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967B1 -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 Google Patents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967B1
KR100277967B1 KR1019970080274A KR19970080274A KR100277967B1 KR 100277967 B1 KR100277967 B1 KR 100277967B1 KR 1019970080274 A KR1019970080274 A KR 1019970080274A KR 19970080274 A KR19970080274 A KR 19970080274A KR 100277967 B1 KR100277967 B1 KR 10027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ux
yoke
bobbin
optical
pickup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056A (ko
Inventor
김석중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9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9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광 자기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이송 가능하도록 베이스가 구비되고, 베이스의 상부면에는 홀더 및 한 쌍의 요크가 장착되고, 요크에는 트랙 방향의 자속밀도값을 높이기 위한 "ㄷ"형상의 마그네트가 요크의 내주면 및 양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며, 요크의 바깥면에는 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속 중 누설자속을 차단하는 자속 차단판이 부착됨으로써, 트랙 방향의 주변부분 자속밀도값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이에 따라 가동부의 변화폭이 작아짐은 물론 가동부의 무게중심과 힘중심이 일치되어 엑추에이터의 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본 발명은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회로의 구조를 개선하여 트랙킹 방향으로 자속밀도 분포의 균일성을 확보함은 물론 트랙 구동에 대해 변화폭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은 광 자기 디스크의 반경반향으로 직선왕복 이송하면서 반도체 레이저빔을 디스크의 기록면에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재생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광픽업의 대물렌즈를 광 자기 디스크에 대해 포커싱 및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종래의 엑추에이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10)의 상부면 일측에는 홀더(12)가 고정나사(14)에 의해 고정되고, 홀더(12)의 일측에는 "∪"자 형상의 한 쌍의 요크(16)가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각 요크(16)의 일측에는 마그네트(18)가 부착되지 않고 보빈(20)이 삽입된다.
요크(16)들의 사이에는 1자유도계로 운동하는 가동부가 배치되며, 이 보빈(20)에는 그 양측에 요크(16)에 의해 삽입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삽입공(20a)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반도체 레이저 빔을 집광하여 디스크의 기록면에 조사하기 위한 대물렌즈(26)가 장착되고, 그 전 후면과 양측면에 상기 대물렌즈(26)를 중심으로 포커스 코일(22) 및 트랙 코일(24)이 각각 권선된다. 이 보빈(20)과 홀더(12)에는 판 스프링(28)의 일끝이 각각 연결된다.이 가동부는 요크(16)에 삽입되어 포커싱 및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하는 보빈(20)과 이 보빈(20)의 전후면과 양면에 각각 권선되는 포커스 및 트랙코일(22)(24) 그리고, 보빈(20)의 중앙에 장착되어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반도체 레이저빔을 집광하여 디스크의 기록면에 조사하기 위한 대물렌즈(26)로 된다.
보빈(20)에는 마그네트(18)가 부착되지 않은 요크(16)에 삽입되도록 직사각형의 삽입공(20a)이 대물렌즈(26)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보빈(20)과 홀더(12)에는 가동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판 스프링(28)의 일끝이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엑추에이터는, 보빈(20)에 형성된 삽입공(20a)에 마크네트(18)가 부착되지 않은 요크(16)를 삽입한 다음, 보빈(20)과 홀더(12)를 판 스프링(28)으로 각각 연결하여 보빈(20)이 베이스(10)에 대해 일정한 갭(gap)을 갖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마그네트(18)와 포커스코일(22)은 이들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됨으로써 상호 이격된다.
그 후, 엑추에이터를 구동시켜 광 자기 디스크에/로부터 정보를 기록재생할 경우에는, 베이스(10)를 디스크의 반경반향으로 직선왕복 이송시킴과 동시에 보빈(20)의 전후면과 양측면에 권선된 포커스 코일(22) 및/또는 트랙코일(24)에 전류를 인가하면, 이들의 코일(22)(24)과 상호 작용하는 요크(16) 내측면에 부착된 마그네트(18)에서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보빈(20)이 포커싱 및 트랙킹 방향으로 병진운동을 한다.
즉, 대물렌즈(26)를 포함한 보빈(20)이 홀더(12)에 일끝이 연결되는 판 스프링(28)에 의해 1자유도계 운동으로 구동하면서 디스크의 기록면과 트랙으로 위치가 조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요크의 내측면에 직사각형으로 된 마그네트(18)가 부착됨에 따라서 마그네트의 가장자리에서 누설자속이 발생되므로 트랙킹 방향의 주변부분 자속밀도 분포가 불균일하여 대물렌즈를 포함한 보빈(20)의 변동폭이 커질 뿐만 아니라, 도 3에서와 같이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하는 상태에서 포커스 방향으로 구동할 때 힘의 불균형이 발생되어 구동력의 중심이 이동되므로 가동부의 무게중심과 힘중심이 일치되지 않게되고, 이로 인해 부공진과 보빈의 회전량 크기가 증가되어 엑추에이터의 동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 배속이 증가된 디스크에 적합하게 광픽업을 고속으로 전송시킬 수 없고, 이에 따라 엑추에이터의 교류감도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그네트의 크게 제작하여 자속밀도 증가시키거나 또는 포커스 코일 및 트랙코일의 권선수를 늘려 교류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보빈의 형상 또는 무게의 변화를 유발시킴은 물론 광픽업을 박형화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크에 부착되는 마그네트의 형상을 변경하고, 마그네트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누설자속을 차단함으로써, 트랙 방향의 주변부분 자속밀도값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동부의 변화폭이 작아짐은 물론 가동부의 무게중심과 힘중심이 일치되어 엑추에이터의 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픽업 엑추에이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광픽업 엑추에이터에서 트랙방향 자속밀도를 도시한 분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픽업 엑추에이터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픽업 엑추에이터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에서 트랙방향 자속밀도를 도시한 분포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홀더 20 : 보빈
22,24 : 포커스 및 트랙코일 26 : 판 스프링
28 : 대물렌즈 50 : 베이스
52 : 요크 54 : 마그네트
56 : 자속 차단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 픽업 엑추에이터는, 광원에서 방사된 광을 기록매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를 중심으로 포커스 코일 및 트랙 코일이 각각 권선된 보빈; 상기 각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보빈을 상대적으로 구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보빈의 양측에 각각 일측만 삽입되는 한 쌍의 U자형 요크; 상기 요크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부착되어 자속밀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트랙킹 방향의 자속 분포를 균일하게 형성시키는 자속분포 균일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속밀도 증대수단은 상기 요크의 내주면 및 양면을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트랙 방향의 자속밀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ㄷ"자 형상의 마그네트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속분포 균일화수단은 상기 요크의 타측의 내측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는 "ㄷ"자 형상의 마그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엑추에이터를 도시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광 자기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이송 가능한 베이스(50)가 구비되며, 베이스(50)의 상부면에는 홀더(12)가 고정나사(14)로 고정되고, 홀더(12) 일측에는 일정간극으로 이격된 한 쌍의 요크(52)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U자형 요크(52)의 타측의 내측면에는 자속밀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속밀도 균일화수단이 부착되고 U자형 요크(52)의 타측의 외측면에는 자속분포 균일화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자속 중에서 누설자속을 차단할 수 있도록 누설자속 차단수단이 마련되며, 한 쌍의 요크(52) 사이에는 1자유도계로 운동하는 가동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보빈(20)이 배치된다.
상기 보빈(20)은 자속분포 균일화수단이 부착되지 않은 요크(52)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그 양측에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삽입공(20a)과, 그 중앙에 장착되어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디스크의 기록면에 집광하는 대물렌즈(28)와, 그 전후면 및 양측면에 각각 권선되는 포커스 코일(22)과 트랙 코일(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12)와 보빈(20)에는 1자유도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판 스프링(28)의 일끝이 각각 연결된다.
자속분포 균일화 수단은 상기 요크(52)의 타측의 내측면 및 양측면을 감싸도록 부착되어 자기회로 내의 자속밀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트랙킹 방향으로 자속분포를 균일하게 형성시키기 위한 "ㄷ"자 형상의 마그네트(54)이다.
누설자속 차단수단은 요크(52)의 타측의 외측면으로 누설되는 누설자속을 차단하여 트랙 방향의 주변부분 자속밀도를 높이기 위한 자속 차단판(56)이며, 이 자속 차단판(56)은 요크(16)의 타측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크네트(54)가 부착되지 않은 한 쌍의 요크(52)의 일측 각각에 보빈(20)을 삽입한 다음, 보빈(20)을 1자유도계 운동할 수 있도록 보빈(20)과 홀더(12)에 판 스프링(26)의 일끝을 각각 연결하고, 마그네트(54)와 포커스코일(22) 사이에는 마그네트(54)에서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보빈(20)이 포커싱 및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공극을 형성시킨다.
그 후, 광픽업 엑추에이터를 구동시켜 광 자기 디스크에/로부터 정보를 기록재생할 때에는, 베이스(50)를 디스크의 반경반향으로 직선왕복 이송시킴과 동시에 보빈(20)의 전후면 및 양측면에 권선된 포커스 코일(22) 및/또는 트랙 코일(24)에 전류를 인가한다.
즉, 트랙 코일(24)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보빈(20)을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시킨 상태에서 포커스 코일(22)에 전류를 인가하여 보빈(20)을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대물렌즈(28)를 포함한 보빈(20)이 판 스프링(26)에 의해 1자유도계 운동으로 구동함에 따라 포커싱 및 트랙위치가 조정되어 디스크의 기록면에 반도체 레이저빔을 조사한다.
이때, 보빈(20)의 무게중심과 힘중심은 도 7에서와 같이 요크(52)의 타측의 내측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ㄷ" 형상의 마그네트(54)에 의해 자기회로 내의 자속밀도를 높이고 트랙킹 방향으로 자속분포를 균일하게 형성하고, 요크(52)의 타측 외측면에 부착된 자속 차단판(65)에 의해 누설자속이 차단됨에 따라 트랙킹 방향의 주변부분 자속밀도가 높아져 힘의 불균형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에 의하면, 요크의 타측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트의 형상을 변경하고, 요크의 타측의 외측면으로 누설되는 누설자속을 차단함으로써, 자기 회로 내의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고, 트랙킹 방향으로 자속분포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트랙킹 방향의 주변부분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빈의 변동폭이 작아짐은 물론 보빈의 무게중심과 힘중심이 일치되어 엑추에이터의 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광원에서 방사된 광을 기록매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를 중심으로 포커스 코일 및 트랙 코일이 각각 권선된 보빈;
    상기 각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보빈을 상대적으로 구동가능하게 지지 하도록 상기 보빈의 양측에 각각 일측만 삽입되는 한 쌍의 U자형 요크; 및
    상기 요크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부착되어 자속밀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트랙킹 방향의 자속분포를 균일하게 형성시키는 자속분포 균일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분포 균일화 수단은 상기 요크의 타측의 내측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는 "ㄷ"자 형상의 마그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분포 균일화 수단에 의해 발생된 자속 중에서 누설 자소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요크의 타측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누설자속 차단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KR1019970080274A 1997-12-31 1997-12-31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KR10027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274A KR100277967B1 (ko) 1997-12-31 1997-12-31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274A KR100277967B1 (ko) 1997-12-31 1997-12-31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056A KR19990060056A (ko) 1999-07-26
KR100277967B1 true KR100277967B1 (ko) 2001-01-15

Family

ID=6618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274A KR100277967B1 (ko) 1997-12-31 1997-12-31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821A (ko) * 2001-12-28 200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픽업 액츄에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7536A (ja) * 1987-03-06 1988-09-09 Toshiba Corp 対物レンズ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7536A (ja) * 1987-03-06 1988-09-09 Toshiba Corp 対物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056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4415Y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403586B1 (ko) 광픽업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277967B1 (ko)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JPH02260140A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装置
US6212140B1 (en)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and optical disk unit
US5408451A (en) Driving device for objective lens
KR100277978B1 (ko) 광기록재생장치의엑추에이터
KR100252121B1 (ko) 광픽업용 대물렌즈 구동장치
KR20010051659A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KR19990060057A (ko) 광 기록재생장치의 고배속용 엑추에이터
KR100438276B1 (ko) 레디얼 틸팅 구동이 가능한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19990031598U (ko)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KR20060071251A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홀더 방열 구조
JP2000163773A5 (ko)
JPH087537Y2 (ja) 光磁気記録再生装置用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914091B2 (ja) 光ピックアップ用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3110854B2 (ja) 光学系駆動装置
KR100354063B1 (ko) 픽업액츄에이터
JPH08194962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S59119546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0030271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H1125047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20010109836A (ko) 광 픽업 엑츄에이터
JPH0391121A (ja) 光学ヘッド用アクチュエータ
JPS6342044A (ja) 光学系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