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447B1 -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447B1
KR100276447B1 KR1019980040521A KR19980040521A KR100276447B1 KR 100276447 B1 KR100276447 B1 KR 100276447B1 KR 1019980040521 A KR1019980040521 A KR 1019980040521A KR 19980040521 A KR19980040521 A KR 19980040521A KR 100276447 B1 KR100276447 B1 KR 10027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ecording
deck
recorded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430A (ko
Inventor
어윤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0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44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은 첫째, 사용자가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알고 있을 경우 사용자가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트랙번호를 미리 설정한 후, 설정된 트랙순으로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만을 순차적으로 레코딩하도록 하고 둘째, 사용자가 테이프에 어떠한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모르고 있을 경우 테이프를 인트로 재생시켜 즉, 테이프의 각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의 초기 일부분만을 일정시간씩 각각 순차적으로 재생시켜 인트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가 듣고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일 경우 레코딩키를 선택하게 되면 현재 인트로 재생되고 있는 트랙위치를 초기위치로 테이프를 되감고 난 후,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다른 데크에 있는 테이프에 레코딩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번거로운 키 동작을 생략하여 아주 편리하게 레코딩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과 레코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본 발명은 오디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시스템에서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오디오시스템에서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을 살펴보면, 오디오시스템의 전원을 온(On)시킨 후, 사용자가 원하는 카세트테이프를 데크에 삽입한다.
이어, 오디오시스템의 펑션(Function)들중 테이프(TAPE)펑션을 선택한 후, 플레이키를 누르게 되면 삽입된 테이프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이때, 삽입된 카세트테이프의 위치가 처음이 아니고 중간부분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생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현재의 위치부터 카세트테이프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로 재생버튼을 눌러 재생하게 되면 되고, 처음부터 재생을 원할 경우에는 되감기모드를 선택 즉, 리와인드(Rewind)키를 선택하여 테이프를 처음으로 리와인드시키게 된다.
카세트테이프의 처음위치까지 리와인드 동작이 완료되면, 리와인드모드는 정지모드로 전환되어 리와인드의 동작이 정지된다. 리와인드가 정지되면 사용자는 다시 재생키를 선택하여 카세트테이프를 처음부터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보통 오디오시스템은 카세트테이프를 재생 및 레코딩을 위해 더블데크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더블데크를 이용하여 테이프 레코딩을 수행하는 종래 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A데크에 재생하고자 하는 카세트테이프를 삽입하고, B데크에는 레코딩하고자 하는 카세트테이프를 각각 삽입하게 된다.
이때, 테이프 레코딩을 위해서는 A데크 및 B데크에 삽입된 테이프가 모두 처음위치로 리와인드된 상태인지 즉, 처음위치로 모두 감겨져 있는지를 사용자가 판단 한 후, A/B데크에 삽입된 테이프가 처음위치로 감겨져 있지 않은 상태이면 리와인드키를 이용하여 테이프를 처음위치로 감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모콘 또는 본체에 부착된 다수의 키들중 A데크는 재생키를 B 데크에는 레코딩키를 입력하여 A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B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에 레코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레코딩에 있어서, 사용자는 A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에 기록된 다수의 오디오신호(곡)들중 원하는 오디오신호만을 B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에 녹음하기 위해서는 먼저, A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사용자가 재생시키면서 원하는 곡을 선택하게 된다. 원하는 곡이 재생되면 리와인드키 또는 재생중 되감기키를 선택하여 원하는 곡이 기록된 초기위치로 되감게 된다.
원하는 위치로 테이프를 감은 후, 다시 A데크에는 재생키를 입력함과 동시에 B데크에는 레코딩키를 입력하여 원하는 오디오신호를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을 하게 된다.
이어, 레코딩이 완료되면 A데크와 B데크의 구동을 정지한 후, 리와인드키 및 정지키 등을 이용하여 A데크의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신호중 원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위치로 테이프를 감게된다.
이어, 원하는 위치로 A데크의 테이프를 감은 후, 다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즉, A데크는 재생키 B 데크는 레코딩키를 입력하여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은 A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에 기록된 모든 오디오신호를 B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에 재생키와 레코딩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모두 레코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A데크의 테이프에 기록된 다수의 오디오신호중 일부만을 즉,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의 오디오신호만을 선택하여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정지키 리와인드키, 재생키들을 반복적으로 일일이 조작하여 B테크의 테이프에 레코딩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롭고도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알고 있을 경우 사용자가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트랙번호를 미리 메모리에 설정한 후, 설정된 트랙순으로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만을 순차적으로 레코딩하기 위한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테이프에 어떠한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모르고 있을 경우 테이프를 인트로 재생시켜 즉, 테이프의 각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의 초기 일부분만을 일정시간씩 각각 순차적으로 재생시켜 인트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가 듣고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일 경우 레코딩키를 선택하게 되면 현재 인트로 재생되고 있는 트랙의 초기위치로 테이프를 되감고 난 후,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다른 데크에 있는 테이프에 레코딩을 수행하는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의 특징은 더블 카세트 데크와, 인트로재생키 및 레코딩키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있어서, 상기 더블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의 감김량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테이프가 일정량 감겨져 있는 상태인 경우 테이프를 재생 초기위치로 리와인드시키는 단계와; 리와인드되어 상기 더블데크가 모두 정지된 상태에서 인트로재생키를 입력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테이프 각 트랙의 초기 일부분의 오디오신호만을 일정시간씩 각각 재생시키는 인트로 재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인트로 재생중에 상기 레코딩키신호가 입력되면 레코딩키가 입력되는 순간에 인트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해당트랙의 초기위치로 테이프를 되감아 그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모두 재생하여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다른 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하는 단계와; 레코딩이 완료되면 다시 인트로 모드로 전환하여 레코딩되는 카세트데크의 레코딩모드를 정지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해당트랙 이후의 트랙부터 다시 인트로 재생하는 단계와; 인트로 재생동작이 완료되면 인트로 재생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더블데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A데크 및 B데크와, 레코딩키, 메모리 및 홀센서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및 B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의 감김량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테이프가 일정량 감겨져 있는 상태인 경우 테이프를 재생 초기위치로 리와인드시키는 단계와;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트랙을 지정하여 지정된 트랙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레코딩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트랙번호순으로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하는 단계와; 레코딩중 상기 홀센서에 의해 무녹음부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트랙의 초기위치로 A데크의 테이프를 감고 B데크의 테이프는 일정시간동안 레코딩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A데크의 테이프가 위치한 트랙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트랙들의 오디오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레코딩되면 상기 A데크 및 B데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별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제 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오디오시스템의 전원을 온시킨후,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테이프와 상기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레코딩하기위한 테이프를 카세트 A 및 B 데크에 각각 삽입하게 된다(S101).
이어, 앤드센서와 스타트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A 및 B데크에 삽입되어 있는 테이프가 테이프의 초기위치에 감겨져 있는지를 즉, 테이프이 감김량을 검출하여(S102) 테이프가 시작위치에 감겨져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03).
판단결과, A 및 B데크의 테이프중 일 데크의 테이프라도 초기위치로 감겨져 있지 않은 상태일 경우 A 및 B데크를 구동하여 테이프를 모두 초기위치로 리와인드시키게 된다(S104).
A 및 B데크의 테이프가 모두 리와인드되어 각각 초기위치로 테이프가 모두 감겨져 A/B데크가 정지상태인지를 판단하여(S105) 판단결과, A 및 B데크가 모두 정지된 상태이면, 인트로 재생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06).
인트로 재생키가 입력되면, A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의 인트로 재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07). 즉, 여기서, 테이프 인트로 재생이란 테이프의 각 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들의 시작부분 일부만을 일정시간씩 재생시켜 주는 기능으로써, 인트로 재생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 1 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의 시작부분을 일정시간 재생시켜주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제 1 트랙의 나머지 부분에 기록된 오디오신호 및 제 2 트랙과 제 1 트랙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무녹음부 구간을 모두 스킵한 후, 제 2 트랙의 시작위치로 오디오헤드(미도시)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 2 트랙의 초기위치로 오디오헤드가 이동되면 다시 인트로 재생모드로 전환되어 제 2 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의 일부분을 일정시간 재생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테이프에 기록된 모든 오디오신호를 인트로 재생키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테이프의 인트로 재생중에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가 듣고 레코딩하고자 하는 곡이 인트로 재생되면, 그 곡을 레코딩시키기 위해 레코딩키를 선택하게 된다. 즉, 인트로재생중에 레코딩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08)레코딩키가 입력되었으면, 현재 인트로 재생되고 있는 트랙 즉, 레코딩하고자 하는 곡이 기록된 트랙의 초기위치로 테이프를 리와인드시켜(S109)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곡)을 모두 재생시킴과 동시에 B데크를 레코딩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A데크의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트랙의오디오신호를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을 하는 것이다(S110).
이어, 레코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S111) 여기서, 레코딩이 완료되었는지의 판단은 홀센서(미도시)에 의해 곡과 곡사이의 무녹음부 검출여부에 따라 판단된다.
사용자가 선택한 오디오신호의 레코딩이 완료되었으면, 즉, 무녹음부가 검출되었으면, 무녹음부구간을 스킵하여 이후의 트랙부터 상기 S107단계에서와 같이 인트로 재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12).
인트로 재생중에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레코딩키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S109단계로 피드백되어 레코딩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레코딩키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인트로 재생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13).
판단결과, 인트로 재생이 모두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S114), 인트로 재생모드를 해제하게 된다. 즉, A데크 및 B데크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S115).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는 사용자가 테이프에 어떠한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모를 경우 테이프를 인트로 재생시켜 재생하고자 하는 테이프에 어떠한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트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듣고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재TOD되면, 레코딩키를 선택하여 B데크의 테이프에 해당 오디오신호를 레코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테이프에 어떠한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알지못하여도 인트로 재생을 통해 편리하게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파악할 수 있으며,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만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레코딩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오디오시스템의 전원을 온시킨후,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테이프와 상기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레코딩하기위한 테이프를 카세트 A 및 B 데크에 각각 삽입하게 된다(S101).
이어, 앤드센서와 스타트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A 및 B데크에 삽입되어 있는 테이프가 테이프의 초기위치에 감겨져 있는지를 즉, 테이프이 감김량을 검출하여(S102) 테이프가 시작위치에 감겨져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03).
판단결과, A 및 B데크의 테이프중 일 데크의 테이프라도 초기위치로 감겨져 있지 않은 상태일 경우 A 및 B데크를 구동하여 테이프를 모두 초기위치로 리와인드시키게 된다(S104).
A 및 B데크의 테이프가 모두 리와인드되어 각각 초기위치로 테이프가 모두 감겨져 A/B데크가 정지상태인지를 판단하여(S105) 판단결과, A 및 B데크가 모두 정지된 상태이면,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A데크의 테이프이 각 트랙번호를 지정한 후, 메모리(미도시)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S106). 여기서, 트랙번호의 지정은 대부분의 테이프는 곡과 곡사이에 무녹음부구간이 존재하여 이러한 무녹음부구간을 홀센서(미도시)가 체크하여 곡번호 즉,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각 트랙번호를 지정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가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트랙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레코딩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고(S207), 레코딩키가 입력되었으면, A데크를 재생모드로 B데크를 레코딩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트랙번호순으로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을 하게 된다(S208).
레코딩중 무녹음부 구간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 무녹음부구간이 홀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재생된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트랙 이후의 메모리에 저장된 트랙의 초기위치로 테이프를 빨리감기 함과 동시에 B데크는 일정시간동안 대략 4초정도를 계속적으로 레코딩모드를 유지하도록 한다(S210). 즉, B데크의 테이프역시 곡과 곡사이에 무녹음부구간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무녹음부구간이 설정되면, 다시 메모리에 저장된 순서대로 A데크의 테이프의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을 하게 되는 것이다(S212).
이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트랙들에 기록된 오디오신호가 모두 재생되어 B데크에 모두 레코딩이 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13) 레코딩이 모두 완료되었으면 A데크 및 B 데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S214).
결국,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사용자가 A데크의 테이프에 어떠한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알고있는 상태 또는 모르고있지만 테이프케이스에 기록된 타이틀정보를 보고 있을 경우에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인트로 재생동작을 삭제하고 바로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트랙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메모리에 저장된 트랙번호순으로 A데크의 테이프를 재생하여 B데크의 테이프에 순차적으로 레코딩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은 첫째, 사용자가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알고 있을 경우 사용자가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트랙번호를 미리 설정한 후, 설정된 트랙순으로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만을 순차적으로 레코딩하도록 하고 둘째, 사용자가 테이프에 어떠한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모르고 있을 경우 테이프를 인트로 재생시켜 즉, 테이프의 각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의 초기 일부분만을 일정시간씩 각각 순차적으로 재생시켜 인트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가 듣고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일 경우 레코딩키를 선택하게 되면 현재 인트로 재생되고 있는 트랙위치를 초기위치로 테이프를 되감고 난 후,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다른 데크에 있는 테이프에 레코딩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번거로운 키 동작을 생략하여 아주 편리하게 레코딩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과 레코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더블 카세트 데크와, 인트로재생키 및 레코딩키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트로 재생키상기 더블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의 감김량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테이프가 일정량 감겨져 있는 상태인 경우 테이프를 재생 초기위치로 리와인드시키는 단계와;
    리와인드되어 상기 더블데크가 모두 정지된 상태에서 인트로재생키를 입력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테이프 각 트랙의 초기 일부분의 오디오신호만을 일정시간씩 각각 재생시키는 인트로 재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인트로 재생중에 상기 레코딩키신호가 입력되면 레코딩키가 입력되는 순간에 인트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해당트랙의 초기위치로 테이프를 되감아 그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모두 재생시킴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다른 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하는 단계와;
    레코딩이 완료되면 다시 인트로 모드로 전환하여 레코딩되는 카세트데크의 레코딩모드를 정지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해당트랙 이후의 트랙부터 다시 인트로 재생하는 단계와;
    인트로 재생동작이 완료되면 인트로 재생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더블데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2. A데크 및 B데크와, 레코딩키, 메모리 및 홀센서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및 B데크에 삽입된 테이프의 감김량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테이프가 일정량 감겨져 있는 상태인 경우 테이프를 재생 초기위치로 리와인드시키는 단계와;
    레코딩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트랙을 지정하여 지정된 트랙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레코딩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트랙번호순으로 해당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하는 단계와;
    레코딩중 상기 홀센서에 의해 무녹음부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트랙의 초기위치로 A데크의 테이프를 감고 B데크의 테이프는 일정시간동안 레코딩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A데크의 테이프가 위치한 트랙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B데크의 테이프에 레코딩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트랙들의 오디오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레코딩되면 상기 A데크 및 B데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KR1019980040521A 1998-09-29 1998-09-29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KR10027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521A KR100276447B1 (ko) 1998-09-29 1998-09-29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521A KR100276447B1 (ko) 1998-09-29 1998-09-29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430A KR20000021430A (ko) 2000-04-25
KR100276447B1 true KR100276447B1 (ko) 2000-12-15

Family

ID=1955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521A KR100276447B1 (ko) 1998-09-29 1998-09-29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4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430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0052A (en) Method of recording/reproducing table of contents in digital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276447B1 (ko) 오디오시스템의 테이프 레코딩방법
US5179543A (en) Dubbing apparatus for audio equipment
JPH09198853A (ja) 再生装置
JP2707604B2 (ja) ディスクダビング方法
JP2671188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オーディオ装置
JP3736406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2526552B2 (ja) 記録再生装置
JP2641435B2 (ja) テープ頭出し選択装置
KR20000021435A (ko) 씨 디의 오디오신호 재생방법
KR100240343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반복재생 제어방법
JP2758925B2 (ja) デジタルテープレコーダのリードアウト情報記録方法
KR0139498B1 (ko) 음향기기의 음원정보 예약편집/재생방법
KR20000021427A (ko) 오디오시스템의 씨 디 레코딩방법
KR20000002138A (ko) 오디오의 시디 복사방법
KR20000021432A (ko) 씨 디 싱크로 레코딩방법
JPH03295089A (ja) ダビング装置
JPH04351738A (ja) 磁気テープ再生装置
JPH05109243A (ja) デイ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90060344A (ko) 예약 프로그램에 의한 더빙제어방법
JPH0778458A (ja) 記録再生装置
KR20020066769A (ko) 오디오 예약 녹음방법
JPH06267253A (ja) 記録再生装置
JPH05250858A (ja) ビデオカセットテープの所定部分の選出装置
JPH0612839A (ja) オーディオ信号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