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361B1 - 베어링구조 - Google Patents

베어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361B1
KR100279361B1 KR1019970080388A KR19970080388A KR100279361B1 KR 100279361 B1 KR100279361 B1 KR 100279361B1 KR 1019970080388 A KR1019970080388 A KR 1019970080388A KR 19970080388 A KR19970080388 A KR 19970080388A KR 100279361 B1 KR100279361 B1 KR 10027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earing structure
outer ring
rings
steel 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167A (ko
Inventor
김규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8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3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36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과의 충격을 분산시켜 충격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오일간격을 유용하게 확보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구조는 회전운동이나 직선운동을 하는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환형의 내,외륜링; 상기 내,외륜링 사이에 내설되어 링을 지지하기 위한 지름이 큰 강구; 상기 큰 강구에 대응하여 지지되고 그 내,외륜링의 외,내측에 각각 내설된 복수개의 지름이 작은 강구; 상기 내,외륜링의 내,외측 둘레면을 따라 홈으로 형성된 오일 그루브; 및 상기 오일 그루브의 홈면을 따라 다수개 관통된 오일 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베어링 구조
본 발명은 회전운동이나 직선운동을 하는 크랭크 샤프트와 같은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구조(bearing structure)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축과의 충격을 분산시켜 충격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오일간격을 유용하게 확보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랭크샤프트의 저어널 부분이나 크랭크 핀부분에 사용하는 베어링은 분할형(split type)을 쓰고, 캠 샤프트의 저어널 부분의 베어링은 원통형의 삽입식(insert type), 미끄럼 평 베어링(bush or bushing, bearing)을 사용한다. 베어링은 그 표면에 적당한 유막을 만들어 동력행정에서 회전부분이 받는 큰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또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으로 생기는 고체마찰을 액체마찰로 바꾸어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며, 접촉면의 마모나 출력의 손실을 적게한다. 따라서 크랭크 샤프트와 베어링사이에는 적당한 유막을 만들기 위한 틈새(oil clearance)가 필요하다.
종래의 베어링(100)은 첨부도면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어링(100)을 이루는 외륜(103) 및 내륜링(105)의 경계사이에 내설되는 강구(볼)(107)를 지지하기 위한 리테이너(유지구)(109)를 강구(107)와 함께 형성하여 샤프트(300)의 회전운동이나 직선 운동력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베어링 구조는 별도의 리테이너를 제작하여야 함은 물론 조립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일간극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 때문에 축과의 충격력을 분산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그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어링 구조가 갖고 있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베어링의 오일간극을 용이하게 확보유지하고 축과의 사이에서 마찰력과 충격력을 분산시켜 충격흡수를 극대화 하여 베어링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한 베어링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베어링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베어링 23 :외륜링
25 :내륜링 27 :큰 강구
28 :틈새부 29 :작은강구
31 :오일 그루브 33 :오일 홀
40 :샤프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운동이나 직선운동을 하는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환형의 내,외륜링; 상기 내,외륜의 링 사이에 내설되어 링을 지지하기 위한 지름이 큰 강구; 상기 큰 강구에 대응하여 지지되고 그 내,외륜링의 외,내측에 각각 내설된 복수개의 지름이 작은 강구; 상기 내,외륜링의 내,외측 둘레면을 따라 홈으로 형성된 오일 그루브; 및 상기 오일 그루브의 홈면을 따라 다수개 관통된 오일 홀: 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써, 샤프트(40)를 지지하기 위한 내.외륜링(23)(25)과, 상기 내.외륜링(23)(25)의 사이에 내설된 지름이 큰 강구(27)와, 그리고 각각의 내.외륜링(23)(25)의 사이에 내설되고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지름이 작은 강구(29)로 구성된다.
상기 강구들(27)(29) 사이에는 크랭크 샤프트(40)와 베어링(21) 사이에 적당한 유막을 형성하여 오일의 간극을 확보하도록 사이사이에 적당한 틈새부(28)를 형성하며, 오일의 윤활을 위해 상기 외륜링(23)의 외측과 내륜링(25)의 내측의 둘레면을 따라 홈을 주어 오일그루부(31)를 형성하고, 그 오일그루부(31)의 면부상에는 다수개의 오일홀(33)을 관통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오일유입통로는 기존과 같이 동일하게 실린더블록이나 다른 부품의 오일홀과 연결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상기 틈새부(28)는 각각의 강구들(27)(29)보다 그 지름을 다소 크게 형성하면 바람직스러운 것이다.
상기 베어링 구조(21)는 각각의 강구(27)(29)와 내.외륜링(23)(25)의 마잘면과의 사이에 적당한 틈새부(28)가 형성되어 있어 오일그루브(31)에 형성된 오일홀(33)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윤활을 쉽게하여 적절한 유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샤프트(40)와의 사이에서 베어링(21)이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베어링 구조는 충분한 오일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써, 베어링의 사이에 윤활 부족현상을 줄이고 샤프트와의 충격력을 유효 적절하게 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적절한 오일간극의 확보가 용이하여 베어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회전운동이나 직선운동을 하는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환형의 내,외륜링;
    상기 내,외륜의 링 사이에 내설되어 링을 지지하기 위한 지름이 큰 강구;
    상기 큰 강구에 대응하여 지지되고 그 내,외륜링의 외,내측에 각각 내설된 복수개의 지름이 작은 강구;
    상기 내,외륜링의 내,외측 둘레면을 따라 홈으로 형성된 오일 그루브; 및
    상기 오일 그루브의 홈면을 따라 다수개 관통된 오일 홀: 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륜링에 각각 내설된 큰 강구와 작은 강구의 사이에는 오일간극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소의 틈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구조.
KR1019970080388A 1997-12-31 1997-12-31 베어링구조 KR10027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388A KR100279361B1 (ko) 1997-12-31 1997-12-31 베어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388A KR100279361B1 (ko) 1997-12-31 1997-12-31 베어링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167A KR19990060167A (ko) 1999-07-26
KR100279361B1 true KR100279361B1 (ko) 2001-01-15

Family

ID=6618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388A KR100279361B1 (ko) 1997-12-31 1997-12-31 베어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3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167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701704A (ko) 고형윤활제가 내장된 베어링구조
KR20070112771A (ko) 축장치
JP4929605B2 (ja) 転がり軸受及びカムシャフト装置
KR850008392A (ko) 스크롤 유체기계
KR100279361B1 (ko) 베어링구조
US1161721A (en) Journal-bearing.
GB2378484A (en) Camshaft &amp; bearing arrangement comprising an axial position locating means
JP2002098150A (ja) 玉軸受
US3815964A (en) Bearings
JP2003120683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KR100223317B1 (ko) 진동저감형 볼베어링
CN217682806U (zh) 一种薄壁镶嵌自润滑轴承
RU173278U1 (ru) Радиально-упорный подшипник качения
JP2008101652A (ja) 汎用エンジン用シェル型ころ軸受、ピストンピン支持構造および汎用エンジン
JPS6319622Y2 (ko)
KR20050038954A (ko) 쓰러스트 베어링
EP3344883A1 (en) Bearing element
RU2125670C1 (ru)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ийся опорный узел вращения вала
KR200307785Y1 (ko)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석이 구비된 베어링
JPH09324819A (ja) 玉軸受
KR200200319Y1 (ko) 로드앤드용 베어링
RU2083886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опора
RU1775567C (ru) Вкладыш подшипника скольжени
KR20060005014A (ko)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KR19990030457U (ko) 크랭크축 지지용 스러스트 베어링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