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924B1 -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924B1
KR100271924B1 KR1019980034059A KR19980034059A KR100271924B1 KR 100271924 B1 KR100271924 B1 KR 100271924B1 KR 1019980034059 A KR1019980034059 A KR 1019980034059A KR 19980034059 A KR19980034059 A KR 19980034059A KR 100271924 B1 KR100271924 B1 KR 100271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polyester film
polyester resin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573A (ko
Inventor
김상일
윤숭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8003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92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6Cans, t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복단위의 95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한점도가 0.55∼0.75㎗/g이고 용융온도가 240∼26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조도가 10nm 이하인 제1층; 및 상기 제1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복단위중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88:12∼76:24중량%로 이루어져 있고 용융온도가 190∼215℃인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조도가 40nm 이상인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접착성 및 기계적강도가 우수하여 접착제 도포와 같은 별도의 후가공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다른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및 금속판과의 라미네이션 가공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내충격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식품포장용 필름 및 음료용 금속캔의 내면접착 필름의 용도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제 없이도 다른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나 금속과의 라미네이션이 가능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화학적,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을 뿐 아니라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여 의료용, 산업용, 자기기록매체용, 콘덴서용, 포장용, 사진필름용, 라벨용을 비롯하여 각종 성형 가공품 제조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며 식품 위생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유리 용기를 대신하여 식,음료용 포장용기, 화장품 용기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식, 음료용 금속캔의 내부 라미네이트층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즉, 금속캔이 내용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캔의 내벽을 도장처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도장공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각종 유기 용매의 사용으로 인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금속캔의 내벽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접착, 후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캔 내부의 라미네이션 공정은 최소 1단계 이상의 접착제 도포 공정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시 필름의 권취특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무기물 입자들로 인하여 금속캔의 내충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속판과의 열접착이 가능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금속판과의 열접착이 가능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반복단위의 95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한점도가 0.55∼0.75㎗/g이고 용융온도가 240∼26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조도가 10nm 이하인 제1층; 및 상기 제1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복단위중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88:12∼76:24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융온도가 190∼215℃인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표면조도가 40nm 이상인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테레프탈산이 주성분인 디카르복시산 및 에틸렌글리콜이 주성분이 알킬렌글리콜을 혼합한후 중합하여 반복단위의 95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한점도가 0.55∼0.75㎗/g이고 용융온도가 240∼26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b)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시산, 에틸렌글리콜이 주성분인 알킬렌글리콜 및 무기활제를 혼합한후 중합하여 반복단위중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88:12∼76:24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융온도가 190∼215℃인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물을 압출하여 표면 조도가 10nm 이하인 제1층으로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물을 상기 제1층의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하여 표면조도가 40nm인 제2층이 되도록 공압출하여 미연신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미연신필름을 종방향으로 2.5∼4.5배, 횡방향으로 2.5∼4.5배 연신한 다음,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두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 두께의 5∼30%, 바람직하게는 10∼20%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의 두께가 5% 미만이면 제2층 두께가 너무 얇아 금속판과의 열접착 특성이 불량한 반면 30%를 초과하면 제1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내충격성 및 배리어 특성이 저하되고 필름 전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보다 상대적으로 고가인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사용량이 증가되어 제조원가가 필요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필름 전체의 동마찰계수는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각층의 표면조도 및 필름의 동마찰계수는 무기활제의 입경 및 첨가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입자 크기가 큰 무기활제가 다량 첨가되면 필름 각층의 표면조도가 높아지면서 필름 자체의 동마찰계수는 낮아져 권취성이 좋아질 수는 있으나, 본 발명의 용도를 고려할 때 무기활제가 지나치게 다량 첨가되면 필름 연신시 무기활제에 의해 필름에 보이드가 형성되어 내충격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도에 알맞은 정도로 각층의 표면조도 및 필름의 동마찰계수를 제어하려면 제1층에는 무기활제를 전혀 첨가하지 않거나 극소량 (30ppm 이하) 첨가하고, 제2층에는 500∼3000ppm 첨가하여야 한다.
만약 제1층에 30ppm보다 많은량의 무기활제가 첨가되면 필름의 내충격성이 불량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2층에 첨가되는 무기활제의 첨가량이 500ppm 미만이면 제2층의 표면조도가 40nm 이하가 되고 필름 전체의 동마찰계수가 0.6 이상이 되므로 양호한 필름권취가 불가능해지며, 반대로 3000ppm을 초과하면 필름의 내충격성이 불량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활제의 평균입경은 1.0∼4.0㎛이고, 특히 금속캔 내벽의 라미네이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1.5∼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평균입경이 1.0㎛ 미만이면 필름의 표면조도가 너무 낮아져서 권취성이 불량해지고 생산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제조공정 도중 올리고머 생성량이 많아지게 되는 반면,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표면이 지나치게 조면화되어 필름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사용될 수 있는 무기활제로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하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황산바륨, 탈크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시 무기활제 이외에도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첨가제들, 예를 들면 중축합촉매, 안정화제, 분산제, 정전인가제 및 결정화촉진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접착성 및 기계적강도가 우수하며 내충격성이 양호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1층을 이루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반복단위의 90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직접에스테르화반응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 10중량% 이하의 공중합성분으로서는 산성분 또는 알콜성분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산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5-나트륨설포프로폭시이소프탈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아디프산, 아젤레인산(azelaic acid), 세바신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2관능 또는 다관능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염기산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콜성분으로서는 트리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시클로헥실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5-나트륨설포레소시놀, p-자일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2관능성 방향족 또는 지방족 알콜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점도는 0.55∼0.75㎗/g이고 용융온도는 240∼2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데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제2층을 이루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반복단위중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88:12∼76:24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직접에스테르화반응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는 이소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직접에스테르화반응 또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12중량% 미만이면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결정화속도가 빨라져 열접착성이 불량해진다. 24중량%를 초과하면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결정화가 어렵게 되어 건조공정에서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칩들사이에 융착현상이 일어나 제조공정이 불안정해지며 용융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2층의 점도가 제1층의 점도에 비해 작아서 공압출단계에서 티다이 출구에서 컬링(curling)현상이 발생하고 피드블럭내에서 두 층사이의 접촉면의 유동이 불안정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그 결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2층을 구성하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온도는 190∼2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온도가 190℃ 미만이면 제2층의 점도가 제1층의 점도에 비해 작아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융온도가 215℃를 초과하면 제2층의 결정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열접착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2당량비로 혼합하고 중축합 촉매, 열안정제 및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한 뒤 중축합시켜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이어서,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으로 이루어진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디올 성분을 1:2 당량비로 혼합하고, 무기활제, 중축합촉매, 열안정제 및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한 뒤 중축합시켜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질소분위기하에서 각각 건조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물을 압출하여 제1층으로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물을 상기 제1층의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하여 제2층이 되도록 두 대의 압출기와 피더블럭이 장착된 티다이를 이용하여 공압출하여 2층으로 이루어진 미연신필름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미연신필름을 종방향으로 2.5∼4.5배, 횡방향으로 2.5∼4.5배 연신한 다음, 열처리함으로써 제1층의 표면조도가 10nm 이하이고 제2층의 표면조도가 40nm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층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열안정제, 분산제, 정전인가제, 결정화촉진제, 블로킹방지제, 기핵제, 및 기타 무기활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조된 필름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1) 용융온도
수지의 용융온도는 시차열분석기 (DSC-7, 퍼킨엘머사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30℃까지 승온하여 시료를 용융시킨 다음 급냉한후 20℃/분의 속도로 다시 승온하면서 측정하였다.
(2) 필름의 동마찰계수 (동마찰, 내/외면 측정)
ASTM D 1894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3) 필름의 표면조도 (중심선 평균조도)
측정기기로서 일본 코사까 연구소 제품인 SE-30D Model (Stylus 반경=2㎛, Cut-Off=0.25㎜)를 이용하였으며, DIN 4768에 의한 Ra (중심선 평균표면조도)치를 측정하였다.
(4) 강판과의 열접착력
200℃로 가열된 0.2㎜ 두께의 TFS (Thin Free STeel)판과 제2층을 서로 마주보도록 맞대어 놓고 내열 고무롤러로 2초간 압착한후 수냉법에 의해 급냉시켜 라미네이트하였다. 이렇게 강판과 라미네이트된 부분의 필름에 면도칼로 9개의 흡집(가로 5㎜ X 세로 5㎜)을 내어 100℃로 끓는 물에 2시간 동안 가열한후 흠집 부위를 박리시킨다.
1개 이상 박리가 일어나면 불량한 것으로, 박리가 일어나지 않으면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5) 내충격성
TFS 강판과 라미네이트된 필름을 두께 3㎜, 경도 50의 실리콘 고무 위에 필름면이 접하게 하고 5/8인치의 강구(鋼求)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1㎏의 저울추를 400㎜ 위에서 강구에 떨어뜨려 강판을 변형시켰다. 이 부위에 6V의 전압을 걸어서 흐르는 전류치를 측정하였다.
각 조견별 10개씩 평가하여 1㎃ 이하인 것의 개수를 세어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양호: 8개 이상이 1㎃ 이하
불량: 5∼7개가 1㎃ 이하
불가: 4개 이하가 1㎃ 이하.
실시예 1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2 당량비로 혼합한 후, 열안정제로서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1중량%, 중합촉매로서 안티모니트리아세테이트를 0.05중량%를 투입하고 중축합 반응을 실시한후 질소분위기 하에 120℃에서 120분, 이어서 170℃에서 180붕 동안 건조하여 극한점도가 0.65㎗/g이고 용융온도가 256℃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칩을 제조하였다.
테레프탈산 80중량%와 이소프탈산 20중량%으로 구성된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의 디올성분을 1:2 당량비로 혼합한 후, 열안정제로서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1중량%, 중합촉매로서 안티모니트리아세테이트를 0.05중량%, 무기활제로서 평균입경이 2.1㎛인 이산화규소 0.1중량% (1000ppm)를 투입하고 중축합 반응을 실시한후, 질소분위기하에 80℃에서 80℃에서 100분, 105℃에서 100분, 이어서 160℃에서 150분 동안 제습 및 건조하여 극한점도가 0.66㎗/g이고 용융온도가 200℃인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칩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1층과 제2층의 두께비가 90:10이 되도록 조절된 두 대의 압출기와 피더블록이 장착된 티다이를 사용하여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1층으로 하고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2층으로 하여 용융시킨 후 공압출하여 30℃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은 미연신 시이트를 통상의 2축연신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3.5배, 횡방향으로 3.5배 연신시킨 후 190℃에서 2초간 열처리하여 두께가 26.8㎛의 2축연신 2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측정한 결과 상기 제1층의 두께는 26.8㎛이었고, 상기 제2층의 두께는 3.2㎛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외면 표면조도(중심선 평균조도), 동마찰계수, 강판과의 열접착력 및 내충격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15 및 비교예 1∼13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이소프탈산 함량, 무기활제 첨가량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필름에 대한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제2층 무기입자 함량2(ppm) 필름 표면조도(nm) 필름 특성
이소프탈산1(중량%) 용융온도(℃) 제1층 제2층 제1층 제2층 동마찰계수 (μK) 강판과의접착력 내충격성 (ERV) 종합평가
실시예 1 20 200 0 1000 4 81 0.54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2 13 214 0 1000 4 80 0.54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3 15 212 0 1000 5 81 0.54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4 18 204 0 1000 4 79 0.54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5 22 196 0 1000 4 80 0.56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6 23 193 0 1000 5 80 0.58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7 20 200 10 1000 7 82 0.52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8 20 200 20 1000 8 81 0.52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9 20 200 25 1000 9 84 0.51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10 20 200 0 600 5 59 0.57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11 20 200 0 2000 4 102 0.48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12 20 200 0 2500 4 110 0.47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13 20 200 10 1500 5 90 0.52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14 20 200 25 1500 5 95 0.49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15 20 200 20 2000 5 108 0.47 양호 양호 양호
비교예1 5 238 0 1000 4 81 0.54 불량 평가불4 불량
비교예 2 10 228 0 1000 4 80 0.54 불량 평가불4 불량
비교예 3 26 185 0 1000 5 79 0.64 양호 양호 불량
비교예 4 20 200 0 0 5 4 측정불3 양호 양호 불량
비교예 5 20 200 0 200 4 27 측정불3 양호 양호 불량
비교예 6 20 200 0 400 4 34 0.71 양호 양호 불량
비교예 7 20 200 0 4000 5 157 0.46 양호 불량 불량
비교예 8 20 200 0 5000 5 184 0.42 양호 불가 불량
비교예 9 20 200 50 1000 19 84 0.51 양호 불량 불량
비교예 10 20 200 200 1000 43 82 0.50 양호 불량 불량
비교예 11 20 200 500 1000 52 87 0.49 양호 불량 불량
비교예 12 20 200 1000 1000 83 86 0.46 양호 불가 불량
비교예 13 20 200 2000 1000 110 88 0.40 양호 불가 불량
1: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대비
2: 평균입경 2.1㎛인 이산화규소 (SiO2) 첨가량
3: 슬립성 불량으로 동마찰계수 측정 범위(∼1.0) 초과
4: 강판접착력 부족으로 라미네이션이 안되므로 평가 자체가 불가능함.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접착성 및 기계적강도가 우수하여 접착제 도포와 같은 별도의 후가공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다른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및 금속판과의 라미네이션 가공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내충격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식품포장용 필름 및 음료용 금속캔의 내면접착 필름의 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7)

  1. 반복단위의 95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한점도가 0.55∼0.75㎗/g이고 용융온도가 240∼26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조도가 10nm 이하인 제1층; 및
    상기 제1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복단위중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88:12∼76:24중량%로 이루어져 있고 용융온도가 190∼215℃인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조도가 40nm 이상인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두께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 두께의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필름 전체의 동마찰계수가 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 a) 테레프탈산이 주성분인 디카르복시산 및 에틸렌글리콜이 주성분이 알킬렌글리콜을 혼합한후 중합하여 반복단위의 95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한점도가 0.55∼0.75㎗/g이고 용융온도가 240∼26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b)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시산, 에틸렌글리콜이 주성분인 알킬렌글리콜 및 무기활제를 혼합한후 중합하여 반복단위중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88:12∼76:24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융온도가 190∼215℃인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물을 압출하여 표면 조도가 10nm 이하인 제1층으로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물을 상기 제1층의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하여 표면조도가 40nm인 제2층이 되도록 공압출하여 미연신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미연신필름을 종방향으로 2.5∼4.5배, 횡방향으로 2.5∼4.5배 연신한 다음,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시 무기활제가 더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량이 3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무기활제 첨가량이 500∼3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7. 제4항 내지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무기활제의 평균입경이 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80034059A 1998-08-21 1998-08-21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7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059A KR100271924B1 (ko) 1998-08-21 1998-08-21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059A KR100271924B1 (ko) 1998-08-21 1998-08-21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73A KR20000014573A (ko) 2000-03-15
KR100271924B1 true KR100271924B1 (ko) 2000-12-01

Family

ID=1954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059A KR100271924B1 (ko) 1998-08-21 1998-08-21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9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126A (ko) * 1998-10-27 2000-05-15 장용균 포토레지스트필름의 지지층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제조방법
KR100611821B1 (ko) 2004-09-10 2006-08-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마찰계수가 조절된 폴리에스터 적층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126A (ko) * 1998-10-27 2000-05-15 장용균 포토레지스트필름의 지지층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제조방법
KR100611821B1 (ko) 2004-09-10 2006-08-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마찰계수가 조절된 폴리에스터 적층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73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323B1 (ko) 성형가공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필름
US20050019559A1 (en) Coextruded, hotsealable and peelable polyester film having easy peelability,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EP0717066A1 (en) Polyester film for use in a laminate with a metal plate
KR100235070B1 (ko) 금속판 적층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10032637A (ko)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가요성 디스크
JP2000169600A (ja) 包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71924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10130405A (ja) 容器成形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757488B2 (ja) 金属板ラミネート用積層フイルム
EP0716920B1 (en) Metal-polyesterfilm laminate
JP4059966B2 (ja) 金属ラミネート用白色フィルム
JPH11254625A (ja) 金属板貼合わせ成形加工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129008A (ja) 金属板貼合わせ成形加工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30095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546510B2 (ja) 金属板ラミネート用積層フイルム
JP2000177085A (ja) 貼合わ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65927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EP4029801B1 (en)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829505B2 (ja) 成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143838A (ja) 包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1254624A (ja) 金属板ラミネ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7192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970934A (ja) ラミネート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271928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3175578A (ja) 金属薄膜との接着性が良好な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