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545B1 - 실 공급기 - Google Patents

실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545B1
KR100282545B1 KR1019980702749A KR19980702749A KR100282545B1 KR 100282545 B1 KR100282545 B1 KR 100282545B1 KR 1019980702749 A KR1019980702749 A KR 1019980702749A KR 19980702749 A KR19980702749 A KR 19980702749A KR 100282545 B1 KR100282545 B1 KR 10028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braking
rotating element
blocking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260A (ko
Inventor
페르 올손
쿠르트 아네 군나르 야콥손
Original Assignee
디터브라운
메밍게르-이에르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538449A external-priority patent/DE19538449A1/de
Application filed by 디터브라운, 메밍게르-이에르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디터브라운
Publication of KR19990064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482Thread-feeding devices comprising a rotatable or stationary intermediate storage drum from which the thread is axially and intermittently pulled off; Devices which can be switched between positive feed and intermittent fe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Abstract

정지된 하우징과, 실이 감기도록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회전 요소를 구비한 특히 편물 기계용 실 공급기를 개시한다. 이 실 공급기는, 회전 요소에 대한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을 가지는데, 이 메카니즘은 대응-부재상에서 작동 위치와 차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저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 위치에서 저지 부재는 제동면과 맞물리고, 상기 저지 부재는 각 회전 방향에서 지속적인 저항 동력을 받는데, 이 저항 동력은 회전 요소의 회전 이동시에 마찰 접촉에 의하여 생성되어서, 회전 방향에 무관하게 저지 부재를 작동 위치 또는 차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대응-부재와 저지 부재는 상호 내부에 놓여지고 회전 요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링 몸체로 이루어진다.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제동 위치에서 제동면과 협동하는 상기 저지 부재는 그 외주에 원주 방향으로 제한된 대응-제동면 영역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실 공급기
US-A-3642219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서 20년 이상 "실 공급기 SFS-SFT"로서 판매되어 온 공지의 실 공급기가 기술되어 있다. US-A-3642219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나는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은, 저장 드럼에 일체로 된 전기 모터의 상부벽과 하우징에 고정된 샤프트에 고정되는 전진 요소의 배열링 배열 사이에 마련된다. 저지-부재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에서 상기 저장 드럼의 내부 원주와 협동한다. 실제로 사용되는 이러한 실 공급기 SFS/SFT에서는, 상기 저지-부재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디스크이다. 이 디스크는 작동 위치와 제동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에 고정된 대응-부재(counter-member) 같은 포크(fork) 안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는, 이 디스크의 일 전면과 모터의 상부벽 사이의 마찰 접촉에 의하여 생성되는 항력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대응-부재에는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디스크에 대한 볼록한 슬라이딩 트랙이 마련된다.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디스크는 저장 드럼의 내부 원주에 마련된 제동면과의 맞물림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해방된다. 상기 저장 드럼의 되돌림 동작이 발생하면, 상기 디스크는 항력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트랙을 따라 상기 제동 위치로 이동되어지는데, 여기에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제동면에 가압된다. 상기 저장 드럼의 되돌아가는 움직임은 몇가지 근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장 드럼의 정지시에, 실 공급기의 입력 영역에 있는 스프링 부하가 걸린 실 탐지기가 유입되는 실을 뒤로 끌어당길 수 있고, 팽팽하게 된 실에 의하여 이 저장 드럼을 되돌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가공되는 실들은 때때로 탄성적이다. 상기 저장 드럼의 정지시에, 유입되는 실에서 미리 발생된 장력이 이 실을 통하여 상기 저장 드럼을 되돌리게 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부적당한 상황 때문에 그리고 의도적으로 조절되는 모터의 제동 때문에, 상기 저장 드럼을 되돌리게 하는 경향을 가지는 역-토크가 발생될 수 있다. 공지의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은 제작하기가 복잡하고, 상당한 마모가 발생하며, 디스크가 극히 큰 직경에서 매우 긴 레버 아암을 가지고 작용하기 때문에 모터를 가속하거나 큰 속도를 가질 때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공지의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은 몇몇 실제적인 경우에는 이루어질 수 없는 실 공급기의 거의 정확한 수직 배열을 요구한다. 더욱이 모터의 상부벽에 접촉하는 디스크의 전면에서 디스크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의 기구들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디스크가 타는 것은,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접촉 면적의 거리가 크고 따라서 높은 회전 속도하에서 발산되어야 하는 마찰 동력이 상당한 양이 됨으로써,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실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을 구비한 실 공급기의 일부 절제 측면도이다.
도 2는 작동 위치에서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대응-부재의 축방향으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대응-부재상에 끼워진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저지 부재의 축방향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대안들에 대한 개략적인 세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감소된 마모와 내구성을 가지고 신뢰성있게 작동하고,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을 구비한 실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포함된 특징을 가지는 실 공급기로 달성될 수 있다.
저항 동력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회전 요소의 고속 조건하에서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상당한 영향이 제거된다. 이것은 그 회전 속도가 종전에 사용된 공지의 실 공급기에 비하여 20% 정도 증가된 현대적인 실 공급기에 특히 유리하다. 제동면은 선택적으로 마련되는 저장 드럼의 안지름보다 상당히 작은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회전 요소가 되돌아 이동되는 경항을 나타내면, 저지 부재가 저항 동력에 의하여 대응-부재에 대하여 원활한 회전을 가지고 회전하여서, 결국 상기 되돌림 이동이 차단되도록 그 대응 제동 면적이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되게 치우친 원에 기인하여 제동면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또는 안쪽으로 옮겨진다. 제동 위치로의 맞물림은 균형있게 그리고 신뢰성있게 발생한다. 높은 제동 효율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요소가 정당한 회전 방향으로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자마자. 상기 저지 부재가 상기 제동면으로부터 용이하게 그리고 강제적으로 해방될 수 있다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그러면 상기 저지 부재는 정해진 작동 위치로 신뢰성있게 복귀된다. 상기 저지 부재와 제동면 사이의 맞물림 범위는 큰 면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어서, 실 공급기에 진동이 야기되지 않는다. 상기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은 저-마모로 그리고 오랜 내구기간 동안에 신뢰성있게 작동된다. 편심원의 편심도 및 직경을 선택함으로써, 맞물리거나 해방되었을 때의 상기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작동 특성이 정밀하게 예정될 수 있고 최적화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청구항 제 2항에 따르면, 되돌림-저지 동작이 최적의 소 직경과 특히 저장 드럼의 크기로부터 완전히 무관한 직경에서 수행된다.
청구항 제 3항에 따르면, 스프링력을 미리 선택함으로써 저항 동력이 정밀하게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저지 부재의 가압이 중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실 공급기는 상기 되돌림-저지 작용을 위태롭게 하지 않고 어떠한 작동 위치에서도 작동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높은 회전 속도와 강한 가속에서도 상기 저지 부재가 타지 않도록, 상기 저지 부재와 저항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회전 요소의 회전축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놓여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단위 면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면압을 허용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저항 동력을 보장하는 저지 부재의 환형 형상에 의하여 증진된다.
저지 부재가 차단 위치에 대한 특별한 접촉부의 도움 없이도 되돌림을 억제하기에 꼭 충분한 차단 위치로 자동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청구항 제 4 항에 따라서 상기 저지-부재에 대한 별개의 접촉부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최종-차단 위치를 한정하고, 제동면에 또는 회전 요소에 대한 과도한 측면 방향의 힘을 회피한다.
청구항 제5항의 구현예는 특히 유용하다. 모터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은 캡슐로 잘 싸여져서 이물질 및 린트(lint)가 불가피하게 존재하는 저장 드럼의 작동 면적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저지 부재가 저장 드럼의 안지름과 더 이상 협동하지 않으므로, 현대적인 실 공급기에서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고속 및 강한 가속에서의 진동이 배제되도록, 제동면의 직경을 충분히 작게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제 6항에 따르면, 모터 샤프트는, 되돌림-저지 메카니즘과 함께 움직임에 의하여, 되돌림 움직임에 대항하여 차단된다.
대안으로서 청구항 제 7항에서와 같이,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은 회전 요소의 회전 이동을 따라가지 않는다. 상기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은, 예를 들면 모터 샤프트에 마련된 제동면을 경유하여 모터 샤프트를 차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단지 되돌림의 경우에 작동된다.
청구항 제 8항에 따르면, 저지-부재는 이미 그 재질에 의하여 높은 제동 효율을 보장하는 제동 링과 협동한다.
대안으로서 청구항 제 9항에서와 같이, 제동 링은 저지-부재상에 직접 또는 그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르면, 예를 들면 단지 널링(knuring)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표면 구조가 마련된 제동면을 가지고 높은 되돌림-저지 작동 효율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동면은 하우징 또는 하우징-인서트 안의 금속 몸체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금속 표면으로 될 수 있다.
청구항 제 11 항에 따른 구현예는 제작하기가 용이하다. 고정밀도, 저중량 및 저마모 때문에 플라스틱 형태의 부품들은 우월하다. 저지-부재는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저항면으로 가압되므로, 오랜 내구기간 동안 저지-부재의 원활한 회전성을 보장하는 자기-윤활(self-lubricating) 플라스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기-윤활 효과는 제동면에서 제동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데, 왜냐하면 상기 저지-부재의 편심 이동에 의하여 빠르고 강제된 맞물림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청구항 제 12 항에 따른 구현예는 장착하기 쉽고, 오랜 내구기간 동안 저-마모로 작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청구항 제 13 항에 따르면, 스프링은 환형 디스크와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허브 사이의 일체화된 구성 요소이다. 돌출부 또는 확장부는 장착을 보조하는 부분인데 (그러한 유니트를 미리 장착하기 위하여), 왜냐하면 스프링 하중하에서도 상기 환형 디스크가 환형 플랜지로부터 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작동시에 상기 환형 디스크는 통상적으로 상기 돌출부 또는 획장부로까지 이동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목적의 구현예를 설명한다.
실 공급기(F), 특히 편물 기계용 실 공급기(F)에는 정지된 하우징(G)이 마련되는데, 이 하우징의 하부측에는 저장 드럼(T)이, 모터(M)에 의하여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하우징-브라켓(1)에 마련된 탐지 장치(D)로부터 발생하고 저장 드럼(T)상에 감겨진 실 저장부(미도시)의 크기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모터(M)가 온-오프(ON-OFF) 스위칭될 수 있다. 실의 보빈(bobbin; 미도시)으로부터 실 저장부(T)로 공급되는 실은 정지된 아일릿(2; eyelet) 및 실 브레이크(3)을 통하여 안내되어서, 탐지 요소(5)의 감시하에서 실 저장부(T)의 주변에 도달한다. 저장 드럼(T)의 경사진 전진 부재(V)는 저장 드럼(T)상에 감겨지는 각 실타래를 도 1 의 아래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수많은 실타래로부터 실 저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실은 소모용으로 저장 드럼(T)의 상부로 풀려진다.
실 공급기(F)에서, 되돌림-저지 메카니즘(R)이 특히 하우징(G)의 상단벽(6)과 모터 샤프트(H)의 상단 사이에 마련된다. 이 되돌림-저지 메카니즘(R)은, 도 1의 구현예에서, 모터 샤프트(H)에 고정 결합된 대응-부재(W)와, 상대 회전되도록 이 대응-요소(W)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약한 코일 스프링(4)에 의하여 상부쪽으로 바이어스된 된 저지 부재(S)를 포함한다. 특히 정지시에 저장 드럼(T) 또는 모터 샤프트(H)의 되돌림-이동을 각각 방해하도록, 상기 저지 부재(S)가 상부벽(6)의 인서트(7)의 제동면(B)과 협동하게 된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대응-부재(counter-member)(W)는, 모터 샤프트(H)의 각 단부(10)상에 견고하게 끼워지는 다각형의 내부 구멍(9)을 가지는 허브(8)와, 그 축(X1)이 모터 샤프트(H)의 회전축(X)에 대하여 편심 배열된 실린더 형상의 외주면(15)을 가지는 축방향의 환형 플랜지(14)로 이루어지는 링-몸체(A2)이다. 또한 원주 방향으로 제한된 크기를 가지고 상기 환형 플랜지(14) 안으로 형성되는 절개부(17)가 마련되는데, 이것이 원주상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부(18,18')를 형성한다. 환형 플랜지(14)의 단부에는, 원주상으로 연장되는 확장부(16)가 형성된다.
저지 부재(S)는 카운터-부재(W)상에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또한 내부 구멍(20)과, 상기 제동면(B)과 협동하도록 정해진 실린더 형상의 외주면(21)을 가지는 링-몸체(A2), 다시 말하면 환형 디스크(19)이다. 도시된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동착 위치에서, 상기 외주면(21)의 중심축이 상기 회전축(X)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상기 내부 구멍(20)의 중심축은 회전축(X)에 대하여 편심 배열된 축(X1)과 일치한다. 환형 디스크(19)의 일 전면에는, 코일 스프링(4)에 대한 스프링 수용 그루브(13)가 상기 외주면(21)과 동심으로 형성된다. 스프링(4)은 그 타단부가 플랜지(11)의 스프링 시트(12)에 위치하도록 안착되어서 환형 디스크(19)를 가압하여서, 그 다른 전면의 적어도 일부(22)가 하우징(G)에 대하여 정지되게 마련된 저항면(23)에 가압되도록 한다. 노우스(26; nose)가 환형 디스크(19)의 내부 구멍(20) 안으로 돌출되어서, 작동 위치와 저지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접촉부(18,18')와 각각 협동하는 접촉부(27,27'; 도 4 참조)를 각각 형성한다. 제동면(B)과 저항면(23)이 상부벽(6)에 고정된 인서트(7)에 마련된다. 이 저항면(23)과 제동면(B)이 상부벽(6)에 직접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구현예에서, 인서트(7)의 시트(25)에 고정 및 유지되는 러버(rubber), 탄성 중합체 또는 다른 형태의 플라스틱 물질과 같은 마찰 활성 재료로 된 제동 링(24)상에, 제동면(B)이 마련된다. 되돌림-저지 메카니즘(R)이 모터 샤프트(H)의 통상적인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도 2 에서와 같은 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외주면(21)과 제동면(B) 사이에 방사상의 틈새(Y)가 형성된다.
상기 2개의 링 몸체(A1,A2)는 모두,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부품과 같이 플라스틱 형성된 제품인 것이 유리하다. 인서트(7)는, 예를 들면 강철과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동면(B)이 시트(25)의 내주벽에 직접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널링(knurling)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더 거친 표면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외주면(21)에는, 필요하다면 마찰 맞물림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작동 위치에서, 도 4에 따른 저지 부재(S)는 도 4의 회전 위치에서 대응-부재(W)의 환형 플랜지(14)상에 안착되는데, 이 대응-부재는 그 자체가 도 3에 도시된 회전 위치에 위치된다. 노우즈(26)는 그 접촉부(27')가 접촉부(18')에 접하도록 된다. 그러면 상기 외주면(21)은 회전축(X)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심이 되고, 방사상의 틈새(Y)를 가지고 제동면(B; 도 2 참조)을 마주 본다. 도 3 및 도 4 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 샤프트(H)는 또한 대응-부재(W)에 의하여 저지 부재(S)를 회전시키는데, 그러나 상기 제동면(B)과 접촉되지는 않는다. 스프링(4) 하중에 의하여 저지 부재(S)는 저항면(23)으로 가압되어서, 마찰 접촉에 의하여 저지 부재(S)상에 지속적인 저항 동력이 작용되는데, 이 저항 동력은 저지 부재(S)를 그 접촉부(27')가 접촉부(18')에 있도록 유지시킨다.
모터 샤프트(H)의 정지시 및 되돌림(도 3 및 도 4 의 모터 샤프트(H)의 시계 방향의 회전)시에는, 저항면(23)과의 접촉에 의하여 저지 부재(S)상에 반시계 방향의 저항력이 발생된다. 이 저항 동력은 저지 부재(S)를 대응-부재(W)에 대하여 그 환형 플랜지(14)상에서 회전시키는데, 이러한 상대 회전에 의하여 저지 부재(S)의 외주면(21)이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원주 방향으로 제한된 대응-제동 영역을 가지는 제동면(B)에 부딪힌다. 모터 샤프트(H)의 더 이상의 되돌아가는 움직임은 방지된다. 그러면 상기 노우즈(26)의 접촉부(27)도 환형 플랜지(14)의 접촉부(18)에 도달한다.
그 다음에 만약 모터 샤프트(H)가 정당한 방향, 즉 도 3 및 도 4 의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면, 저항면(23)에서의 저항 동력이 저지 부재(S)를 계속되는 이러한 회전으로부터 보류시킨다. 상기 외주면(21)은 제동면(B)으로부터 해방되어지고, 다시 회전축(X)에 대하여 중심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링 몸체(A2)가 상부벽(6) 또는 인서트(7)에 고정 결합되는 반면에 링 몸체(A1)가 바람직하게는 다시 방사상의 틈새를 가지고 모터 샤프트(H) 또는 그 단부(10)(이때에는 실린더 형상의 외주를 가져야 한다)를 회전 가능하게 둘러싸는 경우에도, 이러한 종류의 운동학적인 역전이 가능하다. 모터 샤프트(H)의 전면(23')은 코일 스프링(4)의 예-부하(pre-load)하에서 링 몸체(A1)의 전면(22')과 협동하는 저항면으로 기능한다. 그러면 제동면(B)은 모터 샤프트(H)의 외주상에 또는 링 몸체(A1)의 내부 구멍(9)에 마련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링 몸체(A2)는 대응-부재(W)를 형성하고, 반면에 링 몸체(A1)는 저지 부재(S)를 형성한다.
도 5 는 도 2,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저지 부재(S)는 대응-부재(W)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바깥쪽으로 배열된 제동면(B)과 협동한다.
도 6 에는 상기 원리의 운동학적인 역전이 도시되어 있다. 대응-부재(W)는 저지 부재(S)상에 바깥쪽으로 마련되어서, 고정 결합된다 (십자표시에 의하여 도시됨). 저지 부재(S)는 모터 샤프트(H)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동 효과는 내부 구멍(9)과 제동면(B), 즉 모터 샤프트(H)의 외주 사이에서 각각 발생한다.
도 5의 기능적 원리에 개략적으로 대응하는 도 7에 따른 구현예에서는, 저지 부재(S)의 외주면(21)에서, 대응-제동면 영역(21')이 제한된 원주상의 크기를 가지는 상기 외주면(21)상에 돌출 형성된다. 이 영역(21')은 제동면(B)과 협동하도록 정해진다.
비슷한 방식으로 도 6 의 기능적 원리에 대응하는 도 8 의 구현예에서는, 저지 부재(S)의 내부 구멍(9) 안에 대응-제동면 영역(9')이 원주 방향으로 제한된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어, 제동면(B)과 협동하도록 안쪽으로 돌출되는데, 이 경우에 상기 제동면은 모터 샤프트(H)상에 마련된다. 여기에서 대응-부재(W)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 대응-부재(W)는 다각형의 외주를 가지는 링 몸체이다. 도 7 및 도 8 에서 대응-제동면 영역(21',9')은 그 중심이 실린더 형상의 면(21,9)의 중심과 각각 일치하지 않는 곡선을 가지도록 각각 만들어질 수 있는데, 즉 상기 영역(21',9')은 특별한 제동 효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더 많이 또는 적게 구부러질 수 있다.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은 또한 모터(M) 아래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이 캡슐로 싸여져서, 실 재료를 가공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이물질 및 린트의 영향으로부터 격리되는 것이 유리하다. 저지 부재가 제동면(B)과 협동하는 직경이 저장 드럼(T)의 직경 또는 그 안지름보다 각각 더 작은 것이 유리하다. 저지 부재와 저항면(23,23') 사이의 접촉 면적의 크기는, 저항 동력이 스프링(4)의 압력으로 상기 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하는데 충분하지만 저지 부재의 과열 또는 타게 될 위험성을 배제하기에 충분하게 낮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정지된 하우징과, 온-오프(ON-OFF) 스위칭될 수 있는 모터에 의하여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는 회전 요소를 구비하는데,
    상기 회전 요소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소모용으로 실이 그 상부로 풀려질 수 있는 저장면의 복수개의 실타래로 구성되는 실 저장부로 실을 감도록 기능하며,
    또한 풀림 방향으로 변동하는 상기 실 저장부의 경계의 움직임을 탐지하고 상기 모터를 온 또는 오프 스위칭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요소의 되돌아가는 움직임을 방해하는 기계적인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을 가지는데,
    상기 메카니즘은 접촉부에 의하여 한정되는 작동 위치와 차단 위치 사이에서 대응-부재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저지 부재를 포함하여서, 이 저지 부재가 상기 제동 위치에서 제동면에 맞물리고,
    상기 회전 요소의 각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시에, 상기 저지 부재가 마찰 접촉에 의하여 생성되는 저항 동력하에 있고,
    상기 저항 동력이, 상기 대응-부재에 관련된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상기 저지 부재를 상기 작동 위치 또는 차단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된 특히 편물 기계용 실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재(W)와 저지 부재(S)는, 상호 안쪽에 놓여지며 상기 회전 요소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2개의 링 몸체(A1,A2)이고,
    상기 2개의 링 몸체(A1,A2) 사이의 상호의 맞물림 면적이 적어도 상기 회전 요소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편심 배열된 원의 부분이고,
    상기 제동면(B)과 협동하는 저지 부재(S)가 원주 방향으로 크기가 한정된 대응-제동면 영역(21',9')을 가지는 외주면(21)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 부재(S)를 형성하는 상기 링 몸체(A1 또는 A2)의 전면이 상기 회전축(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스프링(4)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거나 상기 회전 요소에 고정된 저항면(23,23')에 대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동작 위치를 형성하는 접촉부에 부가하여, 상기 2개의 링 몸체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또 하나의 접촉부가 차단 위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소는 상기 하우징(G)의 내부에 배열된 모터(M)의 모터-샤프트(H)이고,
    상기 모터 샤프트(H)는 저장 드럼을 고정 지지하며,
    상기 되돌림-저지 메카니즘(R)은 상기 저장 드럼(T)에 대향되는 하우징 상부벽(6)과 상기 모터(M)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재(W)를 형성하는 링 몸체(A1)가 상기 모터 샤프트(H)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저지 부재(S)를 형성하는 링 몸체(A2)가 상기 대응 부재-링 몸체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저지 부재(S)의 전면을 향하는 저항면(23) 뿐만 아니라 이 저지 부재(S)의 외부의 제동면(B)이 상기 하우징(G)의 상부벽(6)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재(W)를 형성하는 링 몸체(A1)가 상기 하우징(G)의 상부벽(6)에 고정 유지되고
    상기 저지 부재(S)를 형성하는 링 몸체(A2)가 상기 대응 부재-링 몸체의 내부에서 움직이고,
    상기 저지 부재(S) 내부의 제동면(B)과 이 저지 부재(S)의 전면을 향하는 저항면(23')이 상기 모터 샤프트(H)상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면(B)이 마찰 활성 물질로 제작된 브레이킹 링(24)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동 링이, 상기 되돌림-저지 메카니즘의 작동 위치에서 방사상의 틈새(Y)를 가지고, 상기 저지 부재(S)를 둘러싸거나 또는 상기 저지 부재(S)에 의하여 둘러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8. 제 1 항 및, 제 2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 부재(S)상의 외부 또는 이 저지 부재 안의 내부에, 마찰 활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제동 링이 고정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9. 제 1 항 및, 제 2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링 몸체(A1,A2)가 모두 플라스틱 형태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부재-링 몸체가 다각형 내부 구멍(9)에 의하여 모터 샤프트(H)에 고정 결합된 허브(8)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8)는, 모터 샤프트(H)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편심 배열된 실린더 형상의 외주(15)를 가지는 환형 플랜지(14)와, 스프링 시트(12)를 형성하는 방사상의 플랜지(11)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 플랜지(14)의 외주(15)에는, 이 외주(15)에 대하여 물러나거나 이 외주(15)를 넘어서 돌출된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접촉부(18,18')가 형성되고,
    상기 저지 부재-링 몸체가 실린더 형상의 외주면(21)과 내부 구멍(20)을 가지는 환형 디스크(19)이고, 상기 내부 구멍의 중심축이 상기 외주면(21)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 배열되고, 그 안지름이 상기 허브(8)의 플랜지(14)의 바깥 지름에 일치하고,
    상기 내부 구멍(20)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한되는 내부쪽으로 돌출된 노우즈(26) 또는 직경 확장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를 향하는 환형 디스크(19)의 전면에는, 코일 스프링(4)에 대한 스프링 수용 그루브(13)가 상기 회전축(X)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4)의 타단은 상기 허브(8)의 플랜지(11)의 스프링 시트(12)상에 안착되고,
    상기 플랜지(14)의 비어 있는 단부의 영역에는, 돌출부 또는 원주 방향의 확장부(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S)의 전면을 향하는 저항면(23)뿐만 아니라 이 지지 부재(S)의 외부의 제동면(B)이 상기 하우징(S)의 상부벽(6)내에 유지된 인서트(7)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3.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면(B)이 고무로 제작된 브레이킹 링(2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4.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면(B)이 엘라스토머로 제작된 브레이킹 링(2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KR1019980702749A 1995-10-16 1996-10-10 실 공급기 KR100282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8449.0 1995-10-16
DE19538449A DE19538449A1 (de) 1995-10-16 1995-10-16 Fadenliefergerät
PCT/EP1996/004409 WO1997014836A1 (de) 1995-10-16 1996-10-10 Fadenliefer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260A KR19990064260A (ko) 1999-07-26
KR100282545B1 true KR100282545B1 (ko) 2001-02-15

Family

ID=777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749A KR100282545B1 (ko) 1995-10-16 1996-10-10 실 공급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15109A (ko)
EP (1) EP0856074B1 (ko)
KR (1) KR100282545B1 (ko)
CN (1) CN1065933C (ko)
DE (1) DE59604253D1 (ko)
ES (1) ES2142621T3 (ko)
TW (1) TW47560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0727A1 (de) * 1998-09-07 2000-05-25 Memminger Iro Gmbh Fadenliefergerät für Textilmaschinen
DE10113184B4 (de) * 2001-02-26 2006-04-20 Memminger-Iro Gmbh Fadenliefergerät mit Federanschlag für Fadenfühler
DE10234545B4 (de) * 2002-07-30 2005-12-15 Memminger-Ir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iefern von Fäden
KR100734910B1 (ko) * 2005-10-25 2007-07-03 송유철 기계식 원사 저장장치를 갖는 환편기
CN101768833B (zh) * 2008-12-31 2012-03-28 典洋针织机械股份有限公司 机械式不规则送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5350A (en) * 1950-12-21 1954-08-03 Falk Corp Reverse rotation stop
SE314157B (ko) * 1967-10-20 1969-09-01 K Rosen
DE1909737A1 (de) * 1969-02-26 1970-09-17 Rosen Karl I J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DE2312508C3 (de) * 1973-03-13 1975-10-16 Ab Iro, Ulricehamn (Schweden) Fadenliefervorrichtung für die intermittierende Fadenzufuhr zu Textilmaschinen, insbesondere Webmaschinen
CH623545A5 (ko) * 1977-01-17 1981-06-15 Iro Ab
DE2725185C2 (de) * 1977-06-03 1979-05-23 Ab Iro, Ulricehamn (Schweden)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SE511091C2 (sv) * 1993-04-21 1999-08-02 Sipra Patent Beteiligung Garnmatare för textilmask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152A (zh) 1998-11-25
ES2142621T3 (es) 2000-04-16
CN1065933C (zh) 2001-05-16
DE59604253D1 (de) 2000-02-24
EP0856074B1 (de) 2000-01-19
KR19990064260A (ko) 1999-07-26
TW475602U (en) 2002-02-01
EP0856074A1 (de) 1998-08-05
US6015109A (en) 200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545B1 (ko) 실 공급기
US6116012A (en) Supporting disk for a shaft of a rotor in an open-end spinning machine
US4676442A (en) Yarn accumulation and feeding apparatus
US4244176A (en) Device for waxing a yarn
EP0104069A2 (en) Pedal crank and chain wheel assembly for bicycles
US4047398A (en) Yarn guide finger for positive yarn supply apparatus
US4917321A (en) Centrifugal brake arm and retainer
GB2032475A (en) Thread storage feeder
US5601166A (en) Aligning type roller clutch
GB2306174A (en) Yarn feeder
EP2408564A1 (en) Anti-spin system for the head of a cone crusher
US3323299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control elements in stationarily held bobbin carriers, especially in two-forone twisting spindles
JPH0151427B2 (ko)
JPS641682B2 (ko)
KR920012584A (ko) 위사를 직기에 공급하는 장치
US6257516B1 (en) Axial disc brake and yarn feeding device including an axial disc brake
JP2017218715A (ja) 糸クランプ装置
US3491529A (en) Textile spinning spindle assembly
JP2510494B2 (ja) 糸貯留兼供給装置
BE1025536B1 (nl) Draadreminrichting voor een inslagtoevoerinrichting
US4848689A (en) Package former support device
US2924064A (en) hedtmann etal
US3155061A (en) Thread controlling device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 loop taker
US2909027A (en) Textile spindle
US3302899A (en) Spinning or twisting spi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