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768B1 -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용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 - Google Patents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용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768B1
KR100282768B1 KR1019980033043A KR19980033043A KR100282768B1 KR 100282768 B1 KR100282768 B1 KR 100282768B1 KR 1019980033043 A KR1019980033043 A KR 1019980033043A KR 19980033043 A KR19980033043 A KR 19980033043A KR 100282768 B1 KR100282768 B1 KR 10028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 nodes
capacitor
nodes
capac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304A (ko
Inventor
이온 이 오프리스
빌 씨 웡
Original Assignee
클라크 3세 존 엠.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크 3세 존 엠.,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클라크 3세 존 엠.
Publication of KR1999002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74Simultaneous conversion
    • H03M1/80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weighted impedan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68Digital/analogue converters with conversions of different sensitivity, i.e. one conversion relating to the more significant digital bits and another conversion to the less significant b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34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 H03M1/38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equentially only, e.g.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 H03M1/46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equentially only, e.g.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with digital/analogue converter for supplying reference values to converter
    • H03M1/466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equentially only, e.g.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with digital/analogue converter for supplying reference values to converter using switched capacitors
    • H03M1/468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equentially only, e.g.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with digital/analogue converter for supplying reference values to converter using switched capacitors in which the input S/H circuit is merged with the feedback DAC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연속 근사 아날로그-디지탈 신호 변환기는 단위 용량값을 갖는 주 결합 캐패시터 및 그 단위값 용량의 2진수 가중된 용량을 가진 2세트의 입력 결합 캐패시터를 가진 캐패시터 어레이를 포함한다. 샘플링 단계동안에, 입력 결합 캐패시터의 제 1 세트가 접지되는 한편, 입력 결합 캐패시터의 제 2 세트가 아날로그 입력전압에 의해서 구동된다. 유지 또는 변환 단계 동안에, 제 2 세트의 입력 결합 캐패시터들중의 하나가 접지되는 한편, 제 1 세트의 각 입력 결합 캐패시터와 제 2 세트의 나머지 입력 결합 캐패시터의 각각이 일정 기준전압의 각 2진수 배수들에 의해 구동되며, 그 각각의 2진수 배수들은 연속 근사결과의 비트들중의 하나에 대응된다.

Description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용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
본 발명은 연속 근사 아날로그-디지탈 신호 변환기 (SAR ADC) 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SAR ADC 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DAC) 부분을 구성하는 캐패시터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DAC 부가 캐패시터 어레이로 구성된 종래의 SAR ADC 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접속된, DAC (12), 전압 비교기 (14) 및 SAR 로직 (16) 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입력 (VIN) 은, DAC (12) 에서 SAR 로직 (16) 으로부터의 디지탈 데이터 비트 (17) 에 따라서 처리 즉, 가중되어진다. 이는 아날로그 전압을 출력단 (13) 에서 발생시키며 비교기 (14) 에 의하여 기준 전압 (VCR) 과 비교되어진다. 비교기 출력 (15) 은, 널리 공지된 원리에 따라서 SAR 로직 (16) 에 의하여 처리되어, 디지탈 출력 데이터 비트 (17) 를 발생시킨다.
저항성 래더망 (resistive ladder network) (그 아날로그 출력이 비교기에 의하여 아날로그 입력 (VIN) 과 비교됨) 과는 반대로,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DAC 를 사용하는 경우에, 스위치를 통한 DC 파워 소모 무 (無), 정전류 유출 무 (無), 및 수동 소자 즉, 캐패시터들간의 우수한 정합과 같은, 여러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DAC (12) 에서의 종래의 캐패시터 어레이 (12a) 의 구현은 2진수 가중된 캐패시터 값을 사용한다. 샘플링 단계 동안에는, 각 어레이내의 캐패시터 (C0,C1,C2,...,CN-1) 가 아날로그 입력 (VIN) 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편, 유지 단계, 즉, 연속 근사 변환 단계 동안에는, 각 캐패시터들이 입력 데이터 비트 (DK) 중의 하나로 가중된 기준 전압 (VREF) 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종래의 2진 캐패시터 어레이의 동작이 더욱 자세하게 이해될 것이다. DAC (12) 는, 캐패시터 어레이 (12a) 자체 뿐만 아니라, N 개의 스위치 (S0,S1,S2,...,SN-1) (N 은 디지탈 데이터 비트 (17) 의 개수와 동일함) 로 이루어지며 각 캐패시터 (C0,C1,C2,...,CN-1) 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칭 매트릭스 (12b) 를 더 포함한다. 샘플링 단계 동안에는, 샘플 및 유지 제어신호 (S/H) 에 따라서, 비교기 (14) 의 입력을 가로지르는 스위치 (S) 가 닫히며, 입력 스위치 (S0-SN-1) 가 포지션 1 에 위치됨으로써, 캐패시터들이 아날로그 입력 (VIN) 에 의하여 구동되어지도록 한다. 유지 단계 동안에는, 샘플 및 유지 제어신호 (S/H) 에 따라서, 비교기 (14) 의 입력을 가로지르는 스위치 (S) 가 개방되며, 각 입력 스위치 (S0-SN-1) 가 그 각각의 디지탈 데이터 신호 비트 (D0-DN-1) 에 따라서, 포지션 2 또는 3 으로 스위치된다. 예를들어, 첫번째 입력 스위치 (S0) 의 경우에는, 그 데이터 비트 (D0) 가 로직 0 이면, 스위치 (S0) 가 포지션 2 에 위치되는 한편, 데이터 비트 (D0) 가 로직 1 이면, 스위치 (S0) 가 포지션 3 에 위치된다. 따라서, 각 캐패시터 (C0-CN-1) 로의 입력은 기준 전압 (VREF) 의 2진수 가중된 변환값이 되게 된다.
그러나, 이상 설명한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DAC 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현은 상당한 단점을 갖고 있다. 캐패시터들의 우수한 정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규모 캐패시터가 선택된 단위 용량의 배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도 2 및 3 에 나타낸 예는, 대규모 캐패시터에 대한 소규모 캐패시터의 비율이 비트수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샘플링 단계 동작 동안의 입력 용량 뿐만 아니라, 캐패시터 어레이에 요구되는 면적을 증대시키게 된다. 예를들어, 샘플링 단계 동안의 이러한 구현을 위한 입력 용량은 모든 입력 캐패시터들 (C0-CN-1) 의 용량의 합 (즉, C+2C+4C+ … +2N-1ㆍC) 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샘플링 단계 동안에 큰 입력 용량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캐패시터 어레이에 요하는 면적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한가지 기술로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어레이를 사용하는 DAC (12c) 에서는, 결합 캐패시터 (CC) 가 본질적으로 이 어레이를 2개의 소규모 캐패시터 어레이로 분할시키게 된다. 주 입력 캐패시터 (C0-CK+M) (K+M=N) 를 구동시키는 주 입력 스위치 (S0-SK+M) 의 동작은 도 3 의 DAC (12b) 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샘플 및 유지 제어 신호 (S/H) 에 의하여 구동되는 하나의 부가적인 입력 캐패시터 (CS) 가, 샘플링 단계 동안에는 포지션 1 로 스위치되며 유지 단계동안에는 포지션 2 로 스위치되는, 대응 스위치 (SS) 와 함께 사용된다. 결합 캐패시터 (CC) 의 어느 일측의 각 소규모 캐패시터 어레이들 내의 최대 캐패시터값이 감소되기 때문에, 필요한 캐패시터 면적이 감소되게 된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의 주요 단점은 전체 캐패시터 어레이를 분할하는데 이용되는 결합 캐패시터 (CC) 의 아주 작은 값 (fractional value) 에 있다. 이러한 작은 값을 갖기 때문에 결합 캐패시터 (CC) 와 어레이 내의 나머지 개별 캐패시터 (CS, C0-CK, CK+1- CK+M) 사이의 정합을 불량하게 한다. 단위 캐패시터 (CS, C0-CK, CK+1- CK+M) 의 면적 및 페리미터 (perimeter) 에 대한 결합 캐패시터 (CC) 의 면적 및 페리미터의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서, 상기 정합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는 어레이의 레이아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또한, 아주 작은 결합 캐패시터 (CC) 와 나머지 캐패시터 (CS, C0-CK, CK+1- CK+M) 사이의 어떠한 오정합도 그 미분 비선형성에 대한 변환기 (12c) 의 전체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비트수에 따라 부피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캐패시터에 관련된 문제를 회피하면서도, 또한 단위 캐패시터와 아주 작은 값의 캐패시터 사이의 정합에 관련된 문제를 회피하는,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DAC 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는, 아주 작은 단위 용량값을 갖는 어떠한 캐패시터를 요함이 없이, 단위 용량값을 정수배한 용량값을 갖는 캐패시터를 이용한다. 따라서, 더 큰 캐패시터를 요하는 경우의 캐패시터의 필요 크기가 상당히 감소되면서도, 단위 용량값과 작은 용량값을 정합시킬 필요가 없으며, 샘플링 단계 동안의 입력 용량이 충분히 감소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는 종래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에 비해 샘플링 단계 동안의 입력 용량을 더욱 충분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탈 아날로그 신호 변환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는 2 개의 접속 노드, 2세트의 입력 노드, 결합 캐패시터 및 2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제 2 접속노드는 아날로그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세트의 입력 노드는, 시간 다중화 방식으로, 제 1 세트의 디지탈 입력 전압을 포함하는 제 1 세트의 입력 전압의 각 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노드는, 시간 다중화 방식으로, 제 2 세트의 디지탈 입력 전압을 포함하는 제 2 세트의 입력 전압의 각 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결합 캐패시터는 접속 노드들 사이에 접속되며 단위값의 용량을 갖는다. 제 1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는 제 1 접속 노드와 제 1 세트의 입력 노드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의 각 캐패시터는 단위 용량값을 각각 정수배한 용량을 가지며 제 1 세트의 입력 노드의 각 노드와 제 1 접속 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는 제 2 접속 노드와 제 2 세트의 입력 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의 각 캐패시터들은 단위값 용량을 각각 정수배한 용량을 가지며, 제 2 접속 노드와 제 2 세트의 입력 노드의 각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을 행하는데 이용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는 2 개의 접속 노드, 2 세트의 입력 노드, 결합 캐패시터 및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제 2 접속 노드는 아날로그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세트의 입력 노드는 제 1 세트의 디지탈 입력 전압을 포함하는 제 1 세트의 입력 전압의 각 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노드는 제 2 세트의 디지탈 입력 전압을 포함하는 제 2 세트의 입력 전압의 각 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결합 캐패시터는 접속 노드들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는 제 1 접속 노드와 제 1 세트의 입력 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의 각각의 캐패시터는 제 1 세트의 입력 노드의 각 노드와 제 1 접속 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는 제 2 접속 노드와 제 2 세트의 입력 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의 각 캐패시터들은 제 2 세트의 입력 노드의 각 노드와 제 2 접속 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시간 주기 동안에, 제 1 세트의 입력 노드의 각 노드들은 제 1 세트의 입력 전압의 각 전압으로서 제 1 일정 기준 전압을 수신하고, 제 2 세트의 입력 노드의 각 노드들은 제 2 세트의 입력 전압으로서 입력 신호 전압을 수신한다.
제 2 시간 주기 동안에, 제 2 세트의 입력 노드 중 일부분의 각 노드들은 제 2 세트의 입력 전압 중 일부분의 각 전압으로서 제 1 일정 기준 전압을 수신하고, 제 1 세트의 입력 노드의 각 노드들은 제 1 세트의 입력 전압의 각 전압으로서 제 2 일정 기준 전압의 2배수 (binary multiples) 들의 세트 중 일부분의 각 전압을 수신하고, 제 2 세트의 입력 노드 중 다른 부분의 각 노드들은 제 2 세트의 입력 전압 중 다른 부분의 각 전압으로서 제 2 일정 기준 전압의 2배수들의 세트 중 일부의 각 전압을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연속 근사 아날로그-디지탈 신호변환기는 아날로그 전압비교회로, 연속근사회로 및 디지탈-아날로그 신호변환회로를 갖는다. 아날로그 전압비교회로는 아날로그 입력전압과 아날로그 피드백전압을 수신하여 비교하고 그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전압이 아날로그 피드백전압보다 큰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디지탈 비교결과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연속근사회로는 아날로그 전압비교회로에 결합되어 디지탈 비교결과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전압의 근사적인 2진값을 함께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터신호 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디지탈-아날로그 신호변환회로는 연속근사회로와 아날로그 전압비교회로에 결합되어 디지탈 데이터신호 세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피드백전압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디지탈-아날로그 신호변환회로는 2 개의 접속노드, 2 세트의 입력노드, 결합 캐패시터,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 및 2 세트의 스위치회로를 갖는다. 제 2 접속노드는 아날로그 피드백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세트의 입력노드는, 시간다중화 방식으로, 제 1 세트의 디지탈 입력전압을 포함하는 제 1 세트의 입력전압 중의 각 입력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세트의 입력노드는, 시간다중화 방식으로, 제 2 세트의 디지탈 입력전압을 포함하는 제 2 세트의 입력전압 중의 각 입력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결합 캐패시터는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단위값 용량을 갖는다. 제 1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는 제 1 접속노드와 제 1 세트의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 중의 각 입력 캐패시터는 단위값 용량의 개개의 정수배인 용량을 가지며 제 1 접속노드와 제 1 세트의 입력노드 중의 각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는 제 2 접속노드와 제 2 세트의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 중의 각 입력 캐패시터는 단위값 용량의 개개의 정수배인 용량을 가지며 제 2 접속노드와 제 2 세트의 입력노드 중의 각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세트의 스위치회로는 제 1 세트의 입력노드에 결합되며, 디지탈 데이터신호 세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시간다중화 방식으로 제 1 세트의 입력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세트의 스위치회로는 제 2 세트의 입력노드에 결합되며, 디지탈 데이터신호 세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시간다중화 방식으로 제 2 세트의 입력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연속근사 아날로그-디지탈 신호변환기는 아날로그 전압비교회로, 연속근사회로 및 디지탈-아날로그 신호변환회로를 갖는다. 아날로그 전압비교회로는, 아날로그 입력전압과 아날로그 피드백전압을 수신하여 비교하고, 그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전압이 아날로그 피드백전압보다 더 큰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디지탈 비교결과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연속근사회로는, 아날로그 전압비교회로에 결합되어 디지탈 비교결과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근사적인 아날로그 입력전압의 2진값을 함께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터신호 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디지탈-아날로그 신호변환회로는 연속근사회로와 아날로그 전압비교회로에 결합되어 디지탈 데이터신호 세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피드백전압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디지탈-아날로그 신호변환회로는 2 개의 접속노드, 2 세트의 입력노드, 결합 캐패시터,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 및 2 세트의 스위치회로를 갖는다. 제 2 접속노드는 아날로그 피드백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세트의 입력노드는, 제 1 세트의 디지탈 입력전압을 포함하는 제 1 세트의 입력전압 중의 각 입력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세트의 입력노드는 제 2 세트의 디지탈 입력전압을 포함하는 제 2 세트의 입력전압 중의 각 입력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결합 캐패시터는 접속노드들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는 제 1 접속노드와 제 1 세트의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 중의 각 입력 캐패시터는 제 1 접속노드와 제 1 세트의 입력노드 중의 각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는 제 2 접속노드와 제 2 세트의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세트의 입력 캐패시터 중의 각 입력 캐패시터는 제 2 접속노드와 제 2 세트의 입력노드 중의 각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세트의 스위치회로는, 제 1 세트의 입력노드에 결합되며, 디지탈 데이터 신호 세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서 제 1 시간주기 동안에는 제 1 세트의 입력전압 중의 각 입력전압으로서 제 1 일정 기준전압을 제공하고, 제 2 시간주기 동안에는 제 1 세트의 입력전압 중의 각 입력전압으로서 제 2 일정 기준전압의 2배수 세트의 일부분 중의 각각의 2배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세트의 스위치회로는, 제 2 세트의 입력노드에 결합되며 디지탈 데이터 신호 세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서 제 1 시간주기 동안에는 제 2 세트의 입력전압 중의 각 입력전압으로서 아날로그 입력전압을 제공하고, 제 2 시간주기 동안에 제 2 세트의 입력전압중의 일부의 각 입력전압으로서 제 1 일정 기준전압을 출력하며 제 2 시간주기 동안에는 제 2 세트의 입력전압중의 다른 일부분의 각 입력전압으로서 제 2 일정 기준전압의 2배수 세트의 다른 일부분 중의 각 2배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과 이점은 다음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연속 근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기능 블록도.
도 2 는 도 1 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용의 종래 캐패시터 어레이의 개략도.
도 3 은 도 2 의 캐패시터 어레이를 사용한 도 1 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의 개략도.
도 4 는 종래의 분할 (split)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의 개략도.
도 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기의 개략도.
도 5b 및 5c 는 각각 샘플링 (sample) 및 유지 (hold)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도 5a 의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의 개략도.
도 6 은 도 5a 의 회로에서의 최하위 캐패시터에 의하여 주입된 보상 전하를 계산하기 위한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7b 는 도 5a 의 회로에서의 미분 선형성을 판정하기 위한 등가회로부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회로
112a, 112b : 캐패시터 어레이
13 : 비교기 입력노드
도 5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 회로 (112) 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회로보다 더 많은 장점을 갖는다. 결합 캐패시터 (CC) 는 전체 어레이를 2개의 소규모 캐패시터 어레이 (112a 및 112b) 로 분할하는 단위값 용량 (C) 을 갖는다. 이 소규모 캐패시터 어레이 (112a) 중의 하나는 K 개의 캐패시터를 가지는 한편, 다른 소규모 어레이 (112b) 는 M+1 개의 캐패시터를 갖는다. 주 입력 스위치 (S0-SK+M) 는 각각의 디지탈 데이터 비트 (D0-DK+M) 에 의하여 제어되는 한편, 보조 입력 스위치 (SS) 는 샘플 및 유지 제어 신호 (S/H) 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들 스위치 (S0-SK+M및 SS) 는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샘플 단계동안에, 모든 스위치 (S0-SK+M및 SS) 는 그 스위치 포지션 1 에 위치되며, 유지 단계동안에는, 보조 스위치 (SS) 는, 대응 데이터 비트 (D0-DK+M) 가 각각 로직 0 또는 로직 1 인가에 따라서, 그 스위치 포지션 2 에 위치되는 한편, 주 스위치 (S0-SK+M) 가 그 각각의 스위치 포지션 2 또는 3 에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샘플 단계의 동작동안, 제 1 캐패시터 서브-어레이 (112a) 의 캐패시터 (C0-CK) 는 접지되는 한편, 캐패시터 (CK+1-CK+M및 CS) 가 아날로그 입력 전압 (VIN) 에 의하여 구동되며, 유지 단계동안에는, 보조 캐패시터 (CS) 가 접지되는 한편, 나머지 각 캐패시터 (C0-CK및 CK+1-CK+M) 들은 기준 전압 (VREF) 의 2진수 가중된 변환값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 5b 와 5c 를 참조하면, 각종 캐패시터의 접속에 대한 이러한 2 개 모드의 동작결과, 즉 샘플과 유지 동작은 4+4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갖는 8-비트 변환기로 표현된다. 따라서, 샘플 단계 동안에, 첫 번째 4 개 캐패시터 (C0-C3) 가 접지되는 한편, 나머지 캐패시터 (C4-C7) 및 보조 캐패시터 (CS) 는 아날로그 입력 (VIN) 에 의해 구동된다. 유지 또는 변환 단계동안에는, 보조 캐패시터 (CS) 가 접지되는 반면에, 나머지 캐패시터 (C0-C7) 는, 연속적인 근사 알고리즘에 따라서, 그들 각각의 데이터 비트 (D0-D7) 가 논리값 0 또는 논리값 1 이냐에 의존하여, 회로 접지단이나 기준 전압 (VREF) 중의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다시, 도 5a 를 참조하면, 이러한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 기재의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 회로 (112) 의 다른 장점은 샘플 단계의 동작 동안의 입력 용량이 상당히 감소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 (112) 으로 부터, 샘플 단계 동안의 전체 입력 용량이 다음과 같이,
CIN=2M·C
로서 표현됨을 알수 있다.
이러한 입력 용량 (CIN) 의 값은 입력 캐패시턴스가 다음과 같이,
CIN=2K·C+(2M-1)·C
으로 표현되는 종래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기초로 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12c, 도 4 참조) 에 대한 입력 용량에 (즉, 만약 M=K 이면, 거의 절반) 상당한다.
일반적으로, 캐패시터 어레이 (112) 가 아날로그 입력 (VIN) 에 의해 구동되어 접지될 때 까지 스위치될 때, 비교기 입력 노드 (13) 로부터 감산한 전체 전하 (Q) 는 다음과 같이,
Q=2M·C·VIN
으로 표현된다.
유지 단계 동안에, 이 전하 (Q) 는 어레이 (112) 내의 캐패시터 (C0-CK+M,CS) 에 의해 주입된 전하에 의해 보상된다. 처음 M 개의 최상위비트 (DK+M-DK+1) 는 진정한 2진수 분포를 가진다. 비교기 입력 노드 (13) 가 그 초기값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연속적인 근사 변환 동안에 나머지가 최소화된다), 가상적인 접지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최하위비트 캐패시터 (CK-C0) 에 의해 주입된 보상 전하가 아래와 같은, 도 6 의 등가회로를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m 은 첫번째 M 비트, 즉 M 개의 최상위비트 (DK+M-DK+1) 의 2 진 값이며, 또한 J 는 최종 K 비트, 즉 K 개의 최하위비트 (DK-D1) 의 2 진 값이다.)
수학식 3 과 5 를 결합하면, 입력 전압의 디지탈 표현은 분할에 대해 적당한 가중치를 가지며, 다음과 같이,
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7a 와 7b 를 참조하면, 미분 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등가 분석은 행해질 수 있다. 최하위비트 캐패시터 (CK-C0) 의 2 진 값이 비교기 입력 노드 (13) 에서 출력 전압에 2 진수 가중된 분포를 제공하며, 선형성이 캐패시터 정합에 의해만 영향을 받는다. 도 7a 및 7b 는 K 비트 (DK) 전이에서 등가회로부를 도시한 것이다. 등가 용량을 사용하면, DKDK-1DK-2...D0= 011...1 과 같은 디지탈 데이터 비트 (17) 패턴으로부터의 전하 기여가, DKDK-1DK-2...D0= 100...0 과 같은 디지탈 데이터 비트 (17) 패턴으로부터의 전하 기여의 (2K-1)/2K이다. 즉, 2개의 코드간 차이는 정확하게 1개의 최하위비트이다. 따라서, 전이점에서의 선형성이 아주 우수하다.
본 발명의 구조 및 동작 방법의 다양한 다른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일탈함이 없이 당해기술분야의 전문가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결합하여 설명하였지만, 청구된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 실시예에 부당하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의 청구항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정하지만 이에 의해 이러한 청구항의 범위내의 구성과 방법 및 그 등가물을 포함시키려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는, 아주 작은 단위 용량값을 갖는 어떠한 캐패시터를 요함이 없이, 단위 용량값을 정수배한 용량값을 갖는 캐패시터를 이용함으로써, 더 큰 캐패시터를 요하는 경우의 캐패시터의 필요 크기가 상당히 감소되면서도, 단위 용량값과 작은 용량값을 정합시킬 필요가 없으며, 샘플링 단계 동안의 입력 용량이 충분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제 1 접속노드;
    아날로그 출력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 2 접속노드;
    시간 다중화 방식으로 제 1 복수 디지탈 입력전압을 포함하는 제 1 복수 입력전압들중의 각 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복수 입력노드;
    시간 다중화 방식으로 제 2 복수 디지탈 입력전압을 포함하는 제 2 복수 입력전압들중의 각 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2 복수 입력노드;
    상기 제 1 접속노드와 상기 제 2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단위 용량값을 갖는 결합 캐패시터;
    상기 제 1 접속노드와 상기 제 1 복수 입력노드에 접속된 제 1 복수 입력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접속노드와 상기 제 2 복수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2 복수 입력 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복수 입력 캐패시터들 각각이 상기 단위값 용량의 각각의 정수배인 용량을 갖고 상기 제 1 접속노드와 상기 제 1 복수 입력노드의 각 노드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복수 입력 캐패시터들 각각이 상기 단위값 용량의 각각의 정수배인 용량을 갖고 상기 제 2 접속노드와 상기 제 2 복수 입력노드의 각 노드의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구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수배의 각각은 2진수 가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구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수 입력노드에 접속되어, 제 1 복수 스위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시간 다중화 방식으로 상기 제 1 복수 입력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 1 복수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 2 복수 입력노드에 접속되어, 제 2 복수 스위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시간 다중화 방식으로 상기 제 2 복수 입력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 2 복수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구비한 장치.
  4.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제 1 접속노드;
    아날로그 출력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 2 접속노드;
    제 1 복수 디지탈 입력전압을 포함하는 제 1 복수 입력전압들중의 각 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복수 입력노드;
    제 2 복수 디지탈 입력전압을 포함하는 제 2 복수 입력전압들중의 각 전압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2 복수 입력노드;
    상기 제 1 접속노드와 상기 제 2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된 결합 캐패시터;
    상기 제 1 접속노드와 상기 제 1 복수 입력노드에 접속된 제 1 복수 입력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접속노드와 상기 제 2 복수 입력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2 복수 입력 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복수 입력 캐패시터들 각각이 상기 제 1 접속노드와 상기 제 1 복수 입력노드의 각각마다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복수 입력 캐패시터들 각각이 상기 제 2 접속노드와 상기 제 2 복수 입력노드의 각각마다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 1 시간주기 동안에,
    상기 제 1 복수 입력노드들 각각이 제 1 일정 기준전압을 상기 제 1 복수 입력전압들중의 각각의 하나로서 수신하며,
    상기 제 2 복수 입력노드들 각각이 입력신호전압을 상기 제 2 복수 입력전압들중의 각각의 하나로서 수신하며,
    제 2 시간주기 동안에,
    상기 제 2 복수 입력노드들중 일부분의 각각이 상기 제 1 일정 기준전압을 일부 상기 제 2 복수 입력전압들중의 각각의 하나로서 수신하며,
    상기 제 1 복수 입력노드들중의 각각이 제 2 일정 기준전압의 복수의 2진 배수의 일부들중의 각각을 상기 제 1 복수 입력전압들중의 상기 각각의 하나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 2 복수 입력노드들중 다른 부분의 각각이 상기 제 2 일정 기준전압의 상기 복수의 2진 배수의 또다른 부분의 각각을 상기 제 2 복수 입력전압의 또다른 부분의 상기 각각으로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구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수 입력노드에 접속되어, 제 1 복수 스위치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그에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주기 동안에, 상기 제 1 복수 입력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복수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 2 복수 입력노드에 접속되어, 제 2 복수 스위치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그에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주기 동안에, 상기 제 2 복수 입력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복수 스위치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를 구비한 장치.
KR1019980033043A 1997-09-18 1998-08-14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용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 KR100282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33,233 1997-09-18
US08/933,233 US5889486A (en) 1997-09-18 1997-09-18 Split capacitor array for digital-to-analog signal conver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304A KR19990029304A (ko) 1999-04-26
KR100282768B1 true KR100282768B1 (ko) 2001-03-02

Family

ID=2546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043A KR100282768B1 (ko) 1997-09-18 1998-08-14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용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89486A (ko)
KR (1) KR100282768B1 (ko)
DE (1) DE198404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900A (ko) * 2012-12-20 2014-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사용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6812B1 (en) * 1999-08-16 2002-11-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A conversion circuit having n switches, n capacitors and a coupling capacitor
JP3275966B2 (ja) * 1999-12-02 2002-04-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
EP1182778A1 (en) * 2000-07-21 2002-02-27 Semiconductor Ideas to The Market (ItoM) BV Receiver comprising a digitally controlled capacitor bank
US6400302B1 (en) * 2001-02-26 2002-06-04 Analog Devices, Inc. Quasi-differential successive-approxima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verting analog signals into corresponding digital signals
GB2388725A (en) 2002-05-17 2003-11-19 Sharp Kk Digital/analog converter, display driver and display
GB2409777A (en) * 2004-01-03 2005-07-06 Sharp Kk Digital/analog converter for a display driver
US6850181B1 (en) 2004-01-08 2005-02-0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for a successive approximation analog-to-digital converter circuit
US6924760B1 (en) * 2004-02-27 2005-08-02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Highly accurate switched capacitor DAC
KR100696945B1 (ko) * 2004-06-10 2007-03-20 전자부품연구원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의 단위 블록을 재사용하여고해상도를 구현하는 축차근사형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장치
US7218259B2 (en) * 2005-08-12 2007-05-15 Analog Devices, Inc. Analog-to-digital converter with signal-to-noise ratio enhancement
KR100850747B1 (ko) * 2006-12-06 2008-08-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알고리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KR101276058B1 (ko) 2007-12-18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7969167B2 (en) * 2009-01-28 2011-06-2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apacitance-to-voltage interface circuit with shared capacitor bank for offsetting and analog-to-digital conversion
US7796079B2 (en) * 2009-01-28 2010-09-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harge redistribution successive approximatio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US8125231B2 (en) 2009-01-28 2012-02-2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apacitance-to-voltage interface circuit, and related operating methods
US8149152B2 (en) * 2009-04-03 2012-04-03 Cosmic Circuits Private Limited Capacitor based digital to analog converter layout design for high speed 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7916057B2 (en) * 2009-04-27 2011-03-29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omplex-admittance digital-to-analog converter
KR101716782B1 (ko) 2010-09-30 2017-03-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CN102096746B (zh) * 2011-03-15 2015-09-16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模数转换器高低位耦合电容和单位电容的版图设计方法
US9252792B2 (en) * 2014-05-12 2016-02-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unable frequency-to-voltage controlled oscillation
JP6421536B2 (ja) * 2014-10-15 2018-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ドライバー及び電子機器
CN105790724B (zh) * 2016-04-28 2018-04-13 华南理工大学 一种0到1阶功率级分数阶电容元件的制备方法
US9780804B1 (en) * 2016-06-30 2017-10-03 Synaptics Incorporated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analog to digital converter with multiple split digital to analog convertors
US9853655B1 (en) 2017-03-01 2017-12-26 Infineon Technologies Ag Testing a capacitor array by delta charge
US10761135B2 (en) * 2018-09-11 2020-09-01 Infineon Technologies Ag Built-in self test for an array of circuit elements
KR102656705B1 (ko) 2020-05-25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전력 조절 범위를 선택하는 rf 송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2420A (ja) * 1992-11-09 1994-05-31 Nec Corp 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900A (ko) * 2012-12-20 2014-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사용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방법
KR101964404B1 (ko) 2012-12-20 2019-04-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사용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89486A (en) 1999-03-30
DE19840401A1 (de) 1999-03-25
KR19990029304A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768B1 (ko)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용 분할 캐패시터 어레이
US5581252A (en) Analog-to-digital conversion using comparator coupled capacitor digital-to-analog converters
US6600437B1 (en) High resolution, high speed, low power switched capacitor digital to analog converter
US7528761B2 (en) Analog/digital conversion using successive approximation and redundant weighting
US4746903A (en) Parallel algorithmi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US7903018B2 (en) Analog/digital converter assembly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2636356B1 (ko) 감소된 커패시터 어레이 dac를 이용한 sar adc에서의 오프셋 보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5861832A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having amplifier and comparator stages
US7501974B2 (en) Analog digital converter
US6473021B1 (en)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with gain scaling switched-capacitor array
JP4738510B2 (ja)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及びこれを含む逐次比較型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US4517549A (en) Weighted capacitor analogue-digital converters
JPH06152420A (ja) 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器
US6839015B1 (en) Low power 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4872011A (en) Plural stage switched capacitor integrating digital-to-analog converter
US5248974A (en) Dielectric relaxation correction circuit for charge-redistribution a/d converters
US5977893A (en) Method for testing charge redistribution type digital-to-analog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s
US5920275A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using weighted capacitor array and interpolating comparator
US10476513B1 (en) SAR ADC with high linearity
US5440306A (en) Switched capacitor circuit having reduced capacitance units
US4983974A (en) Analog-to-digital conversion by varying both inputs of a comparator utilizing successive approximation
US4668936A (en) Untrimmed 12 bit monotonic all capacitive A to D converter
US7283077B2 (en) Divide-add circuit and high-resolution digital-to-analog converter using the same
JP3130007B2 (ja) 逐次比較型a/dコンバータ回路
JP2001160757A (ja) 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