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643B1 -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용 브레이크슈,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및 비상정지기능부착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용 브레이크슈,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및 비상정지기능부착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643B1
KR100272643B1 KR1019970005346A KR19970005346A KR100272643B1 KR 100272643 B1 KR100272643 B1 KR 100272643B1 KR 1019970005346 A KR1019970005346 A KR 1019970005346A KR 19970005346 A KR19970005346 A KR 19970005346A KR 100272643 B1 KR100272643 B1 KR 100272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emergency stop
elevator
ceramic
silicon carb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949A (ko
Inventor
마사히로 까토
야수히로 고토
타까유끼 후까사와
히데히꼬 꼬바야시
토시아끼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8002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 F16D69/027Compositions based on metals or inorganic ox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용 블레이크슈는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속·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 그리고 레일에 대해서 우수한 내베이크성을 갖는다. 이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용 블레이크슈는 블레이크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매설된 돌출부가 원주형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주형을 이루는 복수의 블레이크편을 구비한다. 상기 블레이크편은 질화규소, 탄화규소 및 사이아론에서 선택하는 세라믹모재와, 이 모재에 분산되는 입경 10∼150㎛의 탄화물, 질화물 및 붕화물에서 선택한 적어도 1종의 세라믹 입자를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용 브레이크슈,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및 비상정지기능부착 엘리베이터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용 브레이크슈,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및 비상정지기능 부(付)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승강기의 불의의 파손 등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비상정지 장치가 부설되어 있다. 이 비상정지장치는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거나 승강함의 저부에 붙이기[이하 취부(取付)라고 한다]된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擴口自在)한 한쌍의 단부를 갖는 U자형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이 외측으로 경사진 한쌍의 판형 가이드부재와, 상기 각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을 따라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상기 브레이크슈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비상정지장치에서 상기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해 상기 승강함이 낙하할 때에 그 낙하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리프트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挾指)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슈와 상기 레일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낙하하는 상기 승강함이 감속정지된다.
그런데 종래 상기 브레이크슈는 적당한 마찰계수와 내마모성을 갖는 주철이나 동계(銅系) 소결합금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해마다 건축물의 고층화에 따른 고속, 대용량화하는 엘리베이터의 수요에 대해 마찰로 발생하는 열 및 마찰계수 저하의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동작 속도가 800m/분에 달할 경우에는 마찰슬라이드면에서의 국소적인 온도는 1000℃를 넘을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온도가 상기 엘리베이터의 감속정지시에 발생하면, 금속으로 된 브레이크슈로는 강도면에서도 내열성의 점에서도 사용이 곤란해진다. 더구나 감속정지후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반응에 의한 베이킹 등의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일본국 특공소 62-34674호 공보에는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스 판을 가공하여 복수의 돌기자(突起子)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슬라이드부재를 금속으로 된 본체의 레일과 대향하는 제동면측에 매입한 구조의 브레이크슈를 사용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세라믹으로 된 복수의 돌기자는 세라믹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감속정지시에서 레일의 협지에 따른 충격으로 상기 돌기자의 취부부분이 파손하고, 상기 돌기자에 의한 마찰계수가 극단으로 저하한다. 즉 제동작용이 저하한다. 또 상기 세라믹스재료는 마모량이 대단히 적기 때문에 돌기자 1개당 마모특성이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비상시에 신속히 감속정지를 하기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온·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 및 레일에 대해 우수한 내베이킹성을 가지며, 안정한 제동특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온·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 및 레일에 대하여 우수한 내베이킹성을 가지며, 더욱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며, 안정한 제동특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한 제동특성을 가지며, 소형화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한 승강함의 낙하시에 레일과의 베이킹 등이 생기는 일이 없이 상기 승강함을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기능을 갖춘 엘리베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비상정지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를 난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엘리베이터의 화살표 A에서 본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
제5(a)도는 제3도의 비상정지장치의 브레이크슈에 조립되는 브레이크편을 나타낸 단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브레이크편의 정면도.
제6(a)도는 제3도의 비상정지장치의 브레이크슈에 조립되는 다른 브레이크편을 나타낸 단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브레이크편의 정면도.
제7도는 제3도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비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9(a)도는 제8도의 비상정지장치에 조립되는 브레이크슈를 나타낸 정면도.
제9(b)도는 제9(a)도의 IXB-IXB선을 따른 단면도.
제10(a)도는 제8도의 비상정지장치에 조립되는 다른 브레이크슈를 나타낸 정면도.
제10(b)도는 제10(a)도의 XB-XB선을 따른 단면도.
제11(a)도는 제8도의 비상정지장치에 조립되는 또 다른 브레이크슈를 나타낸 정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의 XIB-XIB선을 따른 단면도.
제12(a)도는 제8도의 비상정지장치에 조립되는 또 다른 브레이크슈를 나타낸 정면도.
제12(b)도는 제12(a)도의 XIIB-XIIB선을 따른 단면도.
제13(a)도는 제8도의 비상정지장치의 브레이크슈에 조립되는 브레이크편을 나타낸 단면도.
제13(b)도는 제13(a)도의 브레이크편의 정면도.
제14(a)도는 제8도의 비상정지장치의 브레이크슈에 조립되는 또다른 브레이크편을 나타낸 단면도.
제14(b)도는 제14(a)도의 브레이크편의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비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조립되는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비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의 마찰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마찰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특성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8 및 비교예 19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의 마찰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마찰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특성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8 및 비교예 19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로 된 핀형상 시험편의 시험후의 상대마모량을 나타낸 특성도.
제23(a)도는 실시예 60∼94에서 사용한 시험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제23(b)도는 제23(a)도의 XXIIIB-XXIIIB선을 따른 단면도.
제24(a)도는 실시예 60∼94에서 사용한 다른 시험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제24(b)도는 제24(a)도의 XXIVB-XXIVB선을 따른 단면도.
제25(a)도는 실시예 60∼94에서 사용한 또 다른 시험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제25(b)도는 제25(a)도의 XXVB-XXVB선을 따른 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95, 96 및 비교예 19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의 마찰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마찰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특성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95, 96 및 비교예 19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로 된 핀형상 시험편의 시험후의 상대마모량을 나타낸 특성도.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본체(brake body); 및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 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brake shoe)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비상시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함; 상기 승강함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함의 저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취부된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해 상기 승강함이 낙하할 때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비상정지기능 부 엘리베이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복수의 세라믹섬유를 상기 제동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분산시켜 매설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 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복수의 세라믹섬유를 상기 제동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분산시켜 매설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비상시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함; 상기 승강함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함의 저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취부된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복수의 세라믹섬유를 상기 제동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분산시켜 매설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해 상기 승강함이 낙하할 때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매설된 돌출부가 원주 형상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브레이크편으로서, 질화규소, 탄화규소 및 사이아론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입경 10∼150㎛의 탄화물, 질화물 및 붕화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세라믹스입자를 분산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매설된 돌출부가 원주 형상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브레이크편을 가지며, 또한 상기 브레이크편은 질화규소, 탄화규소 및 사이아론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입경 10∼150㎛의 탄화물, 질화물 및 붕화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세라믹스입자를 분산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비상시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함; 상기 승강함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함의 저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취부된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매설된 돌출부가 원주 형상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브레이크편을 가지며, 또한 상기 브레이크편은 질화규소, 탄화규소 및 사이아론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입경 10∼150㎛의 탄화물, 질화물 및 붕화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세라믹스입자를 분산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해 상기 승강함이 낙하할 때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 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비상정지기능 부 엘리베이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비상시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슈는 (a) 브레이크 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 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으로 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그 상부측일수록 큰 힘으로 압압하는 탄성력을 갖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함; 상기 승강함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함의 저부에 의해 취부된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가 취부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해 상기 승강함이 낙하할 때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슈는 (a) 브레이크 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 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으로 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그 상부측일수록 큰 힘으로 압압하는 탄성력을 갖는 비상정지기능 부 엘리베이터가 제공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비상정지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를 제1도∼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비상정지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A에서 본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한쌍의 비상정지장치(1)는 승강함(2)의 좌우 저부에 각각 대향하여 취부되고 있다. 승강기(도시하지 않음)의 로프(3)는 상기 승강함(2)의 상판에 취부되고 있다. 한쌍의 레일(4)은 상기 한쌍의 비상정지장치(1)가 배치된 상기 승강함(2)의 측면을 따라 그 승강방향(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함(2)측에 면하여 도중에 취부된 걸림부재(5)를 갖는 조속기 로프(6)는 층아래의 풀리(7)와 옥상 등에 설치된 조속기(8)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제1레버(9)는 상기 걸림부재(5)에 걸리어 있다. 선단이 상기 승강함(2)의 우측면측에 위치한 제2레버(10)는 상기 제1레버(9)에 장척(長尺) 레버(11)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2개의 리프트 와이어(12)는 선단이 상기 제1레버(9)에 각각 취부되고 있다. 상기 각 리프트 와이어(12)의 하단은 상기 승강함(2)의 좌측 저부에 취부된 상기 비상정지장치(1)의 후술하는 브레이크슈에 취부되고 있다. 2개의 리프트 와이어(13)는 산단이 상기 제2레버(10)에 각각 취부되고 있다. 상기 리프트 와이어(13)의 하단은 상기 승강함(2)의 우측 저부에 취부된 상기 비상정지장치(1)의 후술하는 브레이크슈에 취부되고 있다. 파지(把持)부재(14)는 상기 조속기(8)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기(도시하지 않음)의 고장 등으로 인해 그 로프(3)가 절단되어, 상기 승강함(2)이 낙하하여 상기 승강함(2)과 상기 레버(9, 10) 등을 통해 연결된 상기 조속기 로프(6)의 하강속도가 설정속도를 넘은 것을 상기 조속기(8)에서 검출하면, 이 검출신호가 상기 파지부재(14)에 출력되어 그 파지부재(14)가 작동하여 상기 조속기 로프(6)를 파지한다. 이와 같이 조속기 로프(6)가 파지되면, 그 도중에 취부된 상기 걸림부재(5)에 걸린 제1, 제2의 레버(9, 10)에 의해 그것들에 취부된 리프트 와이어(12, 13)가 잡아당겨져서 후술하는 한쌍의 비상정지장치(1)의 브레이크슈를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이와 같은 걸림부재(5)를 갖는 조속기 로프(6), 풀리(7), 조속기(8), 제1, 제2의 레버(9, 10), 장척 레버(11), 리프트 와이어(12, 13) 및 파지부재(14)로 리프트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비상정지장치(1)는 제2도∼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지지판(151, 152)에 의해 고정된 상부 스토퍼 플레이트(16) 및 하부 스토퍼 플레이트(17)를 갖춘다. 상기 상하의 스토퍼 플레이트(16, 17)의 전면 중앙부에는 가늘고 긴 홈(18, 19)이 각각 절삭되어 있다. 상기 홈(18, 19)에는 상기 T자형 레일(4)의 돌기부가 각각 삽통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판(151, 152)측에 위치한 상기 상부 스토퍼 플레이트(16)의 양단 하부에는 절삭부(201, 2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판(151, 152)측에 위치한 상기 하부 스토퍼 플레이트(17)의 양단 상부에는 절삭부(211, 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하부가 외측에 직각으로 굴곡한 2개의 빔(221, 222)은 상단이 상기 승강함(2)의 저면에 각각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상부 스토퍼 플레이트(16)상에 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역대형(逆臺形) 블록으로 된 한쌍의 가이드부재(231, 232)는 그것들의 상하단부가 상기 각 지지판(151, 152) 및 상기 상하의 스토퍼 플레이트(16, 17)로 구획된 공간내에 서로 대향하는 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는 상기 각 지지판(151, 152)측에 위치한 상하 단부에 돌기편(241, 251, 242, 2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편(241, 251, 242, 252)은 상기 상하의 스토퍼 플레이트(16, 17)의 상기 절삭부(201, 202, 211, 212)에 각각 걸려 있다. 이와 같이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는 상기 상부 스토퍼 플레이트(16)의 하면 및 상기 하부 스토퍼 플레이트(17)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 자재하게 배치된다. 상면의 형상이 U자형을 이루고, 확구자재한 양단부(261, 262)를 갖는 탄성부재(27)는 상기 양단부(261, 262) 부근의 내면이 상기 공간내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부재(231, 232)의 외측 측면에 맞닿아서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7)를 삽입하면, 상기 양단부(261, 262)의 탄성력이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에 인가되어, 이들 가이드부재(231, 232)를 서로 근접시키는 힘이 작동한다. 단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는 서로 소정의 간격 이상 근접하는 것을 상기 절삭부(201, 202, 211, 212)의 상승벽부로 규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의 배치에 의해 그것들간에 거의 역 V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한쌍의 브레이크슈(281, 282)는 상기 가이드부재(231, 232)간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 그것들의 하부는 상기 하부 스토퍼 플레이트(17)상에 재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슈(281, 282)는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4각대형 기둥형상을 이루는 브레이크본체(291, 292)와, 이 본체(291, 292)의 제동면측에 매설된 가늘고 긴 판상의 브레이크편(301, 3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슈(281, 282)는 상기 가이드부재(231, 232)의 내측 경사면에 상기 브레이크본체(291, 292)의 외측 경사면이 접촉하여 상하이동 자재하게 배치된다. 또 상기 각 브레이크슈(281, 282)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상기 레일(4)의 돌기부가 위치한다. 상기 리프트 와이어(13)는 상기 브레이크슈(281, 282)의 전면 하부에 각각 취착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본체(291, 292)는 예컨대 연강, 주철 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브레이크편(301, 302)은 이하에 설명하는 (1-1)∼(1-4)의 재료 또는 구조를 갖는다.
(1-1) 브레이크편
이 브레이크편은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다.
상기 세라믹물질의 함유량을 규정한 이유는 그 함유량을 10중량% 미만으로 하면, 상기 세라믹모재 단체와 비교하였을 때의 마찰계수의 향상 및 마찰계수의 경시적 변화의 방지를 달성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물질의 함유량의 상한은 상기 브레이크편의 치밀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4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규소 위스커(침상형상), 탄화규소 플레이트릿(판 형상)은 각각 단독으로 상기 세라믹모재에 함유하여도 좋다. 단 브레이크편의 마찰계수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형상이 다른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플레이트릿의 양자를 함유시킨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브레이크편
이 브레이크편은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이 10중량% 이상 함유되고, 또 탄화규소, 질화규소, 탄소 및 텅스텐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섬유가 10∼55체적% 함유된 복합재료로 된다.
상기 연속섬유는 지름이 수10∼수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연속섬유의 길이는 상기 브레이크편의 크기 등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다.
상기 연속섬유의 함유량을 규정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한 것이다. 상기 연속섬유의 함유량을 10체적% 미만으로 하면, 상기 브레이크편의 마찰계수를 향상시킨다거나 경시변화를 방지하거나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상기 연속섬유의 함유량이 55체적%를 넘으면, 상기 세라믹모재의 강도가 역으로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를 감속정지시에 레일과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브레이크편의 세라믹모재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상기 연속섬유의 함유량은 15∼30체적%이다.
(1-3) 브레이크편
이 브레이크편(301, 302)은 제5(a)도, 제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의 세라믹모재(31)에 다수의 세라믹섬유(32)를 상기 모재(31)의 표면(상술한 제3도의 브레이크슈(281, 282)의 제동면이 되는 면)에 노출하고, 또 상기 표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매설된 구조를 갖는다.
(1-4) 브레이크편
이 브레이크편(301, 302)은 제6(a)도, 제6(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판상의 세라믹모재(31)에 세라믹섬유의 다발(33)을 상기 모재(31)의 표면(상술한 제3도의 브레이크슈(281, 282)의 제동면이 되는 면)에 노출하고, 또 상기 표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매설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1-3), (1-4)의 브레이크편에 사용되는 세라믹모재는, 예를 들어 질화규소, 사이아론, 탄화규소 등으로 된다. 사이아론은 α-사이아론, β-사이아론의 어느 것도 좋으나, Si6-ZAlZOZN8-Z(0≤z≤4.2)로 표시되는 β-사이아론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세라믹모재는 내부에 탄화규소와 같은 세라믹으로 된 위스커, 플레이트릿 또는 연속섬유가 매설되어 강화된 것을 허용한다.
상기 (1-3), (1-4)의 브레이크편에 사용되는 세라믹섬유는, 예를 들어 탄화규소로 된다.
다음에 상술한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에 조립된 비상정지장치의 작용을 상술한 제3도, 제4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운전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술한 제3도,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브레이크슈(281, 282)의 제동면은 레일(4)의 돌기부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의한 승강함(2)의 감속정지작동은 하지 않는다.
한편 승강기의 고장 등에 의해 제1도에 나타낸 로프(3)가 절단되면, 상기 로프(3)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함(2)이 낙하하는, 소위 비상시 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함(2)의 낙하에 따라 그 승강함(2)과 상기 레버(9, 10) 등을 거쳐서 연결된 상기 조속기 로프(6)도 하강한다. 이 하강속도가 설정속도를 넘은 것을 상기 조속기(8)에서 검출하면, 이 검출신호가 파지부재(14)에 출력되어 그 파지부재가 작동하여 상기 조속기 로프(6)를 파지한다. 이와 같이 조속기 로프(6)가 파지되면, 그 도중에 취부된 상기 걸림부재(5)와 걸린 제1, 제2 레버(9, 10)에 의하여 이들에 취부된 리프트 와이어(12, 13)가 잡아당겨진다. 리프트 와이어(12, 13)가 잡아당겨지면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비상정지장치(1)에서 각 브레이크슈(281, 282)가 U자형 탄성부재(27)의 양단부(261, 262)의 서로 근접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이드부재(231, 232)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려진다. 상기 브레이크슈(281, 282)가 끌어올려지면, 그것들의 대향거리가 좁혀져서 대향면(제동면)이 레일(4)의 돌기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27)의 반작용의 탄성력에 의해 그것들의 제동면이 상기 레일(4)의 돌기부를 협지하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 브레이크슈(281, 282)의 제동면에는 브레이크편(301, 30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슈(281, 282)에 의한 상기 레일(4)의 돌기부의 협지에 의해 브레이크편(301, 302)과 상기 레일(4)의 돌기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낙하하는 상기 승강함(2)이 감속정지된다.
상술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1)에 의한 승강함(2)의 감속정지과정에서, 레일(4)에 슬라이드하는 브레이크편(301, 302)을 상기 (1-1)에서 설명한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플레이트릿으로부터 얻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이 10중량% 이상 포함한 복합재료로 형성함으로써,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속·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 그리고 레일에 대한 우수한 내베이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마찰계수의 경시적 변화를 억제할 수가 있다.
즉 세라믹단체로 브레이크편을 형성하면, 레일의 돌기 사이의 슬라이드에서 레일재와 세라믹간의 친화력이 차차 좋아져서 어떤 종류의 윤활효과가 발현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과 같이 세라믹모재와 달리 이방성이 대단히 강한 형상의 위스커, 플레이트릿을 세라믹모재에 함유시킨 복합재료로 브레이크편을 형성하면,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속·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낼 뿐 아니라, 레일과 상기 브레이크편의 슬라이드면에서의 윤활효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마찰계수의 경시적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1-1)의 브레이크편(301, 302)을 갖는 브레이크슈(281, 282)를 갖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1)는 승강기의 고장 등에 의해 그 로프(3)가 절단되는 비상시에 낙하하는 승강함(2)을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브레이크편을 상기 (1-2)의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이 10중량% 이상 함유되고, 또한 탄화규소, 질화규소, 탄소 및 텅스텐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섬유가 0∼55체적% 함유된 복합재료로 형성하면,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속·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 그리고 레일에 대하여 우수한 내베이킹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상기 세라믹모재가 상기 연속섬유에 의해 강화된다. 그 결과, 상기 브레이크편(301, 302)을 갖는 브레이크슈(281, 282)를 갖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1)는 승강기의 고장 등에 의하여 로프(3)가 절단된 비상시에 상기 레일(4)과 슬라이드하는 상기 브레이크편(301, 302)의 세라믹모재는 균열 등을 발생함이 없이 낙하하는 승강함(2)을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1-3)에서 설명한 제5(a)도, 제5(b)도에 나타낸 판상의 세라믹모재(31)에 세라믹섬유(32)를 그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매설하여 노출시킨 구조를 갖는 브레이크편(301, 302)은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속 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 그리고 레일에 대하여 우수한 내베이킹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표면에 노출한 다수의 미세 지름의 세라믹섬유가 경질입자를 매입한 것과 마찬가지 효과를 발현하며, 또 경질입자와 같이 탈락한 입자가 레일을 손상함이 없이, 안정적인 마찰마모 특성을 발휘한다. 특히 상기 (1-4)에 설명한 제6(a)도, 제6(b)도에 나타낸 판상의 세라믹모재(31)에 세라믹섬유의 다발(33)을 그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매설하여 노출시킨 구조를 갖는 브레이크편(301, 302)은 레일을 손상함이 없이, 가일층 안정된 마찰마모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브레이크편(301, 302)을 갖는 브레이크슈(281, 282)를 갖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1)는 승강기의 고장 등에 의해 그 로프(3)가 절단되는 비상시에 낙하하는 승강함(2)을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브레이크슈 (1-1)∼(1-3)은 높은 마찰계수와 강인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슈를 압압하는 탄성체의 탄성력을 적게 하여도 종래의 브레이크슈와 동등한 제동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탄성체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제1도, 제2도의 엘리베이터에 조립되는 다른 비상정지장치를 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제3도와 같은 부재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8도에 나타낸 비상정지장치(41)는 가이드부재(231, 232)간에 서로 대향하고, 또 하부가 하부 스토퍼 플레이트(17)상에 재치되는 한쌍의 브레이크슈(421, 422)를 갖추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슈(421, 422)는 브레이크본체(43)와, 이 본체(43)의 대향면(제동면)측에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각각 매설되고, 돌출부가 원주 형상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블레이편(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본체(43)는 예컨대 연강, 주철 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브레이크슈(421, 422)는,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2-1)∼(2-4)의 구조를 갖는다.
(2-1) 브레이크슈
이 브레이크슈(421, 422)는 제9(a)도, 제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측의 면을 포함한 3개의 측면이 수직한 4각대형을 이루고, 제동면측에 장방형의 오목부(45)를 갖는 금속으로 된 브레이크본체(43)를 갖추고 있다. 복수, 예를 들어 6개의 원주 형상 관통구멍(46)을 갖는 구형의 금속제 보지블록(47)은 상기 본체(43)의 오목부(45)내에 시트 형상 완충재인 내열제 섬유제 시트(48)를 거쳐 매설되어 있다. 상기 보지 블록(47)은 나사(49)에 의해 상기 본체(43)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 예를 들어 6개의 원주 형상의 브레이크편(44)은 상기 보지블록(47)의 각 관통구멍(46)내에 내열성 장섬유로 된 원통체(50)를 거쳐 각각 상기 보지블록(47)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46)내에 상기 원통체(50)와 함께 고정되어 있다. 격자 형상 홈은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의 전면(제동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브레이크본체(43) 및 상기 보지블록(47)은 예컨대 스테인리스, 내열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은 질화규소, 탄화규소 및 사이아론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입경 10∼150㎛의 탄화티탄, 탄화텅스텐과 같은 탄화물, 질화티탄과 같은 질화물 및 붕화티탄과 같은 붕화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스입자를 분산시킨 복합재료로 된다.
상기 세라믹스입자는 상기 브레이크편의 전체에 분산시켜도 좋으나, 브레이크편의 표면(제동면)을 포함한 표면층에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스입자가 분산된 표면층을 갖는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은 표면(제동면)이 높은 마찰계수를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다. 단 상기 세라믹스입자를 상기 표면층에 분산시키는 경우에는 표면으로부터 전체 두께의 30% 이내에 이르는 표층에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의 두께가 브레이크편 전체 두께의 30%를 넘으면, 감속정지시의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표층 두께의 하한치에 대해서는 격자 형상 홈의 형성과의 관계로 상기 표층 두께를 상기 격자 형상 홈의 깊이보다 얇게 하면 박리하기 쉽기 때문에, 브레이크편 전체 두께의 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스입자를 상기 브레이크편 전체에 분산시킬 경우에는, 상기 세라믹모재에 5∼30중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세라믹스입자를 상기 브레이크편의 표층에 분산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세라믹모재 표층에 5∼30중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편(44)의 세라믹모재에 분산시키는 세라믹스입자의 평균입경을 규정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상기 세라믹스입자의 평균입경을 10㎛ 미만으로 하면, 마찰계수가 높은 브레이크편(44)을 얻기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세라믹스입자의 평균입자가 150㎛를 넘으면, 상기 세라믹스입자의 균일한 분산이 곤란해져서 브레이크편(44)의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상기 세라믹스입자의 평균입경은 40∼80㎛ 이다.
상기 브레이크편(44)에서 질화규소와 같은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섬유, 텅스텐섬유 등의 내열성 섬유나 탄화규소 위스커 등의 단섬유를 더 복합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브레이크편(44)의 상기 보지블록(47)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0.5∼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의 돌출 높이를 0.5mm 미만으로 하면, 감속정지시의 레일에 대한 제동작용을 충분히 발휘하기가 곤란해진다. 한편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의 돌출 높이가 2mm를 넘으면, 감속정지시의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은 두께(T)에 대한 최대 길이(L)의 비(L/T)를 0.5∼1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편(44)은 감속정지시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의 표면(제동면)에 형성되는 격자 형상 홈은 0.1∼0.5mm의 깊이, 0.5∼5mm의 피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자 형상 홈의 깊이가 0.1mm 미만이고 피치가 5mm를 넘으면, 각 브레이크편(44)의 표면(제동면)에 홈 형성에 의한 충분한 마찰계수의 향상효과를 부여하기가 곤란해진다. 한편 격자 형상 홈의 깊이가 0.5mm을 넘고 피치를 0.5mm 미만으로 하면, 각 브레이크편(4-1)의 내충격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상기 시트(48) 및 원통체(50)를 구성하는 내열성 장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탄화규소 또는 탄소의 3차원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2-2) 브레이크슈
이 브레이크슈(421,422)는 제10(a)도, 제10(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측의 면을 포함한 3개의 측면이 수직한 4각대형을 이루고, 제동면측에 장방형의 오목부(45)를 갖는 금속으로 된 브레이크본체(43)를 갖추고 있다. 구형의 금속제 보지블록(47)은 상기 본체(43)의 오목부(45)내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 보지블록(47)은 복수, 예를 들어 6개의 원주 형상 구멍(51)을 가지며, 또 이들 구멍(51)의 저부의 상기 보지블록(47) 부분에는 후술하는 나사부가 관통되는 작은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내열성 장섬유로 된 저부가 있는 원통체(53)는 상기 본체(43)의 각 원주 형상 구멍(52)내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금속제의 나사부(54)가 슬라이드면과 반대측에 매입된 구조의 복수, 예를 들어 6개의 원주 형상의 브레이크편(44)은 상기 보지블록(47)의 각 구멍(51)내의 상기 저부가 있는 원통체(53)에 상기 보지블록(47)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각각 삽입되고, 또 상기 나사부(54)가 상기 보지블록(47)의 작은 구멍(52) 및 상기 저부가 있는 원통체(53)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43)에 나사식으로 취부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을 상기 본체(43)애 고정하면, 상기 보지블록(47)도 상기 본체(43)에 고정된다. 격자 형상 홈은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의 전면(제동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본체(43) 및 상기 보지블록(47)은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은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구성을 갖는다.
상기 브레이크편(44)의 상기 보지블록(47)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0.5∼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의 표면(제동면)에 형성되는 격자 형상 홈은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0.1∼0.5mm의 깊이, 0.5∼5mm의 피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부가 있는 원통체(53)를 구성하는 내열성 장섬유로는, 예를 들어 탄화규소 장섬유 등을 들 수 있다.
(2-3) 브레이크슈
이 브레이크슈(421,422)는 제11(a)도,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측의 면을 포함한 3개의 측면이 수직한 4각대형을 이루고, 제동면측에 장방형의 오목부(45)를 갖는 금속으로 된 브레이크본체(43)를 갖추고 있다. 구형의 금속제 보지블록(47)은 상기 본체(43)의 오목부(45)내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 보지블록(47)은 나사(49)에 의해 상기 본체(43)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지블록(47)은 복수, 예를 들어 6개의 원주 형상 구멍(52)을 가지며, 또 이들 구멍(52)은 그 저부측에서 유로(55)를 거쳐 서로 연통되어 있다. 원판형의 금속판(56)은 상기 보지블록(47)의 원주 형상 구멍(52)의 중간 부근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액체, 예를 들어, 유압기용 기름(57)은 상기 금속판(56)을 경계로 하여 제동면과 반대측의 상기 원주 형상 구멍(52) 및 유로(55)내에 수용되어 있다. 즉 상기 금속판(56)은 상기 기름(57)을 상기 원주 형상 구멍(52) 및 유로(55)내에 봉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복수, 예를 들어 6개의 원주 형상 브레이크편(44)은 상기 보지블록(47)의 각 구멍(52)내에 상기 보지블록(47)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각각 삽입되고, 또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은 접착제에 의해 구멍(52)내에 고정되어 있다. 격자 형상 홈은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의 전면(제동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본체(43) 및 상기 보지블록(47)은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은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구성을 갖는다.
상기 브레이크편(44)의 상기 보지블록(47)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0.5∼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44)의 표면(제동면)에 형성되는 격자 형상 홈은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0.1∼0.5mm의 깊이, 0.5∼5mm의 피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 브레이크슈
이 브레이크슈(421,422)는 제12(a)도, 제1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측의 면을 포함한 3개의 측면이 수직한 4각대형을 이루고, 제동면측에 장방형의 오목부(45)를 갖는 금속으로 된 브레이크본체(43)를 갖추고 있다. 복수, 예를 들어 5개의 원추대형 구멍(58)을 갖는 구형의 금속제 보지블록(47)은 상기 본체(43)의 오목부(45)내에 내열성 장섬유시트(48)를 거쳐 매설됨과 동시에, 상기 원추대형 구멍(58)내에 상기 보지블록(47)의 이면측으로부터 원추대형의 브레이크편(59)이 내열성 장섬유로 된 원추대통체(60)를 거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 보지블록(47)은 나사(49)에 의해 상기 본체(43)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지블록(47)의 고정에 의해 원추대형의 상기 각 브레이크편(59)은 상기 보지블록(47)의 표면으로부터 소망하는 높이로 돌출된다. 격자 형상 홈은 상기 브레이크편(59)의 전면(제동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본체(43) 및 상기 보지블록(47)은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편(59)은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구성을 갖는다.
상기 브레이크편(59)의 상기 보지블록(47)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0.5∼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브레이크편(59)의 표면(제동면)에 형성되는 격자 형상 홈은 상기 (2-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0.1∼0.5mm의 깊이, 0.5∼5mm의 피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48) 및 원추대통체(60)를 구성하는 내열성 장섬유로는, 예를 들어 탄화규소 장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2-1)∼(2-3)의 브레이크슈에서 브레이크편으로서 각을 둥글게 한 3각주, 4각주, 5각주, 6각주와 같은 각주 형상을 이루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2-4)의 브레이크슈의 브레이크편은 각을 둥글게 한 3각추, 4각추, 5각추, 6각추와 같은 각추형을 이루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2-1), (2-2) 및 (2-4)의 브레이크슈에서, 완충제인 내열성 장섬유를 상기 브레이크편의 이면측만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2-4)의 브레이크슈에서 원추대형을 이루는 브레이크편을 저부측에 상술한 제10(a)도, 제10(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부를 형성하거나, 상술한 제11(a)도,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 보지블록내에 액체를 수용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2-1)∼(2-3)의 브레이크슈에 사용하는 브레이크편에서 전면(제동면)에 제13(a)도, 제1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라미드형의 돌기부(61)를 다수 배열한 구조, 또는 제14(a)도, 제1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선묵형의 돌기부(62)를 레일과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다수 배열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2-4)의 브레이크슈에 사용하는 브레이크편에서도, 전면(제동면)에 피라미드형 또는 생선묵형의 돌기부를 다수 배열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의 높이가 1mm를 넘으면, 이 돌기부가 있는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를 감속정지시에 레일에 슬라이드 접촉시킬 때, 상기 돌기부가 취부된 부분에서 파손하여 탈락할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돌기부의 높이는 0.2∼1.5mm이다.
다음에 상술한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에 조립된 비상정지 장치의 작용을 상술한 제8도 및 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평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도,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브레이크슈(421, 422)의 대향면은 레일(4)의 돌기부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41)에 의한 승강함(2)의 감속정지작동이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승강기의 고장 등에 의해 제1도에 나타낸 로프(3)가 절단되면, 상기 로프(3)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함(2)이 낙하하는, 소위 비상시 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함(2)의 낙하에 따라 그 승강함(2)과 상기 레버(9, 10) 등을 거쳐 연결된 상기 조속기 로프(6)도 하강한다. 이 하강속도가 설정속도를 넘은 것을 조속기(8)가 검출하면, 이 검출신호가 파지부재(14)에 출력되어, 그 파지부재(14)가 작동하여 상기 조속기 로프(6)를 파지한다. 이와 같이 조속기 로프(6)가 파지되면, 그 도중에 취부된 상기 걸림부재(5)에 걸린 제1, 제2 레버(9, 10)에 의해 그것들에 취부된 리프트 와이어(12, 13)가 잡아당겨진다. 리프트 와이어(12, 13)가 잡아당겨지면,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비상정지장치(41)에서 한쌍의 브레이크슈(421, 422)가 U자형 탄성부재(27)의 양단부(261, 262)의 서로 근접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대항해서 가이드부재(231, 232)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려진다. 상기 브레이크슈(421, 422)가 끌어올려지면, 그것들의 대향거리가 좁혀져서 대향면(제동면)이 레일(4)의 돌기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27)의 반작용로서의 탄성력에 의해 그것들의 제동면이 상기 레일(4)의 돌기부를 협지하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 브레이크슈(421, 422)의 제동면측에는 복수의 브레이크편(44)이 각각 그 제동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슈(421, 422)에 의한 상기 레일(4)의 돌기부의 협지에 의해 브레이크편(44)과 상기 레일(4)의 돌기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낙하하는 상기 승강함(2)이 감속정지된다.
상술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41)에 의한 승강함(2)의 감속정지과정에서, 레일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브레이크슈(421, 422)는 상기 (2-1)에서 설명한 제9(a)도, 제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질화규소, 탄화규소 및 사이아론으로부터 선택된 세라믹모재에, 입경 10∼150㎛의 탄화물, 질화물 및 붕화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스입자를 분산한 복합재료로 된 복수의 원주 형상 브레이크편(44)을 브레이크본체(43)의 제동면측에 각각 금속제 보지블록(47)을 거쳐 그 보지블록(47)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고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브레이크편(44)은 1000℃를 넘는 내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그 돌출면에서와 고속·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고, 또한 감속정지시에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감속정지시의 레일에 대한 제동작용을 충분히 발휘할 수가 있다.
즉 상기 브레이크편(44)을 질화규소와 같은 세라믹모재에 탄화티탄과 같은 경질의 세라믹스입자를 분산시킨 복합재료를 구성함으로써, 레일의 돌기와의 슬라이드에서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속·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를 발현할 수 있다. 특히 표층(예를 들어 표면으로부터 전체 두께의 30% 이내에 이르는 표층)에 상기 세라믹스입자가 분산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은 표면(제동면)이 높은 마찰계수를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다. 또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편(44)은 원주상을 가짐과 동시에 각각 독립하여 상기 보지블록(47)으로 본체(4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균열 등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균열이 발생하여도 개개의 브레이크편(44)에 멈추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상기 (2-1)의 브레이크슈(421, 422)를 갖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41)는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편(44)에 의한 높은 마찰계수와 균열하기 어려운 성질에 의해, 승강기의 고장 등으로 인해 그 로프(3)가 절단되는 비상시에 낙하하는 승강함(2)을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브레이크편(44)의 상기 본체(43)측 및 주위에 탄화규소의 3차원 섬유와 같은 내열성 장섬유의 시트(48) 및 원통체(50)를 배치하면, 감속정지시의 상기 브레이크편(44)에 대한 충격을 상기 시트(48) 및 원통체(50)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편(44)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와 같은 브레이크슈(421, 422)를 갖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41)는 승강기의 고장 등에 의해 로프(3)가 절단되는 비상시에, 낙하하는 승강함(2)을 보다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브레이크편(44)의 표면(제동면)에 0.1∼0.5mm의 깊이, 0.5∼5mm의 피치로 격자 형상 홈을 형성하거나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찰계수를 보다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마모로 인해 생긴 잔사(殘渣)의 배출 및 열의 방출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이와 같은 브레이크슈(421, 422)를 갖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41)는 승강기의 고장 등에 의해 그 로프(3)가 절단되는 비상시에, 낙하하는 승강함(2)을 보다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2-2)에서 설명한 제10(a)도, 제10(b)도에 나타낸 브레이크슈(421,422)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 효과를 갖는 외에, 브레이크편(44)을 이것에 일체화된 나사부(24)에 의해 본체(43)에 직접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편(44)을 접착제로 금속제 보지블록(47)에 고정하는 방식에 비해 고정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보지블록(47)의 표면으로부터 높은 정밀도로 돌출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2-3)에서 설명한 제11(a)도, 제11(b)도에 나타낸 구조의 브레이크슈(421,422)는 금속제 보지블록(47)에 복수의 원주 형상 구멍(52) 및 이것을 연통하는 유로(55)내에 예컨대 유압기용 기름과 같은 액체(57)를 상기 각 원주 형상 구멍(52)내의 중간 부근에 배치한 금속판(56)으로 각각 봉하고, 상기 원주 형상 구멍(52)내에 브레이크편(44)을 각각 접착제를 거쳐서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문에 감속정지시의 상기 브레이크편(44)과 상기 레일(4)의 돌기부간의 슬라이드 접촉시에, 어떤 곳의 브레이크편(44)에 가해진 압력은 상기 액체(57)을 통해서 다른 브레이크편(44)을 상기 레일(4)의 돌기부를 향해서 압압하는 작용이 작동된다. 결국 상기 보지블록(47)에 배치된 모든 브레이크편(44)을 상기 레일(44)의 돌기부에 균일하게 슬라이드 접촉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복수의 브레이크편(44)의 모두를 상기 레일(4)의 돌기부에 대한 제동작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상기 브레이크편(44)을 가진 브레이크슈(421,422)를 갖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41)는 승강기의 고장 등에 의해 그 로프(3)가 절단되는 비상시에, 낙하하는 승강함(2)을 보다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2-4)에서 설명한 제12(a)도, 제12(b)도에 나타낸 구조의 브레이크슈(421,422)는 상기 (2-1)의 브레이크슈(421,422)와 마찬가지 효과를 가지는 외에, 복수의 원추 대형의 브레이크편(59)를 원추대형 구멍(58)을 갖는 장방형의 금속제 보지블록(47)을 사용하여 본체(43)에 고정함으로써, 충격 등에 의해 상기 각 브레이크편(59)이 튀어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브레이크슈 (2-1)∼(2-3)은 높은 마찰계수와 강인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슈를 압압하는 탄성체의 탄성력을 적게 하여도 종래의 브레이크슈와 동등한 제동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탄성체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승강수단(elevating means)에 의해 1250m/분의 고속도로 승강하는 승강함을 비상정지시킬 경우에는 종래의 브레이크슈로는 레일에 대한 마찰계수(coefficient of friction)가 적다. 이 때문에 비상정지장치에 조립되는 탄성체는 상술한 U자형 판스프링에 비해 탄성력이 큰 코일형의 탄성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코일형의 탄성체는 판스프링에 비해 대형이며 중량이 크다. 그 결과, 비상정지장치는 상기 코일형의 탄성체로 인해 중량이 증대할 뿐 아니라, 상기 탄성체가 취부된 승강함을 지지하여 승강하는 로프의 중량도 증대한다. 따라서 상술한 코일형의 탄성체를 갖춘 비상정지장치가 조립된 엘리베이터는 가동시의 소비전력이 증대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관한 비상정지장치의 브레이크슈는 1250m/분의 고속도로 승강하는 승강함을 비상정지시킬 때의 레일에 대한 마찰계수(coeffecient of friction)가 크다. 그러므로 비상정지장치에 상기 브레이크슈에 대한 탄성력이 비교적 적고, 경량의 U자형 판스프링으로 된 탄성체를 조립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탄성체를 경량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 탄성체가 취부된 승강함을 지지하여 승강하는 로프도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U자형 탄성체를 비상정지장치가 조립된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는 가동시의 소비전력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제1도, 제2도의 엘리베이터에 조립되는 또 다른 비상정지장치를 제16도, 제1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제3도와 같은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6도에 나타낸 비상정지장치(71)는 한쌍의 지지판(151, 152) 및 상하의 스토퍼 플레이트(16, 17)로 구획된 공간내에 양단부(721, 722) 부근의 내면이 각 가이드부재(231, 232)의 외측 측면에 맞닿도록 삽입된 탄성부재(73)를 갖추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73)는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형상이 U자형을 이루며, 상기 양단부(721,722)의 하부가 외측으로 확구하고 그들 양단부(721, 722)의 탄성력이 상부측일수록 커지는 구조를 갖는다.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4각대상 기둥형을 이루는 한쌍의 브레이크슈(741, 742)는 상기 가이드부재(231, 232)간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 그것들의 하부는 상기 하부 스토퍼 플레이트(17)위에 재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는 서로 대향하는 제동면측에 제동작용을 갖는 재료를 배치한 구조의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좋으나, 특히 상술한 (1-1)∼(1-4)의 브레이크편을 브레이크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한 구조, 또는 상술한 (2-1)∼(2-4)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술한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에 조립된 비상정지장치의 작용을 상술한 제16도, 제17도 및 제1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평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브레이크슈(741, 742)의 대향면은 레일(4)의 돌기부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의한 승강함(2)의 감속정지작동이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승강기의 고장 등에 의해 제1도에 나타낸 로프(3)가 절단되면, 상기 로프(3)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함(2)이 낙하하는, 소위 비상시 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함(2)의 낙하에 따라 그 승강함(2)과 상기 레버(9, 10) 등을 거쳐 연결된 상기 조속기 로프(6)도 하강한다. 이 하강속도가 설정속도를 넘은 것을 조속기(8)가 검출하면, 이 검출신호가 파지부재(14)에 출력되어, 그 파지부재(14)가 작동하여 상기 조속기 로프(6)를 파지한다. 이와 같이 조속기 로프(6)가 파지되면, 그 도중에 취부된 상기 걸림부재(5)에 걸린 제1, 제2 레버(9, 10)에 의해 그것들에 취부된 리프트 와이어(12, 13)가 잡아당겨진다.
상기 리프트 와이어(12, 13)가 잡아당겨지면,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비상정지장치(71)에서 한쌍의 브레이크슈(741, 742)가 U자형 탄성부재(73)의 양단부(721, 722)에 의해 서로 근접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대항해서 가이드부재(231, 232)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려진다.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가 끌어올려지면, 그것들의 대향거리가 좁혀져서 대향면(제동면)이 레일(4)의 돌기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73)의 반작용으로서의 탄성력이 가해지는 상기 가이드부재(231,232)에 의해 그것들의 제동면이 상기 레일(4)의 돌기부를 협지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재(231, 232)로의 탄성력이 균열하면 상기 브레이크슈(741,742)를 끌어올릴 때의 레일(4)에 대한 모멘트력이 그 하방으로 국소적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실제로 레일(4)을 슬라이드하는 데 기여하는 상기 브레이크슈(741,742)의 면적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으므로 상술한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형상이 U자형을 이루며, 상기 양단부(721,722)의 하부가 외측으로 확구하여 그들 양단부(721, 722)의 탄성력이 상부측일수록 커지는 구조를 갖는 탄성부재(73)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를 끌어올릴 때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에 의한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에 대한 압압력을 그 상부측일수록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의 레일(4)에 대한 모멘트력이 그것들의 하부에 집중하는 것을 완화하여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의 제동면 전체를 레일(4)에 슬라이드 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브레이크슈(741, 742)의 제동면 전체로 상기 레일(4)의 돌기부를 협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와 상기 레일(4)의 돌기부 사이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여, 낙하하는 상기 승강함(2)을 감속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단부(721, 722)의 탄성력이 상부측일수록 커지는 구조를 갖는 탄성부재(73)를 비상정지장치(71)에 조립함으로써, 브레이크슈(741, 742)와 레일(4)의 돌기간의 슬라이드 면적을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찰력의 향상이나 종래와 동등한 슬라이드특성을 실현할 경우에는 탄성부재의 소형화 등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를 그 상부측일수록 큰 힘으로 압압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조립한 비상정지장치는 상술한 제16도에 나타낸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부재의 외측 측면에 복수의 탄성부재를 그 외측측면의 상부측일수록 큰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형상이 U자형을 이루며, 확구자재한 양단부(751, 752)를 갖는 제1탄성부재(76)를 한쌍의 지지판(151, 152) 및 상하의 스토퍼 플레이트(16, 17)로 구획된 공간내에 상기 양단부(751, 752) 부근의 내면이 2개의 가이드부재(231, 232)의 외측 측면의 하부측에 맞닿도록 삽입하고, 또 상면 형상이 U자형을 이루고, 확구자재한 양단부(771, 772)를 가지며, 상기 제1탄성부재(76)보다 탄성력이 큰 제2탄성부재(78)를 상기 양단부(771, 772) 부근의 내면이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의 외측 측면의 상부측에 맞닿도록 삽입하여 비상정지장치(81)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비상정지장치(81)에 의하면,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의 외측 측면의 하부측에 제1탄성부재(76)를 배치하고, 또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의 외측 측면의 상부측에 상기 제1탄성부재(76)보다 탄성력이 큰 제2탄성부재(78)를 배치하고, 그들 탄성부재(76, 78)를 압압하여 브레이크슈(741, 742)를 끌어 올릴 때, 상기 각 가이드부재(231, 232)에 의한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에 대한 압압력을 그 상부측일수록 크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제16도의 비상정지장치(71)와 마찬가지로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의 레일(4)에 대한 모멘트력이 그것들의 하부에 집중하는 것을 완화하여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의 제동면 전체를 레일(4)에 슬라이드 접촉시킬 수가 있으므로, 상기 브레이크슈(741, 742)와 상기 레일(4)의 돌기부 사이에 큰 마찰력을 작용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32 및 비교예 1∼12]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세라믹모재와 탄화규소 위스커(SiCw) 및 탄화규소 플레이트릿(SiCpl)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된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와 레일간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한 관성마찰시험을 하였다. 여기서 상기 세라믹모재로 사용된 사이아론은 Si6-ZAlZOZN8-Z(0≤z≤4.2)의 z치를 2로 하는 Si4Al2O2N6로 된 β-사이아론이며, Si3N4, Al2O3, AlN의 혼합분말로 제작하였다.
상기 관성마찰시험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실시하였다. 각 브레이크재료를 핀형상 시험편(TP1)으로, 레일재인 SS400재를 원판형의 시험편(TP2)으로 가공하였다. 실험은 회전하는 시험편(TP2)의 원형면에 시험편(TP1)의 선단을 밀어붙이고, 동시에 시험편(TP2)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밀어붙임압력, 마찰력, 회전수를 측정하여 마찰속도와 마찰계수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실험조건은 800m/분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조건을 토대로 설정하고, 면압은 20MPa가 되도록 하중을 설정하였다. 슬라이드 개시직후의 마찰속도 750m/분과 중간의 마찰속도 400m/분의 마찰계수의 값을 각각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및 표 2중의 μ 750은 슬라이드 개시직후의 마찰속도 750m/분의 마찰계수, μ 400은 슬라이드 개시직후의 마찰속도 400m/분의 마찰계수의 값을 각각 나타낸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그리고 상기 표 1의 실시예 1, 표 2의 비교예 1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에 대해, 마찰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마찰계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제20도에 나타낸다.
상기 표 1, 표 2 및 제20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32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는 어느 것이나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고, 또 그 값도 변화하지 않아서 우수한 마찰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사이아론은 그 자체 단체로서도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32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연신주철(ductile cast iron)로 된 브레이크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하여 한쌍의 브레이크슈를 제작하고, 이것들을 제1도∼제4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조립하여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80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황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이 감속정지하였다.
[실시예 33∼57 및 비교예 13∼18]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세라믹모재와 탄화규소 위스커(SiCw) 및 탄화규소 플레이트릿(SiCpl)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각종의 연속섬유로 된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와 레일간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한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각 브레이크재료를 핀형상 시험편(TP1)으로, 레일재인 SS400재를 원판형의 시험편(TP2)으로 가공하였다. 실험은 회전하는 시험편(TP2)의 원형면에 시험편(TP1)의 선단을 밀어붙이고, 동시에 시험편(TP2)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밀어붙임압력, 마찰력, 회전수를 측정하여 마찰속도와 마찰계수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실험조건은 800m/분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조건을 토대로 설정하고, 면압은 실시예 1의 배의 값인 100MPa가 되도록 하중을 설정하였다. 슬라이드 개시직후의 마찰속도 750m/분과 중간의 마찰속도 400m/분의 마찰계수의 값 및 균열발생상황을 각각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표 3 및 표 4중의 μ 750은 슬라이드 개시직후의 마찰속도 750m/분의 마찰계수, μ 400은 슬라이드 개시직후의 마찰속도 400m/분의 마찰계수의 값을 각각 나타낸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상기 표 3,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33∼57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는 어느 것이나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고, 또 그 값도 변화하지 않아서 우수한 마찰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균열발생이 없는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3∼57의 브레이크편용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연신주철로 된 브레이크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하여 한쌍의 브레이크슈를 제작하고, 이것들을 제1도∼제4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조립하여,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80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황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이 감속정지하였다.
[실시예 58]
소결조제로서 Y2O35중량% 및 Al2O32중량%를 포함한 질화규소분말에 1700℃를 넘는 내열제 및 고마찰계수를 갖는 탄화규소 장섬유(TEXTRON사제 상품명: SCS-6)를 최종 판상물 표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30중량% 배합하고, 질소 분위기중에서 1700℃로 프레스압 300kg/㎠의 조건에서 1시간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상술한 제5(a)도, 제5(b)도에 나타낸 구조의 브레이크편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58의 브레이크편파 레일간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한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브레이크편을 선단면에 대해 상기 탄화규소 장섬유가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핀형상 시험편(TP1)을 가공하였다. 또 레일재인 SS400재를 원판형의 시험편(TP2)으로 가공하였다. 실험은 회전하는 시험편(TP1)의 원형면에 시험편(TP1)의 선단을 밀어붙이고, 동시에 시험편(TP2)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밀어붙임압력, 마찰력, 회전수를 측정하여, 마찰개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마찰계수의 변화 및 핀형상 시험편의 시험후의 상대마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제21도, 제22도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조건은 800m/분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조건을 토대로 설정하였다. 또 제21도, 제22도에 비교예 19로서 FC250으로 된 강재로 가공한 핀형상 시험편(TP1)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마찰계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마찰계수의 변화 및 핀형상 시험편의 시험후의 상대마모량을 각각 나타낸다.
제21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58의 브레이크편은 비교예 25의 브레이크재료에 비해 마찰직후부터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고, 또한 실험개시로부터 정지시에 이르기까지 더욱 안정된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제22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58의 브레이크편은 상대마모량에 있어서도 비교예 19의 브레이크재료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실시예 58의 브레이크편을 연신주철로 된 브레이크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하여 한쌍의 브레이크슈를 제작하고, 이것들을 제1도∼제4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조립하여,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80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황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이 감속정지하였다.
[실시예 59]
소결조제로서 Y2O35중량% 및 Mg Al2O45중량%를 포함한 질화규소분말에 직경 약 10㎛의 니칼론섬유를 수100개 다발로 묶은 얀(니혼카본제)을 최종 판상물 표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30중량% 배합하고, 질소 분위기중에서 1600℃로 프레스압 300kg/㎠의 조건에서 1시간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상술한 제6(a)도, 제6(b)도에 나타낸 구조의 브레이크편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59의 브레이크편과 레일간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한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브레이크편을 선단면에 대해 상기 얀이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핀형상 시험편(TP1)을 가공하였다. 또 레일재인 SS400재를 원판형의 시험편(TP2)으로 가공하였다. 실험은 회전하는 시험편(TP2)의 원형면에 시험편(TP1)의 선단을 밀어붙이고, 동시에 시험편(TP2)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밀어붙임압력, 마찰력, 회전수를 측정하여, 마찰개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마찰계수의 변화 및 핀형상 시험편의 시험후의 상대마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58과 마찬가지로 높은 마찰계수와 낮은 상대마모량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59의 브레이크편을 연신주철로 된 브레이크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하여 한쌍의 브레이크슈를 제작하고, 이것들을 제1도∼제4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조립하여,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80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창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이 감속정지하였다.
[실시예 60∼74]
제23(a)도는 이후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시험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제23(b)도는 제23(a)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24(a)도는 이후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다른 시험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제24(b)도는 제24(a)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25(a)도는 이후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또 다른 시험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제25(b)도는 제25(a)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우선 질화규소(Si3N4)의 분말 90중량부와 소결조제로서 Y2O35중량부 및 MgAl2O45중량부에 평균입경 50㎛의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를 각각 15중량%, 10중량%, 10중량%, 10중량% 및 15중량% 첨가하고, 이들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중에서 30MPa의 압력으로 각각 가열 프레스하여 5종의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들 소결체를 기계가공하여 슬라이드면측의 지름이 15mm, 저부측의 지름이 17mm, 두께가 4.5mm의 원추대형상을 이루는 브레이크편을 제작하였다. 제23(a)도, 제2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편(91)을 스테인리스로 된 정방형 기둥형상의 보지블록(92)의 원추대형상의 관통구멍(93)에 삽입하고, 이것들을 스테인리스로 된 정방형 기둥형상의 지지체(94)에 상기 브레이크편(91)의 저면이 상기 지지체(94)에 맞닿도록 배치하여, 상기 보지블록(92)의 4코너로부터 나사(95)를 상기 지지체(94)에 나사식으로 취부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편(91)을 그 슬라이드면(제동면)측이 상기 보지블록(92)의 표면으로부터 500㎛ 돌출하도록 고정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부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관성마찰시험은 레일재인 SS400재를 원판형의 상대부재로 준비하고, 이 상대부재의 양측에 2개의 상기 시험부재를 그 브레이크편이 상기 상대부재의 원형면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회전하는 상대부재를 상기 각 시험부재로 끼우고, 동시에 상기 상대부재의 회전을 감속시켜서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밀어붙임압력, 마찰력, 회전수를 측정하여, 상기 슬라이드편의 마찰계수를 조사하였다. 실험조건은 1250m/분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조건을 토대로 설정하였다. 이 조작을 3회 반복하고, 1회째와 3회째의 상기 시험부재(특히 브레이크편)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제24(a)도, 제2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브레이크편(91)을 스테인리스로 된 정방형 기둥형상의 보지블록(92)의 원추대형상의 관통구멍(93)에 탄화규소 장섬유 크로스로 된 원추대 통상체(완충재)(96)를 거쳐서 삽입하고, 이것들을 스테인리스로 된 정방형 기둥형상의 지지체(94)에 상기 브레이크편(91)의 저면이 상기 지지체(94)에 맞닿도록 탄화규소 장섬유 크로스로 된 시트(완충재)(97)를 거쳐서 배치하고, 상기 보지블록(92)의 4코너로부터 나사(95)를 상기 시트(97)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94)에 나사식으로 취부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편(91)을 그 슬라이드면(제동면)측이 상기 보지블록(92)의 표면으로부터 500㎛ 돌출하도록 고정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부재를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슬라이드편의 마찰계수 및 1회째와 3회째의 상기 시험부재(특히 브레이크편)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병기한다.
또한 제25(a)도, 제2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소결체로 된 슬라이드면에 0.2mm의 깊이, 1.0mm 피치의 격자 형상 홈을 갖는 브레이크편(91)을 사용한 이외는 상술한 제24(a)도, 제24(b)도와 마찬가지 구조의 시험부재를 조립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부재를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슬라이드편의 마찰계수 및 1회째와 3회째의 상기 시험부재(특히 브레이크편)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병기한다.
[비교예 20]
우선 질화규소(Si3N4)의 분말 90중량부와 소결조제로서 Y2O35중량부 및 MgAl2O45중량부로 된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중에서 30MPa의 압력으로 각각 가열 프레스하여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소결체를 기계가공하여 상기 실시예 60과 마찬가지 치수의 원추대형상을 이루는 브레이크편을 제작하였다. 이 브레이크편을 사용하여 상술한 제24(a)도, 제24(b)도와 마찬가지 구조의 시험부재를 조립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부재를 사용하여 상술한바와 마찬가지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브레이크편의 마찰계수 및 1회째와 3회째의 상기 시험부재(특히 브레이크편)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병기한다. 또한 표 5의 균열발생 적음이라 함은 브레이크편의 표면에만 균열이 발생한 상태를 균열발생 큼이라 함은 표면으로부터 깊이방향 전체에 균열이 발생한 상태를 각각 의미한다.
Figure kpo00005
상기 표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64∼74의 시험부재의 브레이크편은 비교예 20의 같은 브레이크편에 비해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60∼74의 시험부재의 브레이크편에서는 상술한 표 1∼표 4에 든 실시예에 비해 마찰계수가 낮게 되어 있는 것은 실험조건인 낙하속도가 1250m/분으로 가혹하기 때문이다.
또 실시예 60∼74 및 비교예 20의 시험부재의 브레이크편은 어느 것이나 1회째의 관성마찰시험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완충재를 사용한 실시예 61, 62, 64, 65, 67, 68, 70, 71, 73, 74의 시험부재의 브레이크편은 3회째의 관성마찰시험에서 균열의 발생이 전혀 관찰되지 않고, 높은 제동작용을 함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62, 65, 68, 71, 74에서의 슬라이드면에 격자 형상 홈이 형성된 브레이크편은 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를 각각 15중량%, 10중량%, 10중량%, 10중량% 및 15중량% 포함한 Si3N4의 소결체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상술한 제9(a)도, 제9(b)도∼제12(a)도, 제12(b)도에 나타낸 브레이크슈를 각각 제작하고, 이들 브레이크슈를 상술한 제1도, 제2도, 제8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조립하여,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125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황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어느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서도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을 감속정지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75∼84]
우선 질화규소(Si3N4)의 분말 90중량부, 소결조제로서 Y2O35중량부 및 MgAl2O45중량부로 된 원료분말과, 이 원료분말에 평균입경 50㎛의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를 각각 소정량 첨가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가열 프레스기에 상기 각 혼합분말이 표층에, 상기 원료분말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충전한 후, 질소 분위기중에서 30MPa의 압력으로 각각 가열 프레스하여 5종의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들 소결체를 기계가공하여 슬라이드면측의 지름이 15mm, 저부측의 지름이 17mm, 두께가 4.5mm의 원추대형상을 이루며, 상기 슬라이드면으로부터 깊이 0.5mm(전체 두께의 약 11%)에 걸쳐서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가 각각 10∼15중량% 분산된 5종의 브레이크편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들 브레이크편을 사용하여 상술한 제23(a)도, 제23(b)도에 나타낸 시험부재를 조립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부재를 사용하여 실시예 60과 마찬가지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브레이크편의 마찰계수 및 1회째와 3회째의 상기 시험부재(특히 브레이크편)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또 슬라이드면측의 지름이 15mm, 저부측의 지름이 17mn, 두께가 4.5mm의 원추대형상을 이루며, 상기 슬라이드면으로부터 깊이 0.5mm(전체 두께의 약 11%)에 걸쳐서 상기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가 각각 10∼15중량% 분산되고, 또 슬라이드면에 0.2mm의 깊이, 1.5mm 피치의 격자 형상 홈을 갖는 5종의 브레이크편을 사용하여 상술한 제25(a)도, 제25(b)도에 나타낸 시험부재를 조립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부재를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브레이크편의 마찰계수 및 1회째와 3회째의 상기 시험부재(특히 브레이크편)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병기한다.
또한 표 6의 균열발생 적음이라 함은 브레이크편의 표면에만 균열이 발생한 상태를, 균열발생 큼이라 함은 표면으로부터 깊이방향 전체에 균열이 발생한 상태를 각각 의미한다.
Figure kpo00006
상기 표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75, 77, 79, 81, 83의 시험부재의 브레이크편은 복합입자(세라믹스입자)가 같으며, 그것들을 전체에 분산시킨 상술한 실시예 60, 63, 66, 69, 72의 브레이크편과 동등한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다. 더구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는 브레이크편에서는 실시예 60, 63, 66, 69, 72의 브레이크편이 3회째의 관성마찰시험에서 균열이 깊이방향 전체에 발생하는 데 비해, 실시예 75, 77, 79, 81, 83의 시험부재의 브레이크편은 3회째의 관성마찰시험에서 균열이 표면에만 발생하는 데 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75, 77, 79, 81, 83의 시험부재의 브레이크편에서 높은 마찰계수를 부여할 필요가 있는 표층에만 TiC입자와 같은 복합입자를 분산시키고, 상기 복합입자가 분산되지 않는 Si3N4로 된 브레이크편 부분에서 내충격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 상기 표 6에서 완충재를 사용하고, 또 슬라이드면에 격자 형상 홈이 형성된 브레이크편을 갖춘 실시예 76, 78, 80, 82, 84의 시험부재에서는 3회째의 관성마찰 시험에서도 상기 브레이크편에 균열의 발생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또 브레이크편 자체에 높은 마찰계수가 부여되어 높은 제동작용을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결체를 브레이크편 소재로서 사용하여 슬라이드면으로부터 깊이 0.5mm에 걸쳐서 상기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가 각각 10∼15중량% 분산된 브레이크편과, 이와 같은 세라믹스입자의 분산상태에서 상술한 격자 형상 홈을 슬라이드면에 형성한 브레이크편을 갖는 상술한 제9(a)도, 제9(b)도∼제12(a)도, 제12(b)도에 나타낸 브레이크슈를 각각 제작하고, 이들 브레이크슈를 상술한 제1도, 제2도, 제8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조립하여,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125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황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어느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서도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을 감속정지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85∼94]
우선 질화규소(Si3N4)의 분말 90중량부, 소결조제로서 Y2O35중량부 및 MgAl2O45중량부로 된 원료분말과, 이 원료분말에 평균입경 50㎛의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를 각각 소정량 첨가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가열 프레스기에 상기 각 혼합분말이 표층에, 상기 원료분말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충전한 후, 질소 분위기중에서 30MPa의 압력으로 각각 가열 프레스하여 5종의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들 소결체를 기계가공하여 슬라이드면측의 지름이 15mm, 저부측의 지름이 17mm, 두께가 4.5mm의 원추대형상을 이루며, 상기 슬라이드면으로부터 깊이 0.225mm(전체 두께의 5%) 및 1.26mm(전체 두께의 28%)에 걸쳐서 상기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가 각각 10∼15중량% 분산되고, 또 슬라이드면에 0.2mm의 깊이, 1.5mm 피치의 격자 형상 홈을 갖는 10종의 세라믹스 브레이크편을 사용하여 상술한 제25(a)도, 제25(b)도에 나타낸 시험부재를 조립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부재를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브레이크편의 마찰계수 및 1회째와 3회째의 상기 시험부재(특히 브레이크편)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병기한다. 또한 하기 표 7중에는 상술한 실시예 76, 78, 80, 82, 84의 결과도 병기한다.
또한 표 7의 균열방생 적음이라 함은 브레이크편의 표면에만 균열이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Figure kpo00007
상기 표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완충재를 사용하고, 또 슬라이드면에 격자 형상 홈이 형성된 브레이크편을 갖추며, 전체 두께의 28%의 두께를 갖는 표층에만 TiC입자와 같은 복합입자를 분산시키는 실시예 86, 90, 92, 94의 시험부재에서는 3회째의 관성마찰시험에서 균열이 표면에만 발생하는 데 그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완충재를 사용하고, 또 슬라이드면에 격자 형상 홈이 형성된 브레이크편을 갖추며, 전체 두께이 약 11% 및 5%의 두께를 갖는 표층에만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와 같은 복합입자를 분산시키는 실시예 76, 85, 78, 87, 80, 89, 82, 91, 84, 93의 시험부재에서는 3회째의 관성마찰시험에서도 상기 브레이크편에 균열발생이 전혀 관찰되지 앉았으며, 또 브레이크편 자체로 높은 마찰계수가 부여되어 높은 제동작용을 함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소결체를 브레이크편 소재로서 사용하여 슬라이드면으로부터 깊이 0.225mm(전체 두께의 5%의 두께)에 걸쳐서 상기 TiC입자, TiN입자, WC입자, B4C입자 및 TiB2입자가 각각 10∼15중량% 분산되고, 또 상술한 격자 형상 홈을 슬라이드면에 형성한 브레이크편을 갖는 상술한 제9(a)도, 제9(b)도∼제12(a)도, 제12(b)도에 나타낸 브레이크슈를 각각 제작하고, 이들 브레이크슈를 상술한 제1도, 제2도, 제8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조립하고,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125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황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어느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서도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을 감속정지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95]
소결조제로서 Y2O35중량% 및 MgAl2O45중량% 를 포함한 질화규소분말을 질소 분위기중에서 1700℃에서 프레스압 300kg/㎠의 조건으로 1시간 가열 프레스를 실시하여 판상물로 한 후에, 피라미드형의 돌기부가 규칙적으로 배열하도록 NC가공을 실시하여 상술한 제13(a)도, 제13(b)도에 나타낸 구조의 브레이크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96]
소결조제로서 Y2O35중량% 및 MgAl2O45중량%를 포함한 질화규소분말을 질소 분위기중에서 1700℃에서 프레스압 300kg/㎠의 조건으로 1시간 가열 프레스를 실시하여 판상물로 한 후에, 서로 평행한 생선묵형의 돌기부가 규칙적으로 배열하도록 NC가공을 실시하여 상술한 제14(a)도, 제14(b)도에 나타낸 구조의 브레이크편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95, 96의 브레이크편과 레일간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한 관성마찰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각 브레이크편을 선단면에 상기 돌기부간 위치하도록 핀형상 시험편(TP1)을 가공하였다. 또 레일재인 SS400재를 원판형의 시험편(TP2)으로 가공하였다. 실험은 회전하는 시험편(TP2)의 원형면에 시험편(TP1)의 선단을 밀어붙이고, 동시에 시험편(TP2)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밀어붙임압력, 마찰력, 회전수를 측정하여, 마찰개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마찰계수의 변화 및 핀형상 시험편의 시험후의 상대마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제26도, 제27도에 나타낸다. 또한 제26도, 제27도에는 상술한 비교예 25의 결과도 병기한다.
제26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95, 96의 브레이크편은 비교예 25의 브레이크재료에 비해 마찰직후부터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며, 또한 실험개시로부터 정지시까지 더욱 안정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27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95, 96의 브레이크편은 상대마모량에서도 비교예 25의 브레이크재료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95, 96의 브레이크편을 갖는 상술한 제9(a)도, 제9(b)도∼제12(a)도, 제12(b)도에 나타낸 브레이크슈를 각각 제작하고, 이들 브레이크슈를 상술한 제1도, 제2도, 제8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조립하여,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125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황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어느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서도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을 감속정지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97∼100]
상기 실시예 3, 11, 19, 27의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연성주철로 된 브레이크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하여 한쌍의 브레이크슈를 각각 제작하고, 이것들을 상술한 제16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71)에 조립한 엘리베이터에서,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125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황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어느 엘리베이터에서도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이 감속정지하였다. 이와 같은 비상정지를 실행한 후에 상기 비상정지장치로부터 브레이크슈를 꺼내어, 그 브레이크편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어느 브레이크편도 그 상하부 전체가 레일의 돌기부에 접촉한 흔적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01∼105]
상기 실시예 62, 65, 68, 71, 74의 브레이크편을 갖는 상술한 제9(a)도, 제9(b)도에 나타낸 한쌍의 브레이크슈를 각각 제작하고, 이것들을 상술한 제19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81)에 조립한 엘리베이터에서, 승강기의 로프를 절단하여 승강함을 1250m/분의 속도로 낙하시켰을 때의 비상정지상황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어느 엘리베이터에서도 한쌍의 브레이크슈와 레일간의 마찰에 의해 낙하후 30m 이내에 승강함이 감속정지하였다. 이와 같은 비상정지를 실행한 후에 상기 비상정지장치로 부터 브레이크슈를 꺼내어 제동면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어느 브레이크편도 돌출한 복수의 브레이크편 전체가 레일의 돌기부에 접촉한 흔적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속·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수, 또한 레일에 대해 우수한 내베이킹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1000℃를 넘는 내열성 및 고속·고응력하에서도 안정된 높은 마찰계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며, 또 안정된 제동특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수단의 파손으로 승강함이 낙하할 때, 레일과의 베이킹 등이 생기는 일 없이 상기 승강함을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수단의 파손으로 승강함이 낙하할 때, 레일과의 베이킹 등이 생기는 일 없이 안정된 제동특성을 가지며, 상기 승강함을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수단의 파손으로 승강함이 낙하할 때, 레일과의 베이킹 등이 생기는 일 없이 상기 승강함을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브레이크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 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편에는 또한 탄화규소, 질화규소, 탄소 및 텅스텐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섬유가 10∼55체적% 함유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3.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비상시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4. 승강함; 상기 승강함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함의 저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취부된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해 상기 승강함이 낙하할 때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비상정지기능 부 엘리베이터.
  5. 브레이크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복수의 세라믹섬유를 상기 제동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분산시켜 매설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 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섬유는 복수개의 세라믹섬유를 다발로 묶은 것으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7.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복수의 세라믹섬유를 상기 제동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분산시켜 매설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비상시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8. 승강함; 상기 승강함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함의 저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취부된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복수의 세라믹섬유를 상기 제동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분산시켜 매설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을 갖는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해 상기 승강함이 낙하할 때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비상정지기능 부 엘리베이터.
  9. 브레이크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매설된 돌출부가 원주 형상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브레이크편으로서, 질화규소, 탄화규소 및 사이아론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입경 10∼150㎛의 탄화물, 질화물 및 붕화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세라믹스입자를 분산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편은 표면으로부터 전체 두께의 30% 이내에 이르는 표층에 상기 세라믹스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편은 그 돌출표면에 깊이 0.1∼0.5mm의 홈이 0.5∼5mm의 피치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편은 그 돌출표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13.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본체와 복수의 상기 브레이크편 사이에는 시트 형상 완충재가 더 배치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복수의 상기 브레이크편 사이에는 액체가 더 봉입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는 복수의 상기 브레이크편을 보지하기 위한 금속제 보지부재가 매설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보지부재는 원추대형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추대형을 이루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가지며, 또한 상기 브레이크편은 원추대형상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추대형상을 이루고, 상기 각 브레이크편이 상기 관통구멍에 그 배면측으로부터 각각 삽입된 상기 보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매설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용 브레이크슈.
  17.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매설된 돌출부가 원주 형상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브레이크편을 가지며, 또한 상기 브레이크편은 질화규소, 탄화규소 및 사이아론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입경 10∼150㎛의 탄화물, 질화물 및 붕화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세라믹스입자를 분산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비상시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18. 승강함; 상기 승강함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함의 저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취부된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로서, (a) 브레이크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매설된 돌출부가 원주 형상 또는 각을 둥글게 한 다각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브레이크편을 가지며, 또한 상기 브레이크편은 질화규소, 탄화규소 및 사이아론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모재에, 입경 10∼150㎛의 탄화물, 질화물 및 붕화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세라믹스입자를 분산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해 상기 승강함이 낙하할 때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한 비상정지기능 부 엘리베이터.
  19.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비상시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슈는 (a) 브레이크 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 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으로 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그 상부측일수록 큰 힘으로 압압하는 탄성력을 갖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20. 승강함; 상기 승강함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함의 저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취부된 수평방향으로 확구자재한 U자형을 이루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 내면에 서로 대향하여 취부되고, 대향면의 하부가 외측을 향해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에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단면 T자형 레일; 상기 가이드부재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이동 자재하고, 또한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비치된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동면을 갖는 한쌍의 브레이크슈; 및 상기 브레이크슈에 각각 취부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파손에 의해 상기 승강함이 낙하할 때에 상기 각 브레이크슈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으로서, 그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슈의 상기 제동면으로 상기 레일을 협지하는 리프트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슈는 (a) 브레이크 본체와, (b) 상기 본체의 제동면측에 배치되고, 질화규소, 붕화티탄, 사이아론 및 탄화규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 모재에, 탄화규소 위스커 및 탄화규소 판상입자(플레이트릿)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물질을 함유하여서 되며, 또한 상기 세라믹모재에 상기 세라믹물질을 10중량%∼40중량% 함유한 복합재료로 된 브레이크편으로 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그 상부측일수록 큰 힘으로 압압하는 탄성력을 갖는 비상정지기능 부 엘리베이터.
KR1019970005346A 1996-09-10 1997-02-21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용 브레이크슈,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및 비상정지기능부착 엘리베이터 KR100272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915796 1996-09-10
JP96-239157 1996-09-10
JP28398796 1996-10-25
JP96-283987 1996-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49A KR19980023949A (ko) 1998-07-06
KR100272643B1 true KR100272643B1 (ko) 2000-11-15

Family

ID=2653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346A KR100272643B1 (ko) 1996-09-10 1997-02-21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용 브레이크슈,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및 비상정지기능부착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72643B1 (ko)
CN (1) CN107631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9629B2 (ja) * 2005-12-15 2011-09-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およびそれに用いる非常止め装置
CN101700850B (zh) * 2009-11-05 2012-09-05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制停装置
JP5427682B2 (ja) * 2010-04-16 2014-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
WO2012032573A1 (ja) * 2010-09-08 2012-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ブレーキライニング、ブレーキライニングの製造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GB2516596B (en) * 2012-04-30 2018-01-10 Otis Elevator Co Customized friction for brakes
CN102701039A (zh) * 2012-06-15 2012-10-03 上海乐天电梯部件有限公司 用于电梯制动器的制动块
JP2015168486A (ja) * 2014-03-04 2015-09-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JP2016064893A (ja) * 2014-09-25 2016-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CN105837226B (zh) * 2016-03-22 2019-08-16 上海泛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氮化硅陶瓷摩擦片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6351988B (zh) * 2016-11-03 2018-08-21 石家庄五龙制动器股份有限公司 夹绳器专用摩擦片
CN108217379A (zh) * 2016-12-12 2018-06-2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及其安全钳
CN106966253A (zh) * 2017-05-26 2017-07-21 升华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紧急制动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589A (ko) * 1993-02-03 1994-09-14 가나이 쯔도무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3184Y (zh) * 1993-07-23 1994-08-03 清华大学 金属陶瓷汽车离合器从动盘
US5806636A (en) * 1995-08-16 1998-09-15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Brake rotors/drums and brake pads particulary adapted for motorized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589A (ko) * 1993-02-03 1994-09-14 가나이 쯔도무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49A (ko) 1998-07-06
CN1076315C (zh) 2001-12-19
CN1176218A (zh) 199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4143B2 (ja) エレベータ非常停止装置用ブレーキシュー、エレベータ用非常停止装置および非常停止機能を有するエレベータ
KR100272643B1 (ko)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용 브레이크슈,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및 비상정지기능부착 엘리베이터
JP2803974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JP4380819B2 (ja) エレベータ安全制動装置
US5979615A (en) Carbon--carbon composite elevator safety brakes
CA2357180C (en) Safety device for lifts
US20150083533A1 (en) Customized friction for brakes
Hokkirigawa et al. Friction properties of new porous carbon materials: woodceramics
JP3338326B2 (ja) エレベータ非常停止装置用ブレーキシュー、エレベータ用非常停止装置および非常停止機能を有するエレベータ
EP0985647B9 (en) A member for brakes
JP3945927B2 (ja) エレベータ用非常停止装置用ブレーキシュー、エレベータ用非常停止装置および非常停止機能付エレベータ
JPH11199159A (ja) エレベータ安全制動機
JP3792758B2 (ja) エレベータ非常停止装置用ブレーキシュー、エレベータ非常停止装置および非常停止機能付エレベータ
EP1401753A2 (en) Elevator safety brake
CN111022536A (zh) 一种用于高速列车的刹车闸片
CN216763965U (zh) 电梯安全钳紧急制动件及电梯紧急制动装置
AU2002237886A1 (en) Elevator safety brake
TW450939B (en) Brake shoe for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having emergency stop function
WO2019026178A1 (ja) エレベータの制動子、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S5943782A (ja) エレベ−タの非常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