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081B1 - 방출조절형농약제제 - Google Patents

방출조절형농약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081B1
KR100279081B1 KR1019960057351A KR19960057351A KR100279081B1 KR 100279081 B1 KR100279081 B1 KR 100279081B1 KR 1019960057351 A KR1019960057351 A KR 1019960057351A KR 19960057351 A KR19960057351 A KR 19960057351A KR 100279081 B1 KR100279081 B1 KR 100279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aliphatic polyester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
pestic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447A (ko
Inventor
김효열
윤긴상
구본철
백성호
오병렬
박승순
김영구
오경석
Original Assignee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이은종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이은종, 대한민국 filed Critical 조민호
Priority to KR101996005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081B1/ko
Priority to EP97120576A priority patent/EP0843963B1/en
Priority to DE69717773T priority patent/DE69717773T2/de
Priority to JP9340673A priority patent/JPH111403A/ja
Publication of KR1998003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을 생분해성 폴리머에 함유시켜 농약성분이 장기간 유효량으로 방출되게 한 방출조절형 농약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농약제제는 1회 처리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서서히 분해되면서 농약도 서서히 용출되므로서 지속적으로 농약 효과를 가져 오며, 기존 시설원예를 포함한 각종 작물의 해충방제용 희석제 농약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여러번 살포하는 번거로움, 농약살포시 작업자의 유해성 및 과량의 농약살포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제제시 사용된 생분해성 지방족폴리에스테르의 토중 완전분해로 환경친화적인 농약제형 개발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출조절형 농약제제
본 발명은 농약을 생분해성 폴리머에 함유시켜 농약성분이 장기간 유효량으로 방출되게 한 방출조절형 농약제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설 원예 주요 해충 방제 등에 사용되는 농약은 과도한 양으로 여러번 살포하여야만 농약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량의 농약을 살포하게 되면 다른 작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고, 농약 사용자나 작물 수요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며, 환경오염 문제 또한 심각하게 될 뿐만 아니라, 농약을 살포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과도한 노동력을 요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시도로, 일본특허공개 평6-116103호에는 생분해성 수지를 판상으로 사출한 다음 농약을 용제에 녹인후 수지판에 도입하는 것이 제시되며, 일본특허공개 평5-85902호에는 농약원제와 산으로 공중합 한 다음 폴리에스터를 클로로포름에 용해한 후 입상 제오라이트에 흡착, 가열후 클로로포름을 증발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제조시 산 및 용제의 사용으로 인해 제조환경이 유해하고 제조단가가 높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8-208415호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의 생분해성 수지에 모기, 진드기, 개,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의 기피제인 히녹티올, 티몰, 테르펜류의 화합물을 혼합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 그 목적물인 동물기피제의 방출기간이 매우 짧아 농원예용 작물에 장기간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증기압이 220mPa(25℃) 정도로 매우 높아 제조환경이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회 처리로 장기간 농약효과를 볼 수 있고, 농약이 유효한 적정량으로 방출되게하여 통상 3~4회 시비(施肥)함에 따른 인건비를 줄임과 동시에 농약의 남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농약제제를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제조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자연환경중에서 완전히 분해될 수 있는 특정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특정 물성의 농약을 컴파운딩한 방출조절형 농약제제가 양호한 작업조건에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제율이 높고 저장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물에 처리하게 되면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서서히 분해하면서 농약이 유효량으로 서서히 방출되어 식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되어 1회 처리로 지속적인 농약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농약이 컴파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조절형 농약제제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현의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특정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자연환경중에서 완전히 분해된다는 것이 알려져 왔고, 현재에도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되어지고 있다 (참조 : Journal Macromol. SCI-Chem., A23(3), 1986, 393-409).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지방족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통상의 수지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성분단량체로서 하기 일반식(I)의 디카르복실산, 그의 C1~C3알킬 에스테르 및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알코올성분 단량체로서 하기 일반식(II)의 디올 1종 이상을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수평균분자량 10,000~50,000, 고유점도(오르토클로로페놀을 이용하여 30℃에서 측정) 0.5 이상, 융점 60~120℃인 하기 일반식(III)의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이다.
[위 식(I)에서 R1탄소수 0~30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렌기임]
OH-R2-OH (II)
[위 식(II)에서 R2탄소수 2~30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렌기임]
[위 식(III)에서 n은 반복단위임]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고유점도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분해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므로 지속적인 서방효과를 주기에 부적당하며 또한 제제의 성형성이 불량한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분자량이 50,000을 초과할 경우에는 분해속도에 영향이 있고, 융점이 60℃미만일 경우에는 작업성의 불량 및 보관상의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수평분자량 10,000~50,000, 고유점도 0.5 이상, 융점 60~120℃인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산성분 단량체로는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과 같은 디카르복시산; 이들의 메틸에스테르, 에틸 에스테르, 프로필 에스테르와 같은 디카르복시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안하이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특히 석신산, 아디프산, 석신산 메틸, 아디프산 메틸, 석신산 안하이드라이드, 아디프산 안하이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단량체의 바람직한 예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에틸렌 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및 옥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특히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치환된 디올의 경우에는 치환기로서 저급 알킬기 및/또는 히드록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상기한 단량체이외에 제3 성분으로서 분자량 100~9,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소시아네이트, 다관능성 알코올 및/또는 다관능성 카르복시산을 도입하여 중합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잇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컴파운딩되는 농약은 다음과 같은 농약유효성분의 이화학적 성질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제제에서 컴파운딩되는 농약유효성분의 성상은 분말형태이어야 하고, 증기압이 1mPa (20℃) 이하가 되어야 하며, 식물에 흡수되어 약효를 발휘하는 측면을 고려하여 농약유효성분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50mg/ℓ(20℃)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농약유효성분의 성질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사용되는 농약의 성질이 침투이행성이 있어야 한다. 농약성분의 증기압이 1 mPa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와 농약의 컴파운딩중에 농약이 휘산하여 작업안정성을 불량하게 하고 제제율이 저하되며, 상온에서 저장중에 농약성분이 방출되어 통상적인 농약 유효기간인 2~3년에 못미치게 되고, 저장소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며, 토양처리시에도 농약유효성분이 공기중으로 방출되어 효과적인 토양내 침투이행이 불량하며 따라서 장기간 유효한 농도로 농약이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농약성분을 과량으로 사입하여야 하므로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농약성분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50mg/ℓ(20℃) 이상일 때 적정한 유효농도로 용해되어 식물의 물관을 통해 신초로 침투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농약유효성분은 그 융점(melting point)이 50~150℃, 바람직하게 70~150℃이고 100~200℃에서 열에 의한 유효성분 분해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약성분이 위와 같은 성질을 갖추어야만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농약과의 제제화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농약의 예로는 아세페이트(acephate), 카보후란(carbofuran), 아미녹타딘(iminoctadine),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메소밀, 프로시미돈, 헥사지논, 할록시호프안메틸, 리누론, 메트리부진, 메타벤즈치아주론, 메토보로무론, 브로마실, 이속사벤, 틀리클로피즈 등을 들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아세페이트, 카보후란 및 이미다클로프리드가 안전을 위한 별도의 설비없이 제제화가 가능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약제제에는 상기한 성분 이외에 전분이나 탄산칼슘 등과 같은 기타 통상의 첨가제들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농약을 컴파운딩하는 방법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해성 및 물성등을 고려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한 특성의 농약을 선택하고 이들을 싱글(single) 또는 트윈(twin) 스크루가 장착된 익스트루더(extruder)를 이용하여 컴파운딩하여 펠렛 및 판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컴파운딩시에 실린더의 온도범위는 농약의 내열성 혹은 유효성분 분해온도를 감안하여 컴파운딩시의 열에 의해 농약이 탄화되거나 유효성분이 분해되어 농약으로서의 특징을 상실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야 한다. 스크루의 마찰계수까지 감안하면 실린더 부위의 온도보다 실제 실린더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실린더 부위의 온도범위는 농약의 유효성분 분해온도 보다 훨씬 낮게 설정하여야 하며,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실린더 부위의 온도범위는 60~250℃이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대 농약의 바람직한 혼합비는 중량%로 50~99.9: 50~0.1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90~99 : 10~1이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의 혼합중량비가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컴파운딩하기가 어려우며 작업성이 떨어지고, 농약의 혼합중량비가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농약으로서의 효과가 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에 의해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분자량은 클로로포름을 용매로하여 겔크로마토그래피로, 융점은 승온속도를 분당 10℃로하여 시차주사 열량분석기로, 고유점도는 오르토클로로페놀을 이용하여 30℃에서 측정한 값이다.
[실시예 1]
융점이 113℃, 고유점도가 1.2 및 수평균 분자량이 25,000인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98.6g과, 증기압이 4×10-7mPa (20℃)이고 용해도가 900mg/ℓ(20℃)이며 침투이행성 농약인 이미다클로프리드 1.4g을 혼합하여 각 실린더 온도를 120~150℃ 범위에서 트윈스크류가 장착된 익스트루더를 통하여 두께 0.3mm, 폭 1.5cm 판상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직경이 1mm인 입상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실시예 3]
융점 91℃, 고유점도 1.5 및 수평균 분자량 31,000인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실시예 4]
직경이 1mm인 입상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 시제품의 제제율 평가
실시예 1 내지 4의 시제품을 각각 1.5g 씩 취하여 250㎖ 용량의 마개달린 엘렌메이어 플라스크(Cap-stoppered Erlenmeyer flask)에 각각 평취한 후, 1000ppm 디메틸프탈레이트를 함유한 아세토니트릴 + H2O (1 : 1 V/V, PH 6.5) 혼합용매 100㎖을 가하여 열판에서 3분간 가열한 다음 상온에서 냉각시켰다. 이 추출액을 여과한 다음 HPLC로 분석하여 시제품의 제제율은 제조시의 농약 사입율에 대한 함량비로 표시하여 산출하였다. 산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 시제품중 농약유효성분 경시안정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4의 시제품을 일정량을 125㎖용 삼각 플라스크에 넣어 밀봉한 후 50℃의 항온기에 보관하면서 경시적으로 농약유효성분의 함량을 제제율 조사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분해율을 산출하였다. 산출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 시제품중 토양중 분해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4의 시제품 절편을 시험포장에서 채취한 토양내에 처리한 후 지름 3cm의 플라스틱용기에 채워넣고 최대 포장용수량의 60% 수준으로 수분을 유지하고 28℃의 항온기에 보관하면서 경시적으로 시제품의 중량 변화를 조사하여 분해율을 산출하였다. 산출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 시제품중 미생물에 의한 분해성 시험
실시예 2의 입상 시제품을 150일간 토중매몰처리 한 후 시험포장토양에 매몰되어 있던 일정량의 시제품을 수거하고 시제품에 부착된 토양에서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bacteria)과 곰팡이류(fungi) 각각을 한천(water agar) 배지상에 접종하고 접종 3일후 일정량의 시제품 절편 2개씩을 배지상에 처리하여 28도의 항온기에 보관하면서 세균처리 60일후, 곰팡이류 처리 45일후 시료를 채취하여 수지의 중량감소율을 조사하여 분해율을 산출하였다. 산출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대조군은 판상시제품 처리후 접종하지 않은 처리구이다.
※ 농약 주성분의 수중 용출성 시험
125㎖용 시험관에 증류수 100㎖를 넣고 실시예 1 내지 4의 시제품을 시제품을 100ppm 수준으로 처리한 다음 경시적으로 수중으로 용출되어 나오는 농약유효성분을 HPLC로 분석하여 경시적으로 농약유효성분의 수중용출율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 시제품의 약효 시험
절화용과 분화용 장미 그리고 국화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시제품을 시설하우스 포장에 처리하였다. 처리후 진딧물을 대상해충으로하여 결과 일수별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방제효과는 하기 표 6, 7 및 8과 같다. 시험 대상 및 처리조건은 다음과 같다.
[장미]
-공시품종 : 소냐
-공시충 : 장미 찔레수염 진딧물
-약제 처리
*절화용 - 온실포장에서 유묘정식시 근부주변 토양에 실시예 2 및 4의 입상시제품을 매몰처리
-온실포장에서 유묘정식시 실시예 1 및 3의 판상시제품을 고랑처리
*분화용 - 화분토양에 유묘정식시 토양에 실시예 2 및 4의 입상 시제품을 매몰 처리
-화분토양에 유모정식시 실시예 1 및 3의 판상 시제품을 파구처리
-조사시기
*약제처리 35, 64, 91, 183, 205일후 생충수 조사(절화용)
*약제처리 35, 64, 154, 190일후 생충수 조사(분화용)
[국화]
-공시품종 : 명문, 봉황
-공시충 : 국화 목화 진딧물
-약제처리 : 장미 절화용 처리시와 동일
-조사시기 : 약제처리 56, 70, 163, 170일후 생충수 조사
*대조군 : 아시트WP 9회 살포
*대조군 : 아시트WP 8회 살포
*대조군 : 아시트WP 8회 살포
상기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농약을 일정 성분비로 혼합하여 판상 및 입상으로 시제품을 제조하여 시제품의 제제율, 시제품의 농약유효성분 경시안정성, 시제품의 토양중 분해성, 시제품의 미생물에 의한 분해성 및 농약유효성분의 수중용출성 등을 시험한 결과 시제품의 제제율은 90% 이상으로 잘 혼합됨을 알 수 있고, 시제품중 농약유효성분의 경시분해율은 50℃에서 90일 경과시 전혀 분해가 안되었으며, 시제품의 토양중 분해율은 세균 보다 곰팡이에 의한 분해성이 더 우수하며 분리균주에 의한 분해성을 세균의 경우에는 시제품을 분해시키지 못하였으나, 곰팡이 분리균주에 있어서는 6종의 곰팡이가 10.1~25.0%의 분해율을 보였다. 따라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분해력은 세균보다 곰팡이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토양중 분해율은 처리 5개월후 입상의 시제품이 100% 분해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 내지 4의 시제품을 시설화훼인 장미와 국화를 공시품종으로부터 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가 절화용 및 분화용 장미의 경우 처리 180일까지 90% 이상의 방제효과가 유지되었으며, 국화에 있어서는 처리 170일까지 90% 이상의 방제효과가 유지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출조절형 농약제제는 단 한번 살포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서서히 분해되면서 농약도 서서히 용출되므로서 지속적으로 농약 효과를 가져 오며, 기존 시설원예를 포함한 각종 작물의 해충방제용 희석제 농약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여러번 살포하는 번거로움, 농약살포시 작업자의 유해성 및 과량의 농약살포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제제시 사용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토중 완전분해로 환경친화적인 농약제형 개발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농약이 컴파운딩된 농약제제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산성분 단량체로서 하기 일반식(I)의 디카르복실산, 그의 C1~C3알킬 에스테르 및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알코올성분 단량체로서 하기 일반식(II)의 디올 1종 이상을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며, 수평균분자량 10,000~50,000, 고유점도(오르토클로로페놀을 이용하여 30℃에서 측정) 0.5 이상, 융점 60~120℃를 만족하는 하기 일반식(III)의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이고,
    [위 식(I)에서 R1탄소수 0~30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렌기임]
    OH-R2-OH (II)
    [위 식(II)에서 R2탄소수 2~30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렌기임]
    [위 식(III)에서 n은 반복단위임]
    상기 농약은 침투이행성이 있으며, 증기압이 1mPa (20℃) 이하, 농약 유효성분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50mg/ℓ(20℃) 이상, 융점 50~150℃, 유효성분이 100~200℃에서 분해되지 않는 특성을 만족하면서, 동시에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분해됨에 따라 방출되며,
    상기 수지 대 농약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50~99.9 : 5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조절형 농약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상기 단량체(I) 및 (II) 이외에 제3성분으로서 분자량 100~9,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소시아네이트, 다관능성 알코올, 다관능성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도입하여 중합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조절형 농약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이 해충 방제용 농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조절형 농약제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이 식물 해충 방제용 농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조절형 농약제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의 융점이 7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조절형 농약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대 농약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90~99 :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조절형 농약제제.
KR1019960057351A 1996-11-26 1996-11-26 방출조절형농약제제 KR100279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351A KR100279081B1 (ko) 1996-11-26 1996-11-26 방출조절형농약제제
EP97120576A EP0843963B1 (en) 1996-11-26 1997-11-24 Pesticide formulation for controlled release
DE69717773T DE69717773T2 (de) 1996-11-26 1997-11-24 Pestizidformulierung mit kontrollierter Freisetzung
JP9340673A JPH111403A (ja) 1996-11-26 1997-11-26 放出調節型農薬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351A KR100279081B1 (ko) 1996-11-26 1996-11-26 방출조절형농약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447A KR19980038447A (ko) 1998-08-05
KR100279081B1 true KR100279081B1 (ko) 2001-01-15

Family

ID=1948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351A KR100279081B1 (ko) 1996-11-26 1996-11-26 방출조절형농약제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43963B1 (ko)
JP (1) JPH111403A (ko)
KR (1) KR100279081B1 (ko)
DE (1) DE6971777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23108B2 (en) * 1996-06-28 2000-08-17 Research Association For Biotechnology Of Agricultural Chemicals Biodegradable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biodegradable pheromone dispenser and biodegradable pest controlling agent
EA002692B1 (ru) 1998-04-30 2002-08-29 Басф Акциенгезельшафт Композиции действующих веществ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US6475505B1 (en) * 1999-12-20 2002-11-05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Biocide-polyester concentrates and biocidal compositions prepared therefrom
US6903053B2 (en) 2000-06-09 2005-06-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gricultural items and agricultural methods comprising biodegradable copolymers
KR100735278B1 (ko) * 2000-12-30 2007-07-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방출조절형 농약 제제
WO2003051112A1 (en) * 2001-12-19 2003-06-26 Exosect Limited Pest control device comprising a degradable material incorporating a pest control material
KR100676829B1 (ko) * 2003-01-27 2007-02-05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저융점 또는 무정형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방출조절형 피복농약입제 및 그 제조방법
CN102989760A (zh) * 2012-11-21 2013-03-27 苏州科技学院 乙酰甲胺磷农药污染土壤的修复方法
CN104126601B (zh) * 2014-07-31 2016-06-29 绍兴文理学院 缓释型吡虫啉颗粒剂的制备方法
JP6367684B2 (ja) * 2014-10-23 2018-08-01 竹本油脂株式会社 農薬活性成分放出制御剤及び徐放性農薬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801A (ja) * 1983-12-12 1985-08-02 ソルベイ アンド カンパニー(ソシエテ アノニム) 軟体動物駆除剤およびその製造法
JPH08208415A (ja) * 1994-11-24 1996-08-13 Hamazaki Sangyo Kk 徐効性動物忌避剤組成物及び動物忌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0862A (en) * 1972-07-28 1974-11-26 Union Carbide Corp Blends of a biodegradable thermoplastic dialkanoyl polymer and a naturally occurring biodegradable product
DE3039882A1 (de) * 1980-10-22 1982-05-27 Bayer Ag, 5090 Leverkusen Ektoparasitizidhaltige polyurethane
DE4137290A1 (de) * 1991-11-13 1993-05-19 Bayer Ag Wirkstoffhaltige formkoerper auf basis thermoplastisch verarbeitbarer elastomerer copoly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zur kontrolle von schaedlingen
DE4432126A1 (de) * 1994-09-09 1996-03-14 Lohmann Therapie Syst Lts Implantierbare Formkörper zur Verabreichung von Wirkstoffen an Pflanzen
JPH0892006A (ja) * 1994-09-19 1996-04-09 Showa Denko Kk 生物活性物質を含有する生分解性樹脂成形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801A (ja) * 1983-12-12 1985-08-02 ソルベイ アンド カンパニー(ソシエテ アノニム) 軟体動物駆除剤およびその製造法
JPH08208415A (ja) * 1994-11-24 1996-08-13 Hamazaki Sangyo Kk 徐効性動物忌避剤組成物及び動物忌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3963A1 (en) 1998-05-27
DE69717773T2 (de) 2003-10-16
DE69717773D1 (de) 2003-01-23
EP0843963B1 (en) 2002-12-11
KR19980038447A (ko) 1998-08-05
JPH111403A (ja) 1999-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9937A (en) Biodegradable shaped articles from a material comprising a particulate addition polymer in a matrix of a thermoplastic oxyalkanoyl polymer
CN101743989B (zh) 一种杀虫剂注射液剂组合物
US20110319341A1 (en) Method of controlling pests with biosurfactant penetrants as carriers for active agents
KR100279081B1 (ko) 방출조절형농약제제
CN101803546B (zh) 可防治根结线虫且可生物降解的农用地膜及其制备方法
EP0057839A1 (de) Gegebenenfalls wirkstoffhaltige Gelmassen auf Basis einer Polyurethanmatrix und höhermolekularen Polyolen,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BG62991B1 (bg) Фунгициден състав и метод за контрол на гъбично заразяване
CN107197884A (zh) 一种植物杀虫剂
EP0936856B1 (de) Pflanzenbehandlungsmittel
JP3314148B2 (ja) 樹幹注入剤
US3896585A (en) Furnace or thermal black in degradable agricultural mulch
DE60020253T2 (de) Biologisch abbaubare pheromonfreisetzende vorrichtungen
CN113749130B (zh) 一种甘蔗生物种茎包衣剂及其制备方法
KR100329434B1 (ko) 핀형 농약제제
JPH09183971A (ja) 土壌改質剤と人工土
KR100735278B1 (ko) 방출조절형 농약 제제
KR100643445B1 (ko) 핀형 농약제제
DE102010018455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flanzenschutzmittels sowie Pflanzenschutzmittel
KR20220068444A (ko) 액상 멀칭제 조성물
CN101796916A (zh) 可防治根结线虫的pla基农用地膜及其制备方法
KR100316145B1 (ko) 방출조절형 농약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농약조성물
JP2004261045A (ja) 水耕栽培用保水剤
KR102637274B1 (ko) 농업용 액상 멀칭비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nyasi The effects of Indole Butyric Acid (IBA) on rooting of Chromolaena odorata.
CN116114703A (zh) 防治桑树赤锈病的复配药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