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493B1 -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493B1
KR100277493B1 KR1019970080193A KR19970080193A KR100277493B1 KR 100277493 B1 KR100277493 B1 KR 100277493B1 KR 1019970080193 A KR1019970080193 A KR 1019970080193A KR 19970080193 A KR19970080193 A KR 19970080193A KR 100277493 B1 KR100277493 B1 KR 10027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cassette
sensor
signal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976A (ko
Inventor
황찬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49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4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프레임에 놓여 있는 웨이퍼 카세트를 인식하는 장치. 프레임 위에 하나의 센서만이 설치되어 있고 센서는 제1 및 제2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제어기 사이에는 절연 장치가 연결되어 두 제어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제1 제어기가 센서를 통하여 감지 동작을 하는 동안 절연 장치는 제2 제어기로 신호가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제2 제어기가 센서를 통하여 감지 동작을 하는 동안 절연 장치는 제1 제어기로 신호가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본 발명은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를 통해 프레임에 카세트가 올려져 있는지를 감지하고 프레임 위에 카세트를 올려놓거나 프레임 위의 카세트로부터 웨이퍼를 꺼내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웨이퍼는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면서 제품화되는데, 각 단계로 이동할 때에는 다수의 웨이퍼가 카세트에 담겨져 이동하게 된다. 각 단계에서 웨이퍼 카세트는 제어 로봇(robot)에 의해 프레임(frame) 위에 올려지고, 다른 제어 로봇에 의해 카세트 내의 웨이퍼가 한 장씩 꺼내져 정해진 작업대 위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종래의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는 프레임(30) 위에 설치되어 있는 두 쌍의 센서(41, 42; 51, 52)와 각 센서(41, 42: 51, 5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제어기(10, 20)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센서 중 제1 센서(41, 42)는 발광부(41)와 수광부(42)로 이루어지며, 발광부(41)로부터의 빛을 수광부(42)가 받을 수 있도록 사각형 모양 프레임(30)의 마주보는 모서리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30)의 다른 두 모서리 중앙에는 각각 발광부(51)와 수광부(52)로 이루어지는 제2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센서(41, 42; 51, 52)는 각각 제1 및 제2 제어기(10, 20)와 연결되어 제어기(10, 2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센서(41, 42)와 제1 제어기(10)는 웨이퍼 카세트를 올려놓을 때 사용되고, 제2 센서(51, 52)와 제2 제어기(20)는 프레임(30) 위의 카세트로부터 웨이퍼를 꺼낼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이 끝난 웨이퍼 카세트가 발생하면, 먼저 제1 제어기(10)는 제1 센서(41, 42)를 통하여 프레임(30) 위에 이미 놓여진 웨이퍼 카세트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프레임(30) 위에 카세트가 있으면 다음 프레임으로 이동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고, 프레임 위에 카세트가 없을 경우 로봇을 제어하여 작업이 끝난 웨이퍼 카세트를 프레임(30) 위에 올려놓는다.
작업을 시작할 웨이퍼 카세트가 필요하면, 먼저 제2 제어기(20)가 제2 센서(50)를 통해 프레임(30) 위에 웨이퍼 카세트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프레임(30) 위에 웨이퍼 카세트가 없으면 카세트가 올려질 때까지 기다리고, 카세트가 있을 경우 로봇을 제어하여 카세트에서 웨이퍼를 한 장씩 꺼내어 정해진 작업대 위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 위에 웨이퍼 카세트가 놓여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하고, 웨이퍼를 올려놓거나 웨이퍼를 꺼내어 작업대로 이동시키는 경우, 동일한 기능을 하는 센서가 2개가 사용되므로 센서의 개수가 불필요하게 늘어나게 되어 장비의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의 제작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을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센서만을 이용하여 프레임 위에 웨이퍼 카세트가 놓여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이때, 두 제어기의 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두 제어기의 사이에 절연 장치를 연결하며, 절연 장치는 첫째 제어기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 동작을 하는 동안 둘째 제어기로 신호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며 반대로 둘째 제어기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 동작을 하는 동안 첫째 제어기로 신호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절연 장치로는 스위치 블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 한 스위치 블록은 첫째 제어기에 연결되어 둘째 제어기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나머지 한 스위치 블록은 둘째 제어기에 연결되어 첫째 제어기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웨이퍼 인식 장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센서를 하나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즉, 웨이퍼가 담긴 카세트가 놓여지는 프레임(300)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위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발광부(410)와 수광부(420)로 이루어지는 센서를 하나만 사용한다.
발광부(410)와 수광부(420)는 제1 제어기(100) 및 제2 제어기(2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사이에는 절연 장치(60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는 각각 웨이퍼가 담긴 카세트를 프레임(300) 위에 올려놓거나 프레임(300) 위에 놓여있는 카세트로부터 웨이퍼를 꺼내어 작업대로 가져가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또한, 절연 장치(600)는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로부터의 신호 또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분리하여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가 전기적으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프레임(300) 위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는 제1 및 제2 제어기(100, 200)에 연결되어 있다. 발광부(410)와 수광부(420)는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을 하나씩밖에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도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신호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제어기(100)에서 발광부(410)로 향하는 신호선 및 수광부(420)로부터 제1 제어기(100)로 향하는 신호선에는 스위치(s1, s2)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제어기(200)에서 발광부(410)로 향하는 신호선 및 수광부(420)로부터 제2 제어기(200)로 향하는 신호선에도 스위치(s3, s4)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s1, s2)로 이루어지는 제1 스위치 블록(600)과 스위치(s3, s4)로 이루어지는 제2 스위치 블록(700)은 각각 제어기(5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기(500)는 제1 및 제2 제어기(100, 200)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 이러한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이 끝난 웨이퍼가 담겨 있는 카세트가 발생하면 제1 제어기(100)는 발광부(410)로 신호를 보내어 프레임(300) 위에 카세트가 놓여있는지를 확인하고 카세트가 놓여 있으면 다음 프레임으로 이동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고 그렇지 않으면 로봇을 이용하여 카세트를 프레임(300) 위에 올려놓는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제1 제어기(100)는 제어기(500)로 신호를 보내어 오프 상태에 있는 제1 스위치 블록(600)의 스위치(s1, s2)들을 온 상태로 만들고, 제2 스위치 블록(700)의 스위치(s3, s4)들은 오프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한다. 그 후 제1 제어기(100)는 발광부(410)로 신호를 보내어 빛을 발광하도록 하고 수광부(420)는 발광부(410)로부터의 광신호를 받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100)로 출력한다. 이때, 제1 제어기(100)로부터의 신호 및 수광부(420)로부터의 신호는 제2 스위치 블록(700)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제2 제어기(200)로는 입력되지 않는다.
수광부(420)로부터의 신호를 받은 제1 제어기(100)는 이 신호로부터 카세트가 프레임(300) 위에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고, 카세트가 없을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프레임(300) 위에 카세트를 올려놓고, 카세트가 있을 경우에는 다른 프레임으로 이동한다.
제2 제어기(200)의 동작도 이와 유사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대에 들어갈 웨이퍼가 필요하면 제2 제어기(100)는 발광부(410)로 신호를 보내어 프레임(300) 위에 카세트가 놓여있는지를 확인하고 카세트가 놓여 있지 않으면 카세트가 놓여질 때까지 기다리고 그렇지 않으면 로봇을 이용하여 프레임(300) 위의 카세트 내의 웨이퍼를 꺼내어 작업대로 운반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제2 제어기(200)는 제어기(500)로 신호를 보내어 오프 상태에 있는 제2 스위치 블록(700)의 스위치(s3, s4)들을 온 상태로 만들고, 제1 스위치 블록(600)의 스위치(s1, s2)들은 오프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한다. 그 후 제2 제어기(200)는 발광부(410)로 신호를 보내어 빛을 발광하도록 하고 수광부(420)는 발광부(410)로부터의 광신호를 받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제어기(200)로 출력한다. 이때, 제2 제어기(200)로부터의 신호 및 수광부(420)로부터의 신호는 제1 스위치 블록(600)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제1 제어기(100)로는 입력되지 않는다.
수광부(420)로부터의 신호를 받은 제2 제어기(200)는 이 신호로부터 카세트가 프레임(300) 위에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고, 카세트가 있을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프레임(300) 위의 카세트로부터 웨이퍼를 꺼내어 작업대로 운반하고, 카세트가 없을 경우에는 카세트가 놓여질 때까지 기다린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센서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만을 언급하였으나, 광센서뿐 아니라 프레임에 카세트가 놓여지면 바로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나 기타 다른 센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서를 하나만 사용하고 대신 두 제어기 사이에 절연 장치를 연결하여 두 제어기 사이의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장비의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웨이퍼가 들어있는 카세트가 놓여지는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세트의 유무를 감지하는 하나의 센서,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세트를 비어있는 프레임 위에 올려놓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기,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위에 놓여있는 상기 카세트로부터 상기 웨이퍼를 꺼내어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기,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 동작을 하는 동안 상기 제2 제어기로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 제어기가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 동작을 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기로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는 절연 장치
    를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절연 장치는 상기 제1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차단하는 제1 스위치 블록과 상기 제2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차단하는 제2 스위치 블록을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절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 블록과 상기 제2 스위치 블록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인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센서는 압력 센서인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KR1019970080193A 1997-12-31 1997-12-31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KR10027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193A KR100277493B1 (ko) 1997-12-31 1997-12-31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193A KR100277493B1 (ko) 1997-12-31 1997-12-31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976A KR19990059976A (ko) 1999-07-26
KR100277493B1 true KR100277493B1 (ko) 2001-01-15

Family

ID=6618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193A KR100277493B1 (ko) 1997-12-31 1997-12-31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65B1 (ko) 2004-05-31 2010-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카세트 이송용 로봇 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218B1 (ko) * 2000-07-14 2003-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세트용 픽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4037A (ja) * 1985-04-22 1986-10-30 Toshiba Corp ウエハ収納カセツトの識別方法
KR970066775A (ko) * 1996-03-30 1997-10-13 김광호 반도체 제조 공정의 자동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4037A (ja) * 1985-04-22 1986-10-30 Toshiba Corp ウエハ収納カセツトの識別方法
KR970066775A (ko) * 1996-03-30 1997-10-13 김광호 반도체 제조 공정의 자동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65B1 (ko) 2004-05-31 2010-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카세트 이송용 로봇 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976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861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substantially circular article
KR100272252B1 (ko) 웨이퍼카세트반송방법
KR100277493B1 (ko) 웨이퍼 카세트 인식 장치
US20030236587A1 (en) Control device for emergency stop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ystem
KR101897390B1 (ko) 웨이퍼 카세트
US5333370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 numerical control router
JPH0250455A (ja) 半導体ウェハの搬送装置
KR200157375Y1 (ko) 반도체 제조 장비에서의 반송 웨이퍼 이탈 보호 장치
KR200231858Y1 (ko) 반도체식각장비의웨이퍼안착상태감지장치
KR100342397B1 (ko) 에스엠아이에프 장치의 웨이퍼 수량 산출장치 및 방법
KR100495419B1 (ko) 반도체제조장치
KR100208031B1 (ko) 잔류 웨이퍼 이중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854978B1 (ko) 기판 적재 장치
KR100219798B1 (ko) 스테퍼의 웨이퍼 이송장치
KR970067757A (ko) 웨이퍼 카세트 스테이지(cassette stage)
KR19990069566A (ko) 반도체 장치 제조설비의 카세트 인덱서
JPH11111815A (ja) ウェーハ枚数検出システム
KR20040067604A (ko) 반도체 웨이퍼 매핑 장치
KR20010045803A (ko) 웨이퍼 이송기의 보트 충돌 방지 장치
KR20010081475A (ko) 챔버의 웨이퍼 리프트 장치
KR19990069531A (ko) 로드락 챔버의 웨이퍼 위치 검출장치
KR19980065415A (ko) 반도체 웨이퍼 이송장치
KR0172827B1 (ko) 웨이퍼 감광장비의 웨이퍼 이송장치
KR20030095528A (ko) 반도체 제조설비에서의 웨이퍼 적재 불량 감지장치
KR19980084716A (ko) 노광설비의 웨이퍼 로더의 웨이퍼 돌출 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