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443B1 - 디지털브이씨알의오디오편집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브이씨알의오디오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443B1
KR100271443B1 KR1019970029956A KR19970029956A KR100271443B1 KR 100271443 B1 KR100271443 B1 KR 100271443B1 KR 1019970029956 A KR1019970029956 A KR 1019970029956A KR 19970029956 A KR19970029956 A KR 19970029956A KR 100271443 B1 KR100271443 B1 KR 10027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audio
unit
computer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738A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29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4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0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28DM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브이씨알의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를 컴퓨터의 기록 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컴퓨터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편집하여 디지털 브이씨알 테이프 상의 오디오 영역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은 컴퓨터로부터 출력되어진 병렬 오디오 데이터를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한 후 입체음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브이씨알의 코덱의 오디오 데이터 포맷에 맞게 변환함과 아울러 코덱의 오디오 데이터 포맷을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하는 코덱 인터페이스부; 상기 코덱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된 코덱의 오디오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병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Audio Editing Apparatus for Digital VCR)
본 발명은 디지털 브이씨알에 있어서, 디지털 브이씨알의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를 컴퓨터의 기록 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컴퓨터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편집하여 디지털 브이씨알 테이프 상의 오디오 영역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브이씨알은 캠코더에 의해 촬영되거나 기록하고자 하는 아날로그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테이프 상에 기록하고, 재생 시에는 디지털 신호로 기록된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렇게 디지털 브이씨알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테이프 상에 기록 및 이를 재생시킴으로써 기존의 아날로그 브이씨알에서는 불가능한 여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례를 들면 아날로그 브이씨알의 경우 테이프 상에 기록된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자주 재생하는 경우 화질과 음질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는 반면 디지털 브이씨알에서는 영상 및 오디오 신호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으므로 깨끗한 영상과 오디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신호와 오디오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편집이 가능하게 되는데, 보통 기록하고자 하는 영상 신호를 자체에 존재하는 영상 잡음을 적절히 제거하여 잡음 없는 깨끗한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오디오신호는 그 자체의 잡음을 제거할 수도 있고, 또한 입체음(surround)등의 처리가 가능해 진다.
이렇게, 디지털 브이씨알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편집하는 경우 또다른 디지털 브이씨알에 의해 편집하여 그 편집된 내용을 저장할 수 도 있는데, 보통 이 디지털 브이씨알간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오디오신호의 편집은 또다른 디지털 브이씨알에 의해서만 가능하고, 다른 오디오신호의 편집 장치에 의한 인터페이스는 불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오디오 편집 장치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디지털 브이씨알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컴퓨터의 저장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컴퓨터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입체음으로 편집하여 사용자에게 곧바로 디스플레이 함과 아울러 이를 디지털 브이씨알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컴퓨터 110 : DMA 제어부
120 : 저장 매체 200 : 오디오 편집부
210 : 오디오 처리부 211 : 엔코딩부
212 : 돌비 처리부 220 : 출력부
221, 223 : D/A 변환부 222 : 출력 디코딩부
230 : 코덱 인터페이스부 240 : 디코딩부
300 : 디지털 브이씨알 310 : 코덱부
320 : 데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어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한 후 입체음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210); 상기 오디오 처리부(210)에 의해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브이씨알(300)의 코덱(CODEC)(310)의 오디오 데이터 포맷에 맞게 변환함과 아울러 코덱(310)의 오디오 데이터 포맷을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하는 코덱 인터페이스부(230); 상기 코덱 인터페이스부(230)에 의해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된 코덱의 오디오 데이터를 컴퓨터(100)에 저장할 수 있는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240); 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어진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처리부(210)에 의해 입체음으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접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출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는 오디오 처리부(210), 출력부(220), 코덱 인터페이스부(230), 디코딩부(240)로 구성된다.
오디오 처리부(210)는 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입체음 처리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 오디오 데이터를 직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후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엔코딩부(211); 상기 엔코딩부(211)의 출력을 인가 받아 입체음 처리하여 출력하는 돌비 처리부(212)로 구성된다.
이때,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은 의 포맷을 이용한다.
출력부(220)는 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처리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입체음의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브이씨알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직접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SP1)로 출력하는 제 1 D/A 변환부(221); 오디오 처리부(210)에 의해 입체음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병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출력 디코딩부(222); 상기 출력 디코딩부(22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SP2)로 출력하는 제 2 D/A 변환부(223)로 구성된다.
코덱 인터페이스부(230)는 오디오 처리부(212)에 의해 의 포맷으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브이씨알(300)의 코덱부(310)와 인터페이스 함과 아울러 디지털 브이씨알(300)의 오디오 데이터를 컴퓨터(100)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것이다.
디코딩부(240)는 코덱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브이씨알(300)의 오디오 데이터를 컴퓨터(100)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병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디지털 브이씨알(300)에 기록되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컴퓨터(100)에 저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과정을 설명한다.
디지털 브이씨알(300)의 코덱부(310)는 데크부(320)로부터 테이상에 기록된 4채널 펄스 코드 변조(PCM)된 입체음의 오디오 데이터(Left, Right, Center, Surround)를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데이터 포맷에 맞게 엔코딩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코덱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코덱 인터페이스부(230)로 입력되어 본 발명의 오디오 편집 장치에서 사용하는 의 포맷으로 변환되는데, 상기의 의 포맷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A의 전송 클락(SCK), 도 2B의 기록 선택 신호(WS), 도 2C의 오디오 데이터(SD)로 이루어진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송 클락(SCK)과 기록 선택 신호(WS)는 본 발명의 오디오 편집 장치가 마스터가 되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신호의 발생 블록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기록 선택 신호(WS)는 전송 클락(SCK)의 하강 에지에서 왼쪽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의 발생 이후 다음 전송 클락(SCK)의 하강 에지에서부터 왼쪽 오디오 데이터의 최상위비트(MSB LEFT)가 전송된다.
상기 왼쪽 오디오 데이터의 최상위비트(MSB LEFT)가 전송된 이후 왼쪽 오디오 데이터의 16비트가 모두 전송되면, 기록 선택 신호(WS)는 전송 클락(SCK)의 하강 에지에서 오른쪽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의 발생 이후 다음 전송 클락(SCK)의 하강 에지에서부터 오른쪽 오디오 데이터의 최상위비트(MSB RIGHT)가 전송된다.
또한, 오른쪽 오디오 데이터의 최상위비트(MSB RIGHT)가 전송된 이후 왼쪽 오디오 데이터의 16비트가 모두 전송되면, 계속해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의 포맷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의 포맷팅 과정이 코덱 인터페이스부(230)에서 이루어지면, 디코딩부(240)는 이러한 직렬 오디오 데이터를 병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컴퓨터(100)의 DMA 제어부(110)로 출력하는데, 이때 DMA 제어부(110)를 이용하는 까닭은 컴퓨터(100)와 인터페이스 시의 컴퓨터(100) 내부의 CPU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저장 매체(120) 즉, 하드 디스크에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 또는 읽어 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동작 과정을 통해 컴퓨터(100)에 디지털 브이씨알(300)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 와서 편집한 후 직접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디지털 브이씨알에 이를 다시 저장하는 과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100)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컴퓨터(100)의 저장 매체(120)에 기록되어 있는 16비트의 펄스 코드 변조(PCM)된 병렬 오디오 데이터가 DMA 제어부(110)를 통해 오디오 편집부(200)의 출력부(220)로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220)의 제 1 D/A 변환부(221)는 이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SP1)로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의 오디오 데이터는 2채널(Left, Right)의 오디오 데이터이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10)를 통한 4채널의 입체음의 오디오 데이터(Left, Right, Center, Surround)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과정은, 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는 2채널의 병렬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처리부(210)의 엔코딩부(211)에서 인가 받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맷으로 포맷팅을 행하게 된다.
이의 포맷팅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엔코딩부(211)에 의하여 포맷팅된 2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는 돌비 처리부(212)로 인가되어 4채널을 갖는 입체음으로 변환시키게 되고, 이 오디오 데이터는 출력부(220)의 출력 디코딩부(222)로 입력되어 4채널의 병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4채널의 병렬 오디오 데이터는 제 2 D/A 변환부(223)로 입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됨으로써 스피커(SP2)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컴퓨터(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브이씨알의 테이프에 저장하는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어진 병렬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편집부(200)의 오디오 처리부(210)에 의해 입체음으로 처리되는 동작은 상기와 동일하므로 이를 설명은 생략한다.
돌비 처리부(210)에 의해 4채널의 입체음으로 변환된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는 코덱 인터페이스부(230)로 인가되고, 상기 코덱 인터페이스부(230)는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브이씨알(300)의 코덱부(310)의 포맷에 맞게 변환한 다음 출력하게 된다.
이 변환된 신호를 디지털 브이씨알(300)의 코덱부(310)에서 인가 받아 테이프 상에 기록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코딩한 다음 데크부(320)를 통해 테이프 상의 오디오 영역에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는, 디지털 브이씨알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컴퓨터의 저장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컴퓨터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입체음으로 편집하여 사용자에게 곧바로 디스플레이 함과 아울러 이를 디지털 브이씨알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오디오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컴퓨터로부터 출력되어진 병렬 오디오 데이터를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한 후 입체음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브이씨알의 코덱의 오디오 데이터 포맷에 맞게 변환함과 아울러 코덱의 오디오 데이터 포맷을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하는 코덱 인터페이스부;
    상기 코덱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된 코덱의 오디오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병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은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는 DMA(Direct Memory Access) 콘트롤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오디오 처리부는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병렬 오디오 데이터를 직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후 기 규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엔코딩부;
    상기 엔코딩부의 출력을 인가 받아 입체음 처리하여 출력하는 돌비 처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출력되어진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입체음으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접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출력부는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 1 D/A 변환부;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입체음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병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출력 디코딩부;
    상기 출력 디코딩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 2 D/A 변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브이씨알의 오디오 편집 장치.
KR1019970029956A 1997-06-30 1997-06-30 디지털브이씨알의오디오편집장치 KR10027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956A KR100271443B1 (ko) 1997-06-30 1997-06-30 디지털브이씨알의오디오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956A KR100271443B1 (ko) 1997-06-30 1997-06-30 디지털브이씨알의오디오편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38A KR19990005738A (ko) 1999-01-25
KR100271443B1 true KR100271443B1 (ko) 2000-11-15

Family

ID=1951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956A KR100271443B1 (ko) 1997-06-30 1997-06-30 디지털브이씨알의오디오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538B1 (ko) * 1999-07-14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데이터 변환장치 및 이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38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2190A (en) Analog signal digitizer for recording on a video
JPH07101541B2 (ja) デイジタル情報信号の記録装置
JPH0634304B2 (ja) デイスク再生装置
EP0390576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634301B2 (ja) デイスク再生装置
JPS62107473A (ja) Pcmテ−プレコ−ダの録音時サブコ−ド情報取入方法
KR100271443B1 (ko) 디지털브이씨알의오디오편집장치
US5691966A (en) Recording eight digital audio channels on a single magneto optical disk
JPS58225784A (ja) デイスク再生装置
JPH04103080U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の字幕信号記録および再生装置
JPH01130700A (ja) Avサラウンドシステム
KR20010111180A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판별 방법 및 장치
JPH04302863A (ja) データ記録装置
JPH05216487A (ja) カラオケ装置
US5539587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having sampling rate converter
JPS6289275A (ja) Pcm録音再生装置
JP2600585B2 (ja) ディスク記録媒体
JPH09186974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
JPH04261234A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に識別信号を挿入する方法及び装置
JPH0740405B2 (ja) Dat装置
JP2678063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JP2561494B2 (ja) 計測用記録装置
JPH01272384A (ja) ディジタル静止画像記録再生方式
JP3013629B2 (ja) デジタル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記録装置
JP2589888B2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