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925B1 -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925B1
KR100276925B1 KR1019970043903A KR19970043903A KR100276925B1 KR 100276925 B1 KR100276925 B1 KR 100276925B1 KR 1019970043903 A KR1019970043903 A KR 1019970043903A KR 19970043903 A KR19970043903 A KR 19970043903A KR 100276925 B1 KR100276925 B1 KR 100276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code
ignition key
signal
vehicle
immo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443A (ko
Inventor
한상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9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92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엔진 시동을 위한 암호화 코드를 무선 통신이 아닌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한 것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기위한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스위치 동작에 따라 도체로 이루어진 스위칭 접점이 개폐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암호화 코드 신호를 출력하는 키 스위치 수단과, 상기 키 스위치 수단의 암호화 코드 신호가 설정된 암호화 코드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이모빌라이저 제어수단과, 상기 이모빌라이저 제어수단의 신호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 에너지의 공급 및 암호화 코드의 전송을 무선 통신이 아닌 유선으로 함으로써 앰프 및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 1, 2차 코일 즉, 코일 안테나 등을 삭제할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3 자에 의한 암호화 코드의 스캐닝을 할 수 없도록 하여 차량 도난사고를 능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엔진 시동을 위한 암호화 코드를 무선 통신이 아닌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며 제 3 자에 의한 암호화 코드의 스캐닝이 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시 이그니션 키로부터의 암호화 코드가 인가될때에만 차량의 시동이 되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것으로 종래의 장치를 첨부된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차량 엔진을 시동하기 위하여 이그니션 키(10)를 이그니션 키 홀더에 삽입하고 스위칭 접점을 온 하면 이모빌라이저 제어부(30)는 상기 이그니션 키 스위치의 신호에 따른 순간적인 전기적인 신호를 앰프(20)에서 소정의 값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이그니션 키 홀더의 외측에 설치된 1차 코일(C1)에는 자속 변화가 발생한다.
상기 1차 코일(C1)에서 자속 변화가 발생하면 이 자속 변화에 따라 이그니션 키(10)의 내측에 설치된 2차 코일(C2)에는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2차 코일(C2)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캐패시터(C)가 순간적으로 충전되어 방전을 시작한다.
즉, 캐패시터(C)가 무선을 통해 에너자이징된다.
그러면 트랜스폰더(TRANSPONDER)(11)는 상기 캐패시터(C)로부터 방전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여 설정되어 있는 암호화 코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트랜스폰드(11)에서 출력된 암호화 코드는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2차 코일(C2)을 통해 1차 코일(C1)로 무선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에서 1차 코일(C1)로 전송된 암호화 코드는 앰프(20)를 통해 일정 전위의 신호로 증폭된 후 상기 이모빌라이저 제어부(30)에 인가되면 이모빌라이저 제어부(30)는 상기의 암호화 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암호화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엔진 제어부(40)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여 차량의 시동이 되게한다.
상기에서 암호화 코드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엔진 시동을 금지하여 제 3 자 등에 의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에너지 공급 및 암호화 코드의 전송을 무선 통신으로 하기 때문에 앰프 및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 1, 2차 코일 즉, 코일형 안테나등이 필요하므로 생산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암호화 코드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제 3 자에 의해 암호화 코드가 스캐닝되어 차량의 도난을 능동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에너지의 공급 및 암호화 코드의 전송을 무선 통신이 아닌 유선으로 함으로써 앰프 및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 1, 2차 코일 즉, 코일 안테나 등을 삭제할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3 자에 의한 암호화 코드의 스캐닝을 할 수 없도록 하여 차량 도난사고를 능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을 걸기위한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스위치 동작에 따라 도체로 이루어진 스위칭 접점이 개폐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암호화 코드 신호를 출력하는 키 스위치 수단과;
상기 키 스위치 수단의 암호화 코드 신호가 설정된 암호화 코드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이모빌라이저 제어수단과;
상기 이모빌라이저 제어수단의 신호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이그니션 키 스위칭 접점을 도시한 정면 투시도이고,
도 3 은 종래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그니션 키(100)와, 이그니션 키 스위칭 접점(130), 이모빌라이저 제어부(200), 엔진 제어부(300)로 이루어진다.
이그니션 키(100)는 차량의 시동을 위한 키로 내부에 설정된 암호화 코드 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스폰드(110)와, 일단이 상기 트랜스폰드(110)의 각 입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그니션 키(100)의 끝측에 각각 접점을 이루도록 형성된 도체(120)와, 상기 양 도체(120)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캐패시터(C)로 이루어져, 운전자에 의한 차량 시동시 설정된 암호화 코드 신호를 출력한다.
이그니션 키 스위칭 접점(130)은 이그니션 키 홀더의 내측에 설치된 도체(130)이며,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100)를 트리거하면 상기 이그니션 키(100)의 도체(120)의 접점을 스위칭 시킨다.
이모빌라이저 제어부(200)는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100) 트리거에 의해 상기 이그니션 키 스위칭 접점(130)의 신호가 있을 경우 순간적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이그니션 키(100)의 트랜스폰드(110)로부터 출력되는 암호화 코드 와 설정된 암호화 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엔진 제어부(300)는 상기 이모빌라이저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제어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동작과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시동을 걸기위하여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100)를 이그니션 키 홀더에 삽입하고 트리거하면 도 2 에서와 같이 이그니션 키(100)에 설치된 도체(120)에 의한 접점이 이그니션 키 스위칭 접점(130)에 온 된다.
이때 이모빌라이저 제어부(200)가 상기 접점 신호에 따라 순간적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면 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캐패시터(C)는 순간적으로 충전되어 방전을 시작한다.
상기에서 캐패시터(C)가 방전되어 방전 전류가 트랜스폰드(110)에 인가되면 트랜스폰드(110)는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암호화 코드 신호를 도체(120)를 통해 상기 이모빌라이저 제어부(2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모빌라이저 제어부(200)는 상기 트랜스폰드(110)로부터 전송된 암호화 코드 신호가 설정되어 있는 암호화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암호화 코드가 일치할 경우에는 이모빌라이저 제어부(200)는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여 엔진 제어부(300)에 인가하면 엔진 제어부(300)는 엔진의 시동을 한다.
상기에서 암호화 코드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모빌라이저 제어부(200)가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엔진 제어부(300)에 인가하면 엔진 제어부(300)는 상기 이모빌라이저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금지하여 제 3 자에 의한 차량 도난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너지의 공급 및 암호화 코드의 전송을 무선 통신이 아닌 유선으로 함으로써 앰프 및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 1, 2차 코일 즉, 코일 안테나 등을 삭제할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3 자에 의한 암호화 코드의 스캐닝을 할 수 없도록 하여 차량 도난사고를 능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을 걸기위한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스위치 동작에 따라 도체로 이루어진 스위칭 접점이 개폐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암호화 코드 신호를 출력하는 키 스위치 수단과;
    상기 키 스위치 수단의 암호화 코드 신호가 설정된 암호화 코드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이모빌라이저 제어수단과;
    상기 이모빌라이저 제어수단의 신호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키 스위치 수단은 설정된 암호화 코드 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스폰드와, 상기 트랜스폰드의 입출력단에 각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이그니션 키의 끝단에 접점으로 형성되어진 2개의 도체와, 상기 2개의 도체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이그니션 키와;
    이그니션 키 홀더에 설치되어 운전자에 의한 이그니션 키 트리거에 따라 상기 이그니션 키 에 설치된 도체의 접점이 스위칭 되도록 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KR1019970043903A 1997-08-30 1997-08-30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KR10027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903A KR100276925B1 (ko) 1997-08-30 1997-08-30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903A KR100276925B1 (ko) 1997-08-30 1997-08-30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443A KR19990020443A (ko) 1999-03-25
KR100276925B1 true KR100276925B1 (ko) 2001-01-15

Family

ID=6603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903A KR100276925B1 (ko) 1997-08-30 1997-08-30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841B1 (ko) 2004-12-20 201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림프홈 동작 유지 시스템 및 그 유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58A (ko) * 2001-07-04 2003-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상용 시동수단을 가지는 스마트 카드 시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841B1 (ko) 2004-12-20 201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림프홈 동작 유지 시스템 및 그 유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443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618B1 (ko) 차량의 안전 장치를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US6873824B2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ellular telephone and associated methods
US4719460A (en) Keyless entry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devices with theft-prevention feature
KR100943928B1 (ko) 엔진 스위치 장치
JP4558136B2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EP0745040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CA2408362C (en) Self contained control unit incorporating authorisation
CA2246158A1 (en) Remote start, passive anti theft security system
US5694100A (en) Motor vehicle starter having an auxiliary control relay, and a contactor for such a starter
US6093980A (en) Key apparatus for vehicle, method of controlling starting of vehicle engine, and key system for vehicle
KR100276925B1 (ko) 유선통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CN111836229A (zh) 通信装置、通信系统及通信方法
JP4750585B2 (ja) 電子キー通信装置及び電子キー通信システム
JP3565923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254458B1 (ko) 차량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JP2001351453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3317887B2 (ja) 自動車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100207843B1 (ko) 유선형 차량도난방지장치
AU2001285574B2 (en) Self contained control unit incorporating authorisation
JPH09105255A (ja) 車両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7300564B1 (ja) 電磁継電器
KR20030003958A (ko) 비상용 시동수단을 가지는 스마트 카드 시동장치
JP2005299264A (ja) 無線タグ内臓のキー装置
KR0166532B1 (ko) 원격제어에 의한 자동차 룸 램프 작동장치
AU2001285574A1 (en) Self contained control unit incorporating authori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