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820B1 -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820B1
KR100278820B1 KR1019980053121A KR19980053121A KR100278820B1 KR 100278820 B1 KR100278820 B1 KR 100278820B1 KR 1019980053121 A KR1019980053121 A KR 1019980053121A KR 19980053121 A KR19980053121 A KR 19980053121A KR 100278820 B1 KR100278820 B1 KR 10027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il
sand paper
cutting
cu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114A (ko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박영진
남양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진, 남양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영진
Priority to KR101998005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820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820B1/ko

Links

Landscapes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코일을 절단했을 경우 그 절단면에 생기는 버(Burr)와 거침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절단면의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코일의 이송로 양측에 2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 및 회전하는 샌드 페이퍼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샌드 페이퍼와 금속코일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교대로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금속코일의 양측 절단면이 교대로 연마 가공되고, 금속코일과 샌드 페이퍼의 접촉면적이 넓으므로 절단면의 버 및 거침현상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Description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본 발명은 금속코일을 절단했을 경우 그 절단면 또는 절단면의 가장자리에 생기는 버(Burr) 및 거침현상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코일을 슬릿터(Slitter) 등으로 절단하게 되면 그 절단면의 가장자리에 버가 생기고, 절단면은 거칠어 진다.
또한, 드릴이나 리이머 작업 등을 실시할 경우에도 절삭된 구멍의 가장자리에 버가 생기고, 내면도 거칠어지게 된다.
이러한 버 및 거침현상은 절단 또는 절삭공구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의 금속이 벗겨지면서 예리하게 날이 생기거나 거칠어지는 흠집으로서 금속코일을 취급하는데 상당한 지장을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버 및 거침현상은 금속코일의 조립성을 해치고, 외관을 불량하게 하여 세밀한 부분이나 외장판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며, 품질을 떨어뜨린다.
도 1A는 금속코일(10)이 감겨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금속코일(10)을 원하는 폭으로 절단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A와 2B는 절단된 금속코일(10)의 가장자리에 생긴 버(11)를 나타낸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코일(10)을 절단하게 되면 그 절단면이 거칠어지고, 가장자리에는 버(11)가 생긴다.
이러한 버(11)와 거침현상은 신속히 제거해 주어야만 취급이 용이하고,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수 있다.
버(11) 및 거침현상은 통상 연마가공을 통하여 제거하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연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버(11)를 제거하기 위하여 절단된 금속코일(10)의 이송로 양측에 복수개의 샌드 페이퍼(30)를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샌드 페이퍼는 띠 형상의 벨트식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롤러(4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 회전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금속코일(10)이 이송할 때 절단면의 양측에 설치된 샌드 페이퍼(30)가 상기 절단면을 연마 가공하여 절단면에 생긴 버와 거칠어진 표면을 연마 가공토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는 샌드 페이퍼(30)가 하나의 롤러(40)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상기 샌드 페이퍼와 금속코일(10)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 연마효율이 떨어지고, 뿐만 아니라 이송로의 양측에 설치된 샌드 페이퍼가 양측의 절단면과 동시에 접촉하면서 버 및 거친면을 연마하므로 금속코일에 유동이 발생할 경우 연마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샌드 페이퍼가 금속코일의 양측 절단면을 동시에 가공하므로 이송하는 금속코일에 유동이 발생하면 샌드 페이퍼와 절단면 사이에 과접촉이 생기거나 아예 접촉하지 않는 불접촉 현상 등의 접촉불량이 발생하여 연마면이 고르지 못하며, 불균일한 연마 및 연마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종래의 또다른 장치으로는 도 4와 같이 금속코일(10)의 이송로 양측에 샌드 페이퍼(3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여 금속코일이 이송할 때 상기 샌드 페이퍼(30)가 양측의 절단면과 접촉하면서 버(11) 및 거친면을 제거토록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 엮시 양측의 샌드 페이퍼와 금속코일의 절단면이 동시에 접촉하면서 연마 가공하는 것이므로 금속코일의 떨림이나 진동과 같은 유동이 발생할 경우 접촉불량이 야기되어 연마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도 5와 같이 금속코일(10)과 샌드 페이퍼(30)가 국부적인 점 접촉을 하기 때문에 샌드 페이퍼의 국부적인 마모가 심하여 수명이 단축되고, 절단면의 균일한 마모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금속코일의 양측 절단면을 동시에 연마하는 것이 아니라 한쪽의 절단면을 연마할 때 다른쪽의 절단면은 롤러에 의해 안내되고, 다른쪽의 절단면을 연마할 때는 한쪽의 절단면이 롤러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므로서 양측의 절단면이 교대로 연마 가공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금속코일의 절단면과 샌드 페이퍼의 접촉면적을 넓혀주므로서 절단면에 생긴 버 및 거칠어진 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와 1B는 금속코일의 절단 전, 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와 2B는 금속코일의 절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와 정면도
도 3은 종래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종래 샌드 페이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종래 금속코일과 샌드 페이퍼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금속코일과 샌드 페이퍼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 페이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롤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금속코일 11 : 버(Burr)
30 : 샌드 페이퍼 40 : 롤러
50 : 가이드 롤러 51 : 요홈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단된 금속코일의 이송로 양측에 샌드 페이퍼와 이송 안내수단인 가이드 롤러를 마주보게 설치하고, 상기 샌드 페이퍼는 2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 경사지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샌드 페이퍼가 한쪽의 절단면을 연마하는 동안 다른쪽의 가이드 롤러는 금속코일의 이송을 안내함과 동시 유동이 방지되게 하여 균일한 연마가 이루어 진다.
또한, 각각의 샌드 페이퍼는 2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절단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으므로 항상 최적의 연마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코일(10)의 이송로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샌드 페이퍼(30)와;
상기 샌드 페이퍼 사이에 설치되어 반대편의 샌드 페이퍼와 마주보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50); 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코일(10)은 약 2∼6mm 의 두께를 갖는 판상의 코일로서, 상기 이송로의 일측에 설치된 언코일러(Uncoiler)에 코일형태로 감겨 있다가 풀려지면서 반대측에 설치된 리코일러(Recoiler)에 감기게 된다.
복수개의 샌드 페이퍼(30)는 벨트식의 띠 형상으로 된 것으로서 도 7과 같이 그 선단부에 각각 2개의 롤러(40)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어 이들 롤러에 의해 지지 및 회전하게 되고, 도 8과 같이 지면으로 부터 약 15∼25°정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금속코일(10)의 절단면과 대각선으로 접촉하게 된다.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50)는 도 9와 같이 그 둘레에 금속코일(10)의 절단면이 끼워지는 요홈(51)이 형성되어 있어 금속코일의 이송을 안내함과 동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요홈(51)은 금속코일(10)의 두께 보다 커야 하며, 요홈의 상하단에는 금속코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샌드 페이퍼와 가이드 롤러는 이송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절단된 금속코일(10)이 언코일러로 부터 풀려 나와 이송로를 따라 이송하면서 반대측의 리코일러에 감기게 된다.
이때, 이송로의 양측에 설치된 샌드 페이퍼(30)가 이송하는 금속코일(10)의 절단면과 접촉하면서 절단면에 생긴 버(11) 및 거친면을 연마 가공하게 된다.
상기 동작중, 한쪽의 샌드 페이퍼(30)가 절단면을 연마 가공하는 동안 다른쪽의 가이드 롤러(50)는 금속코일(10)의 이송을 안내함과 동시 유동을 방지하여 균일한 연마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샌드 페이퍼는 그 선단부에 2개의 롤러(40)가 설치되어 있고, 지면으로 부터 약 15°∼25°정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금속코일의 절단면과 대각선으로 접촉하므로 양자간의 접촉면적이 넓어 접촉불량이 생기지 않으며, 항상 최적의 연마 가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샌드 페이퍼가 절단면을 연마하는 동안 반대편의 가이드 롤러는 금속코일의 이송을 안내하고, 이와 같은 동작이 양측에서 교대로 반복되어 절단면의 연마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샌드 페이퍼와 절단면의 접촉면적이 넓어 마모가 고르게 유지되므로 수명연장과 함께 연마의 효율성이 높고, 버 및 거칠어진 면이 깨끗하게 제거되어 취급 및 외관이 미려한 금속코일을 얻을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코일의 이송로 양측에 샌드 페이퍼와 가이드 롤러를 교대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상기 샌드 페이퍼는 2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금속코일이 이송하는 동안 샌드 페이퍼가 한쪽의 절단면을 연마하는 동안 다른쪽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는 금속코일의 이송을 안내하고, 이와 같은 동작이 양측의 절단면에서 교대로 반복되어 절단면과 샌드 페이퍼의 접촉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고 또한 접촉면적이 넓으므로 항상 균일하고 깨끗한 연마면을 얻을수 있다.
또한, 샌드 페이퍼의 마모가 고르게 유지되어 수명이 연장되고, 금속코일로 부터 얻어지는 제품의 품질향상 및 조립성 향상에 기여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절단된 금속코일(10)의 이송로 양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샌드 페이퍼(30)와;
    상기 샌드 페이퍼 사이에 설치되어 반대편의 샌드 페이퍼와 마주보게 위치하며 그 주연에 상기 금속코일의 절단면이 끼워지는 요홈(51)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50); 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샌드 페이퍼(30)는 그 선단부에 각각 2개의 롤러(40)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지면으로 부터 약 15∼25°정도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50)는 그 주연에 금속코일(10)의 절단면이 끼워지는 요홈(51)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KR1019980053121A 1998-12-04 1998-12-04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KR10027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121A KR100278820B1 (ko) 1998-12-04 1998-12-04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121A KR100278820B1 (ko) 1998-12-04 1998-12-04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114A KR19990024114A (ko) 1999-03-25
KR100278820B1 true KR100278820B1 (ko) 2001-01-15

Family

ID=6595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121A KR100278820B1 (ko) 1998-12-04 1998-12-04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129B1 (ko) 2006-09-18 2006-12-04 이구산업 주식회사 버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129B1 (ko) 2006-09-18 2006-12-04 이구산업 주식회사 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114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444B2 (ja) ガラスシートの縁部を仕上げる方法
KR100278820B1 (ko) 금속코일의 절단면 연마장치
CN217255148U (zh) 一种铜铝复合带材表面边部毛刺去除装置
KR101899683B1 (ko) 소재 버어 제거 장치
EP1120217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ingots
EP1747850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ducing buff tapes
KR100655639B1 (ko) 절삭공구용 인서트
JP2007021625A (ja) 研削装置
JP2021062395A (ja) 金属ストリップの位置検出用穴の形成方法
JP7149358B2 (ja) 砥粒帯鋸刃
JP3295279B2 (ja) バリ取り装置
KR200208862Y1 (ko) 철밴드의 버제거장치
KR200301638Y1 (ko) 강판 슬라브의 절단면에 발생된 잔류물 제거장치
JP2020121317A (ja) 鋼帯のサイドトリマー、鋼帯の剪断装置、鋼帯の剪断方法及び鋼帯の製造方法
CN111496634A (zh) 传送带及具有该传送带的毛刺机
KR200143151Y1 (ko) 자동에지 벤딩장치의 버핑 휠
JPS63300874A (ja) エンドレスカツタ−
JPS6186006A (ja) 厚板圧延方法及び装置
JPS58181562A (ja) バリ取り装置
US3026219A (en) Brush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279485Y1 (ko) 포장용 대강 라운드 에지 성형장치 및 상기 장치에 의한포장용 대강
KR20010107855A (ko) 박판용 면취기
JP3669166B2 (ja) 突起付金属条の製造方法
JPH05228523A (ja) 搬送ローラ用焼付き疵手入れ装置
JP2004249186A (ja) 塗布方法および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