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639B1 - 절삭공구용 인서트 - Google Patents

절삭공구용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639B1
KR100655639B1 KR1020050000071A KR20050000071A KR100655639B1 KR 100655639 B1 KR100655639 B1 KR 100655639B1 KR 1020050000071 A KR1020050000071 A KR 1020050000071A KR 20050000071 A KR20050000071 A KR 20050000071A KR 100655639 B1 KR100655639 B1 KR 10065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sert
cutting edge
crack propagation
cut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627A (ko
Inventor
이양구
Original Assignee
이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구 filed Critical 이양구
Priority to KR102005000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639B1/ko
Priority to PCT/KR2005/003963 priority patent/WO2006073233A1/en
Publication of KR2006007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41Specially shaped plate-like cutting inserts, i.e. length greater or equal to width,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ickness
    • B23B27/145Specially shaped plate-like cutting inserts, i.e. length greater or equal to width,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ic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a speci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12Side or flank surfaces
    • B23B2200/128Side or flank surfaces with one or mor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4/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composed of a compound including a metal
    • B23B2224/28Titanium carb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4/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composed of a compound including a metal
    • B23B2224/32Titanium carbide nitride (TiC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4/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composed of a compound including a metal
    • B23B2224/36Titanium nit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8/00Properties of 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applied in a specific manner
    • B23B2228/10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용 인서트는 절삭공구용 홀더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서로 동일한 다각형상을 가지며 두께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면 및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그 제1면 및 제2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3면들을 구비하는 인서트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3면들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에는 피삭물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날부를 구비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에 의한 상기 피삭물의 절삭시에 그 절삭날부에 치핑이 발생되는 경우에 그 치핑에 의해 상기 절삭날부에 발생된 균열이 상기 제2면과 제3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로 전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면과 함께 상기 절삭날부가 형성된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제3면에는, 그 제3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절삭가공시에 치핑이 발생되더라도 그 치핑에 의해 발생된 균열이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에 전파되지 않게 되므로, 절삭공구용 인서트의 수명 및 절삭공구용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공구용 홀더의 수명이 증대되게 된다.

Description

절삭공구용 인서트{Insert for a cutting tool}
도 1은 종래의 절삭공구용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용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삭공구용 인서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용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용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절삭공구용 홀더 20, 50, 70...인서트 본체
21, 71...면 22, 72...제2면
23, 73...제3면 30, 31...절삭날부
40, 60, 80...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 51...본체부
52...코팅층 100, 200, 300...절삭공구용 인서트
본 발명은 절삭공구용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공구용 인서트의 수명 및 절삭공구용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공구용 홀더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절삭공구용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절삭공구용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삭공구용 인서트(1)는 일반적으로 절삭공구용 홀더(10)에 자세 변경 및 교환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삭물(미도시)을 절삭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절삭공구용 인서트(1)는 밀링가공 및 선삭가공 등에 사용되며, 도 1에는 선삭가공용 인서트(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절삭공구용 인서트(1)는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4각 형상의 제1면(2) 및 제2면(3)과, 그 제1면(2) 및 제2면(3)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4개의 제3면(4)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면(2)과 제3면(4)들에 의해 형성된 4개의 모서리부들 모두에는 절삭날부(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면(3)과 제3면(4)들 의해 형성된 4개의 모서리부들 모두에도 각각 절삭날부(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절삭날부(5,6)는 그 모서리부의 길이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삭공구용 인서트(1)는 8개의 모서리부들 모두에 각각 절삭날부(5,6)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8개의 절삭날부(5,6)들 각각은 피삭물의 절삭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절삭공구용 인서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공구용 홀더(10)에 고정된 후에, 8개의 절삭날부(5,6)들 중 어느 하나의 절삭날부(5)가 피삭물(미도시)의 절삭에 사용된다. 이러한 피삭물의 절삭은 피삭물 및 인서트의 물성과, 절삭속도, 이송속도, 절삭깊이 및 윤활조건 등과 같은 절삭조건 등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피삭물 및 인서트의 물성과 절삭조건이 적절하게 유지되지 않게 되면 절삭날부(5)가 파손되는 치핑현상(chipping)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치핑(chipping)현상에 의해 파손되어 그 절삭날부(5)가 피삭물의 절삭에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는 경우에는, 홀더(10)로부터 인서트(1)를 제거한 후에 그 파손된 절삭날부(5)가 아닌 다른 절삭날부(5,6)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절삭을 할 수 있도록 인서트(1)를 돌리거나 뒤집어서 다시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치핑현상이 절삭날부(5)에 발생하는 경우에, 그 치핑현상에 의해 발생된 균열이 그 절삭날부(5)의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6)로도 전파되어, 사용되지 않은 상기 다른 절삭날부(6)도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치핑현상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다른 절삭날부(6)가 파손되게 되면, 본래의 의도와는 달리 인서트(1)의 사용 가능한 절삭날부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인서트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삭가공중에 치핑현상이 크게 발생하여 그 절삭날부(5) 뿐만 아니라 제1면(2), 제2면(3) 및 제3면(4)까지 파손되어 인서트(1)가 안착되는 홀더(10)의 안착면이 일부라도 노출되는 경우에는, 그 인서트(1)가 장착된 홀더(10)가 피삭물과 접촉하게 되어 홀더(10)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날부에 발생된 균열이 그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에 전파되지 않도록 하여 절삭공구용 인서트의 수명 및 절삭공구용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공구용 홀더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절삭공구용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용 인서트는 절삭공구용 홀더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서로 동일한 다각형상을 가지며 두께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면 및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그 제1면 및 제2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3면들을 구비하는 인서트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3면들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에는 피삭물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날부를 구비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에 의한 상기 피삭물의 절삭시에 그 절삭날부에 치핑이 발생되는 경우에 그 치핑에 의해 상기 절삭날부에 발생된 균열이 상기 제2면과 제3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로 전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면과 함께 상기 절삭날부가 형성된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제3면에는, 그 제3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유형의 절삭공구용 인서트는 절삭공구용 홀더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두께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을 향하 도록 배치되는 제1면 및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그 제1면 및 제2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3면을 구비하는 인서트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3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에는 피삭물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날부를 구비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에 의한 상기 피삭물의 절삭시에 그 절삭날부에 치핑이 발생되는 경우에 그 치핑에 의해 상기 절삭날부에 발생된 균열이 상기 제2면과 제3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로 전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면과 함께 상기 절삭날부가 형성된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제3면에는, 그 제3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용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삭공구용 인서트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용 인서트(100)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절살공구용 인서트(1)와 마찬가지로 절삭공구용 홀더(10)에 결합되어 피삭물의 절삭가공에 사용된다.
상기 절삭공구용 인서트(100)는 인서트 본체(20)와, 절삭날부(30,31)를 구비한다.
상기 인서트 본체(20)는 고속도강, 초경, 세라믹, 입방정 질화 붕소(CBN, Cubic Boron Nitride), 다이아몬드, 써메트(cermet)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 다. 상기 인서트 본체(20)는 제1면(21)과, 제2면(22)과, 제3면(23)을 구비한다. 상기 제1면(21) 및 제2면(22)은 서로 동일한 다각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면(21) 및 제2면(22)은 상기 인서트 본체(20)의 두께방향(t)으로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3면(23)은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그 제1면(21) 및 제2면(2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삭날부(30)는 피삭물(미도시)을 절삭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절삭날부(30)는 상기 제1면(21)과 제3면(23)들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인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면(21)과 제3면(23)들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들 전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면(22)과 제3면(23)들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에도 절삭날부(31)가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면(22)과 제3면(23)들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들 전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절삭날부(30,31)는 그 절삭날부(30,31)가 형성된 각 모서리부의 길이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모서리부 전체가 상기 절삭날부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용 인서트(40)는, 상기 절삭날부(30,31)에 의한 상기 피삭물의 절삭시에 그 절삭날부(30,31)에 치핑이 발생되는 경우에 그 치핑에 의해 상기 절삭날부(30,31)에 발생된 균열이 그 절삭날부(30,31)의 상기 인서트 본체(20)의 두께방향(t)으로의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31,30)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는 상기 제1면(21)과 제3면(23)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에 배치된 절삭날부(30)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에, 그 균열이 상기 제2면(22)과 제3면(23)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 즉 다른 절삭날부(31)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는 상기 제1면(21)과 함께 상기 절삭날부(30)가 형성된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제3면(23)에 그 제3면(23)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는 상기 4개의 제3면(23)들 모두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본체(20)그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3면(23)들 전체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의 상기 두께방향(t)으로 형성된 개수가 많을수록, 치핑시 발생되는 균열의 전파 방지의 관점에서는 유리하나, 피삭물의 절삭가공시 절삭부위를 지지하는 강성이 줄어들어서 상기 인서트(100)의 수명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의 수는 절삭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의 폭(w)은 상기 인서트 본체(20)의 두께의 3%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폭(w)이 상기 인서트 본체(20)의 두께의 3% 보다 작게 되면, 상기 절삭날부(30,31)에 치핑이 발생되는 경우에 균열이 그 치핑이 발생된 절삭날부(30,31)의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31,30)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 폭(w)이 상기 인서트 본체 (20)의 두께의 50% 보다 크게 되면, 균열전파 방지의 관점에서는 유리하나 피삭물의 절삭가공시 절삭부위를 지지하는 강성이 줄어들어서 상기 인서트(100)의 수명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의 깊이(d)는 상기 인서트 본체(20)의 내접원의 직경(D)의 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깊이(d)가 상기 인서트 본체(20)의 내접원의 직경의 5% 보다 작게 되면, 상기 절삭날부(30,31)에 치핑이 발생되는 경우에 그 치핑이 발생된 절삭날부(30,31)의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31,30)로의 균열 전파를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 깊이(d)가 상기 인서트 본체(20)의 내접원의 직경의 30% 보다 크게 되면, 균열전파 방지의 관점에서는 유리하나 피삭물의 절삭가공시 절삭부위를 지지하는 강성이 줄어들어서 상기 인서트(100)의 수명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용 인서트(100)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공구용 인서트(100)는 절삭공구용 홀더(10)에 고정되고, 그 8개의 절삭날부들(30,31) 중 하나의 절삭날부(30)가 피삭물을 절삭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절삭가공중에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삭물을 절삭하는 절삭날부(30)가 파손되는 치핑현상(chipping)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치핑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그 절삭날부(30)에 형성된 균열이 그 절삭날부(30)의 상기 두께방향(t)으로의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31)쪽으로 전파된다. 이와 같이 균열이 전파되는 도중에, 그 균열은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에 접근하게 되고, 예컨대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오목부(40)쪽으로 급속히 전파된다. 이와 같이 균열이 전파되게 되면, 절삭날부(30)를 포함하는 일부분(f)이 인서트(100)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다른 절삭날부(31)에는 균열이 전파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치핑현상에 의해 발생된 균열이 오목부(40)로 전파되게 되어, 상기 다른 절삭날부(31)는 파손되지 않게 되므로, 그 다른 절삭날부(31)는 절삭가공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가 2개 형성되어 있어서, 치핑에 의해 발생된 균열이 상기 다른 절삭날부(31)로 전파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비록 치핑현상이 발생되더라도 본래의 의도대로 절삭공구용 인서트(100)의 나머지 7개의 절삭날부들(30,31)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인서트의 수명이 종래의 인서트(1)에 비해서 증대되게 된다. 또한, 치핑현상에 의한 인서트의 파손이 절삭날부(30)를 포함해서 제1면, 제2면 및 제3면에까지 발생되어 인서트(100)가 안착되는 홀더(10)의 안착면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절삭가공 중에 홀더와 피삭물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홀더의 파손이 방지된다. 따라서, 절삭공구용 홀더의 수명도 증대되게 되고, 홀더의 파손으로 인한 부가적인 비용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절삭공구용 인서트(100)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재 상용되고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절삭날부를 가지는 써메트 인서트(형번:CNMG120408)에 다이아몬드 봉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형태의 균 열전파방지용 오목부 1개가 제3면들 모두에 형성되도록 제조된 제1인서트 및 제2인서트와,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써메트 인서트(형번:CNMG120408)인 종래의 인서트와, SCM440 재질로 된 피삭물(길이:600㎜, 직경:300㎜)을 준비하였다. 여기서 피삭물에는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사각형(6㎜×4㎜)의 단면을 가진 홈이 4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들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홈들은 절삭시에 인서트에 충격력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절삭속도(V)는 100m/min이고, 이송속도(f)는 0.2㎜/rev이며, 절삭깊이(d)는 1.5㎜이며, 윤활이 없는 상태인 절삭조건에서 각 인서트의 절삭날부가 파손될 때까지 선삭가공을 하였고, 이러한 선삭가공을 각 인서트마다 10번씩 실행하여 [표 1]과 같은 데이터를 얻게 되었다.
구분 형번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의 폭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의 깊이 절삭날부의 평균사용시간 파손된 반대쪽 절삭날부의 개수
종래의 인서트 CNMG120408 없음 없음 115초 4/10
제1인서트 1㎜ 0.5㎜ 118초 1/10
제2인서트 3㎜ 1.5㎜ 45초 0/10
제1인서트의 경우에는,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의 폭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그 절삭날부의 평균 사용시간이 종래의 인서트와 큰 차이가 없는 반면에 치핑현상에 의해 그 절삭날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가 파손되는 가능성은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인서트의 경우에는,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의 폭이 제1인서트에 비해서 크게 형성되어 치핑현상에 의해 그 절삭날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유리하나, 그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의 폭이 너무 커서 절삭가공시 절삭부위를 지지하는 강성이 줄어들어서 그 절삭날부의 평균 사용시간이 종래의 제1인서트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위의[표 1]에 나타난 데이터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인서트의 경우와 같이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를 적절한 크기로 형성하게 되면, 절삭날부의 평균사용시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절삭가공시 발생되는 치핑현상에 의해 그 절삭날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다른 절삭날부가 파손되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어, 인서트의 수명을 종래의 인서트에 비해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절삭공구용 인서트(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인서트(200)에 있어서는, 인서트 본체(50)가 본체부(51)와, 상기 본체부(51)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52)을 구비한다. 상기 코팅층(52)은 상기 절삭공구용 인서트(200)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코팅층(52)은 TiC, TiN, TiCN 등의 재료를 화학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물리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등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52)의 두께는 3㎛ 내지 20㎛이다. 이는 상기 코팅층(52)의 두께가 3㎛보다 작으면 상기 절삭공구용 인서트(200)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어렵고, 그 두께가 20㎛보다 크면 절삭시 상기 코팅층(52)이 손상되어 상기 절삭날부(30,31)의 절삭 성능이 저감되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제1면(21), 제2면(22) 및 제3면(23)들은 상기 코팅층(52)의 외부 표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코팅층(52)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코팅층(52)은 상기 오목부(60)에 의해 노출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본체부(51)의 외면 전체에 코팅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서만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몸체부의 일표면에 그 몸체부의 중심부쪽으로 오목하게 홈을 더 형성하여,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코딩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몸체부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60)의 기능은 전술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4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절삭공구용 인서트(3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인서트(300)는 인서트 본체(70)을 구비하고, 그 인서트 본체(70)에 있어서 제1면(71)과 제2면(72)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제1면(71)과 제2면(72)의 테두리는 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면(71)과 제2면(72) 사이에는 형성된 제3면(73)은 그 제1면(71)과 제2면(7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하나의 폐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면(71)과 제3면(73)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는 원형으로 되어 있고 그 모서리부 길이 전체에 절삭날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면(72)과 제3면(73)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에도 그 모서리부 길이 전체에 절삭날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면(73)에는 그 제3면(73)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80)가 형성되어 있 다. 이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80)는 제3면(73)의 둘레 전체에 1개 배치되어 있고,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80)의 기능은 전술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들(40,6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면과 제2면이 곡면이고 그 테두리가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제1면과 제2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 등과 같은 곡선의 테두리를 가지는 평면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각형으로 1개 형성되어 있으나,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복수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2개 형성되어 있으나,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1개 형성되거나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모서리부 전체가 절삭날부로 형성되어 있으나, 각 모서리부의 일부에만 절삭날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제3면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나,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제3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3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3면이 곡면 또는 절곡된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절삭날부들이 제1면과 제3면들에 의해 형성된 모 서리부들 전체 및 제2면과 제3면들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들 전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제1면과 제3면들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들 전체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면과 제2면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구성된 절삭공구용 인서트가 개시되어 선삭가공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절삭공구용 인서트를 그 제1면과 제2면의 크기를 다르게 구성하여 밀링가공 등 다른 종류의 절삭가공에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가공시에 비록 치핑현상이 발생되더라도 본래의 의도대로 인서트의 나머지 절삭날부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인서트의 수명이 종래의 인서트에 비해서 증대되게 된다.
또한, 치핑현상에 의한 인서트의 파손이 절삭날부를 포함해서 제1면, 제2면 및 제3면에까지 발생되어 홀더의 안착면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절삭가공 중에 홀더와 피삭물이 접촉하여 홀더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홀더의 수명도 증대되게 되고, 홀더의 파손으로 인한 부가적인 비용이 발생되지도 않게 된다.

Claims (10)

  1. 절삭공구용 홀더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서로 동일한 다각형상을 가지며 두께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면 및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그 제1면 및 제2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3면들을 구비하는 인서트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3면들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에는 피삭물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날부를 구비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에 의한 상기 피삭물의 절삭시에 그 절삭날부에 치핑이 발생되는 경우에 그 치핑에 의해 상기 절삭날부에 발생된 균열이 상기 제2면과 제3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로 전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면과 함께 상기 절삭날부가 형성된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제3면에는, 그 제3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과 제3면들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에도 피삭물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날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제3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들 전체에 각각 상기 절삭날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면과 제3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들 전체에 각각 상기 절삭날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는 상기 제3면들 모두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본체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을 구비하며,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팅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3㎛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의 폭은 상기 인서트 본체의 두께의 3%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인서트 본체의 내접원의 직경의 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10. 절삭공구용 홀더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두께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면 및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그 제1면 및 제2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3면을 구비하는 인서트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3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에는 피삭물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날부를 구비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에 의한 상기 피삭물의 절삭시에 그 절삭날부에 치핑이 발생되는 경우에 그 치핑에 의해 상기 절삭날부에 발생된 균열이 상기 제2면과 제3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로 전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면과 함께 상기 절삭날부가 형성된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제3면에는, 그 제3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균열전파방지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인서트.
KR1020050000071A 2005-01-03 2005-01-03 절삭공구용 인서트 KR10065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71A KR100655639B1 (ko) 2005-01-03 2005-01-03 절삭공구용 인서트
PCT/KR2005/003963 WO2006073233A1 (en) 2005-01-03 2005-11-23 Cutting tool inse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71A KR100655639B1 (ko) 2005-01-03 2005-01-03 절삭공구용 인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27A KR20060079627A (ko) 2006-07-06
KR100655639B1 true KR100655639B1 (ko) 2006-12-11

Family

ID=3664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071A KR100655639B1 (ko) 2005-01-03 2005-01-03 절삭공구용 인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5639B1 (ko)
WO (1) WO2006073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6675B2 (en) * 2014-04-23 2022-07-05 Korloy Inc. Cutting tool having partially-removed film formed thereon
KR101537718B1 (ko) * 2014-04-23 2015-07-20 한국야금 주식회사 부분적으로 제거된 피막이 형성된 절삭공구
WO2018061355A1 (ja) * 2016-09-29 2018-04-05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工具
CN110480030B (zh) * 2018-05-15 2023-08-11 西安西玛电机有限公司 一种电机机座车削用双头刀具及采用该刀具加工电机机座的方法
CN113913729B (zh) * 2021-10-09 2022-11-22 阳江市高功率激光应用实验室有限公司 一种刀刃强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0703C2 (sv) * 1993-01-27 1994-08-15 Sandvik Ab Skär med ett urtag i anslutning till en vriden släppningsyta
IL109054A (en) * 1994-03-21 1998-07-15 Iscar Ltd Cutting insert
US5976707A (en) * 1996-09-26 1999-11-02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291607Y1 (ko) * 2002-06-29 2002-10-11 김영성 여유각이 형성된 절삭공구의 네가티브 인서트 팁
US6986866B2 (en) * 2002-11-04 2006-01-17 Kennamet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hole pressing to produce cutting inse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73233A1 (en) 2006-07-13
KR20060079627A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4212B2 (ja) フライス加工用インサート
CN102672216B (zh) 具有分离的切削刃尖和切屑控制结构的切削镶片
KR0175177B1 (ko) 밀링용 쓰로우어웨이팁 및 이를 이용한 밀링용 커터
JP5475808B2 (ja) 切削加工用の回転工具及び切削インサート
AU615202B2 (en) A coated cemented carbide tool
EP1123173B2 (en) Anti-rotation mounting mechanism for round cutting insert
WO2012014977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KR20110070802A (ko) 미세 밀링용 정면 밀
JP5196077B2 (ja) 切削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転削工具
JP2012006145A (ja) 旋削インサート
KR100999912B1 (ko) 기어 호빙 커터 시스템
JP6338204B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JP605245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KR102197363B1 (ko) 절삭 인서트
KR100655639B1 (ko) 절삭공구용 인서트
KR101281524B1 (ko)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와 밀링 공구
JP606600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CN114951719A (zh) 切削刀片
JP2004504163A (ja) 機械加工作業に使用されるブローチ
JP2009012118A (ja) 切削インサート
JP2006187813A (ja) 切削用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JP4119967B2 (ja) 刃先交換式回転工具
JP4043080B2 (ja) 正面フライス用の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US11458546B2 (en) Throwaway insert
JP2006082206A (ja) 被覆ドリルの刃先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