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962B1 - 맞물림 고장의 저하 모우드의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맞물림 고장의 저하 모우드의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962B1
KR100274962B1 KR1019950017444A KR19950017444A KR100274962B1 KR 100274962 B1 KR100274962 B1 KR 100274962B1 KR 1019950017444 A KR1019950017444 A KR 1019950017444A KR 19950017444 A KR19950017444 A KR 19950017444A KR 100274962 B1 KR100274962 B1 KR 10027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io
transmission
engagement
sec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561A (ko
Inventor
컥와찬
Original Assignee
존 씨. 메티유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씨. 메티유,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존 씨. 메티유
Publication of KR96000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7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hange-speed gearing in group arrangement, i.e. with separate change-speed gear trains arranged in series, e.g. range or overdrive-type gearing arrangements
    • F16H61/7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hange-speed gearing in group arrangement, i.e. with separate change-speed gear trains arranged in series, e.g. range or overdrive-type gear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or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2061/047Smoothing ratio shift by preventing or solving a tooth butt situation upon engagement failure due to misalignment of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with diagnostic check cycles; Monitoring of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24Adapting to failures or work around with other constraints, e.g. circumvention by avoiding use of fail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28Fixing failures by repairing failed parts, e.g. loosening a sticking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32Bringing the control into a predefined state, e.g. giving priority to particular actuators or gear rat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7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a friction device, e.g. clutche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06/00Shifting
    • F16H2306/20Timing of gear shi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59/40Output shaf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59/42Input shaf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 interruption of 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7/00Interrelated power delivery controls, including engine control
    • Y10S477/906Means detecting or ameliorating the effects of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167In series plural interchangeably locked nonplaneta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10T74/19256Automatic
    • Y10T74/1926Speed responsive

Abstract

스플리터형 새비 블록 기계변속기(12)를 포함하는 자동변속장치의 제어장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어장치 및 방법은 부색션 및 맞물림고장 또는 부색션 및 주색션 맞물림 고장을 감지하고, 이러한 고장이 감지될 때 고정 허용 모우드 작동하는 기술이다. 실시예에서부색션(214) 맞물림 고장은 주색션(212)이 적적한 비로 맞물림 것으로 확인되고, 변속기가 목표기어비(GRT)외의 비(GRN)으로 맞물린 것으로 확인될 때 감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맞물린 고장은 하나의 색션이 적적히 맞물린것으로 확인되고 변속기가 에비 설정 주기후 목표기어비의 맞물림을 성취하지 못할때 감지된다.

Description

맞물림 고장의 저하 모우드의 제어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스플리터형 새미 블록 자동/반자동 기계변속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제어부재와 센서의 개략도.
제3도는 및 제3b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 제어 및 디스플레이 콘손의 도면.
제4도는 "4×3" 12 속 복합 스플리터형 새미 블록 변속기의 개략도.
제4a도-제4d도는 제4도의 여러 부품의 부분도.
제5도는 제4도의 변속기의 시프트 패턴의 도면.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의 시프트 제어의 흐름도.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시프트 제어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디스플레이 12 : 변속기
14 : 엔진 16 : 클러치
18 : 입력축 브레이크 26 : 연료제어기
30 : 클러치 오퍼레이터 32 : 입력축 속도센서
34 : 출력축 속도센서
본 발명은 복합 반블록된 스플리터형 자동 및 반자동 변속장치(compound semi-blocked splitter-type automatic or semi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자동 및 반자동기계 변속장치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 4,961,060, 4,648,290 및 5,109,721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참고로 여기에 포함했다. 스플리터형 반블록된 복합변속기는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 3,924,484 ; 4,735,109 및 4,736,643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참고로 여기에 포함했다.
특히, 본 발명은 주색션이 바람직한 비로 맞물리고, 목표비 이외의 공지된비가 맞물릴 때 스플리터 색션고장을 나타내고 작동의 스플리터 색션고장 모우드를 적응시키는 작동 복합 반블록기계 변속장치의 슬플리터 색션 맞물림 고정 제어방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동의 스플리터 색션 맞물림 고장 모우드에서, 공지된 바와 연관된 스플리터 색션비가 디폴트 스플리터비이고, 또 다른 스플리터 색션 스프닛이 금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주색션 또는 부색션이 변속 목표 기어비에 대해 필요한 비로 맞물리고, 관련된 부색션 또는 주색션비가 맞물린 시간주기후가 감지되지 않을 때, 시프트 제어에 의해 부 또는 주색션이 허용가능한 비로 맞물리게 된 후 드로틀 개구 또는 위치 차량속도, 엔진속도 등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차량변속기를 자동으로 시프트하는 중형트럭 및 자동차용 전자동 변속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동 변경기어 자동화 기계변속기는 기계적(즉,착동)클러치를 맞물리고 분리하여서 바람직한 기어비를 성취하는 전자 및/또는 유압논리 장치 및 액추에이터를 활용한다. 이러한 변속기의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3,961,546 ; 4,081,065 ; 4,361,060 ; 4,569,255 ; 4,576,065 ; 4,593,986 ; 4,576,236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참고로 여기에 포함했다.
특정의 기어비 변경을 할 때, 즉각적으로 따르는 비업(up) 또는 다운(dwon) 또는 하나 이상의 비를 스킵할지 여부를 다수의 기어비간의 자동변경이 제공되고, 차량마스터 클러치를 저클러치 기어에 경사질 때 (즉, 불완전히 맞물릴 때)제공되는 반자동기계 변속제어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반자동 제어장치는 엔진속도를 아이들속도 이하로 감지시키는 (즉, 저엔진속도로 스덜링 및/또는 오버 스트레이딩을 야기하는 운전자 선택 고속비의 맞물림과 이러한 변경이 엔진의 과속을 일으키는) 경우 저속비(즉, 다운시프트)의 맞물림을 금지시킨다. 이러한 반자동 변속제어의 예가 위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 4,648,290 호에 개시되어 있다.
반블록 스플리터형 복합변속기를 포함하는 자동 및 반자동 기계변속기 (소위 AMT)를 시프팅 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시프트, 심플(보조색션만)와 복합(수맞부색션)은 예비 선택된 죠우클러치 부재의 동기하의 교차없이 블록된 부색션의 시프팅을 허락하기 위해 중립으로의 부변속색션의 시프팅과 관련이 있고, 이는 미합중국 특허 제 RE 32,591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참고로 여기에 포함했다.
위에서 언급한 자동 반블록 변속장치와 이의 제어가 만족스러울 지라도, 어떤경우에, 목표기어비가 맞물리지 않아서 맞물림 고장 검출기술 및 폴트 회복모우드 및/또는 작동의 고장 저하모우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비율 변경 동안 주색션 중립에 시프트된 형의 자동 스플리터형 반블록 변속장치의 시프트 제어장치/방법은 목표비가 아니라 비율의 맞물림에 관련된 스플리터 색션 맞물림 고장으로 감지하고, 이러한 고장은 감지할 때 맞물린 스플리터 색션비가 디폴트 스플리터 비이고, 또 다른 스플리터 색션 시프트 점이 금지되는 작동의 스플리터 색션 맞물림 고장 저하모우드을 적응시키거나, 주색션이나 부색션이 변속목표 기어비에 대해 필요한 비로 맞물리는 것이 감지되고, 관련된 부색션 또는 주색션비가 맞물린 시간주기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감지할 때, 시프트 제어에 의해 부 또는 주색션이 허용가능한 비로 맞물리게 한후 맞물리지 않은 부색션과 주색션비를 포함하는 모든 비율 결합이 허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비율 반경 동안 주색션 중립에 시프트된 형의 복합 반블록 스플리터형의 자동기계 변속기를 시프트하는 새로로 향상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설명을 위에서 어떤 용어들이 사용되었지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용어 「위쪽으로」, 「아래쪽으로」,「왼쪽으로」라는 것은 참조하는 도면에서 방향을 나타낸다. 「안쪽으로」, 「바깥쪽으로」란 장치의 기하 중심 또는 이의 부분쪽으로 및에서 먼 방향을 의미한다. 위의 용어들은 이 용어의 파생어 및 전용어에도 적용된다.
「복합변속기」란 주변속부와 이에 직렬로 연결된 부변속부를 변경속도 변속기로, 부변속부에서 선택된 기어감속비이 부변속부에서 선택된 또 다른 감속과 복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플리터형 복합변속기」란 주변속부에서 선택된 기어비를 분할하기 위해 여러 선택된 단계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복합변속기를 의미한다. 스플리터형 복합변속기에서, 주변속색션에는 부색션에 의해 스플릿 또는 복합되는 넓은 폭의 단계가 제공된다.
「블록변속기 또는 블록 변속색션」이란 변경기어 일정 정합 변속기 또는 변속색션으로 다수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기어 중 선택된 하나가 중립에서 맞물린 위치까지 선택된 기어의 축방향 운동 및 탄성적으로 바이어스 되는 확동 클러치에 의해 회전할 수 없게 커플되고, 확동클러치의 부재가 실질적으로 동기회전에 있을때까지 블록커가 이러한 맞물림을 방지하는데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동기상태는 변속입력 및/또는 출력축의 수동 및/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성취도어서, 이들간에 동기상태를 교차되지만 클러치부재, 및 이의 연관된 장치 중 하나를 또 다른 클러치부재와 회전하게 하기에 충분한 선택된 클러치 부재의 마찰접촉에 의해 통상 성취되지 않는다. 블록변속기 및/또는 변속색션이 미합중국 특허 제 3,799,002 ; 3,924,484 ; 4,192,196 및 4,440,037 호 및 유럽 특허 제 0,070,353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참고로 여기에 포함했다.
본 발명의 자동 또는 반자동 제어시스템은 블록 스플리터 형의 부색션과 직렬로 연결된 비동기, 비블록 주변속색션을 지닌 형의 스플리터형 변속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속기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반블록 변속기라고 하고, 미합중국 특허 제 4,735,109 ; 4,736,643 ; 4,930,078 및 5,042,32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운전자 작동 드로틀 (24)의 위치가 센서(22)에서 감지되고, 이를 나타내는 신호(THD)가 중앙처리장치(38)에 공급되고, 이중앙처리장치는 센서(28)로 부터의 엔진속도, 센서(36)으로 부터의 변속출력 축속도, 및 아래에서 설명할 운전자 기어 시프트 레버 또는 죠이 스틱(1)의 양 및 부작동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 엔진속도는 변속입력축 속도의 표시이고, 클러치(16)가 미끄러지지 않게 맞물리면, 이의 반대인 반면, 변속출력축 속도는 차량속도의 표시이다. 또한, 센서(35)는 변속기(12)의 부색션이 고유비로 맞물린 경우를 센서(36)과 결합해서 감지하는 주축속도를 감지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변속장치(10)의 제어논리회로, 센서 및 액츄에이터가 미합중국 특허 제 4,361,060 호 및 4,593,986 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을 수신하고, 소정의 논리법칙에 따라 이를 처리하고, 명령출력신호를 유압 및/또는 전기 액츄에이터에 제공하여서, 금속업시프트에 대한 배출브레이크(17) 및/또는 입력축 브레이크(18)를 제어하고 자동연료 제어장치(26)에 제공하여 엔진(14)에 대한 연료공급을 브리프(drip) 또는 디프(dip) 하여서, 오퍼레이터(30)를 경유한 시프트 클러치제어 및 변속 오퍼레이터(34)를 경유해서 시프팅하는 비에 대한 급속 동기 회전준비를 성취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는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듯이 명령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2)에 전달한다. 자동/반자동 변속장치(10)는 정지에서 출발 및/또는 저속크리핑 가동상태로만 이용되게 된 통상 말로 작동하는 수동클러치 제어장치(3)를 포함한다. 제어장치(38)는 수동클러치 제어장치(3)의 위치와 차량브레이크(4)의 작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자동/반자동기계 변속장치(10)는 전기 및/또는 유압동력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용어 "브리프" 및 "디프" 란 수동 트로틀패달(24)의 오퍼레이터 선택위치와 관계 없이 엔진에 대한 연료공급의 자동콘트롤러(38)가 명령하는 증가 및 감소를 의미한다. 엔진은 전기적으로 제어되고, SAE J1922, SAE J1939 및/또는 CAN 프로토콜과 일치하는 형의 전자데이터 링크(DL) 프로토콜과 일치하는 형으 전자데이터 링크(DL)에 대해 콘트롤러(28)과 연결되어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38)가 하우징에는 박스 또는 하우징(38A)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에는 업시프트 표시 디스프레이(2'), 다운시프트 표시 디스플레이(2") 및 시프트 선택 레버(1), 임의 역구동버톤(1A) 및 중앙처리장치 전자회로(38B)를 구비하고 있다.
반자동기계 변속장치(10)의 제어장치의 개략도 제2도에 표시되어 있다.
제3b도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2)는 업시프트 표시부(2') 다운시프트표시부(2") 및 현재 맞물린 기어비 디스플레이부(2")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듯이 현재 맞물린 기어비 디스플레이부(2")는 차량변속기가 제6기어에서작동하는 것을 표시하는 "6"을 현재 디스플레잉하고 있다. 업시프트 디스플레이부(2')는 소정의 논리법칙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될 때 감지된 엔진 또는 입력축속도 및 감지된 출력축속도와 같은 감지된 입력 파라미터에 따라 허용된 허용 가능한 연속 업시프트의 최대수를 펴시하는 세 개의 선을 지니고 있다. 이 상태에서, 세 개의 선을 단일, 이중 또는 삼중 업시프트가 허용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제7, 제8 또는 제어속중 어느 하나에 대해 직접 허용가능한 시프트를 선택할 수 있다. 다운시프트 디스플레이(2")부 (2")는 소정의 논리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될 때 감지된 파라미터에 따라 허용된 허용가능한 연속다운시프트의 최대수를 표시하는 두 개의 선을 지닌다. 현상태에서, 디스플레이(2')의 두 개의 선을 변속기가 제5기어라 제4기어 중 하나에 허용가능하게 다운시프트 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간단히 가능한 업시프트 또는 다운시프트의 허용성은 간단히 가능한 업시프트 또는 다운시프트의 허용성은 결정되거나 산출된 차량속도 및 완전맞물린 마스터 클러치에서 이러한 업시프트나 다운시프트를 완료할때에 기어엔진 속도를 고정범위의 최대 및 최소 허용가능한 엔진속도와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중앙처리장치(38)는 선택된 허용가능하지 않는 비변경을 실행하도록 명령신호를 발생시키기 않는다. 바람직하기로는 중앙처리장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택된 비율변경에 대해 가장 근접한 허용가능한 비율변경을 실행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제3b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디스플레이(2)에 의해 표시된 상태를 하는 경우 오퍼레이터가 제3기어로의 다운시프트를 하면, 이러한 다운시프트는 허용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중앙처리장치(38)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앙처리장치(38)는 제6기어에서 제4기어로의 이중 다운시프트를 위해 명령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기어시프트는 기계수동 클러치 패달(3)에 의해 오퍼레이터 수동 맞물림 및/또는 분리 마스터 클러치 없이 성취된다. 수동클러치 패달(3)이 제공되는 경우 이 클러치는 차량클러치가 종래대로 이용되기 때문에 정지에서 출발 또는 가동에만 통상 이용된다.
변속기(12)를 시프트하기 위해 운전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레버(1)를 (업시프트인 경우) 앞쪽으로 (다운시프트인 경우)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단일 시프트 (제7기어로의 시프트)를 위해, 오퍼레이터는 레버을 일시 앞쪽으로 이동한 다음 레버가 바이어스하에서 중립 또는 중립위치에 복귀하게 된다.
도시된 것처럼 제6기어에서 오퍼레이터가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각각정지로의 구환이 허여 되면, 오퍼레이터는 스킵시프트를 성취한다. (제7 및제9 속은 맞물리지 않음).
마스터 클러치(16)의 디클러칭과 선택된 기어비와 연관된 좌우클러치 부재의 동기화가 자동 드로틀 및 클러치제어 및 입력축 및/또는 엔진의 브레이킹으로 인해 자동으로 급속히 성취된다. 제어장치는 반자동이고, 운전자가 업다운시프트할 때, 업다운시프트에 대한 기어비의 횟수에 대해 결정해야 하지만, 기어레버, 드로틀패달 및 클러치 작동을 코디네이터 할필요가 없다. 운전자가 허용가능한 기어비를 선택할 때, 드로틀은 다운시프트 동안, 허용가능한 기어비를 선택할 때, 드로틀은 다운시프트 동안, 필요한 동기화를 성취하기 위해 브리프 되거나 업시프트 동안, 필요한 동기화를 성취하기 위해 디프된다. 이들 모두는 중앙처리장치(38)에 의해 운전자에 의해 자동으로 성취된다. 작동의 리머스 모우드는 정지 위치의 중립으로 부터만 성취되고, 제어레버(1)를 현재 맞물린 중립위치에서 뒤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성취된다. 리버스로의 부적절한 다운시프트를 방지하기 위해, 리버스버톤(1A)이 제공되고, 이 버톤이 리버스작동 요구에 따라 중립위치에 있을 때, 중앙처리장치가 제어레버(1)의 뒤쪽 운동을 해설하기 전에 눌러져야 한다.
본 발명이 반자동 기계변속장치에 관련해서 설명했을지라도, 전자동 변속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변속 오퍼레터(34)는 두 개의 부품으로 브레이크 다운 되는 전자유압(EP)메니포올드를 구비하고 있다. 첫째는 프론트박스와 둘째는 백박스작동과 관련이 있다. EP메니포올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고, 시프트 피스톤을 운반하는 실린더와 관련이 있다. 주색션제어는 미합중 특허 제 4,899,607에 도시된 X-Y 형이다. 주색션 제어장치(24)에는 센서(34)가 제공됨으로써 시프트 포오크의 위치와 주색션의 맞물림비를 감지하도록 감지된다.
변속기(12)는 5개 바람직하기로는 9개 이상의 선택 전진비를 지진 다중속도 변속기이다. 12전진속도, 스플리터형 변속기(12) 및 변속기(12)으 부변속색션에 할용되는 블록 죠우클러치 부재의 구조는 선행기술에 공지되어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 3,799,002 ; 3,921,469 ; 3,924,848 ; 4,194,848 ; 4,194,410 ; 4,440,037 ; 4,736,643 및 4,735,109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4도는 참조하면, 변속기(12)는 블록 스플리터형 부색션(214)과 직렬로 연결된 주색션(212)을 포함한다. 변속기는 베어링(220)에 의해 후단에 인접지지된 입력축(218)을 포함하고, 스플라인에 의해 회전할 수 없게 연결된 입력기어(222)가 제공되어 있다. 입력기어(222)는 같은 속도로 다수의 주색션중간축을 구동시킨다. 에시된 실시예에서, 변속기에는 주축(228)의 정반대측에 배설된 두 개의 주색션 중간축(224) 및 (226)이 제공되어 있다. 주축은 입력축(218)과 동축방향으로 배설되어 있고, 전진단에 파일롯부(230)가 제공되어있다.
입력축(218)이 선택적으로 작동하고, 일반적으로 작동하고, 일반적으로 맞물리는 마찰마스터 클러치(c)를 통해 드로틀 제어 디젤엔진 (E)과 같은 원동기에 의해서만 한방으로 구동된다.
각각의 주색션 중간축(224) 및 (226)에는 동일한 크기와 수의 이빨의 한쌍의 기어(236)과 같은 동일한 군의 중간축 기어가 제어되어 있다.
다수의 주색션 주축 구동기어(246), (248), (250) 및 (252)가 주축(228)를 포위하고,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듯이 슬라이딩 클러치 칼라에 의해 선택적으로 클러치 가능하다.
주축(228)을 포위하는 주색션 주축기어(246),(248) 및 (250)이 연속정합 맞물리고, 정반대의 한쌍의 중간축기어(238), (240) 및 (242)에 유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설치수단과 이로인한 특별한 장점이 미합중국 특허 제 3,105,395 및 3,335,616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참고로 포함했다. 주축기어(252)는 역기어이고 종래의 중간 아이들러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한쌍의 중간축기어(244)와 연속정합 맞물려 있다. 맨앞쪽 순간축 기어(236)은 입력축이 화전하도록 구동될때마다. 입력기어(222)와 연속정합되고 구동되어서 중간축(224) 및 (226)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주색션 주축기어(240), (248), (250) 및 (252) 및 주색션 중간축기어 (236), (238), (240), (242) 및 (244) 및 아이들기어가 입력기어(222)와 일정하게 정합하여 구동함으로써 변속기(12)의 입력기어를 결합해서 형성한다.
여러 어버트먼트 링(abutment ring) (254)이 주축(228)에 대해 주색션 주축기어를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제공되어 있다.
슬라이딩 클러치 칼라(256), (258) 및 (260)은 이에 축방향 운동과 회전을 위해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듯이 주축(228)에 스플라인 되어 있다.
슬라이딩 클러치(256)는 클러치 기어(246)를 주축에 클러치 하거나 입력기어(222)( 및 입력축 218))을 주축에 클러치 하기 위해 시프트 포오크(264)에 의해 축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시프트가 어샘블리의 시프트가 또는 레일에 부착되어 있다.
지금, 스플리터 부색션(214)을 고려하면, 주축(228)이 이에 연장되고, 적설한 베어링(276)에 의해 하우징내에 지지된 출력축(274)에 동축방향으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색션은 동일한 그룹의 중간축기어(284), (286) 및 (288)을 지닌 다수의 부색션 중간축(278) 및 (280)을 더 포함한다.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 3,103,395 호에 개시되어 있듯이 트윈 중간축형 복합변속기의 축방향 및 휭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축색션 중간축(224) 및 (226)이 부색션 중간축으로 부터 약 90°변위된다. 주색션 중간축이 베어링(290) 및 (292)에 의해 하우징(216)에 지지되는 반면, 부색션 중간축(278) 및 (280)이 베어링(294) 및 (298)에 의해 하우징 (216)에 지지된다.
두 개의 부색션 주축기어(308) 및 (310)는 주축(328)을 포위하고, 일정하게 정합하여 부중간축 기어쌍(284) 및 (286)에 의해 부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기어(312)는 이에 축방향 운동과 회전을 위해 출력축(274)에 스플라인 되어 있다. 출력기어(312)는 부중간축기어 쌍(288)과 일정하게 정합되어 있다.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된 클러치부재(316), (318) 및 (320)이 주축(288)에 스플라인 되어 있고, 블록커(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해서 탄성블록 클러칭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미합중국 특허 제 3,799,002 ; 3,921,469 ; 3,924,484 및 4,736,643 호에 개시되어 있고 클러치기어(368)(310) 및 (312)를 주축(228)에 선택적으로 클러치 한다. 클러치(316)는 스프링(330)에 의해 축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고, 포지터브 스톱(positive stop)(334)에 의해 축방향으로 제한다.
클러치부새(318) 및 (320)은 주축을 포위하는 스프링(138)에 의해 탄성적으로바이어스되고 스톱(338) 및 (240)에 축방향운동이 제한된다. 기어(312)는 시프트포크(342)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기어 (308) 및 (310)은 링(346)에 의해 결합축방향 운동 및 독립운동을 위해 결합되어 있고, 시프트 포오크(348)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기어(308), (310) 또는 (312)가 주축(228)에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또한, 주축(228)에 대한 기어(312)의 맞물림이 주축(228)을 출력축(274)에 직접커플 하는데 효과적이다.
변속기(12)의 시프트패턴이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록된 탄성바이어스 클러치 블록커 조립체가 제4a도∼제4d도에 도시되어 있다. 항복블록 죠우클러치 구조가 시프트 가능한 주축기어와 부색션 간에 배설되어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 3,799,002 ; 3,924,484 및 3,983,979 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듯이 맞물림을 밀치게 하는 탄성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선행기술의 변형되지 않는 블록커를 활용하는 클러치수단이 서로 동일하지 않을지라도, 이들은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유사하여, 이것이 다른 클러치수단에 인용되어도 본 발명에 판단한 통상반이 어려움 없이 이해하는데 하나의 블록커만을 설명하면 족하다. 따라서, 이 목적을 위해 부변속색션(214)에서 주축기어(308)와 주촉(228)간에 위치한 포지티브 죠우클러치 장치를 참고하면 상기 죠우클러치 장치는 356으로 표시되어 있고, 주축(228)을 포위하는 환상클러치 칼라 또는 클러치(316)를 포함한다. 클 러치칼라(316)에는 주축(228)에 제공되어서 클러치칼라(316)를 주축(228)에 상호 연결하여서 이들간에 회전하게 하는 내부스플라인(358)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협동하는 스플라인(358)과 (360)에 의해 클러치칼라(316)가 축(228)에 대해 클러치칼라(316)는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진다. 클러치칼라(316)을 주축(228)에 상대 축방향 운동을 하지만 회전운동을 하지 않게 하는 설치하는 수단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스톱킹(334)이 축(228)의 외주변에 형성된 적절한 홈에 위치되어 있고, 클러치칼라를 접촉하기 위해 배설되어서 오른쪽 축방향을 운동을 제한한다. 칼라(316)는 스플링(330)에 의해 탄성적으로 통상 밀쳐져 스톱링(334)와 접촉하여 맞물리게 된다.
클러치칼라(316)에는 주축기어(308)이 제공된 내부이빨(364)을 정합할 수 있게 맞물리는 외부이빨(362)이 제공되어 있다. 내부이빨(364)은 클러치 조립체(356)의 다른 죠우클러치 부재를 형성한다. 클러치칼라(316)에 형성된 이빨(362)는 (336)에서 처럼 테이퍼되어 있고, 주축기어(308)에 형성된 리딩에지(leading edge)가 (368)에서 테어퍼되어 있다. 각각의 테이퍼된 원뿔면을 주축(228)의 수평축에 대해 30°∼ 40°의 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데이퍼의 정확한 크기와 이의 장점이 미합중국 특허 제 3,265,17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스프링(330)의 타단은 주축(228)에 고정된 스프링 시이트부재(369)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용한다.
3개의 이빨은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듯이 블로킬링의 존재를 허용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적인 제거에 의해 블록킹링과 협력하는 축방향으로 짧거나 부분적으로 제거된 이빨(370)이 만들어지게 된다. 상대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블록커에 있어서, 소위 블록커링, 블록킹링 및 센서 중 하나는 (324)로 표시했고, 클러치부재(316)을 포위하는 링을 포함하고, 적절히 위치할 때 위에서 언급한 외부이빨과 정합하는 3쌍의 방사상 안쪽의 돌출부(372) 및 (374)를 지니고 있다. 안쪽의 돌출부 또는 이빨(384) 및 (376)이 이측에 등고선 되어 있어서, 하나의 이빨(362)에 대항하여 간단히 위치하고, 각각의 측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된 이빨(370)과 이빨(362)는 간의 공간에 돌출하게 유지되어 있다. 각각의 쌍의 돌출부(370) 및 (374)는 부분적으로 게거된 이빨(370)에 의해 형성된 상응하는 원주공간 보다 크기가 원주로 작아서 블록커링(324) 이 이빨(372)와(374)간의 공간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이빨(370)과 일치하는 제4b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한된 시계방향이나 시계반대방향 중 하나로 회전된다. 클리치 이빨(362)에 의한 블록커 이빨(372) 또는 (374)의 접촉은 이러한 상대 회전을 제한하고, 블록커(324)로 하여금 클러치부재(316)와 회전하게 한다. 내부로 돌출한 이빨(372) 및 (374)간의 공간은 동기화로 적절히 맞물릴 때 (또는 더 정확히) 클러치 부품의 상대속도가 동기화를 교차할때, 이빨(372) 및 (374)가 이빨(370)을 스트래들(straddle)하고 클러치부재(32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블록커링(324)을 통과하지 않어서 해당기어를 맞물리도록 이빨(370)에 해당 원주크기 보다 폭이 넓은 공간거리이다.
도시되어 있듯이 블록커 이빨(372) 및 (374)의 단면은 376 및 378에서 테이퍼되어 있다. 부분적으로 제거된 이빨(270)의 단면에는 블록커링 블록킹 이빨(372) 및 (374)에 형성된 테이퍼 또는 램프 (178) 및 (180)에 보완적인 램프 (380) 및 (382)에 대해 테이퍼가 제공되어 있다. 램프(376), (378), (388) 및 (382)의 각(383)은 블록킹 이빨과 부분적으로 제거된 이빨이 맞물리지만 접촉력하에서 부색션 시프트가 선택되는 경우, 주변속색션이 분리되면(즉, 중립이며)(클러치(316), 블록커(324) 및/또는 주축(228)의 상대회전을 야기시킴으로써 블록커와 클러치를 비 블록킹 위치를 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주축(226)의 회전각에 수직한 평면 (P)에 대한 15°∼25°바람직하기로는 약 20°의 램프각(382)은 공지된 반블록 변속 구조에서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 3,924,484 호에 자세서 설명되어 있듯이, 링(324)의 방사상 내측에는 부품이 조립위치에 있을때 링(386)이 약간 바깥쪽으로 편향되어서 제한된 압력을 상기 이발(362)의 외부면에 가하도록 이빨(362)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작은 내부직경의 환상탄성링(386)을 수용하는 안쪽으로 향하는 홈(384)이 제공되어 있다. 링(386)이 느슨하고 홈(384)의 벽과 가벼운 마찰 접촉만으로 고정될 때 이는 충분한 저항을 블록커링(136)과 클러치링(316) 간의 축방향 운동을 제공하지만 불충한 저항이 상대회전 운동에만 제공한다.
원뿔면 (388)은 블록커링 (324)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기어(308)의 방사상 내벽에 형성된 원뿔면(390)과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견인력을 블록커(324)에 대한 면(390)의 회전구동 효과가 회전저항 보다 큰데 유효하고, 블록커(324) 및 클러치부재(314)사이에 존재한다. 스톱링(392)은 클러치링(316)에 맞물림 밖으로 이동할 때 (제4a도에서 왼쪽으로 이동할 때 블록커(324)의 운동을 원뿔형(390)앞에 제한다.
선택된 부색션(214) 비를 맞물리기 위해, 이 비율은 예비 선택되어야 하고, 관련된 센서가 이 블록킹 위치에 이 이동해야 한다. 이것은 두 개의 방식중 하나에 이해 섭취된다. 주축(228)의 회선속도가 클러치 부재의 상대회전에 리버스(동기교차)를 야기하게 하거나 주색션이 중립으로 시프트하여 주축(228)의 관성을 낮춤으로써 센서 비블록킹 램프(376) 및 (378)이 주축을 비 비록킹 위치에 회전하게 한다.
위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 RE 32,591 호의 방법이 대부분 상황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 블록커는 비 블록킹 상대위치에 클럭 되지 않아서, 예비 선택된 죠우클러치 조립체의 맞물림을 방지한다. 이러한 문제(소위, 블록커 행업)을 감소시키기 위해 엔진과 마스커 클러치를 맞물려야 하고 크러치 조립체를 언블록하기 위해 입력축의 동기 또는 큰 속도 (IS = 〉 OS * GR)을 섭취하여 죠우클러치를 맞물려야 한다.
공지되어 있듯이 변속기(12)에 대한 변속비(GR)이 주변속비(212) ×부변속비(214)에 이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시프트제어에 따라 목표기어비에 대한 시프트를 선택할 때, 주색션이 중립에 선택되고, 스플리터 색션 (214)의 필요한 스플리터비와 연관된 블록 죠우클러치 조립체가 예비선택되고, 적절한 주색션비가 필요시 드로틀 브립 및/또는 엔진 브레이킹에 의해 맞물린다. 바람직한 주색션 비의 맞물림이 위치센서(34A)에 의해 감지된다. 부색션 액츄에이터와 여관된 위치센서는 예비 선택 위치의 선택된 부색션 클러치부재 조립체가 맞물린 위치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 6 기어에서 제 7 기어로의 시프트가 기어(248)을 주축(228)과 분리하고, 클러치(320)를 분리하고 부색션(214)에서 클러치(316)을 예비 선택하고, 클러치(268)에 의해 기어(246)을 주축(228)이 맞물리는 것이 필요하다. 예비선택된 클러치(316)은 주클러치가 중립중 매우 낮은 관성에 있을 때 센서 비 블록킹 램프의 작용하에서 스플리터기어(308)을 주측에 맞물리는 것이 기대된다. 위에서 지적했듯이, 시프트포오크(266) 및/또는 죠우클러치(260)의 축방향 위치를 나타내는 입력신호가 기어(246)의 맞물린 및 맞물리지 않은 상태의 믿을만한 표시인 반면, 시프트포오크(248) 및/또는 기어(308)이 축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블록된 죠우클러치(316)에 의해 기어(308)을 주축(228)의 맞물림 위치만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시프트 제어방법/장치에 따라서, 목표비의 비맞물림이 블록커 행업인 경우 보정해위를 취하고 이 보정행위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작동이 맞물림 조장 저하 모우드를 수행하기 위해 목표비의 맞물림을 확인하도록 제공된 기술이 제공된다.
위치센서(34A)에 의해, 필요한 스플리터 색션비를 예비 선택한 다음, 필요한 주색션비를 맞물리고 이러한 주색션 맞물림을 확인할 때, 목표비의 맞물림은 IS = (OS * GTT) ± K 의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결정된다.
여기서, IS = 입력축속도
OS = 출력축속도
GTT= 목표기어비
K = 소음등의 에러공차
에러공차는 약 50∼150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속도차 (IS - (OS*GRT)가 K를 초과하고, 필요한 주색션비가 맞물리면, 선택된 부색션 스플리터비가 맞물리지 않는다.
선택된 목표기어비가 맞물리지 않았다고 감지될 때, 논리는 어떤 유효비가 맞물려지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먼저 점검한다. 유지시간의 공지 턴 비가 IS/OS = GR 인가후를 점검한다. 목표기어비 외의 공지된 비가 맞물렸다는 것이 결정될 때 맞물린 비와 연관된 스플리터 비가 디폴트 스플리터 비가 되고, 이후, 주색션 시프팅이 수행하는 작동의 고장저하 모우드가 된다. 예를 들어, 목표비가 제8기어이고 IS/IO가 제어기어이고 맞물리면, 시스템은 제어기어로 다시 시프트하라고 명령하고 시프트가 완료될 때, 현재 스플리터 비가 록된다 (즉, 다른 스플리터 비가 스플리터 장치에서 고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효하지 않다). 특별한 경우, 스플리터 (1)(저스플리터)가 디폴트 비가되고, 유효기어가 1R, N, 1, 4, 7 및 10(주박스 시프트).
변속기 어떤 비로 맞물리지 않고, 주색션이 공지된 주색션 비로 맞물리면, 이것은 스플리터 색션이 맞물리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색션이 맞물리지 않았다고 감지될 때, 고정원인 즉 바람직한 스플리터 색션비와 연관된 소정의 블록 클러치 조립체의 행업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정조처가 취해진다. 즉, 의심되는 행업 블록된 클러치 조립체 문제점을 보정하기 위해 엔진은 입력축 회전속도를 동기속도 (즉 IS ≥OS * GRT)와 같거나 초과하게끔 맞물리는 주색션과 마스터클러치에 연료를 공급한 다음 엔진이 입력속도를 동기속도 이하로 하게 하기 이해 연료가 감소됨으로써 의심되는 행업 블록 죠우 어샘블리로 하여금 동기화를 통하게 함으로써 블록커를 블록위치에 노크해야 한다.
이 루우틴은 매우 신속하고, 완료 시프트루우틴의 재사이클을 필요로 하지않는다. 이 보정기술을 완료할 때, 콘트롤러는 식 IS = (OS * GRT) + K에 의해 목표비 맞물림은 다시 시험될 것이다. 속도차가 K보다 작으면, 또 다른 조처가 필요하고, 맞물림 고장 서부루우틴이 탈출된다. 보정행위가 목표비의 여러 맞물림을 일으키지 않으면 위에서 언급했듯이 논리는 공지된비의 맞물림을 위해 재사이클 신호를 한다. 또 다른 스플리터 색션비가 맞물리면, 이 비율을 위해서 설명했듯이 작동의 주색션 시프팅 전용 저하 모우드의 디폴트 스플리터 색션비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제7A도 및 제7B도)에서 주색션이나 부색션이 변속 목표기어비를 위해 바람직한 비로 맞물리때를 감지하고, 관련 부색션 또는 주색션비가 맞물린 시간 주기후 없다는 것을 감지하면, 시프트 제어에 의해 부 또는 주색션이 허용가능한 비로 맞물리게 된후, 맞물리지 않는 부색션 및 주색션비를 결합하여 포함하는 모든 비가 허여되지 않는다.
제1예에서 제7기어로의 시프트가 명령되고, 클러치(260)가 기어(240)과 맞물린 것으로 감지되지만 부색션(214)이 맞물리지 않고 또는 (10-5초의)시간 주기 동안 맞물리지 않게 되면, 제어에 의해 부색션(기어(310)또는(312))이 (주측(228)과 중간 또는 높게 맞물리게 된후 저부색션 (즉, 1,4,7 및 10번째)를 포함하는 결합이 허용되지 않는다. 제2실시예에서, 제7기어로의 시프트가 명령되고, 센서(25) 및 (26)가 부색션(214)이 저속비(기어(308))로 맞물리지만, 주색션비가 기어(222) 또는 (250)을 주축에 맞물리게 된후 주색션 기어(246)을 포함하는 모든 변속비(제어 제8 및 제9)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플리터 색션 맞물림 고장 또는 스플리터 색션 또는 주색션 고장을 감지하고 이러한 고장을 감지할 때 작동의 적절한 고장허용오차 모우두에 적합하는 자동 복합 새미블록형 변속기용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내에서 여러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연료제어엔진과, 주변속색션과 이에 직렬로 연결된 스플리터형 블록 부변속 색션을 지닌 복합스플리터형 일정정합, 변경기어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색션은 상기 주색션의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기는 다수의 공지된 변속비를 형성하며, 각각의 변속비는 고유주색션비와 고유부색션비의 맞물림의 고유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주색션과 부색션 시프팅 수단과, (i)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ii)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함으로 바람직한 변속비를 결정하고, 명령출력신호를 상기 시프팅 수단에 발생시키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목표비 (GRT)로의 변속비의 변경을 명령하고 중립으로의 주변속색션의 시프팅을 명령하고, 다음 필요한 부색션비를 맞물리도록 부변속색션의 시프팅을 명령하고, 필요한 하나의 주색션비를 맞물리도록 주변속 색션의 시프트를 명령하는 자동기계 변속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필요한 미국의 주색션의 맞물림의 명령이 완료될때,
    (가) 필요한비의 주색션의 맞물림을 확인하는 단계와 ;
    (나) 목표비의 변속기의 맞물림을 확인을 감지하는 단계와 ;
    (다) 변속기가 목표비로 맞물린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어떤 변속비의 변속기의 맞물림의 확인을 감지하는 단계와 ;
    (라) 변속기가 목표기 이외의 변속비로 맞물린 것으로 확인되면, (i) 부색션 맞물림 고장을 감지하고, (ii) 현재 맞물린 부색션을 유지시키고 (iii) 부변속비가 아니라 주변속색션의 시프팅을 허여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신호는 입력축의 회전속도 (IS)와 출력축의 회전속도 (OS)를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하고 맞물림을 IS = (OS * GR) + K 일때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여기서, GR은 수치기어비, K는 허용오차 계수.
  3. 제2항에 있어서, K는 값은 약 50∼15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4. 연료제어엔진과, 주변속색션과 이에 직렬로 연결된 스플리터형 블록 부변속 색션을 지닌 복합스플리터형 일정정합, 변경기어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색션은 상기 주색션의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기는 다수의 공지된 변속비를 형성하며, 각각의 변속비는 고유주색션비와 고유부색션비의 맞물림의 고유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주색션과 부색션 시프팅 수단과 (i)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ii)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함으로 바람직한 변속비를 결정하고, 명령출력신호를 상기 시프팅 수단에 발생시키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목표비 (GRT)로의 변속비의 변경을 명령하고 중립으로의 주변속색션의 시프팅을 명령하고, 다음 필요한 부색션비를 맞물리도록 부변속색션의 시프팅을 명령하고, 필요한 하나의 주색션비를 맞물리도록 주변속 색션의 시프트를 명령하는 자동기계 변속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필요한 미국의 주색션의 맞물림의 명령이 완료될때,
    (가) 필요한비의 주색션의 맞물림을 확인하는 수단와 ;
    (나) 목표비의 변속기의 맞물림을 확인을 감지하는 수단와 ;
    (다) 변속기가 목표비로 맞물린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어떤 변속비의 변속기의 맞물림의 확인을 감지하는 수단와 ;
    (라) 변속기가 목표기 이외의 변속비로 맞물린 것으로 확인되면, (i) 부색션 맞물림 고장을 감지하고, (ii) 현재 맞물린 부색션을 유지시키고 (iii) 부변속비가 아니라 주변속색션의 시프팅을 허여하는 단계를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신호는 입력축의 회전속도 (IS)와 출력축의 회전속도 (OS)를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하고 맞물림을 IS = (OS * GR) + K 일때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여기서, GR은 수치기어비, K는 허용오차 계수.
  6. 제5항에 있어서, K는 값은 약 50∼15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7. 연료제어엔진과, 주변속색션과 이에 직렬로 연결된 스플리터형 블록 부변속 색션을 지닌 복합스플리터형 일정정합, 변경기어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색션은 상기 주색션의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기는 다수의 공지된 변속비를 형성하며, 각각의 변속비는 고유주색션비와 고유부색션비의 맞물림의 고유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주색션과 부색션 시프팅 수단과 (i)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ii)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함으로 바람직한 변속비를 결정하고, 명령출력신호를 상기 시프팅 수단에 발생시키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목표비 (GRT)로의 변속비의 변경을 명령하고 중립으로의 주변속색션의 시프팅을 명령하고, 다음 필요한 부색션비를 맞물리도록 부변속색션의 시프팅을 명령하고, 필요한 하나의 주색션비를 맞물리도록 주변속 색션의 시프트를 명령하는 자동기계 변속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i) (가) 필요한비의 주색션의 맞물림을 감지하는 단계와 ;
    (i) (나) 필요한비 주색션의 맞물림을 확인할 때 목표비의 변속기의 맞물림의 확인을 감지하는 단계와 ;
    (i) (다) 변속기가 예비설정주기후 목표비로 맞물린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부색션이 목표기어비에 필요한 부색션비외의 비로 맞물리게 하고, 목표비에 필요한 부색션비를 결합하는 포함하는 모든 변속비를 또다른 유효하지 않은 목표기어비로 나타내는 단계와 ;
    (ii) (가) 필요한비의 부색션의 맞물림을 감지하는 단계와 ;
    (i) (나) 필요한비의 부색션의 맞물림을 감지할때 목표비의 변속기의 확인을 감지하는 단계와 ;
    (ii) (다) 변속기가 예비설정주기후 목표기어비로 맞물린 것으로 확인되지 않을때 주색션으로 하여금 목표기어비에 필요한 주색션비외의 비로 맞물리게 하고, 목표비에 필요한 주색션비를 결합적으로 포함하고 모든 변속비를 유효하지 않은 또 다른 목표기어비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신호는 입력축의 회전속도 (IS)와 출력축의 회전속도 (OS)를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하고 맞물림을 IS = (OS * GR) + K 일때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
    여기서, GR은 수치기어비, K는 허용오차 계수.
  9. 제8항에 있어서, K는 값은 약 50∼15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주축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신호는 주축 (MS)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신호(35)를 포함하고, 부변속색션 맞물림은 MS = (OS * GRAUX) + K일때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여기서, GR는 수지 부변속 기어비.
  11. 연료제어엔진과, 주변속색션과 이에 직렬로 연결된 스플리터형 블록 부변속 색션을 지닌 복합스플리터형 일정정합, 변경기어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색션은 상기 주색션의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기는 다수의 공지된 변속비를 형성하며, 각각의 변속비는 고유주색션비와 고유부색션비의 맞물림의 고유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주색션과 부색션 시프팅 수단과 (i)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ii)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함으로 바람직한 변속비를 결정하고, 명령출력신호를 상기 시프팅 수단에 발생시키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목표비 (GRT)로의 변속비의 변경을 명령하고 중립으로의 주변속색션의 시프팅을 명령하고, 다음 필요한 부색션비를 맞물리도록 부변속색션의 시프팅을 명령하고, 필요한 하나의 주색션비를 맞물리도록 주변속 색션의 시프트를 명령하는 자동기계 변속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i) (가) 필요한비의 주색션의 맞물림을 감지하는 수단와 ;
    (i) (나) 필요한비 주색션의 맞물림을 확인할때 목표비의 변속기의 맞물림의 확인을 감지하는 수단와 ;
    (i) (다) 변속기가 예비설정주기후 목표비로 맞물린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부색션이 목표기어비에 필요한 부색션비외의 비로 맞물리게 하고, 목표비에 필요한 부색션비를 결합하는 포함하는 모든 변속비를 또 다른 유효하지 않은 목표기어비로 나타내는 수단와 ;
    (ii) (가) 필요한비의 부색션의 맞물림을 감지하는 수단와 ;
    (i) (나) 필요한비의 부색션의 맞물림을 감지할때 목표비의 변속기의 확인을 감지하는 수단와 ;
    (ii) (다) 변속기가 예비설정주기후 목표기어비로 맞물린 것으로 확인되지 않을때 주색션으로 하여금 목표기어비에 필요한 주색션비외의 비로 맞물리게 하고, 목표비에 필요한 주색션비를 결합적으로 포함하고 모든 변속비를 유효하지 않은 또 다른 목표기어비로 나타내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KR1019950017444A 1994-06-25 1995-06-26 맞물림 고장의 저하 모우드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274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12805.5 1994-06-25
GB9412805A GB9412805D0 (en) 1994-06-25 1994-06-25 Engagement fault degraded mode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561A KR960001561A (ko) 1996-01-25
KR100274962B1 true KR100274962B1 (ko) 2000-12-15

Family

ID=1075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444A KR100274962B1 (ko) 1994-06-25 1995-06-26 맞물림 고장의 저하 모우드의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37894A (ko)
EP (1) EP0688977B1 (ko)
JP (1) JPH0849763A (ko)
KR (1) KR100274962B1 (ko)
CN (1) CN1116167A (ko)
AT (1) ATE191069T1 (ko)
CA (1) CA2151631C (ko)
DE (1) DE69515732T2 (ko)
ES (1) ES2144573T3 (ko)
GB (1) GB9412805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12809D0 (en) * 1994-06-25 1994-08-17 Eaton Corp Splitter section engagement control
KR100500721B1 (ko) * 1996-03-14 2005-11-25 루크 게트리에베시스템 게엠베하 차량및제어방법
GB9617956D0 (en) * 1996-08-28 1996-10-09 Eaton Corp Downshift control method/system for vehicular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US6047799A (en) * 1996-11-12 2000-04-11 Luk Getriebe-Systeme Gmbh Emergency facilities for influencing defective constituents of power trains in motor vehicles
US5974354A (en) * 1997-02-05 1999-10-26 Eaton Corporation Engagement of gear ratio confirmation
DE19753061C1 (de) * 1997-11-29 1999-06-1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12-Gang-Schaltgetriebe in 2x3x2-Bauweise
US6223113B1 (en) 1998-11-20 2001-04-24 Caterpillar Inc. Default modes of a transmission utilizing electro-hydraulic clutches
US6146310A (en) * 1999-01-15 2000-11-14 Eaton Corporation Adaptive automated transmission downshift control
US6066071A (en) * 1999-01-15 2000-05-23 Eaton Corporation Automated transmission downshift control
US6257082B1 (en) * 2000-03-13 2001-07-10 Eaton Corporation Auxiliary section control for manual transmission
JP4674389B2 (ja) * 2000-04-24 2011-04-2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変速制御装置
US6945910B1 (en) * 2000-09-26 2005-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rajectory control system
SE526642C2 (sv) * 2004-02-17 2005-10-18 Scania Cv Abp Anordning samt förfarande för detekterande av växelläge i en motorväxellåda samt användning av en sådan anordning
DE502005010052D1 (de) * 2004-11-18 2010-09-16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fahren zum feststellen einer beschädigung in der schaltaktorik eines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s
US7544140B2 (en) * 2006-01-03 2009-06-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vehicular drive system
JP4993455B2 (ja) * 2006-11-24 2012-08-0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車の駆動装置
KR101370150B1 (ko) * 2007-08-02 2014-03-0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변속기 고장시 변속방지 장치
AU2015275245B2 (en) * 2012-01-25 2016-11-0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ate of function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8886378B2 (en) 2012-01-25 2014-11-1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ate of function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8712651B2 (en) * 2012-06-18 2014-04-29 Chrysler Group Llc Control strategies for a multi-mode drive system
US9399466B2 (en) * 2014-10-13 2016-07-26 Zf Friedrichshafen Ag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US20180094723A1 (en) * 2016-10-05 2018-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rationalizing measured gear ratio values in a vehicle propulsion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5395A (en) 1962-12-26 1963-10-01 Eaton Mfg Co Automotive device
US3265173A (en) 1961-12-18 1966-08-09 Eaton Mfg Co Sliding clutch gear
US3335616A (en) 1966-01-20 1967-08-15 Eaton Yale & Towne Twin countershaft with fixed main shaft
US3799002A (en) 1972-07-31 1974-03-26 Eaton Corp Transmission with resiliently loaded main shaft gears
US3921469A (en) 1972-07-31 1975-11-25 Eaton Corp Transmission with resiliently loaded main shaft gears
JPS5340453B2 (ko) 1973-06-26 1978-10-27
US3983979A (en) 1974-03-20 1976-10-05 Eaton Corporation Sensor unblocking ramps
US3924484A (en) 1974-03-20 1975-12-09 Eaton Corp Sensor unblocking ramps
US3961546A (en) 1974-09-17 1976-06-08 Allis-Chalmers Corporation Digital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US4081065A (en) 1976-12-23 1978-03-28 Smyth Robert Ralston Controlled power clutch
US4194410A (en) 1977-08-05 1980-03-25 Eaton Corporation Blocked transmission
US4361060A (en) * 1978-01-24 1982-11-30 Smyth Robert Ralston Mechanical automatic transmission
US4192196A (en) 1978-07-31 1980-03-11 Eaton Corporation Blocked change gear transmission and improved blocker and jaw clutch assembly therefor
DE2835051C2 (de) * 1978-08-10 1984-06-2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Vorrichtung zur Regelung des übertragbaren Momentes von Reibelementen
DE3128235A1 (de) 1981-07-14 1983-02-03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Sicherungseinrichtung
US4735109A (en) * 1981-07-27 1988-04-05 Eaton Corporation Semi-blocked transmission
US4440037A (en) 1981-11-04 1984-04-03 Eaton Corporation Shift control
US4527447A (en) * 1982-12-06 1985-07-09 Eaton Corporation Automatic mechanical transmission system
JPS6011765A (ja) * 1983-06-30 1985-01-22 Fujitsu Ltd 変速段の検出方式
US4576263A (en) 1984-03-23 1986-03-18 Eaton Corporation Clutch control
US4930078A (en) 1984-07-23 1990-05-29 Eaton Corporation Semi-automatic mechanical transmission control and control method
GB8418749D0 (en) * 1984-07-23 1984-08-30 Eaton Ltd Semi-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US4576065A (en) 1984-09-12 1986-03-18 Eaton Corporatio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s with multiple downshift off-highway mode
US4569255A (en) 1984-09-12 1986-02-11 Eaton Corporatio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s with off-highway mode
US4595986A (en) * 1984-10-09 1986-06-17 Eaton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 of automatic mechanical transmission system utilizing a microprocessor based electronic controller
US4736643A (en) 1986-03-07 1988-04-12 Eaton Corporation Blocked jaw clutch assembly
GB8725981D0 (en) 1987-11-05 1987-12-09 Eaton Corp X-y shifting mechanism
JPH01172660A (ja) * 1987-12-28 1989-07-07 Aisin Aw Co Ltd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のフェールセーフ制御装置
JPH07107425B2 (ja) * 1987-12-28 1995-11-1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のフェールセーフ制御装置
JPH02253050A (ja) * 1989-03-27 1990-10-11 Diesel Kiki Co Ltd 車輌用自動変速装置の制御方法
GB8906918D0 (en) 1989-03-28 1989-05-10 Eaton Corp Method for upshifting a compound semi-blocked splitter type automatic mechanical transmission
GB9001273D0 (en) * 1990-01-19 1990-03-21 Eaton Corp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t system including in-gear fault detection & tolerance
JP2600982B2 (ja) * 1990-06-08 1997-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とエンジンの総合制御システム
US5109721A (en) * 1991-05-09 1992-05-05 Eaton Corporation Range shifting only fault tolerance method/system
JPH05141523A (ja) * 1991-11-12 1993-06-08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制御における位置センサの異常検出方法
US5261298A (en) * 1992-06-26 1993-11-16 Eaton Corporation Enhanced semi-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system
US5441463A (en) * 1993-10-28 1995-08-15 Eaton Corporation Selected speed ratio not-engaged range section recovery by shifting to a non-selected speed ratio and if permitted, shifting to the selected speed ratio
US5487004A (en) * 1993-10-29 1996-01-23 Eaton Corporation Control system/method for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412805D0 (en) 1994-08-17
JPH0849763A (ja) 1996-02-20
DE69515732D1 (de) 2000-04-27
ES2144573T3 (es) 2000-06-16
CA2151631A1 (en) 1995-12-26
ATE191069T1 (de) 2000-04-15
EP0688977B1 (en) 2000-03-22
DE69515732T2 (de) 2000-11-09
KR960001561A (ko) 1996-01-25
CN1116167A (zh) 1996-02-07
CA2151631C (en) 1999-11-16
US5537894A (en) 1996-07-23
EP0688977A3 (en) 1996-09-18
EP0688977A2 (en) 199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962B1 (ko) 맞물림 고장의 저하 모우드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234791B1 (ko) 기어벗경고 방법 및 장치
RU2116895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механическая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ключением в коробке передач
US5042327A (en) Method for upshifting a compound semi-blocked splitter type automatic mechanical transmission
KR100318246B1 (ko) 자동기계변속제어장치및방법
EP0512707B1 (en) Range shifting only fault tolerance method/system
KR100316749B1 (ko) 변속제어장치및방법
EP1767826B1 (en) Fail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H0621646B2 (ja) 自動式機械的トランスミツシヨンシステム
KR0143224B1 (ko) 드로틀 제어 고장 검출 및 허용도 방법/시스템
EP0651180B1 (en) Range section gearing recovery from not-engaged condition
EP0688978B1 (en) Splitter section engagement control
KR100299017B1 (ko) 강제맞물림제어장치및제어방법
EP0512708B1 (en) Compound power downshift method/system
EP1514041B1 (en) Method of detecting false neutral in an automated transmission system
US6371888B1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KR20030089857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킥 다운 4 - 3 변속 제어 방법
JP2006283904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