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800B1 - 고분자 액정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액정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800B1
KR100278800B1 KR1019930009680A KR930009680A KR100278800B1 KR 100278800 B1 KR100278800 B1 KR 100278800B1 KR 1019930009680 A KR1019930009680 A KR 1019930009680A KR 930009680 A KR930009680 A KR 930009680A KR 100278800 B1 KR100278800 B1 KR 10027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ymer
composition
monomer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용완
임승재
안혁준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3000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800B1/ko

Link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전극층을 가지는 두매의 유리판 또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기판 사이에 액정과 고분자 성분이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성분으로는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과 열경화용조성물을 혼합하여 액정과 함께 기판 사이에 주입하고, 이를 일차로 자외선 조사시켜 자외선 경화시키고, 이어 오븐등에서 이차로 열경화시켜 액정 고분자 복합체를 수득하는것이며, 이렇게 제조된 액정 고분자 복합체는 자외선 경화와 열경화에 의한 구동전압과 응답속도 사이의 상쇄효과에 의해 응답속도가 빨라지면서도 구동전압이 낮아 액정 디스플레이 특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고분자 액정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고분자 액정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 액정 혼합 조성물을 자외선 조사하고 이어 열경화시켜 구동전압이 낮으면서도 응답속도가 빠르고 특성이 양호한 고분자 액정 복합체를 제조 가능케 한 것이다.
종래 액정 표시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TN(Twisted Nematic)이나 STN(Super Twisted Nematic)은 편광판을 사용하므로 광의 이용효율이 적고, 표면 배향이 필요하여 화소 밀도가 높아지면 TFT(Thin Film Transistor)소자 주위의 배향처리가 어려워지게 되며, 시야각이 20°내외로 좁다. 이러한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고분자에 액정을 분산시킨 광산란 모드의 고분자 분산 액정 복합체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나 고분자 망형 액정 복합체 (PNLC:Polymer Network Liquid Crystal)가 등장하게 되었다.
PDLC는 전계를 인가하지 않은 경우 액정과 고분자의 굴절율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입사광의 산란에 의해 셀(cell)은 불투명하게 나타나고, 전계를 인가하면 액정이 전계 방향으로 배열하므로 셀은 투명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와같이 광의 산란 및 투과를 이용하는 원리에 따라 PDLC는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액정표시 소자보다 광의 이용효율이 높아 휘도가 좋으며, 시야각이 우수한 조광표시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PDLC는 기존 액정표시 소자보다 구동전압이 높아 100볼트 이내 범위에서 스위칭(switching)되기만 하면 이용할 수 있는 조광유리(switchable window)로의 이용은 가능하지만, 저전압 구동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로의 이용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PDLC기술로써 가장 먼저 발표된 것은 투명 고분자 수지에 액정을 분산시킨 방식이다(미국특허 제 4,435,047호). 이것은 젤라틴이나 아라비아 고무,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중에서 액정을 고르게 분산시킨후, 이를 전도성 물질인 ITO가 코팅하며 있는 유리판이나 폴리에스터 필름위에 5-20㎛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하며, 물을 증발시키고 또 다른 ITO코팅된 유리판이나 폴리에스터 필름을 그 위에 접착시켜 제조하는 방법이다.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체(PDLC)의 보다 발전된 또 다른 제조방법은 고분자와 액정 모노머의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는 상분리 제조 방법이다(미국특허 제 4,688,900호, 미국특허 제 4,685,771호). 이것은 투명 고분자 수지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에 액정 모노머를 용해 시킨뒤, 자외선이나 열에 의해 중합반응을 진행시킴에 따라 액정 모노머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액정 모노머가 드로프렛 형태로 석출되어 지는 원리로 제조하는 것이다.
투명 고분자 수지의 굴절율을 nM, 액정의 상광 굴절율을 n0, 이상광 굴절율을 nN라고 할때 전계를 인가하지 않은 경우 nM와 nN의 굴절율이 일치하지 않아 입사광이 산란되므로 필름은 불투명하게 나타나고, 전계를 인가하면 액정은 전계 방향으로 배열되므로 nO와 nM가 일치하게 되어 필름은 투명하게 나타난다.
PDLC가 고분자가 연속상이고 액정이 트로프렛을 형성하는 것과는 달리 PNLC는 액정이 연속상이고 고분자가 가교된 3차원적 그물 모양의 구조이며 액정과 고분자의 굴절을 의존성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PDLC와는 동작원리가 다르며(일본특개 평평 01-198725호), 일반적으로 구동전압도 PDLC 보다는 낮게 나타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막을 구동할 수 있는 구동 IC 범위 내에서 구동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응답속도, 히스테리시스, 전압유지율, 콘트라스트등의 특성이 우수해야 하고 기판과의 접착력도 우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최근 기판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외선(UV)중합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및 액정 혼합물을 완전히 경화되기 전까지는 광량만 조사하여 예비경화시킨 뒤 완전경화를 실시하여 기판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발표되었고(일본특개 평 04-349426호), 자외선 중합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및 액정 혼합물을 완전히 자외선 경화 시킨뒤 Tc(clearing temperature)이하에서 열처리하여 히스테리시스를 감소시키는 방법(일본특개 평 04-344614호)등이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서로 상쇄효과(Trade off) 관계에 있는 구동전압과 응답속도등의 물성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콘트라스트가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고분자 액정 복합체는 일반적으로 고분자와 액정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자외선으로 경화시키거나 열에 의해 경화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으로 경화 시키는 경우는 자외선 파장 영역에서 개시제가 라디칼로 되어 올리고머나 모노머의 중합을 진행시키므로서 고분자 성분에 대한 액정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액정 모노머가 트로프렛 형태로 석출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조사하는 자외선의 세기가 너무 강하면 고본자로의 중합반응이 너무 신속히 진행되어 모노머 및 올리고머에 녹아있던 액정 모노머들이 모두 석출되지 않을 수도 있어, 고분자 액정 복합체의 모포로지가 폴리머블 형태로 나타나서 히스테리시스가 커지며 구동전압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조사하는 자외선의 세기가 너무 약하면 중합에 필요한 충분한 광량을 조사시키더라도 석출되는 액정 드로프렛 크기가 너무 커서 구동전압은 낮지만 응답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한편 열에 의한 경화는 주로 에폭시 수지의 올리고머를 이용하여 액정 모노머 및 경화제와 균일하게 혼합한 후, 오븐등에서 경화하여 상분리 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자외선 경화 방법에 비해 기판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구동전압은 낮게 조절할 수 있으나 응답속도가 늦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자외선 경화 방법이나 열경화 방법은 모두 구동전압 및 응답속도 사이의 상쇄효과가 뚜렷하여 구동전압이 낮으면 응답속도가 느려지고, 응답속도가 빨라지면 구동전압이 높아지는 것을 알고, 자외선 경화와 열경화를 차례로 수행시켜 구동전압이 낮으면서도 응답속도를 빨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자외선 중합용 올리고머 및 모노머와 열경화용 올리고머를 기본적인 고분자 시스템으로 하여 액정 모노머와 균일하게 혼합하여 액정 표시소자용 기판 사이에 주입한뒤,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중합용 올리고머 및 모노머를 경화시키는 공정과, 오븐등에서 열중합용 올리고머를 경화 시키는 공정을 수행하여 구동전압과 응답속도의 상쇄효과가 감소하고 히스테리시스도 감소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판으로는 유리판 또는 폴리에스터필름등에 ITO (Indium Tin Oxide)가 투명전극으로 코팅된 것이 좋으며,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면적저항이 30Ω/□ 이하이면 더욱 좋다. 본 발명에서 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 사용하는 스페이서로는 알루미나, 봉형글라스파이버(rod type glass fiber), 글라스비드, 폴리머비드, 마이크로펄등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자외선 중합용 올리고머로는 방향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유도체등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중합용 모노머로는 스티렌 및 이의 유도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아밀, 2-에틸헥실, 옥틸, 노닐, 도데실, 이소데실, 라우릴, 헥사데실, 사이크로헥실, 벤질, 메톡시에틸, 에톡시에틸, 부톡시에틸, 페녹시에틸, 알릴, 메타알릴, 글리시딜,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디메틸아미노헥실, 디메틸아미노헥실, 이소보닐등과 같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틴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등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유도체등을 예시할 수 있다.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로 첨가되는 개시제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Merck사, Darocure1173),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Ciba-geigy사, Irgacure184),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Merck사, Darocure 1116), 벤질디메틸케탈(Ciba-Geygy사, Irgacure 651)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경화용 올리고머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비스페놀A를 중합하여 제조하는 에폭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페녹시글리시딜에폭시, 부톡시글리시딜에폭시, 디메틸아닐린디글리시딜에폭시,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유도체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열경화용 경화제로는 n-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헥실아민, 디에틸트리아민등의 아민류 및 이의 유도체와 티올계 경화제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고분자 혼합물(모노머 및 올리고머 포함)은 액정 고분자 복합체 전체중량에 대해 20-70중량 퍼센트로 첨가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70중량 퍼센트 이상이 되면 충분한 차광성이 없고 구동전압이 상승하며 20중량 퍼센트 이하가 되면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기판과의 접착성이 없어 셀 자체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분자 혼합물 조성은 크게 자외선 중합용 올리고머, 모노머 및 개시제의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과; 열경화용 올리고머 및 경화제의 열경화용 조성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지는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은 고분자혼합물만의 조성에 대해 10에서 95중량 퍼센트가 좋고 더욱 좋기로는 30에서 90중량 퍼센트, 가장 좋기로는 50에서 80중량 퍼센트가 바람직하다.
고분자 조성중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의 사용함량이 설정치 보다 많아지면, 열경화시 열경화용 올리고머의 중합반응이 진행되기 어려워 콘트라스트가 감소하고 기판과의 접착성이 떨어지며, 열경화용 조성물의 올리고머 사용함량이 많아지면 즉,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의 사용함량이 설정치보다 작아지면 응답속도가 늦어지고 히스테리시스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혼합물의 올리고머 점도가 높을경우 저점도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으며 이때 자외선 중합시의 제조온도는 Tc 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액정은 전압유지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자말단에 불소가 도입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시안기가 도입된 액정과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경우 말단에 시안기가 도입된 액정만 사용하면 구동전압과 응답속도의 상쇄효과가 더욱 감소하지만 전압유지율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말단에 불소기가 함유된 액정에 혼합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액정은 강유전성 액정을 포함할 수도 있는바, 이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막의 응답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구동전압과 응답속도의 상쇄효과를 더욱 감소시켜 동화상 표시에 유리한 액정 소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지는 액정모노머는 액정고분자복합체 전체조성에 대해 80-30중량 퍼센트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말단에 불소기가 도입된 액정모노머의 조정은 액정만의 조성에 대해 10에서 99.9중량 퍼센트가 좋고 더욱 좋기로는 30에서 99중량 퍼센트, 가장 좋기로는 50에서 95중량 퍼센트이다. 이경우 불소기가 도입된 액정모노머외의 액정모노머는 시안기가 도입된 액정모노머를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불소 치환된 액정모노머의 함량이 많아지면 응답속도가 늦어지고 콘트라스트가 감소하게 되며, 시안기가 도입된 액정모노머를 첨가하여 혼합할 경우 첨가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면 전압유지율이 감소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이용시 화상 구현에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액정모노머로는 강유전성 액정을 첨가할 수도 있으며 액정만의 함량에 대해 0.01에서 3중량 퍼센트를 첨가함이 바람직한바, 이는 함량이 많아지면 히스테리시스가 커지고 3중량퍼센트 이상이 되면 구동전압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자외선 중합용 개시제는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의 1-5중량 퍼센트를 이루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경화용 조성물중 경화제는 열경화용 올리고머에 대해 30-70중량 퍼센트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열경화성 조성물중에 경화제의 함량이 설정치보다 많아지면 최대투과도는 나빠지나 응답속도는 감소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의 액정모노머와 고분자 혼합물을 80-30중량 퍼센트와 20-70중량퍼센트 비율로 혼합하되, 고분자 혼합물로는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과 열경화성 조성물을 10-95:90-5의 비율로 첨가시키며, 액정모노머와 고분자혼합물을 혼합시켜, 투명전극층을 가지는 두매의 투명기판 사이에 주입하고, 이를 자외선 조사에 의해 자외선 중합 조성물을 1차 경화시키고, 이어 오븐등에서 열중합용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고분자 액정 복합체를 완성한다.
본 발명에서의 고분자 액정 복합체로 만들어 지는 액정표시 소자는 일반 TN이나 STN 액정표시소자와는 달리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광의 이용 효율이 좋아 휘도가 높고, 배향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가 간단하다. 또한 자외선 중합용 올리고머 및 모노머와 열경화용 올리고머를 기본적인 고분자 시스템으로 하여 액정 모노머와 균일하게 혼합한 뒤,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중합용 올리고머 및 모노머를 경화 시키고 오븐등에서 열중합용 올리고머를 경화시켜, 구동전압과 응답속도의 상쇄효과를 감소시키고 히스테리시스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액정 함량이 증가하더라도 기판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액정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말단에 불소로 치환된 액정 모노머를 사용하여 전압유지율이 높은 액정재료를 얻을 수 있고 자외선 경화와 열경화를 병행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구동전압과 응답속도의 상쇄효과를 감소 시킬 수 있으며, 강유전성 액정을 첨가하여 응답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로의 이용시 유리한 액정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액정 모노머와 고분자의 중량비를 70:30으로 조성하여 고분자 액정 복합체를 제조하되, 고분자 성분중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과 열경화용 조성물을 50:50으로 조성하였으며, 액정 모노머로는 말단에 불소기가 도입된 액정 모노머인 TL204(Merck사)와 말단에 시안기가 도입된 E-7(Merck사)과 강유전성 액정인 ZLI4655-000(Merck사)을 79.5:20:0.5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하였다.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로는 올리고머로 아로닉스(Aronix) M12000(동아합성화학)을 모노머로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69:29의 비율로 조성하였고 개시제로는 디로큐어 1173(Darocure 1173, Merck사)을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의 2중량 퍼센트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상기 열경화용 조성물로는 디글리시딜에테르계의 에폭시 수지인 MK107(ACI Japan Ltd,)을 열경화용 올리고머로, 캡큐어 3-800(Capcure 3-800, ACI Japan Ltd,)을 경화제로 하고 조성비는 50:50의 비율로 조성하였다.
상기 액정 모노머,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 및 열 경화용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액을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두께 10㎛로 조절한 투과율 86%, 면적저항 30Ω/□인 두매의 ITO코팅된 유리판 사이에 주입한다. 주입이 완료되면 365nm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을 10mW/cm2의 세기로 1분간 조사시켜 광경화 시킨뒤 50℃오븐에서 1시간 경화 시키고 70℃오븐에서 1시간 더 경화 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셀의 구동전압은 8V, 응답속도 30ms, 콘트라스트 150, 히스테리시스 0.45V, 전압유지율은 80%였다.
[실시예 2]
액정 모노머의 조성에서 강유전성 액정을 사용하지 않고 불소계 액정과 시안계 액정과의 비를 95:5로 변화시키는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셀의 구동전압은 10V, 응답속도는 34ms, 콘트라스트는 115, 히스테리시스는 0.36V, 전압유지율은 94%였다.
[실시예 3]
고분자 성분중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과 열 경화용 조성물의 비를 70:30으로 변화시키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셀의 구동전압은 7V, 응답속도는 32ms, 콘트라스트는 180, 히스테리시스는 0.30V, 전압유지율은 84%였다.
[실시예 4]
액정 모노머의 불소계 액정과 시안계 액정 및 강유전성 액정과의 비를 94.5:5:0.5로 변화 시키는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셀의 구동전압은 7V, 응답속도는 39ms, 콘트라스트는 160, 히스테리시스는 0.27V, 전압유지율은 95%였다.
[실시예 5]
액정 모노머와 고분자의 중량비를 80:20으로 조성하는것 이외의 다른 조성들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방법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셀의 구동전압은 6V, 응답속도는 49ms, 콘트라스트는 106, 히스테리시스는 0.44V, 전압유지율은 90%였다.
[비교예 1]
자외선 중합용 올리고머 및 모노머로된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과 액정 모노머의 중량비를 20:80으로 조성한 고분자 액정 복합체에서,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을 이루는 올리고머로는 아로닉스(Aronix) M1200을, 모노머로는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69:29의 비율로 조성하였고, 개시제로는 다로큐어 1173(Darocure 1173)을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에 대해 2중량 퍼센트 사용하였다. 또한 액정 모노머로는 말단에 불소기가 도입된 액정 모노머인 TL204와 말단에 시안기가 도입된 E-7을 액정성분의 80:20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하였다. 전체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액을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두께 10㎛로 조절한 투과율 86%, 면적저항 30Ω/□인 두매의 ITO코팅된 유리판 사이에 주입한다. 주입이 완료되면 365nm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을 15mW/cm2의 세기로 1분간 조사시켜 광경화 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셀의 구동전압은 7V, 응답속도는 73ms, 콘트라스트는 80, 히스테리시스는 0.37V, 전압유지율은 85%였다.
[비교예 2]
액정 모노머의 조성에서 불소계 액정과 시안계 액정과의 비를 95:5로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셀의 구동전압은 9V, 응답속도는 75ms, 콘트라스트는 73, 히스테리시스는 0.31V, 전압유지율은 93%였다.
[비교예 3]
열경화용 올리고머 및 경화제로 된 열경화용 조성물과 액정 모노머의 중량비를 40:60으로 조성한 고분자 액정 복합체에서, 열경화용 조성물로는 디글리시딜에테르계의 에폭시 수지인 MK107을 열경화성 올리고머로, 캡큐어 3-800(Capcure 3-800)을 경화제로 하고, 그 조성비는 50:50의 비율로 조성하였다. 액정 모노머로는 말단에 불소기가 도입된 액정 모노머인 TL204와 말단에 시안기가 도입된 E-7을 액정성분에 대해 80:20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하였다. 상기 열경화용 조성물과 액정 모노머를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액을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두께 10㎛로 조절한 투과율 86%, 면적저항 30Ω/□인 두매의 ITO코팅된 유리판 사이에 주입한다.
주입이 완료되면 50℃오븐에서 1시간 경화시키고 70℃오븐에서 1시간 더 경화 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셀의 구동전압은 11V, 응답속도는 80ms, 콘트라스트는 300, 히스테리시스는 0.80V, 전압유지율은 75%였다.
[비교예 4]
액정 모노머의 조성에서 불소 치환된 액정을 사용하지 않고 말단이 시안기로 치환된 액정인 E-7만 사용하는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셀의 구동전압은 5V, 응답속도는 95ms, 콘트라스트는 100, 히스테리시스는 0.95V, 전압유지율은 45%였다.

Claims (8)

  1. 투명전극이 코팅된 두매의 기판사이에 액정과 고분자를 분산시켜 구성되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에 있어서, 고분자 수지는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과 열경화성 조성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은 자외선 중합용 올리고머, 모노머 및 개시제로 이루어지며 자외선 중합용 올리고머는 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유도체이며, 모노머는 스티렌 및 이의 유도체 또는 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열 경화성 올리고머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며, 열경화성 올리고머는 에폭시 이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고분자 수지는 전체 고분자 액정 복합체에 대해 20-70중량%이고 고분자 수지중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 100중량%에 대해 10-9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액정 모노머는 말단에 불소기가 도입된 불소계 액정과 말단에 시안기가 도입된 시안계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액정모노머는 말단에 불소기가 도입된 불소계 액정, 말단에 시안기가 도입된 시안계 액정 및 강유전성 액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강유전성 액정은 전체 액정 모노머에 대해 0.01-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
  8. 투명 전극이 코팅된 두매의 기판사이에 액정 모노머, 고분자 성분으로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과 열경화성 조성물을 함께 혼합하여 주입하고, 이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중합용 조성물을 중합 시킨뒤 열을 가하여 열경화성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액정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9930009680A 1993-05-31 1993-05-31 고분자 액정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7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680A KR100278800B1 (ko) 1993-05-31 1993-05-31 고분자 액정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680A KR100278800B1 (ko) 1993-05-31 1993-05-31 고분자 액정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8800B1 true KR100278800B1 (ko) 2001-01-15

Family

ID=7189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680A KR100278800B1 (ko) 1993-05-31 1993-05-31 고분자 액정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8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847B1 (ko) 2005-05-24 2007-10-31 소프트픽셀(주) 액정 마이크로 셀 패널 제조방법 및 정보 디스플레이에의 적용방법
US7494926B2 (en) 2004-07-20 2009-02-24 Samsung Corning Co., Ltd. Method for forming highly conductive metal pattern on flexible substrate and EMI filter using metal pattern formed by the method
KR101212404B1 (ko) * 2010-10-14 2012-12-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필름
KR20150000923A (ko) * 2013-06-25 2015-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고분자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961B1 (ko) * 2013-10-10 2015-05-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액정필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보안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0613A (ja) * 1991-01-24 1992-08-27 Seiko Epson Corp 液晶電気光学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0613A (ja) * 1991-01-24 1992-08-27 Seiko Epson Corp 液晶電気光学素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4926B2 (en) 2004-07-20 2009-02-24 Samsung Corning Co., Ltd. Method for forming highly conductive metal pattern on flexible substrate and EMI filter using metal pattern formed by the method
KR100771847B1 (ko) 2005-05-24 2007-10-31 소프트픽셀(주) 액정 마이크로 셀 패널 제조방법 및 정보 디스플레이에의 적용방법
KR101212404B1 (ko) * 2010-10-14 2012-12-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필름
KR20150000923A (ko) * 2013-06-25 2015-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고분자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48472B1 (ko) * 2013-06-25 2020-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고분자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961B1 (ko) * 2013-10-10 2015-05-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액정필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보안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897B1 (ko) 액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57886B1 (ko) 고분자 액정 복합체
JP7120013B2 (ja) 液晶デバイス用材料および液晶デバイス
KR100278800B1 (ko) 고분자 액정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3030973B2 (ja) 液晶表示デバイス
JP2725283B2 (ja) 液晶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7894B1 (ko) 고분자 액정 복합체
KR100285540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체
JP3401680B2 (ja) 液晶デバイス
KR100257891B1 (ko) 고분자 액정 복합체
KR100300952B1 (ko) 고분자분산액정복합체및이를사용한액정표시장치
KR100355280B1 (ko) 액정표시소자
JPH0391718A (ja) 液晶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3010778B2 (ja) 液晶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H0228284A (ja) 液晶デバイス
JPH0286689A (ja) 液晶デバイス
KR100329662B1 (ko) 고분자분산형액정복합체및그제조방법과그를함유한액정표시소자
JPH0253023A (ja) 液晶デバイス
JPH0229487A (ja) 液晶デバイス
JPH02202986A (ja) 液晶デバイス
JPH0273882A (ja) 液晶デバイス
JPH0253022A (ja) 液晶デバイス
JPH03126915A (ja) 液晶表示器
JPH0228292A (ja) 液晶デバイス
JPH03282426A (ja) 液晶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