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412B1 - 동적이득 제어 기능을 구비한 다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다중화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이득 제어 기능을 구비한 다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다중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412B1
KR100281412B1 KR1019980051078A KR19980051078A KR100281412B1 KR 100281412 B1 KR100281412 B1 KR 100281412B1 KR 1019980051078 A KR1019980051078 A KR 1019980051078A KR 19980051078 A KR19980051078 A KR 19980051078A KR 100281412 B1 KR100281412 B1 KR 100281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power amplifier
channel
atten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983A (ko
Inventor
이현재
류갑열
박서연
박재동
유태환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5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412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4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 H04B10/2942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using automatic gain control [AG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파장 분할 다중 광 전송기술을 이용하는 다 채널 광 전송장치 및 광 전송망에서 재 구성 또는 고장(faults) 등에 의해 임의의 채널 광 신호의 추출/삽입 및 채널신호 고장 시에도 광 전력증폭기로 들어가는 다 채널 입력 광 세기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살아서 전송되는 신호들을 정상적으로 동작되게 하는 동적 이득 제어기능을 구비한 다 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 다중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광 전력증폭기의 출력신호를 광 검출기로 모니터하고, 이 신호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궤환 회로를 통해 광 감쇠기의 전압을 조절하여 광 전력증폭기로 들어가는 다 채널 입력 광 신호들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득 등화된 광 전력증폭기의 출력신호는 이득 등화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신호가 전달된다. 또한, 이득 등화된 출력신호는 여러 개의 광 섬유 증폭기에서 증폭될 때에도 이득 등화 특성이 처음에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채널 별 신호 크기는 일정하게 증가되어 광 신호 대 잡음비 (Optical Signal to Noise Ratio)가 증가된다. 그 결과, 수신기의 광 신호 대 잡음비가 증가하여 수신 특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동적이득 제어 기능을 구비한 다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 다중화 장치
본 발명은 광 전력 증폭기(또는 광 섬유 증폭기)의 동적 이득(dynamic gain)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 감쇠기(optical attenuator)를 이용한 광 전력 증폭기의 입력 광 신호의 동적 이득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동적이득 제어 기능을 구비한 다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 다중화(Add/Drop Multiplexing; 이하, ADM이라 약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장분할다중방식(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하는 광 통신망에서는 각 노드에서 원하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어, 수 Tb/s 이상의 대용량 광 통신 시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신망의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함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문제는 광 통신망의 신뢰성이다. 예를 들어, 80 Gb/s 광 전송 시스템은 한 쌍의 광 섬유를 통해서 백만 명이 동시에 통화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러므로, 만약 이러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여 통신이 두절되면 도시 혹은 국가 전체의 기능이 마비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속도를 고속화하는 것과 병행하여 통신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WDM 전송 기술을 이용하는 다 채널 광 전송장치 및 광 전송 망에서 재 구성 또는 채널신호 고장(faults) 등에 의해 임의의 채널 신호의 추출/삽입 및 손실 시에도 살아서 전송되는 다 채널 신호들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여러 채널들을 삽입/추출 시 광 섬유 증폭기의 출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광 섬유 증폭기의 동적 이득을 제어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근래에 발표된 동적 이득 제어 기술들을 예로 들면, 광 전기적 궤환 회로(optoelectronics feedback circuits)를 이용하는 방법, 광 궤환 고리를 이용한(all optical feedback loop를 이용한 이득 clamping ) 방법, 및 별도의 이득제어 채널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광 전기적 궤환 회로를 이용하는 방법은 광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펌프 레이저의 출력 광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상기 광 궤환 고리를 이용한 방법은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분리하여 광 필터 및 조절 가능한 광 감쇠기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조절하여 광 커플러를 통해 전력 증폭기로 광 신호를 입력하여 이득을 일정하게 잡아주는 방법이다. 한편, 별도의 이득 제어 채널을 이용하는 방법은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분리한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도록 별도의 광 세기 조절 채널을 이용하여 광 전력 증폭기의 출력 광 세기가 일정하도록 보상해 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순한 구성으로 전력 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 광 세기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다 채널 전송에서 이득 등화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수신기의 광 신호 대 잡음비의 증가와 더불어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 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 다중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 채널 광 전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애드/드롭 다중화(ADM; Add/Drop Multiplexing) 노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광 송신기 20 : 광 다중화기
30 : 광 전력증폭기 40 : 광 커플러
55a, 555a : 광 검출기
55b, 555b : 광 감쇠기 조절수단
55c, 555c : 광 감쇠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다 채널 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광 송신부와, 다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 섬유로 출력시키는 광 다중화부와, 광 신호를 증폭하는 광 전력증폭기와,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출력신호를 분리하여 모니터하기 위한 광 커플러와, 광 신호를 증폭하여 광 선로로 전송하는 광 선로증폭기와, 수신기로 들어가는 광 신호를 증폭하는 광 전치 증폭기와, 다중화되어 전송된 광 신호를 채널별로 풀어주는 역다중화기, 및 역다중화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광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채널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입력 광 신호의 이득 등화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광 전력증폭기로 들어가는 다 채널 입력 광 세기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동적 이득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동적이득 제어수단은,
상기 광 커플러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이 커플러에 의해 분리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광 검출기; 상기 광 검출기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광 검출기의 신호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궤환 루프를 통해 광 감쇠기를 조절하기 위한 광 감쇠기 조절수단; 및 일단은 상기 광 감쇠기 조절수단의 출력단에, 그 타단은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광 전력증폭기에 들어가는 입력 세기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광 감쇠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화된 광 섬유 전송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광 섬유 전치증폭기와, 증폭된 전송신호를 채널 별로 풀어주는 역 다중화기와, 채널들을 필요에 따라 추출/삽입하는 광 스위치와, 채널 별로 광 세기를 조절해주는 광 감쇠기와, 상기 광 감쇠기를 통해 조절된 광 신호들을 하나의 광 섬유로 결합해주는 광 다중화기와, 다중화되어 입력된 광 신호들을 증폭하는 광 전력증폭기와, 증폭된 광 신호 크기를 모니터하기 위해 광을 분리해 주는 광 커플러와, 상기 광 커플러의 출력단과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입력단과의 사이에 궤환회로를 통해 접속된 광 전력증폭기 입력 광 신호의 동적 이득 제어수단, 및 상기 동적 이득 제어수단을 통해 이득 등화된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광 선로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적 이득 제어수단은, 상기 광 커플러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이 커플러에 의해 분리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광 검출부; 상기 광 검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광 검출기의 출력신호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궤환 루프를 통해 광 감쇠기를 조절하기 위한 광 감쇠기 조절수단; 및 일단은 상기 광 감쇠기 조절수단의 출력단에, 그 타단은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광 전력증폭기에 들어가는 입력 세기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광 감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 채널 광 전송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0은 다 채널 광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 송신기(10)를 나타낸다. 상기 복수의 광 송신기(10)의 출력단에 접속된 광 다중화기(MUX)(20)는 상기 광 송신기(10)들을 통하여 입력된 다 채널 광 신호들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 섬유로 출력시킨다. 상기 광 다중화기(20)의 출력단에 접속된 광 전력증폭기(30)는 다중화된 광 신호들을 증폭시킨다. 상기 광 전력증폭기(30)의 후단에 설치된 광 커플러(40)는 증폭된 출력신호를 분리하여 모니터한다.
이때, 상기 광 커플러(40)를 통해 분리된 광 신호는 광 커플러(40)의 출력단에 궤환 루프를 통해 연결된 광 검출기(55a)를 통해 출력 신호 크기의 비교를 위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광 검출기(55a)의 출력단에 접속된 광 감쇠기 조절수단(55b)은 상기 광 검출기(55a)에서 변환된 출력신호의 크기를 이미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궤환루프를 통해 상기 광 전력증폭기(30)의 입력단과 광 감쇠기 조절수단(55b)의 출력단 사이에 위치한 광 감쇠기(55c)의 출력신호를 제어한다. 그 결과, 상기 광 전력증폭기(30)로 입력되는 다 채널 입력 광 세기는 항상 일정하게 제어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기 광 전력증폭기(30)에서 증폭된 다 채널 신호는 처음에 설정된 채널 별 이득 등화 상태를 유지하며 출력된다. 이득 등화된 출력 신호는 광 선로로 전송하는 광 선로증폭기(50)에서 증폭된 후, 수신기로 들어가는 광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광 전치증폭기(60)를 거쳐 역다중화기(DEMUX)(70)로 전송된다. 상기 광 다중화기(20)에서 다중화되어 하나의 광 섬유로 전송되어온 광 신호는 상기 광 역다중화기(70)를 통하여 채널 별 또는 파장 별로 분리된다. 상기 역다중화기(70)를 통해 채널 별로 분리된 역 다중화된 신호들은 복수의 광 수신기(80)를 통하여 수신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 전송망의 재 구성 또는 고장 등에 의해 채널 신호들의 손실이 발생되는 경우, 다 채널 신호중 채널 손실에 따라 상기 광 감쇠기(55c)를 조절함으로써 광 전력증폭기(30)로 입력되는 총 입력신호의 크기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수신기의 광 신호 대 잡음비(OSNR)가 증가하여 수신 특성이 향상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감쇠기를 이용한 광 전력증폭기 입력 광 신호의 동적 이득 제어기능을 애드/드롭 다중화(ADM) 노드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다.
광 ADM 노드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화된 광 섬유 전송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광 섬유 전치증폭기(100)와, 증폭된 전송신호를 채널 별로 풀어주는 역 다중화기(200)와, 채널들을 필요에 따라 추출/삽입하는 복수의 광 스위치(300)들과, 채널 별로 광 세기를 조절해주는 복수의 광 감쇠기(400)들과, 상기 광 감쇠기(400)를 통해 조절된 광 신호들을 하나의 광 섬유로 결합해주는 광 다중화기(500)와, 다중화되어 입력된 광 신호들을 증폭하는 광 전력증폭기(600)와, 증폭된 광 신호 크기를 모니터하기 위해 광을 분리해 주는 광 커플러(700)와, 상기 광 커플러(700)의 출력단과 상기 광 전력증폭기(600)의 입력단과의 사이에 궤환 회로를 통해 접속된 광 전력증폭기 입력 광 신호의 동적 이득 제어수단, 및 상기 동적 이득 제어수단을 통해 이득 등화된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광 선로증폭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적 이득 제어수단은, 상기 광 커플러(70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이 커플러(700)에 의해 분리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광 검출부(555a)와, 상기 광 검출부(555a)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광 검출부의 출력신호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궤환 루프를 통해 광 감쇠기를 조절하기 위한 광 감쇠기 조절수단(555b)과, 일단은 상기 광 감쇠기 조절수단(555b)의 출력단에, 그 타단은 상기 광 전력증폭기(600)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광 전력증폭기(600)에 들어가는 입력 세기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광 감쇠부(555c)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광 전송망의 재 구성 또는 고장 등에 의해 채널 신호들의 손실이 발생되는 경우, 다 채널 신호중 채널 손실에 따라 상기 광 감쇠기(555c)를 조절함으로써 광 전력증폭기(600)로 입력되는 총 입력신호의 크기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 전력 증폭기로 입력되는 다채널 광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제어하여 광 전력증폭기의 이득 등화 특성을 유지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망의 재 구성 또는 고장 등에 의해 임의의 채널 신호의 손실 시에도 전송되는 다 채널 신호가 정상적으로 이득 등화 상태를 유지하며 동작될 수 있다.
그 결과,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할 분만아니라 수신기의 광 신호 대 잡음비의 증가와 더불어 수신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1. 다 채널 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광 송신부와, 다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 섬유로 출력시키는 광 다중화부와, 광 신호를 증폭하는 광 전력증폭기와,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출력신호를 분리하여 모니터하기 위한 광 커플러와, 광 신호를 증폭하여 광 선로로 전송하는 광 선로증폭기와, 수신기로 들어가는 광 신호를 증폭하는 광 전치 증폭기와, 다중화되어 전송된 광 신호를 채널별로 풀어주는 역다중화기, 및 역다중화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광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채널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입력 광 신호의 이득 등화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광 전력증폭기로 들어가는 다 채널 입력 광 세기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동적 이득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동적이득 제어수단은,
    상기 광 커플러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이 커플러에 의해 분리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광 검출기;
    상기 광 검출기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광 검출기의 신호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궤환 루프를 통해 광 감쇠기를 조절하기 위한 광 감쇠기 조절수단; 및
    일단은 상기 광 감쇠기 조절수단의 출력단에, 그 타단은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광 전력증폭기에 들어가는 입력 세기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광 감쇠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 채널 광 전송장치.
  2. 다중화된 광 섬유 전송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광 섬유 전치증폭기와, 증폭된 전송신호를 채널 별로 풀어주는 역 다중화기와, 채널들을 필요에 따라 추출/삽입하는 광 스위치와, 채널 별로 광 세기를 조절해주는 광 감쇠기와, 상기 광 감쇠기를 통해 조절된 광 신호들을 하나의 광 섬유로 결합해주는 광 다중화기와, 다중화되어 입력된 광 신호들을 증폭하는 광 전력증폭기와, 증폭된 광 신호 크기를 모니터하기 위해 광을 분리해 주는 광 커플러와, 상기 광 커플러의 출력단과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입력단과의 사이에 궤환회로를 통해 접속된 광 전력증폭기 입력 광 신호의 동적 이득 제어수단, 및 상기 동적 이득 제어수단을 통해 이득 등화된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광 선로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적 이득 제어수단은,
    상기 광 커플러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이 커플러에 의해 분리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광 검출부;
    상기 광 검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광 검출기의 출력신호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궤환 루프를 통해 광 감쇠기를 조절하기 위한 광 감쇠기 조절수단; 및
    일단은 상기 광 감쇠기 조절수단의 출력단에, 그 타단은 상기 광 전력증폭기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광 전력증폭기에 들어가는 입력 세기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광 감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드롭 다중화 장치.
KR1019980051078A 1998-11-26 1998-11-26 동적이득 제어 기능을 구비한 다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다중화 장치 KR100281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078A KR100281412B1 (ko) 1998-11-26 1998-11-26 동적이득 제어 기능을 구비한 다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다중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078A KR100281412B1 (ko) 1998-11-26 1998-11-26 동적이득 제어 기능을 구비한 다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다중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983A KR20000033983A (ko) 2000-06-15
KR100281412B1 true KR100281412B1 (ko) 2001-02-01

Family

ID=1955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078A KR100281412B1 (ko) 1998-11-26 1998-11-26 동적이득 제어 기능을 구비한 다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다중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485A (ko) * 2000-01-15 2001-08-01 박남규 채널 파워의 불규칙 진동이 저감된 파장분할다중 링네트워크
KR101032483B1 (ko) * 2009-04-06 2011-05-03 주식회사 쏠리드시스템스 파장분할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광선로 종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983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5829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
JP3821920B2 (ja) 光通信システム
US8315524B2 (en) Electro-optic conversion module, optic-electro conversion module and conversion methods thereof
JP4826451B2 (ja) 光増幅器を備えた光伝送装置
US6577652B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of WDM optical signals
US2002001519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ignal/noise ratio of optical add/drop signals
KR20050078044A (ko) 댁내 방송서비스 수용을 위한 수동형 광가입자망에프티티에이치 시스템
JPH0514282A (ja) 光中継システム
US20090317078A1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JP3068500B2 (ja) 光信号増幅伝送方式
JP2008139073A (ja) 光強度測定装置および光強度測定方法
JP2008278182A (ja) 信号光を転送するノードの制御装置
JP2008503886A (ja) 波長分割多重(wdm)光分波器
US6735394B1 (en) Per-channel optical amplification using saturation mode
JP3132420B2 (ja) 波長多重光伝送装置
KR100281412B1 (ko) 동적이득 제어 기능을 구비한 다채널 광 전송장치 및 애드/드롭다중화 장치
KR100328128B1 (ko) 파장분할다중 광전송시스템에서 광전력 증폭기의 동적이득제어장치
JP2002198912A (ja) 光送信装置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US20010022684A1 (en) Optical amplifier and wavelength 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N107359933B (zh) 一种实现系统接收机光信噪比自动均衡的方法及装置
JPH1013382A (ja) 光分岐挿入多重ノード装置
JP3583694B2 (ja) 光通信ノード及び光通信システム
JP2002051008A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送信装置
CA2515154A1 (en) Multiport optical amplifier with narrowcast power equalization
US202401065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optical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