된다. CIRC 디코딩 회로(282)는 통상적인 종류의 것으로 기록하기 전에 인터리브(interleaved)되는 정보의 원래 구조를 회복하고, 잘못 판독된 코드를 검출하고, 가능하면 교정한다. 교정할 수 없는 에러를 검출하면 CIRC 디코딩 회로는 새로운 에러 플래그 신호(error flag signal)를 공급한다. CIRC 디코딩 회로(282)에 의해 복원되고 교정된 정보는 기록하기 전에 포맷팅 회로(186)에 의해 더해진 부가정보를 제거하는 디포맷팅 회로(283)에 인가된다. EFM 디포맷팅 회로(281), CIRC 디코딩 회로(282), 그리고 디포맷팅 회로는 제어 유닛(285)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어된다. 디포맷팅 회로(283)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는 인터페이스 회로(286)를 거쳐 인가된다. 디포맷팅 회로는 CIRC 디코딩 회로로서는 정정 될 수 없는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는 에러 정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포맷팅 회로(166)에 의해 더해지는 잉여 정보 EDC & ECC에 의해 실행된다. 비교적 복잡하고 따라서 상당히 비싼 에러 정정 회로는 필요하지 않다. 이는, 절대 코드화 화상 정보내에서 잘못 판독된 코드의 영향은, 잘못 판독된 코드화 픽셀 및/ 또는 완전한 코드화 화상 라인을 하나 이상의 인접한 코드화 픽셀 또는 인접한 코드화 화상 라인으로부터 유도된 화상 정보로 교체함으로서 간단히 마스크될(masked)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정정은 제 25 도에 도시된 신호처리 유닛(141)에 의해 간단히 실행될 수 있는데, 즉, 인접하는 픽셀의 정보가 판독되고, 동시에 화상 메모리(255)의 데이타 출력이 데이타 입력에 연결되는 상태로 멀티플렉스회로(254)가 설정되는 방식으로, 어드레스 발생기(256)를 제어하기 위해, CIRC 디코딩 회로(282)에 의해 공급되는 에러 플래그 신호에 따라 응답하도록 제어 회로(253)를 프로그래밍 함으로서 간단히 실행될 수 있다. 다음에, 어드레스 발생기는 이전의상태로 리셋되고 잘못 판독된 코드화 픽셀 대신에 화상 메모리(255)로부터 판독된 정보가 어드레스되는 메모리 장소에 기억된다.
잔류 코드화 화상이 판독되는 경우 메모리(255)의 값은 잘못 판독된 잔류값의 검출에 따라 적응되지 않으며 변하지 않은 채로 남는다. 이것을 예를 들어, 잘못된 잔류값이 인가될 때 제어 회로로 하여금 메모리(155)내로 기록하는 것을 금지하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화상 메모리(255)의 용량은 커서, 상기와 같은 메모리의 비용은 비교적 비싸다. 메모리 용량은 멀티플렉서(254)와 화상 메모리(255)사이에 라인당 픽셀 수를 786로부터 512로 감소시키는 통상적인 종류의 샘플 레이트 변환기(sample rate converter)(290)를 배열함으로서 감소시킬수 있다.
제 31 도는 샘플 레이트 변환기(sample rate converter)(290)의 예를 도시한다. 본 예는 엎샘플링(upsampling) 및 보간 회로(310)와, 저역 필터(311)와, 다운 샘플링 및 디시메이팅(decimating) 회로(312)의 직렬 배열을 포함한다.
샘플 레이트 변환기(290)를 사용함으로서 512 ×512 메모리 기억장소로 된 메모리가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실제적인 이유로 메모리내 메로리 기억장소의 행의 수와 열의 수는 가급적 2의 제곱승이기 때문에, 이것은 특히 만족할 만한 크기의 메모리가 된다. 더욱이, 메모리 기억장소의 수가 행당(per row) 512로 줄어들게 되므로 사용되는 메모리들의 판독 속도상에 덜 엄격한 요구조건들이 부과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상 튜브는 약 5MHz에 대당하는 최대 해상도를 가지며, 이것은 라인당 약 500 픽셀에 해당하며, 따라서 행당 메모리 기억장소 수의 감소는 재생된 화상에 현저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샘플 레이트 변환기를 사용하면 화상의 포토레이트 포맷 표현(portrait-format representations)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유리하며, 이는 제 30a도, 제 30b도, 제 30c도 및 제 30d도와 관련하여 이하에 서술될 것이다.
제 30a 도에서 참조번호(300)는 PAL TV 표준에 따른 화상의 치수를 가리킨다. PAL TV 표준에 따른 상기와 같은 화상은 575의 유용한 화상 라인을 포함한다. 512×512 메모리 소자의 화상 메모리 내에 있는 정보의 재생동안 상기 575의 유용한 화상 라인 중 512가 사용된다. 이는 이용가능한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의 단지 작은 부분만이 사용되지 않을 뿐, 화상 메모리내 코드화 화상의 표현(301)은 PAL TV 표준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이 프레임(300)의 종횡비 내에 완전히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30b 도에서 참조번호(320)는 NTSC TV 표준에 따른 화상의 치수를 갖는 프레임을 나타낸다. NTSC TV 표준과 일치하는 상기와 같은 화상은 431의 유용한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화상 메모리(255)내에 존재하는 코드화 화상 표현(303)의 단지 한정된 부분만이 NTSC 표준에 따른 화상의 윤곽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30a 도 및 제 30b 도는 코드화 화상 표현의 랜드스케이프 포맷(landscape-format) 재생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만일 코드화 화상의 포트레이트 포맷 표현이 필요하다면, 화상의 높이가 768 픽셀에 상당하고, 유용한 화상 라인의 수가 PAL TV 표준에 따라 575 그리고 NTSC TV에 따라 485인 문제가 발생한다. 샘플 레이트 변환기(290)의 사용에 관계없이 512 행 메모리 기억장소의 화상 메모리가 사용될 때 이것은 코드화 화상 라인은하나의 메모리 열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의미한다.그러나, 샘플 레이트 변환기(290)를 사용하여 768 코드화 픽셀의 코드화 화상 라인이 512 코드화 픽셀의 코드화 화상 라인으로의 변환이 이루어져. 하나의 메모리 열내에 코드화 화상 라인이 수용될 수 있다. 이것은 재생동안 메모리(255)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표현 높이가 PAL과 NTSC TV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화상 프레임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상 메모리(255)내에 기억되어 있는 코드화 화상 표현의 길이와 폭 사이의비율이 원래의 비율에 대응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화상 메모리의 512 열중 단지 256 만을 화상 정보로 채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예로, 메모리(255)내에 단지 짝수 또는 홀수의 코드화 화상 라인만을 기억함으로서 가능하다.그러나, 보간 기술을 사용하는 다른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보간 기술을 사용하여 화상 메모리의 열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만족할만한 질의 화상 표현을 얻는다. 이것은 화상 메모리의 열에 코드화 화상 라인의 단지 일부분만이 기억되어 있는 방법에 대해서 모순된다.
보간 기술의 단점은 비교적 복잡하고 시간을 소비한다는 것으로, 그리하여 간략화된 화상 검색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간단한 방법으로 만족할 만한 질의 화상을 얻는 방법은 화상 메모리가 512×512 메모리 장소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이하에 서술될 것이다.상기 방법은 화상 메모리를 로드하기 위하여 768×512 코드화 픽셀을 갖는 서브 화일 TV 대신에, 384×256 코드화 픽셀을 갖는서브화일 TV/4를 사용한다.
판독되어 코드화된 화상 라인당 픽셀수를 감소시키고 증가시킬 수 있는 샘플 레이트 변환기(20)를 사용함으로써 서브화일 TV/4의 판독되어 코드화된 화상 라인당 픽셀수가 384 에서 512로 증가되게 할 수 있다. 512 코드화 픽셀 각각의 256 사용 가능토록 조정된 화상 라인은 메모리(255)내에 로드된다. 그리하여, 512 메모리 기억장소 각각의 256 열들은 화상 정보로 채워진다. 상기 정보를 판독해냄으로서 높이가 PAL 또는 NTSC 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높이에 거의 상당하고, 그리고 화질이 사용가능한 512 코드화 화상 라인수의 단지 절반(256)만을 사용함으로서 폭이 조정되는 768×512 코드화 픽셀의 코드화 화상을 기초로 하여 얻어지는 포트레이트 포맷의 표현의 품질보다 사실상 좋은 왜곡되지 않은 포트레이트 포맷 표현을 얻는다.
제 30c 도는, PAL TV 표준에 의해 정의되어 프레임(300)내에 상기와 같이 얻어지는 기억된 코드화 화상 (256×512 코드화 픽셀의)의 포트레이트 포맷의 표현(304)을 도시한다. 전체 표현은 PAL 표준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프레임내에 있다. 제 30d 도는 상기와 같이 기억된 코드화 화상의 포트레이트 포맷의 표현을 도시한다. 상기 표현은 NTSC TV 표준에 의해 정의된 프레임(302)내에 대개 존재한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샘플 레이트 변환기(290)를 사용함으로써 NTSC 또는 PAL 표준에 따른 유용한 화상 라인의 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동일한 행과 열의 수를 가지는 화상 메모리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코드화 화상의 포트레이트 포맷 및 랜스케이프 포맷의 표현 모두 표현의 높이가 유용한 화상 라인의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두가지 종류의 표현에 대해 디스플레이 화면은 올바르게 채워질 것이다.

Claims (22)

  1. 기록 캐리어 상에 기억된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들을 찾아 검색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picture retrieval combination)로써, 상기 조합체는: a)복수의 코드화 화상 라인들과 복수의 어드레스들이 트랙 내에 기록되는 기록 캐리어로써, 상기 코드화 화상 라인들은 연속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시퀀스로 구성되는 코드화 화상을 나타내고, 상기 연속 코드화 화상 라인들 중의 각각의 라인은 상기 하나의 코드화 화상 라인의 시작부에 기록된 각각의 라인 번호 및 라인 동기화 코드를 가지며, 각 라인 동기화 코드는 상기 각각의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시작부를 표지(mark)하고 각 라인 번호는 상기 시퀀스 내에서 상기 각 코드화 라인의 시퀀스 번호를 지정하며; 상기 어드레스들은 각각의 주어진 화상 라인의 상기 트랙상의 위치를 각각 지정하는 복수의 어드레스들인; 상기 기록 캐리어와; b)판독 장치로써: 상기 트랙을 스캐닝함으로써 상기 코드화 화상 라인들과 상기 어드레스들을 판독하는 판독 헤드와; 상기 각각의 주어진 화상 라이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라인 선택 수단 수단과; 상기 라인 선택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각각의 주어진 화상 라인들 중의 상기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선택 수단과; 상기 판독 헤드가 상기 어드레스들 중의 상기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상의 상기 위치를 스캐닝하도록, 상기 어드레스 선택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 헤드를 상기 트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각각의 라인 번호와 라인 동기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각 주어진 화상 라인 들중의 상기 하나의 상기 시작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판독 헤드에 결합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판독 장치를 포함하는, 기록 캐리어 상에 기억된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들을 찾아 검색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들 중의 상기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는 상기 각각의 주어진 화상 라인들 중의 상기 하나의 시작부 앞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의 수는 상기 복수의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수보다 더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들 중의 상기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는 상기 각각의 주어진 화상 라인들 중의 상기 하나의 시작부 앞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트랙을 따른 주어진 거리에 대응하는 검색 정확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에 의해 지정된 연속 위치들은 상기 주어진 거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캐리어는 중심 축을 가진 디스크이고, 상기 판독 장치는 상기 디스크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판독 헤드를 상기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은 나선형 트랙이며, 상기 주어진 거리는 실질적으로 상기 나선형 트랙 1회전 길이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 화상 라인들은 가변 길이 코드에 따라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들 중의 상기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는 상기 각각의 주어진 화상 라인들 중의 상기 하나의 상기 시작부 앞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의 수는 상기 복수의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수보다 더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들 중의 상기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는 상기 각각의 주어진 화상 라인들 중의 상기 하나의 상기 시작부 앞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트랙을 따른 주어진 거리에 대응하는 검색 정확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에 의해 지정된 연속 위치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주어진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캐리어는 중심 축을 가진 디스크이고, 상기 판독 장치는 상기 디스크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판독 헤드를 상기 축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은 나선형 트랙이며, 상기 주어진 거리는 실질적으로 상기 나선형 트랙의 1회전 길이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13. 복수의 코드화 화상 라인들로 저장되고,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고속 검색을 허용하도록 배열된 화상용 기록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 화상 라인들과 복수의 어드레스들이 트랙내에 기록되고; 상기 코드화 화상 라인들은 연속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시퀀스로 구성되는 코드화 화상을 나타내고, 상기 연속 코드화 화상 라인들 중의 각각의 하나의 라인은 상기 하나의 코드화 화상 라인의 시작부에 기록된 각각의 라인 번호와 라인 동기화 코드를 가지며, 각각의 라인 동기화 코드는 각각의 코드화 화상 라인의 시작부를 표지(mark)하고 각각의 라인 번호는 상기 시퀀스내의 각각의 코드화 라인의 시퀀스 번호를 지정하며; 상기 어드레스들 각각은 각각의 주어진 화상 라인의 상기 트랙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캐리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개수보다 더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캐리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 화상 라인들은 가변 길이 코드에 따라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캐리어.
  16. 트랙내에 기록된 복수의 어드레스들과 복수의 코드화 화상 라인들을 가지는 기록 캐리어 상에 기억된 선택된 코드화 화상 라인들을 판독하기 위한 화상 검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코드화 화상 라인들 중의 각각의 한 라인은 상기 하나의 코드화 화상 라인의 시작부에 기록된 각각의 라인 번호와 라인 동기화 코드를 가지며, 각각의 라인 동기화 코드는 각각의 코드화 화상 라인의 시작부를 표지(mark)하고, 각각의 라인 번호는 상기 시퀀스내의 각각의 코드화 라인의 시퀀스 번호를 지정하며;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의 개수는 코드화 화상 라인들의 개수보다 더 적으며, 상기 각각의 어드레스들은 각각의 주어진 화상 라인의 상기 트랙상의 위치를 지정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트랙을 스캐닝하여 상기 코드화 화상 라인들과 상기 어드레스들을 판독하는 판독 헤드와; 제 1 코드화 화상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라인 선택 수단과; 상기 라인 선택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코드화 화상 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선택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선택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 헤드가 상기 어드레스들 중의 상기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상의 위치를 스캐닝하도록, 상기 판독 헤드를 상기 트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각각의 라인 번호와 라인 동기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코드화 화상 라인의 시작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판독 헤드에 결합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디스크 축을 가진 디스크로 형성된 기록 캐리어 상의 상기 라인들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에 의해 지정된 연속위치들은 실질적으로 주어진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헤드를 상기 디스크 축에 관한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며;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트랙을 따른 상기 주어진 거리에 대응하는 검색 정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은 대응하는 복수의 코드화 화상 라인으로부터 분리되어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9. 기록 캐리어 상에 압축된 데이터로서 기억된 화상에 대하여 선택된 코드화 화상 엘리멘트를 찾아 검색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로써, 상기 조합체는: a)복수의 코드화 화상 엘리멘트들과, 분리되어 기억된 복수의 어드레스들이 트랙내에 기록된 기록 캐리어로써, 상기 코드화 화상 엘리멘트들은 화상 라인들의 시퀀스로 구성되는 코드화 화상을 표현하는 엘리멘트들의 시퀀스이고, 상기 연속 코드화 화상 엘리멘트들 중의 각각의 하나는 그 하나의 코드화 화상 엘리멘트의 시작부에 기록된 각각의 엘리멘트 번호와 엘리멘트 동기화 코드를 가지며, 각각의 엘리멘트 동기화 코드는 각각의 코드화 화상 엘리멘트의 시작부를 표시하고 각각의 엘리먼트 번호는 상기 엘리멘트들의 시퀀스내의 각각의 코드화 엘리멘트의 시퀀스 번호를 지정하며; 상기 어드레스들은 그 각각이 각각의 주어진 화상 엘리멘트의 상기 트랙 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복수의 어드레스인, 상기 기록 캐리어와; b) 판독 장치로써: 상기 트랙을 스캐닝함으로써 상기 코드화 화상 엘리멘트들과 상기 어드레스들을 판독하는 판독 헤드와; 상기 각각의 주어진 화상 엘리멘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엘리멘트 선택 수단과; 상기 엘리멘트 선택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각각의 주어진 화상 엘리멘트들중의 상기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선택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선택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 헤드가 상기 어드레스들 중의 상기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상의 위치를 스캐닝하도록, 상기 판독 헤드를 상기 트랙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각각의 엘리멘트 번호와 엘리멘트 동기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주어진 화상 엘리멘트들 중의 상기 하나의 시작부를 검출하도록, 상기 판독 헤드에 결합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판독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 화상 엘리멘트는 가변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 화상 엘리멘트는 화상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22. 제19항에 있어서, 화상 엘리멘트들의 총 수보다 더 적은 수의 어드레스들이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검색 조합체.
KR1019920701148A 1990-09-19 1992-05-15 화상 검색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록 캐리어 및 장치 KR100283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0202487.6 1990-09-19
EP90202487 1990-09-19
NL9002113A NL9002113A (nl) 1990-09-19 1990-09-27 Beeldopzoeksysteem, alsmede een registratiedrager en een inrichting voor toepassing in het systeem.
NL9002113 1990-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340B1 true KR100283340B1 (ko) 2001-03-02

Family

ID=2612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148A KR100283340B1 (ko) 1990-09-19 1992-05-15 화상 검색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록 캐리어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500927B1 (ko)
JP (2) JP3273508B2 (ko)
KR (1) KR100283340B1 (ko)
CN (1) CN1031539C (ko)
AT (1) ATE200938T1 (ko)
AU (1) AU661829B2 (ko)
BR (1) BR9105988A (ko)
CA (1) CA2068886C (ko)
CZ (1) CZ289474B6 (ko)
DE (1) DE69132594T2 (ko)
MY (1) MY110221A (ko)
RU (1) RU2051428C1 (ko)
SK (1) SK281036B6 (ko)
WO (1) WO19920055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21895D1 (de) * 1992-08-03 1998-12-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inrichtung zum Auslesen von Information
GB2283876B (en) * 1993-11-09 1998-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ncoding and decoding code sequences and frames
DE69602273T2 (de) * 1995-09-29 1999-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vorrichtung und speicherplatte zur aufnahme und wiedergabe eines verschachtelten bitstroms auf und von der speicherplatte
TW436777B (en) 1995-09-29 2001-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bitstream having non-sequential system clock data seamlessly therebetween
US6484266B2 (en) 1995-09-29 2002-11-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bitstream having non-sequential system clock data seamlessly therebetween
KR100243225B1 (ko) 1997-07-16 2000-02-01 윤종용 블록화효과 및 링잉잡음 감소를 위한 신호적응필터링방법 및신호적응필터
IL138671A (en) * 1999-01-27 2005-12-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 carrier, playback device an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US6654553B2 (en) 2000-12-01 2003-11-25 Nidek Co., Ltd. Fundus camera
PL1743481T3 (pl) 2004-04-28 2011-12-30 Panasonic Corp Urządzenie do generowania strumienia, sposób generowania strumienia, urządzenie do kodowania, sposób kodowania, nośnik zapisujący oraz właściwy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753A (en) * 1977-07-08 1979-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recording disk with interlacing of data for frames on the same track
NL8303046A (nl) * 1983-09-01 1985-04-01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uitlezen van een schijfvormige registratiedrager.
JPS6052960A (ja) * 1983-09-01 1985-03-26 Sony Corp デイスク再生装置
US4694441A (en) * 1983-10-14 1987-09-15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Position control device for an optical reproduction system in an optical type disc reproduction device
GB8405429D0 (en) * 1984-03-01 1984-04-04 Index Data Programmes Storage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on video tape
NL8500735A (nl) * 1985-03-14 1986-10-01 Philips Nv Systeem voor het regelsgewijs in een compressie-inrichting comprimeren van binaire data van een beeldveld, decompressie-inrichting voor gebruik in zo een systeem en afbeeldinrichting voorzien van zo een decompressie-inrichting.
JP2630375B2 (ja) * 1986-02-28 1997-07-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アドレス探索機能を有する情報再生装置
NL8600980A (nl) * 1986-04-18 1987-11-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overdragen van update informatie voor een stilstaand videobeeld.
NL8601005A (nl) * 1986-04-21 1987-11-16 Philips Nv Informatieverwerkende inrichting voorzien van een massageheugen waarin beeldinformatie voor lijnsgewijs samengestelde beelden groepsgewijs verdeeld is opgeslagen.
US4843484A (en) * 1986-09-12 1989-06-2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disc with composite index codes and its playback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0927A1 (en) 1992-09-02
DE69132594T2 (de) 2001-10-18
EP0500927B1 (en) 2001-05-02
AU8667091A (en) 1992-04-15
JP2002171489A (ja) 2002-06-14
DE69132594D1 (de) 2001-06-07
AU661829B2 (en) 1995-08-10
CN1031539C (zh) 1996-04-10
JP3273508B2 (ja) 2002-04-08
JP3642751B2 (ja) 2005-04-27
RU2051428C1 (ru) 1995-12-27
BR9105988A (pt) 1993-02-02
CZ289474B6 (cs) 2002-01-16
WO1992005554A1 (en) 1992-04-02
SK281036B6 (sk) 2000-11-07
SK143592A3 (en) 1994-11-09
CN1062065A (zh) 1992-06-17
CA2068886A1 (en) 1992-03-20
CA2068886C (en) 2002-03-26
ATE200938T1 (de) 2001-05-15
MY110221A (en) 1998-03-31
JPH05502541A (ja) 1993-04-28
CZ9201435A3 (cs) 200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9209B1 (ko) 주 데이터 파일 및 제어 파일이 기록되는 기록 캐리어와, 주데이터 파일 및 제어 파일을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과, 상기 기록 캐리어를 판독하는 장치
US61342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main data file and a control file on a record carrier, and apparatus for reading the record carrier
CA2091166C (en) Method of recording picture information, record carrier, and picture retrieval and reproduction device for reading the record carrier
KR100283340B1 (ko) 화상 검색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록 캐리어 및 장치
EP0549688B1 (en) Method of recording picture information, record carrier, and picture retrieval and reproduction device for reading the record carrier
AU655944B2 (en) Read device
WO1992005553A1 (en) Information retrieval and reproduction device
WO1992005653A1 (en) Method of recording coded pictures, record carrier on which coded pictures have been recorded, and picture retrieval and reproduction device for reading the record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