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132B1 - 초크코일 - Google Patents

초크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132B1
KR100278132B1 KR1019970067151A KR19970067151A KR100278132B1 KR 100278132 B1 KR100278132 B1 KR 100278132B1 KR 1019970067151 A KR1019970067151 A KR 1019970067151A KR 19970067151 A KR19970067151 A KR 19970067151A KR 100278132 B1 KR100278132 B1 KR 10027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re
choke coil
bobbi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961A (ko
Inventor
다카아키 오오이
고이치 야마구치
다츠유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6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7/00Fixed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1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상모드 인덕턴스 성분을 고효율로 얻는 초크코일에 관한 것이다. 이 초크코일은, 개략적으로 보빈(bobbin), 자성체 코어(magnetic core) 및 한 쌍의 권선(windings)으로 구성된다. 이 보빈은 코어부(core portion), 및 이 코어부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플랜지(flange)로 구성된다. 이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의 선단부는, 자성체 코어 근방에 위치되며, 코어부의 양단부에 설치된 다른 플랜지의 선단부보다 길게 연장한다.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의 선단부에는 자성체 코어를 수용하는 홀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초크코일
본 발명은 초크코일, 특히 전자기구에 발생하거나 투입되는 노이즈를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광범위한 초크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통모드 초크코일(common mode choke coil)은, 정상모드(normal mode)에서 약간의 누설 인덕턴스 성분(leakage inductance component)을 가지므로, 공통모드 노이즈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정상모드 노이즈에 대해서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정상모드 노이즈가 너무 강하면, 이러한 정상모드 노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정상모드 초크코일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공통모드 노이즈 및 정상모드 노이즈의 양자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초크코일을 제안하고 있다. 이 초크코일은, 자성체 보빈(magnetic bobbin) 100, 한 쌍의 권선(winding) 105, 106, 및 자성체 코어 110으로 구성된다. 이 자성체 보빈 100은 코어부(core portion) 101 및 이 코어부 101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flange) 102, 103, 104를 구비하고 있다. 권선 105, 106은 코어부 101 주위를 감고 있다. 자성체 코어 110의 한 측은 코어부 101의 홀(hole) 101a에 삽입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초크코일에서, 한쌍의 권선 105, 106에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가 흐르게 되어, 권선 105, 106 각각에 자속이 생긴다. 발생된 자속 세트는 합해져서, 자성체 코어 110 내부에서 와전류손(eddy current loss)의 형태로 열에너지로 변환된 다음에 감쇠된다. 그 결과, 공통모드 노이즈가 저하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권선 105, 106에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가 흐르게 되어, 각 권선 105, 106에 자속이 생긴다. 발생된 자속은 자성체 보빈 100 내부에서 와전류손의 형태로 열에너지로 변환된 다음에 감쇠된다. 그 결과, 정상모드 노이즈가 억제된다.
인지된 종류의 상기한 초크코일에서, 코어부 101의 실질적인 외주 전 영역의 주위를 권선 105, 106으로 감으므로, 권선 105와 106 사이의 절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플랜지 104의 두께를 두껍게 한다. 예를 들면, 플랜지 104의 노출면을 따라서 권선 105의 한 단면으로부터 권선 106의 한 단면까지의 거리 L이 3.2㎜를 확보할 수 있도록, 플랜지 104의 두께를 설정한다. 따라서, 보빈 100의 플랜지 102, 103, 104의 높이 T는 어떠한 특정한 고려없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이 플랜지들의 높이 T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초크코일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104의 선단부와 자성체 코어 110 사이의 갭 D가 비교적 크다. 따라서,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의 흐름으로 발생된 자속이, 자성체 코어 110을 거의 관통하지 않게 되어, 자성체 코어 110을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의 흐름으로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 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종래의 초크코일은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을 얻는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을 고효율로 얻을 수 있는 초크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크코일은, (a) 홀이 설치된 코어부 및 이 코어부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플랜지로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체 부재로 형성된 보빈; (b)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면 주위를 감고 있는 한 쌍의 권선; 및 (c) 상기한 코어부에 설치된 홀에 삽입되는 자성체 코어를 포함하며, (d) 상기한 자성체 부재로 형성된 보빈의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의 선단부는, 상기한 자성체 코어 근방에 위치되며, 보빈의 코어부의 양단부에 설치된 다른 플랜지의 선단부보다 길게 연장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초크코일에서, 보빈의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는, 자성체 코어의 횡단면의 외주면과 20% 이상 면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보빈의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는, 돌기, 오목부, 또는 자성체 코어 근방에서 플랜지의 선단부에 위치된 홀을 구비하며, 상기한 돌기, 상기한 오목부 및 상기한 홀은 상기한 자성체 코어와 면하고 있다. 또한, 적어도 자성체 코어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을 제외하고 보빈의 플랜지의 외주면에 자성체 커버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 자성체 커버 및 보빈의 자성체 부재로 폐자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한 쌍의 권선에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가 흐르게 되어, 각 권선에 자속이 생긴다. 이 자속의 두 세트는 합해져서, 자성체 코어 내부에서 와전류손의 형태로 열에너지로 변환된 다음에 감쇠된다. 따라서,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는 저하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권선에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가 흐르게 되어, 각 권선에 자속이 발생한다. 발생된 자속은 자성체 보빈 내부에서 와전류손의 형태로 열에너지로 변환된 다음에 감쇠된다. 따라서,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는 억제된다.
또한, 보빈의 코어부의 중앙부에 플랜지 선단부는 자성체 코어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그들 사이의 갭은 따라서 이전의 초크코일보다 작게 된다. 이것은,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의 흐름으로 발생된 자속이 자성체 코어를 용이하게 관통하게 한다. 따라서, 자성체 코어를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 뿐만 아니라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도 상당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성체 커버 및 보빈의 자성체 부재에 의해 폐자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발생된 자속이 부분적으로 폐자로 주위를 순환하게 되어,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이 또한 증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초크코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크코일의 전기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초크코일로 공통모드의 노이즈를 억제하는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A는 자기 회로도이며; 도 4B는 전기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초크코일로 정상모드의 노이즈를 억제하는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A는 자기 회로도이며; 도 5B는 전기등가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따른 초크코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에 따른 초크코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에 따른 초크코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정상모드 전류에 의해 발생되어 자극된 자속의 분포도이며: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초크코일의 자속 분포도이며; 도 9B는 이전의 초크코일의 자속 분포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구현예에 따른 초크코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초크코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ⅩⅡ-Ⅹ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초크코일 2 : 보빈
3 : 자성체 코어 5, 6 : 권선
21 : 코어부 22, 23, 24 : 플랜지
22a, 23a, 24a : 25 : 홀
41, 51, 61, 71 : 초크코일 44, 54, 64 : 플랜지
44a, 54a, 64a : 선단부 45 : 돌기
55 : 오목부 75 : 자성체 커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크코일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 구현예에서, 동일한 부품 및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제 1 구현예: 도 1∼도 5]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초크코일 1은 개략적으로 보빈 2, 자성체 코어 3 및 권선 5, 6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빈 2는 코어부 21, 및 이 코어부 21의 각 양단부와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 22, 23, 24를 구비하고 있다. 코어부 21의 좌측 외주면 주위에는 권선 5가 감겨 있으며, 코어부 21의 우측 외주면 주위에는 권선 6이 감겨 있다. 플랜지 24에 의해 권선 5와 6이 분할되어 있다. 제 1 구현예에서, 코어부 21의 홀 21a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이며, 플랜지 22, 23, 24의 형상도 또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지만, 꼭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보빈 2의 재료로는, 비유자율이 1 이상(예를 들면 2∼수십)의 자성체 재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Ni-Zn 또는 Mn-Zn계의 페라이트 분말과 수지 바인더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랜지 24에서 자성체 코어 3측에 근접하게 위치된 선단부 24a는, 다른 플랜지 22, 23의 선단부 22a, 23a 보다 길게 연장하며, 선단부 24a에는 자성체 코어 3을 수용하는 홀 25가 설치된다.
자성체 코어 3은, 모서리가 있는 U자형의 자성체 부재 32, 33을 코어부 21의 홀 21a와 플랜지 24의 홀 25에 각각 삽입하며, 자성체 부재 32, 33을 서로 인접시켜, 속이 빈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자성체 부재 32, 33은 접착제 또는 바니시(varnish) 등의 수단으로 고정된다. 자성체 코어 3과 홀 25 사이의 갭은 2.0㎜ 이하로 설정한다. 이 갭이 2.0㎜을 초과하면,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의 흐름으로 발생된 자속이 자성체 코어 3을 용이하게 관통하는 효과가 저하된다. 상기한 갭을 바람직하게 0.3∼0.5㎜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효과가 보더 더 강화되며 안정화된다. 자성체 코어 3의 재료로는, 비유자율이 수천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페라이트 또는 비결정질의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은 초크코일 1에서, 플랜지 24의 선단부 24a가 자성체 코어 3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플랜지 24의 선단부 24a와 자성체 코어 3과의 사이의 갭은 인지된 종류의 초크코일과 비교하여 작다. 이것은,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이 플랜지 24의 선단부 24a를 통해 자성체 코어 3을 용이하게 관통하게 한다. 따라서, 자성체 코어 3은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서 뿐만 아니라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큰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을 효율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한 초크코일 1, 즉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초크코일 1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초크코일 1의 전기 등가회로도이다.
초크코일 1의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를 억제하는 작용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크코일 1은 전원 30과 전기기구 등의 부하 31과의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원 30과 접지와의 사이에 부유용량(stray capacitance) C1이 발생하며, 부하 31과 접지와의 사이에 부유용량 C2가 발생한다. 각 신호선에 도 4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 i1, i2가 흐를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 5, 6에 두 세트의 자속 ψ1, ψ2가 발생한다. 두 세트의 자속 ψ1, ψ2는 합해져서 자성체 코어 3에 형성된 폐자로 주위를 순환하면서 점차적으로 감쇠된다. 이것은, 두 세트의 자속 ψ1, ψ2가 와전류손의 형태로 열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 i1, i2가 감쇠된다.
다음으로, 초크코일 1의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를 억제하는 작용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 i3가 도 5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두 신호선에 흐를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 5, 6에 두 세트의 자속 ψ3, ψ4가 발생한다. 두 세트의 자속 ψ3, ψ4는 와전류손의 형태로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보빈 2 및 자성체 코어 3에 의해 형성된 폐자로 주위를 순환하면서 점차적으로 감쇠된다. 따라서,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 i3가 억제된다.
[제 2, 제 3 및 제 4 구현예: 도 6∼도9]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각 초크코일 41, 51 및 61은 플랜지 44, 54, 64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제 1 구현예의 초크코일 1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제 2 구현예의 초크코일 41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44의 선단부 44a에 자성체 코어 3과 면하고 있게 돌기 45를 설치한다. 이 돌기 45의 설치로 인하여, 플랜지 44의 선단부 44a는 다른 플랜지 22, 23의 선단부 22a, 23a 보다 자성체 코어 3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돌기 45의 폭 X는, 돌기 45가 자성체 코어 3의 횡단면의 외주면과 20% 이상 면하고 있도록 설정된다. 돌기 45의 폭 X, 자성체 코어 3과 면하고 있는 플랜지 44의 길이가 자성체 코어 3의 횡단면의 외주면의 20% 미만이면,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이 자성체 코어 3을 용이하게 통과하는 효과가 저하된다. 구체적으로, 자성체 코어 3과 돌기 45 사이의 갭은 2.0㎜ 이하로 설정된다.
이러한 배열로,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은 돌기 45를 통해자성체 코어 3을 보다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성체 코어 3을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 뿐만 아니라,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큰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을 효율적으로 얻는 초크코일 41을 제공할 수 있다.
제 3 구현예의 초크코일 51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 코어 3에 근접하게 배치된 플랜지 54의 선단부 54a가, 다른 플랜지 22, 23의 선단부 22a, 23a보다 길게 연장하며, 선단부 54a에는 자성체 코어 3과 면하고 있는 오목부 55가 설치된다. 오목부 55와 자성체 코어 3과의 사이의 갭은 2.0㎜ 이하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오목부 55가 자성체 코어 3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플랜지 54의 선단부 54a와 자성체 코어 3과의 사이의 갭은, 종래의 초크코일에 비해 작게 된다.
이것은,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을 플랜지 54의 선단부 54a를 통해 자성체 코어 3을 용이하게 관통하게 한다. 따라서, 자성체 코어 3을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 뿐만 아니라,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큰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을 고효율로 얻는 초크코일 41을 제공할 수 있다.
제 4 구현예의 초크코일 61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 코어 3에 근접하게 배치된 플랜지 64의 선단부 64a가, 다른 플랜지 22, 23의 선단부 22a, 23a보다 길게 연장하게 되어, 선단부 54a는 자성체 코어 3과 면하게 된다. 선단부 64a와 자성체 코어 3과의 사이의 갭은 2.0㎜ 이하로, 종래의 초크코일 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것은,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이 플랜지 64의 선단부 64a를 통해 자성체 코어 3을 용이하게 관통하게 한다. 따라서, 자성체 코어 3을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 뿐만 아니라,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큰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을 상당히 효율적으로 얻는 초크코일 41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a는 제 4 구현예의 초크코일 61에서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발생되어 자극된 자속을 도시하는 분포도이다. 인지된 초크코일의 대응부는 비교하여 도시된다. 도 9a 및 도 9b는 제 4 구현예의 초크코일 61이 종래의 초크코일과 비교하여 약 2배의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을 얻는다는 것을 도시한다.
[제 5 구현예: 도 1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구현예의 초크코일 71은, 자성체 커버 75의 설치를 제외하고는 제 1 구현예의 초크코일 1과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자성체 커버 75는 횡단면이 U자 형상이며, 자성체 코어 3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된다. 자성체 커버 75의 오목 형상의 굴곡면 76은, 보빈 2의 플랜지 22, 23, 24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보빈 2와 자성체 커버 75에 의해 폐자로를 형성한다. 자성체 커버 75의 재료로는, 보빈 2와 동일하게 비유자율이 1 이상인 자성체 재료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초크코일 71에서,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발생된 두 세트의 자속 ψ3, ψ4는 부분적으로 와전류손의 형태로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보빈 2 및 자성체 커버 75에 의해 형성된 폐자로 주위를 순환하면서, 점차적으로 감쇠된다. 따라서,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를 한층 더 효율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
본 발명의 초크코일은 상기의 구현예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 전체를 자성체 재료로만 제작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구현예들에서 보빈을 자성체 분말과 수지 바인더를 혼합한 재료 뿐만 아니라 페라이트 코어, 더스트 코어(dust core) 등의 소정의 형상을 갖은 자성체 부재를 수지에 삽입성형한 재료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보빈의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의 선단부는, 자성체 코어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보빈의 코어부의 양단부에 설치된 다른 플랜지의 선단부 보다 길게 연장한다. 따라서,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의 선단부와 자성체 코어와의 사이의 갭은, 종래의 초크코일 보다 작게 된다. 이것은,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의 흐름으로 발생된 자속이 자성체 코어를 용이하게 관통하게 한다. 따라서, 자성체 코어를 공통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 뿐만 아니라 정상모드 노이즈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속의 자로로도 상당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큰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을 고효율로 얻게 되는 초크코일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성체 커버를 폐자로를 형성하기 위해 보빈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정상모드의 인덕턴스 성분이 한층 더 증가하게 된다.

Claims (4)

  1. 홀이 설치된 코어부(core portion), 및 상기한 코어부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플랜지(flange)로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체 부재로 형성된 보빈(bobbin);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면 주위를 감고 있는 한 쌍의 권선(windings); 및
    상기한 코어부에 설치된 홀에 삽입되는 자성체 코어를 포함하는 초크코일로서,
    상기한 자성체 부재로 형성된 상기한 보빈의 상기한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플랜지의 선단부는, 상기한 자성체 코어 근방에 위치되며, 상기한 보빈의 상기한 코어부의 양단부에 설치된 다른 플랜지의 선단부보다 길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크코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빈의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상기한 플랜지는, 상기한 자성체 코어의 횡단면의 외주면과 20% 이상 면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초크코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빈의 코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상기한 플랜지는, 돌기, 오목부, 또는 상기한 자성체 코어 근방에서 상기한 플랜지의 선단부에 위치된 홀을 구비하며, 상기한 돌기, 상기한 오목부 및 상기한 홀은 상기한 자성체 코어와 면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초크코일.
  4.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한 자성체 코어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한 보빈의 플랜지의 외주면에 자성체 커버를 설치하며, 상기한 자성체 커버 및 상기한 보빈의 자성체 부재로 폐자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크코일.
KR1019970067151A 1996-12-09 1997-12-09 초크코일 KR100278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28543 1996-12-09
JP8328543A JP3063653B2 (ja) 1996-12-09 1996-12-09 チョークコイ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961A KR19980063961A (ko) 1998-10-07
KR100278132B1 true KR100278132B1 (ko) 2001-02-01

Family

ID=1821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151A KR100278132B1 (ko) 1996-12-09 1997-12-09 초크코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94992A (ko)
JP (1) JP3063653B2 (ko)
KR (1) KR100278132B1 (ko)
CN (1) CN1097832C (ko)
MY (1) MY122025A (ko)
TW (1) TW3622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269B1 (ko) 2011-03-04 2012-10-1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크코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2346B1 (en) 2000-01-25 2002-10-29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Photocatalytic nuisance organism inhibitor agents
TW413825B (en) 1998-07-01 2000-1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ne filter
JP4684526B2 (ja) * 2002-12-27 2011-05-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ョークコイルを用いた回路
EP2979282A1 (en) * 2013-03-29 2016-02-03 Koninklijke Philips N.V. Multiple inductive component
JP6942963B2 (ja) * 2017-01-12 2021-09-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載用流体機械
CN108899156B (zh) * 2018-06-28 2020-06-09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一种磁性元件的铁芯组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205B2 (ja) * 1989-07-24 1996-06-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ンス部品
DE69429551T2 (de) * 1993-03-12 2002-06-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etzfilter
JP3099606B2 (ja) * 1993-10-07 2000-10-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ョークコイル
JP3064853B2 (ja) * 1995-02-03 2000-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ョークコイル
TW283780B (ko) * 1995-02-03 1996-08-21 Murata Manufacturing C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269B1 (ko) 2011-03-04 2012-10-1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크코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2221B (en) 1999-06-21
MY122025A (en) 2006-03-31
CN1097832C (zh) 2003-01-01
KR19980063961A (ko) 1998-10-07
US5994992A (en) 1999-11-30
JPH10172842A (ja) 1998-06-26
CN1185011A (zh) 1998-06-17
JP3063653B2 (ja) 200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948B1 (ko) 초크 코일
KR100232755B1 (ko) 공통 모드 노이즈와 정상 모드 노이즈를 제거하는 초크 코일
US5629661A (en) Choke coil for eliminating common mode noise and normal mode noise
US6002319A (en) Inductance device with gap
KR100212389B1 (ko) 초크 코일
KR100278132B1 (ko) 초크코일
KR100758016B1 (ko) 인버터 트랜스포머
US4739294A (en) Device comprising a core consisting of parts of amorphous ferromagnetic metal and parts of non-amorphous ferromagnetic material
JP3106892B2 (ja) チョークコイル
KR100232754B1 (ko) 공통-모드 노이즈 및 정상-모드 노이즈를 제거하는 초크 코일
JP4008403B2 (ja) コア、ボビン及び搭載基板
JP4453444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580061B2 (ja) チョークコイル
JPH0520310U (ja) 電磁装置
JP3097484B2 (ja) チョークコイル
US5418513A (en) Transformer core in transformer circuit
JP3063557B2 (ja) チョークコイル
JP3085122B2 (ja) チョークコイル
JP2507804Y2 (ja) トランス装置
JP3316008B2 (ja) トランスおよび電源装置
JP2003224012A (ja) 巻線型コイル
JP3480207B2 (ja) チョークコイル
JPH05144647A (ja) トランス用コア
JPH0742508U (ja) コイル部品
JPS6184804A (ja) 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